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9492B1 - Distribution system based on supplier using goods keeping device and distribution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istribution system based on supplier using goods keeping device and distribution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9492B1
KR101919492B1 KR1020170157375A KR20170157375A KR101919492B1 KR 101919492 B1 KR101919492 B1 KR 101919492B1 KR 1020170157375 A KR1020170157375 A KR 1020170157375A KR 20170157375 A KR20170157375 A KR 20170157375A KR 101919492 B1 KR101919492 B1 KR 101919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ods
customer
storage device
supplier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73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동호
Original Assignee
최동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동호 filed Critical 최동호
Priority to KR1020170157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949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4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50/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tribution system using a distribution point and a distribution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ribution system includes: a management server which is connected to a supplier terminal operated by a supplier supplying goods and a customer terminal used by a customer to order goods supplied by the suppli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a product storage device which is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is stored before the customer receives ordered goods and has a plurality of unit storage boxes. The management server includes: a storage device information database for storing data related to the goods storage device; and a control part for executing distribution management program while exchanging data with the storage device database. The information on the goods storage device includes data on the unit storage boxes alloca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liers.

Description

상품 보관 장치를 활용한 공급자 기반 물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 {DISTRIBUTION SYSTEM BASED ON SUPPLIER USING GOODS KEEPING DEVICE AND DISTRIBUTION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lier-based logistics system using a product storage device and a logistics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BACKGROUND ART [0002]

본 발명은 물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 오피스텔, 사무소 건물 및 지하철역 등 주로 공공의 이용 공간에 설치되는 물류 거점 상품 보관 장치를 활용하는 물류 시스템 및 이를 이용 물류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gistics system and a logistics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gistics system utilizing a logistics storage device installed in a public space such as an apartment, an office building, an office building,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의 기술분야와 관련된 선행특허로서 공개특허 제10-2005-010912호에는 물류 거점을 이용한 상품의 배송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선행특허문헌에 기재된 물류 거점을 이용한 상품의 배송방법은, 구매자가 판매자가 운용하는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여 로그인하고, 원하는 상품을 선택하여 주문하는 상품 결정 단계와, 구매자가 구매한 상품의 배송을 구매자의 거주지로 할 것인지, 각 지역별로 구축된 물류거점으로 배송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배송방법결정단계와, 상품결정단계에서 결정된 상품의 금액을 결제하되, 배송방법결정단계에서 물류거점으로 배송하도록 선택한 경우에는 상품의 금액 중 일부를 할인하여 결제하는 결제단계와, 판매자가 배송업체에 구매자가 구매한 상품의 배송정보를 전송하는 배송정보전송단계; 및 판매자가 배송업체에 구매자가 구매한 상품의 배송을 지시하는 배송지시단계를 포함한다.As a prior art related to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05-010912 describes a method of delivering a product using a distribution point. The method of delivering a product using the distribution base described in the above patent document includes a product decision step of accessing an Internet site operated by a seller to log in and selecting and ordering a desired product, A shipping method determining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ship the product to the buyer's residence or to the distribution point established for each region, and to pay the amount of the product determined in the product decision step, A payment step of paying a portion of the amount of the commodity, and a delivery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the delivery information of the commodity purchased by the purchaser to the delivery company by the seller; And a shipping stage at which the seller directs the shipping company to deliver the goods the buyer has purchased.

이러한 종래의 배송방법은 판매자와 공급자의 구매건 마다 개별적으로 배송이 진행되고, 지역별로 물류 거점을 구축해야 하므로 물류 비용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Such a conventional delivery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logistics costs are large because delivery is performed individually for each purchase item of the seller and the supplier, and a logistics base is established for each region.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5-0109212 "물류 거점을 이용한 상품의 배송 방법" (2005.11.17.)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109212 "Method of delivering goods using a logistics base" (2005.11.17.)

본 발명의 목적은 물류 거점을 활용하는 공급자 기반 물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pplier-based logistics system utilizing a logistics base and a logistics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공급자가 물류 거점을 공유하도록 하는 공급자 기반 물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pplier-based logistics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suppliers share a logistics base and a logistics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품을 공급하는 공급자에 의해 운영되는 공급자 단말기 및 공급자가 공급하는 상품을 주문하기 위해 고객이 사용하는 고객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관리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고객이 주문한 상품이 고객에게 수령되기 전 보관되며, 복수 개의 단위 보관함을 구비하는 상품 보관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상품 보관 장치에 대한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되는 보관 장치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보관 장치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를 주고받으면서 물류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품 보관 장치에 대한 정보는 복수의 공급자 별로 할당된 상기 단위 보관함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품 보관 장치를 활용한 공급자 기반 물류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product to a customer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with a customer terminal used for ordering a product supplied by a supplier terminal and a supplier operated by a supplier supplying the product, A management server to be connected; And a goods storage device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storing a product ordered by the customer before the customer is received and having a plurality of unit storage boxes, And a control unit for executing a logistics management program while exchanging data with the storage device database, wherein the information on the goods storage device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information storage unit A supplier-based logistics system utilizing a merchandise storage device containing data is provided.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품을 공급하는 공급자에 의해 운영되는 공급자 단말기 및 공급자가 공급하는 상품을 주문하기 위해 고객이 사용하는 고객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관리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고객이 주문한 상품이 고객에게 수령되기 전 보관되며, 복수 개의 단위 보관함을 구비하는 상품 보관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상품 보관 장치에 대한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되는 보관 장치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보관 장치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를 주고받으면서 물류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품 보관 장치에 대한 정보는 복수의 공급자 별로 할당된 상기 단위 보관함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품 보관 장치를 활용한 공급자 기반 물류 시스템을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품 주문을 접수하는 상품 주문 접수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상품 주문 접수 단계를 통해 접수된 상품 주문 내역에 근거하여 상기 공급자 단말기로 상품 배송 지시 메시지를 전송하는 배송 지시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배송 지시 단계에서 상기 보관 장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공급자 별로 할당된 단위 보관함에 대한 정보가 상기 공급자 단말기로 함께 전송되는 물류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oviding a merchandise to a custom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with a customer terminal used by a customer to order a product supplied by a supplier terminal and a supplier operated by a supplier, A management server to be connected; And a goods storage device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storing a product ordered by the customer before the customer is received and having a plurality of unit storage boxes, And a control unit for executing a logistics management program while exchanging data with the storage device database, wherein the information on the goods storage device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information storage unit A method of managing a logistics using a supplier-based logistics system utilizing a product storage apparatus including data,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product order from the management server; And a delivery instruction step in which the management server transmits a product delivery instruction message to the supplier terminal based on the product order details received through the product order accepting step, And information on a unit storage box allocated to each supplier of the plurality of units is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supplier terminal.

본 발명에 의하면 앞서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품을 공급하는 공급자에 의해 운영되는 공급자 단말기 및 공급자가 공급하는 상품을 주문하기 위해 고객이 사용하는 고객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관리 서버와, 상기 관리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고객이 주문한 상품이 고객에게 수령되기 전 보관되며, 복수 개의 단위 보관함을 구비하는 상품 보관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복수의 공급자 별로 할당된 상기 단위 보관함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보관 장치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므로, 복수의 공급자에 대한 개별적인 관리에 적합하여, 공급자 기반의 물류 관리가 가능하고 물류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되므로, 기존의 스마트 락커, 스마트 택배 보관함 및 스마트 자동판매기에 비하여 효율적인 상품 배송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achieved. More specifically, a management server connected to a customer terminal used by a custom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for ordering a product supplied by a supplier terminal and a supplier operated by a supplier supplying the product, and a management server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a product storage device that stores a plurality of unit storage boxes before the product ordered by the customer is received by the customer, wherein the management server comprises storage device information storage means for storing data on the unit storage devices allocat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liers, Since the database is provided, it is suitable for individual management for a plurality of suppliers, and the supplier-based logistics management can be performed and the logistics cost can be reduced. Therefore, efficient delivery of goods can be achieved compared to the existing smart lockers, smart courier storage boxes and smart vending machines. It becomes possible.

