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7657B1 -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7657B1
KR101917657B1 KR1020170041526A KR20170041526A KR101917657B1 KR 101917657 B1 KR101917657 B1 KR 101917657B1 KR 1020170041526 A KR1020170041526 A KR 1020170041526A KR 20170041526 A KR20170041526 A KR 20170041526A KR 101917657 B1 KR101917657 B1 KR 101917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all
module
mai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1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1090A (ko
Inventor
박준상
Original Assignee
(주)엠지뉴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지뉴턴 filed Critical (주)엠지뉴턴
Priority to KR1020170041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7657B1/ko
Publication of KR20180111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1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7Means for sterile storage or manipulation of dental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2Protective casings, e.g. boxes for instruments; Ba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는, 픽스츄어가 수용 가능한 픽스츄어 수용 공간이 내부에 마련되며 외벽에 상호간의 조립을 위한 결합모듈이 마련되는 본체유닛과, 치유 지대주 및 커버 스크류 중 어느 하나가 수용 가능한 보조 수용 공간이 내부에 마련되며 본체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픽스츄어 수용 공간을 개폐하는 덮개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Dental Implant Package}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에 관한 것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집합성 및 적층성이 우수하여 보관 및 운송이 편리한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치과용 임플란트는 원래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이식하는 일련의 시술을 가리킨다.
상실된 치근(뿌리)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titanium) 등으로 만든 치근인 픽스츄어(fixture)를 치아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시술이다.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며, 자연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인공치아 시술(임플란트 또는 임플란트 시술이라고도 함)은, 픽스츄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지만 소정의 드릴을 사용하여 식립위치를 천공한 후 픽스츄어를 치조골에 식립하여 뼈에 골융합시킨 다음, 픽스츄어에 지대주(abutment)를 결합시킨 후에, 지대주에 최종 보철물을 씌움으로써 완료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치과용 임플란트는 단일 결손치 수복은 물론이거니와 부분 무치아 및 완전 무치아 환자에게 의치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치아 보철 수복의 심미적인 면을 개선시키며, 나아가 주위의 지지골 조직에 가해지는 과도한 응력을 분산시킴과 아울러 치열의 안정화에 도움을 준다.
이러한 치과용 임플란트는 일반적으로, 인공 치근으로서 식립되는 픽스츄어(Fixture)와, 픽스츄어 상에 결합되는 지대주(Abutment)와, 지대주를 픽스츄어에 고정하는 지대주 스크류(Abutment Screw)와, 지대주에 결합되는 인공치아를 포함한다. 여기서, 지대주를 픽스츄어에 결합시키기 전에, 즉 치조골에 픽스츄어가 골융합되기까지의 기간 동안에 지대주가 픽스츄어에 결합되어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도 한다.
치과용 임플란트의 한 구성요소인 픽스츄어는, 임플란트가 시술되는 위치에 드릴 등을 이용하여 치조골에 형성된 드릴 홀에 식립되는 부분으로서 인공 치근의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픽스츄어는 치조골에 견고하게 식립되어야 한다.
이에, 픽스츄어의 외면에는 드릴 홀을 형성하는 치조골의 내측벽 부분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부(나사산)가 형성된다. 이러한 나사부는 치조골에 인입되어 픽스츄어와 치조골이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픽스츄어와 치조골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치조골에 대한 픽스츄어의 고정력, 특히 초기 고정력(initial stability)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은 드릴을 이용하여 치조골에 홀을 천공한 후, 천공된 홀에 픽스츄어를 식립하고, 이어 골융합이 진행되면 픽스츄어에 지대주를 결합시키고 최종적으로 인공 치아(보철물)를 씌우는 단계로 진행된다.
