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8633B1 - 돼지 사육을 위한 항온 축사환경 조절 통합시스템 - Google Patents

돼지 사육을 위한 항온 축사환경 조절 통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8633B1
KR101918633B1 KR1020180047866A KR20180047866A KR101918633B1 KR 101918633 B1 KR101918633 B1 KR 101918633B1 KR 1020180047866 A KR1020180047866 A KR 1020180047866A KR 20180047866 A KR20180047866 A KR 20180047866A KR 101918633 B1 KR101918633 B1 KR 101918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point
housing
thermal imaging
imaging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7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상수
조승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근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근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근옥
Priority to KR1020180047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86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8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8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48Thermography; Techniques using wholly visu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 H04N5/33Transforming infrared radi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돼지 사육을 위한 항온 축사환경 조절 통합시스템은 상하좌우로 회전이 가능한 열화상카메라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통해 축사 내의 온도 및 돼지 개체의 체온을 측정하고, 이를 통해 실내 온도의 변화 원인과 같은 이상 징후를 관찰하고 해소함으로써 돼지의 이상 징후를 관찰하고, 돼지의 집단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며 증체량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많은 노동력을 들이지 않고도 돼지의 폐사를 최소화할 수 있어 동물 복지 향상과 모돈두당 연간출하두수(Marketed per Sow per Year, MSY)의 증가, 전염병 발생율 감소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돼지 사육을 위한 항온 축사환경 조절 통합시스템{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of a constant temperature stable for pig breeding}
본 발명은 돼지 사육을 위한 항온 축사환경 조절 통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상하좌우로 회전이 가능한 열화상카메라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통해 축사 내의 온도 및 돼지 개체의 체온을 측정하고, 이를 통해 실내 온도의 변화 원인과 같은 이상 징후를 관찰하고 이를 해소함으로써 돼지의 집단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고 증체량을 예측하는 것인 축사환경 조절 통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농업은 노동력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농업시장의 개방으로 자체적인 경쟁력을 확보하지 않으면 장기적인 어려움이 예상되고 있다. 과거의 축사환경에서 탈피하기 위해서는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관련 기술을 도입하여 축사 경쟁력을 확보할 필요성이 있다.
다양한 가축 중 돼지는 성장에 있어 외부환경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특히 돼지의 경우 땀구멍이 없어 체온 조절이 어렵기 때문에 온도변화는 돼지의 스트레스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이며, 돼지가 받는 스트레스에 따라 사료섭취나 장기적 스트레스로 인한 폐사 등 돼지 사육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환경조건 유지가 중요하다. 특히 육성 돈사(돼지사)에서 성장하는 돼지는 무게에 따라 유지해야 하는 적정 온도가 지속해서 변화하며, 온도변화에 따른 스트레스로 인해 폐사율이 높기 때문에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돈사의 온도관리를 위해서는 효과적인 단열 및 샛바람 관리가 필요하다. 돈사의 적합한 단열로 인한 외부온도의 영향을 없애야 돈사 내부의 온도를 적절하게 통제할 수 있다. 단열과 체계적인 돈사 관리를 위해 현재는 많은 무창돈사가 보급되고 있으며, 설계 과정에서 지속적인 보완을 통해 돈사의 열손실을 최소화하고 있다.
단열과 더불어 겨울철에 세심하게 관리해야 하는 부분은 샛바람 관리이다. 샛바람은 입기창을 제외한 돈사 외부에서 내부로 들어오는 바람을 말하는데, 틈새를 통해 찬바람이 바로 돼지에게 전달될 경우 스트레스와 환경적 온도변화로 인한 피해가 발생한다. 이러한 샛바람이 많이 유입되는 경우, 입기창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적어지고 음압이 제대로 걸리지 않아 공기 순환이 원활하지 않은 문제를 발생시키게 된다.
축사의 환기와 관련된 기술로는 공개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33190는 축사의 틈새를 모두 막고, 급기가 가능한 배관을 팬 모터와 연결하여 축사 안에서 공기 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써 단순히 공기 압력으로 온도 조절이 가능할 뿐, 축사의 노후화로 틈새가 발생하였을 때 온도변화를 해결하기 어려운 구조로 한정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19866 (2004년 03월 06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하좌우로 회전이 가능한 열화상카메라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통해 축사 내의 온도 및 돼지 개체의 체온을 측정하고, 이를 통해 실내 온도의 변화 원인과 같은 이상 징후를 관찰하고 해소함으로써 돼지의 집단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고 증체량을 예측하는 것인 축사환경 조절 통합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돼지 사육을 위한 항온 축사환경 조절 통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축사 내의 열화상 정보를 수집하는 열화상카메라;
상기 열화상카메라로부터 전달받은 열화상 정보를 근거로 상기 축사 내부의 온도 분포를 분석하여, 축사에 틈새가 발생한 지점이나 온도 저하 지점을 확인하는 영상분석부;
상기 영상분석부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근거로 축사 내의 온도, 습도, 풍향 및 풍속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환경 조건을 조절하는 명령을 생성하는 관제부; 및
관제부를 통해 전달받은 명령을 바탕으로 축사 내의 온도, 습도, 풍향 및 풍속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환경 조건을 조절하는 공조부를 포함하는 조절부;
를 포함하며, 상기 관제부는 열화상카메라로부터 감지된 축사 내의 온도변화 측정값을 설정된 온도값와 비교하여 측정값과 설정값의 차이에 따라 공조부를 제어하는 특징으로 하는 돼지 사육을 위한 항온 축사환경 조절 통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통합시스템이 구비된 축사는, 바닥과 벽체 및 지붕을 포함하여 구비되되, 바닥과 벽체를 연결하는 모서리, 벽체와 벽체를 연결하는 모서리 및 지붕과 벽체를 연결하는 모서리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모서리에 열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열선은 50℃ 이상의 온도로 유지되어 상기 축사에 틈새가 발생한 지점 또는 온도 저하 지점의 좌표를 결정하는 기준선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화상카메라는 360˚ 전방위를 촬영하는 회전식으로 구비되며, 상기 축사에 틈새가 발생한 지점 또는 온도 저하 지점의 좌표는, 상기 열화상카메라와 지점간의 거리(d) 및 상기 열화상카메라에서 바라본 지점의 방향(θ)으로 결정되며, 상기 열화상카메라를 기준으로 하는 하기의 극좌표계;
[극좌표계]
Figure 112018041117298-pat00001
,
Figure 112018041117298-pat00002
(상기 극좌표계에서 x 및 y는 극좌표계에서 해당 지점의 위치를 나타낸다.)