또한, 상기 공급자에게 상품의 종류와 크기 및 상기 단위 보관함을 크기에 맞는 패키징 수단이 안내되므로, 공급자가 배송 상품에 적합한 패키징 수단을 이용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배송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품 손상, 파손 및 변형의 문제가 최소화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ackaging means according to the type and size of the commodity and the size of the unit box are guided to the supplier, the supplier can use the packaging means suitable for the commodity and accordingly, the commodity damage, The problem of deformation can be minimiz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자 기반 물류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블록도로서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자 기반 물류 시스템의 적용 예를 도식화한 것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급자 기반 물류 시스템에서 관리 서버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공급자 기반 물류 시스템에서 상품 보관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상품 보관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공급자 기반 물류 시스템을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upplier-based logistic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llustrates an application example of a supplier-based logistic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as a block diagram in FIG.
3 is a block diagram specif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management server in the supplier-based logistics system shown in FIG.
FIG.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oduct storage apparatus in the supplier-based distribution system shown in FIG. 1. FIG.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rticle storage apparatus shown in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logistics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upplier-based logistics system shown in FIG.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자 기반 물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블록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자 기반 물류 시스템(100)은 관리 서버(110)와, 관리 서버(11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품을 공급하는 공급자가 사용하는 공급자 단말기(120)와, 관리 서버(11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공급자가 공급하는 상품을 구매하는 고객이 사용하는 고객 단말기(130)와, 관리 서버(11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공급자로부터 고객이 구매한 상품이 배송 중 보관되는 상품 보관 장치(140)와, 관리 서버(11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품 보관 장치(140)에 보관된 상품을 고객에게 배송하는 배송자가 사용하는 배송자 단말기(150)를 포함한다.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upplier-based logistic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a supplier-based logistics system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nagement server 110, a provider (not shown)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110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customer terminal 130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110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used by a customer purchasing a product supplied by the supplier, and a management server 110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110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hich is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110 via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is stored in the product storage device 140, to a customer, And a sender terminal (150).

도 2에는 도 1에 블록도로서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자 기반 물류 시스템의 적용 예가 도식화되어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자 기반 물류 시스템은 관리 서버(110)와, 공급자 단말기, 고객 단말기 및 배송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190)와, 상품 보관 장치(140)와, 상품 보관 장치(140)와 함께 설치되어서 광고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180)를 포함할 수 있다.FIG. 2 is a schematic representation of an application of a supplier-based logistic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as a block diagram in FIG. 2, the supplier-based logistic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nagement server 110, a user terminal 190 including a supplier terminal, a customer terminal, and a distributor terminal, And a display device 180 installed together with the goods storage device 140 and capable of outputting an advertisement screen or the like.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110)는 공급자 단말기(120), 고객 단말기(130), 상품 보관 장치(140) 및 배송자 단말기(150) 각각과 유무선 통신망으로 통해 연결되어서, 전체적인 물류를 관리한다. 도 3에는 관리 서버(110)의 구성이 블록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110)는 제어부(111)와, 판매 상품에 대한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되고 제어부(111)와 연결되어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상품 공급자를 포함하는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112)와, 고객에 대한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되고 제어부(111)와 연결되어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113)와, 상품 보관 장치(도 1의 140)에 대한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되고 제어부(111)와 연결되어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보관 장치 정보 데이터베이스(115)와, 배송자에 대한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되고 제어부(111)와 연결되어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배송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16)와, 제어부(111)에 의해 제어되는 통신부(117)를 구비한다.1, the management server 110 is connected to each of the supplier terminal 120, the customer terminal 130, the product storage device 140, and the delivery terminal 150 via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3, the configuration of the management server 110 is shown as a block diagram. 3, the management server 110 includes a controller 111, a merchandise information database 112 including data related to information on sales merchandise and a merchandise provider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11 for exchanging data A customer information database 113 in which data related to information on the customer is stored and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11 to exchange data, and data related to the information on the product storage device 140 in FIG. 1 are stored A storage device information database 115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11 for exchanging data and a database 116 for storing data related to information on the distributor and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ler 111 to exchange data, And a communication unit 117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11. [

제어부(111)는 상기 공급자를 포함하는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112),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113), 보관 장치 정보 데이터베이스(114), 배송 정보 데이터베이스(115) 및 배송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16)와 데이터를 주고받고, 통신부(117)를 통해 외부(공급자 단말기(도 1의 120), 고객 단말기(도 1의 130), 상품 보관 장치(도 1의 140) 및 배송자 단말기(도 1의 150))와 데이터를 주고받으면서 물류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하드웨어적으로 제어부(111)는 메모리에 저장된 물류 관리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중앙처리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11)의 기능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ntrol unit 111 provides data with the goods information database 112 including the suppliers, the customer information database 113, the storage device information database 114, the shipping information database 115 and the distributor information database 116 1), a customer terminal (130 in FIG. 1), a product storage device (140 in FIG. 1) and a distributor terminal (150 in FIG. 1) and data And executes the logistics management program. The control unit 111 may be configured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in which the logistics management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is executed. The function of the control unit 111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제어부(111)는 상품 공급자를 포함하는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된 판매 상품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117)를 통해 고객 단말기(도 1의 130)로 전송하여 고객에게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공급자 단말기(도 1의 120)로부터 통신부(117)를 통해 전송된 상품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상품 공급자를 포함하는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한다.The control unit 111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sales product stored in the product information database 112 including the goods supplier to the customer terminal 13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7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to the customer And stores the data on the good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upplier terminal (120 in FIG. 1)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7 in the goods information database 112 including the goods supplier.

또한, 제어부(111)는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된 고객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117)를 통해 공급자 단말기(도 1의 120), 상품 보관 장치(도 1의 140) 및 배송자 단말기(도 1의 150)로 전송하여 고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공급자 단말기(도 1의 120)로부터 통신부(117)를 통해 전송된 고객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한다.The control unit 111 also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customer stored in the customer information database 113 to the supplier terminal 120 of FIG. 1, the product storage apparatus 140 of FIG. 1, 1 150)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customer and stores data on the custom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upplier terminal (120 in FIG. 1)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7 in the customer information database 113.

그리고, 제어부(111)는 보관 장치 데이터베이스(114)에 저장된 상품 보관 장치(도 1의 140)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117)를 통해 공급자 단말기(도 1의 120), 고객 단말기(도 1의 130) 및 배송자 단말기(도 1의 150)로 전송하고, 보관 장치 정보에 변경 사항이 있는 경우 이를 보관 장치 정보 데이터베이스(114)에 저장한다.1) 120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database 114 via the communication unit 117. The control unit 111 stores the information on the merchandise storage device 140 (150 in FIG. 1), and if there is a change in the storage device information, stores it in the storage device information database 114.

또한, 제어부(111)는 배송 정보 데이터베이스(115)에 저장된 배송 정보를 통신부(117)를 통해 공급자 단말기(도 1의 120), 고객 단말기(도 1의 130), 상품 보관 장치(도 1의 140) 및 배송자 단말기(도 1의 150)로 전송한다.The control unit 111 transmits the delivery information stored in the delivery information database 115 to the supplier terminal 120 of FIG. 1, the customer terminal 130 of FIG. 1, the product storage apparatus 140 of FIG. 1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7, ) And the delivery terminal (150 in Fig. 1).

