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7698B1 - Sns시스템 및 그의 sns정보 보호방법 - Google Patents

Sns시스템 및 그의 sns정보 보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7698B1
KR101917698B1 KR1020120102443A KR20120102443A KR101917698B1 KR 101917698 B1 KR101917698 B1 KR 101917698B1 KR 1020120102443 A KR1020120102443 A KR 1020120102443A KR 20120102443 A KR20120102443 A KR 20120102443A KR 101917698 B1 KR101917698 B1 KR 101917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s
information
user
content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2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5753A (ko
Inventor
김영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2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7698B1/ko
Publication of KR20140035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5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Bioeth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NS상에서 공유되는 정보를 인간관계에 따라 선택적으로 공개/비공개하는 SNS시스템 및 그의 SNS정보 보호방법에 관한 것으로 소정 컨텐츠(예:사진 동영상)에 정보 공개를 설정하여 SNS에 업로드한 후 상기 SNS상에서 컨텐츠가 억세스되면 억세스하는 사람과 컨텐츠속 사람간의 SNS친구관계에 따라 SNS친구관계인 경우에는 컨텐츠내의 정보(얼굴 또는 특정 장소)를 공개하고, SNS친구관계가 아닌 경우에는 컨텐츠내의 정보를 비공개 처리(모자이크, 흐림처리)를 수행하여 각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효율적으로 보호한다.

Description

SNS시스템 및 그의 SNS정보 보호방법{SNS SYSTEM AND SNS INFORMATION PROTEC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SNS상에서 공유되는 정보를 SNS에서 설정된 인간관계에 따라 선택적으로 공개/비공개하기 위한 SNS시스템 및 그의 SNS정보 보호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 SNS)는 다른 사람과 의사소통하거나 정보공유를 목적으로 하는 커뮤티형 웹기반의 서비스로서 최근 스마트폰의 사용이 증가됨에 따라 그 사용이 더욱 늘어나고 있다. 현재 운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SNS사이트로는 트위터(Twitter), 페이스 북 (face book) 및 싸이월드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국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SNS사이트들이 운용되고 있다. 관련된 선행특허로, 공개 특허공보 제10-2009-0097691호(2009.09.16. 공개)가 존재한다.
이와 같이 SNS는 오프라인에서 알고 있는 인맥관계를 강화시키고 온라인을 통하여 새로운 인맥을 구축할 뿐만 아니라 상기 구축된 인맥을 통하여 많은 사람들과 정보를 공유하고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상기 SNS서비스는 자신의 정보를 불특정 다수와 공유하거나 다른 사용자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편리한 점이 있지만, 원치 않는 개인의 정보가 SNS를 통하여 다른 사람에게 알려질 수 있는 측면에서는 보안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
일 예로, 제1사용자가 자신의 SNS에 제2사용자가 포함된 사진을 올리면 해당 사진은 제1사용자와 친구관계인 모든 사람들에게 공개(공유)된다. 이때, 상기 제2사용자는 제1사용자와는 친구관계이지만, 다른 사람들과는 친구관계가 아니기 때문에, 종래에는 사진속에 포함된 사람들의 정보(얼굴 또는 촬영장소가)가 원치 않는 다른 사람들에게 공개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SNS상에 올려진 정보를 SNS관계에 따라 공개/비공개하여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한 SNS시스템 및 그의 SNS정보 보호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NS정보 보호방법은, 소정 컨텐츠에 정보 공개를 설정하는 단계; 정보공개가 설정된 컨텐츠를 SNS에 업로드하는 단계; 및 상기 SNS상에서 컨텐츠가 억세스되면 억세스하는 사람과 컨텐츠속 사람간의 SNS친구관계에 따라 컨텐츠내의 정보를 선택적으로 공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공개는 정보공개 대상 및 정보공개 타입을 포함한다.
상기 정보공개 대상은 얼굴 또는 특정 장소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공개 타입은 SNS친구관계에 따른 컨텐츠 공개, 제한적 공개를 포함한다.
상기 컨텐츠는 사진, 동영상 또는 텍스트를 포함한다.
상기 컨텐츠 억세스는 컨텐츠 등록자의 SNS에서 컨텐츠를 보거나 또는 해당 SNS에서 컨텐츠를 퍼가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컨텐츠내의 정보를 선택적으로 공개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공개 설정을 확인하여 정보 공개가 SNS친구관계에 따른 공개로 설정된 경우 얼굴인식 또는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SNS친구관계를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결과 친구관계인 경우에는 컨텐츠내의 정보를 공개하고, SNS친구관계가 아닌 경우에는 컨텐츠내의 정보를 비공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비공개 처리는 컨텐츠내의 정보를 알아보지 못하도록 처리하는 것으로, 모자이크, blur 및 black처리를 포함한다.
상기 SNS정보 보호방법은 SNS친구관계의 변동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SNS친구관계변동에 따라 자동으로 컨텐츠내의 정보의 공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컨텐츠내의 정보를 선택적으로 공개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 공개가 제한적 공개로 설정된 경우 SNS친구관계에 관계없이 제한조건에 따라 컨텐츠내의 정보를 공개하는 단계; 및 상기 제한조건이 완료되면 SNS친구관계에 따라 컨텐츠내의 정보를 공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공개는 컨텐츠 등록자가 SNS에 로그인할 때 등록정보를 알려주는 페이지에서 설정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NS시스템은, 정보 공개가 설정된 소정 컨텐츠를 인터넷망을 통해 사용자의 SNS에 업로드하는 이동 단말기; 및 상기 SNS상에서 컨텐츠가 억세스되면 억세스하는 사람과 컨텐츠속 사람간의 SNS친구관계에 따라 컨텐츠내의 정보를 선택적으로 공개하는 SNS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공개는 정보공개 대상 및 정보공개 타입을 포함한다.
