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6965A - 소셜 미디어에서 은닉형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은닉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셜 미디어에서 은닉형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은닉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6965A
KR20240036965A KR1020220115661A KR20220115661A KR20240036965A KR 20240036965 A KR20240036965 A KR 20240036965A KR 1020220115661 A KR1020220115661 A KR 1020220115661A KR 20220115661 A KR20220115661 A KR 20220115661A KR 20240036965 A KR20240036965 A KR 20240036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ser
hidden
disclosure condition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5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규
맹재혁
Original Assignee
박진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규 filed Critical 박진규
Priority to KR1020220115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6965A/ko
Publication of KR20240036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696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04N21/2743Video hosting of uploaded data from cl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ioeth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페이지 안에 컨텐츠의 존재는 알 수 있지만 컨텐츠의 내용을 감춘 은닉형 컨텐츠를 게재하고 소정의 속성을 가진 유저만이 상기 은닉형 컨텐츠의 내용을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수준의 컨텐츠를 다양한 유저에게 자유롭게 노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그에 관한 소셜 미디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셜 미디어에서 은닉형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은닉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Method for providing hidden contents on social media, and Social media system for for providing hidden contents}
본 발명은 SNS와 같은 소셜 미디어에서 은닉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페이지 안에 컨텐츠의 존재는 알 수 있지만 컨텐츠의 내용을 감춘 은닉형 컨텐츠를 게재하고 소정의 속성을 가진 유저만이 상기 은닉형 컨텐츠의 내용을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수준의 컨텐츠를 다양한 유저에게 자유롭게 노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그에 관한 소셜 미디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소셜 미디어(social media)는 개방, 참여, 공유의 가치로 요약되는 소셜 네트워크의 기반 위에서 개인의 생각이나 의견, 경험, 정보 등을 서로 공유하고 타인과의 관계를 생성 또는 확장시킬 수 있는 개방화된 온라인 플랫폼을 의미한다. 소셜 미디어를 대표하는 SNS(Social Network Service)는 사람들 사이의 의사소통이나 정보공유를 목적으로 하는 커뮤니티형 웹기반의 서비스로서 최근 모바일 기기의 대중화에 따라 그 이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SNS는 오프라인에서 알고 있는 가족, 지인, 친구 등 인맥관계를 강화시키고 온라인에서 초대, 방문, 관계 설정을 통해 새로운 인맥을 구축하여 보다 많은 사람들과 정보를 공유하고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 SNS에 의하면, 유저의 전체 또는 특정 게시물(프로필, 스토리, 사진첩, 동영상, 이벤트 등 각종 컨텐츠)을 공개하는 즉, 보거나 여기에 댓글을 달 수 있도록 하는 대상을 제한하거나 제한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유저가 X, Y라는 컨텐츠를 게시하고, 컨텐츠 Y는 a라는 속성(예를 들면, 나이 20세 이상)을 가진 유저만이 볼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러면 나이 20세 이상인 유저는 컨텐츠 X, Y를 모두 볼 수 있지만, 20세 미만인 유저는 컨텐츠 X는 볼 수 있지만, Y의 존재 자체를 알 수 없거나, 존재한다는 것은 알지만 컨텐츠 Y를 볼 수 없게 된다.
이렇게 소셜 미디어 관련 종래기술에 의하면, 공개의 범위 설정에 따라 특정 속성을 가진 또는 가지지 않은 유저는 특정 컨텐츠(은닉형 컨텐츠)의 존재 자체를 알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고, 페이지에 게재된 컨텐츠 모두가 동일하게 취급된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하나의 페이지에 복수 유저의 컨텐츠를 부분적으로 은닉하면서 제공하는 것, 또는 페이지에 접속 후 조건(속성)의 충족이 이루어졌을 때 은닉된 컨텐츠를 공개하는 것 등도 종래기술에 알려진 바 없다.