그리고, 제어부(111)는 배송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16)에 저장된 배송자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부(117)를 통해 배송자와 데이터를 주고받는다.The control unit 111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and from the sender via the communication unit 117 using the sender information stored in the sender information database 116. [

또한, 제어부(111)는 통신부(117)를 통해 공급자 단말기(도 1의 120), 고객 단말기(도 1의 130), 상품 보관 장치(도 1의 140) 및 배송자 단말기(도 1의 150)와 물류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주고받는다.1) 130, a product storage device (140 in FIG. 1), and a delivery terminal (150 in FIG. 1) via the communication unit 117, And data necessary for logistics management.

상품 공급자를 포함하는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112)는 하드웨어적으로 메모리장치로 구성되며, 상품 공급자를 포함하는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112)에는 상품 공급자 및 판매 상품에 대한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된다. 상품 공급자 및 판매 상품에 대한 정보는 공급자 단말기(도 1의 120)를 통해 공급자로부터 제공되며, 고객 단말기(130)로 전송되어서 상품 검색 및 선택에 이용된다. 상품 공급자를 포함하는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112)에서의 데이터 입출력은 제어부(111)에 의해 제어된다.The product information database 112 including the product supplier is configured by a memory device in a hardware manner and the product information database 112 including the product supplier stores data related to information on the product supplier and the sales product. The information on the merchandise supplier and the sale merchandise is provided from the supplier through the supplier terminal (120 in FIG. 1), transmitted to the customer terminal 130, and used for product search and selection. The data input / output in the goods information database 112 including the goods supplier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11. [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113)는 하드웨어적으로 메모리장치로 구성되며,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113)에는 고객의 정보(이름, 주소, 연락처 등)와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된다. 고객 정보는 고객 단말기(도 1의 130)를 통해 고객으로부터 제공되며, 공급자 단말기(도 1의 120), 상품 보관 장치(도 1의 140) 및 배송자 단말기(도 1의 150)로 전송되어서 배송에 활용된다.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113)에서의 데이터 입출력은 제어부(111)에 의해 제어된다.The customer information database 113 is composed of a memory device in hardware, and the customer information database 113 stores data related to the customer's information (name, address, contact, etc.). The customer information is provided from the customer through the customer terminal (130 in FIG. 1) and transmitted to the supplier terminal (120 in FIG. 1), the product storage device (140 in FIG. 1) . The data input / output in the customer information database 113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11. [

보관 장치 데이터베이스(114)는 하드웨어적으로 메모리장치로 구성되며, 보관 장치 데이터베이스(114)에는 상품 보관 장치(도 1의140)의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된다. 보관 장치 데이터베이스(114)에 저장되는 상품 보관 장치에 대한 정보는 상품 보관 장치(도 1의 140)의 위치, 공급자 별로 할당된 보관함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상품 보관 장치(도 1의 140)에 대한 설명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보관 장치 데이터베이스(114)에서의 데이터 입출력은 제어부(111)에 의해 제어된다.The storage device database 114 is composed of a memory device in hardware, and the storage device database 114 stores data related to the information of the goods storage device (140 in FIG. 1). The information on the product storage device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database 114 includes the location of the product storage device (140 in FIG. 1) and the storage data allocated to each vendo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FIG. The data input / output in the storage device database 114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11. [

배송 정보 데이터베이스(115)는 하드웨어적으로 메모리장치로 구성되며, 배송 정보 데이터베이스(115)에는 상품의 배송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된다. 배송 정보 데이터베이스(115)에 저장되는 배송 정보는 상품의 배송 개시 여부, 배송 중인 상품의 위치, 수령 여부 등을 포함한다. 배송 정보는 공급자 단말기(도 1의 120), 고객 단말기(도 1의 130), 상품 보관 장치(도 1의 140) 및 배송자 단말기(도 1의 150)를 통해 제공되며, 고객 단말기(도 1의 130)와 배송자 단말기(도 1의 150)로 전송되어서 상품의 배송 상황 알림에 활용된다. 배송 정보 데이터베이스(115)에서의 데이터 입출력은 제어부(111)에 의해 제어된다.The delivery information database 115 is composed of a memory device in hardware, and the delivery information database 115 stores data related to the delivery information of the goods. The delivery information stored in the delivery information database 115 includes whether or not the commodity is delivered, the position of the commodity being delivered, and whether the commodity is received or not. The delivery information is provided through a supplier terminal (120 in FIG. 1), a customer terminal (130 in FIG. 1), a product storage device (140 in FIG. 1) 130) and the delivery terminal (150 in FIG. 1), and is used to notify the delivery status of the product. The data input / output in the delivery information database 115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11. [

배송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16)는 하드웨어적으로 메모리장치로 구성되며, 배송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16)에는 상품 보관 장치(도 1의 140)에 보관된 상품을 고객에게 배송하는 배송자에 대한 정보(이름, 연락처 등)가 저장된다. 배송자 정보는 배송자 단말기(도 1의 150)를 통해 제공되며, 배송자에게 상품의 배송 상황 알림에 활용된다. 배송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16)에서의 데이터 입출력은 제어부(111)에 의해 제어된다.The distributor information database 116 is composed of a memory device in hardware and stores information about the sender who delivers the goods stored in the goods storage device 140 , Contacts, etc.) are stored. The dispatcher information is provided through the dispatcher terminal (150 in FIG. 1) and used to notify the dispatcher of the delivery status of the product. The data input / output in the distributor information database 116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11. [

통신부(117)는 제어부(111)에 의해 제어되어서 공급자 단말기(도 1의 120), 고객 단말기(도 1의 130), 상품 보관 장치(도 1의 140) 및 배송자 단말기(도 1의 150)와의 통신에 사용된다.The communication unit 117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11 and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11 to control the supplier terminal 120, the customer terminal 130, the goods storage apparatus 140, And the like.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공급자 단말기(120)는 판매 상품을 공급하는 공급자가 운영하는 단말기로서, 관리 서버(11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다. 공급자 단말기(120)는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피씨(PC), 스마트폰 등 관리 서버(110)와 통신할 수 있는 모든 정보 통신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자는 판매 상품에 대한 정보를 공급자 단말기(120)를 통해 관리 서버(110)에 전송하고, 관리 서버(110)로부터 배송 정보 및 상품 보관 장치(140)에 대한 정보를 공급자 단말기(120)를 통해 제공받는다. 도 1에서는 공급자 단말기(120)가 하나만 도시되어 있으나, 복수의 공급자 단말기가 관리 서버(110)와 접속되어서 사용된다.Referring again to FIG. 1, a supplier terminal 120 is a terminal operated by a supplier that supplies sales goods, and is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110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provider terminal 120 may include any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management server 110, such as a desktop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a tablet PC (PC), a smart phone, and the like. The supplier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sales product to the management server 110 through the supplier terminal 120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on the delivery information and the product storage device 140 from the management server 110 to the supplier terminal 120 Receive. Although only one provider terminal 120 is shown in FIG. 1, a plurality of provider terminals are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110 and used.

