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9815B1 - 콤보 메탈 메쉬 포일 베어링 - Google Patents

콤보 메탈 메쉬 포일 베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9815B1
KR101409815B1 KR1020130005024A KR20130005024A KR101409815B1 KR 101409815 B1 KR101409815 B1 KR 101409815B1 KR 1020130005024 A KR1020130005024 A KR 1020130005024A KR 20130005024 A KR20130005024 A KR 20130005024A KR 101409815 B1 KR101409815 B1 KR 101409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foil
damper body
rotary shaf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5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훈
최상규
홍두의
윤태광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05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9815B1/ko
Priority to US14/155,455 priority patent/US915747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9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9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7/0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7/1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7/00Elastic or yielding bearings or bearing support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27/02Sliding-contact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2/00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6C32/06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oving member supported by a fluid cushion formed, at least to a large extent, otherwise than by movement of the shaft, e.g. hydrostatic air-cushion bearings
    • F16C32/0603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oving member supported by a fluid cushion formed, at least to a large extent, otherwise than by movement of the shaft, e.g. hydrostatic air-cushion bearings supported by a gas cushion, e.g. an air cushion
    • F16C32/0614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oving member supported by a fluid cushion formed, at least to a large extent, otherwise than by movement of the shaft, e.g. hydrostatic air-cushion bearings supported by a gas cushion, e.g. an air cushion the gas being supplied under pressure, e.g. aerostatic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60/00Engines or pumps
    • F16C2360/23Gas turbine eng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Of The B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콤보 메탈 메쉬 포일 베어링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래디얼 베어링과 쓰러스트 베어링의 기능을 단일의 부품으로 구현함으로써 베어링 구비 공간의 부피를 비약적으로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콤보 메탈 메쉬 포일 베어링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탈 메쉬를 이용하여 베어링을 구성함으로써 내구성을 높이고, 부품 구성을 단순화하며, 복잡하고 난해한 형상의 회전체의 어느 위치에도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콤보 메탈 메쉬 포일 베어링을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콤보 메탈 메쉬 포일 베어링 {Combo metal-mesh-foil bearing}
본 발명은 콤보 메탈 메쉬 포일 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회전 또는 왕복 운동과 같은 움직임이 있는 부품(회전축, 이동축 등)에 있어서, 부품의 운동 과정에서 일어나는 마찰 때문에 발생될 수 있는 부품 마모나 손상 문제, 소음 문제, 에너지 낭비 문제 등과 같은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베어링이 구비되고 있다. 베어링이 하중이 회전축에 대하여 수직으로 작용하는 베어링을 래디얼 베어링 또는 저널 베어링(미끄럼 베어링의 경우)이라고 하며, 하중이 회전축에 평행으로(즉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베어링을 쓰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이라고 한다. 모든 축받이의 경우도 쓰러스트 베어링이라고 부르는데, 구름 베어링에서는 분류상, 축으로의 하중방향이 45도를 넘을 경우에는 쓰러스트 베어링, 그 이하의 경우에는 래디얼 베어링으로 분류한다. 한국특허공개 제2012-0009724호("하이브리드 공기포일베어링", 2012.02.02), 국제특허공개 제2010-122450호("A MAGNETIC BEARING, A ROTARY STAGE, AND A REFLECTIVE ELECTRON BEAM LITHOGRAPHY APPARATUS", 2010.10.28) 등에 종래의 여러 래디얼 베어링 기술이, 또한 한국특허등록 제1204194호("가스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 및 그것을 구비하는 원심 압축기", 2012.11.16), 미국특허공개 제2009-0039740호("Magnetic Bearing", 2009.02.12) 등에 종래의 여러 쓰러스트 베어링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최근, 세계적으로 중앙 집중 방식의 전기 송전이 킬로와트당 비용이 크게 소모되고 생산된 전기를 소비자에게 분배하기 위해 설치되는 고가의 기초 구조물을 가지고 있어야만 하여 초기 설비 투자비의 규모가 커진다는 문제 등으로 인하여, 분산형 발전기술의 상업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이러한 경향에 따라 현장에서 직접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소형 가스 터빈인 마이크로 가스 터빈의 활용이 점점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 마이크로 가스 터빈 또는 마이크로터빈(Microturbine)은 가스 터빈을 소형화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1kW 미만에서 수백kW의 출력을 갖는다. 이러한 마이크로 가스 터빈은 상술한 바와 같이 분산형 전원과 소규모 열병합 발전용으로 기술적인 장점 및 친환경적인 특성으로 인해 기술 개발과 보급이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마이크로 가스 터빈 등과 같은 소형 장치의 경우, 원하는 출력을 얻기 위해서는 회전축의 회전은 일반적으로 10만~40만rpm 정도의 고속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이 잘 알려져 있다. 이처럼 소형 장치에 있어서도 래디얼 베어링, 쓰러스트 베어링 등의 구비는 필수적이다. 