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2967B1 - 임플란트 픽스츄어 고정용 그립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픽스츄어 고정용 그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2967B1
KR100982967B1 KR1020080093478A KR20080093478A KR100982967B1 KR 100982967 B1 KR100982967 B1 KR 100982967B1 KR 1020080093478 A KR1020080093478 A KR 1020080093478A KR 20080093478 A KR20080093478 A KR 20080093478A KR 100982967 B1 KR100982967 B1 KR 100982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grip
mount
base
ba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3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4372A (ko
Inventor
배석정
김근열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3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2967B1/ko
Publication of KR20100034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4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2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2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7Means for sterile storage or manipulation of dental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6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 A61B17/865Packages or dispensers for bone screws or threaded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2Protective casings, e.g. boxes for instruments; Ba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픽스츄어를 멸균상태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포장하며 시술 편의성의 향상을 위하여 원주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연장되어 픽스츄어의 상부에 체결된 마운트를 외부 접촉으로부터 차단시키는 보호리브가 구비되어 대칭되게 형성되는 2개의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2개의 베이스가 외력으로 대칭조립되면 상기 마운트의 외주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고정부; 및 상기 2개의 베이스가 상기 외력이 해제되면 복원력을 갖도록 힌지 연결되는 힌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임플란트 픽스츄어 고정용 그립을 제공한다.
임플란트, 앰플, 그립

Description

임플란트 픽스츄어 고정용 그립{grip for fixed implant fixture}
본 발명은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포장 시 사용되는 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임플란트 픽스츄어를 손으로 운반하여 앰플에 포장할 때 사용되는 그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란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이를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며, 치과에서는 상실된 치아의 치근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titanium) 등으로 만든 인공치근을 이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어서 유착시킨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원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할 때 사용되며 다른 유형으로는 픽스츄어(이하 '임플란트'로 통칭)가 있다.
또한,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며, 자연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노령이나 기타 요인에 의해서 영구치가 손상되면 환자는 매우 심한 치통을 겪게되므로, 손상된 영구치를 뽑아내고 그 자리에 영구치를 대신 할 수 있는 인공치아를 매식하게 된다.
그리고, 인공치아를 치조골에 매식하는 과정은 인공치아와 치조골에 보철용 임플란트 또는 픽스츄어를 체결하고 상기 임플란트에 인공치아를 결합함으로써 인공치아의 매식이 완료된다.
한편, 임플란트 즉 픽스츄어는 시술되기 전까지 외부의 이물질이나 세균 등에 오염되면 치조골에 식립되는 과정에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보통 캡슐모양의 앰플(ampoule)에 포장된다. 이때, 손으로 포장 작업을 할 경우 픽스츄어가 멸균상태를 유지하도록 손에 접촉되지 않게 하는 부재가 필요하다. 또한, 상기 부재는 픽스츄어와 함께 포장되어 앰플의 내면에 픽스츄어가 접촉되지 않도록 앰플의 내부에 정확하게 고정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픽스츄어의 포장 작업에는 픽스츄어가 시술 전까지 멸균 상태를 유지되도록 손과 앰플의 내면에 접촉되지 않게 하는 부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픽스츄어를 멸균상태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포장하는 포장 작업성과 사용 시 분리가 용이하여 시술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임플란트 픽스츄어 고정용 그립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원주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연장되어 픽스츄어의 상부에 체결된 마운트를 외부 접촉으로부터 차단시키는 보호리브가 구비되어 대칭되게 형성되는 2개의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2개의 베이스가 외력으로 대칭조립되면 상기 마운트의 외주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고정부; 및 상기 2개의 베이스가 상기 외력이 해제되면 복원력을 갖도록 힌지 연결되는 힌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임플란트 픽스츄어 고정용 그립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2개의 베이스가 대칭조립되면 상기 마운트의 외주에 대응되는 고정홀이 상기 