로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상기 열화상카메라는 임의의 지점을 촬영하는 고정식으로 구비되며, 상기 축사에 틈새가 발생한 지점 또는 온도 저하 지점의 좌표는, 임의의 지점을 향하도록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열화상카메라로부터 수득된 2차원(x, y) 값으로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합시스템은, 각각 담당 구역이 정해진 다수의 공조부가 지정된 위치마다 설치되고, 상기 관제부는 상기 영상분석부 및 열선을 통해 분석된 축사에 틈새가 발생한 지점 또는 온도 저하 지점을 담당하는 공조부에 환경조건을 변경하는 명령을 송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돼지 사육을 위한 항온 축사환경 조절 통합시스템은 상하좌우로 회전이 가능한 열화상카메라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통해 축사 내의 온도 및 돼지 개체의 체온을 측정하고, 이를 통해 실내 온도의 변화 원인과 같은 이상 징후를 관찰하고 해소함으로써 돼지의 이상 징후를 관찰하고, 돼지의 집단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며 증체량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많은 노동력을 들이지 않고도 돼지의 폐사를 최소화할 수 있어 동물 복지 향상과 모돈두당 연간출하두수(Marketed per Sow per Year, MSY)의 증가, 전염병 발생율 감소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사환경 조절 통합시스템이 적용된 축사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선이 도입되지 않은 축사를 열화상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선이 도입된 축사를 열화상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에 크랙이 발생하였을 때 크랙 주변의 공조부가 작동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사환경 조절 통합시스템의 전체 진행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구체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돼지 사육을 위한 항온 축사환경 조절 통합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구체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구체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구체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기재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돼지’는 품종에 관계없이 고기의 수득을 위해 또는 기타 이유로 사육하는 소목 멧돼지과에 속하는 가축(Sus scrofa domesticus.)으로, 본 발명에서는 모돈(번식용 암퇘지), 웅돈(번식용 숫퇘지), 포유자돈(어미젖을 먹고 있는 새끼돼지), 이유자돈(젖을 뗀 후 70일령까지의 새끼돼지), 육성돈(이유자돈 단계를 지나 출하 또는 분양시기까지 키우는 돼지), 경산돈(분만 경혐이 있는 모돈), 검정돈(종단사용을 목적으로 등록된 모돈과 웅돈), 후보돈(출산 경험이 없는 암컷 돼지)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축사환경 조절 통합시스템은 도 1, 2 및 6과 같이 축사 내의 열화상 정보를 수집하는 열화상카메라(100); 상기 열화상카메라로부터 전달받은 열화상 정보를 근거로 상기 축사 내부의 온도 분포를 분석하여, 축사에 틈새가 발생한 지점이나 온도 저하 지점을 확인하는 영상분석부(200); 상기 영상분석부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근거로 축사 내의 온도, 습도, 풍향 및 풍속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환경 조건을 조절하는 명령을 생성하는 관제부(300); 및 관제부를 통해 전달받은 명령을 바탕으로 축사 내의 온도, 습도, 풍향 및 풍속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환경 조건을 조절하는 공조부를 포함하는 조절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열화상카메라(100)는 축사 내부의 온도 변화를 촬영하여 온도 변화가 발생한 특정 지점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생성하는 곳으로, 축사의 노후화로 인한 틈새(crack)가 발생하였을 때, 해당 지점의 온도와 축사 내의 다른 지점의 온도를 촬영하여 이를 관제부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열화상 센서는 축사 내의 온도변화뿐만 아니라 돼지의 피부 표면의 온도를 측정하여 이를 영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가축이 질병 등으로 인해 이상이 발생하거나, 축사가 노후하여 난방이 제대로 되지 않거나, 축사 내의 환기, 난방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하여 공기의 흐름이 불규칙하거나, 돼지의 밀집도가 증가하는 경우 체온이 정상 범위 이상으로 상승하므로,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축사 내벽 및 가축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열화상카메라는 도 3과 같이 임의의 한 지점을 촬영하였을 때 전체 온도 분포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3에서 돼지의 경우 항온동물이므로 전체 면적에 걸쳐 진하게 표시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벽채에 크랙이 발생하여 해당 크랙 주변의 기온이 올라가거나 떨어지는 경우, 도 3과 같이 해당 크랙 주변의 공기가 해당 크랙을 중심으로 동심원 형상으로 온도 분포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열화상카메라의 동작을 통해 축사의 해당 촬영 지점에서 벽채, 모서리 등에 크랙의 발생 유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시스템에서 더 상세하게 상기 열화상카메라는 구동 형태에 따라 360˚ 전방위를 촬영하는 회전식 또는 임의의 지점을 촬영하는 고정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화상카메라가 회전식으로 구비되는 경우 하나 또는 복수의 열화상카메라가 구비되고, 이들을 축사 곳곳에 고정하여 설치하되 팬틸트유닛(pan-tilt unit)이 있어 열화상 촬영이 가능한 렌즈부가 고정되어 있는 몸체를 기준으로 상하좌우로 회전되는 것이 특정 개체 및 주변 환경변화의 인지가 가능하여 바람직하다.
