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7969B1 - 판유리 굽힘 도구 - Google Patents

판유리 굽힘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7969B1
KR101917969B1 KR1020177011132A KR20177011132A KR101917969B1 KR 101917969 B1 KR101917969 B1 KR 101917969B1 KR 1020177011132 A KR1020177011132 A KR 1020177011132A KR 20177011132 A KR20177011132 A KR 20177011132A KR 101917969 B1 KR101917969 B1 KR 101917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bending
glass
mbar
pressure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1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7426A (ko
Inventor
미햐엘 발두인
니 장-마리 르
당 꾸엉 판
아르투어 팔만티어
베노 둥크만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170057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7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 C03B23/0305Press-bending accelerated by applying mechanical forces, e.g. inertia, weights or local for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5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using a gas cushion or by changing gas pressure, e.g. by applying vacuum or blowing for supporting the glass while bending
    • C03B23/0352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using a gas cushion or by changing gas pressure, e.g. by applying vacuum or blowing for supporting the glass while bending by suction or blowing out for providing the deformation force to bend the glass sheet
    • C03B23/0357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using a gas cushion or by changing gas pressure, e.g. by applying vacuum or blowing for supporting the glass while bending by suction or blowing out for providing the deformation force to bend the glass sheet by suction without blowing, e.g. with vacuum or by venturi effect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25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grav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25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gravity
    • C03B23/0252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gravity by gravity only, e.g. sagg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 C03B23/0302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between opposing full-face shaping mould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5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using a gas cushion or by changing gas pressure, e.g. by applying vacuum or blowing for supporting the glass while ben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C03B35/145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top-side transfer or supporting devices, e.g. lifting or conveying using su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1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형 볼록 접촉 표면(2), 및 접촉 표면(2)을 적어도 구역에서 둘러싸는 주변 공기 안내판(4)을 갖는 커버(3)를 포함하고, 공기 안내판(4)과 접촉 표면(2) 사이의 제1 압력 구역(B1)에서 감소된 제1 압력(p1)을 생성하고, 제2 압력 구역(B2)에서 제1 압력(p1)보다 낮은 감소된 제2 압력(p2)을 생성하고, 제3 압력 구역(B3)에서 제1 압력(p1)보다 큰 제3 압력(p3)을 발생시키기에 적합한, 흡인 효과에 의해 적어도 1개의 판유리(I, II)를 굽히는 굽힘 도구(1)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판유리 굽힘 도구{BENDING TOOL FOR GLASS PANES}
본 발명은 판유리 굽힘 도구, 판유리 굽힘 방법 및 굽힘 도구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모터 차량 부문에서, 굽혀진 복합 글레이징은 특히 앞유리창으로서 흔하다. 복합 글레이징의 개개의 판유리를 동시에 함께 굽히는 것이 유리하다고 알려져 있다. 쌍을 이루어 굽혀진 판유리들은 그들의 곡률 면에서 서로 정합하고, 따라서, 서로 적층하여 복합 글레이징을 형성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판유리들의 쌍 굽힘(paired bending) 방법은 예를 들어 DE 101 05 200 A1로부터 알려져 있다.
WO 2006/072721 A1, WO 2012/080071 A1, 및 WO 2012/080072 A1로부터, 굽힘 방법에서 상부 몰드로 이용될 수 있는 도구가 알려져 있다. 이 도구는 프레임형 볼록 접촉 표면, 및 주변 공기 안내판을 갖는 커버를 포함한다. 판유리 엣지를 따라서 흡인에 의해, 굽히고자 하는 판유리가 중력의 영향에 거슬러 접촉 표면에 대하여 프레싱되고, 이렇게 해서 도구에 고정식으로 유지된다. 심지어 2개의 서로 상하로 놓인 판유리도 동시에 이 도구에 유지된다. 이 도구는 판유리를 굽힘 장치의 다양한 위치 사이에서 운반하는 데, 예를 들어 판유리를 하나의 굽힘 몰드로부터 픽업하여 그것을 또 다른 몰드로 전달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이 도구는 압력 및/또는 흡인의 작용 하에서 이 도구와 상보적 반대 몰드 사이에서 판유리를 형상화하는 프레스 굽힘 단계에 이용될 수 있다.
US 3,778,244 A는 오목 또는 볼록 전-표면 접촉 표면 (풀 몰드(full mold)), 및 주변 공기 안내판을 갖는 커버를 갖는 상부 굽힘 도구를 개시한다. 공기 안내판에 의해, 굽히고자 하는 판유리의 엣지가 공기 스트림으로 스위핑(sweeping)될 수 있고, 이렇게 해서 판유리가 접촉 표면에 대하여 프레싱되어 굽혀진다. 추가로, 판유리가 전-표면 접촉 표면의 개구부를 통해 접촉 표면에 대하여 흡인될 수 있다.
최신 모터 차량 글레이징은 구역에서 매우 확연한 곡률 반경을 갖는 점점 더 복잡한 형상을 갖는다. 특히, 빈번히, 최신 판유리의 코너는 매우 강한 곡률을 가져야 한다. 그러나, 엣지 구역 또는 코너 구역에서의 강한 곡률은 판유리의 중심에서의 굽힘 결함, 예컨대 바람직하지 않은 과도한 굽힘 또는 울퉁불퉁함 생성의 위험과 관련된다. 따라서, 높은 품질로 및 공정 기술의 관점에서 합리적인 방식으로 복잡한 판유리 기하학적 구조를 생성할 수 있는 새로운 굽힘 도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굽힘 결함을 다른 곳에 생성하지 않으면서 강한 국소 곡률을 판유리에 생성할 수 있는 개선된 굽힘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또한, 굽힘 도구는 2개의 판유리의 동시적 쌍 굽힘을 일으킬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개선된 판유리 굽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서 청구항 1에 따른 굽힘 도구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종속항으로부터 명백하다.
흡인에 의해 적어도 1개의 판유리를 굽히는 본 발명에 따른 굽힘 도구는 프레임형 볼록 접촉 표면, 및 접촉 표면을 적어도 구역에서 둘러싸는 주변 공기 안내판을 갖는 커버를 포함하고, 여기서 굽힘 도구는
- 공기 안내판과 접촉 표면 사이의 제1 압력 구역에서의 감소된 제1 압력(p1) (유지 압력),
- 제2 압력 구역에서의, 제1 압력(p1)보다 낮은 감소된 제2 압력(p2) (변형 압력),
- 제3 압력 구역에서의, 제1 압력(p1)보다 큰 제3 압력(p3) (보상 압력)
을 발생시키기에 적합하다.
여기에 나타낸 압력(p1, p2 및 p3)은 특히, 굽히고자 하는 판유리의 굽힘-도구-대면 표면 상에 발생된다.