상기 정보공개 대상은 얼굴 또는 특정 장소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공개 타입은 SNS친구관계에 따른 컨텐츠 공개, 제한적 공개를 포함한다.
상기 컨텐츠는 사진, 동영상 또는 텍스트를 포함한다.
상기 컨텐츠 억세스는 컨텐츠 등록자의 SNS에서 컨텐츠를 보거나 또는 해당 SNS에서 컨텐츠를 퍼가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SNS서버는 상기 정보공개 설정을 확인하여 정보 공개가 SNS친구관계에 따른 공개로 설정된 경우 얼굴인식 또는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SNS친구관계를 확인하여, 친구관계인 경우에는 컨텐츠내의 정보를 공개하고, SNS친구관계가 아닌 경우에는 컨텐츠내의 정보를 비공개 처리한다.
상기 비공개 처리는 컨텐츠내의 정보를 알아보지 못하도록 처리하는 것으로, 모자이크, blur 및 black처리를 포함한다.
상기 SNS서버는 상기 SNS친구관계의 변동을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SNS친구관계변동에 따라 자동으로 컨텐츠내의 정보의 공개를 변경한다.
상기 SNS서버는 상기 정보 공개가 제한적 공개로 설정된 경우 SNS친구관계에 관계없이 제한조건에 따라 컨텐츠내의 정보를 공개하고, 상기 제한조건이 완료되면 SNS친구관계에 따라 컨텐츠내의 정보를 공개한다.
상기 제한조건은 특정 컨텐츠, 정보공개 횟수 및 시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등록자가 소정의 사진을 자신의 SNS에 등록한 후 다른 사용자가 해당 사진을 보는 경우 해당 사용자와 사진속의 사용자들간의 친구관계에 따라 사진속 각 사용자의 얼굴에 대한 공개를 선택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인터넷상에서 올려진 개인정보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진에 대한 제한적 공유를 설정하여 친구관계가 아니더라도 특정 시간, 횟수동안 사진을 볼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과 정보보안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SNS상에 본인의 얼굴이 있는 사진을 검색하여 해당 사진의 등록자에게 흐림처리를 요청하고, 사진에서 사용자가 공유를 원치 않는 지역에 대한 공개를 친구관계에 따라 처리함으로써 각 개인의 정보 보호를 보다 세밀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동작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
도 3은 사진을 SNS에 업로드할 때 얼굴 인식을 통해 태그를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각 사용자의 SNS에 등록된 친구관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NS정보 보호방법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서 친구관계 변동에 따라 얼굴공개를 변경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NS정보 보호방법의 제2실시예를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서 사진 업로드시 정보 보호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사진에 대하여 제한적 공개를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NS정보 보호방법의 제3실시예를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NS정보 보호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2는 도 11에서 친구관계에 따른 선택적 얼굴 공개를 나나낸 순서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와,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가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단말기가 이동 단말기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에 따른 구성은 이동용을 위해 특별히 구성된 구성요소를 제외한다면 상기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 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 통신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웍간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 (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115)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 (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 (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터치스크린과 관련되어 후술된다.
또한, 상기 센싱부(140)는 사용자가 이동할 때 이동방향을 계산하는 지자기 센서, 회전방향을 계산하는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센서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51), 음향 출력 모듈(152), 및 알람부(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이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ent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이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과 내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이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은 터치 입력 위치 및 면적 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3)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부(153)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이나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배터리로서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련된 단말기가 동작 가능한 무선 통신 시스템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기들(100), 복수의 기지국(Base Station; 'BS')(270),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s; 'BSCs')(275),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280)를 포함할 수 있다. MSC(280)는,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290)과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BSCs(275)와도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BSCs(275)는, 백홀 라인(backhaul line)을 통하여, BS(270)과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라인은, E1/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BSCs(275)가 도 2에 도시된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각각의 BS(270)는,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 또는 BS(270)으로부터 방사상의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섹터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두 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BS(270)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파수 할당 각각은, 특정 스펙트럼(예를 들어, 1.25MHz, 5MHz 등)을 갖는다.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교차는, CDMA 채널이라고 불릴 수 있다. BS(270)은, 기지국 송수신 하부 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이라고 불릴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지국"이라는 단어는, 하나의 BSC(275) 및 적어도 하나의 BS(270)을 합하여 불릴 수도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 사이트"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특정 BS(270)에 대한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셀 사이트로 불릴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송신부(Broadcasting Transmitter; 'BT')(295)는,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들(100)에게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도 1에 도시된 방송수신 모듈(111)은, BT(295)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기(100) 내에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도 2에서는, 여러 개의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위성(300)을 도시한다. 상기 위성들(300)은, 복수의 단말기(10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돕는다. 도 2에서는 두 개의 위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유용한 위치 정보는, 두 개 이하 또는 이상의 위성들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위치정보 모듈(115)은, 원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위성들(300)과 협력한다. 여기에서는, GPS 추적 기술뿐만 아니라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을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GPS 위성들(300)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위성 DMB 전송을 담당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형적인 동작 중, BS(270)은, 다양한 단말기들(100)로부터 역 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단말기들(100)은, 호를 연결 중이거나, 메시지를 송수신 중이거나 또는 다른 통신 동작을 수행하고 있다.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수신된 역 링크 신호들 각각은,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내에서 처리된다. 상기 처리 결과 생성된 데이터는, 연결된 BSC(275)로 송신된다. BSC(275)는, 기지국들(270) 간의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들의 조직화를 포함하여, 호 자원 할당 및 이동성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BSC(275)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MSC(280)으로 송신하고, MSC(280)은, PSTN(290)과의 연결을 위하여 추가적인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사하게, PSTN(290)은 MSC(280)과 연결하고, MSC(280)은 BSCs(275)와 연결하고, BSCs(275)는 단말기들(100)로 순 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BS들(270)을 제어한다.