특히 현재 그 필요 또는 실제 사용이 늘어나고 있는 마이크로 가스 터빈과 같은 소형 고속 회전체의 경우에 있어서, 축 방향 진동 저감, 고온 환경에서 사용 가능, 높은 내구성 등과 같은 베어링의 요구 조건에 더하여, 비접촉식 및 무급유 조건을 만족시킴과 동시에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한 베어링에 대한 요구가 날로 커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회전체의 베어링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반경 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래디얼 베어링과 축 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쓰러스트 베어링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베어링들이 모두 별개로 구성되기 때문에, 회전체에 구비되는 베어링 시스템 자체의 부피가 커질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베어링 시스템 자체의 부피가 커질수록 회전체의 길이도 커지게 되고, 이에 따른 회전체의 1차 굽힘 모드(위험속도)가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바, 결과적으로 이는 소형 회전체의 고속 회전 시의 안정성을 크게 떨어뜨리는 문제를 유발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이 두 가지 타입의 베어링을 따로 제작하여 조립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쓰러스트 베어링 부착용 백 플레이트가 필요하며, 조립 시 조립 정밀도를 맞추기 위한 절차가 필요해지는 등 조립 공정이 매우 복잡해지는 문제 또한 있다. 더불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비접촉식 및 무급유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기존에 널리 사용되는 볼 베어링, 미끄럼 베어링 등의 사용은 불가하고 에어포일 베어링, 전자석 베어링 등을 사용하여야만 하는데, 이러한 종래의 베어링들 역시 다음과 같은 문제들을 가지고 있다. 에어포일 베어링의 경우 구조적으로 내구성이 극히 취약하여 특히 쓰러스트 베어링용으로는 거의 적용이 어려울 정도이며, 또한 소형으로 범프 포일 형상을 제작하는 데 크게 한계가 있다. 전자석 베어링의 경우 장치 자체의 구성이 복잡하고 가격이 비싸 매우 비경제적이라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상술한 바와 같은 마이크로 가스 터빈 등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소형 회전체 자체의 형상 개선 연구의 진행에 따라 다음과 같은 문제도 더 발생하였다. 도 1은 종래의 임펠러 결합 회전축에서의 베어링 배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종래에는 회전축(1)에 터빈 임펠러(2), 압축기 임펠러(3) 등을 별도로 구성하여 결합하였다. 즉, 회전축(1)의 일측에 임펠러(2)(3)들을 슬라이딩하여 결합한 후 볼트와 너트 등을 이용하여 결합을 하였던 것이다. 이와 같은 회전축 및 임펠러 결합체와, 종래의 일반적인 베어링(10)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베어링(10) 역시 임펠러(2)(3)들을 회전축(1)에 끼워넣는 과정에서 함께 끼워넣도록 하면 되었다.
그런데 이와 같이 회전체를 구성할 경우, 이와 같이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축 및 이와 결합된 부품 간의 불균형 및 굽힘 문제 등이 있다는 점이 꾸준히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고속 회전 시의 불균형이나 굽힘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서, 회전축, 압축기 임펠러, 터빈 임펠러 등을 각각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한 후 결합하는 방식을 탈피하여, 최근 회전축과 임펠러들을 일체형으로 제작하고자 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런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축 및 임펠러의 결합 시 발생되는 불균형 문제 때문에 임펠러와 회전축이 일체화된 회전체의 설계 및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종래와 같은 형태의 베어링을 이러한 임펠러-회전축 일체형 회전축에 결합하는 것이 매우 난해한 문제 또한 있다.
1. 한국특허공개 제2012-0009724호("하이브리드 공기포일베어링", 2012.02.02) 2. 국제특허공개 제2010-122450호("A MAGNETIC BEARING, A ROTARY STAGE, AND A REFLECTIVE ELECTRON BEAM LITHOGRAPHY APPARATUS", 2010.10.28) 3. 한국특허등록 제1204194호("가스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 및 그것을 구비하는 원심 압축기", 2012.11.16) 4. 미국특허공개 제2009-0039740호("Magnetic Bearing", 2009.02.12)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래디얼 베어링과 쓰러스트 베어링의 기능을 단일의 부품으로 구현함으로써 베어링 구비 공간의 부피를 비약적으로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콤보 메탈 메쉬 포일 베어링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탈 메쉬를 이용하여 베어링을 구성함으로써 내구성을 높이고, 부품 구성을 단순화하며, 복잡하고 난해한 형상의 회전체의 어느 위치에도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콤보 메탈 메쉬 포일 베어링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콤보 메탈 메쉬 포일 베어링은, 중심에 회전축(200)이 관통하는 통공 형태의 관통부(115)가 형성되는 몸체부(111), 상기 몸체부(111) 일부 영역에서 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돌출부(112), 상기 몸체부(111) 일측에 축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홈부(113), 상기 관통부(115) 측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삽입부(114)를 포함하며, 메탈 메쉬 재질로 이루어지는 댐퍼 바디(110); 상기 돌출부(112)의 상면에 면접촉하는 접촉부(121), 상기 홈부(113)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122), 상기 접촉부(121) 및 상기 고정부(122)를 연결하는 연결부(123)를 포함하며, 일체의 박판이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쓰러스트 탑 포일(120); 상기 회전축(200) 둘레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회전축(200)의 외측면 및 상기 댐퍼 바디(110)의 상기 관통부(115) 내측면 사이에 개재 구비되며, 일측 끝단이 상기 댐퍼 바디(110)의 상기 삽입부(114)에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부(131)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며, 일체의 박판이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래디얼 탑 포일(1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쓰러스트 탑 포일(120)의 상기 접촉부(121)는 상기 댐퍼 바디(110)의 상기 돌출부(112)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121) 전체 면적이 상기 돌출부(112) 전체 면적과 완전히 면접촉함으로써 상기 접촉부(121)가 상기 돌출부(112)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베어링(100)은, 상기 댐퍼 바디(110)가, 상기 몸체부(111), 상기 돌출부(112), 상기 홈부(113)로 이루어지는 단위 칼라(P)가 적어도 둘 이상 방사상으로 배치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쓰러스트 