픽스츄어는 보통 항균 처리된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로 포장되어 보관 및 이송된다. 이는 치조골에 식립되는 임플란트, 즉 픽스츄어가 보관시 외부의 이물질이나 세균 등에 오염되는 경우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픽스츄어는 각각의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에 개별적으로 수용된다. 즉, 하나의 픽스츄어는 하나의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에 수용된다. 따라서, 대량의 픽스츄어를 치과 병원 등에 납품하기 위해서 픽스츄어를 각각 수용한 대량의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들을 한데 모아 병원으로 운송하여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들은 그 크기가 작고 상호간 독립적이기 때문에 운송과정에서 일부가 유실되는 등 물류과정에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공개공보 제10-2013-0060526호 (주식회사 이노바이오써지), 2013.06.10.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보관 및 운송이 편리한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픽스츄어가 수용 가능한 픽스츄어 수용 공간이 내부에 마련되며, 외벽에 상호간의 조립을 위한 결합모듈이 마련되는 본체유닛; 및
치유 지대주 및 커버 스크류 중 어느 하나가 수용 가능한 보조 수용 공간이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픽스츄어 수용 공간을 개폐하는 덮개유닛을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결합모듈은, 상기 본체유닛의 일측 외벽에 마련되는 본체용 제1 결합부; 및 상기 본체유닛의 상기 일측 외벽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타측 외벽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용 제1 결합부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본체용 제1 결합부에 결합되는 본체용 제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용 제1 결합부는, 상기 본체유닛의 상기 일측 외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호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본체용 제1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용 제1 돌기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본체용 제2 결합부는, 상기 타측 외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기 본체용 제1 돌기부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용 제1 돌기부들에 끼움 결합되는 본체용 제2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용 제2 돌기부는, 상기 타측 외벽에서 미리 결정된 높이만큼 돌출되어 마련되며, 내부가 중공 형성되어 단면이 원형의 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본체용 제2 결합부는, 상기 타측 외벽에서 미리 결정된 높이만큼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기 타측 외벽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는 본체 플랜지부; 및 상기 본체 플랜지부의 내측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기 본체용 제1 돌기부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용 제2 돌기부와 함께 상기 본체용 제1 돌기부를 끼움 결합하는 본체용 내측 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유닛은, 내부에 상기 보조 수용 공간이 마련되는 덮개 메인모듈; 및 상기 덮개 메인모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보조 수용 공간을 개폐하는 덮개 서브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 메인모듈은, 상기 덮개 메인모듈의 일측 외벽에 마련되는 메인모듈용 제1 결합부; 및 상기 덮개 메인모듈의 상기 일측 외벽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타측 외벽에 마련되며, 상기 덮개 서브모듈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덮개 서브모듈에 결합되는 메인모듈용 제2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 서브모듈은, 상기 덮개 서브모듈의 일측 외벽에 마련되며, 상기 메인모듈용 제2 결합부와 결합되는 서브모듈용 제1 결합부; 및 상기 덮개 서브모듈의 상기 일측 외벽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타측 외벽에 마련되며, 상기 메인모듈용 제1 결합부와 결합되는 서브모듈용 제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모듈용 제1 결합부는, 상기 덮개 메인모듈의 상기 일측 외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호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메인모듈용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모듈용 제2 결합부는, 상기 덮개 서브모듈의 상기 타측 외벽에서 미리 결정된 높이만큼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기 덮개 서브모듈의 상기 타측 외벽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는 서브모듈 플랜지부; 및 상기 서브모듈 플랜지부의 내측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기 메인모듈용 돌기부에 연결되어 메인모듈용 돌기부를 끼움 결합하는 서브모듈용 내측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모듈용 제1 결합부는, 상기 덮개 서브모듈의 상기 일측 외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호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서브모듈용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모듈용 제2 결합부는, 상기 덮개 메인모듈의 상기 타측 외벽에서 미리 결정된 높이만큼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기 덮개 메인모듈의 상기 타측 외벽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는 메인모듈 플랜지부; 및 상기 메인모듈 플랜지부의 내측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기 서브모듈용 돌기부에 연결되어 서브모듈용 돌기부를 끼움 결합하는 메인모듈용 내측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유닛은, 상기 덮개 메인모듈과 상기 덮개 서브모듈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상기 픽스츄어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본체유닛의 내측벽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유닛에 끼움 결합되는 덮개 결합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픽스츄어 수용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픽스츄어를 지지하는 레벨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유닛에는 상기 픽스츄어 수용 공간에서 상기 레벨러의 위치를 설정하는 레벨러 위치 설정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레벨러 위치 설정부는, 상기 픽스츄어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본체유닛의 내측벽에서 상기 본체유닛의 외벽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깊이만큼 함몰 형성되어 상기 레벨러의 일부가 삽입 