다음에서 더 정확하게 명시하는 바와 같이, 판유리는 제1 압력 구역에 의해 굽힘 도구에 대하여 고정식으로 유지된다. 강한 국소 곡률은 제2 압력 구역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굽힘 결함, 예컨대 과도한 굽힘은 제3 압력 구역에 의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전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굽힘 도구는 최적화된 압력 분포를 보장하고, 그 결과로, 통상적인 도구를 이용하는 경우보다 더 복잡한 판유리 형상이 제조 기술 관점에서 간단한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이것들은 본 발명의 주요 이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구는 적어도 1개의 판유리를 흡인에 의해 굽히는 굽힘 도구의 군에 속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도구는 판유리를 굽힘 몰드 상에 놓고 굽힘 온도로 가열하고 이렇게 하여 중력의 결과로 판유리의 형상이 굽힘 몰드에 순응하는 처짐(sag) 굽힘을 위한 도구가 아니다. 대신, 진공에 의해 생성되는 흡인이 판유리 상에 가해지고 굽힘 도구에 의해 정해진 방식으로 분포되며 이렇게 해서 가열되고 연화된 판유리가 흡인의 결과로 굽힘 도구의 형상에 달라붙는다는 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굽힘 도구는 가열된 판유리의 능동 변형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굽힘 도구는 흡인 굽힘 몰드라고도 불릴 수 있다.
흡인에 의해 적어도 1개의 판유리를 굽히는 본 발명에 따른 굽힘 도구는 프레임형 접촉 표면을 포함한다. 이러해서, 본 발명에 따른 굽힘 도구는 판유리가 그의 전표면으로 몰드 표면과 접촉함으로써 그의 형상을 얻는 이른바 "전-표면 굽힘 도구"는 아니다. 대신, 본 발명에 따른 굽힘 도구는 판유리의 옆면 엣지 상의 또는 옆면 엣지 근처의 주변 구역이 도구와 직접 접촉하고 반면에 판유리의 대부분은 굽힘 도구와 직접 접촉하지 않는 굽힘 도구의 군에 속한다. 그러한 굽힘 도구는 또한 굽힘 링 또는 프레임 굽힘 몰드라고도 불릴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프레임형 접촉 표면"이라는 용어는 본 발명에 따른 도구를 전-표면 굽힘 몰드와 구별하는 데만 쓰인다. 접촉 표면이 완전한 프레임을 형성할 필요 없고, 또한 불연속일 수 있다. 접촉 표면은 완전한 또는 불연속 프레임 형태로 구현된다.
접촉 표면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0.1 cm 내지 10 cm, 특히 바람직하게는 0.2 cm 내지 1 cm, 예를 들어 0.3 cm이다.
굽힘 도구에는 이른바 "굽힘 골격"이 추가로 구비되고, 굽힘 골격은 접촉 표면을 담지하는 편평한 구조를 의미한다. 굽힘 골격은 접촉 표면과 함께 구현된다. 접촉 표면은 굽힘 골격 상에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굽힘 도구는 이른바 "볼록 굽힘 도구"이다. 이것은 판유리가 볼록한 형상으로 굽히도록 접촉 표면이 볼록하게 구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볼록한 형상"이라는 용어는 판유리의 코너 및 엣지가 판유리의 중심보다 도구 방향으로 더 가깝게 굽혀진 형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굽힘 도구는 추가로 커버를 포함한다. 커버는 굽힘 절차 동안 판유리에 대면하지 않는 접촉 표면의 측에 배열된다. 커버는 굽힘 절차에 절대로 필요한 흡인의 발생을 가능하게 한다. 흡인은 특히 커버와 굽힘 골격 사이의 공기를 추출함으로써 발생된다.
커버는 접촉 표면을 적어도 구역에서 둘러싸는 주변 공기 안내판과 함께 구현된다. 그러한 공기 안내판은 또한 에이프런(apron)이라고도 빈번하게 불린다. 공기 안내판은 바람직하게는 커버의 말단에 배열된다. 공기 안내판은 전체적으로 또는 섹션에서 접촉 표면을 둘러싸거나 또는 접촉 표면의 프레임을 형성한다. 굽힘 절차 동안, 공기 안내판은 바람직하게는 판유리의 옆면 엣지로부터 3 mm 내지 50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5 mm 내지 30 mm, 예를 들어 20 mm의 거리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굽힘 도구는 적어도 제1 압력 구역에서 감소된 제1 압력(p1)을 발생시키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감소된 압력"은 주위 압력보다 낮은 압력을 의미한다. 이러해서, 감소된 압력 때문에, 주위 압력에 비해 진공이 존재한다. 감소된 압력에 의해 흡인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제1 압력(p1)이 작용하는 구역은 제1 압력 구역이라고 불린다. 제1 압력 구역은 공기 안내판과 접촉 표면 사이에 섹션으로 배열된다. 제1 압력 구역은 반드시 단일의 연속하는 구역일 필요 없다. 대신, 제1 압력 구역은 전형적으로 서로 분리된 동일한 압력을 갖는 복수의 섹션으로 이루어진다.
제1 압력 구역은 굽히고자 하는 판유리의 엣지를 적어도 섹션에서 공기 스트림으로 스위핑하기에 적합하고, 이렇게 하여 판유리를 접촉 표면에 대하여 프레싱하기에 적합하다. 제1 압력(p1)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 스트림은 판유리의 옆면 엣지를 적어도 섹션에서 스위핑하도록 공기 안내판에 의해 편향된다. 공기 스트림에 의해, 판유리는 굽힘 도구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유지되고, 접촉 표면에 대하여 프레싱된다. 이러해서, 굽힘 도구는 특히 상부 몰드로서 이용될 수 있고, 여기서는 판유리가 엣지를 스위핑하는 공기 스트림에 의해 중력의 영향에 거슬러 굽힘 도구에 대하여 유지된다. 또한, 제1 압력(p1)은 유지 압력이라고도 불릴 수 있다.
"상부 굽힘 몰드"라는 용어는 지면에 대면하지 않는 판유리의 상부 표면과 접촉하는 몰드를 의미한다. "하부 굽힘 몰드"는 지면에 대면하는 판유리의 하부 표면과 접촉하는 몰드를 의미한다. 판유리는 하부 몰드 상에 놓일 수 있다.
심지어 복수의, 예를 들어 2개의 서로 상하로 놓인 판유리가 본 발명에 따른 굽힘 도구에 의해 동시에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해서, 이 도구는 나중에 적층되어 복합 글레이징을 형성하도록 의도된 2개의 개개의 판유리를 합동을 이루게 동시에 함께 굽힐 수 있는 쌍 굽힘 방법에 특히 적합하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굽힘 도구는 적어도 제2 압력 구역에서 감소된 제2 압력(p2)을 발생시키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압력(p2)은 제1 압력(p1)보다 낮고 (다시 말해서, 진공이 제1 압력 구역에서보다 제2 압력 구역에서 더 강하고), 이렇게 해서 압력(p2)에 의해 발생되는 흡인이 압력(p1)에 의해 발생되는 흡인보다 강하다. 판유리가 제2 압력 구역에서 흡인에 의해 국소적으로 굽혀진다. 제2 압력(p2)의 적절한 선택에 의해, 심지어 강한 국소 곡률이 발생될 수 있다. 제2 압력 구역은 단일 섹션 또는 심지어 복수의 섹션을 가질 수 있다.
판유리가 제2 압력 구역에서 굽혀진 형상은 바람직하게는 흡인의 결과로 판유리가 접촉되는 접촉 표면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프레임형 접촉 표면은 판유리의 요망되는 형상에 따라서 구현된다. 굽힘 전에는 판유리가 제1 압력 구역에서 접촉 표면에 접촉되고 그에 대하여 유지된다. 제2 압력 구역에서는 굽힘 전에 판유리와 접촉 표면 사이에 직접적인 접촉이 없다. 굽힘 공정 동안에, 연화된 판유리가 제2 압력 구역에서 접촉 표면에 달라붙고, 그에 의해 판유리의 요망되는 형상이 달성된다. 또한, 제2 압력(p2)은 변형 압력 또는 굽힘 압력이라고도 불릴 수 있다.