상기 열화상카메라는 회전 반경 및 회전각도, 회전 시간을 한정하지 않으며, 이들은 모두 후술할 관제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즉 관제부의 제어 명령에 따라 축사 전체를 일정 간격으로 관찰할 수도 있으며, 틸팅(tilting) 각도 및 패닝(panning) 각도를 조절하여 특정 영역을 연속적으로 관찰할 수도 있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열화상카메라가 회전식으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축사에 틈새가 발생한 지점 또는 온도 저하 지점의 좌표는, 상기 열화상카메라와 축사에 틈새가 발생한 지점 또는 온도 저하 지점간의 거리(d) 및 상기 열화상카메라에서 바라본 지점의 방향(θ)으로 결정되며, 상기 열화상카메라를 기준으로 하는 하기의 극좌표계;
[극좌표계]
Figure 112018041117298-pat00003
,
Figure 112018041117298-pat00004
(상기 극좌표계에서 x 및 y는 극좌표계에서 해당 지점의 위치를 나타낸다.)
로 산출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열화상 카메라가 축사에 틈새가 발생한 지점 또는 온도 저하 지점을 발견하였을 때, 상기 지점에서 축사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되 상기 열화상 카메라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임의의 선을 연결하고, 상기 선을 구성하는 여러 점 중 상기 열화상 카메라와 동일한 높이의 점을 기준점으로 정한다. 즉, 상기 기준점, 열화상 카메라, 지점을 가상의 선으로 연결하였을 때 상기 가상의 선이 직각삼각형을 이루도록 기준점을 정한다. 그리고 상기 열화상카메라와 축사에 틈새가 발생한 지점 또는 온도 저하 지점간의 거리(d) 및 상기 열화상카메라에서 바라본 지점의 방향(θ) 또는 상기 열화상 카메라를 중심으로 상기 열화상 카메라와 기준점을 연결한 선과 상기 열화상 카메라와 지점을 연결한 선이 이루는 각을 상기 극좌표계에 대입함으로써 간단히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화상 카메라가 고정식으로 구비되는 경우 임의의 지점을 향하도록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열화상카메라로부터 수득된 2차원(x, y) 값으로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열화상 카메라가 고정식으로 구비되는 경우, 항상 임의의 지점을 향하여 촬영되므로, 해당 지점과의 거리가 고정되며, 촬영되는 면의 넓이 및 형태가 고정된다. 따라서 촬영 이미지 면의 가로를 x로, 세로를 y로 정하면 열화상 카메라의 좌표계를 통해 해당 지점의 좌표가 (X1,Y1), (X2,Y2), (X3,Y3) 등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열화상 카메라 중에 어느 하나의 열화상 카메라가 축사에 틈새가 발생한 지점 또는 온도 저하 지점을 발견하였다면, 해당 열화상 카메라의 좌표계를 확인하여 상기 지점의 좌표를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더욱 정확한 좌표를 수득하기 위해 다수의 열화상 카메라가 해당 지점을 촬영하고, 이를 설치 관련 세팅값, 연산에 의해 해당 지점의 3차원 위치 정보와 거리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열화상카메라는 하나 또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나, 위치 정보의 왜곡을 보정하기 위해 다수의 열화상카메라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거리에 따른 측정온도 차이를 보정하고, 상호간의 오차를 수정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열화상카메라와 이상 지점간의 거리를 쉽게 알 수 있도록 적외선 센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시스템은 상기 열화상카메라와는 별개로 축사 내의 특정 부분에 대한 온도, 습도, 조도, 풍향 및 풍속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환경 정보를 수득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환경 정보를 수득하기 위한 것이라면 센서의 종류, 구비 형태, 구비 위치 등을 한정하지 않으며, 일예로, 상기 센서부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조도센서 및 기체농도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열화상카메라와는 별개로 축사 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후술할 습도센서와 연계되어 축사 내의 온도를 확인함과 동시에 온도 변화를 예측하여 난방부, 공조부, 급여부에 제공되는 명령의 내용을 확정할 수 있다.