베이스와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2개의 베이스가 정확하게 대칭조립되도록 안내하는 안내수단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2개의 베이스는 외력으로 대칭조립된 후 상기 픽스츄어를 수용하는 앰플의 내부에 형합되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포장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그립을 사용하여 픽스츄어를 앰플에 포장하는 작업을 할 때 베이스의 상측에 형성되는 보호리브가 구비되므로 픽스츄어가 손에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어 멸균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둘째, 시술 시 앰플에서 픽스츄어를 분리할 때 베이스들이 자동 분리되도록 복원력을 갖는 힌지부가 구비되므로 그립의 방해 없이 픽스츄어을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어 시술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셋째, 포장 작업자가 그립으로 픽스츄어를 정확하게 잡도록 안내수단이 구비되므로 정확하고 신속한 포장 작업이 가능하여 수작업의 효율성이 현저히 증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픽스츄어 고정용 그립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픽스츄어 고정용 그립(10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픽스츄어 고정용 그립(100)은 베이스(110)와 보호리브(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세히, 상기 베이스(110)는 원통 테두리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일측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개구부(111)와 상기 개구부(111)에서 연장되는 중앙부에 픽스츄어(도 4의 450 참조)의 상측에 체결되는 마운트(도 4의 460 참조)의 외주를 감싸는 개구홀(11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개구홀(112)은 원형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한데, 상기 개구부(111)와 대향되는 방향에 상기 개구홀(112)에서 연장되는 완충홀(113)이 형성되어 상기 그립(100)으로 상기 마운트의 외주를 손의 악력에 의해서 감쌀 때 상기 그립(100)의 부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10)의 외주에는 손으로 그립(100)을 잡는 특성상 그립감을 향상시키도록 함몰부(114)가 형성되는데, 상기 함몰부(114)는 상기 베이스(1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단면 톱니형상을 이룬다.
더욱이, 상기 베이스(110)는 후술하는 보호리브(120)와 일체로 제작됨이 바람직한데, 합성수지의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 등의 방법으로 제작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110)의 재질과 제작방법은 한정되지 아니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합성수지는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합성수지는 손으로 운반할 때 손의 악력으로 상기 그립(100)을 통해서 상기 마운트를 고정하므로 손의 악력을 해제하면 느슨해 질 수 있도록 복원력을 갖는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접촉되는 마운트에 이물질을 발생시키지 않는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베이스(110)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보호리브(120)가 구비되는데, 상기 보호리브(12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소 면적을 가지면서 손으로 잡을 때 손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베이스(1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세 군데 이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호리브(120)는 픽스츄어와 마운트가 손에 접촉되는 것을 막 는 방지막의 역할을 하므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데, 상기 마운트와 체결되는 픽스츄어가 소형의 크기를 가지는 점을 감안할 때 상기 보호리브(120)는 적어도 5mm 이상이며, 상기 베이스(110)는 적어도 3mm 이상이면 만족한다.
즉, 상기 그립(100)은 상기 픽스츄어를 포장하기 위해 상기 픽스츄어와 체결되어 함께 포장되는 마운트의 외주를 작업자가 손의 악력으로 감싼 후 운반할 때 상기 픽스츄어가 손에 닿지 않게 손잡이의 역할을 하며, 포장 작업자는 상기 그립(100)으로 상기 픽스츄어와 마운트를 손에 의한 악력으로 운반하여 앰플(도 4의 400 참조)의 내부에 장착시킨다.
따라서, 상기 그립(100)은 상기 마운트에 체결된 상기 픽스츄어를 상기 앰플에 포장하는 작업 시에 손과 상기 앰플의 내면에 접촉되지 않게 하여 세균 오염을 방지하여 멸균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그립(100)은 손으로 그립(100)을 잡을 경우 하측으로 형성된 보호리브(120)가 변형되어 픽스츄어의 표면이 손에 접촉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기 그립(100)은 상기 개구부(111)와 대향되는 방향에 보호리브(120)가 형성되어 상기 그립(100)으로 상기 픽스츄어를 잡은 다음 손의 악력으로 운반하여 상기 앰플 내부에 장착시키면 상기 그립(100) 자체의 복원력과 상기 보호리브(120)에 의해 상기 픽스츄어가 밀리게 되어 상기 앰플의 내면에 접촉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하, 상술한 단점을 보완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픽스츄어 고정용 그립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픽스츄어 고정용 그립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픽스츄어 고정용 그립이 대칭조립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픽스츄어 고정용 그립(200)은 베이스(210), 고정부(220) 그리고 힌지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세히, 상기 베이스(210)는 단면이 반원형의 테두리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대칭되는 형상의 베이스(210)가 구비되어 대칭되게 형성되는 2개의 베이스(210)가 대칭조립되면 단면이 원형의 테두리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베이스(210)의 외주의 모양은 한정되지 아니한다.