전형적인 응용에서는, 판유리의 코너에 특히 확연한 곡률이 제공될 것이다. 예를 들어, 2개의 인접하는 코너, 전형적으로 상부(판유리의 설치된 상태에서) 코너 또는 하부(판유리의 설치된 상태에서) 코너에 특히 확연한 곡률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또한, 판유리의 4개의 코너 모두에 특히 확연한 곡률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압력 구역은 특히 강한 곡률이 제공되어야 하는 굽히고자 하는 판유리의 코너의 구역에 배열된 복수의 섹션을 갖는다. 제1 압력 구역은 바람직하게는 제2 압력 구역의 섹션들 사이에서 굽히고자 하는 판유리의 옆면 엣지를 따라서 배열된다.
"굽힘 도구의 코너"라는 용어는 본 발명의 맥락에서 굽히고자 하는 판유리의 코너와 접촉하도록 제공되는 굽힘 도구의 구역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굽힘 도구의 엣지"는 굽히고자 하는 판유리의 엣지와 접촉하도록 제공되는 구역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제2 압력 구역이 굽힘 도구의 적어도 1개의 코너에 배열되고, 판유리의 적어도 1개의 코너에 바람직하게는 판유리의 나머지의 곡률보다 더 강한 곡률을 제공하기에 적합하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제2 압력 구역이 굽힘 도구의 2개의 인접하는 코너에 배열되는 2개의 섹션을 포함한다. 이 2개의 섹션은 판유리의 2개의 인접하는 코너에 바람직하게는 판유리의 나머지의 곡률보다 더 강한 곡률을 제공하기에 적합하다. 2개의 코너는 예를 들어 판유리의 2개의 상부 코너 또는 2개의 하부 코너이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또한, 제1 압력 구역이 제2 압력 구역의 섹션들 사이에서 판유리의 옆면 엣지를 따라서 연장되는 2개의 섹션을 포함한다.
또 다른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제2 압력 구역은 굽힘 도구의 코너에 각각 배열되는 4개의 섹션을 포함한다. 이 섹션들은 굽히고자 하는 유리의 각 코너에 바람직하게는 판유리의 나머지의 곡률보다 더 강한 곡률을 제공하기에 적합하다. 여기에서는, 글레이징 부문에서 통례적으로 있는 것이지만, 판유리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라고 가정한다. 여기에서는, 바람직하게는, 또한, 제1 압력 구역이 제2 압력 구역의 섹션들 사이에서 판유리의 옆면 엣지를 따라서 연장되는 4개의 섹션을 포함한다.
제2 압력 구역의 상이한 섹션에서 곡률이 동일하게 설계될 필요는 없다. 전형적으로, 판유리의 상부 코너와 상이한 곡률이 판유리의 하부 코너에 바람직하다. 이것은 접촉 표면의 형상을 통해 실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굽힘 도구에 흡인을 발생시킬 수 있는 흡인 파이프가 제공된다. 흡인 파이프는 바람직하게는 접촉 표면에 대면하지 않는 굽힘 도구의 측에 배열된다. 제1 압력 구역 및 제2 압력 구역은 흡인 파이프에 연결되고, 이렇게 해서 제1 압력 구역 및 제2 압력 구역으로부터 공기가 추출되고, 그에 의해 제1 압력(p1) 및 제2 압력(p2)이 발생된다. 상이한 압력(p1) 및 (p2)은 굽힘 도구의 적절한 설계에 의해, 특히 공통 흡인 파이프의 흡인이 제1 압력 구역과 제2 압력 구역 사이에 적합히 나눠지도록 하는 도관 단면의 적절한 설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것은 분명히 기술적으로 더 복잡하지만, 그러나, 또한, 제1 압력 구역 및 제2 압력 구역은 각각 제1 압력 또는 제2 압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그 자체의 흡인 파이프를 가질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굽힘 도구는 적어도 제3 압력 구역에서 제3 압력(p3)을 발생시키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3 압력(p3)은 제1 압력(p1)보다 크고 (다시 말해서, 진공이 제1 압력 구역에서보다 제3 압력 구역에서 덜 강하고), 이렇게 해서 압력(p3)에 의해 발생되는 흡인이 압력(p1)에 의해 발생되는 흡인보다 작다. 제3 압력(p3)은 주위 압력에 상응할 수 있고, 이렇게 해서 제3 압력 구역에는 음압이 존재하지 않고, 이러해서 흡인이 존재하지 않는다. 제3 압력 구역에 의해, 제2 압력 구역의 강한 굽힘의 결과로 판유리의 다른 구역으로 퍼질 바람직하지 않은 과도한 굽힘이 효과적으로 보상되고 감소된다. 낮은 압력(p3)을 갖는 분리된 제3 압력 구역에 의해서, 더 작은 곡률을 갖는 구역이 다른 구역에서는 매우 강한 곡률을 갖는 판유리에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제3 압력(p3)은 보상 압력이라고도 불릴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제3 압력 구역이 접촉 표면 내측에 굽힘 도구의 중심 구역에 배열된다. 이것은 제3 압력 구역이 프레임형 접촉 표면에 의해 둘러싸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3 압력 구역은 굽히고자 하는 판유리의 중심 구역에 판유리의 1개의 또는 복수의 엣지 구역보다 더 작은 곡률을 제공하기에 적합하다. 판유리의 엣지 구역에는 제2 압력 구역에 의해 강한 곡률이 제공될 수 있고, 이것은 그 자체로 판유리의 중심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과도한 굽힘을 초래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압력 구역에 의해서, 유리하게 판유리의 중심에서의 굽힘 작용이 제2 압력 구역과 무관하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제3 압력 구역에서의 더 높은 압력 때문에, 흡인이 덜 확연하고, 판유리의 중심이 덜 강하게 굽혀진다.
유리한 실시양태에서는, 굽힘 도구에 적어도 1개의 통기 파이프가 제공되고, 통기 파이프는 주위와 제3 압력 구역 사이의 완전한 또는 부분적인 압력 균등화를 가능하게 한다. 통기 파이프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기가 연행된다. 이러해서, 제1 압력(p1) 및 제2 압력(p2)에 비해 제3 압력(p3)이 증가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통기 파이프에 흐름을 조정하기 위한 밸브가 제공된다. 이에 의해, 제3 압력(p3)이 능동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제3 압력 구역은 제1 압력 구역 및 제2 압력 구역을 위한 위에 서술된 공통 흡인 파이프에 연결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더 높은 제3 압력(p3)은 도관 단면의 적합한 설계 및/또는 적어도 1개의 통기 파이프를 통해 도달된다. 별법으로, 또한, 제3 압력 구역은 그 자체의 흡인 파이프를 가질 수 있다.
굽힘 도구는 상이한 압력 값을 갖는 추가의 압력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압력 구역 외에도, 증가된 흡인을 갖는 적어도 1개 더 많은 압력 구역이 제공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굽힘 도구로 적어도 1개의 판유리를 굽히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적어도 다음 공정 단계를 포함한다:
- 판유리를 굽힘 온도로 가열한다. 여기서, "굽힘 온도"라는 용어는 판유리가 변형될 수 있도록 충분히 연화되는 온도를 의미한다. 전형적인 굽힘 온도는 500℃ 내지 700℃, 바람직하게는 550℃ 내지 650℃이다.