상기 습도센서는 축사 내의 습도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관제부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관제부에서는 열화상카메라 및 온도센서와 연계하여 축사 내의 습도 정보, 온도 정보 및 가축 피부의 체온을 바탕으로 축사 내의 온도 변화를 예측하고 조절부에 내리는 명령을 확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체농도센서는 축사 내 공기 중에 존재하는 여러 기체 성분 중 온실효과로 인해 축사 내의 온도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성분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돈사의 바닥은 돈분을 관리하기 위해 틈을 두거나, 깔짚을 구비하는 경우가 많은데, 바닥에 쌓인 돈분이 분해되면서 이산화탄소, 메탄 및 아산화질소와 함께 열을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돈분의 경우 수분 함량이 높아 축사 대기 내의 습도를 높이게 되며, 이는 축사 내의 온도 조절을 어렵게 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기체농도센서를 통해 축사 내의 이산화탄소, 메탄 및 아산화질소의 함량을 측정하면, 바닥의 돈분량과 분해 정도를 예측할 수 있어 축사 내의 온도 및 습도 변화를 예측하고, 이를 통해 난방부 또는 공조부의 작동 주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동시에 축사의 청소 주기나 톱밥이나 왕겨 등의 수분조절제(bulking agent) 투입 여부를 확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사환경 조절 통합 시스템은 돼지의 각종 정보, 특히 체온과 이동거리, 이동 반경 등을 측정하여 축사 내의 온도변화가 돼지에 미치는 영향을 수집하고 이에 따른 대응을 쉽게 할 수 있도록 각 돼지 개체의 몸에 부착 또는 이식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통신부는 각 돼지 개체의 몸에 부착 또는 이식되어 각종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관제부로 전송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돼지의 체온을 측정하는 온도센서, 돼지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센서와 측정된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관제부로 전송하는 전자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온도센서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Al2O3의 재질의 세라믹기판을 포함하는 SMD(surface mount device)칩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세라믹기판의 상면에는 백금이나 로듐과 합금된 백금 필름으로 구성되어 패터닝된 계측용 필름과 접합되며, 상기 계측용 필름의 양 끝단에 연결단자가 구성되어 이 한 쌍의 연결단자가 리더와이어를 통해서 전자태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백금을 사용하게 되면 탄성이 우수하고 센서의 두께를 얇게 가공이 가능하며 저항온도특성이 직선에 가까운 이점이 있다.
상기 위치센서는 상기 통신부를 가지는 돼지의 축사 내 위치를 확인하고, 돼지의 활동량 및 활동범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와 같은 센서를 통해 현재 가축의 좌표에 대한 위치 정보와 지속적인 위치 정보의 갱신을 통해 특성 시간 동안의 가축의 활동량 및 활동범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센서는 상기 열화상카메라 또는 공조부가 가축의 현재 위치를 추적하도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관제부에서 상기 위치센서를 통해 제공된 돼지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면, 위치 정보에 기반을 두어 상기 열화상카메라나 공조부가 지향하는 방향을 연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열화상카메라에 의해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돼지의 열화상을 획득하거나, 현재 축사의 온도와 연계하여 돼지의 체온을 조절하도록 공조부가 제공하는 바람의 온도, 세기, 풍향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전자태그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및 비콘(Beacon)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복수의 기술을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로 더 바람직하게는 RFID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RFID은 전파를 이용해 먼 거리에서 정보를 인식하는 기술로, 상기 전자테그에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태그 안테나와 디지털데이터를 처리하는 집적회로, 이를 동작하기 위한 메모리로 이루어지는 RFID 태그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에는 통신부가 부착된 돼지의 이력(생년월일, 번호, 혈통, 크기, 무게, 진료사항)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정기적으로 상기 돼지의 이력을 관제부로 전송한다. 관제부에서는 상기 돼지에 이력에 따라 온도, 습도 등을 달리하도록 조절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조절부에 물이나 약품, 먹이를 공급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영상분석부(200)는 상기 열화상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데이터로 저장하고, 이를 비교 분석하여 촬영된 지점에서 온도가 낮은 특정 부분이 있는지 파악하고 이를 데이터화하여 관제부에 송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영상분석부는 도 3, 4와 같이 촬영된 영상에서 주변에 비해 지나치게 온도가 낮은 부분(음영부)가 존재하면 해당 음영부와 그와 이웃하는 열감지부분인 주변부와의 평균 픽셀(pixel)차를 구한다. 그리고 수득한 픽셀차가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일 경우 해당 부분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한다. 예를 들어 주변에 위치하는 돼지와 비교하여 돼지의 픽셀 영역이 100 픽셀일 때, 상기 100 픽셀을 기준으로 하여 음영부의 픽셀 영역이 150 픽셀인 경우, 해당 부분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이를 데이터화하여 관제부에 송부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시스템은 상기 음영부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도 1 및 4와 같이 통합시스템이 구비된 축사를 이루는 바닥과 벽체 및 지붕에서 바닥과 벽체를 연결하는 모서리, 벽체와 벽체를 연결하는 모서리 및 지붕과 벽체를 연결하는 모서리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모서리에 열선(40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열선은 일정한 온도를 갖는다 하여도 축사 내의 온도에 따라 또는 열선과 열화상카메라와의 거리에 따라 촬영 시 열선의 모든 지점에서 약간의 온도차가 발생하게 되므로, 상기 중앙처리부는 도 1과 같이 각 열선을 일정 영역으로 나누고 각 열화상카메라별로 해당 영역에서의 온도를 측정하여 기록한 후, 다른 열선의 영역과 직선상으로 만나는 가상의 영역(p)을 좌표화하여 가상의 영역이 다른 영역보다 온도가 낮은 경우 해당 영역에 크랙이 발생하였다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열선은 상기 열화상카메라의 촬영 각도, 촬영 위치, 촬영 면적 등에 따라 좌표를 결정하는 일종의 기준선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축사에 틈새가 발생한 지점이나 온도 저하 지점의 위치를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4와 같이 축사를 이루는 바닥과 벽체 및 지붕들이 연결되는 모서리에 열선을 구비할 경우, 축사에 틈새가 발생한 지점이나 온도 저하 지점이 존재할 경우, 해당 지점이 포함되는 면의 테두리를 감싸는 열선을 확인하고, 해당 면의 열선에서 가로를 x축, 세로를 y축으로 정함으로써 해당 면에서 이상 지점이 어디쯤에 위치하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열선은 구비 형태, 구비 개수를 한정하지 않으며, 도 1, 4와 같이 축사 내 바닥과 벽체를 연결하는 모서리, 벽체와 벽체를 연결하는 모서리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모서리 일정 영역에 구비되는 것이 좋다. 