공개특허 10-2013-0033504는, 한 유저에게 복수개의 계정을 두고 팔로워의 속성(여기서는 슬록 구매) 유무에 따라 다른 계정으로 팔로우잉 하도록 하는 "차별적 팔로우잉 구조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공개특허 10-2014-0035753은, SNS친구관계인 경우에는 컨텐츠 내의 정보(얼굴 또는 특정 장소)를 공개하고, SNS친구관계가 아닌 경우에는 컨텐츠 내의 정보를 비공개 처리(모자이크, 흐림처리)를 수행하는 "SNS시스템 및 그의 SNS정보 보호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에 의해 팔로워를 다양하게 관리할 수 있거나, 자신의 정보를 보호하는 장점이 있지만, 앞서 살펴본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지는 못하다.
공개특허 10-2013-0033504 공개특허 10-2014-0035753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 소셜 미디어의 한계를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특정 유저(a)가 필요에 따라 한 페이지에 다양한 특징과 계층의 유저(x) 속성에 따라 노출(공개)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은닉형 컨텐츠를 게재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다른 유저(x)가 은닉형 컨텐츠의 존재를 인지하고 소정의 속성 즉, 이를 볼 수 있는 권한을 획득하여 은닉형 컨텐츠를 볼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 유저의 속성이 저장되어 있는 서버와 복수의 유저단말을 포함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에서 특정 유저(a)가 자신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특정 유저(a)가 특정 페이지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컨텐츠를 올리는 업로드단계; 상기 특정 유저(a)가 상기 각 컨텐츠마다 공개조건을 설정하는 조건설정단계; 상기 공개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유저(x)가 상기 특정 페이지에 접속하였을 때, 상기 공개조건이 설정된 컨텐츠는 은닉된 상태로 노출되는 게시단계;를 포함하는 소셜 미디어에서 은닉형 컨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본 발명은
서버와 복수의 유저단말을 포함하는 은닉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유저단말은 컨텐츠를 게시하는 유저단말(a)와 게시된 컨텐츠를 소비하는 유저단말(x)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유저단말(a)로부터, 게시되는 컨텐츠와, 게시자와 공개조건을 포함하는 컨텐츠 메타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관리DB부; 상기 관리DB부에 저장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츠를 공개형과 은닉형으로 게시하고, 하기 조건제시부로부터의 공개조건을 해당 은닉형 컨텐츠에 표시하며, 하기 조건충족확인부로부터 하기 유저단말(x)가 공개조건을 충족한다는 정보를 전달받으면 상기 유저단말(x)에 해당 은닉형 컨텐츠를 공개 컨텐츠로 전환하는 게시부: 상기 관리DB부로부터 각 은닉형 컨텐츠 및 그의 공개조건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고, 상기 게시부 및 하기 조건충족확인부에 전달하는 조건제시부: 개별 유저에 대한 상기 개별 공개조건 충족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속성정보를 저장하는 유저DB부; 및 상기 조건제시부로부터 각 은닉형 컨텐츠 및 그의 공개조건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고, 유저단말(x)가 하나 또는 복수개의 은닉형 컨텐츠가 게시된 페이지에 접속하면 상기 유저DB부로부터 상기 유저단말(x)의 이용자가 상기 은닉형 컨텐츠의 공개조건을 충족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며, 충족으로 확인되면 상기 게시부에 그 정보를 전달하는 조건충족확인부;를 포함하는 은닉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SNS와 같은 소셜 미디어에서 특정 유저(a)가 필요에 따라 자신의 컨텐츠를 다양한 공개조건이 부가된 은닉 상태로 페이지에 게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페이지에 접속한 유저(x)는 현재로서는 볼 수 없지만 상기 공개조건을 충족하면 볼 수 있는 은닉형 컨텐츠의 존재를 인지할 수 있고, 상기 공개조건을 충족하여 은닉형 컨텐츠를 볼 수 있는 권한을 획득할 기회를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컨텐츠를 제공하는 유저(a)는 모든 잠재 소비 유저(x)에게 자신의 모든 컨텐츠의 존재를 공개할 수 있으며, 은닉형 컨텐츠에 대해서는 각각의 공개조건(즉, 은닉 해제조건)을 설정함으로써 자신의 컨텐츠를 다양한 방식으로 공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컨텐츠를 소비하는 유저(x)는 은닉형 컨텐츠가 존재함을 인지하고 필요(욕구)에 따라서 상기 공개조건에 부합하는 행위를 함으로써 다양한 컨텐츠에 대해 능동적인 접근 기회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a, 1b는 본 발명에 의한 소셜 미디어에서 은닉형 컨텐츠 제공 방법의 각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2a, 2b는 도 1a, 1b의 단계 수행 후 컨텐츠의 게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적 도면.