최근 스마트폰의 사용 및 사용지역이 급격히 늘어남에 따라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한 컨텐츠 공유가 국내는 물론이고 해외까지 미치게 되어 컨텐츠 보안문제가 날로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제1사용자가 다른 사람의 정보가 포함된 컨텐츠를 자신의 SNS에 올릴 경우 해당 정보에 대한 보안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SNS를 통한 정보 공유시 해당 컨텐츠에 포함된 사용자의 프로이버시를 보장할 수 있는 SNS시스템 및 그의 SNS정보 보호방안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SNS에 업로드 하려는 또는 업로드된 컨텐츠에 대한 공개(또는 공유)여부를 SNS친구관계에 따라 설정 또는 변경함으로써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에 대한 억세스를 제어하고, 상기 공유설정에 따라 해당 컨텐츠를 상이하게 디코딩하여 표시한다.
상기 컨텐츠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포함된 정지영상(예:사진) 및 동영상을 포함하며, 상기 정보는 얼굴 또는 촬영장소를 포함한다.
상기 컨텐츠를 상이하게 디코딩하는 표시하는 것은 억세스를 시도한 사용자의 화면에 컨텐츠의 전체 또는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의 객체의 일부가 특수처리(모자이크, blur 및 black처리)되거나 캐릭터로 대체되어 표시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SNS에 업로드된 컨텐츠에 대하여 제한적 공유를 설정하여 특정 제한(특정 사진, 횟수, 기간)동안 해당 컨텐츠에 대하여 공유를 허가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SNS에서 친구관계 설정
SNS에서 "친구관계"는 제1사용자의 친구신청에 따라 제2사용자가 허락하면 자동으로 설정되며, 상기 친구관계에 관련된 정보(이름, 사진, 전화번호, 이메일 및 기타)는 서버(미도시)에 자동으로 등록된다. 일단 두 사용자간에 "친구관계"가 설정되면 컨텐츠에 대한 '공유'가 설정되기 때문에 두 사람은 서로의 정보를 제한없이 공유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예를들면 사진등과 같이 제1,제2사용자이외에 다른 사용자가 존재할 경우 해당 컨텐츠의 공유는 다른 사용자와 제1,제2사용자간의 친구관계를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SNS에 사진 업로드시 태그설정
도 3은 사진을 SNS에 업로드할 때 얼굴인식을 통해 태그를 설정하는 예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사용자(예:영곤)가 소정의 사진을 자신의 SNS에 업로드하면, SNS서버(미도시)는 얼굴인식기법을 통해 상기 업로드된 사진에 포함된 각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한 후 그 인식된 얼굴정보와 SNS상에 기등록된 친구들의 얼굴과 비교하여 사진의 각 얼굴에 태그(tag)로 이름을 붙인다(표시한다). 따라서, 상기 얼굴에 태그된 이름을 보고 각 사용자가 누군지 알 수 있게 된다.
친구관계에 따른 얼굴 공개 설정 및 처리
본 발명은 SNS로그인시 등록 정보를 보여주는 페이지에서 정보(얼굴) 공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등록자는 정보 공개의 범위(얼굴, 장소)를 설정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친구관계 설정이 변동될 경우 등록자에게 쪽지 형태로 알려주도록 한다.
도 4는 각 사용자의 SNS에 등록된 친구관계의 일 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진 등록자인 영곤은 사진속에 포함된 모든 사람들과 친구관계이고, 진성은 수현, 동효 및 영곤과 친구관계이고, 현주는 수형, 진성 및 영곤과 친구관계이며, 대군은 동효와 친구관계이다.
본 발명은 정보 공개(얼굴 공개)를 설정한 상태에서 등록자가 소정의 사진을 자신의 SNS에 등록한 후 소정 접속자가 해당 사진에 접속을 시도할 경우 해당 접속자와 사진속 사용자들간의 친구관계에 따라 사진속 얼굴에 대한 공개를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즉, 친구관계를 확인하여 친구관계인 경우에는 얼굴을 공개하고, 친구관계가 아닌 경우에는 얼굴을 비공개 처리한다.
