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8006B1 - 건축용 내외장재의 결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건축용 내외장재의 결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8006B1
KR101918006B1 KR1020170033249A KR20170033249A KR101918006B1 KR 101918006 B1 KR101918006 B1 KR 101918006B1 KR 1020170033249 A KR1020170033249 A KR 1020170033249A KR 20170033249 A KR20170033249 A KR 20170033249A KR 101918006 B1 KR101918006 B1 KR 101918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plate
panel
plate portion
coupling
mal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3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7349A (ko
Inventor
김진형
김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스피
Priority to KR1020170033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8006B1/ko
Publication of KR20180107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7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8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8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내외장재의 결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패널을 건축 구조물에 결합시키기 위한 건축용 내외장재의 결합장치로서, 패널의 측면부에 설치되는 제1 결합유닛 및 제2 결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유닛 및 상기 제2 결합유닛은 각각 숫부재 또는 암부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숫부재는, 패널에 고정될 수 있는 제1 평판부와, 상기 제1 평판부에 연결되며 건축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는 제2 평판부와, 상기 제2 평판부와 연결되며 상기 암부재와 계합되는 제3 평판부를 구비하며, 상기 암부재는, 패널에 고정될 수 있는 제4 평판부와, 상기 제4 평판부에 연결되며 상기 숫부재의 제3 평판부와 상기 건축 구조물 사이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숫부재와 계합되는 제5 평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내외장재의 결합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축용 내외장재의 결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JOINING PART OF CONSTRUCTION EXTERIOR MATERIAL AND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축용 내외장재의 결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용 내외장재를 건축 구조물에 편리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결합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건축용 내외장재의 결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물 내벽 또는 외벽의 장식이나 단열을 위해 다양한 내장재 및 외장재가 사용되며, 이를 통칭하여 내외장재라 한다. 이러한 내외장재로서 금속제로 이루어진 패널을 건축 구조물에 부착하는 방식의 시공이 널리 이루어지고 있다.
건축용 내외장재로 사용되는 패널의 일례로 알루미늄 복합 패널, 알루미늄 접합 패널, 또는 스테인리스스틸 접합 패널 등이 있다. 이러한 패널 타입의 내외장재는 대형화될 경우 평활도나 강도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표면 손상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허니컴 구조체를 내장한 패널이 사용되기도 한다.
한편, 건축 구조물는 건축물의 뼈대를 이루어 하중을 지지하거나 각종 내/외장재를 부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구조체를 의미하며, 솔리드, 튜브, H빔, I빔 등의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진다.
도 1을 참조하면, 건축 구조물(C)에 건축용 내외장재인 패널(P1, P2)을 부착함으로써 건물 내벽 또는 외벽을 형성한다(도 1의 (a) 참조). 여기서 건축 구조물(C)과 패널(P1, P2)은 접착제, 또는 볼트나 리벳으로 결합되어 있다. 한편, 건축 구조물(C)과 패널(P1, P2) 사이의 연결을 수월하게 하기 위하여, 결합홈(H)을 가진 결합장치(J)가 건축 구조물(C)과 패널(P1, P2)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결합홈(H)에는 볼트, 리벳 등의 결합구가 삽입되거나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방식에서는 건축 구조물(C)과 패널(P1, P2)을 정확한 위치에 결합시키는 것이 쉽지 않았고, 따라서 숙련된 노동력을 필요로 하였다. 또한, 건물 내벽/외벽의 장식적 효과를 위해 줄눈이 외측으로 보이지 않도록 하는 시공(무메지 시공) 또는 줄눈이 외측으로 보이도록 하는 시공(오픈메지 시공)을 선택하는 데에 있어서도 제약이 있으며, 또한 심미적인 부분에서도 좋지 못하였다.