고객 단말기(130)는 상품을 구매하는 고객이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관리 서버(11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다. 고객 단말기(130)는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피씨, 스마트폰 등 관리 서버(110)와 통신할 수 있는 모든 정보 통신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고객은 고객 단말기(130)를 통해 관리 서버(110)에 접속하여 상품을 선택하여 주문하고, 관리 서버(110)로부터 배송 정보 및 상품 수령을 위한 정보를 고객 단말기(130)를 통해 제공받는다. 도 1에서는 고객 단말기(130)가 하나만 도시되어 있으나, 복수의 고객 단말기가 관리 서버(11)에 접속되어서 사용된다.The customer terminal 130 is a terminal used by a customer who purchases goods, and is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110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customer terminal 130 may include all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management server 110, such as a desktop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a tablet PC, a smart phone, and the like. The customer accesses the management server 110 through the customer terminal 130 to select and order goods and receives information on delivery information and goods receipt from the management server 110 through the customer terminal 130. Although only one customer terminal 130 is shown in FIG. 1, a plurality of customer terminals are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11 and used.

상품 보관 장치(140)는 공급자가 관리 서버(110)를 통해 고객으로부터 주문받은 상품을 보관하는 장치로서, 고객이 거주하거나 근무하는 아파트, 오피스텔사무실, 학교 등의 복수 개의 건물들(B1, B2, B3) 각각에 설치되어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는 달리, 지하철역 등 주요 교통 거점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품 보관 장치(140)는 공급자에 의해 고객에게 정기 배송되는 상품이 있는 건물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품 보관 장치(140)에는 고객에게 비정기적으로 배송되는 상품도 보관될 수 있다. 도 4에는 상품 보관 장치(140)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품 보관 장치(140)는 복수 개의 단위 보관함들(141)을 구비한다. 복수 개의 단위 보관함들(141)은 크기 별로 분류되어서 배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열에 따라 다른 크기를 갖는 단위 보관함들(141)이 정렬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위 보관함들(141)은 공급자들과의 계약에 따라 사전에 할당되어서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하는데, 이러한 단위 보관함들(141)에 대한 공급자 할당 사항은 관리 서버(도 1의 110)의 보관 장치 정보 데이터베이스(도 2의 114)에 저장된다. 단위 보관함들(141)에 대한 공급자 할당 사항은 변경이 가능하다. 상품 보관 장치(140)는 복수 개의 단위 보관함들(141) 각각에 설치되는 개폐 도어를 구비하며, 개폐 도어를 열기 위한 비밀번호는 보관 장치 정보 데이터베이스(도 2의 114)에 저장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품 보관 장치(140)는 관리 서버(도 1의 110)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를 더 구비한다. 상품이 공급자에 의해 단위 보관함(141)에 들어가서 보관되거나, 고객 또는 배송자에 의해 단위 보관함(141)으로부터 나갈 때, 그 내역이 통신부를 통해 관리 서버(도 1의 110)로 전송되고, 배송 정보 데이터베이스(도 2의 115)에 저장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품 보관 장치(140)는 냉장/냉동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신선식품의 보관이 가능하도록 냉각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품과 단위 보관함들(141) 각각의 크기 및 용도에 적합한 상품 패키징 수단이 공급자에게 안내될 수 있다. 이러한 상품 패키징 수단 안내는 상품 보관 장치(14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출력 장치에 의해 수행되거나, 관리 서버(110)가 공급자 단말기(120)를 통해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품 보관 장치(140)는 냉장/냉동 상태가 유지되어야 하는 신선 식품 등의 보관을 위해 콜드체인 배송 거점 디바이스로서 활용된다.The product storage device 140 is a device for storing goods ordered by the supplier through the management server 110 by the supplier and includes a plurality of buildings B1, B2, and B3 such as apartments, office buildings, B3). Alternatively, it may be located at a major traffic hub such as a subway station.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a product storage device 140 may be provided with a product storage device 140 for storing products that are periodically delivered to a customer Can also be stored. Fig. 4 schematically shows the structure of the product storage device 140. As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4, the commodity storage apparatus 140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storage boxes 141. The plurality of unit storage boxes 141 are classified and arranged according to size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nit storage boxes 141 having different sizes are arranged according to the columns. In this embodiment, the unit storage boxes 141 are pre-allocated and used according to the contract with the suppliers. The supplier allocation items for the unit storage boxes 141 are stored in the management server (110 of FIG. 1) And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information database (114 in FIG. 2). The supplier assignments for the unit storages 141 can be changed. The product storage device 140 has an opening / closing door install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storage boxes 141, and a password for opening the opening / closing door is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information database (114 in FIG. 2). Although not shown, the product storage device 140 further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on with the management server 110 (FIG. 1). When the goods are stored in the unit storage box 141 by the supplier or stored in the unit storage box 141 by the customer or the sender, the details are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110 in FIG. 1) via the communication unit, And stored in the database (115 in FIG. 2). Although not shown, the product storage unit 140 may further include a cooling unit to store fresh foods that need to be kept in a refrigerated / frozen state. Although not shown, a product packaging means suitable for the size and use of each of the merchandise and unit storages 141 may be communicated to the supplier. Such product packaging means guidance may be performed by an output device such as a display device provided in the product storage device 140 or by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packaging device through the provider terminal 120 by the management server 110. The product storage device 140 is used as a cold chain delivery point device for storing fresh food or the like in which the refrigerated / frozen state should be maintained.

도 5에는 도 4에 도시된 상품 보관 장치의 다른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품 보관 장치(240)는 복수 개의 단위 보관함들(241)과, 단위 보관함(241)의 개폐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242)와, 복수 개의 상품 배출구들(243)을 구비한다. 복수 개의 단위 보관함들(241)은 보관되는 상품의 크기에 따라 적재 공간이 가변되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장치(242)는 단위 보관함(241)의 개폐를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제어부로 구성된다. 복수 개의 상품 배출구들(243)은 단위 보관함(241)에 보관된 상품이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하부에 폭방향을 따라서 일렬로 배치되어서, 여러 사람이 병렬로 제품을 수령할 수 있게 된다.FIG. 5 schematically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article storage apparatus shown in FIG. 5, the product storage device 240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storage boxes 241, a display device 24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nit storage box 241, and a plurality of product discharge openings 243 . The plurality of unit storage boxes 241 are configured to vary the loading spac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tored goods. The display device 242 is provide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nit storage box 241, and includes a user interface,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 and a control unit. The plurality of commodity outlets 243 are provided to discharge commodities stored in the unit storage box 241 and are arranged in a row along the width direction at the lower portion so that a plurality of commodities can be received in parallel.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배송자 단말기(150)는 상품 보관 장치(도 1의 140)에 보관된 상품을 고객에게 배송하는 배송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관리 서버(11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다. 배송자 단말기(150)로는 스마트폰과 같이 휴대가 용이한 정보 통신 기기가 사용된다. 배송자는 배송자 단말기(150)를 통해 관리 서버(110)로부터 배송 대상 상품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공받는다. 또한, 배송자는 배송자 단말기(150)를 통해 관리 서버(110)에 접속하여 배송자 정보를 등록 또는 변경할 수 있다.1, a distributor terminal 150 is a terminal used by a distributor to deliver a product stored in a product storage device 140 (FIG. 1) to a customer, and is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110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do. As the transmitter terminal 150,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which is easy to carry, is used. The sender is provided with positional information on the item to be deliver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110 via the sender terminal 150. Also, the sender can access the management server 110 through the sender terminal 150 to register or change the sender information.