상기 접속자에 의한 사진 접속시도는 사진 등록자의 SNS에 링크하여 해당 사진을 보는 경우 및 해당 사진을 복사하여 자신의 SNS(기타 다른 매체)로 퍼가는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비공개 처리는 원래의 사진과 드르게 표시되도록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친구관계가 아닌 사용자의 얼굴의 일부(또는 몸 전체)가 특수처리(모자이크, blur 및 black처리 또는 카릭터로 대체되어 표시)되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개념을 적용할 경우 동일한 사진이라하더라도 친구관계에 따라 보이는 얼굴이 있고 보이지 않고 특수처리되는 얼굴이 있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비공개 처리된 사용자 즉, 등록자의 SNS에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도 해당 사진을 볼 수 있는 선택 옵션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비공개로 특수처리된 얼굴에 선택 옵션으로 "친구신청 아이콘"을 표시하여, 해당 사용자가 선택 옵션을 이용하여 사진 등록자와 친구관계를 맺은 후 해당 사진을 볼 수 있도록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사진 접속자가 사진 등록자의 SNS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 일단 디폴트로 보여주고, 이후 특수처리하거나 일정 기간동안만 공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 도 4에 도시된 친구관계를 예로들어 SNS내의 관계에 다른 정보 보호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NS정보 보호 방법의 제1실시예이다. 본 발명에서는 소정 사진을 보고하하는 사람을 접속자라고 정의하고, 사진을 증록한 사용자는 등록자 또는 게시자라고 정의한다.
사진 등록자(기사자)인 영곤이 정보공개를 얼굴공개로 설정한 상태에서, 여름휴가 때 해변에서 친구들과 찍은 사진(예:해변 사진)을 자신의 SNS에 올리면, SNS서버는 얼굴인식을 통해 기 등록된 얼굴을 찾아 인식된 각 얼굴에 태그로 이름을 붙인 다음 저장한다. 상기 해변 사진에는 수현, 진성, 영곤 및 동효가 포함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이후 상기 사진에 포함된 각 사용자 또는 포함되지 않은 사용자가 상기 사진에 억세스하는 경우 SNS서버는 사진의 각 얼굴에 태크된 이름으로 친구관계를 확인하여 확인된 친구관계에 따라 각 얼굴에 대한 공개 또는 비공개 설정를 설정하고, 그 설정된 얼굴 공개설정에 따라 얼굴에 대한 공개 또는 비공개 처리를 수행한다.
도 5a는 SNS에 등록된 사진을 사진 등록자가 확인하는 예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진 등록자인 영곤이 자신의 SNS에 로그인하여 상기 해변 사진을 확인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메모리(160)로부터 해변사진의 각 얼굴에 태크된 이름으로 친구관계를 확인하여 각 얼굴에 대한 공개 또는 비공개 처리를 수행한다. 확인 결과 상기 해변 사진은 영곤이 올린 사진이기 때문에 모든 사람의 얼굴 및 이름(수현, 진성, 영곤 및 동효)이 표시된다.
또한, 영곤 또는 진성의 SNS에서 상기 해변 사진을 확인하는 경우에는 영공 및 진성과 사진에 있는 모든 사람들은 모두 친구관계이기 때문에 도 5a에 도시된 바와같이 모든 사람의 얼굴 및 이름(수현, 진성, 영곤 및 동효)이 표시된다.
도 5b는 SNS에 등록된 사진을 사진 등록자이외의 사람이 확인하는 경우의 사진 표시를 나타낸 일 예이다. 도 5b는 현주가 영곤의 SNS에서 사진을 확인하는 예이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진 등록자이외의 사람, 예를들어 현주가 자신의 ID로 로그인 한 후 영곤의 SNS에서 해변 사진을 확인하면, 제어부(180)는 메모리 (160)로부터 해변사진의 각 얼굴에 태크된 이름으로 친구관계를 확인하여 각 얼굴에 대한 공개 또는 비공개 처리를 수행한다. 확인 결과 수현, 진성 및 영곤은상기 현주와 친구관계이기 때문에 얼굴 및 이름(수현, 진성, 영곤)을 표시하고, 동효와는 친구관계가 아니기 때문에 이름을 표시하지 않고 blur처리한 후 그 위에 '친구신청 아이콘(50)'을 표시한다. 따라서, 현주는 상기 친구신청 아이콘(50)'을 선택하여 동효에게 친구신청을 할 수 잇으며, 동효가 친구신청을 허락하면 상기 blur처리가 사라지고 동효얼굴과 함게 이름이 표시된다.
도 5c는 SNS에 등록된 사진을 사진 등록자이외의 사람이 확인하는 경우의 사진 표시를 나타낸 다른 예이다. 도 5b는 대군이 동효의 SNS에서 사진을 확인하는 예이다.
도 4에 도시된 친구관계에 따라 동효가 영곤의 SNS에서 해변 사진을 확인할 경우, 동효는 수현, 진성 및 영곤과 친구관계이기 때문에 얼굴 및 이름(수현, 진성, 영곤)이 모두 표시된다. 그런데, 만약, 대군이 자신의 ID로 로그인한 후 동효의 SNS에서 상기 해변 사진을 확인할 경우 동효의 친구인 대군은 동효(이름)가 태그된 사진을 볼 권한은 있지만, 다른 사람(수현, 진성 및 영곤)과는 친구관계가 아니기 때문에 해당 사람의 얼굴은 볼 수 없다. 즉, 제어부(180)는 메모리(160)로부터 해변사진의 각 얼굴에 태크된 이름으로 친구관계를 확인하여 각 얼굴에 대한 공개 또는 비공개 처리를 수행한다. 확인 결과 동효는 대군과 친구관계이기 때문에 동효의 얼굴 및 이름을 표시하지만, 친구관계가 아닌 수현, 진성 및 영곤의 얼굴은 blur처리한 후 그 위에 '친구신청 아이콘(50)'을 각각 표시한다.
