KR101919732B1 - 세정 기능을 구비한 도관용 필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세정 기능을 구비한 도관용 필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9732B1
KR101919732B1 KR1020180058244A KR20180058244A KR101919732B1 KR 101919732 B1 KR101919732 B1 KR 101919732B1 KR 1020180058244 A KR1020180058244 A KR 1020180058244A KR 20180058244 A KR20180058244 A KR 20180058244A KR 101919732 B1 KR101919732 B1 KR 101919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onduit
fluid
flow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8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욱
Original Assignee
김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욱 filed Critical 김욱
Priority to KR1020180058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97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69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 B01D29/647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with a rotary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8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29/94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the filter cake, e.g. chu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정 기능을 구비한 도관용 필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도관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중앙에 결합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함몰부의 외측에 제1 유동공이 형성되는 회전 규제부; 유체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회전 규제부의 앞쪽에 설치되며 도관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단부에는 필터가 설치되는 필터 유닛; 및, 유체의 유동에 의해 상기 필터 유닛에 대하여 도관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결합 함몰부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며, 상기 필터를 세정할 수 있는 세정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세정 유닛은 회전 긁개를 포함하며, 회전 긁개는, 상기 구동축의 선단에 설치되는 보스부; 및, 상기 보스부의 외주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균일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회전 날개를 포함하며, 유체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회전 날개의 후단에는 상기 필터와 나란하게 받침턱부가 형성되는 것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필터가 이물질에 의해 막혀서 유체의 흐름이 둔화될 경우 필터의 앞 부분과 뒷부분 사이의 압력 차이 및 유체의 속도 에너지만으로 회전 긁개가 회전하여 필터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제거된 이물질이 도관으로부터 분기된 이물질 배출 도관으로 유동하기 때문에 모터와 같은 구성 요소가 불필요하고 이에 따라 설치 비용이 대폭 감소된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세정 기능을 구비한 도관용 필터 어셈블리{Pipe Filter Assembly Comprising Cleaning Function}
본 발명은 세정 기능을 구비한 도관용 필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관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 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와 이 필터의 세정 기능을 포함하는 도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유체가 유동하는 도관 내에는 일반적으로 펌프나 압축기 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유체 내에 이물질이 포함되는 경우 내부의 주요 구성요소에 충돌하거나 내부 공간에 적체되어 펌프나 압축기의 고장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통상 도관 어셈블리 내에 여과용 필터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도관용 필터가 이물질에 의해 점차 막히게 되는 경우 유체의 원활한 유동이 어려워지므로 소정의 사용 기간 경과 후 교체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터의 교체 작업시 유체 이송을 위해 펌프나 압축기 등의 작동이 중지되어야 하므로 생산성 저하의 큰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도 자체 세정 기능을 갖춘 필터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자체 세정 기능을 갖춘 필터의 경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제거용 긁개를 통해 필터를 제거하는 유형을 가지게 되므로, 설치 비용이 과다할 뿐만 아니라 모터의 회전/정지를 판단하기 위한 전기적 제어부가 포함되므로 장치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필터를 구비한 도관 어셈블리의 경우, 제거된 이물질이 별도로 분리되지 않고 그대로 메인 관로를 통해 배출되므로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을 때까지 유체를 폐기시킬 수밖에 없으므로 이로 인한 낭비요소가 있을 수밖에 없었다.