여기서, 대칭조립이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래는 원통 테두리 형상의 물체가 수직 방향으로 상호 대칭되게 절단되어 2개의 물체로 나누어진 후 원래의 모습을 갖도록 손의 악력 등의 외력으로 대칭되는 부분이 상호 접촉되도록 조립된 상태를 말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210)의 외주에는 그립감이 향상되도록 상술한 함몰부(도 1의 114 참조)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베이스(210)는 후술하는 보호리브(211)와 일체로 제작됨이 바람직한데, 합성수지의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 등의 방법으로 제작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210)의 재질과 제작방법은 한정되지 아니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합성수지는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210)의 내부에는 고정부(220)가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 부(220)는 상기 2개의 베이스(210)가 외력으로 대칭조립되면 픽스츄어와 체결된 마운트의 외주를 감싸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픽스츄어는 상측에 체결되는 마운트와 함께 포장되고 상기 그립(200)은 상기 마운트의 외주를 감싼 후 손의 악력을 이용해서 운반하는데, 이때 상기 고정부(220)가 상기 마운트와 접촉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220)는 상기 2개의 베이스(210)의 내주를 따라 각각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부(220)는 상기 2개의 베이스(210)가 대칭조립되면 상기 마운트의 외주에 대응되는 고정홀(221)이 상기 베이스(210)와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2개의 베이스(210)가 대칭조립되면 상기 고정부(220)는 상기 마운트의 외주를 감싸면서 접촉되는 원형의 고정홀(221)을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고정홀(221)은 대칭결합된 상기 베이스(210)의 내면에서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간격의 크기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베이스(210)의 내면에 상기 마운트의 외면이 접촉되지 않는 길이면 만족한다. 또한, 상기 고정홀(221)은 상기 마운트의 외주에 대응되게 형성되므로 상기 마운트를 대략 수직방향으로 놓이도록 한다.
이를 통하여, 상기 그립(200)은 상기 마운트의 외면과 최소면적으로 접촉되어 접촉에 따른 이물질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기 마운트에 체결되어 후술하는 앰플 내부에 수용되는 픽스츄어는 상기 앰플의 내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대략 수직 방향으로 놓이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홀(221)은 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한데, 상기 고정홀(221)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2군데 이상 연장되는 완충부(222)가 형성되어 상기 2개의 베이스(210)의 대칭조립 시 상기 그립(200)의 부러짐 등을 방지하는 완충 역할을 한다.
더욱이, 상기 고정부(220)는 상기 베이스(210) 및 후기 보호리브(211)와 일체로 신축성을 갖는 합성수지의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며, 상기 합성수지는 상기 마운트에 접촉되어도 이물질을 발생시키지 않는 재질이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픽스츄어는 통상 마운트와 결합된 상태로 포장되므로 상기 픽스츄어에는 접촉에 따른 세균오염의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상기 마운트를 고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칭조립되면 형성되는 상기 고정홀(221)의 형상은 상기 마운트의 외주의 형상에 대응되고, 상기 고정부(220)는 상기 마운트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되는 단차진 부분에 걸림되어 상기 앰플에 포장된 후 하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2개의 베이스(210)를 힌지 연결하는 힌지부(230)가 구비되는데, 상기 힌지부(230)는 대칭결합된 상기 2개의 베이스(210)가 손의 악력 등의 외력이 해제되면 복원력으로 상기 2개의 베이스(210)가 자동 분리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힌지부(230)는 상기 2개의 베이스(210) 외주의 대칭되는 일측을 연결하며, 상기 2개의 베이스(210)가 대칭조립가능하도록 대칭되는 두 군데 중 어느 곳이든 가능하다. 또한, 상기 외력은 손의 악력 외에 대칭결합된 상기 2개의 베이스(210)가 형합되는 후기 앰플의 구조적인 외력을 예로 들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힌지부(230)는 상기 베이스(210) 등과 일체로 제작됨이 바람직한데, 상기 힌지부(230)는 반으로 접어도 끊어지지 않을 정도의 신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원력은 상기 힌지부(230)의 재질이 신축성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에 기인하는 탄성 복원(spring back) 현상을 말한다. 