가능하며,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벨러는, 상기 픽스츄어가 지지되는 레벨러 몸체부; 및 상기 레벨러 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그루부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유닛에 지지되는 레벨러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벨러 몸체부는, 상기 덮개유닛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에 연결되며 상기 본체유닛의 내측벽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레벨러 플랜지부에 연결되는 스커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커트부에는, 상기 스커트부의 하단부에서 상기 헤드부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높이만큼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외벽에 상호간의 조립을 위한 결합모듈이 마련되는 본체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상호간의 결합에 의해 보관 및 운송과정에서 일부가 유실될 가능성이 적고 상호간의 결합에 의해 조립체를 이루어 보관 및 운송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후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의 내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덮개 메인모듈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후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덮개 서브모듈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7의 본체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2는 도 6의 레벨러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의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의 끼움 결합 상태에서의 본체용 제1 돌기부, 본체용 제2 돌기부, 메인모듈용 돌기부 및 서브모듈용 내측 돌기부의 위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후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의 내부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7은 도 2의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덮개 메인모듈이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후면도이고, 도 10은 도 7의 덮개 서브모듈이 도시된 사시도이며, 11은 도 7의 본체유닛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12는 도 6의 레벨러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13은 도 1의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의 끼움 결합 상태에서의 본체용 제1 돌기부, 본체용 제2 돌기부, 메인모듈용 돌기부 및 서브모듈용 내측 돌기부의 위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100)는, 픽스츄어(P)가 수용 가능한 픽스츄어 수용 공간(G)이 내부에 마련되는 본체유닛(110)과, 본체유닛(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픽스츄어 수용 공간(G)을 개폐하는 덮개유닛(120)과, 픽스츄어 수용 공간(G)에 배치되며 픽스츄어(P)를 지지하는 레벨러(160)을 포함한다.
본체유닛(110)에는 픽스츄어(P)가 수용 가능한 픽스츄어 수용 공간(G)이 내부에 마련된다. 이러한 본체유닛(110)의 외벽에는 다른 본체유닛(110)과의 조립을 위한 결합모듈(111, 115)이 마련된다.
결합모듈(111, 115)은, 도 2 내지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유닛(110)의 일측 외벽에 마련되는 본체용 제1 결합부(111)와, 본체유닛(110)의 일측 외벽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타측 외벽에 마련되며 본체용 제1 결합부(111)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본체용 제1 결합부(111)에 결합되는 본체용 제2 결합부(115)를 포함한다.
본체용 제1 결합부(111)는 본체유닛(110)의 일측 외벽에 마련된다. 이러한 본체용 제1 결합부(111)는, 본체유닛(110)의 일측 외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호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본체용 제1 돌기부(11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용 제1 돌기부(112)는, 도 2 및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2열을 이루며 각 열에 5개가 마련됨으로써, 총 10개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본체용 제1 돌기부(112)는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본체용 제1 돌기부(112)의 형상, 개수 및 배열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용 제1 돌기부(112)의 형상, 개수 및 배열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본체용 제2 결합부(115)는 본체유닛(110)의 일측 외벽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타측 외벽에 마련된다. 이러한 본체용 제2 결합부(115) 본체용 제1 결합부(111)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다른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100)의 본체용 제1 결합부(111)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용 제2 결합부(115)는, 도 3 및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 외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며 본체용 제1 돌기부(112)들 사이에 배치되어 본체용 제1 돌기부(112)들에 끼움 결합되는 본체용 제2 돌기부(116)와, 타측 외벽에서 미리 결정된 높이만큼 돌출되어 마련되며 타측 외벽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는 본체 플랜지부(117)와, 본체 플랜지부(117)의 내측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며 본체용 제1 돌기부(112)에 연결되어 본체용 제2 돌기부(116)와 함께 본체용 제1 돌기부(112)를 끼움 결합하는 본체용 내측 돌기부(118)를 포함한다.
본체용 제2 돌기부(116)는 타측 외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된다. 이러한 본체용 제2 돌기부(116)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용 제1 돌기부(112)들 사이에 배치되어 본체용 제1 돌기부(112)들에 끼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용 제2 돌기부(116)는, 타측 외벽에서 미리 결정된 높이만큼 돌출되어 마련된다. 이러한 본체용 제2 돌기부(116)는 본체용 제1 돌기부(112)들 사이에 배치되어 본체용 제1 돌기부(112)들에 끼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용 제2 돌기부(116)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 형성되고 단면이 원형인 링 형상인 구조로 마련된다. 이러한 본체용 제2 돌기부(116)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용 제2 돌기부(116)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체 플랜지부(117)는 타측 외벽에서 미리 결정된 높이만큼 돌출되어 마련된다. 이러한 본체 플랜지부(117)는 타측 외벽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된다.