선행문헌 1 :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64635호(2011.09.06)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체의 압력 변화와 속도 에너지만으로 자체 세정을 위한 작동이 이루어지므로 설치 비용이 대폭 감소되는 세정 기능을 구비한 도관용 필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거된 이물질을 별도의 라인으로 배출할 수 있어 펌프 등을 정지시키지 않더라도 연속 운전이 가능하므로 생산성이 저하하지 않고 유체의 낭비가 없는 세정 기능을 구비한 도관용 필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세정 기능을 구비한 도관용 필터 어셈블리는,
도관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중앙에 결합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함몰부의 외측에 제1 유동공이 형성되는 회전 규제부;
유체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회전 규제부의 앞쪽에 설치되며 도관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단부에는 필터가 설치되는 필터 유닛; 및,
유체의 유동에 의해 상기 필터 유닛에 대하여 도관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결합 함몰부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며, 상기 필터를 세정할 수 있는 세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 함몰부의 내면에는 둘레방향으로 복수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세정 유닛에는 상기 걸림홈에 결합 가능하도록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의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정 유닛은,
복수의 상기 걸림돌기가 외측면에 형성되는 결합편;
상기 결합편에 고정되며 유체 유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임펠러;
상기 회전 임펠러에 고정되는 구동축; 및,
유체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구동축의 선단에 고정되며 상기 필터의 배면에 대향되게 근접 배치되는 회전 긁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 긁개는,
상기 구동축의 선단에 설치되는 보스부; 및,
상기 보스부의 외주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균일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회전 날개를 포함하며,
유체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회전 날개의 후단에는 상기 필터와 나란하게 받침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 함몰부의 내주면과 상기 결합 함몰부에 결합하는 결합편의 외주면은 원추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관 내의 상기 회전 규제부의 아래쪽에서 상기 도관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며 중앙에 회전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 안내홈의 외측에 제2 유동공이 형성되는 회전 지지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회전 안내홈에는 회전편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편과 결합편 사이는 상기 결합 함몰부를 관통하는 인장 스프링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 유닛은,
도관의 내면에 대응하는 외측면 형상을 가지는 필터 본체; 및,
상기 필터 본체의 단부에 설치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관의 내면에는 필터 본체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가 형성되고,
유체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스토퍼의 뒤쪽 도관에는 이물질 배출 도관이 연결되며,
상기 필터 본체의 측면에는 상기 필터 본체가 스토퍼에 걸릴 때 상기 이물질 배출 도관과 대향되는 배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필터가 이물질에 의해 막혀서 유체의 흐름이 둔화될 경우 필터의 상부와 하부 사이의 압력 차이 및 유체의 속도 에너지만으로 회전 긁개가 회전하여 필터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므로 모터와 같은 구성 요소가 불필요하고 이에 따라 설치 비용이 대폭 감소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관과는 별도의 이물질 배출 라인을 통해 이물질을 배출할 수 있어 펌프 등을 정지시키지 않은 상태로 연속 운전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생산성이 저하하지 않고 도관에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아 유체 오염으로 인한 낭비가 없다는 이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 규제부에 형성된 결합 함몰부의 내주면과, 이에 결합하는 결합편의 외주면이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세정 유닛의 부상시 상호 용이한 분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장 스프링에 의해 결합편이 결합 함몰부를 향해 복원되므로 필터 유닛과 세정 유닛의 자중과 더불어서 결합편이 회전 규제부의 결합 함몰부의 내면에 한결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정상 유동시 본 발명에 따른 세정 기능을 구비한 도관용 필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도관 시스템을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이다.
도 2는 필터 세정시 본 발명에 따른 세정 기능을 구비한 도관용 필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도관 시스템을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정 기능을 구비한 도관용 필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정 기능을 구비한 도관용 필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상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정 기능을 구비한 도관용 필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정상 유동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정 기능을 구비한 도관용 필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도관 시스템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필터 세정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정 기능을 구비한 도관용 필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도관 시스템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정상 유동시 본 발명에 따른 세정 기능을 구비한 도관용 필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도관 시스템을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이고, 도 2는 필터 세정시 본 발명에 따른 세정 기능을 구비한 도관용 필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도관 시스템을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정 기능을 구비한 도관용 필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정 기능을 구비한 도관용 필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상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정 기능을 구비한 도관용 필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저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정상 유동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정 기능을 구비한 도관용 필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도관 시스템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필터 세정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정 기능을 구비한 도관용 필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도관 시스템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정 기능을 구비한 도관용 필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도관 시스템(1000)은, 상하로 연장되는 도관(100), 상기 도관(100)에 고정 설치되며 중앙에 결합 함몰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함몰부(210)의 외측에 제1 유동공(220)이 형성되는 회전 규제부(200), 상기 회전 규제부(200)의 위쪽에 설치되며 도관(100)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부에는 필터(310)가 설치되는 필터 유닛(300) 및, 유체의 유동에 의해 상기 필터 유닛(300)에 대하여 도관(100)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필터(310)의 하면에 근접되며, 상기 결합 함몰부(210)에 회전이 차단되도록 결합 가능하고 상기 결합 함몰부(2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는 세정 유닛(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회전 규제부(200), 필터 유닛(300) 및 세정 유닛(400)은 본 발명의 세정기능을 구비한 도관용 필터 어셈블리(A)를 구성한다.
