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8839B1 - 이진 원리를 이용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진 원리를 이용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8839B1
KR101918839B1 KR1020170030161A KR20170030161A KR101918839B1 KR 101918839 B1 KR101918839 B1 KR 101918839B1 KR 1020170030161 A KR1020170030161 A KR 1020170030161A KR 20170030161 A KR20170030161 A KR 20170030161A KR 101918839 B1 KR101918839 B1 KR 101918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text
content
contents
learning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4802A (ko
Inventor
김군
Original Assignee
김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군 filed Critical 김군
Priority to KR1020170030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8839B1/ko
Publication of KR20170034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4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8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8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ultimedia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습 콘텐츠 제공을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의 제어방법은, 하나의 학습 텍스트와 하나의 학습 대응 텍스트를 서로 매칭시킨 학습 콘텐츠를 복수 개 구비한 상태에서, 기 설정된 개수의 학습 콘텐츠를 학습 콘텐츠 그룹으로 선정하고, 그 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된 각 학습 콘텐츠의 학습 텍스트 및 그에 대응되는 학습 대응 텍스트가 표시되도록 하여 학습시키는 단계와; 상기 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된 각 학습 콘텐츠에 대해 학습 텍스트가 표시되도록 한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응답을 대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의 진행 중 학습 텍스트에 대한 사용자 응답이 해당 학습 텍스트에 대응되는 학습 대응 텍스트와 다른 경우 해당 학습 콘텐츠를 선별적으로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시키는 단계와; 상기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된 각 학습 콘텐츠에 대해 학습 텍스트가 표시되도록 한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응답을 대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진 원리를 이용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EARNING CONTENTS USING BINARY PRINCIPLE}
본 발명은 학습 콘텐츠 제공을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0과 1을 판단 기준으로 삼아 처리하는 이진 원리를 적용하여 학습 능률을 극대화시키는 학습 콘텐츠 제공을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취업이나 학업 등을 위해 영어 공부를 하거나 또는 필요한 학습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보통 필요한 교재를 구매하여 공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예를 들어 영어 공부를 하는 사람들은 영단어를 암기하기 위해 수만 개의 단어가 포함된 VOCABULARY 책을 구매하여 공부하기도 하고, 또한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는 사람들은 한국사 참고 교재를 구매하여 공부하기도 하는데, 이처럼 모든 내용이 인쇄된 책을 통해 공부하는 경우 학습 효율이 상당히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인터넷을 통해 동영상을 듣는 서비스가 많이 제공되고 있으나, 인터넷 강의 역시 강사가 필요한 내용들을 강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학습 집중도가 떨어지고 학습 효율 역시 그다지 높지 않다.
즉, 학습을 함에 있어서는 최소한의 시간으로 최대의 정보를 학습하는 것 즉, 학습 효율이 상당히 중요한데, 종래의 방식들은 이러한 기대에 충분히 부응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공개특허 제10-2004-0074661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최소한의 노력으로 최대의 학습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는, 하나의 학습 텍스트와 하나의 학습 대응 텍스트를 서로 매칭시킨 학습 콘텐츠를 복수 개 저장된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 개의 학습 콘텐츠 중 기 설정된 개수의 학습 콘텐츠를 학습 콘텐츠 그룹으로 선정하고, 그 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된 각 학습 콘텐츠의 학습 텍스트 및 그에 대응되는 학습 대응 텍스트가 표시되도록 하여 학습시키는 학습 수행부와; 상기 학습 수행부의 학습 처리 후에, 상기 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된 각 학습 콘텐츠에 대해 학습 텍스트가 표시되도록 한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응답을 대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1차 학습 상태 확인부와; 상기 1차 학습 상태 확인부의 처리 진행 중 학습 텍스트에 대한 사용자 응답이 해당 학습 텍스트에 대응되는 학습 대응 텍스트와 다른 경우 해당 학습 콘텐츠를 선별적으로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시키는 제1 응답 처리부와; 상기 1차 학습 상태 확인부의 처리 완료 후 상기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된 각 학습 콘텐츠에 대해 학습 텍스트가 표시되도록 한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응답을 대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2차 학습 상태 확인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의 제어방법은, 하나의 학습 텍스트와 하나의 학습 대응 텍스트를 서로 매칭시킨 학습 콘텐츠를 복수 개 구비한 상태에서, 기 설정된 개수의 학습 콘텐츠를 학습 콘텐츠 그룹으로 선정하고, 그 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된 각 학습 콘텐츠의 학습 텍스트 및 그에 대응되는 학습 대응 텍스트가 표시되도록 하여 학습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계 이후에, 상기 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된 각 학습 콘텐츠에 대해 학습 텍스트가 표시되도록 한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응답을 대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의 진행 중 학습 텍스트에 대한 사용자 응답이 해당 학습 텍스트에 대응되는 학습 대응 텍스트와 다른 경우 해당 학습 콘텐츠를 선별적으로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계 완료 후 상기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된 각 학습 콘텐츠에 대해 학습 텍스트가 표시되도록 한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응답을 대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2진 원리에 입각하여 학습이 이루어짐으로써, 학습 효율을 높이고, 한 번 기억된 학습 내용이 오래도록 남아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와 통신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의 제어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또는 개별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편의상 청구 범위의 일부 청구항에는 편의상 '(a)'와 같은 알파벳을 포함시켰으나, 이러한 알파벳이 각 단계의 순서를 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각 신호는 한 번의 연결 등에 의해 전송되는 하나의 신호를 의미할 수도 있지만, 후술하는 특정 기능 수행을 목적으로 전송되는 일련의 신호 그룹을 의미할 수도 있다. 즉, 각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전송되거나 상대 장치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전송되는 복수 개의 신호들이 편의상 하나의 신호명으로 표현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100)를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서 사용자 단말기(200)는 학습을 진행하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단말기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일 수 있다.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학습 효율을 높이기 위해 소정의 학습 내용을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하고, 또한 학습 내용 중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지 않은 채로 문제를 제시하여 사용자가 스스로 풀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에서는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100)가 학습 콘텐츠 및 문제를 사용자 단말기(200)에 전송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100)가 사용자 단말기(200)와 일체화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후술하는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100)의 기능이 모두 사용자 단말기(200) 상에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100)의 구체적인 기능 블록의 일 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저장부(110), 학습 수행부(120), 학습 상태 확인부(130), 응답 처리부(140), 추가 학습 처리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110)에는 하나의 학습 텍스트와 하나의 학습 대응 텍스트를 서로 매칭시킨 학습 콘텐츠가 복수 개 저장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vulnerable'이라는 영어 단어의 의미는 '취약한'인데, 이때 'vulnerable'은 학습 텍스트이고, '취약한'은 그 학습 텍스트에 대응되는 학습 대응 텍스트에 해당한다. 물론 이는 편의상 규정한 것으로서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따라서 하나의 학습 콘텐츠는 'vulnerable- 취약한'과 같이 하나의 학습 텍스트와 하나의 학습 대응 텍스트가 매칭된 것이고, 저장부(110)에는 이러한 학습 콘텐츠가 복수 개 저장될 수 있는 것이다.