도 6에는 도 1에 도시된 공급자 기반 물류 시스템을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관리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공급자 기반 물류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고객 확인 단계(S10)와, 상품 정보 제공 단계(S20)와, 상품 주문 접수 단계(S30)와, 상품 수령 방법 확인 단계(S40)와, 배송 지시 단계(S50)와, 배송 개시 확인 단계(S60)와, 제1 배송 개시 안내 단계(S70)와, 제1 도착 확인 단계(S80)와, 수령 안내 단계(S90)와, 제2 배송 개시 안내(S100)와, 제2 도착 확인 단계(S110)와, 중간 수령 안내 단계(S120)와, 중간 수령 확인 단계(S130)와, 최종 배송 안내 단계(S140)와, 최종 수령 확인 단계(S150)를 포함한다. 이하, 각 단계들을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FIG. 6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logistics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upplier-based logistics system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6, the logistics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supplier-based logistics system shown in FIG. 1 and includes a customer confirmation step S10, a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step S20, (S30), a goods receipt method confirmation step (S40), a delivery instruction step (S50), a delivery start confirmation step (S60), a first delivery start guidance step (S70), a first arrival confirmation step (Step S80), the reception guidance step S90, the second delivery start guide S100, the second arrival confirmation step S110, the intermediate reception guidance step S120, the intermediate reception confirmation step S130, A final delivery guide step S140, and a final receipt confirmation step S150. Hereinafter, each step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FIG.

고객 확인 단계(S10)에서는 상품 구매를 위해 고객 단말기(130)를 통해 관리 서버(110)에 접속되는 고객의 정보가 확인된다. 고객 확인 단계(S10)는 제어부(111)가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된 고객 정보 데이터를 읽어 확인함으로써 수행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고객 확인 단계(S10) 전에 고객이 고객 단말기(130)를 통해 관리 서버(110)에 접속하여 회원 가입하고, 회원 가입시 입력한 고객 정보가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되는 단계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고객 확인 단계(S10)를 통해 고객 정보가 확인된 후에는 상품 정보 제공 단계(S20)가 수행된다.In the customer identification step (S10), information of a customer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110) is confirmed through the customer terminal (130) for purchasing a product. The customer confirmation step S10 is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111 reading and confirming the customer information data stored in the customer information database 113. [ Although not shown, the customer accesses the management server 110 through the customer terminal 130 to register for membership before the customer confirmation step S10, and stores the customer information entered at the time of membership registration in the customer information database 113 May be further included. After the customer information is confirmed through the customer identification step (S10),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step (S20) is performed.

상품 정보 제공 단계(S20)에서는 고객 단말기(130)를 통해 고객이 검색한 상품에 대한 정보가 제공된다. 상품 정보 제공 단계(S20)는 제어부(111)가 상품 공급자를 포함하는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된 상품 정보를 통신부(117)를 통해 고객 단말기(130)로 전송함으로써 수행된다. 상품 정보 제공 단계(S20)를 통해 고객은 상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품 구매를 결정하면 고객 단말기(130)를 통해 구매하기로 결정한 상품을 주문하게 된다.In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step (S20), information on the goods searched by the customer through the customer terminal (130) is provided.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step S20 is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111 transmitting merchandis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rchandise information database 112 including the merchandise supplier to the customer terminal 130 via the communication unit 117. [ If the customer obtains the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through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step (S20) and decides to purchase the product, the customer can order the product decided to purchase through the customer terminal (130).

상품 주문 접수 단계(S30)에서는 구매 단말기(130)로부터 상품 주문이 접수된다. 상품 주문 접수 단계(S30)는 관리 서버(110)의 제어부(111)가 고객 단말기(130)에서 전송한 상품 주문을 접수함으로써 수행된다. 상품 주문 접수 단계(S30)를 통해 접수된 상품 주문 정보는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114)에 고객 정보와 함께 저장될 수 있는데, 이와는 달리 관리 서버(110)에 주문 데이터베이스(미도시)가 별도로 구비되어서 저장될 수도 있다.In the product order reception step S30, the product order from the purchasing terminal 130 is accepted. The product order accepting step S30 is performed by accepting a product order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111 of the management server 110 by the customer terminal 130. [ The product order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product order reception step S30 may be stored together with the customer information in the customer information database 114. Alternatively, an order database (not shown) may be separately provided to the management server 110 .

상품 수령 방법 확인 단계(S40)에서는 고객이 선택한 상품 수령 방법이 관리 서버(110)에서 확인된다. 상품 수령 방법 확인 단계(S40)는 관리 서버(110)가 고객 단말기(130)를 통해 고객에게 상품 수령 방법의 선택을 요청하고, 고객이 고객 단말기(140)를 통해 선택한 상품 수령 방법이 관리 서버(110)에 전송되고, 관리 서버(110)의 제어부(111)에서 이를 확인함으로써 수행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품 수령 방법은 직접 수령과 간접 수령의 두 가지이며, 직접 수령은 고객이 상품 보관 장치(140)에서 상품을 직접 수령하는 것이고, 상품 보관 장치(140)에 보관된 상품을 배송자가 받아서 고객에게 배송하여 전달하는 것이다.In the product receiving method checking step (S40), the management server 110 confirms the product receiving method selected by the customer. In the step S40, the management server 110 requests the customer to select a product receipt method through the customer terminal 130, and the goods receipt method selected by the customer through the customer terminal 140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110, and is confirmed by the control unit 111 of the management server 110. In this embodiment, there are two types of goods receipt method: direct receipt and indirect receipt. The direct receipt is for the customer to receive the goods directly from the goods storage device 140, and the goods stored in the goods storage device 140, And deliver it to the customer.

배송 지시 단계(S50)에서는 고객이 주문한 상품에 대한 배송 지시가 공급자에게 전달된다. 배송 지시 단계(S50)는 상품 주문 접수 단계(S30)와 상품 수령 방법 확인 단계(S40)가 완료된 후 관리 서버(110)가 공급자 단말기(120)로 배송 지시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관리 서버(110)는 상품 주문 내역과 보관 장치 정보 데이터베이스(114)에 저장된 상품이 보관되어야 할 상품 보관 장치(140)에 대한 데이터도 함께 전송된다. 즉, 배송 지시 단계(S50)에서 상품 보관 장치(140)에서 공급자에게 할당된 단위 보관함(141)에 대한 정보가 공급자에게 전달되고, 공급자는 이에 기초하여 상품을 상품 보관 장치(140)의 해당 단위 보관함(141)에 보관하는 것이다. 배송 지시 단계(S50)가 완료된 후에는 배송 개시 확인 단계(S60)가 수행된다.In the delivery instruction step (S50), the delivery instruction for the product ordered by the customer is transmitted to the supplier. The delivery instruction step S50 is performed by the management server 110 transmitting a delivery instruction message to the supplier terminal 120 after the product order reception step S30 and the product reception method confirmation step S40 are completed. At this time, the management server 110 also transmits data on the commodity order details and the commodity storage device 140 to be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information database 114 together. That is, in the delivery instruction step S50, information on the unit storage box 141 allocated to the supplier in the product storage device 140 is transmitted to the supplier, and the supplier stores the product in the corresponding unit of the product storage device 140 And stores it in the storage box 141. After the delivery instruction step (S50) is completed, the delivery start confirmation step (S60) is performed.

배송 개시 확인 단계(S60)에서는 고객이 주문한 상품에 대한 공급자에 의한 배송이 시작되었음이 확인된다. 배송 개시 확인 단계(S60)는 공급자가 공급자 단말기(120)를 통해 관리 서버(110)로 전송한 배송 개시 메시지를 관리 서버(110)가 확인함으로써 수행된다. 이때, 상품이 상품 보관 장치(140)에 도착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기에 대한 정보도 함께 확인될 수 있다. 공급자에 의한 상품의 배송은 트럭과 같은 배송 수단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delivery start confirmation step (S60), it is confirmed that the delivery of the product ordered by the customer is started by the supplier. The delivery start confirmation step S60 is performed by the management server 110 confirming the delivery start message transmitted by the supplier to the management server 110 through the supplier terminal 120. [ At this time, information on the time when the goods are expected to arrive at the product storage device 140 may also be confirmed. The delivery of the goods by the supplier can be done by means of a delivery means such as a truck.

