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8585B1 - 탈착가능한 에어포일 쓰러스트 베어링 - Google Patents

탈착가능한 에어포일 쓰러스트 베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8585B1
KR101918585B1 KR1020170125492A KR20170125492A KR101918585B1 KR 101918585 B1 KR101918585 B1 KR 101918585B1 KR 1020170125492 A KR1020170125492 A KR 1020170125492A KR 20170125492 A KR20170125492 A KR 20170125492A KR 101918585 B1 KR101918585 B1 KR 101918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ust
thrust bearing
front cover
predetermined
resp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5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창훈
장해송
Original Assignee
(주)건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건우테크 filed Critical (주)건우테크
Priority to KR1020170125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8585B1/ko
Priority to PCT/KR2017/010870 priority patent/WO201906610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8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8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7/0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7/04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axial load only
    • F16C17/042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axial load only with flexible leaves to create hydrodynamic wedge, e.g. axial foil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5/00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 F16C35/02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in the case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43/00Assembling bearings
    • F16C43/02Assembling sliding-contact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26/00Joining parts; Fastening; Assembling or mounting parts
    • F16C2226/30Material joints
    • F16C2226/36Material joints by welding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각종 터보기기 또는 에어블로워 기기 등에 구비되는 에어포일 쓰러스트 베어링(1)에 있어서, 쓰러스트 베어링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쓰러스트 베어링이 선택적으로 탈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결합부(110)가 구비된 프론트 커버(10)와; 상기 프론트 커버(10)로부터 선택적으로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소정의 외경을 가진 본체링(310)과, 상기 본체링(310)으로부터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1개소 이상에 형성되는 탑 지지부(320)와, 상기 탑 지지부(320)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만큼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는 탑 연결부(330)와, 상기 탑 연결부(330)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본체링(310)과는 소정의 이격거리를 유지한채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탑(top)(340)과; 상기 탑의 일측면에 소정의 위치에 스폿 용접을 통해서 결합되는 범프(bump)(350)와, 탑의 단부와 다음 탑 지지부(320) 사이에는 탑의 면적만큼의 공간을 제공하는 결합 스페이스가 반복하여 형성되는 쓰러스트부(30)와; 상기 프론트 커버(10)와 결합하여 상기 쓰러스트 베어링을 차폐하는 리어 커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쓰러스트 베어링은 2개 이상을 중심축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킨 후 겹쳐서 완성되고, 상기 프론트 커버(10)와 나사체결을 통해서 선택적으로 탈부착가능한 구성을 가진 에어포일 쓰러스트 베어링(1)의 구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탈착가능한 에어포일 쓰러스트 베어링 {removable air foil thrust bearing}
본 발명은 에어포일 쓰러스트 베어링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특히 용접과 같은 복잡한 공정을 최소화하고 신속하게 베어링조립이 가능한 쓰러스트 베어링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한, 조립 및 탈착이 용이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쓰러스트 베어링을 교체해야 하는 경우에 수리에 따른 교체가 용이하고, 교체시에도 문제가 발생한 해당 구성만을 교체할 수 있는 조립형 구조 통해서 자원의 활용 및 작업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탈착가능한 에어포일 쓰러스트 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회전 또는 왕복 운동과 같은 움직임이 있는 부품(회전축, 이동축 등)에 있어서, 부품의 운동 과정에서 일어나는 마찰 때문에 발생될 수 있는 부품 마모나 손상 문제, 소음 문제, 에너지 낭비 문제 등과 같은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베어링이 구비되고 있다. 베어링이 하중이 회전축에 대하여 수직으로 작용하는 베어링을 래디얼 베어링 또는 저널 베어링(미끄럼 베어링의 경우)이라고 하며, 하중이 회전축에 평행으로(즉,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베어링을 쓰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이라고 한다. 모든 축받이의 경우도 쓰러스트 베어링이라고 부르는데, 구름 베어링에서는 분류상, 축으로의 하중방향이 45도를 넘을 경우에는 쓰러스트 베어링, 그이하의 경우에는 래디얼 베어링으로 분류한다.