도 3a, 3b는 본 발명에 의한 은닉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의 예시적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본 발명은 SNS를 포함하는 소셜 미디어와 관련된 것으로서,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의 기능과 작동방식, 서버와 유저 사이의 유무선 통신 방법, 정보의 입출력, 기록, 저장 및 읽기 등은 종래 널리 알려진 공지기술을 활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들 자체에 관한 것이 아니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유저가 유저단말을 통한 소정의 행위(입력행위), 유저단말을 통해 전송된 정보에 따른 서버의 소정의 작동 등에 관한 설명이 진행될 것인데, 일일이 언급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평균적 지식인이라면 그 행위 또는 작동의 주체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유저가 서버와 통신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pc 등과 같은 단말이 필수적이며, 사전에 소셜 미디어 서비스에 가입된 유저는 인증을 통해 정당한 그 유저임을 증명한 후 상기 서버(서비스)에 접속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유저단말'은 그를 통해 유저가 인증된 단말을 의미하는데, 반드시 '특정 유저의 특정 단말'일 필요는 없다. 이하에서는 '유저단말'을 통해 '유저'가 소정의 행위를 하는 경우, 그 행위 주체를 '유저' 또는'유저단말'로 혼용해서 사용하기로 한다.
소셜 미디어에서 유저는 컨텐츠 공급자이면서 컨텐츠 소비자이다. 이하에서는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컨텐츠를 공급(게시)하는 유저를 '유저(a)' 또는 '유저단말(a)로, 컨텐츠를 소비하는(보는) 유저를 '유저(x)' 또는 '유저단말(x)'로 구분하여 표시한다. 당연히 유저(a)와 유저(x), 유저단말(a)와 유저단말(x)는 동일한 유저 또는 유저단말일 수도 있다.
전술하였듯이 본 발명은 소셜 미디어에서 은닉형 컨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발명과, 은닉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에 관한 발명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컨텐츠는 이미지, 영상, 음향 또는 텍스트일 수 있는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발명) 소셜 미디어에서 은닉형 컨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발명
본 발명은 각 유저의 속성이 저장되어 있는 서버와 복수의 유저단말을 포함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에서 특정 유저(a)가 자신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업로드단계, 조건설정단계 및 게시단계를 포함하는 은닉형 컨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도 1a 참조).