따라서, 시공성이 우수하면서도 정확한 위치결정이 가능한 건축용 내외장재의 결합 방법 및 이를 위한 부재가 요구되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7647호 (2014. 3. 25. 공고) 2.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1204호 (2011. 2. 8.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되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건축용 내외장재를 건축 구조물에 편리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결합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건축용 내외장재의 결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패널을 건축 구조물에 결합시키기 위한 건축용 내외장재의 결합장치로서, 패널의 측면부에 설치되는 제1 결합유닛 및 제2 결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유닛 및 상기 제2 결합유닛은 각각 숫부재 또는 암부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숫부재는, 패널에 고정될 수 있는 제1 평판부와, 상기 제1 평판부에 연결되며 건축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는 제2 평판부와, 상기 제2 평판부와 연결되며 상기 암부재와 계합되는 제3 평판부를 구비하며, 상기 암부재는, 패널에 고정될 수 있는 제4 평판부와, 상기 제4 평판부에 연결되며 상기 숫부재의 제3 평판부와 상기 건축 구조물 사이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숫부재와 계합되는 제5 평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내외장재의 결합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유닛 및 상기 제2 결합유닛은 절곡부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절곡부를 중심으로 절곡 또는 절단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유닛과 상기 제2 결합유닛은 상기 절곡부를 사이에 두고 직각을 이루거나, 또는 외력에 의해 직각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평판부에는, 상기 패널과 고정되도록 결합구가 삽입 가능한 제1 결합홈이 하나 이상 마련되며, 상기 제2 평판부에는, 상기 건축 구조물과 고정되도록 결합구가 삽입 가능한 제2 결합홈이 하나 이상 마련되며, 상기 제4 평판부에는, 상기 패널과 고정되도록 결합구가 삽입 가능한 제3 결합홈이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평판부의 길이는 상기 제5 평판부의 길이와 같거나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금속, 유리, 합성수지, 석재, 테라코타, 목재, 세라믹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 결합유닛 및 제2 결합유닛은 각각, 상기 패널에 직접 설치되거나, 또는 중간재를 개재하여 상기 패널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전술한 건축용 내외장재의 결합장치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으로서, a) 숫부재 및 암부재를 포함하는 제1 결합장치를 제1 패널에 고정시키는 단계, b) 상기 제1 결합장치의 숫부재를 건축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단계, c) 숫부재 및 암부재를 포함하는 제2 결합장치를 제2 패널에 고정시키고, 숫부재 및 암부재를 포함하는 제3 결합장치를 제3 패널에 고정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제1 결합장치의 숫부재를 상기 제2 결합장치의 암부재와 계합시키고, 상기 제1 결합장치의 암부재를 상기 제3 결합장치의 숫부재와 계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내지 상기 d 단계를 반복하여, 다수개의 패널을 매트릭스 형태로 건축 구조물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건축용 내외장재를 건축 구조물에 편리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결합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건축용 내외장재의 결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장치를 이용할 경우 건축용 내외장재인 패널에 결합장치를 정확하게 위치 고정시킬 수 있고, 다수개의 패널을 간단한 방법으로 건축 구조물에 결합할 수 있어,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장치를 이용하여 모델하우스 등의 가설 건축물에 패널을 시공할 경우, 패널의 탈부착이 용이하여 재활용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패널을 건축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일반적 방법을 설명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내외장재의 결합장치를 패널에 고정시킨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의한 결합장치를 나타낸 상세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의한 결합장치의 제조후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의한 결합장치의 암부재의 절곡전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내외장재의 결합장치를 패널에 고정시킨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2에 의한 결합장치의 숫부재 및 암부재의 계합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내외장재의 결합장치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내외장재의 결합장치를 패널에 고정시킨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2에 의한 결합장치를 나타낸 상세 평면도 및 단면도, 도 4는 도 2에 의한 결합장치의 제조후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 도 5는 도 2에 의한 결합장치의 암부재의 절곡전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내외장재의 결합장치를 패널에 고정시킨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건축용 내외장재로 사용하는 패널(P)의 각 모서리 부분에 총 4개의 결합장치(100; 200; 300; 400)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4개의 결합장치는 별도의 도면부호로 표시되어 있으나, 각각의 구조에 있어서는 유사성이 있으므로 별도의 용어를 부여하지는 않았다. 또한, 각 결합장치에서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다.
패널(P)은 알루미늄이나 철,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금속제 복합 패널 또는 접합 패널일 수 있으며, 그 소재나 두께, 형상 등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또한, 패널(P)에 허니컴 구조체를 비롯한 기타 보강재가 부가된 것도 가능하다. 이 결합장치(100; 200; 300; 400) 는 패널(P)을 도시하지 않은 건축 구조물에 결합시키는 장치이다. 여기서 건축 구조물은 건축물의 뼈대를 이루어 하중을 지지하거나 각종 내/외장재를 부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구조체이다. 건축 구조물은 철골 구조체일 수 있으나, 그 소재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또한 건축 구조물은 솔리드, 튜브, H빔, I빔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그 형태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결합장치(100; 200; 300; 400)는 각각 패널(P)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며, 패널(P)의 양 측면에 걸쳐 설치되기 때문에, 결합장치(100; 200; 300; 400)의 설치 위치가 자동적으로 결정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내외장재의 결합장치(100; 200; 300; 400)는 얼라인(align) 과정이 특별히 필요치 않아 시공성이 매우 우수하다.
결합장치(100; 200; 300; 400)는 패널(P)의 측면부에 설치되는 제1 결합유닛 및 제2 결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유닛 및 상기 제2 결합유닛은 각각 숫부재 또는 암부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1 결합유닛 및 제2 결합유닛은 절곡부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이 절곡부를 중심으로 절곡 또는 절단 가능할 수있다. 이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상세 설명키로 한다.