물론, 상기 힌지부(230)는 후술하는 보호리브(211)들의 대칭되는 일측을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힌지부(230)의 길이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만, 상기 2개의 베이스(210)가 대칭조립되어 접힌 후 상기 앰플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개의 베이스(210)가 대칭조립되어 접히면 상기 2개의 베이스(210)와 상기 힌지부(230)는 전체적으로 원형 테두리형상이 되도록 상기 힌지부(230)가 연결되는 상기 베이스(210)의 부위는 변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상기 힌지부(230)는 상기 픽스츄어가 상기 앰플에서 분리될 때 탄성 복원력으로 상기 2개의 베이스(210)가 자동 분리되게 하므로 시술 시 상기 픽스츄어의 분리가 용이하여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210)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연장되는 보호리브(211)가 구비되는데, 상기 보호리브(211)는 상기 2개의 베이스(210)가 대칭결합되면 상기 마운트의 상부를 외부 접촉으로부터 차단시키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보호리브(211)의 내면은 상기 베이스(210)의 내면에서 연장되는 동일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호리브(211)의 외면은 상기 베이스(210)의 외면 과 단차지게 형성되는데, 이러한 단차진 부분은 후기 앰플의 내면과 상기 보호리브(211) 사이에 갭을 형성하여 포장 작업 시 상기 그립(200)의 장착과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기 보호리브(211)는 포장 작업 시 픽스츄어와 마운트가 손에 접촉되는 것을 막는 방지막의 역할을 하므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데, 상기 마운트와 체결되는 픽스츄어가 소형의 크기를 가지고 상기 보호리브(211)가 상기 베이스(210)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점을 감안할 때 상기 보호리브(211)는 적어도 4mm 이상이며, 상기 베이스(210)는 적어도 3mm 이상이면 만족한다. 더욱이, 상기 보호리브(211)는 그립감이 향상되도록 상술한 함몰부(도 1의 114 참조)가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단면 톱니형상 등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보호리브(211)는 포장 작업 시에 상기 픽스츄어를 상기 그립(200)을 이용하여 손의 악력으로 운반할 때 상기 픽스츄어의 표면이 손에 접촉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배제하기 위하여 상기 픽스츄어의 상측 방향 즉 상기 베이스(210)의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상기 보호리브(211)는 작업자가 손으로 그립(200)을 통해서 상기 픽스츄어의 상측에 체결된 상기 마운트를 잡을 때 상기 픽스츄어와 마운트가 손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픽스츄어와 마운트는 멸균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210)에는 상기 2개의 베이스(210)가 정확하게 대칭조립되도록 안내하는 안내수단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2개의 베이스(210)가 대칭결합 시 접촉되는 면들의 일측에 형성되는데, 어느 일면에는 안내돌기(212)가 형성되고, 타면에는 안내홈(213)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보호리브(211)들의 대칭결합 시 접촉되는 면들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상기 안내수단의 위치는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를 통하여, 상기 안내수단은 포장 작업자가 손의 악력으로 상기 그립(200)을 통해서 픽스츄어 상부의 마운트를 잡을 때 정확하게 안내하여 신속한 포장작업으로 포장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픽스츄어 고정용 그립이 사용되어 픽스츄어와 마운트가 앰플 내부에 포장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2개의 베이스(210)는 손의 악력 등의 외력으로 대칭조립된 후 상기 픽스츄어(450)를 수용하는 앰플(400)의 내부에 형합되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앰플(400)은 앰플 본체(410)와 앰플 커버(4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앰플 본체(410)의 내면은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2군데 이상의 단차진 부분이 형성되어 대칭조립된 상기 2개의 베이스(210)의 외주 테두리가 걸림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앰플 커버(420)는 상기 그립(200)이 상기 앰플 본체(410)에 형합된 후 상기 앰플 본체(410)의 상부를 커버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220)는 상기 픽스츄어(450)의 상측에 체결된 상기 마운트(460)의 대략 중앙부를 감싸는데, 상기 마운트(460)의 단차진 부분의 하측 외주에 접하여 상기 픽스츄어(450)와 마운트(460)가 하방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상기 그립(200)은 상기 픽스츄어(450)와 상기 마운트(460)가 상기 고정부(220)로 접촉되는 상기 마운트(460)의 외주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앰플(400)의 내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즉 상기 픽스츄어(450)는 부양된 상태로 고정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픽스츄어 고정용 그립(200)이 픽스츄어(450)와 마운트(460)를 앰플 본체(410)에 포장할 때 조립 및 분해되는 원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도 5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픽스츄어 고정용 그립이 사용되어 픽스츄어를 앰플 본체에 조립시키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픽스츄어 고정용 그립이 픽스츄어가 앰플 본체에서 분해될 때 분리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그립(200)을 사용하여 픽스츄어(450)와 마운트(460)를 앰플 본체(410)에 조립시킬 경우 작업자는 그립(200)으로 마운트(460)의 단차진 부분의 하측 외주를 감싼 후 손의 악력으로 고정시킨 채로 운반한다. 이때, 베이스(210)들에 형성되는 안내돌기(212)와 안내홈(213)의 안내수단으로 정확하게 대칭조립되었는지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립(200)을 쥔 상태로 상기 픽스츄어(450)와 마운트(460)가 상기 앰플 본체(410)의 내면에 닿지 않게 앰플 본체(410)의 내부에 삽입시키는데, 상기 베이스(210)의 하단이 상기 앰플 본체(410)의 내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2군데 이상 형성된 단차부에 걸림될 때까지 삽입시키면 포장 조립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그립(200)은 상기 앰플 본체(410)의 내면에 접촉되어 분리되는 것이 방지 된다.