탑 포일(120)이 상기 단위 칼라(P)의 개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퍼 바디(110)는, 상기 몸체부(111), 상기 돌출부(112), 상기 홈부(113)로 이루어지는 단위 칼라(P)가 축 방향으로 적어도 한 면 이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122)는, 상기 홈부(113)에 끼움 결합되어 고정되거나, 상기 홈부(113)에 삽입되어 접착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베어링(100)은, 상기 홈부(113)에 삽입된 상기 고정부(122)를 지지하도록, 상기 홈부(113)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핀(125);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퍼 바디(110)는, 반경 방향으로 분할되어 서로 분리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분할체(111)(112)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베어링(100)은, 상기 회전축(200) 둘레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되, 그 내측에 상기 댐퍼 바디(110), 상기 쓰러스트 탑 포일(120), 상기 래디얼 탑 포일(130)을 수용하도록 이루어지는 하우징(150);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114)는, 상기 분할체(111)(112)들 사이의 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베어링(100)은, 상기 분할체(111)(112)들 사이의 틈 중 상기 끼움부(131)가 끼워지지 않은 틈에 끼워지며, 박판 형태로 이루어지는 갭 필러(140);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갭 필러(140)는, 상기 래디얼 탑 포일(130)과 동일 두께 또는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축(200)은 상기 회전축(20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임펠러(30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임펠러-회전축 일체형 회전체(500)의 회전축이며, 상기 댐퍼 바디(110)의 외경 및 상기 하우징(150)의 내경은 상기 임펠러(30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에 래디얼 베어링과 쓰러스트 베어링이 구비되는 회전체에 대하여, 래디얼 베어링과 쓰러스트 베어링의 기능을 단일 부품으로 구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콤보 베어링을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에 두 종류의 별도의 베어링들을 구비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불필요하게 길어졌던 만큼의 회전체 길이를 축소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물론 이처럼 회전체 길이를 최소화함으로써, 시스템 전체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효과 또한 있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에 의하면, 이처럼 회전체 길이가 종래보다 줄어듦으로써 회전체의 굽힘 모드에 의한 위험 속도가 종래에 비하여 높아지게 되므로, 회전체가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동작 속도 범위를 보다 넓힐 수 있는 효과 또한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하면, 일정한 밀도의 금속 압착 성형물을 이용하여 베어링의 탑 포일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종래 에어포일 베어링에서 박판을 이용하여 감쇠 역할을 함으로써 하중에 취약했던 문제를 개선하여 종래에 비해 훨씬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는 큰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에어포일 베어링과는 달리 범프 포일을 제작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 구조가 단순화되고 제작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으며, 물론 이에 따라 소형 회전체에도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하여, 종래에 비해 적용 범위를 훨씬 확장할 수 있다는 큰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메탈 메쉬 댐퍼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고 단순한 구조로서 제작이 용이하고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면서도, 제작 및 유지 보수비도 절감되고, 높은 내구성 및 고온 환경 사용 가능 등의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임펠러들과 회전축이 일체로 형성되는 임펠러-회전축 일체형 회전체에 대하여, 종래의 베어링의 경우 어느 한쪽으로부터 베어링을 끼워넣어 배치하기 불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베어링 배치 방법이 난해했던 문제를 해결하는 큰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의 베어링은 분할 구조로 될 수 있음으로써, 임펠러-회전축 일체형 회전체 뿐만 아니라 아무리 복잡한 형상의 회전체라 할지라도 그 어떤 원하는 위치에든 쉽게 결합이 가능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임펠러 결합 회전축에서의 베어링 배치 구성.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콤보 메탈 메쉬 포일 베어링의 한 실시예.
도 4는 종래의 임펠러 결합 회전축에의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콤보 메탈 메쉬 포일 베어링 배치 구성.
도 5는 임펠러-회전축 일체형 회전체에서의 베어링 배치 구성.
도 6은 본 발명의 콤보 메탈 메쉬 포일 베어링의 다른 실시예.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콤보 메탈 메쉬 포일 베어링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콤보 메탈 메쉬 포일 베어링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2는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를, 도 3은 상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콤보 메탈 메쉬 포일 베어링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콤보 메탈 메쉬 포일 베어링의 구성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콤보 메탈 메쉬 포일 베어링(100)은, 기본적으로 댐퍼 바디(110), 쓰러스트 탑 포일(120), 래디얼 탑 포일(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댐퍼 바디(110)는 메탈 메쉬 재질로 이루어지되, 그 형상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1), 돌출부(112), 홈부(113), 삽입부(114), 관통부(1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부(111)는 그 중심에 중심에 회전축(200)이 관통하는 통공 형태의 관통부(115)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12)는 상기 몸체부(111) 일부 영역에서 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홈부(113)는 상기 몸체부(111) 일측에 축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114)는 상기 관통부(115) 측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홈부(113)는 상기 쓰러스트 탑 포일(120)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이며, 상기 삽입부(114)는 상기 래디얼 탑 포일(130)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이다. 