일반적으로 사진을 등록한 영곤과 친구관계가 아닌(모르는) 사람(예:대군)이라 하더라도 해변 사진을 볼 수 있다. 이 경우 종래에는 수현, 진성 및 영곤의 얼굴이 자신도 모르게 대군에게 공개될 수 있으나, 도 5c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서는 친구관계에 따라 얼굴의 공개여부가 결정되기 때문에 자동으로 수현, 진성 및 영곤의 정보가 보호된다.
친구관계 변동에 다른 컨텐츠 공개설정 자동 변경
도 6은 본 발명에서 친구관계 변동에 따라 얼굴공개를 변경하는 예이다.
일반적으로 SNS에서의 친구관계는 서로의 필요에 의해 맺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변동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전에 친구관계였던 사이가 친구관계가 아닐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친구신청 아이콘'에 의해 새로운 친구관계가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친구관계변동에 따라 실시간으로 사진의 얼굴 공개 설정을 변경하여, 각 사용자의 정보 보호효과를 극대화하는 방안을 제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현주가 영곤의 SNS에서 해변 사진을 확인하면 얼굴 공개 설정에 따라 친구관계인 수현, 진성 및 영곤의 얼굴은 볼수 있지만, 친구관계가 아닌 동효의 얼굴은 볼 수 없다. 이때 동효의 얼굴에는 '친구신청 아이콘(50)'이 표시되기 때문에 현주는 상기 친구신청 아이콘(50)을 선택하여 동효에게 친구신청를 신청할 수 있다. 만약, 동효가 현주의 친구신청 신청을 받아들이면 SNS서버에 현주와 동효가 친구관계로 등록된다.
따라서, 동효와 친구가 된 상태에서 현주가 재차 영곤의 SNS에서 해변 사진을 확인하면 현주는 동효가 있는 모든 사진에서 동효의 얼굴을 볼 수 있는 권한이 있기 때문에 SNS서버는 동효에 대한 현주의 얼굴공개(친구관계) 설정을 변경하여, 상기 변경된 친구관계에 따라 사진에 모든 사람(수현, 진성, 영곤 및 동효)의 얼굴과 이름을 표시한다.
이러한 동작은 친구관계가 끊어지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사진에 포함된 사용자들간에 친구관계가 변경되면 얼굴공개 설정을 실시간으로 자동 변경함으로써 각 사용자의 정보 보호를 보다 세밀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SNS에서 검색된 얼굴에 대한 정보보호
상술한 정보보호 방법은 특정 사용자가 자신의 얼굴이 포함된 사진이 현재 어느 사용자의 SNS에 업로도되어 있는지 알고 있는 경우에 주로 적용된다.
그런데, 특정 사용자의 얼굴은 자신이 기억하지 못하는 다른 사용자가 찍은 사진에 포함되어 해당 사용자의 SNS에 업로드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특정 사용자는 자신의 얼굴이 포함된 사진이 어느 사용자의 SNS에 업로드되어 있는지 모르기 때문에 상기 특정 사용자의 얼굴이 사진의 게시자는 물론이고 해당 게시자와 친구관계인 또 다른 사용자(들)에게 그대로 노출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주기적으로 특정 사용자의 얼굴이 포함된 사진을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사진의 게시자(등록자)에 대하여 자신(접속자)과 관련된 정보(얼굴 또는 배경)에 대하여 특수처리(예; blur처리)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접속자와 관련된 정보는 얼굴 및 배경을 포함한다.
만약 게시자가 특수처리요청을 거부할 경우 그 사실을 접속자에게 알리고 상기 쵸얼을 소정 횟수거부하면 중재자의 중애에 따라 처리되도록 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NS정보 보호 방법의 제2실시예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사용자가 자신의 얼굴을 포함된 사진을 1회라도 SNS에 업로도하면 SNS서버는 얼굴인식을 통해 제1사용자의 얼굴을 등록한다.
이 상태에서 제1사용자가 메뉴를 통해 동일얼굴 자동검색을 선택하면, SNS서버는 SNS시스템에서 주기적으로 다른 사람(친구관계가 아니라도)의 SNS를 검색하여 제1사용자의 얼굴이 있는 SNS를 확인하여 해당 사진을 표시한다.
이때, SNS서버는 상술한 바와같이, 검색된 사진에서 제1사용자의 얼굴 및 제1사용자와 친구관계인 얼굴은 공개표시하고 친구관계가 아닌 얼굴은 bulr처리함과 함께 '친구신청 아이콘'(50)을 표시하고, 상기 제1사용자의 얼굴 일측에 흐림 (blur) 요청 아이콘(51)을 표시한다.
상기 '친구신청 아이콘'(50)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사진의 등록자(게시자)에게 친구를 요청하기 위한 아이콘이고, 상기 흐림(blur) 요청 아이콘(51)은 사진의 등록자에게 특정 얼굴을 bulr처리해 주도록 요청하기 위한 아이콘이다.
따라서, 제1사용자는 검색된 사진에 자신의 얼굴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흐림(blur) 요청 아이콘(51)을 선택하여 사진 등록자에게 자신의 얼굴을 bulr처리하도록 요청한다. 상기 요청에 대하여 개시자가 허락하는 경우 제1사용자의 얼굴은 blur처리된다.
상기 검색된 사진은 2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하나는 제1사용자가 중심인물에 포함되는 경우와 배경사진에 포함된 경우로 분류된다.
그런데 상기 제1사용자의 얼굴이 배경에 포함된 경우에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사용자의 얼굴이 blur처리되어도 별 문제가 없지만, 도 7a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사용자가 중심인물에 포함된 경우 만약 제1사용자의 얼굴이 blur처리하면 사진 전체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특정 얼굴에 대한 blur처리는 사진을 업로드한 등록자가 우선적인 선택권을 가지도록 한다.
