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6488B1 - 이미지 파일의 공개 형식 설정방법 및 이를 채용한 장치 - Google Patents

이미지 파일의 공개 형식 설정방법 및 이를 채용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6488B1
KR101456488B1 KR1020080022997A KR20080022997A KR101456488B1 KR 101456488 B1 KR101456488 B1 KR 101456488B1 KR 1020080022997 A KR1020080022997 A KR 1020080022997A KR 20080022997 A KR20080022997 A KR 20080022997A KR 101456488 B1 KR101456488 B1 KR 101456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ile
person
format
public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2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7691A (ko
Inventor
고지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2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6488B1/ko
Publication of KR20090097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7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06F16/5854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using shape and object relationshi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1Detection; Localisation; Normal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 상에서 이미지 파일을 타인에게 공개하기 위하여 이미지 파일의 공개 형식을 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업로드 되는 이미지 파일에 대하여 얼굴 인식을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인식한 얼굴에 해당하는 인물을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추출한 인물이 등록된 그룹을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판단한 그룹에 해당하는 공개 형식을 초기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의 공개 형식 설정방법을 제공하여 업로드 된 이미지 파일이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사람에게 실수로 공개되지 않도록 한다.
이미지 파일, 공개

Description

이미지 파일의 공개 형식 설정방법 및 이를 채용한 장치{Method of setting the publication of image file and the apparatus adopt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인터넷 상에 업로드 한 이미지 파일을 일반인에게 공개하는 장치에서 이미지 파일의 공개 형식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등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발달로 많은 사람들이 자신이 원하는 사진이나 동영상을 쉽게 촬영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인터넷의 발달로 인하여 자신이 촬영한 사진이나 동영상 등의 이미지 파일을 인터넷 사이트 등에 업로드 하고 다른 사람과 같이 업로드 된 사진 등을 감상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함께, 기업체에서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사람들이 사진이나 동영상의 이미지 파일을 업로드 할 수 있도록 서버를 구입하여 블로그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한편,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는 업로드 하는 이미지 파일의 사진이 개인 또는 가까운 지인과 공유하고 싶은 모습으로 타인에게 공개되는 것을 꺼리는 경우도 많다. 이런 경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측에서는 '비공개', '일촌공개' 등의 다양한 공개 형식을 제공하고, 상기 공개 형식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설정할 수 있 는 설정메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그룹에게만 업로드 된 이미지 파일의 사진을 공개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언급한 설정메뉴는 항상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설정값으로 변경하여야 한다. 즉, 사진을 공개하고 싶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사진을 업로드 하면서 '비공개'로 사진의 공개 형식을 설정하여야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업로드 된 이미지 파일에 해당하는 사진을 공개하는 공개 형식은 사용자가 설정값을 변경하기 이전에는 '전체공개' 등으로 초기값이 정하여져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공개 형식을 변경하는 것을 잊어버리고 이미지 파일을 업로드 하는 경우, 특정 그룹에 포함된 사람들에게만 공개하고 싶었던 사진임에도 불구하고 모든 사람들이 볼 수 있게 되어버린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설정 없이도 업로드 된 이미지 파일의 공개 형식의 초기값을 변경할 수 있는 이미지 파일의 공개 형식 설정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측면은 a) 업로드 되는 이미지 파일에 대하여 얼굴 인식을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인식한 얼굴에 해당하는 인물을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추출한 인물이 등록된 그룹을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판단한 그룹에 해당하는 공개 형식을 초기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의 공개 형식 설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한 인물이 복수의 인물을 포함하는 제1그룹으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d)단계에서 상기 제1그룹에 포함된 인물들에게 상기 이미지 파일을 공개하도록 공개 형식의 초기값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한 