도 4를 통해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도 3과 비교하여 벽채에 크랙이 발생하여 해당 크랙 주변의 기온이 올라가거나 떨어지는 경우, 도 3은 해당 크랙의 위치를 대략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이지만, 도 4와 같이 모서리에 열선이 구비되는 경우 열선을 일종의 좌표축으로 이용하여 해당 크랙의 위치를 수치화할 수 있어 더욱 크랙의 위치를 더욱 정확하게 확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열선은 온도 조건을 한정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유지하는 것이 좋다. 이는 돼지의 적정체온은 38.7 내지 39.8℃ 이고 평균 39.2℃이므로, 상기 열선의 온도를 돼지의 체온보다 훨씬 높은 온도로 유지한다면 상기 열화상카메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관제부는 상기 영상분석부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저장 및 분석하고 이를 저장하며, 저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축사 내의 온도, 습도, 풍향 및 풍속을 조절할 수 있는 명령을 생성하는 것으로, 영상분석부에서 전달받은 돌발 상황, 이상 지점에 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거나, 기존에 축적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조절부에 전달할 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관제부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영상분석부 또는 센서부, 통신부로부터 생성된 정보를 전달받는 리더(reader)부; 상기 리더부의 정보를 저장하고, 축적된 정보와 전달받은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개체의 이상을 파악하고 조절부에 전달할 명령을 생성하는 중앙처리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중앙처리부의 명령을 조절부의 하위 조절수단에 전달하는 명령전송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리더부는 상기 영상분석부, 센서부 또는 통신부에 정보를 요청하거나 이들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데이터화하여 관제부에 전달하는 시스템으로, 각 돼지 개체마다 설치되는 통신부와 센서부를 구성하는 각 센서별로 다른 리더(interrogator)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부와 연결되는 리더는 다수의 통신부와 연결되는 만큼 각 통신부별로 식별하기 위한 별도의 ID를 부여하여 관리하는 것이 좋으며, 상기 통신부에서 전달받은 데이터는 해당 통신부가 관할하는 개체들의 ID와 연계하여 데이터의 중복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리더부는 전달받은 데이터를 상기 중앙처리부로 전송하기 위해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 변환과 반송파(carrier) 변조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후에 무선 또는 유선 신호의 형태로 전송하는 것이 좋다.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리더부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축적된 정보와 전달받은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축사 또는 개체의 이상을 파악하고, 조절부에 전달할 명령을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축사의 수리, 보수 여부 및 축사의 전반적인 돼지 생육 환경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중앙처리부는 하나 또는 복수의 열화상카메라를 통해 수집된 열화상정보를 바탕으로 축사 내 틈새의 발생 위치 및 발생 정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열화상 센서가 하나의 틈새를 촬영하였을 때, 각 열화상 센서에서 촬영된 열화상은 동일한 피측정체에 대응하기 때문에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틈새와 열화상 센서간의 거리 및 위치에 따라 측정되는 온도 정보의 값, 온도 정보가 표시될 면적 등이 다르게 생성되므로,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수집된 정보를 종합하여 하나의 정보로 통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부는 센서부 또는 통신부에서 입력받은 축사 데이터와 개체 데이터를 연계하여 사육환경을 결정한다. 이때 상기 중앙처리부는 이전에 측정한 축사 데이터 또는 개체 데이터를 입력받은 데이터들과 비교하거나, 유무선망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적정 축사 데이터 또는 개체 데이터를 전송받아 축사 또는 돼지의 이상 발생 유무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축사 또는 돼지의 이상 발생 유무는 각각 환경 데이터와 사육 데이터로 분류하여 취급할 수 있다.
상기 환경 데이터는 축사 내의 온도, 습도, 일정 구역에서의 풍향, 풍속, 이산화탄소, 메탄 및 아산화질소의 농도를 의미하며, 상기 사육 데이터는 돼지의 이력과, 체온, 무게, 활동량, 활동범위 등을 의미한다.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와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프로그램(DBMS)을 이용하여 컴퓨터 시스템의 저장공간(하드디스크 또는 메모리)에 구현된 일반적인 데이터구조를 의미한다.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의 검색(추출), 삭제, 편집, 추가 등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형태를 의미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바람직한 일예로는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MSSQL, MySQL, DB2 등과 같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 Relational Data Base Management System)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 및 엑셀론(Excelon), 타미노(Tamino), 세카이주(Sekaiju) 등의 XML 전용 데이터베이스(XML Native Database)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특정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적당한 필드(Field) 또는 엘리먼트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환경 데이터와 사육 데이터를 종합하여 각 개체가 항상 동일한 환경 하에서 사육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사육 데이터에서 받은 돼지의 이력과 무게에 따라 동일 성장단계에 있는 개체별로 그룹을 생성하고 그룹별로 축사 내의 온도, 습도, 환기량, 먹이 급여량을 조절하여 돼지의 증체량을 최대한으로 확보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중앙처리부는 동일한 온도를 가지는 피측정체와 열화상카메라간의 거리차에 따른 측정 온도 변화를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열화상카메라로부터 감지된 축사 내의 온도변화 측정값을 지속적으로 설정된 온도값와 비교하여 측정값과 