학습 수행부(120)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복수 개의 학습 콘텐츠 중 기 설정된 개수의 학습 콘텐츠를 학습 콘텐츠 그룹으로 선정하고, 그 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된 각 학습 콘텐츠의 학습 텍스트 및 그에 대응되는 학습 대응 텍스트가 표시되도록 하여 학습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학습 수행부(120)는 학습 콘텐츠 그룹에 'vulnerable - 취약한', 'subject - 과목', 'dormant - 휴면의', 'account - 계좌'와 같이 4 개의 학습 콘텐츠를 순서대로 포함시켰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학습 수행부(120)는 상술한 4 개의 학습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200)에 순차적으로 전송하거나 한꺼번에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표시되는 내용을 열람하며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
도 3에는 이러한 학습 수행부(12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00) 상에서 학습 콘텐츠가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예가 나타나 있다. 즉, 도 3의 (a), (b), (c), (d) 순서대로 사용자 단말기(200)에 학습 콘텐츠가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
학습 상태 확인부(130)는 사용자가 학습 내용을 제대로 기억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으로서, 일종의 문제를 내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학습 상태 확인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 8차 학습 상태 확인부(13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각 기능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구분한 것에 불과하다.
한편, 응답 처리부(140)는 상술한 학습 상태 확인부(130)가 내는 문제에 대해 사용자의 응답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응답 처리부(140)는 사용자 응답이 음성 신호인 경우, 음성 인식 과정을 거쳐 해당 음성 신호에 대응되는 응답 텍스트를 추출하고, 그 응답 텍스트를 문제에 대한 답에 해당하는 텍스트와 비교하는 방식으로 사용자가 문제에 대한 정답을 맞혔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200)가 사용자의 문제 풀이에 해당하는 음성 신호를 전송한 경우, 그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시켜 기 저장된 텍스트와 비교함으로써 문제에 대한 정답을 맞혔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예로써, 사용자 단말기(200)에 객관식 문제가 제시되는 경우 사용자의 터치 입력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사용자의 정답 선택을 판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응답 처리부(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 제4 응답 처리부(141,142,143,1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이 역시 각 기능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구분한 것에 불과하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각 학습 상태 확인부(130)의 기능과 각 응답 처리부(140)의 기능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이해를 돕기 위해 학습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기준으로 순서대로 각 기능 블록이 수행하는 바를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1차 학습 상태 확인부(131)는 학습 수행부(120)의 학습 처리 후에, 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된 각 학습 콘텐츠에 대해 학습 텍스트가 표시되도록 한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응답을 대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예를 들어 1차 학습 상태 확인부(13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200)상에서 학습 텍스트가 표시되고 반면에 학습 대응 텍스트는 가려진 상태로 표시되도록 하여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응답을 대기할 수 있다. 이는 일종의 학습 내용에 대한 문제 제시에 해당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의 (a), (b), (c), (d) 순서대로 문제가 제시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1차 학습 상태 확인부(131)는 도 4의 (a)와 같이 표시된 상태에서 1초 동안 사용자의 응답을 대기하고, 1초가 경과하면 도 4의 (b)와 같은 화면이 표시되도록 하며, 다시 1초가 경과하면 도 4의 (c)와 같은 화면이 표시되도록 하고, 또 다시 1초가 경과하면 도 4의 (d)와 같은 화면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1차 학습 상태 확인부(131)는 도 4의 (a)의 상태에서 (b)로 전환되기 전에 (a)에서 가려져 있는 '취약한'이라는 의미를 보여준 후 넘어갈 수 있고, 이는 다른 단계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문제에 대한 답을 틀렸더라도 다시 한 번 학습하는 기회를 얻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기능은 2차 ~ 8차 학습 상태 확인부(138)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제1 응답 처리부(141)는 1차 학습 상태 확인부(131)의 처리 진행 중 학습 텍스트에 대한 사용자 응답이 해당 학습 텍스트에 대응되는 학습 대응 텍스트와 다른 경우 해당 학습 콘텐츠를 선별적으로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시킨다는 것은 정답을 맞힌 경우 예를 들어 '1'로 마크하고 정답을 맞히지 못한 경우 예를 들어 '0'으로 마크하는 방식으로 구분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는 이하 제2 ~ 제4 응답 처리부(142,143,144)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어 제1 응답 처리부(141)는 도 4의 (a)와 같이 표시된 상태에서 1초 이내에 입력된 사용자 응답이 '취약한'인 경우에는 해당 학습 콘텐츠에 대하여 '1'을 마크(표시)하고, 입력된 사용자 응답이 '취약한'이 아닌 경우에는 해당 학습 콘텐츠에 대하여 '0'을 마크할 수 있다.