국제특허공개 제2010-122450호("A MAGNETIC BEARING, A ROTARY STAGE, AND A REFLECTIVE ELECTRON BEAMLITHOGRAPHY APPARATUS", 2010.10.28) 등에 종래의 래디얼 베어링 기술이, 미국특허공개 제2009-0039740호("Magnetic Bearing", 2009.02.12) 등에 종래의 쓰러스트 베어링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최근, 세계적으로 중앙 집중 방식의 전기 송전이 킬로와트 당 비용이 크게 소모되고 생산된 전기를 소비자에게 분배하기 위해 설치되는 고가의 기초 구조물을 가지고 있어야만 하여 초기 설비 투자비의 규모가 커진다는 문제 등으로 인하여, 분산형 발전기술의 상업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이러한 경향에 따라 현장에서 직접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소형 가스 터빈인 마이크로 가스 터빈의 활용이 점점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 마이크로 가스 터빈 또는 마이크로터빈(Microturbine)은 가스 터빈을 소형화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1kw 미만에서 수백kw의 출력을 갖는다. 이러한 마이크로 가스 터빈은 상술한 바와 같이 분산형 전원과 소규모 열병합 발전용으로 기술적인 장점 및 친환경적인 특성으로 인해 기술 개발과 보급이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
상기와 같은 마이크로 가스 터빈 등과 같은 소형 장치의 경우, 원하는 출력을 얻기 위해서는 회전축의 회전은 일반적으로 10만~40만rpm 정도의 고속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이 잘 알려져 있다. 이처럼 소형 장치에 있어서도 래디얼 베어링, 쓰러스트 베어링 등의 구비는 필수적이다. 특히 현재 그 필요 또는 실제 사용이 늘어나고 있는 마이크로 가스 터빈과 같은 소형 고속 회전체의 경우에 있어서, 축 방향 진동 저감, 고온 환경에서 사용 가능, 높은 내구성 등과 같은 베어링의 요구 조건에 더하여, 비접촉식 및 무급유 조건을 만족시킴과 동시에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한 베어링에 대한 요구가 대두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회전체의 베어링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반경 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래디얼 베어링과 축 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쓰러스트 베어링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베어링들이 모두 별개로 구성되기 때문에, 회전체에 구비되는 베어링 시스템 자체의 부피가 커질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베어링 시스템 자체의 부피가 커질수록 회전체의 길이도 커지게 되고, 이에 따른 회전체의 1차 굽힘 모드(위험속도)가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바, 결과적으로 이는 소형 회전체의 고속 회전시의 안정성을 크게 떨어뜨리는 문제를 유발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이 두 가지 타입의 베어링을 따로 제작하여 조립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쓰러스트 베어링 부착용 백 플레이트가 필요하며, 조립 시 조립 정밀도를 맞추기 위한 절차가 필요해지는 등 조립 공정이 매우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쓰러스트 베어링에 사용하기 위한 쓰러스트 컬러(Thrust collar)가 회전체에 추가적으로 구성되어야 하므로 소형 시스템에서 초고속 회전체에 적용되는 경우, 시스템이 복잡해지면 쓰러스트 컬러에 의해 굽힙모드 주파수가 감소되어 회전체 고속화의 장애로 작용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쓰러스트부를 겹쳐서 한장의 쓰러스트부를 완성하고, 이를 기존의 용접을 통해서 결합하는 방식이 아닌 나사결합을 통해서 필요시 손쉽게 탈착 및 수리가 용이한 구성을 가진 탈착가능한 에어포일 쓰러스트 베어링의 구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각종 터보기기 또는 에어블로워 기기 등에 구비되는 에어포일 쓰러스트 베어링(1)에 있어서, 쓰러스트 베어링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쓰러스트 베어링이 선택적으로 탈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결합부가 구비된 프론트 커버(10)와; 상기 프론트 커버(10)로부터 선택적으로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소정의 외경을 가진 본체링(310)과, 상기 본체링(310)으로부터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1개소 이상에 형성되는 탑 지지부(320)와, 상기 탑 지지부(320)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만큼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는 탑 연결부(330)와, 상기 탑 연결부(330)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본체링(310)과는 소정의 이격거리를 유지한채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탑(top)(340)과; 상기 탑의 일측면에 소정의 위치에 스폿 용접을 통해서 결합되는 범프(bump)(350)와, 탑의 단부와 다음 탑 지지부(320) 사이에는 탑의 면적만큼의 공간을 제공하는 결합 스페이스가 반복하여 형성되는 쓰러스트부(30)와; 상기 프론트 커버(10)와 결합하여 상기 쓰러스트 베어링을 차폐하는 리어 커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쓰러스트 베어링은 2개 이상을 중심축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킨 후 겹쳐서 완성되고, 상기 프론트 커버(10)와 나사체결을 통해서 선택적으로 탈부착가능한 구성을 가진다.