본체용 내측 돌기부(118)는 본체 플랜지부(117)의 내측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된다. 이러한 본체용 내측 돌기부(118)는, 본체용 제1 돌기부(112)에 연결되어 본체용 제2 돌기부(116)와 함께 본체용 제1 돌기부(112)를 끼움 결합시킨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본체용 제2 돌기부(116)는 본체용 제1 돌기부(112)들 사이에 배치되어 본체용 제1 돌기부(112)들에 끼움 결합되며, 본체용 제1 돌기부(112)는 본체용 제2 돌기부(116)와 본체용 내측 돌기부(118) 사이에 배치되어 본체용 제2 돌기부(116)와 본체용 내측 돌기부(118)에 끼움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본체용 제1 돌기부(112)과 본체용 제2 돌기부(116) 및 본체용 내측 돌기부(118)들의 상호 끼움 결합에 의해 본체유닛(110)들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본체유닛(110)의 상단부에는, 도 6 및 도 11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츄어(P)의 인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픽스츄어 수용 공간(G)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마련된다.
또한 본체유닛(110)에는, 픽스츄어 수용 공간(G)에서 레벨러(160)의 위치를 설정하는 레벨러 위치 설정부(170)가 마련되는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레벨러 위치 설정부(17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덮개유닛(120)에는 치유 지대주(미도시) 및 커버 스크류(Q) 중 어느 하나가 수용 가능한 보조 수용 공간(H, 도 8 참조)이 내부에 마련된다. 이러한 덮개유닛(120)은 본체유닛(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픽스츄어 수용 공간(G)을 개폐한다.
덮개유닛(120)은, 도 2 내지 도 10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보조 수용 공간(H)이 마련되는 덮개 메인모듈(130)과, 덮개 메인모듈(1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보조 수용 공간(H)을 개폐하는 덮개 서브모듈(140)과, 덮개 메인모듈(130)과 덮개 서브모듈(14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픽스츄어 수용 공간(G)을 형성하는 본체유닛(110)의 내측벽에 연결되어 본체유닛(110)에 끼움 결합되는 덮개 결합모듈(15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덮개유닛(120)의 외벽에는 다른 덮개유닛(120)과의 조립을 위한 조립모듈(131, 145)이 마련된다. 이러한 다른 덮개유닛(120)과의 조립을 위한 조립모듈(131, 145)은 덮개 메인모듈(130)과 덮개 서브모듈(140)에 각각 마련된다.
덮개 메인모듈(130)의 내부에는 치유 지대주(미도시) 및 커버 스크류(Q) 중 어느 하나가 수용 가능한 보조 수용 공간(H)이 마련된다. 도 6 및 도 7에서 보조 수용 공간(H)에 커버 스크류(Q)가 수용된 상태가 도시되는데, 보조 수용 공간(H)에는 치유 지대주(미도시)도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덮개 메인모듈(130)은, 덮개 메인모듈(130)의 일측 외벽에 마련되는 메인모듈용 제1 결합부(131)와, 덮개 메인모듈(130)의 일측 외벽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타측 외벽에 마련되며 덮개 서브모듈(140)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덮개 서브모듈(140)에 결합되는 메인모듈용 제2 결합부(135)를 포함한다.
또한, 덮개 서브모듈(140)은 덮개 메인모듈(1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보조 수용 공간(H)을 개폐한다. 이러한 덮개 서브모듈(140)은, 덮개 서브모듈(140)의 일측 외벽에 마련되며 메인모듈용 제2 결합부(135)와 결합되는 서브모듈용 제1 결합부(141)와, 덮개 서브모듈(140)의 일측 외벽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타측 외벽에 마련되며 메인모듈용 제1 결합부(131)와 결합되는 서브모듈용 제2 결합부(14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모듈용 제2 결합부(135)와 서브모듈용 제1 결합부(141)의 상호 작용에 의해 덮개 메인모듈(130)과 덮개 서브모듈(140)이 결합된다. 또한 메인모듈용 제1 결합부(131)와 서브모듈용 제2 결합부(145)의 상호 작용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유닛(120)끼리 결합된다.