본 발명에서 상기 업로드단계는, 상기 특정 유저(a)가 특정 페이지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컨텐츠를 올리는 단계로서, 이때 컨텐츠가 서버에 업로드되지만 아직 다른 유저가 볼 수는 없는 상태로서 일종의 준비단계이다. 이때 상기 특정 페이지에는 예를 들면 페이스북의 '타임슬립'처럼 이를 소유한 유저(a) 한 명의 컨텐츠만 업로드될 수도 있지만, 서로 다른 복수 명 유저(a)의 컨텐츠가 업로드될 수도 있을 것이다. 후자의 경우 다른 유저(a)들 사이의 컨텐츠 배치, 순위, 방법 등은 서비스 운영 정책에 따라 소정의 방법으로 정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컨텐츠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특정 유저(a)의 동일한 소셜 미디어의 다른 페이지, 또는 전혀 다른 서비스의 페이지에 게시된 컨텐츠에 링크되어 있거나 그로부터 업로드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건설정단계는, 상기 특정 유저(a)가 상기 각 컨텐츠마다 공개조건을 설정하는 단계이다. 공개조건이란 게시단계에서, 공개조건이 설정되어 은닉형 컨텐츠로 노출된 것을 이용(보거나 다운로드하거나 링크를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음)할 수 있는 유저의 조건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공개조건은, 유저(x)의 소위 '프로필'에 저장된 속성 또는 접속한 유저(x)에 의한 특정 행동 수행으로서, 예를 들면 프리미엄 회원가입, 소정의 결제, 제시된 퀴즈 풀기 등이 될 수 있는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게시단계는, 상기 공개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유저(x)가 상기 특정 페이지에 접속하였을 때, 공개조건이 설정되지 않은 컨텐츠는 임의로 이용할 수 있는 공개 컨텐츠로, 상기 공개조건이 설정된 컨텐츠는 은닉된 상태의 은닉형 컨텐츠로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은닉형 컨텐츠는 컨텐츠 내의 정보를 알아보지 못하도록 처리된 상태로, 모자이크 처리, 흐림(blur) 처리된 상태이거나 상기 유저(a)가 선정한 소정의 이미지나 텍스트이거나, 음향의 일부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게시단계에서 노출되는 컨텐츠의 예를 도 2a에 도시하였다. 도면에서 위의 3개 이미지와 왼쪽 아래의 두 이미지는 공개조건이 설정되지 않은 공개 컨텐츠이고, 오른쪽 아래의 한 컨텐츠가 은닉형 컨텐츠이다. 도면에서는 은닉형 컨텐츠 위에 예시적으로 "보고 싶으면 클릭하세요!"란 표시가 되어 있지만, 직접적으로 공개조건이 표시되어 있거나, 은닉형 컨텐츠에 커서가 접근되면 이러한 소정의 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동시에 붉은 외곽 점선으로 은닉형 컨텐츠임을 표시하고 있지만 다른 다양한 표시 방식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은닉형 컨텐츠 제공 방법에 의해 특정 페이지의 컨텐츠들이 그에 접속하는 소비 유저단말(x)의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공개 컨텐츠와 은닉형 컨텐츠로 게시되고, 유저(x)는 은닉형 컨텐츠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은닉형 컨텐츠가 존재함을 확인한 유저(x)는 이를 실시간으로 이용하길 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전술한 업로드단계, 조건설정단계 및 게시단계 이후에 조건충족단계 및 전환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도 1b 참조).
상기 조건충족단계는, 접속한 유저(x)에 의한 특정 행위 즉, 은닉형 컨텐츠를 이용하겠다는 소정의 의사표시가 확인되면 상기 은닉형 컨텐츠의 공개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프로세스가 진행되는 과정이다. 상기 특정 행위는 예를 들면, 표시된 은닉형 컨텐츠를 클릭하는 행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공개조건은, 유저(x)의 소위 '프로필'에 저장된 속성 또는 접속한 유저(x)에 의한 특정 행동 수행(예를 들면 프리미엄 회원가입, 소정의 결제, 제시된 퀴즈 풀기 등)이 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공개조건이 소정의 결제라면 상기 프로세스는 통상적인 결제 과정이 될 것이다. 공개 조건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프로세스를 채택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환단계는, 상기 조건충족단계에서 공개조건이 충족된 경우 상기 은닉형 컨텐츠가 공개 컨텐츠로 변경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공개조건의 충족이란, 예를 들면 공개조건이 소정의 결제라면 통상적인 결제 과정이 성공적으로 진행된 것을 의미한다. 도 2a에 예시된 페이지에서 조건충족단계와 전환단계가 수행된 이후의 페이지 모습의 예를 도 2b에 도시하였다. 도시된 예에서는 은닉되었던 컨텐츠가 단순한 이미지이지만, 실제로는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음향 등 다양한 유형의 컨텐츠가 가능할 것이다.