이에 따라,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상 유동시에는 유체가 상기 회전 규제부(200), 필터 유닛(300) 및 세정 유닛(400)을 거쳐 자연스럽게 흐르게 된다.
그러나, 상기 필터(310)에 이물질이 쌓여 유동이 둔화되는 경우, 도관(100)에서 필터(310) 하부의 압력(P2)이 필터(310) 상부의 압력(P4)보다 높아지게 되어 필터 유닛(300)과 세정 유닛(400)이 회전 규제부(200)로부터 분리되면서 상승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세정 유닛(400)이 도관(100)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필터(310)의 하면에 쌓인 이물질을 긁어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필터 유닛(300)을 구성하는 필터(310)는 도관(100)의 내측면에 대응하는 외측면 형상을 가지는 중공형 필터 본체(32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 함몰부(210)의 내면에는 둘레방향으로 복수의 걸림홈(211)이 형성되고, 상기 세정 유닛(400)의 하단에는 상기 걸림홈(211)에 결합 가능하도록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의 걸림돌기(411)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411)와 걸림홈(211)의 결합시 상기 세정 유닛(400)이 상기 회전 규제부(200)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세정 유닛(400)의 구체적인 일 예로서, 복수의 상기 걸림돌기(411)가 외측면에 형성되는 결합편(410), 상기 결합편(410)에 고정되며 유체 유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임펠러(420), 상기 회전 임펠러(420)에 고정되며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동축(430) 및, 상기 구동축(430)의 상단에 고정되며 상기 필터(310)의 하면에 대향되게 근접 배치되는 회전 긁개(4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근접 배치되는 정도는 미세한 간격을 두거나 또는 미끄럼이 가능하도록 접촉하는 정도가 될 수 있다.
상기 결합편(410)과 회전 임펠러(420), 구동축(430) 및 회전 긁개(440)는 나사식으로 고정될 수도 있고 원터치식으로 끼워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구동축(430)과 필터 본체(320)에 형성된 설치공(321) 사이에는 베어링(미도시)이 개재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310)가 막히지 않아 유체가 정상 유동하는 경우 상기 걸림돌기(411)와 걸림홈(211)이 상호 결합하게 되어 상기 결합편(410)이 상기 회전 규제부(200)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이 제한되므로, 회전 임펠러(420)와 구동축(430) 및 회전 긁개(440)가 그 자리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필터(310)에 이물질이 쌓여 유동이 둔화되는 경우, 도관(100)에서 필터(310) 하부의 압력(P2)이 필터(310) 상부의 압력(P4)보다 높아지게 되면 압력차에 의해 필터 유닛(300)에 상방향 하중이 작용하게 되어 상기 필터 유닛(300)에 결합된 세정 유닛(400)이 함께 떠오르게 된다.
상기 세정 유닛(400)의 부상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411)와 걸림홈(211)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며 유체의 유동에 의해 상기 회전 임펠러(420)가 회전하고, 상기 회전 임펠러(420)에 고정된 구동축(430) 및 회전 긁개(440)가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 긁개(440)가 상기 필터(310)의 하면에 쌓인 이물질을 긁어서 제거하게 된다.