배송 개시 확인 단계(S60)가 완료된 후에는 상품 수령 방법에 따라 제1 배송 개시 안내 단계(S70)가 수행되거나 제2 배송 개시 안내 단계(S100)가 수행된다. After the delivery start confirmation step (S60) is completed, the first delivery start guide step (S70) is performed or the second delivery start guide step (SlOO)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article reception method.

제1 배송 개시 안내 단계(S70)는 상품 수령 방법 확인 단계(S40)에서 상품 수령 방법이 직접 수령으로 확인된 경우에 수행된다. 제1 배송 개시 안내 단계(S70)에서는 배송이 개시되었음이 고객에게 안내된다. 이때, 배송 개시가 배송자에게는 안내되지 않는다. 제1 배송 개시 안내 단계(S70)는 배송 개시 확인 단계(S60)를 통해 공급자에 의한 상품 배송 개시가 확인된 후 관리 서버(110)가 고객 단말기(130)로 공급자에 의해 상품 배송이 개시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수행된다. 이때, 관리 서버(110)는 고객 단말기(130)로 상품의 상품 보관 장치(140) 예상 도착 시기 정보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제1 배송 개시 안내 단계(S70)가 완료된 후에는 제1 도착 확인 단계(S80)가 수행된다.The first delivery start guide step (S70) is performed when the goods receipt method is directly confirmed as receipt in the goods receipt method confirmation step (S40). In the first delivery start guide step (S70), the customer is informed that the delivery has been started. At this time, the start of shipment will not be notified to the shipper. In the first delivery start guide step S70, after the commodity delivery start by the supplier is confirmed through the delivery start confirmation step (S60), the management server 110 informs the customer terminal 130 of the commodity delivery by the supplier Message. ≪ / RTI > At this time, the management server 110 may also provide the expected arrival time information of the goods storage device 140 to the customer terminal 130. After the first delivery start guide step S70 is completed, the first arrival confirmation step S80 is performed.

제1 도착 확인 단계(S80)에서는 공급자가 배송한 상품이 상품 보관 장치(140)에 도착하였음이 확인된다. 제1 도착 확인 단계(S80)는 상품이 상품 보관 장치(140)의 사전 할당되어 지정된 단위 보관함(141)에 보관되었을 때, 상품 보관 장치(140)가 상품이 도착하여 보관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관리 서버(110)에 전송하고, 관리 서버(110)는 이를 전달받아 확인함으로써 수행된다. 제1 도착 확인 단계(S80)가 완료된 후에는 수령 안내 단계(S90)가 수행된다.In the first arrival confirmation step (S80), it is confirmed that the merchandise delivered by the supplier has arrived at the merchandise storage device (140). The first arrival confirmation step S80 is a step in which when the goods are stored in the pre-assigned unit storage box 141 of the goods storage device 140, the goods storage device 140 sends a message, (110), and the management server (110) receives the information and confirms it. After the first arrival confirmation step (S80) is completed, the reception guidance step (S90) is performed.

수령 안내 단계(S90)에서는 고객에게 상품 보관 장치(140)에 주문한 상품이 보관되어 있음을 알리고 이에 대한 수령이 안내된다. 수령 안내 단계(S90)는 관리 서버(110)가 주문 상품이 보관된 상품 보관 장치(140)와 단위 보관함(141) 및 단위 보관함의 개폐도어를 열기 위해 필요한 비밀번호와 같은 인증 데이터를 고객 단말기(130)로 전송함으로써 수행된다. 수령 안내 단계(S90)에 의해 수령 안내를 받은 고객은 주문한 상품이 보관된 상품 보관 장치(140)로 직접 이동하여 단위 보관함(141)에 보관된 상품을 수령하게 된다. 이후,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품 보관 장치(140)는 상품이 고객에게 수령된 후 수령 확인 메시지를 관리 서버(110)에 전달함으로써, 수령 확인 단계가 수행된다.In the reception guide step S90, the customer is informed that the ordered product is stored in the product storage device 140, and reception of the ordered product is guided. In the receipt guide step S90, the management server 110 transmits authentication data such as a password necessary for opening the unit storage box 141 and the unit storage box opening / closing door to the customer terminal 130 ). ≪ / RTI > The customer who has been informed of the receipt by the reception guide step S90 directly moves to the product storage device 140 in which the ordered product is stored and receives the product stored in the unit storage box 141. [ Thereafter, although not shown, the receipt confirmation step is performed by delivering the receipt confirmation message to the management server 110 after the goods receipt device 140 receives the goods from the customer.

제2 배송 개시 안내 단계(S100)는 상품 수령 방법 확인 단계(S40)에서 상품 수령 방법이 간접 수령으로 확인된 경우에 수행된다. 제2 배송 개시 안내 단계(S100)에서는 배송이 개시되었음이 고객과 배송자에게 안내된다. 제2 배송 개시 안내 단계(S100)는 배송 개시 확인 단계(S60)를 통해 공급자에 의한 상품 배송 개시가 확인된 후 관리 서버(110)가 고객 단말기(130)와 배송자 단말기(150)로 공급자에 의해 상품 배송이 개시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수행된다. 이때, 관리 서버(110)는 고객 단말기(130)와 배송자 단말기(150)로 상품의 상품 보관 장치(140) 예상 도착 시기 정보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제2 배송 개시 안내 단계(S100)가 완료된 후에는 제2 도착 확인 단계(S100)가 수행된다.The second delivery start guide step (S100) is performed when the goods receipt method is confirmed as indirect receipt in the goods receipt method confirmation step (S40). In the second delivery start guide step (S100), the customer and the delivery person are informed that the delivery has been started. In the second delivery start guide step S100, after the commodity delivery start by the supplier is confirmed through the delivery start confirmation step (S60), the management server 110 transmits the delivery to the supplier through the customer terminal 130 and the delivery terminal 150 By sending a message informing that the delivery of goods has begun. At this time, the management server 110 may also provide the expected arrival time information of the goods storage device 140 to the customer terminal 130 and the delivery terminal 150 together. After the second delivery start guide step S100 is completed, the second arrival confirmation step S100 is performed.

제2 도착 확인 단계(S100)에서는 공급자가 배송한 상품이 상품 보관 장치(140)에 도착하였음이 확인된다. 제2 도착 확인 단계(S110)는 상품이 상품 보관 장치(140)의 사전 할당되어 지정된 단위 보관함(141)에 보관되었을 때, 상품 보관 장치(140)가 상품이 도착하여 보관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관리 서버(110)에 전송하고, 관리 서버(110)는 이를 전달받아 확인함으로써 수행된다. 제2 도착 확인 단계(S110)가 완료된 후에는 중간 수령 안내 단계(S120)가 수행된다.In the second arrival confirmation step (S100), it is confirmed that the product delivered by the supplier arrives at the product storage device (140). The second arrival confirmation step S110 is a step in which when the goods are stored in the pre-assigned unit storage box 141 of the product storage device 140, the product storage device 140 sends a message, (110), and the management server (110) receives the information and confirms it. After the second arrival confirmation step (S110) is completed, the intermediate reception guidance step (S120) is performed.