인물이 상기 추출한 인물만을 포함하는 제2그룹으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d)단계에서 상기 이미지 파일을 공개하지 않도록 공개 형식의 초기값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한 인물이 복수의 인물을 포함하는 제1그룹 및 상기 추출한 인물만을 포함하는 제2그룹으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d)단계에서 상기 추출한 인물에게 상기 이미지 파일을 공개하도록 공개 형식의 초기값 을 설정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파일에 복수의 얼굴이 포함된 경우, 상기 a)단계 및 b)단계를 상기 복수의 얼굴에 대하여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한 인물들이 등록된 그룹이 서로 다른 경우, 상기 d)단계는 상기 c)단계에서 판단한 그룹에 해당하는 공개 형식들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한 공개 형식들 중 우선 순위가 높은 공개 형식으로 공개 형식의 초기값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의 이미지 파일이 업로드 되는 경우, 상기 a)단계 및 b)단계를 상기 복수의 이미지 파일에 대하여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한 인물들이 등록된 그룹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d)단계는 공개 형식이 동일한 이미지 파일들을 분리하여 공개 형식의 초기값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미지 파일에 인물의 얼굴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d)단계에서 모든 사람에게 상기 이미지 파일을 공개하도록 공개 형식의 초기값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측면은 사용자로부터 업로드 되는 이미지 파일을 다양한 형식으로 타인에게 공개하는 이미지 파일의 공개 형식 설정장치에 있어서, 업로드 되는 이미지 파일에 대하여 얼굴 인식을 수행하는 얼굴 인식부, 사용자에 의하여 그룹으로 등록된 인물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상기 인식한 인물과 동일한 인물을 추출하는 인 물 추출부 및 상기 추출한 인물이 등록된 그룹에 따라서 상기 이미지 파일의 공개 형식의 초기값을 설정하는 공개 형식 설정부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의 공개 형식 설정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하여 업로드 된 이미지 파일에 대하여 얼굴 인식을 수행하고, 상기 얼굴 인식에 의하여 인식된 인물에 따라서 공개 형식의 초기값을 변경하여 설정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공개 형식을 선택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자가 공개하기를 원하지 않는 사진이 실수로 공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하나의 이미지 파일에 복수의 인물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인물 중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공개 형식을 가지는 인물의 공개 형식으로 초기값을 설정하여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인물에게 이미지 파일이 공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복수의 이미지 파일을 동시에 업로드 하는 경우에도, 설정되는 공개 형식의 초기값을 분석하여, 동일한 공개 형식을 가지는 이미지 파일들을 분류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공개 형식을 이미지 파일마다 일일이 변경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파일의 공개 형식 설정장치(100) 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살펴보면, 상기 장치(100)는 제어부(110), 통신부(120), 저장부(130), 얼굴 인식부(140), 데이터베이스부(150), 인물 추출부(160) 및 공개 형식 설정부(170)를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파일의 공개 형식 설정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통신부(120)는 외부 단말기로부터 사진, 동영상 등의 이미지 파일 데이터를 전송받는다. 또한 상기 외부 단말기에 인터넷 사이트의 홈페이지 등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데이터 패킷 등을 전송한다. 상기 통신부(12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장치의 각 부분에서 발생한 제어신호 등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임시 저장매체, 사용자에 의하여 업로드 된 이미지 파일이나 상기 장치의 기능을 수행하는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는 장기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임시 저장매체로 RAM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장기 저장매체로는 하드 디스크, EEPROM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얼굴 인식부(140)는 업로드 되는 이미지 파일을 분석하여 상기 이미지 파일의 사진 또는 동영상 내에 인물의 얼굴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인물에 대하여 얼굴 인식을 수행한다. 얼굴 인식부(140)는 얼굴 인식을 수행하여 얼굴이 인식된 인물에 대한 얼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얼굴 인식은 기존에 공개된 얼굴 인식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데이터베이스부(150)는 상기 장치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별로 각종 데이터를 정리하여 저장한다. 각 사용자가 '친구', '일촌' 등의 특정 그룹으로 등록한 인물들, 상기 인물들의 이름, 연락처 등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인물 추출부(160)는 상기 얼굴 인식부(140)에서 이미지 파일에 포함되어 있는 인물의 얼굴을 인식한 경우, 상기 인식한 인물과 동일한 인물을 데이터베이스부(150)에서 추출한다. 상기 인물 추출시에는 얼굴이 인식된 인물이 등록되어 있는 그룹에 대한 정보가 같이 포함될 것이다.
공개 형식 설정부(170)는 상기 추출한 인물이 등록된 그룹을 판단하고, 상기 등록된 그룹에 따라서 업로드 된 이미지 파일의 공개 형식의 초기값을 설정한다.