먼저, 도 3의 (a)를 참조하면, 결합장치(100)는 2개의 숫부재, 즉 제1 숫부재(110)와 제2 숫부재(130)가 절곡부(150)를 통해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즉, 제1 숫부재(110)와 제2 숫부재(130)가 각각 제1 결합유닛 및 제2 결합유닛이 된다.
여기서, 숫부재와 암부재는 상호 결합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는 부재이며, 숫부재 상호간 또는 암부재 상호간에는 결합되지 않는다.
제1 숫부재(110)는 패널(P)에 고정될 수 있는 제1 평판부(112)와, 이 제1 평판부(112)에 연결되며 건축 구조물(C)에 고정될 수 있는 제2 평판부(114)와, 이 제2 평판부(114)에 연결되며 암부재와 계합되는 제3 평판부(116)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평판부가 서로 연결된다는 것은, 각 평판부가 직접 연결되거나, 동일 평면 상에서 연결되는 것은 물론, 그 사이에 다른 부재, 예컨대 수직부가 개재되는 것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해야 한다.
즉, 도 3(a)에서와 같이, 제1 평판부(112)의 일측 단부에 제1 수직부(111)가 마련되고, 제1 평판부(112)의 타측 단부, 즉, 제1 평판부(112)와 제2 평판부(114)의 사이에 제2 수직부(113)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 평판부(114)와 제3 평판부(116)의 사이에 제3 수직부(115)가 마련될 수 있다. 제3 수직부(115)는 제1 수직부(111) 및 제2 수직부(113)에 비해 길이가 짧게 형성될 수 있다. 각 평판부(112; 114; 116)의 사이에 수직부(113; 115)를 마련함으로써 계단 형상을 이루게 된다.
제1 숫부재(110)의 제1 평판부(112)에는 패널(P)과 고정되도록 결합구가 삽입 가능한 제1 결합홈(117)이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결합홈(117)이 두 개 마련되어 있으나, 한 개 또는 3개 이상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결합구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볼트나 리벳이 될 수 있으며, 그 종류나 소재, 형상에 있어서 특별한 제한은 없다.
또한, 제1 숫부재(110)의 제2 평판부(114)에는 건축 구조물(C)과 고정되도록 결합구가 삽입 가능한 제2 결합홈(118)이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2 결합홈(118)이 두 개 마련되어 있으나, 한 개 또는 3개 이상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결합구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볼트나 리벳이 될 수 있으며, 그 종류나 소재, 형상에 있어서 특별한 제한은 없다.
다음으로, 제2 숫부재(130)는 제1 숫부재(110)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각 구성요소에 대해 별도의 용어를 부여하지는 않았으며, 이들에 대한 도면부호는 유사하게 부여하였다.
즉, 제2 숫부재(130)는 패널(P)에 고정될 수 있는 제1 평판부(132)와, 이 제1 평판부(132)에 연결되며 건축 구조물(C)에 고정될 수 있는 제2 평판부(134)와, 이 제2 평판부(134)에 연결되며 암부재와 계합되는 제3 평판부(136)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 평판부(132)의 일측 단부에 제1 수직부(131)가 마련되고, 제1 평판부(132)의 타측 단부, 즉, 제1 평판부(132)와 제2 평판부(134)의 사이에 제2 수직부(133)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 평판부(134)와 제3 평판부(136)의 사이에 제3 수직부(135)가 마련될 수 있다. 제3 수직부(135)는 제1 수직부(131) 및 제2 수직부(133)에 비해 길이가 짧게 형성될 수 있다. 각 평판부(132; 134; 136)의 사이에 수직부(133; 135)를 마련함으로써 계단 형상을 이루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 (a)에 도시된 결합장치(100)에서는 제1 숫부재(110)와 제2 숫부재(130)가 각각 제1 결합유닛 및 제2 결합유닛이 되며, 이 제1 결합유닛과 제2 결합유닛은 절곡부(150)를 사이에 두고 직각을 이루게 된다. 이와 달리, 제조시에는 제1 결합유닛과 제2 결합유닛이 서로 평행을 이루고 있다가 패널(P)과 연결하는 제조 공정에 이르러, 또는 실제 건축 시공 현장에서 제1 결합유닛과 제2 결합유닛에 외력을 가하여 직각을 이루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 (a)를 참조하면, 결합장치(100)의 제조후 형상은 제1 숫부재(110)와 제2 숫부재(130)가 서로 나란히 평행을 이루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가, 패널(P)과 연결하는 제조 공정, 또는 실제 건축 시공 현장에서 제1 숫부재(110)와 제2 숫부재(130)에 외력을 가하여, 절곡부(150)를 중심으로 제1 숫부재(110)와 제2 숫부재(130)가 직각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조 공정에서의 공정수를 줄여 제조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운반성 및 시공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결합장치(100)의 제조후 형상이 제1 숫부재(110)와 제2 숫부재가 서로 직각을 이룬 형태일 수 있다. 즉, 결합장치(100)의 형상이 애초에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이고, 이 형태 그대로 패널(P)과 연결하는 제조 공정, 또는 실제 건축 시공 현장으로 이송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3의 (b)를 참조하면, 결합장치(200)는 하나의 숫부재와 하나의 암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결합장치(200)는 제1 숫부재(210)와 제1 암부재(270)가 절곡부(250)를 통해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즉, 본 도면에 나타난 결합장치(200)에서는 제1 숫부재(210)와 제1 암부재(270)가 각각 제1 결합유닛 및 제2 결합유닛이 된다.