상기 회전 긁개(440)가 상기 필터(31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해야 하므로, 상기 필터 본체(320)는 상기 도관(100)의 내면에서 회전하지 않고 도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도관(100)의 내면에는 레일과 같은 가이드(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 본체(320)의 외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홈이나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결국, 상기 회전 규제부(200)에 대하여 회전세정 유닛(400)이 분리되면서 상승하게 되고, 상기 결합편(410)과 걸림돌기(411)가 서로 분리되는 것에 의해 세정 유닛(400)이 도관(100)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필터(310)의 하면에 쌓인 이물질을 긁어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결합 함몰부(210)의 내주면과, 이에 결합하는 결합편(410)의 외주면은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세정 유닛(400)의 부상시 상호 용이한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도관(100)의 내면에는 필터 본체(320)의 상방향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120)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120)의 아래쪽에는 상기 도관(100)으로부터 분기되는 이물질 배출 도관(600)이 형성되며, 상기 필터 본체(320)의 측면에는 상기 필터 본체(320)의 상단이 상기 스토퍼(120)에 걸릴 때 상기 이물질 배출 도관(600)과 대향되는 배출공(32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 긁개(440)에 의해 제거된 이물질은 상기 배출공(322)을 통해 이물질 배출 도관(600)으로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회전 긁개(440)는, 상기 구동축(430)의 선단에 설치되는 보스부(441) 및, 상기 보스부(441)의 외주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균일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회전 날개(442)를 포함하며, 유체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회전 날개(442)의 후단에는 상기 필터(310)와 나란하게 받침턱부(443)가 형성되어, 분리된 이물질을 상기 받침턱부(443)에 의해 상기 이물질 배출 도관(600)으로 원활하고도 효율적으로 배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받침턱부(443)는 회전 긁개(440)의 회전시 아래쪽으로 떨어지는 이물질이 흩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물질 배출량의 상승에 도움이 된다.
이에 따라, 필터(310)로부터 제거된 이물질이 도관(100)을 통해 펌프나 압축기로 유입될 우려가 없으며 이물질 배출 도관(600)을 통해 별도로 분리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이물질 배출 도관(600)에는 역지밸브(610)가 설치되어 있어 배출된 이물질이 역류하여 도관(100)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역지밸브(610)는 통상의 파이프에 일반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공지의 구성이 채택될 수 있다.
한편, 도 5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관(100) 내의 상기 회전 규제부(200)의 아래쪽에서 상기 도관(100)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결합편(410)과 탄성적으로 연결되는 회전 지지부(500)가 추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 지지부(500)는 그 중앙에 회전 안내홈(510)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 안내홈(510)의 둘레 외측에 제2 유동공(520)이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상기 회전 안내홈(510)에는 회전편(53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편(530)과 결합편(410) 사이는 상기 결합 함몰부(210)를 관통하는 인장 스프링(540)에 의해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인장 스프링(540)에 의해 상기 결합편(410)이 상기 결합 함몰부(210)를 향해 복원되는 성질을 가지므로 필터(310)에서 이물질이 모두 제거된 후 필터 유닛(300)과 세정 유닛(400)의 자중만이 아니라 인장 스프링(54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결합편(410)이 용이하게 회전 규제부(200)의 결합 함몰부(210)의 내면에 안착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수직으로 배치된 도관(100)에 설치된 세정 기능을 구비한 도관용 필터 어셈블리(A)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인장 스프링(540)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수평으로 설치된 도관(100)에 대하여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정 기능을 구비한 도관용 필터 어셈블리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펌프(P)가 작동하여 유체가 정상 유동할 경우 즉, 필터(310)가 이물질에 의해 충분히 막혀 있지 않아 흐름에 이상이 없을 때, 필터(310) 하부의 압력(P2)과 필터(310) 상부의 압력(P4)이 동일하므로 유체는 도관(100)을 통해 정상적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 경우, 유체의 유동에 의해 상기 회전 임펠러(420)에 회전하는 힘이 전달되더라도, 상기 걸림돌기(411)와 걸림홈(211)가 서로 걸림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결합편(410)이 상기 회전 규제부(200)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이 제한되고, 결국 상기 결합편(410)에 고정되는 회전 임펠러(420)와 구동축(430) 및 회전 긁개(440) 역시 그 자리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필터(310) 상부의 압력(P4)과 이물질 배출 도관(600)의 압력(P3)이 동일하므로 역지밸브(610)에 의해 이물질 배출 도관(600)이 폐쇄되어 도관(100)을 통해서만 유체가 유동하게 되며 배출관(150)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된다.
다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체가 이물질에 의해 막혀서 흐름이 둔화될 경우, 필터(310) 하부의 압력(P2)이 필터(310) 상부의 압력(P4)보다 커지게 되고 그 압력차에 의해 필터 유닛(300)과 세정 유닛(400)이 자중을 이기고 부상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411)와 걸림홈(211)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며 유체의 유동에 의해 상기 회전 임펠러(420)와 구동축(430) 및 회전 긁개(440)가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 긁개(440)가 상기 필터(310)의 하면에 쌓인 이물질을 긁어서 제거하게 된다.