상기 각 부분은 데이터버스(180)에 의하여 제어신호, 데이터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이미지 파일의 공개 형식 설정장치는 서버 등일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5(b)에서 상기 도 1에 따른 장치에서 업로드 된 이미지 파일의 공개 형식을 설정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하여 이미지 파일이 업로드 되면(210단계), 업로드 된 이미지 파일에 대하여 얼굴 인식을 수행한다(211단계).
업로드 된 이미지 파일의 사진에 인물이 포함되어 있어서 얼굴이 인식되는지 판단하고(212단계), 얼굴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에는 업로드 된 이미지 파일을 '공개'로 공개 형식의 초기값을 설정한다(243단계).
얼굴 인식을 수행하여 얼굴이 인식된 경우에는 상기 인식된 얼굴에 해당하는 인물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다(220단계). 얼굴 인식을 수행하여 얼굴이 인식된 경우에는 상기 인식된 얼굴의 인물에 대하여 얼굴 정보가 생성될 것이며, 상기 생성된 얼굴 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인물의 얼굴 정보를 비교하는 것에 의하여 얼굴이 인식된 인물의 정보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도 3을 살펴보면 3명의 인물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다. A, B, C 세 명이 저장되어 있으며, 각 인물마다 얼굴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등록일, 등록된 그룹, '프라이버시'그룹 등록 여부 등이 저장되어 있다. 도 3에서 표시한 데이터베이스 내용은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등록된 인물들의 연락처 등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3에서는 그룹명으로 '친구'라는 그룹만이 존재하나 그 외에도 '가족', '직장' 등 복수의 그룹을 갖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인물의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인식된 얼굴에 해당하는 인물이 존재하는지 판단하여(221단계), 인식한 얼굴에 해당하는 인물이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하여 특정 그룹으로 등록된 인물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업로드 된 이미지 파일을 '공개'로 공개 형식의 초기값을 설정한다(243단계).
반면에 인식한 얼굴에 해당하는 인물이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면, 인물의 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추출한 인물의 정보에서 상기 인물이 등록되어 있는 그룹에 대하여 판단한다. 인식한 얼굴에 해당하는 인물이 '친구'라는 그룹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와 '프라이버시'라는 그룹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230단계, 231단계 및 232단계).
'친구' 및 '프라이버시'라고 언급한 그룹의 명칭은 예시적인 것으로 상기 명칭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그룹' 및 '제2그룹' 등으로 지칭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친구'라는 그룹은 이미지 파일을 업로드 한 사용자와 가까운 사이의 인물들로 사용자가 다른 지인과는 별도로 관리하기 위하여 분류한 그룹을 의미한다. 상기 '친구'라는 그룹에는 복수의 인물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아리 멤버들, 가족 또는 회사 동료 등 어떤 모임의 구성원들에 대하여 '친구' 또는 '회사' 등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라이버시'라는 그룹은 이미지 파일을 업로드 한 사용자가 특별히 지정한 인물이다. 즉, 사용자는 자신과 특별한 관계를 가지는 인물을 상기 '프라이버시'라는 그룹에 등록하게 될 것이다. 예를 들면, 연인관계에 해당하는 경우, 사용자가 자신의 연인을 '프라이버시'로 등록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버시'라는 그룹으로 등록된 인물이 둘 이상 있는 경우에도 상기 인물들은 동일한 그룹으로 분류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인물들이 별도의 그룹으로 분류되는 것을 의미한다. 하나의 '프라이버시' 그룹에는 한 명의 인물만이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판단에 의하여 인식한 얼굴에 해당하는 인물이 '친구' 그룹 및 '프라이버시' 그룹에 모두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A(추출된 인물)에게 공개'라는 형식으로 공개 형식 초기값을 설정한다(240단계).
상기 판단에 의하여 인식한 얼굴에 해당하는 인물이 '친구' 그룹에만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친구에게 공개'라는 형식으로 공개 형식 초기값을 설정한다(241 단계). 즉, '친구'라는 그룹에 등록된 복수의 인물들 모두에게 공개된다.
또한 상기 판단에 의하여 인식한 얼굴에 해당하는 인물이 '프라이버시' 그룹에만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비공개'로 공개 형식 초기값을 설정한다(242단계).