2차 학습 상태 확인부(132)는 1차 학습 상태 확인부(131)의 처리 완료 후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된 각 학습 콘텐츠에 대해 학습 텍스트가 표시되도록 한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응답을 대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예를 들어 제1 응답 처리부(141)에 의해 '0'으로 마크된 학습 콘텐츠가 'vulnerable - 취약한'과 'account - 계좌'인 경우, 2차 학습 상태 확인부(132)는 도 4의 (a)와 (d)가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다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이에 사용자는 틀렸던 문제를 다시 반복하여 풀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2차 학습 상태 확인부(132)는 제1 응답 처리부(141)의 처리 완료 이후에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된 학습 콘텐츠의 양(즉, '0'으로 마크된 학습 콘텐츠의 개수)을 기초로 대기 시간을 산출하고, 그 산출한 대기 시간 동안 사용자 응답을 대기할 수도 있다.
이는 첫 번째 문제 풀이 과정에서 많이 틀린 사람일수록 그 이후의 문제 풀이 과정에서는 각 문제별 풀이 시간을 더 제공하여 틀리는 숫자를 최소화시켜 줌으로써 학습 의욕을 더욱 고취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에 반해 1차 문제 풀이 과정에서 성적이 우수한 사람에게는 그 다음의 문제 풀이 과정에서 제공하는 문제 풀이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전체적인 학습 시간이 줄어들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3차 ~ 8차 학습 상태 확인부(138)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제1 응답 처리부(141)는 2차 학습 상태 확인부(132)의 처리 진행 중 학습 텍스트에 대한 사용자 응답이 해당 학습 텍스트에 대응되는 학습 대응 텍스트와 다른 경우 해당 학습 콘텐츠를 선별적으로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다시 포함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1 응답 처리부(141)는 2차 학습 상태 확인부(132)의 처리 진행 중 사용자가 맞힌 학습 콘텐츠는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서 제거하고 사용자가 맞히지 못한 학습 콘텐츠는 다시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시켜 다시 한 번 테스트(문제 제시)가 진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 즉, 상술한 제1 응답 처리부(141)와 2차 학습 상태 확인부(132)의 기능은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학습 콘텐츠가 하나도 남아 있지 않을 때까지 반복 수행될 수 있다.
즉, 도 4의 (a)와 (d)의 과정을 거치는 중에 사용자가 도 4(d)에 대해 정답을 맞히지 못한 경우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도 4(d)에 대해서만 테스트를 진행하고, 이러한 과정은 사용자가 모든 문제(학습 콘텐츠)에 대해 정답을 맞힌 경우 종료된다. 즉,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학습 콘텐츠가 하나도 남아 있지 않은 경우 종료되는 것이다.
한편, 3차 학습 상태 확인부(133)는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학습 콘텐츠가 하나도 남아 있지 않은 경우, 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된 각 학습 콘텐츠에 대해 학습 대응 텍스트가 표시되도록 한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응답을 대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즉, 3차 학습 상태 확인부(133)는 1차 학습 상태 확인부(131)와 달리 학습 대응 텍스트를 표시해 주면서 사용자에게 그에 대응되는 학습 텍스트를 맞히라고 요구하는 것이다.
이처럼 3차 학습 상태 확인부(133)의 기능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00)에 표시되는 과정이 도 5에 도시되었다.
즉, 도 5의 (a), (b), (c), (d)의 순서대로 사용자 단말기(200)에 문제가 나타나는데, 사용자는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1초) 이내에 각 국어에 대응되는 영어 단어를 맞혀야 하는 것이다.
이때, 제2 응답 처리부(142)는, 3차 학습 상태 확인부(133)의 처리 진행 중 학습 대응 텍스트에 대한 사용자 응답이 해당 학습 대응 텍스트에 대응되는 학습 텍스트와 다른 경우 해당 학습 콘텐츠를 선별적으로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 5의 (b)와 (d) 문제에 대해 틀린 경우 제2 응답 처리부(142)는 'vulnerable - 취약한'과 'dormant - 휴면의' 학습 데이터에 대해서는 1을 마크하고, 'subject - 과목'과 'account - 계좌' 학습 데이터에 대해서는 0을 마크하여 0이 마크된 학습 데이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시 학습(문제 풀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즉, 4차 학습 상태 확인부(134)는 3차 학습 상태 확인부(133)의 처리 완료 후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된 각 학습 콘텐츠에 대해 학습 대응 텍스트가 표시되도록 한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응답을 대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즉, 상술한 예를 참조하면, 4차 학습 상태 확인부(134)는 도 5의 (b)와 (d)가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표시되도록 하면서 사용자 응답을 기다릴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2 응답 처리부(142)는 4차 학습 상태 확인부의 처리 진행 중 학습 대응 텍스트에 대한 사용자 응답이 해당 학습 대응 텍스트에 대응되는 학습 텍스트와 다른 경우 해당 학습 콘텐츠를 선별적으로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다시 포함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 5(b)의 표시 상태에서 'subject'를 맞혔으나, 도 (d)의 상태에서 'account'를 맞히지 못한 경우 제2 응답 처리부(142)는 'account - 계좌' 학습 콘텐츠를 다시 0으로 마크하여 다시 반복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 즉, 제2 응답 처리부(142)와 4차 학습 상태 확인부(134)의 기능은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학습 콘텐츠가 하나도 남아 있지 않을 때까지 반복 수행되는데, 이는 앞서 제1 응답 처리부(141)와 2차 학습 상태 확인부(132)의 기능이 반복 수행되는 과정과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이처럼 학습이 이루어진 학습 콘텐츠에 대하여, 먼저 학습 텍스트를 표시해 주면서 그에 매칭된 학습 대응 텍스트를 맞히라고 한 후, 그러한 과정이 완료된 후 이번에는 학습 대응 텍스트를 표시해 주면서 그에 매칭된 학습 텍스트를 맞히라고 하게 되면, 사용자의 학습 효율을 상당히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즉, 사람들은 대부분 학습 내용이 표시된 위치 등에 기반하여 기억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처럼 학습 대응 텍스트를 맞히라고 하는 문제를 제시한 후, 그러한 과정이 완료된 이후 학습 텍스트를 맞히라고 하는 문제를 제시하여 풀게 하면, 특정 위치에 종속된 기억이 아니라 학습 콘텐츠에 집중된 기억이 자리 잡게 되어 보다 오래도록 기억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5차 학습 상태 확인부(135)는 제2 응답 처리부(142)와 4차 학습 상태 확인부(134)의 반복 수행이 종료된 이후, 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된 각 학습 콘텐츠에 중 순서에 따라 제1 학습 콘텐츠 및 제2 학습 콘텐츠를 선택하고 그 제1 학습 콘텐츠의 학습 텍스트와 제2 학습 콘텐츠의 각 학습 텍스트를 추출한 후 연이어서 동시에 표시되도록 하고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응답을 대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예를 들어 5차 학습 상태 확인부(135)는 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된 순서에 따라 'vulnerable - 취약한'을 제1 학습 콘텐츠로 선택하고, 'subject - 과목'을 제2 학습 콘텐츠로 선택한 후, 제1 학습 콘텐츠의 학습 텍스트인 'vulnerable'과 제2 학습 콘텐츠의 학습 텍스트인 'subject'를 추출한 후 연이어서 동시에 표시되도록 하고 기 설정된 시간동안 사용자의 응답을 대기하는 것이다.