- 판유리의 엣지가 감소된 제1 압력(p1)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 스트림에 의해 적어도 섹션에서 스위핑되도록 판유리를 접촉 표면과 접촉시킨다.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판유리의 엣지를 적어도 섹션에서 제1 압력 구역에 배열한다.
- 제2 압력 구역에서 제2 압력(p2)을 발생시키고 제3 압력 구역에서 제3 압력(p3)을 발생시켜서 이에 의해 판유리를 굽힌다.
언급된 공정 단계의 순서는 기본적으로 고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원칙적으로, 먼저, 판유리를 굽힘 도구의 접촉 표면과 접촉시키고 제1 압력의 작용에 의해 유지하고, 이어서 판유리를 굽힘 온도로 가열하고, 그 후에 제2 압력 및 제3 압력의 작용에 의해 굽힌다.
굽힘 도구에 단일의 흡인 파이프가 제공되어 굽힘 도구 내측의 적절한 도관 단면에 의해 상이한 압력 구역이 발생될 때 (이러해서 굽힘 도구의 설계를 통해 흡인 파이프의 전체 효과가 압력 구역들 사이에 적합히 나뉠 때), 굽히고자 하는 판유리와 굽힘 도구의 접촉시 상이한 압력들이 거의 동시에 발생된다. 제2 압력 및 제3 압력의 작용 동안에 제1 압력이 계속 가해지고, 이렇게 하여 전체 굽힘 공정 동안에 판유리가 굽힘 도구 상에 고정식으로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판유리를 굽힘 도구로부터 분리해야 할 때까지 제1 압력을 끄지 않는다.
유리한 실시양태에서는, 이 방법이 서로 상하로 놓인 적어도 2개, 바람직하게는 2개의 판유리에 동시에 이용된다. 판유리들을 쌍으로 (다시 말해서, 판유리의 쌍으로서) 동시에 굽힌다. 그래서, 2개의 판유리의 곡률이 특히 일치하고 서로 정합하며, 이렇게 해서 판유리들이 서로 적층되어 높은 광학 품질의 복합 글레이징을 형성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유리한 실시양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굽힘 도구가 상부 굽힘 몰드로서 이용된다. 감소된 제1 압력에 의해 발생되는 제1 압력 구역에서 판유리의 엣지를 스위핑하는 공기 스트림에 의해, 판유리가 중력의 작용에 거슬러 굽힘 도구에 대하여 신뢰할만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압력 구역은 서로 상하로 놓인 복수의 판유리를 동시에 유지하기에 적합하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제1 압력(p1)이 주위 압력을 기준으로 1 mbar 내지 20 mbar, 특히 바람직하게는 2 mbar 내지 10 mbar,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3 mbar 내지 6 mbar의 진공이다. 주위 압력이 약 1 bar (표준 조건)라고 가정하면, 이러해서 제1 압력(p1)은 바람직하게는 980 mbar 내지 999 mbar, 특히 바람직하게는 990 mbar 내지 998 mbar,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994 mbar 내지 997 mbar이다. 이러해서, 판유리 엣지를 따라서 충분한 흡인이 얻어지고, 이렇게 해서 굽힘 도구가 상부 굽힘 몰드로 이용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판유리, 심지어 복수의 판유리가 동시에 흡인되어 굽힘 도구에 대하여 유지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제2 압력(p2)이 주위 압력을 기준으로 10 mbar 내지 100 mbar,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mbar 내지 80 mbar,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mbar 내지 60 mbar의 진공이다. 주위 압력이 대략 1 bar (표준 조건)라고 가정하면, 이러해서 제2 압력(p2)은 바람직하게는 900 mbar 내지 990 mbar, 특히 바람직하게는 920 mbar 내지 980 mbar,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940 mbar 내지 970 mbar이다. 이러해서, 확연한 곡률을 특히 판유리의 코너에서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제3 압력(p3)이 주위 압력을 기준으로 0 mbar 내지 5 mbar, 특히 바람직하게는 0 mbar 내지 2 mbar,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0 mbar 내지 1 mbar의 진공이다. 이러해서, 주위 압력을 기준으로 5 mbar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 mbar 이하,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1 mbar 이하의 진공이 있다. 이러해서, 제2 압력 구역에서의 강한 곡률의 결과로 인한 과도한 굽힘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주위 압력이 대략 1 bar (표준 조건)라고 가정하면, 이러해서 제3 압력(p3)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95 mbar,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98 mbar,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99 mbar이다.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제3 압력(p3)은 주위 압력에 상응한다.
이 방법의 유리한 실시양태에서는, 먼저, 판유리를 굽힘 온도로 가열한다.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판유리가 놓인 하부 몰드에서 달성된다. 하부 몰드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굽힘 도구에 상보적인 오목한 몰드이다. 하부 몰드는 특히 처짐 굽힘에 적합하다. 굽힘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판유리가 연화되어 중력의 영향 하에서 제1 하부 굽힘 몰드에 달라붙는다. 이 유리한 실시양태에서는, 판유리 또는 판유리들의 처짐 굽힘을 이용한 예비-굽힘 후에, 판유리 또는 판유리들을 본 발명에 따른 굽힘 도구로 추가로 굽힌다.
처짐 굽힘에 의한 예비-굽힘 후,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굽힘 도구를 위로부터 하부 굽힘 몰드의 판유리 또는 판유리들에 근접시킨다. 이러해서, 본 발명에 따른 굽힘 도구는 상부 굽힘 몰드로 작용한다. 판유리 (또는 판유리들)는 흡인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굽힘 도구에 넘겨져 굽힘 도구 상에 유지된다. 근접시키는 것은 하부 굽힘 몰드의 상향 이동에 의해 및/또는 본 발명에 따른 굽힘 도구의 하향 이동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판유리(들)의 전달 후, 본 발명에 따른 굽힘 도구로 판유리를 굽힌다.
본 발명에 따른 도구로 굽힘으로써 생성되는 판유리의 형상이 그의 최종 형상일 수 있다. 유리한 실시양태에서는, 예비-굽힘이 본 발명에 따른 굽힘 도구에 의해 생성되고, 반면에 판유리의 최종 형상이 적어도 하나의 후속 굽힘 단계에서 생성된다. 이에 의해, 훨씬 더 복잡한 판유리 형상이 생성될 수 있다.
최종 판유리 형상으로의 후속 굽힘은 예를 들어 처짐 굽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압력(p1)을 끔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굽힘 도구에 의해 판유리가 처짐 굽힘에 적합한 하부 굽힘 몰드로 전달된다.
또한, 최종 형상으로의 후속 굽힘은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굽힘 도구와 하부 굽힘 도구 사이에서 프레스 굽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판유리의 변형은 2개의 상보적 굽힘 도구의 압력 및/또는 흡인에 의해 달성된다.