설정값의 차이에 따라 공조부를 제어하거나 사용자 또는 중앙관제서버에 해당 축사에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경고하는 메시지를 송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열화상카메라, 더 상세하게 상기 열화상카메라의 팬틸트 유닛의 틸팅(tilting) 각도 정보와, 패닝(panning) 각도 정보, 에이밍(aiming) 각도 정보 및 상기 열화상카메라를 통해 측정된 축사 내 특정영역의 온도 및 돼지 개체의 체온을 종합적으로 확인, 분석하여 온도 변화가 발생한 영역의 난방 또는 환기를 담당하는 난방부 또는 공조부에 명령하여 해당 영역이 설정된 온도값에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를 통해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통합시스템은, 각각 담당 구역이 정해진 다수의 공조부가 지정된 위치마다 설치되고, 상기 관제부는 상기 영상분석부 및 열선을 통해 분석된 축사에 틈새가 발생한 지점 또는 온도 저하 지점을 담당하는 공조부에 환경조건을 변경하는 명령을 송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축사의 벽에 크랙이 발생하여 해당 부분을 통해 외부 공기가 지속적으로 유입되어 주변의 온도가 내려가는 경우, 열화상카메라를 통해 해당 부분을 촬영하고 이를 영상분석부로 보내 해당 부분에 발생한 크랙의 크기를 기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한다. 영상분석부에서 해당 부분에 발생한 크랙이 문제라는 정보를 관제부로 송부하면 관제부에서는 해당 크랙의 면적과 온도 데이터를 기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해당 크랙으로 인해 축사 내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여 대응 방안을 결정한다. 관제부는 해당 크랙이 위치하는 지점을 담당하는 공조부에 온도나 습도를 상승시키는 명령을 송부하여 해당 지점의 온도 변화를 막을 수 있다. 또한 동시에 사용자단말기에 해당 정보를 송부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필요한 조치를 취하도록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부는 기존에 저장된 환경 데이터와 사육 데이터를 비교하여 각 돼지별로 또는 동일 성장단계별로 정상 범위 수치를 설정하고, 전달받은 데이터와 정상 범위 수치를 비교하여 이상이 발생한 경우 이상 개체수를 카운트함과 동시에 이상이 발생한 돼지를 확인하고, PDA나 휴대전화기 및 PC와 같은 표시수단이 구비된 사용자단말기에 이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부는 돼지의 증체량을 높이기 위해 축사의 온도와 환기량(풍향, 풍속)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센서부에서 파악한 축사 내 온도에 따라 축사를 임의의 구역으로 나누어 구역별로 공조부의 풍향, 풍속을 제어하고, 돼지의 증체량을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표 1과 같이 저온(18℃), 중온(24℃), 고온(30℃) 별로 축사 내의 온도를 고정하였을 때 환기량에 따라 돼지의 일당평균증체량이 변화한다.
[표 1]
Figure 112018041117298-pat00005
(상기 표 1에서 환기량 저는 200 내지 500 ㎥/h, 중은 501 내지 700 ㎥/h, 고는 701 내지 1000 ㎥/h, 최고는 1001 내지 1500 ㎥/h이다.)
따라서 상기 표 1과 같이 증체량 측면에서 축사의 온도를 저온으로 유지하는 것이 좋으며, 축사의 온도를 일정 범위로 유지시키기 어려운 경우 축사의 온도에 맞춰 환기량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축사의 온도를 저온(18℃)으로 유지할 때는 환기량을 줄이다가 온도가 올라가는 시점에 맞춰 환기량을 늘리는 것이 좋다. 다만, 환기량이 일정 이상 높게 유지되는 경우 오히려 증체량이 떨어지는 경향을 보이므로, 일정 환기량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중앙처리부는 상기와 같은 돼지의 증체량을 예측하기 위해 축사를 임의의 구역으로 나누어 구역별로 공조부의 풍향과 풍속으로 제어하는 것이 좋다. 또한 난방부의 설정 온도를 저온으로 하여 온도를 최대한 18℃ 근처로 유지시키는 것이 좋다. 다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돈분의 발효에 따라 열이 발생할 경우 온도 조절을 하기 어려우므로 수시로 축사 내 이산화탄소, 메탄 및 아산화질소의 농도를 측정하여 상기 기체들의 농도가 일정 이상 증가할 경우 돈분을 신속하게 치우는 것이 좋다.
여기에 상기 중앙처리부는 축사 내 이산화탄소, 메탄 및 아산화질소의 농도를 측정하여 상기 기체들의 농도가 일정 이상 증가할 경우 급여부에 명령하여 돼지에 공급하는 사료에 첨가제의 혼합을 명령하거나, 혼합되는 첨가제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종류에 한정치 않으며, 일예로 조단백질의 함량이 낮은 사료를 공급하여 이산화탄소와 메탄의 배출량을 줄일 수도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이 조단백질이 낮게 함유된 사료의 경우 성장을 위해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는 어린 돼지에게 공급하면 뼈와 근육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성체에게만 공급하는 것이 좋으며, 상기 센서부와 연계하여 성장단계별로 사료의 공급량이나 공급되는 사료의 종류를 차별화하여 관리하는 것이 좋다.
상기 명령전송부는 상기 중앙처리부에서 생성된 조절부의 제어명령을 조절부의 각 하위 구성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리더부와 유사하게 전달받은 데이터를 상기 중앙처리부로 전송하기 위해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 변환과 반송파(carrier) 변조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후에 무선 또는 유선 신호의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500)는 관제부를 통해 전달받은 명령을 바탕으로 축사 내 여러 환경을 조절하는 것으로, 축사 내의 온도, 습도, 풍향 및 풍속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환경 조건을 조절하는 공조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축사 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난방부 및 돼지에게 급여되는 사료의 양을 조절하는 급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조부는 축사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거나 축사 외부의 공기와 축사 내부의 공기를 치환시켜 내부의 공기를 항상 신선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바람의 방향이나 풍속을 제어할 수 있는 송풍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조부는 상기 관제부와 연계하여 설정값과 측정값의 차이가 크면 배출되는 환기량을 증가시키고, 차이가 작은 경우 배출되는 환기량을 감소시켜 축사 내부의 온도, 습도, 공기의 질을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공조부는 필요에 따라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돼지를 성장단계별로 그룹화하여 관리할 경우, 각 그룹별로 공조부를 구비하여 송풍량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의 세기에 따라 습도를 일시적으로 낮출 수 있으므로, 상기 공조부는 내부에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가습수단(미도시)을 더 구비하여 공급되는 바람에 습도를 일정한 수치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난방부는 당업계에서 축사, 사육 등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열교환장치라면 종류에 한정치 않으며, 일예로 유체 등의 열매개체를 순환시켜 축사의 바닥에 열을 공급하거나, 축사 천장에서 바닥 방향으로 열교환된 기체를 직접 분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공조부와 연계하여 상기 열매개체를 축사 외부에서 내부로 인입되는 공기와 접촉시켜 열을 전달하여도 좋다.