중간 수령 안내 단계(S120)에서는 배송자에게 상품 보관 장치(140)에 배송 대상 상품이 보관되어 있음을 알리고 이에 대한 수령이 안내된다. 중간 수령 안내 단계(S120)는 관리 서버(110)가 주문 상품이 보관된 상품 보관 장치(140)와 단위 보관함(141) 및 단위 보관함의 개폐도어를 열기 위해 필요한 비밀번호와 같은 인증 데이터를 배송자 단말기(130)로 전송함으로써 수행된다. 중간 수령 안내 단계(S120)에 의해 수령 안내를 받은 배송자는 주문한 상품이 보관된 상품 보관 장치(140)로 이동하여 단위 보관함(141)에 보관된 상품을 수령하게 된다. 이후, 중간 수령 확인 단계(S130)가 수행된다.In the middle reception guide step S120, the delivery person informs the goods storage device 140 that the goods to be delivered are stored, and reception of the goods is informed. In the middle reception guide step S120, the management server 110 transmits authentication data such as a password necessary for opening the unit storage box 141 and the unit opening / closing door of the unit storage box 140, Lt; RTI ID = 0.0 > 130 < / RTI > The recipient who has been informed of the receipt by the intermediate receipt guide step S120 moves to the article storage apparatus 140 in which the ordered article is stored and receives the article stored in the unit storage box 141. [ Thereafter, intermediate reception confirmation step (S130) is performed.

중간 수령 확인 단계(S130)에서는 배송자가 상품 보관 장치(140)에서 배송 대상 상품을 수령하였음이 확인된다. 중간 수령 확인 단계(S130)는 상품 보관 장치(140)가 상품이 배송자에게 수령된 후 수령 확인 메시지를 관리 서버(110)로 자동으로 전송하고, 이를 관리 서버(110)가 확인함으로써 수행된다. 중간 수령 확인 단계(S130)가 완료된 후에는 최종 배송 안내 단계(S140)가 수행된다.In the intermediate receipt confirmation step (S130), it is confirmed that the delivery person has received the delivery target product from the product storage device (140). The intermediate receipt confirmation step S130 is performed by the merchandise storage device 140 automatically receiving a receipt confirmation message after the merchandise is received by the delivery person and confirming by the management server 110. After the intermediate receipt confirmation step S130 is completed, the final delivery guidance step S140 is performed.

최종 배송 안내 단계(S140)에서는 상품을 배송자가 수령하여 고객에게 배송되고 있음이 고객에게 안내된다. 최종 배송 안내 단계(S140)는 관리 서버(110)가 중간 수령 확인 단계(S130)를 통해 상품이 배송자에게 수령되었음을 확인한 후, 고객 단말기(130)로 배송 안내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수행된다. 이후, 최종 수령 확인 단계(S150)가 수행된다.In the final delivery guidance step (S140), the customer is informed that the goods are delivered to the customer. The final delivery guidance step S140 is performed by transmitting the delivery guidance message to the customer terminal 130 after the management server 110 confirms that the goods have been received by the delivery person through the intermediate reception confirmation step S130. Thereafter, the final receipt confirmation step (S150) is performed.

최종 수령 확인 단계(S150)에서는 고객이 배송자로부터 상품을 수령하였음이 확인된다. 최종 수령 확인 단계(S150)는 상품이 고객에게 수령된 후 수령 확인 메시지가 배송자 단말기(150)로부터 관리 서버(110)로 전송하고, 이를 관리 서버(110)가 확인함으로써 수행된다.In the final receipt confirmation step (S150), it is confirmed that the customer has received the goods from the distributor. The final receipt confirmation step S150 is performed by the management server 110 confirming the receipt of a receipt confirmation message from the delivery terminal 150 to the management server 110 after the goods are received by the customer.

이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물류 시스템 110 : 관리 서버
120 : 공급자 단말기 130 : 고객 단말기
140 : 상품 보관 장치 150 : 배송자 단말기
100: Logistics system 110: Management server
120: Supplier terminal 130: Customer terminal
140: Commodity storage device 150: Shipper terminal

Claims (8)