한편, 어느 그룹에도 등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공개'로 공개 형식 초기값을 설정한다(243단계).
업로드 된 이미지 파일에 포함되어 있는 인물이 등록된 그룹을 판단하여 공개 형식 초기값이 설정되면, 상기 설정된 내용을 UI를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250단계). 즉, 이미지 파일을 업로드 할 것인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확인하는 활성화 창에 상기 설정된 공개 형식을 초기값으로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도 4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상기 언급한 이미지 파일의 공개 형식 초기값을 설정하는 방법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는 사용자에 의하여 업로드 되는 사진의 예이다. 도 4의 (a) 내지 (d)(401 내지 404)는 각각 인물 A, C, D 및 풍경사진이다. 인물 A는 '친구'라는 그룹에 등록되어 있으며, 인물 C는 '친구' 및 '프라이버시' 그룹으로 등록되어 있다(도 3 참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도 4의 (a) 내지 (d)(401 내지 404)의 사진이 각각 업로드 되면, 상기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사진에 대하여 얼굴 인식을 수행하여 어떤 공개 형식으로 사진을 공개할 것인지를 판단한다.
인물 A가 촬영된 사진(401)의 경우, 상기 인물 A가 '친구' 그룹에 등록되어 있으므로 '친구에게 공개'라는 공개 형식으로 초기값이 설정된다. 도 5(a)를 살펴보면 공개 형식의 설정을 확정하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는 활성화 창이 다. 도 5(a)에 나타낸 UI에는 업로드 되는 사진의 이미지 파일의 파일명, 상기 파일의 크기, 공개 형식 설정창, 이미지 파일의 업로드를 확정하기 위한 창 등이 포함되어 있다.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는 활성화 창에서 도 5(a)의 경우 인물 A가 촬영된 사진(401)이 업로드 되었으므로 '친구에게 공개'라는 항목에 체크 표시가 되어 있다. 사용자는 '공개' 항목에 체크 표시를 하여 모든 사람에게 사진을 공개할 수 있다. 또는 '친구에게 공개'라고 체크되어 있는 항목을 한번 더 체크하여 사진을 아무도 볼 수 없도록 '비공개'로 설정할 수도 있다.
반면에 인물 C가 촬영된 사진(402)은 '인물 C에게만 공개'라는 공개 형식으로 초기값이 설정된다. 도 5(b)에서 나타낸 활성화 창의 UI는 도 5(a)에서 나타낸 것과 거의 유사하다. 다만 도 5(b)의 경우 인물 C가 촬영된 사진이 업로드 되었으므로 공개 형식 설정창에서 '인물 C에게만 공개'라는 항목에 체크 표시가 되어 있다.
인물 D가 촬영된 사진(403)이나 풍경사진(404)은 모두에게 공개하도록 공개 형식의 초기값이 설정될 것이므로, 도 5(a) 또는 도 5(b)와 같은 창에서 '공개' 항목에 체크 표시가 되어 디스플레이될 것이다.
한편, 도 5(b)에서 '인물 C에게만 공개'로 공개 형식이 설정되는 경우라도 사용자가 임의로 다른 인물들에게 사진을 공개하고 싶은 경우에는 별도의 조작으로 업로드 한 이미지 파일을 다른 인물에게 공개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도 5(b)에서는 '친구 선택'이라고 표시한 항목을 선택하여 이러한 기능을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하여 업로드 된 이미지 파일에 대하여 얼굴 인식을 수행하고, 상기 얼굴 인식에 의하여 인식된 인물에 따라서 공개 형식의 초기값을 변경하여 설정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공개 형식을 선택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사용자가 공개하기를 원하지 않는 사진에 대하여 공개 형식을 선택할 필요가 없이 공개 형식 초기값을 적절한 값으로 설정함으로 인하여 실수로 사진이 공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는 도 6 내지 도 8에서 상기 도 1에 따른 장치에서 업로드 된 이미지 파일의 공개 형식을 설정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사진에 복수의 인물이 촬영된 경우에 이미지 파일의 공개 형식 초기값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일단 사용자에 의하여 이미지 파일이 업로드 되면(610단계), 업로드 된 이미지 파일에 대하여 얼굴 인식을 수행한다(611단계). 도 7에서 도시하였듯이, 본 실시예에서는 이미지 파일에 포함되어 있는 인물이 A 와 C이다. 따라서 상기 611단계는 얼굴 인식 알고리즘에 의하여 이미지 파일에 포함되어 모든 인물에 대하여 얼굴 인식을 수행한다.