이후 5차 학습 상태 확인부(135)는 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된 순서에 따라 'dormant - 휴면의'를 제1 학습 콘텐츠로 선택하고, 'account - 계좌'를 제2 학습 콘텐츠로 선택한 후, 제1 학습 콘텐츠의 학습 텍스트인 'dormant'와 제2 학습 콘텐츠의 학습 텍스트인 'account'를 추출한 후 연이어서 동시에 표시되도록 하고 기 설정된 시간동안 사용자의 응답을 대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이 도 6에 도시되었다.
여기서 제3 응답 처리부(143)는 5차 학습 상태 확인부(135)의 처리 진행 중의 사용자 응답이 제1 학습 콘텐츠의 학습 대응 텍스트와 제2 학습 콘텐츠의 각 학습 대응 텍스트를 연이은 것과 다른 경우 해당 제1 학습 콘텐츠 및 제2 학습 콘텐츠 쌍을 선별적으로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6(a)와 같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취약한 과목'이라고 응답하는 경우 제3 응답 처리부(143)는 제1 학습 콘텐츠 및 제2 학습 콘텐츠 쌍인('vulnerable - 취약한', 'subject - 과목')에 대해서 '1'을 마크하고, 사용자가 '취약한 과목'을 맞히지 못한 경우에는 제1 학습 콘텐츠 및 제2 학습 콘텐츠 쌍인('vulnerable - 취약한', 'subject - 과목')에 대해서 '0'을 마크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추후 반복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6차 학습 상태 확인부(136)는 5차 학습 상태 확인부(135)의 처리 완료 후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된 각 제1 학습 콘텐츠 및 제2 학습 콘텐츠 쌍에 대해 학습 텍스트가 연이어 표시되도록 한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응답을 대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예를 들어 도 6의 과정을 거치면서 사용자가 모든 문제를 맞히지 못한 경우, 6차 학습 상태 확인부(136)는 도 5의 (a),(b) 과정을 다시 반복하고, 만일 사용자가 도 6(a)의 문제만 맞힌 경우 6차 학습 상태 확인부(136)는 도 5의 (b) 과정을 다시 반복하는 것이다.
이때 제3 응답 처리부(143)는, 6차 학습 상태 확인부(136)의 처리 진행 중의 사용자 응답이 제1 학습 콘텐츠의 학습 대응 텍스트와 제2 학습 콘텐츠의 각 학습 대응 텍스트를 연이은 것과 다른 경우 해당 제1 학습 콘텐츠 및 제2 학습 콘텐츠 쌍을 선별적으로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다시 포함시키는데, 이러한 제3 응답 처리부(143)와 6차 학습 상태 확인부(136)의 기능은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제1 학습 콘텐츠 및 제2 학습 콘텐츠 쌍이 하나도 남아 있지 않을 때까지 반복 수행됨이 앞서 다른 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7차 학습 상태 확인부(137)는,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제1 학습 콘텐츠 및 제2 학습 콘텐츠 쌍이 하나도 남아 있지 않은 경우, 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된 각 학습 콘텐츠에 중 순서에 따라 제1 학습 콘텐츠 및 제2 학습 콘텐츠를 선택하고 제1 학습 콘텐츠의 학습 대응 텍스트와 상기 제2 학습 콘텐츠의 각 학습 대응 텍스트를 추출한 후 연이어서 동시에 표시되도록 하고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응답을 대기한다.
또한, 제4 응답 처리부(144)는 7차 학습 상태 확인부(137)의 처리 진행 중 사용자 응답이 제1 학습 콘텐츠의 학습 텍스트와 제2 학습 콘텐츠의 학습 텍스트를 연이은 것과 다른 경우 해당 제1 학습 콘텐츠 및 제2 학습 콘텐츠 쌍을 선별적으로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8차 학습 상태 확인부(138)는 7차 학습 상태 확인부(137)의 처리 완료 후 상기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된 각 제1 학습 콘텐츠 및 제2 학습 콘텐츠 쌍에 대해 각 학습 대응 텍스트가 연이어 동시에 표시되도록 한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응답을 대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이후, 제4 응답 처리부(144)는 8차 학습 상태 확인부의 처리 진행 중 사용자 응답이 제1 학습 콘텐츠의 학습 텍스트와 제2 학습 콘텐츠의 학습 텍스트를 연이은 것과 다른 경우 해당 제1 학습 콘텐츠 및 제2 학습 콘텐츠 쌍을 선별적으로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다시 포함시키고, 이러한 제4 응답 처리부(144)와 8차 학습 상태 확인부(138)의 기능은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제1 학습 콘텐츠 및 제2 학습 콘텐츠 쌍이 하나도 남아 있지 않을 때까지 반복 수행된다.