즉, 상기 제1사용자의 blur처리는 등록자가 승락한 경우에만 적용되면, 만약 제1사용자의 소정 횟수 이상의 bulr처리 요청에 대하여 등록자가 계속 거부하는 경우에는 중재자의 중재에 따라 blur처리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사용자의 얼굴이 배경에 포함된 경우 SNS서버는 제1사용자가 요청하면 바로 해당 사진에서 어색하지 않도록 주변 배경과 함께 최대한 동일하게 되도록 blur처리한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사진 업로드시 정보 보호방법을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SNS에 사진을 업로드할 때 SNS서버는 얼굴인식을 통해 사진에 있는 모든 얼굴을 인식하여 모든 얼굴에 태그로 이름을 붙여 저장한다(등록한다). 이후 배경에 있는 얼굴이 등록된 얼굴이 아닌 경우에는 해당 얼굴을 흐리게 처리 (Blur처리)표시하여 타인의 초상권이 침해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흐리게 하는 방법은 등록된 얼굴에 아웃포커싱된 것처럼 배경의 인물과 주변의 배경을 같이 흐리게 하여 최대한 자연스럽게 한다.
반면에 상기 배경에 있는 얼굴이 SNS에 등록된 얼굴인 경우에는 친구신청 아이콘을 표시하여 친구신청이 가능하도록 한다. 일단 친구관계가 맺어지면 얼굴의 흐림처리는 사라지고 원본 사진으로 변경된다. 이후 얼굴은 친구 관계에 다라 공개된다.
제한적 얼굴공개 설정
일반적으로 SNS에 사진을 업로드할 때 등록자(게시자)는 친구관계가 아니라도 사진을 공개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또한, 사진은 같이 찍었지만 해당 사용자와 친구관계이고 싶지 않은 경우가 있다. 즉, 일시적으로 사진에 대한 공개를 허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은 업로드한 사진에 대한 제한적 공개를 설정한다. 상기 제한적 공개는 최초에는 친구관계에 따라 사진이 공개되고, 제한적 공유가 설정 경우에는 친구관계에 상관없이 제한조건에 따라 사진이 공개되는 개념이다.
상기 제한조건은 특정 사진, 횟수, 기간등을 포함한다,
상기 제한적 공개를 설정하는 경우 사진속에 있는 모드 사람들로부터 승락을 받아야 한다.
도 9에는 사진에 대하여 제한적 공개를 설정하는 예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등록자인 영곤이 사진(예:해변사진)에 대하여 제한적 공개를 선택하면, 해당 사진에 포함된 사람(수현, 진성 및 동효)들에게 제한적 공유의 허락을 요청하는 메시지가 표시된다. 이때, 각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사진은 친구관계에 따라 얼굴표시가 달라지기 때문에, 동효가 상기 요청 메시지를 받을 경우 친구가 아닌 수현의 얼굴은 blur처리되고 친구요청 아이콘이 표시된다.
상기 제한적 공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한적 공개 메뉴 또는 사용자 메뉴를 선택하여 세부 정보(기간, 횟수)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진에 포함된 모든 사용자가 사진의 제한적 공개를 승락하면, 각 사용자의 얼굴이 친구관계에 상관없이 영곤의 SNS에서 해당 사진이 제한조건(특정 사진, 횟수, 기간)에 따라 일시적으로 공개된다.
친구관계에 따라 위치정보의 공개 설정
일반적으로 사진에서 사용자는 자신의 얼굴뿐만 아니라 특정 장소 지역을 공개하고 싶지 않은 경우가 있다. 예를들면, 사진에 포함된 사용자의 집, 학교, 직장등과 같은 특정 장소 및 강남구, 서울 한국등과 같은 지역이 친구를 제외한 다른 사람에게 공개되는 것을 꺼리는 경우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친구관계에 따라 위치정보의 공개여부를 결정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진에 포함된 위치정보에 대한 정보보호 방법을 제공한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NS정보 보호방법의 제3실시예로서, 위치정보의 공개설정을 나타낸다.
도 10a를 참조하면, 특정 사진을 SNS에 업로드할 때 사용자는 해당 사진을 롱터치하여 미공개 지역설정 메뉴를 표시한 다음 해당 메뉴에서 미공개 지역, 예를들면 집과 공개정도(수준)를 선택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같이 SNS를 로그인할 때 표시되는 페이지(또는 메뉴에서) 정보공개를 위치공개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후 등록자가 사진에 대하여 미공개 지역을 설정하고, 해당 사진을 업로드하면 SNS서버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진의 세부정보에 포함된 GPS정보(경도와 위도)를 확인하여, 사용자가 공개를 언치 않는 지역이면 사용자가 지정한 정도(수준)로 변경 또는 삭제한다. 예를들어, 경도 x와 위도 y로 환산한 사용자의 집 주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 536-1를 사용자가 지정한 정도 "서울특별시 강남구'로 변경한다.