이에 대해서는 탑 포일들에 대해 설명할 때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때 상기 댐퍼 바디(110)는, 상기 몸체부(111), 상기 돌출부(112), 상기 홈부(113)로 이루어지는 단위 칼라(unit collar, P)가 적어도 둘 이상 방사상으로 배치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는 상기 단위 칼라(P)가 네 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물론 하나의 예시일 뿐으로 상기 단위 칼라(P)의 개수는 몇 개이든 제한이 없다. 또한 상기 댐퍼 바디(110)는, 상기 몸체부(111), 상기 돌출부(112), 상기 홈부(113)로 이루어지는 단위 칼라(P)가 축 방향으로 적어도 한 면 이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위 칼라(P)가 상기 베어링(100)의 축 방향으로 두 면, 즉 상면 및 하면 모두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물론 상기 베어링(100)은 이와 같이 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베어링(100)의 축 방향으로 한 면, 즉 상면이나 하면 중 한 면에만 상기 단위 칼라(P)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의 예시에서, 상기 단위 칼라(P)는 상기 베어링(100)의 상면 및 하면에 4개의 동일 개수로서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단위 칼라(P)의 개수나 상기 단위 칼라(P)가 형성되는 면에는 아무런 제한이 없으므로, 예를 들어 상기 단위 칼라(P)가 상기 베어링(100)의 상면에만 6개 형성된다든가, 또는 상기 단위 칼라(P)가 상기 베어링(100)의 상하면에 각각 형성되되 상면에는 4개, 하면에는 6개 형성된다든가, 또는 상기 단위 칼라(P)가 상기 베어링(100)의 상하면에 각각 동일 개수만큼 형성되되 위상차가 있는 형태(즉 상면에서 보았을 때 하면 형상은 상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이되 소정 각도만큼 회전되어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든가 등, 사용자의 목적이나 요구에 따라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중요한 것은, 상기 댐퍼 바디(110)가 메탈 메쉬(metal mesh) 재질로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종래의 에어포일 베어링의 경우, 탑 포일 하부에 범프 포일이 구비되어 이루어졌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범프 포일은 박판에 요철 형상을 형성하는 등의 구조물로 이루어짐으로써 탄성체 역할을 하도록 되는 것이기 때문에, 내구성이 상당히 취약하여 하중이 큰 고속 회전체의 축받침에 부적당했다. 뿐만 아니라 좁은 면적에 범프 형상을 형성하는 것이 난해한 등의 문제 또한 있어, 베어링의 소형화 및 경량화에도 상당한 제한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에어포일 베어링의 범프 포일을 삭제하고, 메탈 메쉬로 이루어지는 댐퍼 바디(110)가 이 범프 포일의 탄성체 역할을 대신하도록 하고 있다. 메탈 메쉬는 말 그대로 금속선이 그물 형태로 얽혀 있는 구조물로서, 탄성을 가지고 있고 내구성이 높다. 메탈 메쉬로 된 상기 댐퍼 바디(110)는 상기 베어링(100)이 받치고 있는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진동을 흡수해 주게 된다. 상기 댐퍼 바디(110)의 상기 돌출부(112) 부분에 상기 쓰러스트 탑 포일(120)의 상기 접촉부(121)가 면접촉하여 이루어지는 부분이 바로 쓰러스트면 축받침 부분이 되고, 상기 댐퍼 바디(110)의 상기 관통부(115) 내에 구비되는 상기 래디얼 탑 포일(130)의 내측면이 상기 회전축(200)과 면접촉하여 이루어지는 부분이 바로 래디얼면 축받침 부분이 되는데, 종래에 탑 포일 하부에 내구성이 취약한 범프 포일이 구비되었던 것과는 달리, 본 발명에서는 이처럼 상기 탑 포일(120) 하부에 메탈 메쉬 재질로 된 상기 댐퍼 바디(110)가 구비되어 있음으로써, 종래에 비해 훨씬 높은 내구성을 가지는 베어링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메탈 메쉬는 프레스로 찍는 공정 등을 통해 형상 가공도 상당히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댐퍼 바디(110)의 형상이 다소 복잡해진다 해도, 여러 부품들을 조립해서 그 형상을 만들어야 할 필요가 전혀 없이, 일체의 메탈 메쉬 덩어리를 조형함으로써 상기 댐퍼 바디(110)를 제작할 수 있어, 제작 공정이 훨씬 간편해지고 부품 수도 훨씬 줄어들게 된다. 더불어 이처럼 제작 용이성 및 부품 수, 조립 공정 수 저감 등의 요인에 의하여, 종래에 비해 베어링을 훨씬 소형화 및 경량화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기존에 종래의 베어링 사용이 어려웠던 마이크로 가스 터빈 등과 같은 소형 장치에도 활용이 가능하다는 큰 장점이 있다.
상기 쓰러스트 탑 포일(120)은 일체의 박판이 절곡되어, 접촉부(121) - 연결부(123) - 고정부(122)가 순차적으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촉부(121)는 상기 돌출부(112)의 상면에 면접촉하여 구비되며, 상기 접촉부(121)가 상기 베어링(100)이 받치고자 하는 축 쪽으로 노출되는 쓰러스트 접촉면이 된다. 상기 접촉부(121)의 표면에는 코팅이 이루어짐으로써 마찰계수를 낮추고, 공기압이 형성되도록 하여 비접촉 회전을 구현할 수 있다. (쓰러스트 탑 포일에서의 공기압 형성으로 인한 비접촉 회전 구현의 원리는 에어포일 쓰러스트 베어링의 원리와 유사하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고정부(122)는 상기 홈부(113)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쓰러스트 탑 포일(120)을 상기 댐퍼 바디(110)와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부(123)는 상기 접촉부(121) 및 상기 고정부(122)를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댐퍼 바디(110)의 형상에 맞게 적절히 절곡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댐퍼 바디(110)와 상기 탑 포일(120)의 결합은, 상기 홈부(113)와 상기 고정부(122)의 결합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가장 간단하게는, 상기 고정부(122)가 상기 홈부(113)에 끼움 결합되어 고정되거나, 상기 홈부(113)에 삽입되어 접착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22)가 상기 홈부(113)에 끼움 결합되어 고정될 경우, 고정력을 보다 높이기 위해 적절한 형태로 상기 고정부(122)가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별도의 그 어떤 부품이 필요하지 않으며, 따라서 그야말로 최소한의 부품만으로 베어링(100)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댐퍼 바디(110)와 상기 탑 포일(120)의 결합을 보다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쓰러스트 베어링(100)은 고정핀(125)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고정핀(125)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부(113)에 삽입된 상기 고정부(122)를 지지하도록, 상기 홈부(113)에 끼움 결합된다. 이 때 상기 고정핀(125)의 형상은 단지 상기 홈부(113)에 끼움 결합 가능한 형상이기만 하면 된다. 또한 그 조립 공정은 단순히 상기 고정핀(125)을 상기 홈부(113)에 눌러 끼우기만 하면 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고정핀(125)이 추가 구성된다 하더라도 종래에 비해서는 훨씬 조립 공정이 간단함은 마찬가지이다.