제1 숫부재(210)는 도 3 (a)와 관련하여 설명한 제1 숫부재(110)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별도의 용어를 부여하지는 않았으며, 또한 각 구성요소에 대해서도 별도의 용어는 부여하지 않되, 도면부호는 유사하게 부여하였다.
즉, 제1 숫부재(210)는 제2 평판부(212), 제2 평판부(214), 제3 평판부(216), 제1 수직부(211), 제2 수직부(213), 제3 수직부(215), 제1 결합홈(217), 및 제2 결합홈(218)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제1 숫부재(110)에 있어서 동일한 용어를 가진 구성요소와 그 기능이나 형상 등이 모두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제1 암부재(270)는 패널(P)에 고정될 수 있는 제4 평판부(272)와, 이 제4 평판부(272)에 연결되는 제5 평판부(274)를 구비할 수 있다. 제5 평판부(274)는 숫부재(110)(여기서의 숫부재는 다른 패널에 설치되는 결합장치의 숫부재를 의미함)의 제3 평판부(116)와 건축 구조물(C) 사이에 끼움 결합되어 숫부재(110)와 계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4 평판부(272)가 제5 평판부(274)와 서로 연결된다는 것은, 각 평판부가 직접 연결되거나, 동일 평면 상에서 연결되는 것은 물론, 그 사이에 다른 부재, 예컨대 수직부가 개재되는 것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해야 한다.
즉, 도 3(b)에서와 같이, 제4 평판부(272)와 제5 평판부(274)의 사이에 제4 수직부(273)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1 암부재(270)는 그 단면 형상이 “ㄷ”자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제1 암부재(270)의 제4 평판부(272)에는 패널(P)과 고정되도록 결합구가 삽입 가능한 제3 결합홈(275)이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3 결합홈(275)이 두 개 마련되어 있으나, 한 개 또는 3개 이상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결합구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볼트나 리벳이 될 수 있으며, 그 종류나 소재, 형상에 있어서 특별한 제한은 없다.
앞서 설명한 제1 숫부재(110)의 제3 평판부(116)의 길이는 제1 암부재(270)의 제5 평판부(274)의 길이와 같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평판부(116)의 길이가 제1 암부재(270)의 제5 평판부(274)의 길이와 같을 경우 무메지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고, 제3 평판부(116)의 길이가 제1 암부재(270)의 제5 평판부(274)의 길이보다 클 경우 오픈메지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 (b)에 도시된 결합장치(100)에서는 제1 숫부재(210)와 제1 암부재(270)가 각각 제1 결합유닛 및 제2 결합유닛이 되며, 이 제1 결합유닛과 제2 결합유닛은 절곡부(250)를 사이에 두고 직각을 이루게 된다. 이와 달리, 제조시에는 제1 결합유닛과 제2 결합유닛이 서로 평행을 이루고 있다가 패널(P)과 연결하는 제조 공정에 이르러, 또는 실제 건축 시공 현장에서 제1 결합유닛과 제2 결합유닛에 외력을 가하여 직각을 이루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 (b)를 참조하면, 결합장치(200)의 제조후 형상은 제1 숫부재(210)와 제1 암부재(270)가 서로 나란히 평행을 이루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가, 패널(P)과 연결하는 제조 공정, 또는 실제 건축 시공 현장에서 제1 숫부재(210)와 제1 암부재(270)에 외력을 가하여, 절곡부(250)를 중심으로 제1 숫부재(210)와 제1 암부재(270)가 직각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앞서 도 4 (a)를 참조하여 설명한 과정과 유사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 3의 (c)를 참조하면, 결합장치(300)는 2개의 암부재, 즉 제1 암부재(370)와 제2 암부재(390)가 절곡부(350)를 통해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 암부재(370)와 제2 암부재(390)가 각각 제1 결합유닛 및 제2 결합유닛이 된다.