메인모듈용 제1 결합부(131)는, 덮개 메인모듈(130)의 일측 외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호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메인모듈용 돌기부(132)를 포함한다.
서브모듈용 제1 결합부(141)는 덮개 서브모듈(140)의 일측 외벽에 마련된다. 이러한 서브모듈용 제1 결합부(141)는 메인모듈용 제2 결합부(135)와 결합된다. 이러한 서브모듈용 제1 결합부(141)는 덮개 서브모듈(140)의 일측 외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호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서브모듈용 돌기부(142)를 포함한다.
메인모듈용 제2 결합부(135)는 덮개 메인모듈(130)의 일측 외벽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타측 외벽에 마련된다. 메인모듈용 제2 결합부(135)는 덮개 서브모듈(140)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덮개 서브모듈(140)에 결합된다.
이러한 메인모듈용 제2 결합부(135)는, 덮개 메인모듈(130)의 타측 외벽에서 미리 결정된 높이만큼 돌출되어 마련되며 덮개 메인모듈(130)의 타측 외벽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는 메인모듈 플랜지부(137)와, 메인모듈 플랜지부(137)의 내측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며 서브모듈용 돌기부(142)에 연결되어 서브모듈용 돌기부(142)를 끼움 결합하는 메인모듈용 내측 돌기부(138)를 포함한다.
메인모듈 플랜지부(137)는, 도 8 및 도 9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 메인모듈(130)의 타측 외벽에서 미리 결정된 높이만큼 돌출되어 마련된다. 이러한 메인모듈 플랜지부(137)는 덮개 메인모듈(130)의 타측 외벽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된다.
메인모듈용 내측 돌기부(138)는 메인모듈 플랜지부(137)의 내측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된다. 이러한 메인모듈용 내측 돌기부(138)는 서브모듈용 돌기부(142)에 연결되어 서브모듈용 돌기부(142)를 끼움 결합시킨다. 메인모듈용 내측 돌기부(138)는 다수개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서브모듈용 돌기부(142)는 메인모듈용 내측 돌기부(138)들 사이에 배치되어 메인모듈용 내측 돌기부(138)들에 끼움 결합된다.
서브모듈용 제2 결합부(145)는 덮개 서브모듈(140)의 일측 외벽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타측 외벽에 마련된다. 이러한 서브모듈용 제2 결합부(145)는 다른 덮개유닛(120)의 메인모듈용 제1 결합부(131)와 결합된다.
서브모듈용 제2 결합부(145)는, 덮개 서브모듈(140)의 타측 외벽에서 미리 결정된 높이만큼 돌출되어 마련되며 덮개 서브모듈(140)의 타측 외벽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는 서브모듈 플랜지부(147)와, 서브모듈 플랜지부(147)의 내측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며 메인모듈용 돌기부(132)에 연결되어 메인모듈용 돌기부(132)를 끼움 결합하는 서브모듈용 내측 돌기부(148)를 포함한다.
서브모듈 플랜지부(147)는, 도 3 및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 서브모듈(140)의 타측 외벽에서 미리 결정된 높이만큼 돌출되어 마련된다. 이러한 서브모듈 플랜지부(147)는 덮개 서브모듈(140)의 타측 외벽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된다.
서브모듈용 내측 돌기부(148)는 서브모듈 플랜지부(147)의 내측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된다. 이러한 서브모듈용 내측 돌기부(148)는 다른 덮개유닛(120)의 메인모듈용 돌기부(132)에 연결되어 메인모듈용 돌기부(132)를 끼움 결합한다.
서브모듈용 내측 돌기부(148)는 다수개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모듈용 돌기부(132)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모듈용 내측 돌기부(148)들 사이에 배치되어 서브모듈용 내측 돌기부(148)들에 끼움 결합된다.
한편 덮개 결합모듈(150)은, 덮개 메인모듈(130)과 덮개 서브모듈(14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 결합모듈(150)은 덮개 메인모듈(130)에 결합된 것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덮개 결합모듈(150)은 픽스츄어 수용 공간(G)을 형성하는 본체유닛(110)의 내측벽에 연결되어 본체유닛(110)에 끼움 결합되어 픽스츄어 수용 공간(G)을 외부에 대해 차폐한다.