상기 래디얼 탑 포일(130)은, 일체의 박판이 절곡되어 상기 회전축(200) 둘레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200)의 외측면 및 상기 댐퍼 바디(110)의 상기 관통부(115) 내측면 사이에 개재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래디얼 탑 포일(130)은 상기 회전축(200) 둘레를 둘러싸도록 단면이 거의 원형을 이루되 완전히 폐곡선을 이루는 것이 아니라, 일측 끝단이 상기 댐퍼 바디(110)의 상기 삽입부(114)에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부(131)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상기 래디얼 탑 포일(130) 역시 그 단면이 거의 원형을 이루되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회전축(200) 주변에 임펠러 등과 같은 복잡한 돌출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하더라도 상기 회전축(200)의 원하는 위치 어디에든 쉽게 배치 구비시킬 수 있다.
상기 래디얼 탑 포일(130)의 내측면이 상기 베어링(100)이 받치고자 하는 상기 회전축(200)의 외측면 쪽으로 노출되는 래디얼 접촉면이 되는데, 상기 래디얼 탑 포일(130)의 내측면 표면에는 코팅이 이루어짐으로써 마찰계수를 낮추고, 공기압이 형성되도록 하여 비접촉 회전을 구현할 수 있다. (래디얼 탑 포일에서의 공기압 형성으로 인한 비접촉 회전 구현의 원리는 에어포일 래디얼 베어링의 원리와 유사하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 상에서는 상기 래디얼 탑 포일(130)을 상기 댐퍼 바디(110)에 고정하는 상기 삽입부(114)가 상기 래디얼 탑 포일(130)과 동일 두께의 아주 좁은 홈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물론 상기 삽입부(114) 역시 상기 쓰러스트 탑 포일(120)을 상기 댐퍼 바디(110)에 고정하는 상기 홈부(113)와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삽입부(114)도 상기 홈부(113) 정도의 소정 폭을 가지는 홈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래디얼 탑 포일(130)의 상기 끼움부(131)가 상기 삽입부(114)에 삽입되도록 한 후, 고정핀 등과 같은 결합용 부품을 사용하여 상기 끼움부(131)가 상기 삽입부(114)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는 등과 같은 변경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콤보 메탈 메쉬 포일 베어링(100)은, 상기 댐퍼 바디(110), 상기 쓰러스트 탑 포일(120), 상기 래디얼 탑 포일(130)로 이루어짐으로써, 쓰러스트 베어링 및 래디얼 베어링의 역할을 단일 부품으로 동시에 구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콤보 메탈 메쉬 포일 베어링(100)이 어떻게 쓰러스트 방향 및 래디얼 방향의 하중 지지 및 진동 저감을 하는지, 도 4를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종래의 임펠러 결합 회전축에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콤보 메탈 메쉬 포일 베어링을 배치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는 회전축(200)에 둘 이상의 임펠러(300)들이 여러 형태로 결합되는 예시들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상측 도면의 예시에서 살펴보면, 회전축(200) 상이 터빈 임펠러 또는 압축기 임펠러와 같은 두 개의 임펠러(300)들이 결합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임펠러(300)들 사이의 위치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콤보 메탈 메쉬 포일 베어링(100)이 구비되면, 상기 베어링(100)의 쓰러스트면(Thrust)은 상기 임펠러(300)들의 축 방향 면에 접촉하게 되며, 상기 베어링(100)의 래디얼면(Radial)은 상기 회전축(200)의 외측면에 접촉하게 된다. 즉, 상기 베어링(100)의 쓰러스트면에 상기 임펠러(300)가 접촉됨으로써, 상기 베어링(100)이 상기 회전축(200) 및 상기 임펠러(300)들의 결합체의 축 방향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축 방향 진동을 상기 베어링(100)이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베어링(100)의 래디얼면에 상기 회전축(200)이 접촉됨으로써, 상기 베어링(100)이 상기 회전축(200) 및 상기 임펠러(300)들의 결합체의 반경 방향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반경 방향 진동을 상기 베어링(100)이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이러한 회전축 상에 래디얼 베어링과 쓰러스트 베어링을 각각 별도의 부품으로서 구비하여야만 했기 때문에, 베어링 구비를 위한 공간이 더 필요하여, 시스템 자체의 부피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회전축 자체도 서로 다른 두 종의 베어링을 구비할 수 있을 만큼의 길이가 더 필요하게 되므로 회전축의 길이가 늘어나게 되었는데, 회전축의 길이가 늘어남에 따라 회전축에서의 굽힘 발생 경향이 커지게 되어, 굽힘 모드에서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한계치 속도인 위험 속도 값이 낮아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결과적으로는 회전축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동작 속도 범위가 줄어들게 되는 문제가 생기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베어링(100)은 도 4 등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단일 부품으로서 래디얼 베어링 및 쓰러스트 베어링의 두 가지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되는 바, 각각의 베어링들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된다. 즉 단일 부품으로 된 본 발명의 베어링(100)만을 구비하면 되기 때문에, 시스템 부피 및 회전축 길이를 훨씬 줄일 수가 있게 되어, 공간 활용성 및 회전축 길이 최소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물론 이처럼 회전축 길이가 최소화됨으로써, 회전축에서의 굽힘 발생 경향이나 불균형 문제가 훨씬 줄어들고, 궁극적으로는 회전축 위험 속도 값이 높아져서 회전축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동작 속도 범위를 늘릴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베어링(100)은 또한, 이와 같은 종래의 임펠러 및 회전축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결합체 형태의 회전체 뿐만 아니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임펠러-회전축 일체형 회전체에도 쉽게 적용이 가능하다. 먼저 임펠러-회전축 일체형 회전체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은 임펠러-회전축 일체형 회전체 및 베어링 배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임펠러-회전축 일체형 회전체(500)는 회전축(200)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임펠러(300)들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5은 발전용 마이크로 가스 터빈에 사용되는 임펠러-회전축 일체형 회전체의 예시로서, 도 5을 기준으로 좌측 임펠러(300)가 압축기 임펠러이고, 우측 임펠러(300)가 터빈 임펠러이며, 회전축(200)과 임펠러(300)들이 일체의 부품으로 되어 있되, 회전축(200)의 길게 연장된 일부 부분에는 발전에 이용될 수 있도록 자성체(210)가 구비되고 외면에 슬리브(220)가 씌워져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도 5은 이해를 돕기 위한 구체적인 하나의 예시일 뿐으로, 본 발명의 메탈 메쉬 베어링의 적용 가능 대상이 반드시 도 5과 같은 형태의 회전체로 한정되는 것은 전혀 아님은 물론이다.