(제2발명) 은닉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에 관한 발명
또 다른 본 발명은, 서버와 복수의 유저단말을 포함하는 은닉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서버는 관리DB부, 게시부, 조건제시부, 유저DB부 및 조건충족확인부를 포함하는 은닉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3a에 본 발명에 의한 소셜 미디어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였다.
혼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면과 아래 설명에서는 상기 유저단말을 컨텐츠를 게시하는 유저단말(a)와 게시된 컨텐츠를 소비하는 유저단말(x)로 구분한다. 이때 유저단말(a)와 유저단말(x)는 하나 또는 복수개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관리DB부는, 상기 유저단말(a)로부터, 게시되는 컨텐츠와, 게시자와 공개조건을 포함하는 컨텐츠 메타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구성부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컨텐츠의 유형과 존재형태, 공개조건의 의미와 설정자 등은 위 제1발명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게시부는, 상기 관리DB부에 저장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츠를 공개형과 은닉형으로 게시하고, 조건제시부로부터의 공개조건을 해당 은닉형 컨텐츠에 표시하며, 조건충족확인부로부터 유저단말(x)가 공개조건을 충족한다는 정보를 전달받으면 상기 유저단말(x)에 해당 은닉형 컨텐츠를 공개 컨텐츠로 전환한다. 즉, 게시부는 관리DB부, 유저DB부, 조건충족확인부 및 조건제시부로부터 각각 소정의 정보를 전달받아 컨텐츠를 소정의 방법으로 게시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공개조건의 충족은 제1발명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건제시부는, 상기 관리DB부로부터 각 은닉형 컨텐츠 및 그의 공개조건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고, 게시부 및 조건충족확인부에 전달하는 구성부이다. 상기 조건제시부는 관리DB부에 그 기능이 물리적으로 통합되고, 관리DB부에서 각 은닉형 컨텐츠 및 그의 공개조건에 관한 정보를 직접 게시부 및 조건충족확인부로 전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유저DB부는, 개별 유저의 소위 '프로필' 정보와, 개별 유저에 대한 상기 개별 공개조건 충족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속성정보를 저장한다. 개별 유저에 대한 상기 개별 공개조건 충족여부에 관한 정보는 조건충족확인부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한편, 특정 유저단말(a)에 의한 은닉형 컨텐츠의 공개조건 충족 여부를 모든 소비 유저(x)에 대해 확인하고 일일이 저장하는 것은 매우 자원 소모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유저DB부의 개별 공개조건 충족여부에 관한 정보 중 소위 '프로필'에 관한 것이 아닌 일부 정보는 유저단말(x)가 은닉형 컨텐츠가 있는 페이지에 접속하였을 때 생성되어 상기 유저(x)의 속성정보에 저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페이지에 접속하지 않은 다른 유저들에 대해서는 불필요한 공개조건 충족 여부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낭비를 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건충족확인부는, 상기 조건제시부로부터 각 은닉형 컨텐츠 및 그의 공개조건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고, 유저단말(x)가 하나 또는 복수개의 은닉형 컨텐츠가 게시된 페이지에 접속하면 상기 유저DB부로부터 상기 유저단말(x)의 이용자가 상기 은닉형 컨텐츠의 공개조건을 충족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며, 충족으로 확인되면 상기 게시부에 그 정보를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조건충족확인부는 유저DB부와 조건제시부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계산하여 게시부에 전달하며, 상기 게시부가 그에 따라 공개 컨텐츠와 은닉형 컨텐츠로 구분하여 게시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은닉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에 의해 특정 페이지의 컨텐츠들이 그에 접속하는 소비 유저단말(x)의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공개 컨텐츠와 은닉형 컨텐츠로 게시되고, 유저(x)는 은닉형 컨텐츠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은닉형 컨텐츠가 존재함을 확인한 유저(x)는 이를 실시간으로 이용하길 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상기 서버는 전술한 관리DB부, 게시부, 조건제시부, 유저DB부 및 조건충족확인부 이외에 전환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3b에 추가된 전환부와 다른 구성부들과의 관계를 표시한 본 발명의 예시적 구성도를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환부는, 특정 은닉형 컨텐츠의 공개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상기 유저단말(x)의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은닉형 컨텐츠의 공개조건 충족을 위한 프로세스를 제시하고, 상기 유저단말(x)의 이용자가 상기 프로세스를 성공적으로 진행하면 상기 유저DB부에 상기 유저단말(x)의 이용자가 상기 공개조건을 충족하였다는 정보를 전달하는 구성요소이다.