제1 암부재(370)와 제2 암부재(390)는 각각 도 3 (b)와 관련하여 설명한 제1 암부재(270)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별도의 용어를 부여하지는 않았으며, 또한 각 구성요소에 대해서도 별도의 용어는 부여하지 않되, 도면부호는 유사하게 부여하였다.
즉, 제1 암부재(370) 및 제2 암부재(390)는, 제4 평판부(372; 392), 제5 평판부(374; 394), 제4 수직부(373; 393), 및 제 3 결합홈(375; 39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제1 암부재(270)에 있어서 동일한 용어를 가진 구성요소와 그 기능이나 형상 등이 모두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암부재의 절곡전 형상을 알 수 있다. 즉, 평면 상태의 금속판재를 가공(절단)하여 도 5에 나타난 것과 같은 형상을 취한 후, 도면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을 90도로 절곡(벤딩)하여 도 4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결합장치(300)를 제작할 수 있다. 이후, 결합장치(300)를 패널(P)과 연결하는 제조 공정에 이르러, 또는 실제 건축 시공 현장에서 제1 암부재(370)와 제2 암부재(390)에 외력을 가하여 절곡부(350)를 중심으로 제1 암부재(370)와 제2 암부재(390)가 서로 직각을 이루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정은 다른 결합장치(100; 200; 400)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음로, 도 3의 (d)를 참조하면, 결합장치(400)는 하나의 숫부재와 하나의 암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결합장치(400)는 제1 숫부재(410)와 제1 암부재(470)가 절곡부(450)를 통해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결합장치(400)는 도 3 (b)에 도시된 결합장치(200)와 숫부재와 암부재의 배치가 반대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그 구조가 동일하다.
즉, 제1 숫부재(410)와 제1 암부재(470)는 각각 도 3 (b)와 관련하여 설명한 제1 숫부재(210) 및 제1 암부재(270)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별도의 용어를 부여하지는 않았으며, 또한 각 구성요소에 대해서도 별도의 용어는 부여하지 않되, 도면부호는 유사하게 부여하였다. 이들 구성요소의 기능과 형상은 모두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위의 설명에서는 제1 결합유닛 및 제2 결합유닛(이들은 각각 숫부재 또는 암부재일 수 있음)이 절곡부를 통해 연결된 구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를 참조하면, 패널의 좌측 및 우측 측면의 중심부에 각각 숫부재로만 이루어지는 결합장치(600), 및 암부재로만 이루어지는 결합장치(7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들 결합장치(600; 700)는 각각 다른 패널에 설치되는 암부재 및 숫부재와 계합할 수 있다. 또한 도 2와 달리 패널의 상측 및 하측 측면의 중심부에 각각 숫부재 또는 암부재로만 이루어지는 결합장치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위와 같이 숫부재 또는 암부재로만 이루어지는 결합장치(600; 700)는 전술했던 숫부재와 암부재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결합장치(100; 200; 300; 400)와 별도의 제조 공정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숫부재와 암부재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결합장치(100; 200; 300; 400)에서 절곡부(150; 250; 350; 450)를 중심으로 절단하여 숫부재 또는 암부재로만 이루어지는 결합장치(600; 700)를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추가적인 제작 공정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도 2에서는 패널(P)의 각 모서리 부분에 숫부재와 암부재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결합장치(100; 200; 300; 400)가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패널(P)의 각 모서리 부분에 숫부재 또는 암부재로만 이루어진 결합장치가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패널(P)의 각 모서리 부분에 숫부재 또는 암부재로만 이루어진 결합장치(600; 700)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패널(P)의 좌/우측 측면의 중심부 또는 상/하측 측면의 중심부에 아무런 부재도 설치하지 않거나, 또는 해당 위치에 숫부재 또는 암부재로만 이루어진 결합장치(600; 700)를 추가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2에서는 패널(P)의 각 모서리 부분에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진 4개의 결합장치(100; 200; 300; 400)가 사용되었으나, 이와 달리 동일한 형태를 가진 결합장치가 하나의 패널(P)에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결합장치의 배치 및 형태에는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님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위와 같은 다양한 결합장치의 배치 및 형태는 패널의 규격이나 건축물 형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일례로서 도 6을 참조하면, 패널(P)에 있어서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대향하는 모서리에는 각각 동일한 형태의 결합장치(200; 40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패널(P)의 좌측 및 우측 측면의 중심부에 각각 숫부재로만 이루어지는 결합장치(60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숫부재와 암부재의 결합 및 고정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 및 도 8은 도 2에 의한 결합장치의 숫부재 및 암부재의 계합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의 (a)와 (c)를 참조하면, 어느 하나의 패널, 즉 제1 패널(P1)에 고정될 수 있는 숫부재(110)와, 다른 하나의 패널, 즉 제2 패널(P2)에 고정될 수 있는 암부재(270)를 각각 마련한다. 숫부재(110)는 건축 구조물(C)에도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숫부재(110)의 제1 평판부(112)에 마련된 제1 결합홈(117)에 제1 결합구(500)를 삽입하여 제1 패널(P1)에 고정시킴으로써, 숫부재(110)와 제1 패널(P1)이 서로 결합한다.