이러한 상기 임펠러-회전축 일체형 회전체(500)의 경우, 상기 회전축(200)과 상기 임펠러(300)들이 일체의 부품으로 되어 있어 별도의 조립이 필요하지 않다. 그런데,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임펠러(300)들의 사이 부분에 베어링(100)이 구비되어야만 하는데, 이처럼 상기 회전축(200)과 상기 임펠러(300)들이 일체로 되어 있을 경우 상기 베어링(100)을 원하는 위치에 배치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래디얼 베어링은 일반적으로 당연히 중공이 있는 원반에 가까운 실린더 형태로 되며, 일반적으로 회전축은 동일 직경으로 된 봉 형태로 되는 바, 통상적으로 이러한 래디얼 베어링을 회전축에 조립할 때에는 회전축 일측 끝단에 베어링을 끼운 후 쭉 밀어줌으로써 원하는 위치로 배치시키는 방식을 사용하였다(도 4의 예시는 바로 그런 식으로 조립 결합된 형태를 보여 주고 있다). 그러나 도 5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임펠러-회전축 일체형 회전체(500)의 경우에는, 상기 임펠러(300)들 사이의 위치에 상기 베어링(100)을 배치시키고자 할 때, 어느 방향에서 상기 베어링(100)을 끼워 밀어주든 간에 반드시 상기 임펠러(300)에 걸리게 되어 상기 베어링(100)을 원하는 위치에 배치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콤보 메탈 메쉬 포일 베어링의 다른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바로 도 5에서와 같이 회전체가 복잡한 형태로 되어 있어 기존의 방식으로는 베어링 배치가 불가능한 위치에도 쉽게 배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시한다.
상기 댐퍼 바디(110)는 상기 회전축(200) 둘레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는데, 도 6의 실시예에서, 상기 댐퍼 바디(110)는 반경 방향으로 분할되어 서로 분리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분할체(111)(112)로 이루어진다는 것이 도 6의 실시예의 가장 주요한 특징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댐퍼 바디(110)는 메탈 메쉬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와 같은 형상을 만들고 유지하는 것에 어려움이 없다. 예를 들어 종래의 베어링 중에서도 볼 베어링이라든가 전자석 베어링 등과 같은 베어링들의 경우, 이와 같이 분할 구조를 도입할 경우 각부를 이루는 구성 부품들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없어 빠져 버리거나, 동력 공급이나 제어 동작 등을 구현하기 난해해지는 등의 문제가 있어, 분할 구조를 도입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베어링(100)은, 상기 댐퍼 바디(110)의 각 분할체(111)(112)가 단순히 메탈 메쉬 덩어리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 형상을 자유로이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다른 부품이 전혀 필요하지 않은 바, 본 발명의 베어링(100)에서는 자유롭게 분할 구조를 도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종래의 베어링의 경우 회전축 일측 끝단에 끼워 밀어서 원하는 위치에 배치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댐퍼 바디(110)가 이와 같이 분할체(111)(112)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댐퍼 바디(110)가 분할되어 만들어지는 상기 분할체(111)(112)들을 상기 회전축(200)의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부터 직접 원하는 위치에 바로 배치하여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아무리 회전축(200) 주변에 복잡한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해도, 원하는 위치 어디에든지 본 발명의 베어링(100)을 회전축(200)에 결합하는 데에 아무런 어려움이 없게 된다.
상기 분할체(111)(1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댐퍼 바디(110)가 두 부분으로 분할되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데, 필요한 경우라면 둘 이상의 개수라도 무방하다. 베어링 구조 및 조립 작업 등을 단순화하기 위해서는 물론 상기 댐퍼 바디(110)가 두 부분만으로 분할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겠으나, 예를 들어 매우 복잡한 형상으로 된 회전체에 조립을 해야 해서 작업 공간의 확보가 어렵다거나 하는 등과 같은 특수한 상황일 경우, 상황 개선을 위해 상기 댐퍼 바디(110)가 둘 이상의 개수로 분할되도록 하여도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댐퍼 바디(110)가 둘 이상의 분할체(111)(112)로 분할되도록 할 경우, 상기 베어링(100)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우징(15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150)은, 상기 회전축(200) 둘레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되, 그 내측에 상기 댐퍼 바디(110), 상기 쓰러스트 탑 포일(120), 상기 래디얼 탑 포일(130)을 수용하도록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댐퍼 바디(110)가 분할되지 않는 구조(도 2 및 도 3의 실시예)라 할지라도 상기 베어링(100)의 구조를 견고하게 보호하고 또한 상기 베어링(100)을 다른 부품에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150)이 필요하겠으나, 특히 상기 댐퍼 바디(110)가 분할 구조로 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150)은 필수적으로 필요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하우징(150) 역시 분할 구조로 되게 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하우징(150)도 둘 이상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서로 볼트 결합 등을 통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진동 저감 효율 문제, 불균형 문제 등을 고려할 때, 상기 하우징(1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 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2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회전축(20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임펠러(30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임펠러-회전축 일체형 회전체(500)의 회전축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150)의 내경이 상기 임펠러(300)보다 작다면, (종래의 베어링 조립 불가 문제와 똑같은 문제로 인해) 상기 하우징(150)의 조립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상기 댐퍼 바디(110)의 외경 및 상기 하우징(130)의 내경은 상기 임펠러(30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하면 된다. 상기 댐퍼 바디(110) 및 상기 탑 포일(120)은 상기 회전축(200)에 거의 밀접하게 배치되어야 하지만, 상기 하우징(150)은 그래야만 할 필요가 전혀 없기 때문에, 이처럼 상기 하우징(150)의 내경이 상기 임펠러(30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에 있어서 전혀 아무런 제한이나 문제가 없음은 물론이다.