상술한 7차 학습 상태 확인부(137), 제4 응답 처리부(144), 8차 학습 상태 확인부(138)에 의해 수행되는 과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사용자는 '취약한 과목'이라는 문제에 대해서는 'vulnerable subject'라는 답을 맞혀야 하고, '휴면 계좌'라는 문제에 대해서는 'dormant account'라는 답을 맞혀야 하는 것이다.
틀린 문제에 대해 반복적으로 수행됨은 앞서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이처럼 하나의 단어별로만 테스트를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된 순서대로 2개의 내용을 묶어 다시 학습을 하게 되면, 각 학습된 내용끼리의 연관성에 따라 학습 효율이 높아지고, 보다 오래도록 기억이 남게 되는 효과가 있다.
즉,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한 순서대로 2개씩의 단어를 묶어 추가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각 단어 하나씩만을 학습하는 것과 비교하여 오래도록 기억에 남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는 영어 단어와 그 뜻이 매칭된 것을 각 학습 콘텐츠인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학습 콘텐츠의 학습 텍스트는 일종의 '약어'이고 학습 대응 텍스트는 '원래의 단어(즉, 확장 단어)'일 수 있다.
도 8에서는 확장 단어가 학습 대응 텍스트에 해당하고, 그 확장 단어의 각 첫 글자가 학습 텍스트인 것을 일 예로 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추가 학습 처리부(150)는 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된 각 학습 콘텐츠의 학습 텍스트를 순서대로 추출하여 음률을 이루는 음성으로 출력한 후,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저장부(110)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추가 학습 처리부(150)는, 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된 각 학습 콘텐츠의 학습 텍스트를 순서대로 추출하여 음률을 이루는 음성으로 출력하고, 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된 각 학습 콘텐츠의 학습 대응 텍스트를 순서대로 추출하여 음률을 이루는 음성으로 출력하는 과정을 모두 거친 후,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저장부(11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추가 학습 처리부(150)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출력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100)의 전체적인 학습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등록된 학습 내용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단계 S1).
학습이 다 이루어진 후,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테스트를 수행하는데, 이때 학습 내용 중 일부를 기 설정된 시간동안 표시하지 않는 방식으로 테스트가 이루어질 수 있다(단계 S3).
이후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가 맞히지 못한 내용들(학습 콘텐츠)만을 대상으로 추가 테스트를 수행하는데(단계 S5), 이러한 과정은 사용자가 틀린 문제가 없어질 때까지 반복된다(단계 S7).
도 10은 도 9에서 이루어지는 테스트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것이다. 도 10에서는 도 2와 같이 '영어 단어-한글 의미'로 이루어진 학습 콘텐츠에 대한 테스트 진행을 일 예로 하여 나타내고 있다.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학습된 내용에 대해 테스트를 진행함에 있어서, 먼저 영어 단어를 표시하여 각 영어 단어에 대응되는 한글 의미를 맞히도록 한다(단계 S11).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사용자가 모든 영어 단어에 대한 한글 의미를 모두 맞힌 경우,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한글 의미를 표시하여 각 한글 의미에 대응되는 영어 단어를 맞히도록 한다(단계 S13).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사용자가 모든 한글 의미에 대한 영어 단어를 모두 맞힌 경우,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이미 학습한 영어 단어 중 순서에 따른 2 개의 영어 단어를 조합하여 표시하여 그 조합된 영어 구에 대응되는 한글 의미를 맞히도록 한다(단계 S15).
이후,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이미 학습한 한글 의미 중 순서에 따른 2 개의 한글 의미를 조합하여 표시하여 그 조합된 한글 의미에 대응되는 영어 구를 맞히도록 한다(단계 S17).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단어를 조합하여 재차 학습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언급하였지만, 문장을 완성하기 위해 다른 단어들이 포함된 학습이 진행될 수도 있고, 또는 2의 배수 단위의 단어가 조합되어 재차 학습될 수도 있고, 이러한 과정은 무한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언급한 응답 처리부(140)는 0과 1에 기초한 이진 원리를 이용하여 처리하게 되는데, 구체적으로 학습 콘텐츠에 대한 문제(테스트)에 대해 사용자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에만 맞히도록 하고, 그 결과에 따라 각 학습 콘텐츠를 0과 1로 마크하여 구분하여 관리하고, 그 중 0으로 마크된 학습 콘텐츠에 대해 반복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또한 2의 배수배로 학습 콘텐츠 조합(예를 들어 단어 조합)을 생성한 후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등 2진 원리를 학습 방법에 적용함으로써, 본 발명은 상당한 학습 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순간적(기 설정된 시간이 1초 이내)으로 맞히지 못하는 것은 모르는 것으로 간주('0'으로 마크) 함으로써, 반사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학습이 이루어진 내용들에 대한 기억은 오래도록 보존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1차 학습 상태 확인부(131), 2차 학습 상태 확인부(132), 3차 학습 상태 확인부(133), 4차 학습 상태 확인부(134), 5차 학습 상태 확인부(135), 6차 학습 상태 확인부(136), 7차 학습 상태 확인부(137), 8차 학습 상태 확인부(138)에 의한 학습 텍스트 또는 학습 대응 텍스트의 출력은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학습 텍스트 또는 학습 대응 텍스트의 출력은 음률을 이루는 음성으로 출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배경 사운드와 함께 그 배경 사운드에 대응되는 곡조로 학습 텍스트 또는 학습 대응 텍스트가 출력되어 학습자의 기억 향상을 도모할 수도 있다.