모든 인물에 대하여 얼굴 인식을 마치면 인식한 모든 얼굴에 해당하는 인물들의 인물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다(620단계). 얼굴 인식 및 인물 정보의 추출은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물의 정보를 모두 추출하면 각 인물이 등록된 그룹을 판단한다(621단계). 상기 판단에 의하여 모든 인물들에 대하여 등록된 그룹에 따른 공개 형식을 분석하 고(622단계), 모든 공개 형식들 중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공개 형식으로 공개 형식의 초기값을 설정한다(630단계).
아래 표 1은 인물이 등록된 그룹에 따른 공개 형식의 우선순위를 나타낸 표이다. 아래 표 1은 예시적인 것으로, 사용자 또는 서버를 운영하는 측에서 우선순위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제1인물 제2인물 공개 형식
친구
x 친구에게 공개
친구 친구에게 공개
프라이버시

x 비공개
친구 비공개
프라이버시 비공개
친구, 프라이버시

x 제1인물에게만 공개
친구 제1인물에게만 공개
프라이버시 비공개
친구, 프라이버시 비공개
도 7의 사진의 경우 이미지 파일에 인물 A 및 C가 포함되어 있으며, 도 3의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할 때 인물 A는 그룹 '친구'에 등록되어 있고, 인물 C는 그룹 '친구' 및 '프라이버시'에 등록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표 1을 참조할 때 공개 형식은 '인물 C에게만 공개'로 초기값이 설정될 것이다.
공개 형식의 초기값 설정을 완료하면 설정된 내용을 후술할 도 8에서와 같은 UI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631단계).
도 8은 도 7에서 나타낸 사진의 이미지 파일을 업로드 한 경우, 도 6에서 설명한 공개 형식의 설정방법에 의하여 공개 형식의 초기값을 설정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살펴보면, 도 5(b)와 마찬가지로 업로드 되는 사진의 이미지 파일의 파일명, 상기 파일의 크기, 공개 형식 설정창, 이미지 파일의 업로드를 확정하기 위한 창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공개 형식 설정창에서는 인물 C에 해당하는 공개 형식의 우선순위가 높으므로 'C에게만 공개'라는 공개 형식으로 초기값이 설정된다. 한편, 하나의 이미지 파일에 인물 A 및 C가 동시에 포함된 경우이므로, 인물 A에게도 업로드 한 이미지 파일을 공개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활성화 창을 추가로 생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하여 업로드 된 이미지 파일에 대하여 얼굴 인식을 수행하여 공개 형식의 초기값을 사용자가 원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이미지 파일에 복수의 인물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인물 중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공개 형식을 가지는 인물의 공개 형식으로 초기값을 설정하여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인물에게 이미지 파일이 공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는 도 9 및 도 10에서 상기 도 1에 따른 장치에서 업로드 된 이미지 파일의 공개 형식을 설정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한번에 복수의 이미지 파일들을 업로드 하는 경우에 이미지 파일들의 공개 형식 초기값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사용자에 의하여 복수의 이미지 파일들이 업로드 되면(910단계), 각 이미지 파일별로 공개 형식의 초기값을 설정한다(920단계). 상기 공개 형식의 초기값을 설정하는 과정은 도 2에서 설명한 방법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모든 이미지 파일들에 대하여 공개 형식의 초기값이 설정되면, 상기 설정된 초기값들을 분석하고(930단계), 상기 분석의 결과에 따라서 동일한 공개 형식의 초기값으로 설정된 이미지 파일들을 하나의 그룹으로하여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한다(931단계).
동일한 공개 형식의 초기값으로 설정된 이미지 파일들을 모두 분류한 후에는 분류된 그룹별로 설정된 내용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932단계).