공개조건, 공개조건의 충족을 위한 프로세스 등에 관한 것은 위 제1발명에서의 그것과 동일할 수 있다.

Claims (7)

  1. 각 유저의 속성이 저장되어 있는 서버와 복수의 유저단말을 포함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에서 특정 유저(a)가 자신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특정 유저(a)가 특정 페이지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컨텐츠를 올리는 업로드단계;
    상기 특정 유저(a)가 상기 각 컨텐츠마다 공개조건을 설정하는 조건설정단계;
    상기 공개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유저(x)가 상기 특정 페이지에 접속하였을 때, 상기 공개조건이 설정된 컨텐츠는 은닉된 상태의 은닉형 컨텐츠로 노출되도록 하는 게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미디어에서 은닉형 컨텐츠 제공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접속한 유저(x)에 의한 특정 행위에 따라 상기 은닉형 컨텐츠의 공개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프로세스가 진행되는 조건충족단계; 및
    상기 조건충족단계에서 공개조건이 충족된 경우 상기 은닉형 컨텐츠가 공개 컨텐츠로 변경되는 전환단계;를
    추가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미디어에서 은닉형 컨텐츠 제공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개조건은,
    유저(x)의 속성 또는 접속한 유저(x)에 의한 특정 행동 수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미디어에서 은닉형 컨텐츠 제공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개조건은,
    은닉형 컨텐츠 위에 표시되거나, 은닉형 컨텐츠에 커서 접근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미디어에서 은닉형 컨텐츠 제공 방법.
  5. 서버와 복수의 유저단말을 포함하는 은닉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서버는,
    상기 유저단말(a)로부터, 게시되는 컨텐츠와, 게시자와 공개조건을 포함하는 컨텐츠 메타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관리DB부;
    상기 관리DB부에 저장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츠를 공개형과 은닉형으로 게시하고, 하기 조건제시부로부터의 공개조건을 해당 은닉형 컨텐츠에 표시하며, 하기 조건충족확인부로부터 하기 유저단말(x)가 공개조건을 충족한다는 정보를 전달받으면 상기 유저단말(x)에 해당 은닉형 컨텐츠를 공개 컨텐츠로 전환하는 게시부:
    상기 관리DB부로부터 각 은닉형 컨텐츠 및 그의 공개조건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고, 상기 게시부 및 하기 조건충족확인부에 전달하는 조건제시부:
    개별 유저에 대한 상기 개별 공개조건 충족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속성정보를 저장하는 유저DB부; 및
    상기 조건제시부로부터 각 은닉형 컨텐츠 및 그의 공개조건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고, 유저단말(x)가 하나 또는 복수개의 은닉형 컨텐츠가 게시된 페이지에 접속하면 상기 유저DB부로부터 상기 유저단말(x)의 이용자가 상기 은닉형 컨텐츠의 공개조건을 충족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며, 충족으로 확인되면 상기 게시부에 그 정보를 전달하는 조건충족확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닉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유저DB부의 개별 공개조건 충족여부에 관한 정보는 유저단말(x)가 은닉형 컨텐츠가 있는 페이지에 접속하였을 때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닉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특정 은닉형 컨텐츠의 공개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상기 유저단말(x)의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은닉형 컨텐츠의 공개조건을 충족을 위한 프로세스를 제시하고, 상기 유저단말(x)의 이용자가 상기 프로세스를 성공적으로 진행하면 상기 유저DB부에 상기 유저단말(x)의 이용자가 상기 공개조건을 충족하였다는 정보를 전달하는 전환부;를
    추가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닉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
KR1020220115661A 2022-09-14 2022-09-14 소셜 미디어에서 은닉형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은닉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 KR202400369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661A KR20240036965A (ko) 2022-09-14 2022-09-14 소셜 미디어에서 은닉형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은닉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661A KR20240036965A (ko) 2022-09-14 2022-09-14 소셜 미디어에서 은닉형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은닉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6965A true KR20240036965A (ko) 2024-03-21

Family