한편, 상기 본체링(310)의 외주면에는, 상기 프론트 커버(10)에 구비된 결합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구비한 조립보스와, 조립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상기 쓰러스트 베어링을 탈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쓰러스트부(30)에서, 상기 탑(top)(340)은 상기 탑 연결부(330)로 부터 중심축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만큼 연장형성되고, 외경부는 상기 본체링(310)의 내경부와 소경의 이격거리를 유지하여 형성되며 소정의 위치에 스폿 용접을 통해서 범프(bump)(350)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쓰러스트부(30)는, 축중심에 대해서 탑과 결합 스페이스가 반복해서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탑(top)(340)이, 축중심에 대해서 각각 대응되는 각도 및 위치에 2개소 이상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 2장의 쓰러스트부(30)를 축중심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켜서, 첫번째 장에 구비된 탑(top)(340)이 두번째 장의 결합 스페이스에 위치시킨 후 겹쳐서 쓰러스트 부가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완성된 쓰러스트부(30)를 상기 프론트 커버의 결합부와 나사결합을 통해서 결합한 후,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서 탈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와 같이 탈착가능한 에어포일 쓰러스트 베어링(1)은, 완성된 쓰러스트부(30)를 상기 프론트 커버의 결합부와 나사결합을 통해서 결합한 후,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서 탈착이 가능한 구성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쓰러스트부(30)를 2장을 겹쳐서 한장의 완성된 쓰러스트부(30)가 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으나, 쓰러스트부(30)를 3장 또는 4장을 겹쳐서 혹은 그 이상의 갯수로 구성된 쓰러스트부(30)를 겹쳐서 한장의 쓰러스트부(30)를 완성하는 예 또한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쓰러스트부(30)를 겹쳐서 한장의 쓰러스트부(30)를 완성하고, 이를 기존의 용접을 통해서 결합하는 방식이 아닌 나사결합을 통해서 필요시 손쉽게 탈착 및 수리가 용이한 구성을 가진 탈착가능한 에어포일 쓰러스트 베어링(1)의 구성의 제공을 통해서 조립 및 수리가 용이하고, 수리 및 교체에 따른 재료비 및 소요시간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탈착가능한 에어포일 쓰러스트 베어링(1)이 장착된 에어블로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탈착가능한 에어포일 쓰러스트 베어링(1)이 장착된 에어블로워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탈착가능한 에어포일 쓰러스트 베어링(1)의 구성을 설명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프론트 커버(10)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11은 쓰러스트부(3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탈착가능한 에어포일 쓰러스트 베어링(1)이 장착된 에어블로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탈착가능한 에어포일 쓰러스트 베어링(1)이 장착된 에어블로워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탈착가능한 에어포일 쓰러스트 베어링(1)의 구성을 설명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프론트 커버(10)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한편, 도 5 내지 11은 쓰러스트부(3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에어블로워에 장착되는 에어포일 쓰러스트 베어링(1)을 기준으로 해서 설명하기로 하단. 도 1에서와 같이 에어포일 쓰러스트 베어링(1)은 에어블로워의 회전축의 일단부에 구비된다.
도 2는 에어포일 쓰러스트 베어링(1)이 장착된 에어블로워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수직방향으로 토출시키는 볼류트가 앞쪽에 구비되고, 볼류트의 일측에는 고정자와 회전자로 구성된 모터가 구비된다.