또한,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학습 콘텐츠에서 순서에 따라 학습 텍스트를 추출하여 운율에 맞춘 음성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추가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vulnerable'와 'subject'이라는 영어 단어를 학습한 이후에, 'I have a vulnerable subject' 라는 학습 텍스트 또는 '나는 취약한 과목이 있다'라는 학습 대응 텍스트를 하나씩 또는 연이어서 운율에 맞춘 음성으로 출력할 수도 있는 것이다.
물론 여기서는 사용자가 'I', 'have', 'a' 라는 영어 단어에 대한 학습이 이루어진 상태라 가정하는 것이다.
이때 사용자는 음성으로 따라 말하고 이에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저장한 후, 추후 다시 들려줄 수도 있다.
다른 예로써, 도 8과 같은 텍스트 콘텐츠에 대한 학습이 이루어 진후, '구석기 사람들은 동굴이나 막집을 짓고 불을 사용하고 뗀석기를 이용하며 이동생활을 했다'라는 내용이 운율에 맞춘 음성으로 출력할 수도 있고, 이때 사용자는 음성으로 따라 말하고 이에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저장한 후, 추후 다시 들려줄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칠 때 완전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하는 과정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기록 매체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전자적 기록 매체,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적 기록 매체, CD(Compact Disk)와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때,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되어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의 기능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이러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 :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 200 : 사용자 단말기
110 : 저장부 120 : 학습 수행부
130 : 학습 상태 확인부 140 : 응답 처리부
150 : 추가 학습 처리부

Claims (27)

  1. (a) 하나의 학습 텍스트와 하나의 학습 대응 텍스트를 서로 매칭시킨 학습 콘텐츠를 복수 개 구비한 상태에서, 기 설정된 개수의 학습 콘텐츠를 학습 콘텐츠 그룹으로 선정하고, 그 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된 각 학습 콘텐츠의 학습 텍스트 및 그에 대응되는 학습 대응 텍스트가 표시되도록 하여 학습시키는 단계와;
    (b) 상기 (a) 단계 이후에, 상기 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된 각 학습 콘텐츠에 대해 학습 텍스트가 표시되도록 한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응답을 대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단계와;
    (c) 상기 (b) 단계의 진행 중 학습 텍스트에 대한 상기 설정된 시간동안의 사용자 응답이 해당 학습 텍스트에 대응되는 학습 대응 텍스트와 다른 경우 해당 학습 콘텐츠를 선별적으로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시키는 단계와;
    (d) 상기 (b) 단계 완료 후 상기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된 각 학습 콘텐츠에 대해 학습 텍스트가 표시되도록 한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응답을 대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 단계에서는, 상기 (c) 단계 이후에 상기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된 학습 콘텐츠의 양을 기초로 대기 시간을 산출하고, 그 산출한 대기 시간 동안 사용자 응답을 대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의 제어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e) 상기 (d) 단계의 진행 중 학습 텍스트에 대한 사용자 응답이 해당 학습 텍스트에 대응되는 학습 대응 텍스트와 다른 경우 해당 학습 콘텐츠를 선별적으로 상기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다시 포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d) 단계 완료 후 판단한 결과 상기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학습 콘텐츠가 하나도 남아 있지 않을 때까지 상기 (d) 단계 내지 상기 (e) 단계를 반복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의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f) 상기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학습 콘텐츠가 하나도 남아 있지 않은 경우, 상기 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된 각 학습 콘텐츠에 대해 학습 대응 텍스트가 표시되도록 한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응답을 대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단계와;
    (g) 상기 (f) 단계의 진행 중 학습 대응 텍스트에 대한 사용자 응답이 해당 학습 대응 텍스트에 대응되는 학습 텍스트와 다른 경우 해당 학습 콘텐츠를 선별적으로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시키는 단계와;
    (h) 상기 (f) 단계 완료 후 상기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된 각 학습 콘텐츠에 대해 학습 대응 텍스트가 표시되도록 한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응답을 대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i) 상기 (h) 단계의 진행 중 학습 대응 텍스트에 대한 사용자 응답이 해당 학습 대응 텍스트에 대응되는 학습 텍스트와 다른 경우 해당 학습 콘텐츠를 선별적으로 상기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다시 포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j) 상기 (h) 단계 완료 후 판단한 결과 상기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학습 콘텐츠가 하나도 남아 있지 않을 때까지 상기 (h) 단계 내지 상기 (i) 단계를 반복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k) 상기 (j) 단계 이후에, 상기 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된 각 학습 콘텐츠에 중 순서에 따라 제1 학습 콘텐츠 및 제2 학습 콘텐츠를 선택하고 상기 제1 학습 콘텐츠의 학습 텍스트와 상기 제2 학습 콘텐츠의 학습 텍스트를 추출한 후 연이어서 동시에 표시되도록 하고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응답을 대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l) 상기 (k) 단계의 진행 중 사용자 응답이 상기 제1 학습 콘텐츠의 학습 대응 텍스트와 상기 제2 학습 콘텐츠의 학습 대응 텍스트를 연이은 것과 다른 경우 해당 제1 학습 콘텐츠 및 제2 학습 콘텐츠 쌍을 선별적으로 상기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다시 포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m) 상기 (k) 단계 완료 후 판단한 결과 상기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상기 제1 학습 콘텐츠 및 제2 학습 콘텐츠 쌍이 하나도 남아 있지 않을 때까지 상기 (k) 단계 내지 상기 (l) 단계를 반복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n) 상기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학습 콘텐츠가 하나도 남아 있지 않은 경우, 상기 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된 각 학습 콘텐츠에 중 순서에 따라 제1 학습 콘텐츠 및 제2 학습 콘텐츠를 선택하고 상기 제1 학습 콘텐츠의 학습 대응 텍스트와 상기 제2 학습 콘텐츠의 학습 대응 텍스트를 추출한 후 연이어서 동시에 표시되도록 하고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응답을 