상기 급여부는 돼지에게 정해진 시간에 일정량의 사료를 공급하는 수단으로 상기 관제부로부터 급여 시점, 급여량을 전달받아 돼지에게 사료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급여부 또한 성장단계별로 그룹화하여 관리할 경우, 각 그룹별로 급여부를 구비하여 사료의 공급량에 차별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여부는 필요에 따라 상기 통신부에 부착된 태그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수단(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인식수단은 상기 급여부 내에 설치되어 주변에 태그가 위치하면 태그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돼지가 사료의 공급구역 내에 위치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식수단은 사료 공급구역 내에 위치하는 돼지의 정보를 관제부로 송부함으로써 상기 돼지가 사료 공급구역으로 이동했는지의 여부, 공급구역에 위치한 시간을 측정하여 돼지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여부는 축사 내부의 이산화탄소, 메탄 및 아산화질소의 농도에 따라 상기 관제부로부터 사료 종류를 다르게 공급하도록 전달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기체들의 농도가 높아지면, 성체에 한하여 조단백질의 함량이 낮은 사료를 공급하거나, 상기 기체들의 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사료첨가제가 혼합된 사료를 공급하는 방식으로 사료의 종류, 양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관제부는 도 6과 같이 이상 유무에 대한 내용을 메시지로 전송하기 위해 사용자단말기(600), 통합관제서버(700)와 유무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무선망은 IP-USN(Internet Protocol-Ubiquitous Sensor Network)으로, 광대역통합망(BcN), 차세대 인터넷 주소체계(IPv6), 와이브로, 무선랜 등 인터넷 인프라와 연계해 원하는 장소에 손쉽게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PDA나 휴대전화기 및 PC와 같은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관제부로부터 제공되는 돈사 센서와 조절부를 감시 및 관리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관제부는 전달받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틈새 바람이 발생하는 곳을 다수 확인하고, 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단말기에 전송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조치를 취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제부는 사용자단말기에 수컷식별정보 또는 암컷식별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개체생일정보, 입식일자정보, 구입가격정보, 구입농장정보, 축사번호정보, 부번호정보, 모번호정보 및 성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연계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제부는 축사의 현재 관리 상태를 확인하여 사용자단말기에 축사현황정보 또는 개체현황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축사현황정보의 예를 들면, 판매일자정보, 개체번호정보, 성별정보, 판매처정보, 약품잔류정보, 판매금액정보, 출하등급정보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수입관리기록까지 정리하여 사용자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개체현황정보의 예를 들면 축사번호정보, 증상정보, 사용약품정보, 투여방법정보, 투여량정보, 잔류기간정보, 주사침개수정보 및 담당자정보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정보를 바탕으로 치료약 정보를 포함한 하나 이상의 약품정보를 매칭하여 공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시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축사
10 : 돼지
100 : 카메라부
200 : 영상분석부
300 : 관제부
400 : 열선
500 : 조절부
600 : 사용자단말기
700 : 통합관제서버

Claims (6)

  1. 바닥과 벽체 및 지붕을 포함하여 구비되되, 바닥과 벽체를 연결하는 모서리, 벽체와 벽체를 연결하는 모서리 및 지붕과 벽체를 연결하는 모서리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모서리에 열선이 구비된 축사 내의 열화상 정보를 수집하는 열화상카메라;
    상기 열화상카메라로부터 전달받은 열화상 정보를 근거로 상기 축사 내부의 온도 분포를 분석하여, 축사에 틈새가 발생한 지점이나 온도 저하 지점을 확인하는 영상분석부;
    상기 영상분석부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근거로 축사 내의 온도, 습도, 풍향 및 풍속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환경 조건을 조절하는 명령을 생성하는 관제부; 및
    관제부를 통해 전달받은 명령을 바탕으로 축사 내의 온도, 습도, 풍향 및 풍속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환경 조건을 조절하는 공조부를 포함하는 조절부;
    를 포함하며, 상기 관제부는 열화상카메라로부터 감지된 축사 내의 온도변화 측정값을 설정된 온도값과 비교하여 측정값과 설정값의 차이에 따라 공조부를 제어하는 특징으로 하는 돼지 사육을 위한 항온 축사환경 조절 통합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은 50℃ 이상의 온도로 유지되어 상기 축사에 틈새가 발생한 지점 또는 온도 저하 지점의 좌표를 결정하는 기준선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사육을 위한 항온 축사환경 조절 통합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열화상카메라는 360˚ 전방위를 촬영하는 회전식으로 구비되며,
    상기 축사에 틈새가 발생한 지점 또는 온도 저하 지점의 좌표는,
    상기 열화상카메라와 지점간의 거리(d) 및 상기 열화상카메라에서 바라본 지점의 방향(θ)으로 결정되며, 상기 열화상카메라를 기준으로 하는 하기의 극좌표계;
    [극좌표계]
    Figure 112018101971327-pat00006
    ,
    Figure 112018101971327-pat00007

    로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사육을 위한 항온 축사환경 조절 통합시스템.