볼류트로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의 회전자의 단부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포일 쓰러스트 베어링(1)이 구비된다. 상기 쓰러스트 베어링은 쓰러스트 베어링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쓰러스트부(30)가 선택적으로 탈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결합부(110)가 구비된 프론트 커버(10)와; 상기 프론트 커버(10)로부터 선택적으로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소정의 외경을 가진 본체링(310)과, 상기 본체링(310)으로부터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1개소 이상에 형성되는 탑 지지부(320)와, 상기 탑 지지부(320)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만큼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는 탑 연결부(330)와, 상기 탑 연결부(330)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본체링(310)과는 소정의 이격거리를 유지한채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탑(top)(340)과; 상기 탑의 일측면에 소정의 위치에 스폿 용접을 통해서 결합되는 범프(bump)(350)와, 탑의 단부와 다음 탑 지지부(320) 사이에는 탑의 면적만큼의 공간을 제공하는 결합 스페이스가 반복하여 형성되는 쓰러스트부(30)와; 상기 프론트 커버(10)와 결합하여 상기 쓰러스트 베어링을 차폐하는 리어 커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쓰러스트 베어링은 2개 이상을 중심축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킨 후 겹쳐서 완성되고, 상기 프론트 커버(10)와 나사체결을 통해서 선택적으로 탈착이 용이한 구성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본체링(310)의 외주면에는, 상기 프론트 커버(10)에 구비된 결합부(1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구비한 조립보스와, 조립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상기 쓰러스트 베어링을 탈착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프론트 커버(10)의 결합부(110)는, 상기 조립보스가 안착가능한 대응되는 형상의 안착홈(111)과 결합공(1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합공(112)에는 암나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본체링(310)에 형성된 조립공과 나사결합이 가능한 구성을 가진다.
한편, 상기 프론트 커버(10)의 일측에는 상기 본체링(310)의 외경 및 조립보스의 단면형상에 대응되는 안착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리어 커버(20)와 결합하여 쓰러스트부(30)를 차폐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 쓰러스트부(30)는 나사결합을 통해서 상기 프론트 커버(10)와 탈착이 용이한 구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쓰러스트부(30)에서, 상기 탑(top)(340)은 상기 탑 연결부(330)로 부터 중심축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만큼 연장형성되고, 외경부는 상기 본체링(310)의 내경부와 소경의 이격거리를 유지하여 형성되며 소정의 위치에 스폿 용접을 통해서 범프(bump)(350)와 결합한다.
또한, 상기 쓰러스트부(30)는, 축중심에 대해서 탑과 결합 스페이스가 반복해서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탑(top)(340)이, 축중심에 대해서 각각 대응되는 각도 및 위치에 2개소 이상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상기 탑이 중심축에 대해서 각각 의 위치마다 3개가 구비되고, 상기 각 탑과 탑사이에는 결합 스페이스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2장의 본체링(310)을 중심축에 대해서 서로 60°엇갈리게 겹치게 하면, 각각의 본체링(310)에 형성된 결합 스페이스에는 탑이 위치하게 되어 하나의 쓰러스트부(30)가 완성된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본체링(310)의 중심축에서 각각 90°되는 지점에 4개의 탑이 구비되고, 상기 각 4개의 탑 사이에는 결합 스페이스가 형성되는 본체링(310)이 구비된다.
이때, 2장의 쓰러스트부(30)를 축중심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켜서, 첫번째 장에 구비된 탑(top)(340)이 두번째 장의 결합 스페이스에 위치시킨 후 겹쳐서 쓰러스트 부가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가능한 에어포일 쓰러스트 베어링(1)이 완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체링(310) 2장을 앞서와 같은 방법으로 겹치면 한장의 쓰러스트부(30)가 완성된다. 이렇게 완성된 쓰러스트부(30)를 상기 프론트 커버(10)와 결합시킨 후, 리어 커버(20)를 조립하면 쓰러스트 베어링이 완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쓰러스트 베어링은, 쓰러스트 베어링의 일부 구성이 마모되거나 파손되어 수리 또는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 손쉽게 분해 및 교체가 용이한 구성을 제공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쓰러스트부(30)의 일부 탑이나 범프(bump)(350) 부분이 파손되거나 마모되는 경우에는 전체를 교체할 필요가 없이 교체가 필요한 탑이나 범프가 있는 부분의 쓰러스트부(30)만을 교체가 가능한 구성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와 같이 탈착가능한 에어포일 쓰러스트 베어링(1)은, 완성된 쓰러스트부(30)를 상기 프론트 커버의 결합부(110)와 나사결합을 통해서 결합한 후,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서 탈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쓰러스트부(30)를 2장을 겹쳐서 한장의 완성된 쓰러스트부(30)가 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으나, 쓰러스트부(30)를 3장 또는 4장을 겹쳐서 혹은 그 이상의 갯수로 구성된 쓰러스트부(30)를 겹쳐서 한장의 쓰러스트부(30)를 완성하는 예 또한 가능할 것이다.