대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o) 상기 (n) 단계의 진행 중 사용자 응답이 상기 제1 학습 콘텐츠의 학습 텍스트와 상기 제2 학습 콘텐츠의 학습 텍스트를 연이은 것과 다른 경우 해당 제1 학습 콘텐츠 및 제2 학습 콘텐츠 쌍을 선별적으로 상기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다시 포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p) 상기 (n) 단계 완료 후 판단한 결과 상기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상기 제1 학습 콘텐츠 및 제2 학습 콘텐츠 쌍이 하나도 남아 있지 않을 때까지 상기 (n) 단계 내지 상기 (o) 단계를 반복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의 제어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는 사용자 응답이 음성 신호인 경우, 음성 인식 과정을 거쳐 해당 음성 신호에 대응되는 응답 텍스트를 추출하고, 그 응답 텍스트를 상기 학습 텍스트의 학습 대응 텍스트와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항, 제3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2.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1항, 제3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
  13. 하나의 학습 텍스트와 하나의 학습 대응 텍스트를 서로 매칭시킨 학습 콘텐츠를 복수 개 저장된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 개의 학습 콘텐츠 중 기 설정된 개수의 학습 콘텐츠를 학습 콘텐츠 그룹으로 선정하고, 그 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된 각 학습 콘텐츠의 학습 텍스트 및 그에 대응되는 학습 대응 텍스트가 출력되도록 하여 학습시키는 학습 수행부와;
    상기 학습 수행부의 학습 처리 후에, 상기 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된 각 학습 콘텐츠에 대해 학습 텍스트가 출력되도록 한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응답을 대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1차 학습 상태 확인부와;
    상기 1차 학습 상태 확인부의 처리 진행 중 학습 텍스트에 대한 상기 설정된 시간동안의 사용자 응답이 해당 학습 텍스트에 대응되는 학습 대응 텍스트와 다른 경우 해당 학습 콘텐츠를 선별적으로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시키는 제1 응답 처리부와;
    상기 1차 학습 상태 확인부의 처리 완료 후 상기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된 각 학습 콘텐츠에 대해 학습 텍스트가 출력되도록 한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응답을 대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2차 학습 상태 확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2차 학습 상태 확인부는 상기 제1 응답 처리부의 처리 완료 이후에 상기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된 학습 콘텐츠의 양을 기초로 대기 시간을 산출하고, 그 산출한 대기 시간 동안 사용자 응답을 대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
  14. 삭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응답 처리부는, 상기 2차 학습 상태 확인부의 처리 진행 중 학습 텍스트에 대한 사용자 응답이 해당 학습 텍스트에 대응되는 학습 대응 텍스트와 다른 경우 해당 학습 콘텐츠를 선별적으로 상기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다시 포함시키고,
    상기 제1 응답 처리부와 상기 2차 학습 상태 확인부의 기능은 상기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학습 콘텐츠가 하나도 남아 있지 않을 때까지 반복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학습 콘텐츠가 하나도 남아 있지 않은 경우, 상기 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된 각 학습 콘텐츠에 대해 학습 대응 텍스트가 출력되도록 한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응답을 대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3차 학습 상태 확인부와;
    상기 3차 학습 상태 확인부의 처리 진행 중 학습 대응 텍스트에 대한 사용자 응답이 해당 학습 대응 텍스트에 대응되는 학습 텍스트와 다른 경우 해당 학습 콘텐츠를 선별적으로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시키는 제2 응답 처리부와;
    상기 3차 학습 상태 확인부의 처리 완료 후 상기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된 각 학습 콘텐츠에 대해 학습 대응 텍스트가 출력되도록 한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응답을 대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4차 학습 상태 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응답 처리부는 상기 4차 학습 상태 확인부의 처리 진행 중 학습 대응 텍스트에 대한 사용자 응답이 해당 학습 대응 텍스트에 대응되는 학습 텍스트와 다른 경우 해당 학습 콘텐츠를 선별적으로 상기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다시 포함시키고,
    상기 제2 응답 처리부와 상기 4차 학습 상태 확인부의 기능은 상기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학습 콘텐츠가 하나도 남아 있지 않을 때까지 반복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응답 처리부와 상기 4차 학습 상태 확인부의 반복 수행이 종료된 이후, 상기 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된 각 학습 콘텐츠에 중 순서에 따라 제1 학습 콘텐츠 및 제2 학습 콘텐츠를 선택하고 상기 제1 학습 콘텐츠의 학습 텍스트와 상기 제2 학습 콘텐츠의 각 학습 텍스트를 추출한 후 연이어서 동시에 출력되도록 하고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응답을 대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5차 학습 상태 확인부와;
    상기 5차 학습 상태 확인부의 처리 진행 중의 사용자 응답이 상기 제1 학습 콘텐츠의 학습 대응 텍스트와 상기 제2 학습 콘텐츠의 각 학습 대응 텍스트를 연이은 것과 다른 경우 해당 제1 학습 콘텐츠 및 제2 학습 콘텐츠 쌍을 선별적으로 상기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시키는 제3 응답 처리부와;
    상기 5차 학습 상태 확인부의 처리 완료 후 상기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된 각 제1 학습 콘텐츠 및 제2 학습 콘텐츠 쌍에 대해 학습 텍스트가 연이어 출력되도록 한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응답을 대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6차 학습 상태 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응답 처리부는, 상기 6차 학습 상태 확인부의 처리 진행 중의 사용자 응답이 상기 제1 학습 콘텐츠의 학습 대응 텍스트와 상기 제2 학습 콘텐츠의 각 학습 대응 텍스트를 연이은 것과 다른 경우 해당 제1 학습 콘텐츠 및 제2 학습 콘텐츠 쌍을 선별적으로 상기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다시 포함시키고,
    상기 제3 응답 처리부와 상기 6차 학습 상태 확인부의 기능은 상기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제1 학습 콘텐츠 및 제2 학습 콘텐츠 쌍이 하나도 남아 있지 않을 때까지 반복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제1 학습 콘텐츠 및 제2 학습 콘텐츠 쌍이 하나도 남아 있지 않은 경우, 상기 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된 각 학습 콘텐츠에 중 순서에 따라 제1 학습 콘텐츠 및 제2 학습 콘텐츠를 선택하고 상기 제1 학습 콘텐츠의 학습 대응 텍스트와 상기 제2 학습 콘텐츠의 각 학습 대응 텍스트를 추출한 후 연이어서 동시에 출력되도록 하고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응답을 대기하는 7차 학습 상태 확인부와;