한편 레벨러(160)은 픽스츄어 수용 공간(G)에 배치되며 픽스츄어(P)를 지지한다. 레벨러(160)은, 픽스츄어(P)가 지지되는 레벨러 몸체부(161)와, 레벨러 몸체부(161)에 연결되며 본체유닛(110)에 지지되는 레벨러 플랜지부(165)를 포함한다.
레벨러 몸체부(161)는, 덮개유닛(120)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헤드부(162)와, 헤드부(162)에 연결되며 본체유닛(110)의 내측벽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레벨러 플랜지부(165)에 연결되는 스커트부(163)를 포함한다.
헤드부(162)는 덮개유닛(120)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이러한 헤드부(162)에 픽스츄어(P)가 지지된다.
스커트부(163)는 헤드부(162)에 연결되며 본체유닛(110)의 내측벽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스커트부(163)에는, 스커트부(163)의 하단부에서 헤드부(162)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높이만큼 절개된 절개부(164)가 마련된다. 이러한 절개부(164)는 픽스츄어 수용 공간(G)에서 레벨러(160)의 위치를 설정 시 레벨러(160) 간편한 이동을 위해 마련된다.
레벨러 플랜지부(165)는 스커트부(163)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며 본체유닛(110)에 지지된다. 이러한 레벨러 플랜지부(165)는 후술할 레벨러 위치 설정부(170)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픽스츄어 수용 공간(G)에서 레벨러(160)의 위치를 고정한다.
상술한 본체유닛(110)에는 픽스츄어 수용 공간(G)에서 레벨러(160)의 위치를 설정하는 레벨러 위치 설정부(170)가 마련된다. 이러한 레벨러 위치 설정부(170)는, 픽스츄어 수용 공간(G)을 형성하는 본체유닛(110)의 내측벽에서 본체유닛(110)의 외벽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깊이만큼 함몰 형성되어 레벨러 플랜지부(165)가 삽입되는 그루브(17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그루브(171)는 다수개로 마련되어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레벨러(160)은 픽스츄어(P)의 길이에 따라 원하는 소정의 위치의 그루브(171)에 레벨러 플랜지부(165)가 삽입됨으로써 레벨러(160)의 위치가 결정된다. 이때 레벨러(160)의 스커트부(163)에 마련된 절개부(164)에 의해 스커트부(163)의 탄성 가변이 용이해지고, 그에 따라 레벨러(160)의 위치를 설정 시 레벨러(160)의 이동에 과도한 힘이 필요로 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100)의 동작을 도 1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픽스츄어(P)를 픽스츄어 수용 공간(G)에 수용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픽스츄어(P)의 길이에 따라 픽스츄어 수용 공간(G)에서의 레벨러(160)의 위치를 결정한 후, 레벨러(160)을 픽스츄어 수용 공간(G)에 위치시키고 픽스츄어(P)를 레벨러(160)에 고정시킨다.
다음 커버 스크류(Q)를 보조 수용 공간(H)에 수용한 후 덮개 메인모듈(130)에 덮개 서브모듈(140)을 결합시켜 보조 수용 공간(H)을 차폐한다.
덮개 메인모듈(130)과 덮개 서브모듈(140)이 결합된 덮개유닛(120)을 본체유닛(110)에 결합시켜 픽스츄어 수용 공간(G)을 차폐한다. 이렇게 본체유닛(110)과 덮개유닛(120)이 결합된 다수개의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100)들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한 상태로 보관 및 운송한다.