굽힘 후 판유리(들)의 냉각은 본 발명에 따른 굽힘 도구에서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판유리를 냉각용 하부 몰드로 전달한다. 이 하부 몰드는 이를 위해 특별히 제공되는 냉각용 유지 몰드일 수 있다. 그러나, 또한, 처짐 굽힘 단계가 제공되는 경우, 이 하부 몰드는 처짐 굽힘 단계를 위한 몰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굽힘 도구의 특별한 이점은 판유리의 다른 구역은 아주 경미한 곡률을 가지면서 강한 국소 곡률을 갖는 판유리가 제조될 수 있다는 점이다. 강한 곡률을 갖는 구역은 특히 제2 압력 구역에서 (바람직하게는 판유리의 코너에) 생성되고, 반면에 더 작은 곡률을 갖는 구역은 제3 압력 구역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판유리의 중심에서) 생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에 예를 들어
- 제2 압력 구역에서 500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mm 내지 300 mm의 굽힘 반경, 및
- 제3 압력 구역에서 1000 mm 이상, 바람직하게는 2000 mm 내지 20000 mm의 굽힘 반경
이 제공될 수 있다.
제1 압력 구역에서 굽힘 반경은 예를 들어 5000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0 mm 내지 2000 mm이다.
판유리 또는 판유리들은 바람직하게는 소다 석회 유리를 함유하지만, 별법으로, 또한, 다른 유형의 유리, 예컨대 보로실리케이트 유리 또는 석영 유리를 함유할 수 있다. 판유리의 두께는 전형적으로 0.5 mm 내지 10 mm, 바람직하게는 1 mm 내지 5 mm이다.
2개 이상의 판유리를 동시에 굽힐 때, 바람직하게는 판유리들이 서로 영구적으로 접착하지 않도록 판유리 사이에 분리 수단이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굽힘 도구는 모터 차량 부문에서 판유리를 굽히는 데 이용된다. 이 방법은 특히 복합 글레이징의 성분으로서 제공되는 판유리들의 쌍 굽힘에 적합하다. 그러한 복합 글레이징은 바람직하게는 앞유리창이지만, 또한, 지붕 판유리, 옆면 판유리 또는 후면 판유리일 수도 있다.
다음에서, 도면 및 범례적인 실시양태와 관련해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은 개략적 묘사이고 일정 비율에 따르지 않는다. 도면은 결코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도 1은 선행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굽힘 도구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굽힘 도구의 실시양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굽힘 도구의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굽힘 도구의 B-B'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양태를 단계별로 묘사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양태의 흐름도이다.
도 1은 선행 기술에 따른 유리 굽힘 공정을 위한 도구를 묘사한다. 이 도구는 서로 상하로 놓인 2개의 판유리(I, II)를 중력의 영향에 거슬러 흡인에 의해 프레임형 볼록 접촉 표면(2)에 대하여 유지하기에 적합한 상부 몰드이다. 접촉 표면(2)은 이른바 굽힘 골격(13) 상에 배열된다. 흡인을 발생시키기 위해, 도구는 흡인 파이프(5)를 포함하고, 이 흡인 파이프를 통해 공기가 추출된다. 도구는 추가로 커버(3)를 포함하고, 커버(3)의 말단에 주변 공기 안내판(4)이 구비된다. 공기 안내판(4)은 접촉 표면(2)을 주변에서 둘러싼다. 굽힘 골격(13), 및 공기 안내판(4)을 갖는 커버(3)에 의해, 흡인 파이프를 통해 발생되는 공기 스트림은 그것이 판유리의 엣지를 스위핑하도록 안내된다. 이러해서, 판유리(I, II) 쌍이 접촉 표면(2)에 대하여 고정식으로 유지된다.
판유리(I, II)의 예비-굽힘을 예를 들어 하부 굽힘 몰드에서 처짐 굽힘에 의해 수행한다. 묘사된 도구는 예를 들어 판유리(I, II) 쌍을 하부 몰드 밖으로 픽업하고 그것을 또 다른 몰드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유리 쌍(I, II)은 프레스 굽힘 공정으로 처리될 수 있고, 여기서는 판유리 쌍이 묘사된 도구와 반대 몰드 사이에서 압력 및/또는 흡인의 영향 하에서 변형된다.
묘사된 도구 및 그것을 이용할 수 있는 굽힘 방법은 WO 2006/072721 A1, WO 2012/080071 A1 및 WO 2012/080072 A1로부터 알려져 있다.
도 2,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굽힘 도구(1)의 세부사항을 묘사한다. 굽힘 도구(1)는 도 1의 도구와 마찬가지로 굽힘 공정을 위한 상부 몰드이다. 도 2는 굽히고자 하는 판유리와 접촉하기 위해 제공되는 굽힘 도구(1)의 하부측의 평면도를 묘사하고, 반면에 도 3 및 4는 각 경우에 단면도를 묘사한다.
굽힘 도구(1)는 도 1의 도구와 마찬가지로 흡인을 발생시키기 위한 흡인 파이프(5), 뿐만 아니라 공기 안내판(4)을 갖는 커버(3) 및 프레임형 접촉 표면(2)을 갖는 굽힘 골격(13)를 갖는다. 공지된 도구와 대조적으로, 이 굽힘 도구에서는 흡인이 선택적으로 나뉘고, 이에 의해 최적화된 압력 분포가 생성된다. 이것은 더 복잡한 판유리 형상을 실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판유리에 본 발명에 따른 굽힘 도구(1)에 의해 예를 들어 예비-굽힘이 제공될 수 있고, 후속 굽힘 단계에서 예를 들어 프레스 굽힘 또는 처짐 굽힘에 의해 그의 최종 형상으로 형상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굽힘 도구(1)를 이용한 예비-굽힘은 더 복잡한 최종 판유리 형상을 가능하게 한다.
굽힘 도구는 3개의 상이한 압력 구역(B1, B2 및 B3)을 가지고, 이 구역에서 판유리(I, II)에 작용하는 상이한 압력이 발생될 수 있다. 제2 압력 구역(B2)은 4개의 섹션을 가지고, 각 섹션은 굽힘 도구(1)의 코너에 배열된다. 이 경우, 굽힘 도구(1)의 코너는 굽히고자 하는 판유리(I, II)의 한 코너에 작용하도록 제공된 구역이다. 제1 압력 구역(B1)은 마찬가지로 4개의 섹션을 가지고, 각 섹션은 공기 안내판(4)과 접촉 표면(2) 사이에서 굽힘 도구(1)의 한 옆면 엣지를 따라서 배열되고 제2 압력 구역(B2)의 2개의 인접하는 섹션 사이에서 진행된다. 여기서, 굽힘 도구(1)의 옆면 엣지는 도장될 판유리(I, II)의 옆면 엣지에 작용하도록 제공되는 구역이다. 제3 압력 구역(B3)은 굽힘 도구(1)의 중심 구역에 접촉 표면(2)을 둘러싸서 배열된다.
굽힘 도구(1)는 제1 압력 구역(B1)에 감소된 제1 압력(p1)을 발생시키기에 적합하다. 압력(p1)은 공기 안내판(4)과 접촉 표면(2) 사이에서 상향하는 공기 스트림을 초래한다. 1개의 또는 복수의 판유리(I, II)가 본 발명에 따라서 굽힘 도구(1)와 접촉할 때, 판유리의 옆면 엣지가 공기 스트림에 의해 스위핑된다. 공기 스트림은 1개의 판유리 또는 심지어 복수의 서로 상하로 놓인 판유리를 중력의 영향에 거슬러 굽힘 도구(1)의 접촉 표면에 대하여 유지하기에 적합하다. 이러해서, 제1 압력 구역(B1)에서의 제1 압력(p1)은 도 1의 선행 기술에 따른 도구에서의 공기 스트림의 기능을 수행한다. 주위 압력을 기준으로 3 mbar 내지 6 mbar의 진공에 상응하는 제1 압력(p1)이 대략 2.1 mm의 전형적인 판유리 두께를 각각 갖는 1쌍의 판유리(I, II)를 유지하기에 적합하다.