결국, 필터 본체(320)의 상부는 스토퍼(120)에 걸려서 추가적인 상승이 억제된다.
이 상태에서는 필터 본체(320)의 배출공(322)이 이물질 배출 도관(600)의 입구와 대향되는 동시에, 필터(310) 하부의 압력(P2)이 이물질 배출 도관(600)의 압력(P3)보다 크게 되어 역지밸브(610)가 개방된다.
따라서, 회전 긁개(440)에 의해 분리된 이물질은 이물질 배출 도관(600)을 통해 자연스럽게 배출되고, 유체는 메시(710)가 내장된 여과 컨테이너(700)로 유동하게 된다.
물론, 도관(100)을 통과하는 유체는 이물질이 제거된 필터(310)를 통해 원활하게 연속적으로 흐르게 된다.
상기 메시(710) 상부에서 여과된 이물질은 별도의 이물질 드레인관(720)을 통해 폐기를 위해 배출되고, 이물질이 여과된 유체는 바이패스관(730)을 통해 도관(100)으로 배출되어, 도관(100)을 유동하는 유체와 합류하게 된다.
한편, 필터(310)로부터 이물질이 모두 제거되면, 필터(310) 하부의 압력(P2)이 필터(310) 상부의 압력(P4)과 다시 동일하게 되므로 필터 유닛(300)과 세정 유닛(400)이 자중에 의해 하강하게 되고, 걸림돌기(411)와 걸림홈(211)가 다시 서로 걸림 상태를 유지하여 회전이 규제된다.
한편, 회전편(530)과 결합편(410) 사이가 인장 스프링(540)에 의해 연결되는 경우, 상기 인장 스프링(540)에 의해 상기 결합편(410)이 상기 결합 함몰부(210)를 향해 복원되므로 용이하게 상기 결합편(410)이 회전 규제부(200)의 결합 함몰부(210)의 내면에 한결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도관
200... 회전 규제부
210... 결합 함몰부
300... 필터 유닛
310... 필터
320... 필터 본체
400... 세정 유닛
410... 결합편
420... 회전 임펠러
430... 구동축
440... 회전 긁개
500... 회전 지지부
540... 인장 스프링
600... 이물질 배출 도관
1000... 세정 기능을 구비한 도관용 필터 어셈블리

Claims (8)

  1. 도관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중앙에 결합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함몰부의 외측에 제1 유동공이 형성되는 회전 규제부;
    유체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회전 규제부의 앞쪽에 설치되며 도관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단부에는 필터가 설치되는 필터 유닛; 및,
    유체의 유동에 의해 상기 필터 유닛에 대하여 도관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결합 함몰부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며, 상기 필터를 세정할 수 있는 세정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 함몰부의 내면에는 둘레방향으로 복수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세정 유닛에는 상기 걸림홈에 결합 가능하도록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의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세정 유닛은,
    복수의 상기 걸림돌기가 외측면에 형성되는 결합편;
    상기 결합편에 고정되며 유체 유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임펠러;
    상기 회전 임펠러에 고정되는 구동축; 및,
    유체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구동축의 선단에 고정되며 상기 필터의 배면에 대향되게 근접 배치되는 회전 긁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 기능을 구비한 도관용 필터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긁개는,
    상기 구동축의 선단에 설치되는 보스부; 및,
    상기 보스부의 외주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균일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회전 날개를 포함하며,
    유체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회전 날개의 후단에는 상기 필터와 나란하게 받침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 기능을 구비한 도관용 필터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함몰부의 내주면과 상기 결합 함몰부에 결합하는 결합편의 외주면은 원추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 기능을 구비한 도관용 필터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 내의 상기 회전 규제부의 아래쪽에서 상기 도관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며 중앙에 회전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 안내홈의 외측에 제2 유동공이 형성되는 회전 지지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회전 안내홈에는 회전편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편과 결합편 사이는 상기 결합 함몰부를 관통하는 인장 스프링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 기능을 구비한 도관용 필터 어셈블리.