    (상기 극좌표계에서 x 및 y는 극좌표계에서 해당 지점의 위치를 나타낸다.)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열화상카메라는 임의의 지점을 촬영하는 고정식으로 구비되며,
    상기 축사에 틈새가 발생한 지점 또는 온도 저하 지점의 좌표는,
    임의의 지점을 향하도록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열화상카메라로부터 수득된 2차원(x, y) 값으로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사육을 위한 항온 축사환경 조절 통합시스템.
  6. 제 3항 내지 제 5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시스템은,
    각각 담당 구역이 정해진 다수의 공조부가 지정된 위치마다 설치되고, 상기 관제부는 상기 영상분석부 및 열선을 통해 분석된 축사에 틈새가 발생한 지점 또는 온도 저하 지점을 담당하는 공조부에 환경조건을 변경하는 명령을 송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사육을 위한 항온 축사환경 조절 통합시스템.
KR1020180047866A 2018-04-25 2018-04-25 돼지 사육을 위한 항온 축사환경 조절 통합시스템 KR101918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866A KR101918633B1 (ko) 2018-04-25 2018-04-25 돼지 사육을 위한 항온 축사환경 조절 통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866A KR101918633B1 (ko) 2018-04-25 2018-04-25 돼지 사육을 위한 항온 축사환경 조절 통합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8633B1 true KR101918633B1 (ko) 2018-11-14

Family

ID=64328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7866A KR101918633B1 (ko) 2018-04-25 2018-04-25 돼지 사육을 위한 항온 축사환경 조절 통합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863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4469B1 (ko) 2019-06-11 2019-10-21 박성정 가축 사육용 축사
KR20210031091A (ko) * 2019-09-11 2021-03-19 주)엠트리센 가축 활동량 모니터링 및 건강 예찰 시스템 및 방법
CN114264378A (zh) * 2021-12-20 2022-04-01 红原县雪月天佑农牧科技有限公司 一种牲畜智能管理系统及方法
CN115885883A (zh) * 2022-12-06 2023-04-04 西南大学 一种畜牧养殖用智能保温灯控制系统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693B1 (ko) 2012-06-13 2013-08-21 농업회사법인 팜앤팜스(주) 방역형 축사
KR101433789B1 (ko) * 2014-02-13 2014-08-26 주식회사 우리프로테크 축사 환경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693B1 (ko) 2012-06-13 2013-08-21 농업회사법인 팜앤팜스(주) 방역형 축사
KR101433789B1 (ko) * 2014-02-13 2014-08-26 주식회사 우리프로테크 축사 환경 관리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4469B1 (ko) 2019-06-11 2019-10-21 박성정 가축 사육용 축사
KR20210031091A (ko) * 2019-09-11 2021-03-19 주)엠트리센 가축 활동량 모니터링 및 건강 예찰 시스템 및 방법
KR102319823B1 (ko) 2019-09-11 2021-11-01 주)엠트리센 가축 활동량 모니터링 및 건강 예찰 시스템 및 방법
CN114264378A (zh) * 2021-12-20 2022-04-01 红原县雪月天佑农牧科技有限公司 一种牲畜智能管理系统及方法
CN115885883A (zh) * 2022-12-06 2023-04-04 西南大学 一种畜牧养殖用智能保温灯控制系统及方法
CN115885883B (zh) * 2022-12-06 2024-04-05 西南大学 一种畜牧养殖用智能保温灯控制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1270B1 (ko) 영상 분석을 이용한 자돈 사육 시스템
KR101918633B1 (ko) 돼지 사육을 위한 항온 축사환경 조절 통합시스템
Fournel et al. Rethinking environment control strategy of confined animal housing systems through precision livestock farming
CN109496123B (zh) 家畜的机器人协助监视
US8677941B2 (en) System and methods for health monitoring of anonymous animals in livestock groups
Li et al. A UHF RFID system for studying individual feeding and nesting behaviors of group-housed laying hens
CN206164658U (zh) 一种基于无线网络的家畜养殖智能控制系统
US20220039357A1 (en) System For Analyzing Animal Secretion Images
CN105748046B (zh) 基于红外热像图的温度信息监测方法及其系统
JP2017192316A (ja) 異常判定システム、異常判定装置、及び、異常判定方法
KR20210031091A (ko) 가축 활동량 모니터링 및 건강 예찰 시스템 및 방법
CN106506848A (zh) 一种基于ZigBee的家畜养殖控制系统
KR101740556B1 (ko) 중앙 제어 장치 및 이에 의한 사육 환경의 조절 방법
KR101931263B1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돼지 사육 시스템
JP2017192315A (ja) 異常判定システム、異常判定装置、及び、異常判定方法
US20170245472A1 (en) Environmental control for enclosures based on touch-less monitoring of animals
CN209388201U (zh) 养殖场无线监测系统
Doornweerd et al. Passiv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d video tracking for the determination of location and movement of broilers
CN206612780U (zh) 基于红外热像图的温度信息监测系统
KR20190063271A (ko) 양계장 관리 시스템
CN109976417A (zh) 喂养系统及喂养系统的控制方法
KR101702892B1 (ko) 스마트폰을 활용한 환경관리 시스템
US6449896B1 (en) Crop weighing
JP6697673B2 (ja) 異常判定システム、異常判定装置、及び、異常判定方法
Goedseels et al. A data-acquisition system for electronic identification, monitoring and control of group-housed pi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