ID=90472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5661A KR20240036965A (ko) 2022-09-14 2022-09-14 소셜 미디어에서 은닉형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은닉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셜 미디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696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3504A (ko) 2011-09-07 2013-04-04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차별적 팔로우잉 구조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KR20140035753A (ko) 2012-09-14 2014-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Sns시스템 및 그의 sns정보 보호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3504A (ko) 2011-09-07 2013-04-04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차별적 팔로우잉 구조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KR20140035753A (ko) 2012-09-14 2014-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Sns시스템 및 그의 sns정보 보호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an “Becoming an expert in driving for Uber”: Uber driver/bloggers’ performance of expertise and self-presentation on YouTube
Duguay et al. Queer women’s experiences of patchwork platform governance on Tinder, Instagram, and Vine
Lambert Intimacy and social capital on Facebook: Beyond the psychological perspective
US7930731B2 (en) Methods, systems and program products for creation of multiple views and optimized communications pathways based on personal descriptors
US9286642B2 (en) Content access management in a social networking system for externally stored content
De Ridder Social media and young people’s sexualities: Values, norms, and battlegrounds
KR101357140B1 (ko) 인터넷 동호회에서 회원의 활동성에 따라 자동으로 회원등급을 조정하는 시스템,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US20130159123A1 (en) Content access management in a social networking system for locally stored content
Zhao et al. Appealing to the heart: How social media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affect users' liking behavior during the Manchester terrorist attack
Renser et al. Witches on Facebook: mediatization of neo-paganism
Venkatesh Social media, digital self, and privacy: a socio-analytical perspective of the consumer as the digital avatar
Hamilton et al. Risk, resilience and reward: Impacts of shifting to digital sex work
Wu et al. Prosumers in a digital multiverse: An investigation of how WeChat is affecting Chinese citizen journalism
CN115883500A (zh) 将社交网络服务相关活动信息提供至聊天室的方法及服务器
Dookhoo How Millennials engage in social media activism: A uses and gratifications approach
Baulch et al. Memetic persuasion and WhatsAppification in Indonesia’s 2019 presidential election
Usher The celebrified columnist and opinion spectacle: Journalism’s changing place in networked public spheres
Cardullo Hacking multitude’and Big Data: Some insights from the Turkish ‘digital coup
Mintz Government 2.0-fact or fiction?
Lampe Gamification and social media
KR101346288B1 (ko) 네트워크 서비스에서의 사용자 영향력 지수 설정 방법 및 그 장치
KR102275291B1 (ko) 미디어 플랫폼을 이용한 ai 매칭 시스템 및 그 방법
Nguyen et al. 19 Mapping the Citizen News Landscape: Blurring Boundaries, Promises, Perils, and Beyond
US201402973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selection of dating partners in online dating environments
Jukes How social media and technology are challenging journalists’ perceptions of their ro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