이렇게 다수개로 상호 결합된 상태의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100)는 서로 결합된 상태이므로 이송과정에서 일부가 유실될 가능성도 적고 보관도 간편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100)는, 외벽에 상호간의 조립을 위한 결합모듈이 마련되는 본체유닛(110)을 구비함으로써, 상호간의 결합에 의해 보관 및 운송과정에서 일부가 유실될 가능성이 적고 상호간의 결합에 의해 조립체를 이루어 보관 및 운송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가 전술한 도면 및 설명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110: 본체유닛
111: 본체용 제1 결합부 112: 본체용 제1 돌기부
115: 본체용 제2 결합부 116: 본체용 제2 돌기부
117: 본체 플랜지부 118: 본체용 내측 돌기부
120: 덮개유닛 130: 덮개 메인모듈
131: 메인모듈용 제1 결합부 132: 메인모듈용 돌기부
135: 메인모듈용 제2 결합부 137: 메인모듈 플랜지부
138: 메인모듈용 내측 돌기부 140: 덮개 서브모듈
141: 서브모듈용 제1 결합부 142: 서브모듈용 돌기부
145: 서브모듈용 제2 결합부 147: 서브모듈 플랜지부
148: 서브모듈용 내측 돌기부 150: 덮개 결합모듈
160: 레벨러 161: 레벨러 몸체부
162: 헤드부 163: 스커트부
164: 절개부 165: 레벨러 플랜지부
170: 레벨러 위치 설정부 171: 그루브
P: 픽스츄어 Q: 커버 스크류
G: 픽스츄어 수용 공간 H: 보조 수용 공간

Claims (19)

  1. 픽스츄어가 수용 가능한 픽스츄어 수용 공간이 내부에 마련되며, 외벽에 상호간의 조립을 위한 결합모듈이 마련되는 본체유닛; 및
    치유 지대주 및 커버 스크류 중 어느 하나가 수용 가능한 보조 수용 공간이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픽스츄어 수용 공간을 개폐하는 덮개유닛을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모듈은,
    상기 본체유닛의 일측 외벽에 마련되는 본체용 제1 결합부; 및
    상기 본체유닛의 상기 일측 외벽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타측 외벽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용 제1 결합부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본체용 제1 결합부에 결합되는 본체용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용 제1 결합부는,
    상기 본체유닛의 상기 일측 외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호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본체용 제1 돌기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용 제1 돌기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용 제2 결합부는,
    상기 타측 외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기 본체용 제1 돌기부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용 제1 돌기부들에 끼움 결합되는 본체용 제2 돌기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용 제2 돌기부는,
    상기 타측 외벽에서 미리 결정된 높이만큼 돌출되어 마련되며, 내부가 중공 형성되어 단면이 원형의 링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용 제2 결합부는,
    상기 타측 외벽에서 미리 결정된 높이만큼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기 타측 외벽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는 본체 플랜지부; 및
    상기 본체 플랜지부의 내측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기 본체용 제1 돌기부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용 제2 돌기부와 함께 상기 본체용 제1 돌기부를 끼움 결합하는 본체용 내측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유닛은,
    내부에 상기 보조 수용 공간이 마련되는 덮개 메인모듈; 및
    상기 덮개 메인모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보조 수용 공간을 개폐하는 덮개 서브모듈을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메인모듈은,
    상기 덮개 메인모듈의 일측 외벽에 마련되는 메인모듈용 제1 결합부; 및
    상기 덮개 메인모듈의 상기 일측 외벽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타측 외벽에 마련되며, 상기 덮개 서브모듈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덮개 서브모듈에 결합되는 메인모듈용 제2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 서브모듈은,
    상기 덮개 서브모듈의 일측 외벽에 마련되며, 상기 메인모듈용 제2 결합부와 결합되는 서브모듈용 제1 결합부; 및
    상기 덮개 서브모듈의 상기 일측 외벽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타측 외벽에 마련되며, 상기 메인모듈용 제1 결합부와 결합되는 서브모듈용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모듈용 제1 결합부는,
    상기 덮개 메인모듈의 상기 일측 외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호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메인모듈용 돌기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모듈용 제2 결합부는,
    상기 덮개 서브모듈의 상기 타측 외벽에서 미리 결정된 높이만큼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기 덮개 서브모듈의 상기 타측 외벽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는 서브모듈 플랜지부; 및
    상기 서브모듈 플랜지부의 내측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기 메인모듈용 돌기부에 연결되어 메인모듈용 돌기부를 끼움 결합하는 서브모듈용 내측 돌기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모듈용 제1 결합부는,
    상기 덮개 서브모듈의 상기 일측 외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호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서브모듈용 돌기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모듈용 제2 결합부는,
    상기 덮개 메인모듈의 상기 타측 외벽에서 미리 결정된 높이만큼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기 덮개 메인모듈의 상기 타측 외벽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는 메인모듈 플랜지부; 및
    상기 메인모듈 플랜지부의 내측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기 서브모듈용 돌기부에 연결되어 서브모듈용 돌기부를 끼움 결합하는 메인모듈용 내측 돌기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유닛은,
    상기 덮개 메인모듈과 상기 덮개 서브모듈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상기 픽스츄어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본체유닛의 내측벽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유닛에 끼움 결합되는 덮개 결합모듈을 더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츄어 수용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픽스츄어를 지지하는 레벨러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유닛에는 상기 픽스츄어 수용 공간에서 상기 레벨러의 위치를 설정하는 레벨러 위치 설정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러 위치 설정부는,