또한, 암부재(270)의 제4 평판부(272)에 마련된 제3 결합홈(275)에 제2 결합구(510)를 삽입하여 제2 패널(P2)에 고정시킴으로써, 암부재(270)와 제2 패널(P2)이 서로 결합한다.
한편, 숫부재(110)의 제2 평판부(114)에 마련된 제2 결합홈(118)에 제3 결합구(520)를 삽입하여 건축 구조물(C)에 고정시킴으로써, 숫부재(110)와 건축 구조물(C)이 서로 결합한다.
이들을 도 7 (a)에 나타난 화살표 방향으로 서로 밀착시키면, 도 7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최종 배치 형상이 이루어진다. 즉, 암부재(270)의 제5 평판부(274)가 숫부재(110)의 제3 평판부(116)와 건축 구조물(C) 사이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숫부재(110)와 암부재(270)이 서로 계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숫부재(110)의 제3 평판부(116)의 길이가 암부재(270)의 제5 평판부(274)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같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숫부재(110)와 암부재(270)의 결합 이후에, 제1 패널(P1)과 제2 패널(P2) 사이에 간극이 거의 형성되지 않는, 무메지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에 나타난 숫부재(110) 및 암부재(270)의 계합 과정도 도 7에 나타난 것과 유사하다. 다만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숫부재(110)의 제3 평판부(116)의 길이가 암부재(270)의 제5 평판부(274)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숫부재(110)와 암부재(270)의 결합 이후에, 제1 패널(P1)과 제2 패널(P2) 사이에 간극(메지)이 마련되고, 이에 따라 오픈메지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패널(P)이 주로 금속제인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였으나, 패널(P)의 소재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패널(P)은 금속, 유리, 합성수지, 석재, 테라코타, 목재, 세라믹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숫부재 또는 암부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제1 결합유닛 및 제2 결합유닛은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P)에 직접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미도시된 중간재를 개재하여 패널(P)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서로 동일한 재질인 패널과 결합유닛, 예컨대 금속제 패널(P)에 금속제 제1 결합유닛 및 제2 결합유닛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양 부재를 직접 결합하는 것이 적절하며, 이와 달리 서로 재질을 달리는 패널과 결합유닛, 예컨대 유리나 석재로 된 패널(P)에 금속제 제1 결합유닛 및 제2 결합유닛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해당 유리 또는 석재 패널(P)에 금속제 중간재를 먼저 설치하고, 이 중간재에 제1 결합유닛 및 제2 결합유닛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유리나 석재 등으로 된 패널(P)에 중간재 없이 제1 결합유닛 및 제2 결합유닛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패널(P)에 고강도의 접착제를 개재하여 제1 결합유닛 및 제2 결합유닛을 부착할 수 있다. 그 외에 패널(P)에 결합장치를 고정시키는 방법은 다양하며,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결합장치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및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내외장재의 결합장치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시공 방법의 각 단계는 다음과 같다. 먼저, 숫부재 및 암부재를 포함하는 제1 결합장치를 제1 패널에 고정시킨다. 이후 제1 결합장치의 숫부재를 건축 구조물에 고정시킨다. 이후, 숫부재 및 암부재를 포함하는 제2 결합장치를 제2 패널에 고정시키고, 숫부재 및 암부재를 포함하는 제3 결합장치를 제3 패널에 고정시킨다. 마지막으로, 제1 결합장치의 숫부재를 제2 결합장치의 암부재와 계합시키고, 제1 결합장치의 암부재를 상기 제3 결합장치의 숫부재와 계합시킨다.
이상 설명한 각 단계를 반복하면 다수개의 패널을 매트릭스 형태로 건축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컨대 도 9을 참조하면, 제1 패널(P1)에 숫부재 및 암부재(이에 대한 상세는 전술한 바와 같음)를 포함하는 제1 결합장치(100a; 200a; 300a; 400a)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후, 제1 결합장치(100a; 200a; 300a; 400a)의 숫부재를 건축 구조물(C1; C2)에 각각 고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패널(P2)에 숫부재 및 암부재를 포함하는 제2 결합장치(100b; 200b; 300b; 400b)를 고정시키고, 제3 패널(P3)에 역시 숫부재 및 암부재를 포함하는 제3 결합장치(100c; 200c; 300c; 400c)를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 패널(P2)에 제2 결합장치(100b; 200b; 300b; 400b)를 고정시키는 단계와, 제3 패널(P3)에 제3 결합장치(100c; 200c; 300c; 400c)를 고정시키는 단계 사이에는 특별한 선후관계가 없다.