도 9 내지 11을 참조하면, 상기 탑 지지부(320)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만큼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는 탑 연결부(330)는 상기 탑 지지부(320)으로부터 소정의 곡율을 가지도록 완만한 곡선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탑(340)부는 상기 탑 지지부(320)의 곡률과 반대되는 곡률을 가지고 상기 탑 지지부(320)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탑(340)부가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쓰러스트 베어링이 추력을 받아서 상기 리어 커버(20)의 일측면과 접촉하는 경우에, 그 접촉면이 완만하게 곡률을 가진 경우에는 접촉되면 면적이 적어서 마찰 등으로 인한 마모 등으로 인하여 접촉면이 닳거나 파손되는 경우를 구조적으로 최소화함으로써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쓰러스트부(30)를 겹쳐서 한장의 쓰러스트부(30)를 완성하고, 이를 기존의 용접을 통해서 결합하는 방식이 아닌 나사결합을 통해서 필요시 손쉽게 탈착 및 수리가 용이한 구성을 가진 탈착가능한 에어포일 쓰러스트 베어링(1)의 구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1. 에어포일 쓰러스트 베어링 10. 프론트 커버
20. 리어 커버 30. 쓰러스트부
110. 결합부 111. 안착홈
112. 결합공 310. 본체링
320. 탑 지지부 330. 탑 연결부
340. 탑(top) 350. 범프(bump)

Claims (7)

  1. 에어블로워 기기에 구비되는 에어포일 쓰러스트 베어링(1)에 있어서,
    쓰러스트부(30)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쓰러스트부(30)가 선택적으로 탈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결합부(110)가 구비된 프론트 커버(10)와;
    상기 프론트 커버(10)로부터 선택적으로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소정의 외경을 가진 본체링(310)과,
    상기 본체링(310)으로부터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1개소 이상에 형성되는 탑 지지부(320)와,
    상기 탑 지지부(320)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만큼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는 탑 연결부(330)와,
    상기 탑 연결부(330)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본체링(310)과는 소정의 이격거리를 유지한채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탑(top)(340)과;
    상기 탑의 일측면에 소정의 위치에 스폿 용접을 통해서 결합되는 범프(bump)(350)와,
    탑의 단부와 다음 탑 지지부(320) 사이에는 탑의 면적만큼의 공간을 제공하는 결합 스페이스가 반복하여 형성되는 쓰러스트부(30)와;
    상기 프론트 커버(10)와 결합하여 상기 쓰러스트 베어링을 차폐하는 리어 커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쓰러스트부는 2개 이상을 중심축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킨 후 겹쳐서 완성되고, 상기 프론트 커버(10)와 나사체결을 통해서 선택적으로 탈부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가능한 에어포일 쓰러스트 베어링.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링(310)의 외주면에는,
    상기 프론트 커버(10)에 구비된 결합부(1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구비한 조립보스와, 조립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상기 쓰러스트 베어링을 탈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가능한 에어포일 쓰러스트 베어링.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쓰러스트부(30)에서,
    상기 탑(top)(340)은 상기 탑 연결부(330)로 부터 중심축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만큼 연장형성되고, 외경부는 상기 본체링(310)의 내경부와 소경의 이격거리를 유지하여 형성되며 소정의 위치에 스폿 용접을 통해서 범프(bump)(350)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가능한 에어포일 쓰러스트 베어링.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쓰러스트부(30)는,
    축중심에 대해서 탑과 결합 스페이스가 반복해서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가능한 에어포일 쓰러스트 베어링.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탑(top)(340)이,
    축중심에 대해서 각각 대응되는 각도 및 위치에 2개소 이상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가능한 에어포일 쓰러스트 베어링.
  6. 제 5항에 있어서,
    2장의 쓰러스트부(30)를 축중심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켜서, 첫번째 장에 구비된 탑(top)(340)이 두번째 장의 결합 스페이스에 위치시킨 후 겹쳐서 쓰러스트 부가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가능한 에어포일 쓰러스트 베어링.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완성된 쓰러스트부(30)를 상기 프론트 커버의 결합부(110)와 나사결합을 통해서 결합한 후,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서 탈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가능한 에어포일 쓰러스트 베어링.