    상기 픽스츄어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본체유닛의 내측벽에서 상기 본체유닛의 외벽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깊이만큼 함몰 형성되어 상기 레벨러의 일부가 삽입 가능하며,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그루브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러는,
    상기 픽스츄어가 지지되는 레벨러 몸체부; 및
    상기 레벨러 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그루브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유닛에 지지되는 레벨러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러 몸체부는,
    상기 덮개유닛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에 연결되며 상기 본체유닛의 내측벽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레벨러 플랜지부에 연결되는 스커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커트부에는, 상기 스커트부의 하단부에서 상기 헤드부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높이만큼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KR1020170041526A 2017-03-31 2017-03-31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KR101917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526A KR101917657B1 (ko) 2017-03-31 2017-03-31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526A KR101917657B1 (ko) 2017-03-31 2017-03-31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090A KR20180111090A (ko) 2018-10-11
KR101917657B1 true KR101917657B1 (ko) 2019-01-29

Family

ID=63865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1526A KR101917657B1 (ko) 2017-03-31 2017-03-31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765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260B1 (ko) 2006-10-19 2007-09-17 주식회사 메가젠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KR101394116B1 (ko) 2013-01-03 2014-05-14 주식회사 바이오제네시스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KR101511332B1 (ko) 2013-10-11 2015-04-14 (주)위드메이트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KR101693335B1 (ko) 2016-08-24 2017-01-05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치과용 임플란트 보관용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4272A (ko) * 2006-05-02 2006-05-22 김용성 다용도 조립용기
KR20090041140A (ko) * 2007-10-23 2009-04-2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픽스츄어 포장용 앰플
KR20130060526A (ko) 2011-11-30 2013-06-10 주식회사 이노바이오써지 임플란트 픽스츄어 포장용기 및 포장방법
US9545297B1 (en) * 2012-08-24 2017-01-17 Pavel Krastev Dental implant surgery organizer case
EP2915515A4 (en) * 2012-11-01 2016-07-27 Otsuka Techno Corp STORAGE CONSUMPTION FOR MEDICAMENT RESIDUES, STORAGE SYSTEM FOR MEDICAMENT VESSELS AND SUCTION METHODS FOR MEDICINAL PRODUCTS
KR20160058071A (ko) * 2016-01-20 2016-05-24 (주)포인트닉스 임플란트 표면의 생체 활성도를 높이기 위한 임플란트 포장 용기 및 체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260B1 (ko) 2006-10-19 2007-09-17 주식회사 메가젠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KR101394116B1 (ko) 2013-01-03 2014-05-14 주식회사 바이오제네시스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KR101511332B1 (ko) 2013-10-11 2015-04-14 (주)위드메이트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KR101693335B1 (ko) 2016-08-24 2017-01-05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치과용 임플란트 보관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090A (ko) 2018-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13179B2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包装容器
KR100723949B1 (ko)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KR101394116B1 (ko)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KR100886400B1 (ko) 치과용 픽스처 포장용기
KR101452849B1 (ko) 다기능 어버트먼트 세트를 이용한 치아보철물 제조방법
KR101943437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KR101539089B1 (ko) 3d 프린터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 제조 방법
KR102387700B1 (ko)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결합조립체
KR20150014947A (ko) 치과 보철 시스템
KR200473225Y1 (ko) 오버덴쳐용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장치
KR200470574Y1 (ko) 오버덴쳐용 볼 타입 어태치먼트 장치
KR101511332B1 (ko)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KR200441072Y1 (ko) 치과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고정부시
KR101917657B1 (ko)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KR101259940B1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1917658B1 (ko)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KR101406043B1 (ko) 맞춤 시술이 가능한 분리형 힐링 어버트먼트
KR100982967B1 (ko) 임플란트 픽스츄어 고정용 그립
KR101361236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200493997Y1 (ko) 치과용 픽스츄어 시술 커넥터
KR101625167B1 (ko) 오버덴처용 볼 타입 어태치먼트 장치
KR101239298B1 (ko) 임플란트용 틀니 구조
KR20140145014A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치경부 형상 지대주
KR20140105098A (ko) 경사형 임플란트
KR102395906B1 (ko) 치과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보관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