이렇게 준비된 제1 결합장치(100a; 200a; 300a; 400a)의 숫부재를 제2 결합장치(100b; 200b; 300b; 400b)의 암부재와 계합시키고, 제1 결합장치(100a; 200a; 300a; 400a)의 암부재를 상기 제3 결합장치(100c; 200c; 300c; 400c)의 숫부재와 계합시킬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3 패널(P1; P2; P3)에 있어서 각각의 패널에 고정된 결합장치의 숫부재와 암부재를 상호 결합함으로써, 인접한 패널들을 서로 편리하게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결합 이후에, 제2 결합장치(100b; 200b; 300b; 400b)의 숫부재를 건축 구조물(C3; C4)에 고정시키고, 제3 결합장치(100c; 200c; 300c; 400c)의 숫부재를 건축 구조물(C2)에 고정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 패널을 매트릭스 형태로 건축 구조물에 배치하는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2 패널(P2) 및 제3 패널(P3)에 제4 패널(P4)을 결합할 수 있고, 그 이후에도 계속적인 추가적인 패널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패널(P2)에 고정된 제2 결합장치(100b; 200b; 300b; 400b)의 암부재에 제4 패널(P4)에 고정된 제4 결합장치(100d; 200d; 300d; 400d)의 숫부재를 계합시키게 되고, 또한 제3 패널(P3)에 고정된 제3 결합장치(100c; 200c; 300c; 400c)의 숫부재에 제4 결합장치(100d; 200d; 300d; 400d)의 암부재를 계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면, 도 10 (a)에서와 같이 4개의 패널(P1; P2; P3; P4)이 각각의 패널에 설치된 결합장치를 개재하여 상호 연결됨으로써, 도 10 (b)에서와 같이 패널 결합구조를 이루게 된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로만 패널의 시공이 가능한 것은 아니며, 결합장치의 배치와 형상에 따라 다양한 다른 시공방법을 채택하는 것도 가능하나, 패널에 결합장치를 고정시킨후, 결합장치 상호간(숫부재와 암부재 상호간)의 결합과, 결합장치와 건축 구조물의 결합에 의해 패널을 건축 구조물에 부착하는 시공이 이루어짐은 동일하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결합장치에 의할 경우, 패널(P)에 결합장치(200; 400; 600)를 고정시킨 후, 양측면에 위치하는 결합장치(200; 400; 600)의 숫부재를 각각 건축 구조물에 고정시킨 후, 상하측에 위치하게 되는 별도의 패널에 마련되는 결합장치의 숫부재, 및 좌우측에 위치하게 되는 별도의 패널에 마련되는 결합장치의 암부재를, 각각 위 결합장치(200; 400; 600)의 상보적인 암부재/숫부재와 계합시키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패널 결합 구조를 이루게 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내외장재의 결합장치와 이 결합 장치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건축용 내외장재인 패널을 건축 구조물에 편리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결합구조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는 무메지 시공이나 오픈메지 시공을 편리하게 선택 및 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장치를 이용할 경우 패널에 결합장치를 정확하게 위치 고정시킬 수 있고, 다수개의 패널을 간단한 방법으로 건축 구조물에 결합할 수 있어, 시공 및 제조상의 경제성이 향상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P, P1, P2, P3, P4: 패널
C, C1, C2, C3, C4: 건축 구조물
100, 200, 300, 400, 600, 700: 결합장치
110, 210, 410: 제1 숫부재
130: 제2 숫부재
270, 370, 470: 제1 암부재
390: 제2 암부재
150, 250, 350, 450: 절곡부

Claims (8)

  1. 패널을 건축 구조물에 결합시키기 위한 건축용 내외장재의 결합장치로서,
    패널의 측면부에 설치되는 제1 결합유닛 및 제2 결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유닛 및 상기 제2 결합유닛은 각각 숫부재 또는 암부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숫부재는, 패널에 고정될 수 있는 제1 평판부와, 상기 제1 평판부에 연결되며 건축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는 제2 평판부와, 상기 제2 평판부와 연결되며 상기 암부재와 계합되는 제3 평판부를 구비하며,
    상기 암부재는, 패널에 고정될 수 있는 제4 평판부와, 상기 제4 평판부에 연결되며 상기 숫부재의 제3 평판부와 상기 건축 구조물 사이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숫부재와 계합되는 제5 평판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결합유닛 및 상기 제2 결합유닛은 절곡부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절곡부를 중심으로 절곡 또는 절단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내외장재의 결합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유닛과 상기 제2 결합유닛은 상기 절곡부를 사이에 두고 직각을 이루거나, 또는 외력에 의해 직각을 이룰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내외장재의 결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판부에는, 상기 패널과 고정되도록 결합구가 삽입 가능한 제1 결합홈이 하나 이상 마련되며,
    상기 제2 평판부에는, 상기 건축 구조물과 고정되도록 결합구가 삽입 가능한 제2 결합홈이 하나 이상 마련되며,
    상기 제4 평판부에는, 상기 패널과 고정되도록 결합구가 삽입 가능한 제3 결합홈이 하나 이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내외장재의 결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평판부의 길이는 상기 제5 평판부의 길이와 같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내외장재의 결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금속, 유리, 합성수지, 석재, 테라코타, 목재, 세라믹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 결합유닛 및 제2 결합유닛은 각각, 상기 패널에 직접 설치되거나, 또는 중간재를 개재하여 상기 패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내외장재의 결합장치.