KR1020170125492A 2017-09-27 2017-09-27 탈착가능한 에어포일 쓰러스트 베어링 KR101918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492A KR101918585B1 (ko) 2017-09-27 2017-09-27 탈착가능한 에어포일 쓰러스트 베어링
PCT/KR2017/010870 WO2019066102A1 (ko) 2017-09-27 2017-09-28 탈착가능한 에어포일 쓰러스트 베어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492A KR101918585B1 (ko) 2017-09-27 2017-09-27 탈착가능한 에어포일 쓰러스트 베어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8585B1 true KR101918585B1 (ko) 2018-11-15

Family

ID=64363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5492A KR101918585B1 (ko) 2017-09-27 2017-09-27 탈착가능한 에어포일 쓰러스트 베어링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18585B1 (ko)
WO (1) WO201906610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9433A1 (ko) * 2019-04-11 2020-10-15 (주)건우테크 조립분해가능한 에어블로워용 에어포일 베어링
KR20220120382A (ko) * 2021-02-23 2022-08-30 유한회사 아르젠터보 트러스트 에어포일 베어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0139B1 (ko) 2005-04-14 2006-06-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
KR101558489B1 (ko) 2015-03-20 2015-10-07 ㈜티앤이코리아 스러스트 포일 공기 베어링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68847B2 (ja) * 2013-09-19 2018-01-31 株式会社Ihi スラスト軸受
KR102474954B1 (ko) * 2015-11-18 2022-12-0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에어 포일 베어링
KR101825800B1 (ko) * 2016-01-28 2018-02-06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틸팅패드 스러스트 베어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0139B1 (ko) 2005-04-14 2006-06-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
KR101558489B1 (ko) 2015-03-20 2015-10-07 ㈜티앤이코리아 스러스트 포일 공기 베어링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9433A1 (ko) * 2019-04-11 2020-10-15 (주)건우테크 조립분해가능한 에어블로워용 에어포일 베어링
CN112513478A (zh) * 2019-04-11 2021-03-16 建佑科技有限公司 可组装分解的风机用翼型轴承
KR20220120382A (ko) * 2021-02-23 2022-08-30 유한회사 아르젠터보 트러스트 에어포일 베어링
KR102507213B1 (ko) * 2021-02-23 2023-03-07 유한회사 아르젠터보 트러스트 에어포일 베어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66102A1 (ko) 2019-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3036B1 (ko) 에어포일 쓰러스트 베어링 및 메탈메쉬포일 래디얼 베어링을 포함하는 분할형 콤보 베어링
EP2805044B1 (en) Blade bearing with support structure having non-uniform stiffness and method of manufacture
EP2565450A1 (en) Direct drive wind turbine and bearing structure
US9450462B2 (en) Axial flux machine
KR101918585B1 (ko) 탈착가능한 에어포일 쓰러스트 베어링
EP3144497A1 (en) Electric supercharger
JP5620633B2 (ja) ロータ用の固定システムおよび該システムを含む回転流体機械
US9951654B2 (en) Stator blade sector for an axial turbomachine with a dual means of fixing
US9035517B2 (en) Generator ball bearing support
US9124153B2 (en) Direct drive generator
RU2435038C2 (ru) Паровая турбина
WO2016199822A1 (ja) 回転機械
US3502260A (en) Stator vane linkage for axial flow compressors
US11009009B2 (en) Shaft for a wind turbine
KR101445063B1 (ko) 에어포일 쓰러스트 베어링 및 메탈메쉬포일 래디얼 베어링을 포함하는 콤보 베어링
US20130300124A1 (en) Profiled Air Cap on Direct Drive Wind Turbine Generator
JP2014089040A (ja) タービン排気フード及び関連する方法
US10012094B2 (en) Carrier ring
US20190242271A1 (en) Structural Casing for an Axial Turbine Engine
KR101409815B1 (ko) 콤보 메탈 메쉬 포일 베어링
JP2008069691A (ja) 発電用風車装置および風力発電装置
US11073137B2 (en) Journal bearing housing and shaft for a wind turbine drivetrain having corresponding deformation
US11009003B2 (en) Hub and spinner for a wind turbine
EP0723088B1 (en) A support device for rotating shaft rolling bearings on a fixed supporting structure
KR101408718B1 (ko) 분할 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베어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