상기 하우징(150)은 단지 상기 댐퍼 바디(110) 등을 수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링 형태로 이루어져도 무방하고, 상기 베어링(100) 자체를 다른 부품에 고정할 수 있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구비되는 플랜지와 같은 구조물이 더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도 6의 예시에서 상기 하우징(150)에 구비되는 플랜지는 다른 부품과 볼트 결합이 가능하도록 다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즉 도 6은 하나의 예시일 뿐으로, 상기 하우징(150)은 상기 댐퍼 바디(110) 등을 수용하여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만 있다면 어떤 형태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더불어, 상기 댐퍼 바디(110)가 이처럼 둘 이상의 분할체(111)(12)로 분할될 경우, 상기 래디얼 탑 포일(130)의 상기 끼움부(131)를 상기 댐퍼 바디(110)에 끼워 고정시키도록 상기 댐퍼 바디(110) 상에 형성되는 상기 삽입부(114)는, 별도로 형성되어도 되겠으나 그렇게 하지 않고 상기 분할체(111)(112)들 사이의 틈이 바로 상기 삽입부(114)를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에 더하여, 본 발명의 베어링(10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갭 필러(1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갭 필러(140)는 박판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분할체(111)(112)들 사이의 틈 중 상기 끼움부(131)가 끼워지지 않은 틈에 끼워져 구비된다. 상기 댐퍼 바디(110)를 제작할 때, 최초에는 가운데 통공이 형성된 원반과 유사한 형태로 메탈 메쉬를 성형한 후, 상기 래디얼 탑 포일(130)의 두께와 동일한 굵기의 와이어 등으로 절단함으로써 분할체(111)(112)로 구성할 수 있다. 그런데 이 때, 상기 갭 필러(140)가 없이 상기 분할체(111)(112)들을 합쳐 상기 댐퍼 바디(110)를 구성할 경우, 상기 하우징(150) 내부에서 상기 끼움부(131)가 끼워진 틈(즉 삽입부(114)로서 작용하는 틈) 외의 다른 틈 부분은 빈 공간으로 남게 된다. 이는 상기 분할체(111)(112)들이 상기 하우징(150) 내에서 위치가 고정되지 못하고 움직일 수 있게 될 여지가 있게 되거나, 또는 해당 빈 공간 때문에 상기 분할체(111)(112)가 찌그러지는 등의 변형을 일으켜 진원도가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갭 필러(140)를 나머지의 빈 틈 부분에 끼워 줌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들을 모두 해소할 수 있다. 즉 상기 갭 필러(140)에 의하여, 상기 분할체(111)(112)들이 안정적으로 고정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게 되며, 또한 절단된 부분 때문에 일부 손상된 진원도 역시 보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갭 필러(140)가 이와 같은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갭 필러(140)는 상기 래디얼 탑 포일(130)과 동일 두께 또는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본 발명의) 콤보 베어링
110: 댐퍼 바디 111: 몸체부
112: 돌출부 113: 홈부
114: 삽입부 115: 관통부
110A: (댐퍼 바디) 제1분할체 110B: (댐퍼 바디) 제2분할체
120: 쓰러스트 탑 포일 121: (쓰러스트 탑 포일) 접촉부
122: (쓰러스트 탑 포일) 고정부 123: (쓰러스트 탑 포일) 연결부
125: 고정핀
130: 래디얼 탑 포일 131: (래디얼 탑 포일) 끼움부
140: 갭 필러 150: 하우징
P: 단위 칼라

Claims (11)

  1. 중심에 회전축(200)이 관통하는 통공 형태의 관통부(115)가 형성되는 몸체부(111), 상기 몸체부(111) 일부 영역에서 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돌출부(112), 상기 몸체부(111) 일측에 축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홈부(113), 상기 관통부(115) 측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삽입부(114)를 포함하며, 메탈 메쉬 재질로 이루어지는 댐퍼 바디(110);
    상기 돌출부(112)의 상면에 면접촉하는 접촉부(121), 상기 홈부(113)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122), 상기 접촉부(121) 및 상기 고정부(122)를 연결하는 연결부(123)를 포함하며, 일체의 박판이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쓰러스트 탑 포일(120);
    상기 회전축(200) 둘레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회전축(200)의 외측면 및 상기 댐퍼 바디(110)의 상기 관통부(115) 내측면 사이에 개재 구비되며, 일측 끝단이 상기 댐퍼 바디(110)의 상기 삽입부(114)에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부(131)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며, 일체의 박판이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래디얼 탑 포일(1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댐퍼 바디(110)는 반경 방향으로 분할되어 서로 분리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분할체(111)(112)로 이루어지되, 상기 삽입부(114)는 상기 분할체(111)(112)들 사이의 틈으로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100)은, 상기 분할체(111)(112)들 사이의 틈 중 상기 끼움부(131)가 끼워지지 않은 틈에 끼워지며, 박판 형태로 이루어지는 갭 필러(140);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갭 필러(140)는, 상기 래디얼 탑 포일(130)과 동일 두께 또는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쓰러스트 탑 포일(120)의 상기 접촉부(121)는 상기 댐퍼 바디(110)의 상기 돌출부(112)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121) 전체 면적이 상기 돌출부(112) 전체 면적과 완전히 면접촉함으로써 상기 접촉부(121)가 상기 돌출부(112)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보 메탈 메쉬 포일 베어링.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100)은
    상기 댐퍼 바디(110)가, 상기 몸체부(111), 상기 돌출부(112), 상기 홈부(113)로 이루어지는 단위 칼라(P)가 적어도 둘 이상 방사상으로 배치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쓰러스트 탑 포일(120)이 상기 단위 칼라(P)의 개수만큼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보 메탈 메쉬 포일 베어링.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바디(110)는