도 10을 살펴보면,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3장의 사진에 대한 이미지 파일을 업로드 하였다. 상기 3장의 사진은 인물 A 혼자 찍은 사진, 인물 A와 B가 같이 찍은 사진 및 인물 C 혼자 찍은 사진이다. 도 3의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면, 인물 A 와 B는 그룹 '친구'에만 등록되어 있으며, 이러한 경우 인물 A와 B가 찍은 사진 및 인물 A 혼자 찍은 사진은 '친구에게 공개'로 이미지 파일의 공개 형식의 초기값이 설정될 것이다. 반면에 인물 C는 그룹으로 '친구' 및 '프라이버시'에 등록되어 있으므로 '인물 C에게만 공개'로 이미지 파일의 공개 형식의 초기값이 설정될 것이다. 따라서 인물 A 혼자 찍은 사진, 인물 A와 B가 같이 찍은 사진을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이미지 파일의 공개 형식을 설정하는 창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창의 다른 한편에는 인물 C가 혼자 찍은 사진을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이미지 파일의 공개 형식을 설정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한편, 사용자가 인물 C가 혼자 찍은 사진도 '친구에게 공개'로 공개 형식의 설정을 변경하고 싶은 경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사진을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공개 형식을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복수의 이미지 파일을 동시에 업로드 하는 경우에도, 설정되는 공개 형식의 초기값을 분석하여, 동일한 공개 형식을 가지는 이미지 파일들을 분류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공개 형식을 이미지 파일마다 일일이 변경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파일의 공개 형식 설정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파일의 공개 형식 설정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이미지 파일의 공개 형식 설정장치에서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인물정보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4는 사용자에 의하여 업로드 되는 이미지 파일들의 예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2의 실시예에 의하여 공개 형식의 초기값이 설정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파일의 공개 형식 설정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사용자에 의하여 업로드 되는 이미지 파일의 다른 예이다.
도 8은 도 6의 실시예에 의하여 공개 형식의 초기값을 설정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파일의 공개 형식 설정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실시예에 의하여 공개 형식의 초기값을 설정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10)

  1. a) 업로드 되는 이미지 파일에 대하여 얼굴 인식을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인식한 얼굴에 해당하는 인물을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추출한 인물이 등록된 그룹을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이미지 파일에 대한 공개 형식의 초기값을 상기 판단한 그룹에 해당하는 공개 형식으로 자동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의 공개 형식 설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한 인물이 복수의 인물을 포함하는 제1그룹으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d)단계에서 상기 제1그룹에 포함된 인물들에게 상기 이미지 파일을 공개하도록 공개 형식의 초기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파일의 공개 형식 설정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한 인물이 상기 추출한 인물만을 포함하는 제2그룹으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d)단계에서 상기 이미지 파일을 공개하지 않도록 공개 형식의 초기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파일의 공개 형식 설정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한 인물이 복수의 인물을 포함하는 제1그룹 및 상 기 추출한 인물만을 포함하는 제2그룹으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d)단계에서 상기 추출한 인물에게 상기 이미지 파일을 공개하도록 공개 형식의 초기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파일의 공개 형식 설정방법.
  5. 제2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파일에 복수의 얼굴이 포함된 경우,
    상기 a)단계 및 b)단계를 상기 복수의 얼굴에 대하여 모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파일의 공개 형식 설정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추출한 인물들이 등록된 그룹이 서로 다른 경우,
    상기 d)단계는 상기 c)단계에서 판단한 그룹에 해당하는 공개 형식들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한 공개 형식들 중 우선 순위가 높은 공개 형식으로 공개 형식의 초기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파일의 공개 형식 설정방법.
  7. 제2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이미지 파일이 업로드 되는 경우,
    상기 a)단계 및 b)단계를 상기 복수의 이미지 파일에 대하여 모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파일의 공개 형식 설정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추출한 인물들이 등록된 그룹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d)단계는 공개 형식이 동일한 이미지 파일들을 분리하여 공개 형식의 초기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파일의 공개 형식 설정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이미지 파일에 인물의 얼굴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d)단계에서 모든 사람에게 상기 이미지 파일을 공개하도록 공개 형식의 초기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파일의 공개 형식 설정방법.