정기배송 상품을 공급하는 공급자에 의해 운영되는 공급자 단말기, 공급자가 공급하는 정기배송 상품을 고객이 거주하거나 근무하는 건물 내로 주문하기 위해 고객이 사용하는 고객 단말기 및 상기 상품을 상기 고객에게 배송하는 배송자가 사용하는 배송자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정기배송 상품이 고객에게 수령되기 전 상기 공급자에 의해 직접 보관되고 복수의 공급자들 각각에게 사전 할당된 복수 개의 단위 보관함들과, 상기 복수 개의 단위 보관함들의 냉장 또는 냉동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냉각부를 구비하고 상기 관리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상품 보관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상품 보관 장치에 대한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되는 보관 장치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보관 장치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를 주고받으면서 물류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품 보관 장치에 대한 정보는 복수의 공급자 별로 할당된 상기 단위 보관함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공급자 별로 할당된 상기 단위 보관함에 대한 데이터는 변경이 가능하며,
상기 상품 보관 장치는 복수 개가 고객이 거주하거나 근무하는 복수 개의 건물들 각각에 설치되며,
공급자 별로 할당된 상기 복수 개의 단위 보관함들에 복수의 고객들 각각에 대응하는 정기배송 상품이 보관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품 수령 방법을 확인하며,
상기 상품 수령 방법은 상기 고객이 상기 상품 보관 장치로부터 상품을 수령하는 직접 수령과, 상기 배송자가 상기 상품 보관 장치로부터 상품을 배출하여 상기 고객에게 전달하는 간접 수령을 포함하며,
상기 직접 수령의 경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상품 보관 장치에 보관된 상품을 주문한 고객의 단말기로 수령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간접 수령의 경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상품 보관 장치에 보관된 상품을 주문한 고객에게 배송하는 배송자의 배송자 단말기로 수령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배송자에 의한 상품 수령이 확인되면 상기 고객에게 배송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복수 개의 단위 보관함들은 보관되는 상품의 크기에 따라 적재공간이 가변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공급자에게 상기 상품 보관 장치를 통해 상품의 종류와 크기 및 상기 단위 보관함의 크기에 적합한 패키징 수단을 안내하는, 상품 보관 장치를 활용한 공급자 기반 물류 시스템.
A supplier terminal operated by a supplier supplying a regular delivery product, a customer terminal used by a customer to order a regular delivery product supplied by the supplier into a building where the customer lives or works, and a distributor who delivers the product to the customer A management server which is connected to the using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A plurality of unit storage boxes directly reserved by the supplier before the periodic delivery product is received by the customer and pre-alloca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liers, and a cooling unit for maintaining the refrigerated or frozen state of the plurality of unit storage boxes And a goods storage device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Wherein the management server includes a storage device information database storing data related to the goods storage device and a control unit executing the goods management program while exchanging data with the storage device information database,
Wherein the information on the merchandise storage device includes data on the unit store allocated to a plurality of suppliers,
The data for the unit storage unit alloca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liers may be changed,
A plurality of the goods storage devices are installed in each of a plurality of buildings in which a customer lives or works,
The periodic delivery merchandis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ustomers is stored in the plurality of unit storage boxes allocated to each supplier,
The management server confirms the method of receiving goods from the customer terminal,
Wherein the goods receipt method includes a direct receipt of the goods from the goods storage device by the customer and indirect receipt of the goods by the delivery person from the goods storage device and delivering the goods to the customer,
In the case of the direct receipt, the management server transmits a receipt informing message to the customer's terminal that ordered the goods stored in the goods storage device,
In the case of the indirect receipt, the management server transmits a receipt informing message to the sender terminal of the sender who delivers the goods stored in the goods storage device to the customer, and when the receipt of the goods by the sender is confirmed, Delivery guide message,
The plurality of unit storage boxes may vary in size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stored goods,
Wherein the management server guides the supplier to a packaging means suitable for the type and size of the product and the size of the unit storage box through the product storage device.
정기배송 상품을 공급하는 공급자에 의해 운영되는 공급자 단말기, 공급자가 공급하는 정기배송 상품을 고객이 거주하거나 근무하는 건물 내로 주문하기 위해 고객이 사용하는 고객 단말기 및 상기 공급자로부터 상품을 수령하여 상기 고객에게 배송하는 배송자가 이용하는 배송자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정기배송 상품이 상기 배송자에게 수령되기 전에 상기 공급자에 의해 직접 보관되고, 복수의 공급자들 각각에게 사전에 할당된 복수 개의 단위 보관함들과, 상기 복수 개의 단위 보관함들의 냉장 또는 냉동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냉각부를 구비하고 상기 관리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상품 보관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상품 보관 장치에 대한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 및 상기 배송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를 주고받으면서 물류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품 보관 장치에 대한 정보는 복수의 공급자 별로 할당된 상기 단위 보관함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공급자 별로 할당된 상기 단위 보관함에 대한 데이터는 변경이 가능하며,
상기 상품 보관 장치는 복수 개가 고객이 거주하거나 근무하는 복수 개의 건물들 각각에 설치되며,
공급자 별로 할당된 상기 복수 개의 단위 보관함들에 하나의 공급자에 대해 복수의 고객들 각각에 대응하는 정기배송 상품이 보관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품 수령 방법을 확인하며,
상기 상품 수령 방법은 상기 고객이 상기 상품 보관 장치로부터 상품을 수령하는 직접 수령과, 상기 배송자가 상기 상품 보관 장치로부터 상품을 배출하여 상기 고객에게 전달하는 간접 수령을 포함하며,
상기 직접 수령의 경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상품 보관 장치에 보관된 상품을 주문한 고객의 단말기로 수령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간접 수령의 경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상품 보관 장치에 보관된 상품을 주문한 고객에게 배송하는 배송자의 배송자 단말기로 수령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배송자에 의한 상품 수령이 확인되면 상기 고객에게 배송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복수 개의 단위 보관함들은 보관되는 상품의 크기에 따라 적재공간이 가변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공급자에게 상기 상품 보관 장치를 통해 상품의 종류와 크기 및 상기 단위 보관함의 크기에 적합한 패키징 수단을 안내하는, 상품 보관 장치를 활용한 공급자 기반 물류 시스템.
A supplier terminal operated by a supplier supplying a regular delivery product, a customer terminal used by a customer to place a regular delivery product supplied by the supplier into a building where the customer lives or works, A management server connected to a delivery terminal used by a delivering distributo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A plurality of unit storage boxes directly reserved by the supplier before the periodic delivery product is received by the supplier and allocated in advance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liers, And a product storage device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Wherein the management server comprises a database for storing data related to information on the goods storage device and information on the shipper, and a control unit for executing a goods management program while exchanging data with a database,
Wherein the information on the merchandise storage device includes data on the unit store allocated to a plurality of suppliers,
The data for the unit storage unit alloca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liers may be changed,
A plurality of the goods storage devices are installed in each of a plurality of buildings in which a customer lives or works,
A periodic delivery product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customers is stored for one supplier in the plurality of unit storage boxes allocated for each supplier,
The management server confirms the method of receiving goods from the customer terminal,
Wherein the goods receipt method includes a direct receipt of the goods from the goods storage device by the customer and indirect receipt of the goods by the delivery person from the goods storage device and delivering the goods to the customer,
In the case of the direct receipt, the management server transmits a receipt informing message to the customer's terminal that ordered the goods stored in the goods storage device,
In the case of the indirect receipt, the management server transmits a receipt informing message to the sender terminal of the sender who delivers the goods stored in the goods storage device to the customer, and when the receipt of the goods by the sender is confirmed, Delivery guide message,
The plurality of unit storage boxes may vary in size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stored goods,
Wherein the management server guides the supplier to a packaging means suitable for the type and size of the product and the size of the unit storage box through the product storage devic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배송 대상 상품의 위치 데이터가 저장되고 상기 제어부와 데이터를 주고받는 배송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더 구비하는 상품 보관 장치를 활용한 공급자 기반 물류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management server further comprises a delivery information database storing positional data of a delivery target product and exchanging data with the control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157375A 2017-11-23 2017-11-23 Distribution system based on supplier using goods keeping device and distribution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KR1019194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375A KR101919492B1 (en) 2017-11-23 2017-11-23 Distribution system based on supplier using goods keeping device and distribution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375A KR101919492B1 (en) 2017-11-23 2017-11-23 Distribution system based on supplier using goods keeping device and distribution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4114A Division KR20190059836A (en) 2018-09-21 2018-09-21 Distribution system based on supplier using goods keeping device and distribution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9492B1 true KR101919492B1 (en) 2018-11-16

Family

ID=64565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7375A KR101919492B1 (en) 2017-11-23 2017-11-23 Distribution system based on supplier using goods keeping device and distribution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949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45905A (en) * 2019-06-27 2019-09-17 金威建设集团有限公司 A kind of house underground storage SPACE/MA
CN115043120A (en) * 2022-06-22 2022-09-13 一汽丰田汽车(成都)有限公司长春丰越分公司 Efficient intelligent warehousing system and storage metho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45905A (en) * 2019-06-27 2019-09-17 金威建设集团有限公司 A kind of house underground storage SPACE/MA
CN115043120A (en) * 2022-06-22 2022-09-13 一汽丰田汽车(成都)有限公司长春丰越分公司 Efficient intelligent warehousing system and storage method
CN115043120B (en) * 2022-06-22 2024-05-10 一汽丰田汽车(成都)有限公司长春丰越分公司 Efficient intelligent warehousing system and storage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6640B1 (en) Dynamic adjustment of a presentation area
KR102006623B1 (en) Cold-chain delivery and retrieval system based on blockchain
US10949801B1 (en) Inventory item release apparatus and method
US7467098B2 (en) Retail system combining retail stores with electronic product ordering
US11475503B1 (en) Materials handling facility to present predicted items to a user
US1140357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plenishment in a freight tethering environment
KR20190059836A (en) Distribution system based on supplier using goods keeping device and distribution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US20220245547A1 (en)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whether an item can be ordered and apparatus thereof
KR20150053443A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managing physucal distribution
KR20170117371A (en) Improved delivery system and method
KR101919492B1 (en) Distribution system based on supplier using goods keeping device and distribution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KR20210091094A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 for detecting fraudulent transactions using locality sensitive hashing and locality outlier factor algorithms
JP6277098B2 (e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KR101481742B1 (en) Administration system of physical distribution using mobile
KR20060118152A (en) Supply chai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electronic transaction code (etc)
JP2001184440A (en) Distribution system, article delivery method, and distributio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1841484B1 (en) Product order processing service apparatus for a supermarket that can manage a product information database through interworking with a pos terminal installed in a supermarke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TWM513424U (en) Freight-in/out management device and system
KR102489028B1 (en) Product management system with expiration date notification and tracking
JP6942877B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0799992B1 (en) Goods delivery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90082535A (en) Convenience store fresh product reservation and sale system and method
US11461833B2 (en) Automated system and method for staging products at pickup locations
KR102359800B1 (en) Box lunch prduct sale system using mobile application
WO202217648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rticle management system, and article management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