    상기 몸체부(111), 상기 돌출부(112), 상기 홈부(113)로 이루어지는 단위 칼라(P)가 축 방향으로 적어도 한 면 이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보 메탈 메쉬 포일 베어링.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22)는
    상기 홈부(113)에 끼움 결합되어 고정되거나, 상기 홈부(113)에 삽입되어 접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보 메탈 메쉬 포일 베어링.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100)은
    상기 홈부(113)에 삽입된 상기 고정부(122)를 지지하도록, 상기 홈부(113)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핀(125);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보 메탈 메쉬 포일 베어링.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100)은
    상기 회전축(200) 둘레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되, 그 내측에 상기 댐퍼 바디(110), 상기 쓰러스트 탑 포일(120), 상기 래디얼 탑 포일(130)을 수용하도록 이루어지는 하우징(150);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보 메탈 메쉬 포일 베어링.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200)은 상기 회전축(20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임펠러(30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임펠러-회전축 일체형 회전체(500)의 회전축이며,
    상기 댐퍼 바디(110)의 외경 및 상기 하우징(150)의 내경은 상기 임펠러(30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보 메탈 메쉬 포일 베어링.
KR1020130005024A 2013-01-16 2013-01-16 콤보 메탈 메쉬 포일 베어링 KR101409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024A KR101409815B1 (ko) 2013-01-16 2013-01-16 콤보 메탈 메쉬 포일 베어링
US14/155,455 US9157473B2 (en) 2013-01-16 2014-01-15 Thrust bearing and combo bea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024A KR101409815B1 (ko) 2013-01-16 2013-01-16 콤보 메탈 메쉬 포일 베어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9815B1 true KR101409815B1 (ko) 2014-06-24

Family

ID=51133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5024A KR101409815B1 (ko) 2013-01-16 2013-01-16 콤보 메탈 메쉬 포일 베어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98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3321A (ko) * 2018-02-01 2019-08-0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메탈 메쉬 포일 베어링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0240B1 (ko) * 1999-12-24 2002-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 구조
JP2004183830A (ja) * 2002-12-05 2004-07-02 Toshiba Corp 分割型気体潤滑式フォイル軸受
KR20070058853A (ko) * 2005-12-05 2007-06-11 삼성전기주식회사 유체동압베어링
KR20120017637A (ko) * 2010-08-19 2012-02-29 한국기계연구원 고온 냉각용 공기 포일 베어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0240B1 (ko) * 1999-12-24 2002-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일 스러스트 베어링 구조
JP2004183830A (ja) * 2002-12-05 2004-07-02 Toshiba Corp 分割型気体潤滑式フォイル軸受
KR20070058853A (ko) * 2005-12-05 2007-06-11 삼성전기주식회사 유체동압베어링
KR20120017637A (ko) * 2010-08-19 2012-02-29 한국기계연구원 고온 냉각용 공기 포일 베어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3321A (ko) * 2018-02-01 2019-08-0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메탈 메쉬 포일 베어링
KR102050294B1 (ko) * 2018-02-01 2019-12-0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메탈 메쉬 포일 베어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3036B1 (ko) 에어포일 쓰러스트 베어링 및 메탈메쉬포일 래디얼 베어링을 포함하는 분할형 콤보 베어링
US9157473B2 (en) Thrust bearing and combo bearing
US10774649B2 (en) Gas turbine rotor and gas turbine generator
US10808757B2 (en) Air bearing and rotor system
EP1967731B1 (en) Self aligning bearing for wind turbine rotor
US8616831B2 (en) Simplified housing for a fuel cell compressor
US20170082115A1 (en) Electric supercharger
US6948853B2 (en) High load capacity stacked foil thrust bearing assembly
KR101930600B1 (ko) 너트 및 회전 기계
KR101409815B1 (ko) 콤보 메탈 메쉬 포일 베어링
US20040066991A1 (en) High load capacity foil thrust bearings
KR101918585B1 (ko) 탈착가능한 에어포일 쓰러스트 베어링
KR101445063B1 (ko) 에어포일 쓰러스트 베어링 및 메탈메쉬포일 래디얼 베어링을 포함하는 콤보 베어링
KR101408672B1 (ko) 메탈 메쉬 포일 쓰러스트 베어링
KR102171452B1 (ko) 모터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CN111042923A (zh) 一种转子系统及微型燃气轮机发电机组
CN111042925A (zh) 一种转子系统及微型燃气轮机发电机组
US11686341B2 (en) Foil bearing assembly including segmented inner foil assembly and compressor including same
US20240125357A1 (en) Housing fixing structure of air foil journal bearing
US20230336047A1 (en) Fluid machine
KR101408718B1 (ko) 분할 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베어링
CN211343140U (zh) 一种转子系统及微型燃气轮机发电机组
KR101625931B1 (ko) 스러스트 칼라부가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터빈
US20140140817A1 (en) Micro gas turbine having compact structure
KR101517817B1 (ko) 분할구조의 메탈 메쉬 포일 래디얼과 쓰러스트 일체형 베어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