이후 다른 사용자가 SNS에 업로드된 사진을 억세스하면 SNS서버는 상기 사진의 등록자와 억세스하는 사용자간의 친구관계에 따라 해당 사진상에서 미공개 지역으로 설정한 장소를 공개 또는 비공개처리한다. 이때, 미공개 지역으로 설정한 장소에 대한 비공개 처리방법은 인물만 남기고 전체 배경을 흐림처리하거나 지역을 알수 있는 간판이나 이정표, 특이한 건물등만 흐림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등록자의 집이 미공개지역으로 설정되었기 때문에, 도 10c에 도시된 바와같이, SNS서버는 상기 사진을 억세스하는 사용자가 등록자의 친구가 아닌 경우 아파트 모습(또는 이름)을 흐림처리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NS정보 보호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친구관계에 따른 선택적 얼굴 공개를 나나낸 순서도이다.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람이 포함된 사진을 자신의 SNS에 업로도(등록)할 수 있다(S10). 이때, 사진을 등록한 사용자(이하 등록자로 칭함)는 상기 사진을 업로드할 때 또는 이미 업로드된 사진에서 정보공개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사진을 업로드할 때는 사진의 일정 부분을 롱터치할 때 표시되는 공개설정 메뉴에서 공개대상(얼굴, 장소) 및 공개타입(전부공개, 제한공개, 친구관계에 따른 공개)등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진을 업로드한 경우에는 사진 등록자가 SNS에 로그인할 때 등록정보를 보여주는 페이지상에서 설정할 수 있다. 도 11에서는 사진 업로드시 설정된 정보공개로서 '사용자가 얼국 공개' 및 '친구관계에 따른 공개'를 설정한 경우이다.
상기 등록자는 정보공개가 설정된 사진을 자신의 SNS에 업로드한다(S11).
이후 다른 사용자(이하 접속자로 칭함)가 자신의 ID로 로그인한 후 상기 등록자의 SNS에서 사진을 확인하면 SNS서버는 이를 감지한 후(S12)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정보공개 설정을 확인하여 해당 사진에 대한 공개/비공개를 결정한다(S13).
확인결과 해당 정보공개가 SNS친구관계에 따른 정보 공개로 설정된 경우 SN서버는 해당 접속자와 사진속에 포함된 사람들간의 친구관계를 확인한다(S14). 상기 친구관계는 친구신청에 대한 허락으로 설정되며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되어 있다. 친구관계가 확인되면 SNS서버는 SNS친구관계에 따라 사진속 각 사람의 얼굴을 선택적으로 공개한다(S15).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같이, SNS서버는 사진 접속자가 사진속에 있는 사람과 친구관계인지 확인하여(S20), 모든 사람과 SNS친구관계인 경우에는 모든 사람의 얼굴과 태그(이름)을 표시한다(S21). 반면에, 사진에 상기 접속자와 친구가 아닌 사람이 존재하면 SNS친구관계가 아닌 사람의 얼굴은 blur처리하고 소정 위치에 '친구신청 아이콘'을 표시한다(S22). 상기 친구신청 아이콘은 blur처리된 얼굴 또는 주변에 표시된다.
이후 접속자가 상기 '친구신청 아이콘'을 선택하여 사진에 포함된 사람과 새로운 SNS친구관계를 형성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같이, SNS서버는 해당 SNS친구관계변동을 감지하고, 변동된 SNS친구관계에 따라 얼굴공개를 변경 즉, 상기 blur처리된 얼굴을 본래의 얼굴로 표시한다(S16, S17).
또한, 상기 확인결과 해당 정보공개가 제한적 공개로 설정된 경우 SNS서버는 SNS친구관계에 상관없이 사진의 얼굴을 공개한 후 제한조건(시간, 횟수)이 완료되면 SNS친구관계에 따라 사진속의 얼굴을 공개한다.
본 발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진을 예로들어 표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SNS에 올리는 다른 컨텐츠, 예를들면 텍스트정보 및 동영상등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특히 텍스트정보의 경우는 사용자의 식별정보(ID,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를 통해 SNS사으이 친구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등록자가 소정의 사진을 자신의 SNS에 등록한 후 다른 사용자가 해당 사진을 보는 경우 해당 사용자와 사진속의 사용자들간의 친구관계에 따라 사진속 각 사용자의 얼굴에 대한 공개를 선택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인터넷상에서 올려진 개인정보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진에 대한 제한적 공유를 설정하여 친구관계가 아니더라도 특정 시간, 횟수동안 사진을 볼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과 정보보안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SNS상에 본인의 얼굴이 있는 사진을 검색하여 해당 사진의 등록자에게 흐림처리를 요청하고, 사진에서 사용자가 공유를 원치 않는 지역에 대한 공개를 친구관계에 따라 처리함으로써 각 개인의 정보 보호를 보다 세밀하게 보호할 수 있다.