  7. 제1항 또는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유닛은,
    도관의 내면에 대응하는 외측면 형상을 가지는 필터 본체; 및,
    상기 필터 본체의 단부에 설치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 기능을 구비한 도관용 필터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의 내면에는 필터 본체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가 형성되고,
    유체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스토퍼의 뒤쪽 도관에는 이물질 배출 도관이 연결되며,
    상기 필터 본체의 측면에는 상기 필터 본체가 스토퍼에 걸릴 때 상기 이물질 배출 도관과 대향되는 배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 기능을 구비한 도관용 필터 어셈블리.
KR1020180058244A 2018-05-23 2018-05-23 세정 기능을 구비한 도관용 필터 어셈블리 KR101919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244A KR101919732B1 (ko) 2018-05-23 2018-05-23 세정 기능을 구비한 도관용 필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244A KR101919732B1 (ko) 2018-05-23 2018-05-23 세정 기능을 구비한 도관용 필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9732B1 true KR101919732B1 (ko) 2018-11-16

Family

ID=64565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8244A KR101919732B1 (ko) 2018-05-23 2018-05-23 세정 기능을 구비한 도관용 필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97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69831A (zh) * 2021-05-11 2021-07-06 杭州力环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型废水检测用颗粒物沉淀分离设备
CN113970230A (zh) * 2021-09-08 2022-01-25 廖茂群 一种新能源汽车配件制造降温装置
CN115193119A (zh) * 2022-05-20 2022-10-18 江阴中弘建设有限公司 市政生活污水环保处理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3146B1 (ko) 2014-02-27 2015-10-01 고려엠지주식회사 무동력 자동세척 필터링장치
KR101791184B1 (ko) * 2016-05-09 2017-11-20 고려엠지주식회사 무동력 자동세척 필터링 장치의 세척수단 어셈블리, 그 조립방법, 그를 이용한 필터 자동세척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3146B1 (ko) 2014-02-27 2015-10-01 고려엠지주식회사 무동력 자동세척 필터링장치
KR101791184B1 (ko) * 2016-05-09 2017-11-20 고려엠지주식회사 무동력 자동세척 필터링 장치의 세척수단 어셈블리, 그 조립방법, 그를 이용한 필터 자동세척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69831A (zh) * 2021-05-11 2021-07-06 杭州力环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型废水检测用颗粒物沉淀分离设备
CN113970230A (zh) * 2021-09-08 2022-01-25 廖茂群 一种新能源汽车配件制造降温装置
CN115193119A (zh) * 2022-05-20 2022-10-18 江阴中弘建设有限公司 市政生活污水环保处理系统
CN115193119B (zh) * 2022-05-20 2023-09-19 江阴中弘建设有限公司 市政生活污水环保处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9732B1 (ko) 세정 기능을 구비한 도관용 필터 어셈블리
CN107530601B (zh) 过滤单元
JP6140128B2 (ja) ストレーナ
CN101014397A (zh) 过滤器清洁头
WO2006027572B1 (en) A fluid filter
CN106175592B (zh) 空气过滤器
JPS6112494B2 (ko)
JP2019528156A (ja) 船のエンジンなどの舶用機械のための油濾過用濾過システム
CN109562306B (zh) 反冲洗过滤器
JP2018522716A (ja) 構造支持グリッドを含むフィルターパネル及び該フィルターパネルを含むドラムフィルター
SE1250192A1 (sv) Filterhus och luftfilterenhet för en förbränningsmotor
CN117859026A (zh) 具有无动力清洗功能的滤网
KR100328545B1 (ko) 액체 여과용 필터의 연속 세척 장치
JP4183591B2 (ja) 夾雑物除去装置
KR20200064055A (ko) 쿨런트처리장치
JPH0975615A (ja) ストレーナ装置
KR100792590B1 (ko) 여과시스템
JPH07508218A (ja) 可逆流フィルター
JPS61263613A (ja) 自動清掃式濾過装置
CN106168146B (zh) 一种机油滤芯
CN117500574A (zh) 自清洁过滤装置
KR100565696B1 (ko) 공기조화기의 냉매 여과장치
KR102075112B1 (ko) 원심 분리와 캔들형 막여과를 융합한 자동 역세필터 시스템
JP3304385B2 (ja) 濾過器
GB2589928A (en) Filter assembly & pump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