  7. 제1항의 건축용 내외장재의 결합장치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으로서,
    a) 숫부재 및 암부재를 포함하는 제1 결합장치를 제1 패널에 고정시키는 단계,
    b) 상기 제1 결합장치의 숫부재를 건축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단계,
    c) 숫부재 및 암부재를 포함하는 제2 결합장치를 제2 패널에 고정시키고, 숫부재 및 암부재를 포함하는 제3 결합장치를 제3 패널에 고정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제1 결합장치의 숫부재를 상기 제2 결합장치의 암부재와 계합시키고, 상기 제1 결합장치의 암부재를 상기 제3 결합장치의 숫부재와 계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내지 상기 d 단계를 반복하여, 다수개의 패널을 매트릭스 형태로 건축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시공 방법.
KR1020170033249A 2017-03-16 2017-03-16 건축용 내외장재의 결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 KR101918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249A KR101918006B1 (ko) 2017-03-16 2017-03-16 건축용 내외장재의 결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249A KR101918006B1 (ko) 2017-03-16 2017-03-16 건축용 내외장재의 결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349A KR20180107349A (ko) 2018-10-02
KR101918006B1 true KR101918006B1 (ko) 2018-11-15

Family

ID=63863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3249A KR101918006B1 (ko) 2017-03-16 2017-03-16 건축용 내외장재의 결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800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726B1 (ko) * 2011-10-10 2012-11-12 (주)아이케이비즈컴 마감재 지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726B1 (ko) * 2011-10-10 2012-11-12 (주)아이케이비즈컴 마감재 지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349A (ko) 2018-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7463B2 (en) 3-dimensional universal tube connector system
JP6948089B2 (ja) 柱と梁を接合するための接合部コア及びこれを用いた柱と梁の接合方法
US20110194889A1 (en) 3-Dimensional Universal Tube Connector System
US8973332B2 (en) Framework connecting device of prefabricated building structure
JP2020505537A (ja) モジュール式建物用コネクタ
KR20180085984A (ko) 스틸 돔 하우스 제작을 위한 유닛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스틸 돔 하우스 제작 방법
KR101233537B1 (ko) 모듈러 유닛 접합부 구조
CN202969589U (zh) H型钢梁与方钢管柱可变梁高装配式节点
KR101918006B1 (ko) 건축용 내외장재의 결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
KR101663035B1 (ko) 큐브형태의 블럭을 이용한 자가 조립형 주택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60139500A (ko) 유리 커튼 월 시스템
KR20160137705A (ko) Cft기둥의 합성거더 접합구조
CN210067132U (zh) 装配式建筑墙体主板间连接节点结构
KR101026077B1 (ko) 큐브구조 건축물용 조립 부재
CN2533180Y (zh) 一种组合桁架的连接构件
US20140331498A1 (en) Modular multifunctional mother-beam
TWI405892B (zh) 隱藏式鋼板結構
JP3256195B2 (ja) 立体トラス構造体の接合構造および立体トラス構造体
WO2008143454A2 (en) Curvilinear assembly for architectural structures
WO2017041529A1 (zh) 一种通讯设备结构
KR200275745Y1 (ko) 파이프와 철판의 연결구조
JPH03250129A (ja) 柱・梁接合金物の製作方法
KR100252640B1 (ko) 건물의 기둥겸용 벽조립체
KR200364414Y1 (ko) 건축용 기둥재
JP6564606B2 (ja) 木・鋼重ね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