50 : 친구신청 아이콘 51 : 흐림요청 아이콘

Claims (2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정보 공개가 설정된 소정 컨텐츠를 인터넷망을 통해 사용자의 SNS에 업로드하는 이동 단말기; 및
    상기 SNS상에서 컨텐츠가 억세스되면 억세스하는 사람과 컨텐츠속 사람간의 SNS친구관계에 따라 컨텐츠내의 정보를 선택적으로 공개하는 SNS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포함된 컨텐츠가 상기 SNS에 업로드 되면, 상기 SNS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등록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소정 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SNS 서버는 주기적으로 다른 사용자의 SNS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포함된 컨텐츠를 검출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를 통해, 상기 검출한 컨텐츠가 표시되며,
    상기 검출한 컨텐츠에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사용자와 SNS 친구관계가 아닌 소정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소정 사용자의 얼굴은 표시하지 않고, 상기 소정 사용자에게 친구신청을 하기 위한 친구신청 아이콘을 표시하며,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표시하지 않기 위한 소정 아이콘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공개는
    정보공개 대상 및 정보공개 타입을 포함하는 SNS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공개 대상은
    얼굴 또는 특정 장소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공개 타입은 SNS친구관계에 따른 컨텐츠 공개, 제한적 공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시스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사진, 동영상 또는 텍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시스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억세스는
    컨텐츠 등록자의 SNS에서 컨텐츠를 보거나 또는 해당 SNS에서 컨텐츠를 퍼가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시스템.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SNS서버는
    (a) 상기 정보 공개의 설정을 확인하여,
    (b) 상기 정보 공개가 SNS친구관계에 따른 공개로 설정된 경우에는 얼굴인식 또는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친구관계를 확인하여,
    (c) 친구관계인 경우에는 컨텐츠내의 정보를 공개하고, SNS친구관계가 아닌 경우에는 컨텐츠내의 정보를 비공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비공개 처리는
    컨텐츠내의 정보를 알아보지 못하도록 처리하는 것으로, 모자이크, blur 및 black처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시스템.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SNS서버는
    상기 SNS친구관계의 변동을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SNS친구관계변동에 따라 자동으로 컨텐츠내의 정보의 공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시스템.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SNS서버는
    상기 정보 공개가 제한적 공개로 설정된 경우 SNS친구관계에 관계없이 제한조건에 따라 컨텐츠내의 정보를 공개하고, 상기 제한조건이 완료되면 SNS친구관계에 따라 컨텐츠내의 정보를 공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조건은
    특정 컨텐츠, 정보공개 횟수 및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시스템.
KR1020120102443A 2012-09-14 2012-09-14 Sns시스템 및 그의 sns정보 보호방법 KR101917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443A KR101917698B1 (ko) 2012-09-14 2012-09-14 Sns시스템 및 그의 sns정보 보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443A KR101917698B1 (ko) 2012-09-14 2012-09-14 Sns시스템 및 그의 sns정보 보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753A KR20140035753A (ko) 2014-03-24
KR101917698B1 true KR101917698B1 (ko) 2018-11-13

Family

ID=50645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2443A KR101917698B1 (ko) 2012-09-14 2012-09-14 Sns시스템 및 그의 sns정보 보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76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23901B2 (en) * 2014-03-26 2016-08-23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to control screen capture
EP2981063B1 (en) 2014-07-31 2020-03-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modifying image including photographing restricted element, and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2094509B1 (ko) * 2014-07-31 2020-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 제한 요소를 포함하는 영상을 수정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시스템
KR101635169B1 (ko) * 2015-04-27 2016-06-30 미래엔플랫폼 주식회사 모바일 단말 상에서 위치 정보를 활용한 콘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407133B1 (ko) 2015-08-21 2022-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콘텐트 변형 방법
CN109783614B (zh) * 2019-01-25 2020-11-24 北京信息科技大学 一种社交网络待发布文本的差分隐私泄露检测方法及系统
KR102123248B1 (ko) 2020-01-30 2020-06-16 김선진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얼굴인식 기반 실시간 영상처리 시스템
KR20220032867A (ko) * 2020-09-08 2022-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30080111A (ko) 2021-11-29 2023-06-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얼굴 이미지 생성을 이용한 얼굴 비식별화 방법,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40036965A (ko) 2022-09-14 2024-03-21 박진규 소셜 미디어에서 은닉형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은닉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8330A (ko) * 2007-09-14 2009-03-18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얼굴 은폐 이미지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1456488B1 (ko) * 2008-03-12 2014-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파일의 공개 형식 설정방법 및 이를 채용한 장치
KR100976368B1 (ko) * 2008-06-23 2010-08-1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Drm방식을 통해 클라이언트가 제공하는 제한사항이포함된 컨텐츠의 지정된 수신자로의 전송시스템
KR101187742B1 (ko) * 2010-12-09 2012-10-05 주식회사 이너스커뮤니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장치 및 그 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753A (ko) 2014-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7698B1 (ko) Sns시스템 및 그의 sns정보 보호방법
KR10178859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정보보안 설정방법
US8515398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managing phone book data thereof
KR101633928B1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9911002B2 (en) Method of modifying image including photographing restricted element, and device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method
US8041390B2 (en) Mobile terminal and data uploading method thereof
EP2051488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therein
CN106155694A (zh) 一种应用与分身应用的显示方法和装置
CN106341817A (zh) 一种门禁控制系统、方法、移动终端和门禁服务器
US10785324B2 (en) Method for managing picture file and terminal, computer storage medium
CN106453056A (zh) 一种移动终端及安全分享图片的方法
CN105242483B (zh) 一种实现对焦的方法和装置、实现拍照的方法和装置
CN106230804A (zh) 图片分享方法、终端及服务器
US201401729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questing and sending audio, video, still pictures, and text from a specified location
CN105357188B (zh) 一种实现wifi连接的方法、服务器和移动终端
CN106454938A (zh) 一种信息共享方法、终端及路由器
CN106060247A (zh) 一种未读消息桌面图标的布局方法及其系统
KR10166771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폰북 사진 관리방법
KR102093332B1 (ko)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CN106559765A (zh) 一种短信加密保护功能的实现方法及装置
CN105915789A (zh) 一种记录图片制作以及制作图片的方法和装置
KR101713470B1 (ko) 컨텐츠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4831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4692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그룹 태그 활용 방법
CN106022168A (zh) 一种信息显示方法及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