추가로, 굽힘 도구(1)는 제2 압력 구역(B2)에 제1 압력(p1)보다 낮은 감소된 제2 압력(p2)을 발생시키기에 적합하다. 이러해서, 제2 압력 구역(B2)에서의 흡인이 제1 압력 구역(B1)에서보다 크다. 판유리가 제1 압력 구역(B1)에서는 공기 스트림에 의해 유지될 수 있을 뿐이지만, 반면에 제2 압력 구역(B2)에서는 공기 스트림에 의해 판유리의 능동 변형을 얻을 수 있다. 제2 압력 구역(B2)에서의 접촉 표면(2)은 제1 압력 구역(B1)에서의 접촉 표면에 비해 후퇴되고, 이렇게 해서 판유리는 굽힘 작업 전에는 접촉 표면(2)과 접촉하지 않는다. 제2 압력 구역(B2)에서의 흡인에 의해, 연화된 판유리(I, II)가 굽히고, 접촉 표면(2)에 달라붙는다. 제2 압력 구역(B2)의 섹션들은 굽힘 도구(1)의 코너에 배열된다. 제2 압력 구역(B2)에서의 강한 흡인에 의해, 판유리(I, II)의 코너에 판유리의 나머지의 곡률보다 더 강한 곡률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해서, 매우 복잡한 판유리 형상이 실현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하부 코너 및 상부 코너에서 상이한, 굽힘 작업에 의해 달성되는 판유리 코너의 형상은 접촉 표면(2)에 의해 결정된다. 주위 압력을 기준으로 30 mbar 내지 60 mbar의 진공인 제2 압력(p2)은 예를 들어 대략 2.1 mm의 전형적인 판유리 두께를 각각 갖는 1쌍의 판유리(I, II)를 굽히기에 적합하다.
추가로, 굽힘 도구(1)는 제3 압력 구역(B3)에 제1 압력(p1)보다 큰 제3 압력(p3)을 발생시키기에 적합하다. 이러해서, 제3 압력 구역(B3)에서의 흡인은 제1 압력 구역(B1)에서 및 제2 압력 구역(B2)에서보다 낮다. 제3 압력 구역(B3)은 제2 압력 구역(B2)에서의 강한 곡률로 인한 판유리(I, II)의 중심 구역에서 과도한 굽힘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과도한 굽힘"이라는 표현은 인접 구역에서의 강한 곡률의 결과로 바람직하지 않은 반대 곡률의 생성을 의미한다. 제3 압력 구역(B3)은 판유리(I, II)의 중심 구역에서의 과도한 굽힘 및 다른 굽힘 결함, 예를 들어 울퉁불퉁함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전형적인 제3 압력(p3)은 예를 들어 대략 주위 압력이거나 또는 주위 압력보다 아주 약간 낮고 예를 들어 1 mbar의 진공이다.
위에서 서술한 압력 구역들 사이에 나누기에 적합한 흡인 파이프(5)의 진공은 예를 들어 대략 80 mbar이다.
흡인을 발생시키기 위해, 굽힘 도구(1)는 흡인 파이프(5)를 갖는다. 흡인 파이프(5)는 접촉 표면(2)에 대면하지 않는 굽힘 도구(1)의 측에, 즉, 상부에 배열된다. 압력 구역(B1, B2 및 B3)이 흡인 파이프에 연결되고, 이에 의해 감소된 압력이 발생된다. 도 1의 선행 기술에 따른 도구로부터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커버(3), 및 접촉 표면(2)을 담지하는 골격(13)이 제1 압력 구역(B1)과 흡인 파이프(5) 사이에 도관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굽힘 도구(1)에서는, 제2 압력 구역(B2)의 섹션들을 흡인 파이프(5)에 연결하는 추가의 도관(6)이 구현된다. 적절히 선택된 도관 단면에 의해 상이한 압력(p1) 및 (p2)이 실현된다. 추출된 공기는 도면에서 화살표로 나타낸다.
도 2의 평면도에서는 흡인 파이프(5) 및 도관(6)이 실제로 식별될 수 없지만; 그의 위치를 점선으로 나타낸다.
제3 압력 구역(B3)은 흡인 파이프(5)와 연결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음)을 가지고, 이에 의해 또한 제3 압력 구역(B3)에서도 감소된 압력(p3)이 발생된다. 굽힘 도구(1)는 제3 압력(p3)을 증가시키기 위한 통기 파이프(7)를 갖는다. 통기 파이프(7)는 굽힘 골격(13)과 커버(3) 사이에서 진행되고, 제3 압력 구역(B3)을 접촉 표면(2)에 대면하지 않는 굽힘 도구 측의 주위에 연결한다. 흡인 파이프(5)의 흡인 및 통기 파이프(7)를 통해 연행되는 공기로부터 제3 압력(p3)이 생긴다. 통기 파이프(7)에는 제3 압력(p3)의 능동 조정을 위한 밸브(12)가 제공된다. 도면에서는 연행되는 공기를 화살표로 나타낸다.
굽힘 골격(13)에는 편향판(8)이 제공되고, 편향판(8)은 중심 개구부를 갖는다. 편향판(8)은 통기 파이프(7)를 통해 연행되는 공기를 그것이 제3 압력 구역(B3) 내로 거의 중심에서 흐르도록 편향시킨다. 이렇게 해서, 균질한 분산이 달성되고, 이것은 판유리의 표면에 유리하다. 묘사된 실시양태에서는 중심에 장착된 중심 통기 파이프가 가능하지 않으며, 그 이유는 그것을 위해 필요한 공간을 중심 흡인 파이프(5)가 차지하기 때문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범례적인 실시양태의 단계를 묘사한다. 먼저, 설치된 상태에서 편평한, 서로 상하로 놓인 2개의 판유리(I, II)를 하부 굽힘 몰드(9) 상에 위치시킨다 (a 부분). 굽힘 몰드(9) 상의 판유리를 굽힘 온도, 예를 들어 600℃로 가열하고, 중력의 결과로 판유리가 하부 굽힘 몰드(9)의 형상에 달라붙는다 (b 부분). 이러해서, 처짐 굽힘에 의해 판유리(I, II)의 예비-굽힘이 수행된다. 처짐 굽힘 후, 본 발명에 따른 굽힘 도구(1)가 판유리(I, II)를 넘겨받는다. 그 목적으로, 굽힘 도구(1)를 위로부터 하부 굽힘 몰드(9) 상의 판유리(I, II)에 근접시키고 접촉 표면(2)과 접촉시킨다 (c 부분). 그 다음, 흡인 파이프(5)를 통해 흡인을 발생시킨다. 제1 압력(p1)으로 인해, 판유리(I, II)를 굽힘 도구(1)에 대하여 유지하고, 굽힘 도구(1)에 의해 상향 이동하고, 이러해서 하부 굽힘 몰드(9)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d 부분). 제2 압력(p2)은 판유리의 코너의 추가의 굽힘을 달성하고, 반면에 제3 압력(p3)은 판유리의 중심에서 굽힘 결함을 방지한다. 굽힘 도구(1)에 의해, 더 복잡한 형상으로의 추가의 예비-굽힘을 달성한다 (e 부분). 그 다음, 하부 흡인 굽힘 몰드(10)를 아래로부터 판유리(I, II)에 근접시킨다. 판유리(I, II)를 본 발명에 따른 굽힘 도구(1)와 하부 흡인 굽힘 몰드(10) 사이에서 프레스 굽힘에 의해 그의 최종 형상으로 굽힌다 (f 부분). 이어서, 하부 흡인 굽힘 몰드(10)를 다시 내려가게 하고 (g 부분), 굽힘 도구(1)에 의해 판유리(I, II)를 하부 유지 몰드(11) 상에 놓고, 흡인을 꺼서 이 유지 몰드(11)에 전달한다 (h 부분). 그 다음, 굽힘 도구(1)를 상향 이동시키고 (i 부분), 다음 쌍의 판유리의 굽힘 공정을 위한 준비를 한다. 하부 유지 몰드(11) 상에서, 판유리(I, II)가 주위 온도로 냉각된다. 제1 하부 굽힘 몰드(9) (처짐 굽힘 몰드)와 동일한 몰드 또는 동일하게 설계된 몰드가 하부 유지 몰드(11)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굽힘 도구(1)를 이용한 예비-굽힘으로 인해, 선행 기술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분명히 더 복잡한 판유리 형상을 얻을 수 있다. 그것은 본 발명의 주된 이점이다.