  10. 이미지 파일의 공개 형식 설정장치에 있어서,
    업로드 되는 이미지 파일에 대하여 얼굴 인식을 수행하는 얼굴 인식부;
    상기 인식한 얼굴에 해당하는 인물을 추출하는 인물 추출부; 및
    상기 이미지 파일에 대한 공개 형식의 초기값을 상기 추출한 인물이 등록된 그룹에 해당하는 공개 형식으로 자동 설정하는 공개 형식 설정부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의 공개 형식 설정장치.
KR1020080022997A 2008-03-12 2008-03-12 이미지 파일의 공개 형식 설정방법 및 이를 채용한 장치 KR101456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997A KR101456488B1 (ko) 2008-03-12 2008-03-12 이미지 파일의 공개 형식 설정방법 및 이를 채용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997A KR101456488B1 (ko) 2008-03-12 2008-03-12 이미지 파일의 공개 형식 설정방법 및 이를 채용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7691A KR20090097691A (ko) 2009-09-16
KR101456488B1 true KR101456488B1 (ko) 2014-10-31

Family

ID=41357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2997A KR101456488B1 (ko) 2008-03-12 2008-03-12 이미지 파일의 공개 형식 설정방법 및 이를 채용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64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44143B2 (en) * 2011-04-01 2014-06-03 Yahoo! Inc. Adding privacy protection to photo uploading/ tagging in social networks
KR101917698B1 (ko) * 2012-09-14 2018-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Sns시스템 및 그의 sns정보 보호방법
WO2015041641A1 (en) * 2013-09-18 2015-03-26 Intel Corporation Automated image cropping and shar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3870A (ko) * 2003-05-09 2003-06-02 홍준호 포토 커뮤니티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JP2006510113A (ja) 2002-12-12 2006-03-23 イーストマン コダック カンパニー 人物及び性別プロファイルに基づいてカスタマイズされたフォトアルバムページ及びプリントを生成する方法
KR20060026924A (ko) * 2006-02-14 2006-03-24 (주)올라웍스 디지털 데이터에 대한 태깅 방법 및 시스템
JP2007249394A (ja) * 2006-03-14 2007-09-27 Nippon Hoso Kyokai <Nhk> 顔画像認識装置及び顔画像認識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0113A (ja) 2002-12-12 2006-03-23 イーストマン コダック カンパニー 人物及び性別プロファイルに基づいてカスタマイズされたフォトアルバムページ及びプリントを生成する方法
KR20030043870A (ko) * 2003-05-09 2003-06-02 홍준호 포토 커뮤니티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20060026924A (ko) * 2006-02-14 2006-03-24 (주)올라웍스 디지털 데이터에 대한 태깅 방법 및 시스템
JP2007249394A (ja) * 2006-03-14 2007-09-27 Nippon Hoso Kyokai <Nhk> 顔画像認識装置及び顔画像認識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7691A (ko) 2009-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108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an animation to confirm designation of an image for sharing
US1078327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ple photo feed stories
JP6323465B2 (ja) アルバム作成プログラム、アルバム作成方法およびアルバム作成装置
JP7111632B2 (ja) 画像候補決定装置,画像候補決定方法,ならびに画像候補決定装置を制御する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
US9521211B2 (en) Content processing device, content processing metho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integrated circuit
JP6209962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AU201330599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ple photo feed stories
JP5477017B2 (ja) 電子機器、コンテンツ送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667069B2 (ja) コンテンツ管理装置、コンテンツ管理方法、コンテンツ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集積回路
JP6702900B2 (ja) 情報処理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26219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which determine an intimacy between a person in an image and a photographer of the image
US20200142555A1 (en) Electronic album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same
JP5348682B2 (ja) 画像管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63977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JP5178392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2010057073A (ja) アルバム作成装置及びアルバム作成プログラム
JP592411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19069606A1 (ja) 画像候補決定装置,画像候補決定方法,ならびに画像候補決定装置を制御する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
KR101456488B1 (ko) 이미지 파일의 공개 형식 설정방법 및 이를 채용한 장치
JP5532180B1 (ja)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8055534A (ja) 画像抽出システム,画像抽出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US10783355B2 (en) Image processing system, image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6700806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制御方法
WO2018034002A1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制御装置、画像表示制御プログラム、及び画像表示制御方法
KR20140127584A (ko) 비밀 사진 잠금 애플리케이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