    상기 7차 학습 상태 확인부의 처리 진행 중 사용자 응답이 상기 제1 학습 콘텐츠의 학습 텍스트와 상기 제2 학습 콘텐츠의 학습 텍스트를 연이은 것과 다른 경우 해당 제1 학습 콘텐츠 및 제2 학습 콘텐츠 쌍을 선별적으로 상기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시키는 제4 응답 처리부와;
    상기 7차 학습 상태 확인부의 처리 완료 후 상기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된 각 제1 학습 콘텐츠 및 제2 학습 콘텐츠 쌍에 대해 각 학습 대응 텍스트가 연이어 동시에 출력되도록 한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응답을 대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8차 학습 상태 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응답 처리부는 상기 8차 학습 상태 확인부의 처리 진행 중 사용자 응답이 상기 제1 학습 콘텐츠의 학습 텍스트와 상기 제2 학습 콘텐츠의 학습 텍스트를 연이은 것과 다른 경우 해당 제1 학습 콘텐츠 및 제2 학습 콘텐츠 쌍을 선별적으로 상기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다시 포함시키고,
    상기 제4 응답 처리부와 상기 8차 학습 상태 확인부의 기능은 상기 재학습 콘텐츠 그룹에 제1 학습 콘텐츠 및 제2 학습 콘텐츠 쌍이 하나도 남아 있지 않을 때까지 반복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응답 처리부는 사용자 응답이 음성 신호인 경우, 음성 인식 과정을 거쳐 해당 음성 신호에 대응되는 응답 텍스트를 추출하고, 그 응답 텍스트를 상기 학습 텍스트의 학습 대응 텍스트와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응답 처리부, 상기 제2 응답 처리부, 상기 제3 응답 처리부, 상기 제4 응답 처리부는 0과 1에 기초한 이진 원리를 이용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학습 상태 확인부, 상기 2차 학습 상태 확인부, 상기 3차 학습 상태 확인부, 상기 4차 학습 상태 확인부, 상기 5차 학습 상태 확인부, 상기 6차 학습 상태 확인부, 상기 7차 학습 상태 확인부, 상기 8차 학습 상태 확인부에 의한 학습 텍스트 또는 학습 대응 텍스트의 출력은 화면에의 표시와, 음률을 이루는 음성 출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
  2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된 각 학습 콘텐츠의 학습 텍스트를 순서대로 추출하여 음률을 이루는 음성으로 출력한 후,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저장하는 추가 학습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학습 처리부는, 상기 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된 각 학습 콘텐츠의 학습 텍스트를 순서대로 추출하여 음률을 이루는 음성으로 출력하고, 상기 학습 콘텐츠 그룹에 포함된 각 학습 콘텐츠의 학습 대응 텍스트를 순서대로 추출하여 음률을 이루는 음성으로 출력한 후,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
  27.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학습 처리부는 상기 저장된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

KR1020170030161A 2017-03-09 2017-03-09 이진 원리를 이용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1918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161A KR101918839B1 (ko) 2017-03-09 2017-03-09 이진 원리를 이용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161A KR101918839B1 (ko) 2017-03-09 2017-03-09 이진 원리를 이용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4802A KR20170034802A (ko) 2017-03-29
KR101918839B1 true KR101918839B1 (ko) 2018-11-14

Family

ID=58498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161A KR101918839B1 (ko) 2017-03-09 2017-03-09 이진 원리를 이용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88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9735A (ko) 2021-02-24 2021-03-16 백석문화대학교 산학협력단 주니어 영어학습을 위한 화면 전환 시 반복 지각적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3528A (ja) * 2003-01-29 2004-08-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語学学習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4661A (ko) 2004-08-02 2004-08-25 김은영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온라인 영어교육 가이드 시스템 및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3528A (ja) * 2003-01-29 2004-08-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語学学習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4802A (ko) 201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7626B2 (en) Interactive system and method for multi-sensory learning
Kam et al. Localized iterative design for language learning in underdeveloped regions: the PACE framework
AU2020104421A4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active learning
CN109801527B (zh) 用于输出信息的方法和装置
US20150254999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xtual vocabulary acquisition through association
CN112053595B (zh) 由计算机实现的训练系统
CN110796911A (zh) 一种自动产生测试题目的语言学习系统及其语言学习方法
JP2018180299A (ja) 単語習得訓練システム
US10373516B2 (en) Method for facilitating contextual vocabulary acquisition through association
KR101918839B1 (ko) 이진 원리를 이용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Lyons The personal self in a public story: The portfolio presentation narrative
KR20150101756A (ko) 단어학습방법 및 시스템
KR20090009626U (ko)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4대 요소를 이용한 영어학습프로그램
Alsunaidi et al. Abjad: Towards interactive learning approach to arabic reading based on speech recognition
EP3614330A1 (en) Learning content providing device using binary principle, and method therefor
Harris Issues related to the presence of Japanese loanwords of English origin on vocabulary size tests
KR20190070682A (ko) 강의 콘텐츠 구성 및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30743A (ko) 단어 연상 암기 방법 및 시스템
KR20100135538A (ko) 단어 암기 서비스 제공 방법과 그를 위한 서버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JP6225236B1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2002182554A (ja) 綴り学習方法及びシステム
Shivakumar et al. AI-ENABLED LANGUAGE SPEAKING COACHING FOR DUAL LANGUAGE LEARNERS.
CN112307748A (zh) 用于处理文本的方法和装置
CN112948650B (zh) 学习效果展示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KR20200041010A (ko) 단어학습방법 및 시스템체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