제시된 굽힘 도구(1)를 이용한 굽힘의 상류 및 하류 공정 단계들은 예에 지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하고, 결코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이러해서, 예를 들어, 최종 판유리 형상이 프레스 굽힘 대신 처짐 굽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최종 판유리 형상이 추가의 굽힘 단계 없이 본 발명에 따른 굽힘 도구(1)만으로 달성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도 6은 흐름도를 이용해서 도 5의 범례적인 실시양태를 묘사한다.
1: 굽힘 도구
2: 프레임형 접촉 표면
3: 커버
4: 공기 안내판
5: 흡인 파이프
6: (B2)와 (5) 사이의 도관
7: 통기 파이프
8: 편향판
9: 하부 처짐 굽힘 몰드
10: 하부 흡인 굽힘 몰드
11: 유지 몰드
12: (7)의 밸브
13: 굽힘 골격
B1: 제1 압력 구역
B2: 제2 압력 구역
B3: 제3 압력 구역
p1: 감소된 제1 압력
p2: 감소된 제2 압력
p3: 제3 압력
I: 판유리
II: 판유리

Claims (15)

  1. 흡인에 의해 적어도 1개의 판유리(I, II)를 굽히는 굽힘 도구(1)로서,
    프레임형 볼록 접촉 표면(2) 및 접촉 표면(2)을 적어도 구역에서 둘러싸는 주변 공기 안내판(4)을 갖는 커버(3)를 포함하고,
    굽힘 도구(1)는
    - 공기 안내판(4)과 접촉 표면(2) 사이의 제1 압력 구역(B1)에서의 감소된 제1 압력(p1);
    - 제2 압력 구역(B2)에서의, 제1 압력(p1)보다 낮은 감소된 제2 압력(p2);
    - 제3 압력 구역(B3)에서의, 제1 압력(p1)보다 큰 제3 압력(p3)
    을 발생시키기에 적합하고,
    제2 압력 구역(B2)은 굽힘 도구(1)의 적어도 1개의 코너에 배열되고, 판유리(I, II)의 적어도 1개의 코너에 판유리(I, II)의 나머지 굽힘보다 더 급격한 굽힘을 제공하기에 적합하고,
    제3 압력 구역(B3)은 접촉 표면(2) 내측의 중심 구역에 배열되고, 판유리(I, II)의 중심 구역에 판유리(I, II)의 엣지 구역보다 더 작은 굽힘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것인, 굽힘 도구(1).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압력 구역(B1)은 굽히고자 하는 판유리(I, II)의 엣지를 공기 스트림으로 적어도 섹션에서 스위핑하고, 이렇게 해서, 판유리(I, II)를 접촉 표면(2)에 대하여 프레싱하기에 적합한 것인, 굽힘 도구(1).
  3. 삭제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압력 구역(B1) 및 제2 압력 구역(B2)과 연결되고 제1 압력(p1) 및 제2 압력(p2)을 발생시키는 흡인 파이프(5)가 제공된, 굽힘 도구(1).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3 압력 구역(B3)과 주위를 연결하는 적어도 1개의 통기 파이프(7)가 제공된, 굽힘 도구(1).
  7. 제6항에 있어서, 통기 파이프(7)에 흐름을 조정하기 위한 밸브(12)가 제공된, 굽힘 도구(1).
  8.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굽힘 도구(1)로 적어도 1개의 판유리(I, II)를 굽히는 방법으로서,
    - 판유리(I, II)를 굽힘 온도로 가열하고,
    - 판유리(I, II)의 엣지가 제1 압력(p1)에 의해 발생된 공기 스트림에 의해 적어도 섹션에서 스위핑되도록 판유리(I, II)를 접촉 표면(2)과 접촉시키고,
    - 제2 압력 구역(B2)에 제2 압력(p2)을 발생시키고 제3 압력 구역(B3)에 제3 압력(p3)을 발생시켜 판유리(I, II)를 굽히는
    것인,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굽힘 도구(1)가 상부 굽힘 몰드로서 사용되고, 판유리(I, II)가 엣지를 스위핑하는 공기 스트림에 의해 굽힘 도구(1)에 대하여 중력의 영향에 거슬러 유지되는 것인,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서로 상하로 놓인 2개의 판유리(I, II)를 쌍으로 동시에 굽히는 것인,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제1 압력(p1)이 주위 압력을 기준으로 1mbar 내지 20mbar 또는 2mbar 내지 10mbar의 진공이고, 제2 압력(p2)이 주위 압력을 기준으로 10mbar 내지 100mbar 또는 20mbar 내지 80mbar의 진공이고, 제3 압력(p3)이 주위 압력을 기준으로 0mbar 내지 5mbar 또는 0mbar 내지 2mbar의 진공인,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처짐 굽힘에 의해 미리 판유리(I, II)가 예비-굽힘되는 것인,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이어서 판유리(I, II)를 처짐 굽힘 또는 프레스 굽힘에 의해 그의 최종 형상으로 굽히는 것인,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판유리(I, II)에
    - 제2 압력 구역(B2)에서 500mm 이하 또는 50mm 내지 300mm의 굽힘 반경, 및
    - 제3 압력 구역(B3)에서 1000mm 이상 또는 2000mm 내지 20000mm의 굽힘 반경
    이 제공되는 것인, 방법.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모터 차량 부문에서의 판유리를 굽히기 위하여 사용되는, 굽힘 도구(1).
KR1020177011132A 2014-10-28 2015-09-08 판유리 굽힘 도구 KR1019179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190618 2014-10-28
EP14190618.0 2014-10-28
PCT/EP2015/070432 WO2016066310A1 (de) 2014-10-28 2015-09-08 Biegewerkzeug für glasscheib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426A KR20170057426A (ko) 2017-05-24
KR101917969B1 true KR101917969B1 (ko) 2018-11-12

Family

ID=51845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1132A KR101917969B1 (ko) 2014-10-28 2015-09-08 판유리 굽힘 도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10597320B2 (ko)
EP (1) EP3212584B1 (ko)
JP (1) JP6373495B2 (ko)
KR (1) KR101917969B1 (ko)
CN (1) CN106458684B (ko)
ES (1) ES2713033T3 (ko)
PL (1) PL3212584T3 (ko)
PT (1) PT3212584T (ko)
TR (1) TR201902303T4 (ko)
WO (1) WO20160663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62777B2 (ja) 2014-10-28 2018-07-25 サン−ゴバン グラス フランスSaint−Gobain Glass France ガラス曲げプロセス用の工具
RU2677509C1 (ru) * 2015-08-18 2019-01-17 Сэн-Гобэн Гласс Франс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моллирования стекл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вентилятора
PE20180789A1 (es) 2015-09-08 2018-05-08 Saint Gobain Metodo de flexion por gravedad asistido por sobrepresion y dispositivo apropiado para el mismo
BR112017027456B1 (pt) 2015-11-25 2022-10-18 Saint-Gobain Glass France Método de curvatura por gravidade auxiliado por sobrepressão, dispositivo adequado para o mesmo e uso de uma ferramenta de moldagem superior
EP3408233B1 (de) 2016-01-28 2019-10-02 Saint-Gobain Glass France Überdruckunterstütztes glasbiegeverfahren und hierfür geeignete vorrichtung
WO2018122767A1 (en) * 2016-12-30 2018-07-05 Agp America S.A. Method and apparatus for bending thin glass
US11434161B2 (en) 2017-05-04 2022-09-06 Pilkington Group Limited Method of forming a glass article and the glass article formed thereby
WO2019025079A1 (de) * 2017-07-31 2019-02-07 Saint-Gobain Glass Franc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iegen von scheiben
WO2023037381A1 (en) * 2021-09-08 2023-03-16 Saint-Gobain Glass France An apparatus for shaping glass and method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3631B1 (ko) 2013-02-26 2013-12-18 코리아 오토글라스 주식회사 유리시트 성형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085464B1 (ko) * 1970-04-23 1974-08-09 Saint Gobain Pont A Mousson
FR2097019A1 (en) 1970-07-28 1972-03-03 Saint Gobain Pont A Mousson Float glass - lifted over the exit sill by upward aspiration
JPS5550897B2 (ko) 1973-02-22 1980-12-20
JPS5243855A (en) 1975-10-06 1977-04-06 Nitto Electric Ind Co Ltd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s
US4229199A (en) 1979-05-21 1980-10-21 Ppg Industries, Inc. Shaping glass sheets by drop forming with differential vacuum release
US4511386A (en) * 1983-05-24 1985-04-16 Ppg Industries, Inc. Deformable vacuum holder used to shape glass sheets
JPS61121002A (ja) 1984-11-17 1986-06-09 Nissan Motor Co Ltd 遮光板
JPS61127628A (ja) 1984-11-26 1986-06-14 Nippon Sheet Glass Co Ltd ガラス用成形型
DE3615225A1 (de) 1986-05-06 1987-11-12 Ver Glaswerke Gmbh Verfahren zum biegen eines glasscheibenpaares fuer die herstellung einer verbundglasscheibe
CA1283131C (en) 1986-05-16 1991-04-16 Cal Y. Meyers Preparation of deuterated methylene chloride
FR2601668A1 (fr) 1986-07-16 1988-01-22 Saint Gobain Vitrage Perfectionnement au bombage de plaques de verre
JPS6327443U (ko) 1986-08-08 1988-02-23
US4877437A (en) 1988-04-29 1989-10-31 Glasstech International L.P. Vacuum platen for sharp bends
JPH06256030A (ja) 1993-03-02 1994-09-13 Nippon Sheet Glass Co Ltd 板ガラスの曲げ成形方法
FR2707283B1 (fr) 1993-07-09 1995-09-22 Saint Gobain Vitrage Int Procédé et dispositif de formage de plaques de verre et application de ce procédé à l'obtention de vitrages de formes complexes.
DE4337559C1 (de) 1993-11-04 1995-03-23 Ver Glaswerke Gmbh Verfahren zum paarweisen Biegen von Glasscheiben
US5669952A (en) * 1994-10-14 1997-09-23 Ppg Industries, Inc. Pressure forming of glass sheets
US5833729A (en) 1996-12-16 1998-11-10 Ppg Indust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ending glass sheets
DE19848373C2 (de) * 1998-10-21 2000-12-07 Sekurit Saint Gobain Deutsc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iegen von Glasscheiben mit einer flächigen Biegeform
DE10105200A1 (de) 2001-02-06 2002-08-14 Saint Gobai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paarweisen Biegen von Glasscheiben
FR2852951B1 (fr) 2003-03-26 2007-02-16 Saint Gobain Procede de bombage de feuilles de verre par pressage et aspiration
CN2641043Y (zh) * 2003-07-29 2004-09-15 洛阳北方玻璃技术股份有限公司 弯钢化玻璃生产设备中的玻璃提升负压上模具
FR2880343B1 (fr) 2004-12-31 2007-06-22 Saint Gobain Procede de bombage de feuilles de verre par aspiration
EP1798206B2 (en) * 2005-12-14 2012-09-26 Asahi Glass Compan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bending a glass sheet
MX344209B (es) 2010-12-13 2016-12-08 Saint Gobain Panel doblado.
EP2463248A1 (de) 2010-12-13 2012-06-13 Saint-Gobain Glass Franc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iegen von Scheiben
EP2463247A1 (de) 2010-12-13 2012-06-13 Saint-Gobain Glass Franc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iegen von Scheiben
US8962084B2 (en) * 2012-05-31 2015-02-24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of applying a layer of material to a non-planar glass sheet
JP6362777B2 (ja) 2014-10-28 2018-07-25 サン−ゴバン グラス フランスSaint−Gobain Glass France ガラス曲げプロセス用の工具
RU2677509C1 (ru) 2015-08-18 2019-01-17 Сэн-Гобэн Гласс Франс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моллирования стекл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вентилятор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3631B1 (ko) 2013-02-26 2013-12-18 코리아 오토글라스 주식회사 유리시트 성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426A (ko) 2017-05-24
EP3212584A1 (de) 2017-09-06
JP2017537865A (ja) 2017-12-21
ES2713033T3 (es) 2019-05-17
WO2016066310A1 (de) 2016-05-06
PL3212584T3 (pl) 2019-05-31
US10597320B2 (en) 2020-03-24
TR201902303T4 (tr) 2019-03-21
US10870600B2 (en) 2020-12-22
PT3212584T (pt) 2019-03-01
US20200189953A1 (en) 2020-06-18
EP3212584B1 (de) 2018-12-26
CN106458684A (zh) 2017-02-22
CN106458684B (zh) 2019-06-18
JP6373495B2 (ja) 2018-08-15
US20170210663A1 (en) 2017-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7969B1 (ko) 판유리 굽힘 도구
KR101911654B1 (ko) 유리 굽힘 공정용 도구
US9771297B2 (en) Method for cambering glass sheets by suction
US11261120B2 (en) Glass-bending device and glass-bending method using a fan
KR102051876B1 (ko) 과압-보조 중력 굽힘 방법 및 그에 적합한 장치
JP6779996B2 (ja) 正圧支援によるガラス湾曲方法およびこれに適した装置
AU2004226205B2 (en) Method and device for bending glass sheets
RU2742682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изгибания прессованием стеклянных лист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