한편,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픽스츄어(450)와 마운트(460)를 앰플 본체(410)에서 분해시킬 경우 시술자가 핸드 드라이버(미도시) 등으로 마운트(460)의 상부를 체결하여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그립(200)도 함께 상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힌지부(230)는 하측의 베이스(210)에 형성되므로 상기 그립(200)이 상측으로 이동 시 끼임 등의 상기 그립(200)의 방해가 방지된다.
또한, 상기 그립(200)이 상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앰플 본체(410)에서 분해되면 상기 힌지부(230)의 복원력으로 상기 그립(200)은 2개의 베이스(210)로 자동 분리되므로 시술자는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힌지부(230)의 복원력은 상기 힌지부(230)의 신축성 재질에 기인하는 탄성 복원(spring back) 현상에 의한다.
이를 통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시술자는 상기 픽스츄어(450)를 사용하고자 상기 앰플(400)에서 상기 픽스츄어(450)를 분리할 때 상기 그립(200)이 상기 힌지부(230)의 복원력으로 자동 분리되어 상기 그립(200)이 상기 픽스츄어(450)의 분리를 방해하지 않아 시술자의 시술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픽스츄어 고정용 그립(200)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픽스츄어 고정용 그립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픽스츄어 고정용 그립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픽스츄어 고정용 그립이 대칭조립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픽스츄어 고정용 그립이 사용되어 픽스츄어와 마운트가 앰플 내부에 포장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픽스츄어 고정용 그립이 사용되어 픽스츄어를 앰플 본체에 조립시키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픽스츄어 고정용 그립이 픽스츄어가 앰플 본체에서 분해될 때 분리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200: 임플란트 픽스츄어 고정용 그립 110,210: 베이스
120,211: 보호리브 212: 안내돌기
213: 안내홈 220: 고정부
221: 고정홀 230: 힌지부
450: 픽스츄어 460: 마운트
400: 앰플

Claims (5)

  1. 원주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연장되어 픽스츄어의 상부에 체결된 마운트를 외부 접촉으로부터 차단시키는 보호리브가 구비되어 대칭되게 형성되는 2개의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2개의 베이스가 외력으로 대칭조립되면 상기 마운트의 외주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고정부; 및
    상기 2개의 베이스가 상기 외력이 해제되면 복원력을 갖도록 힌지 연결되는 힌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임플란트 픽스츄어 고정용 그립.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2개의 베이스가 대칭조립되면 상기 마운트의 외주에 대응되는 고정홀이 상기 베이스와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픽스츄어 고정용 그립.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2개의 베이스가 정확하게 대칭조립되도록 안내하는 안 내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픽스츄어 고정용 그립.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베이스는 외력으로 대칭조립된 후 상기 픽스츄어를 수용하는 앰플의 내부에 형합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픽스츄어 고정용 그립.
KR1020080093478A 2008-09-24 2008-09-24 임플란트 픽스츄어 고정용 그립 KR100982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3478A KR100982967B1 (ko) 2008-09-24 2008-09-24 임플란트 픽스츄어 고정용 그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3478A KR100982967B1 (ko) 2008-09-24 2008-09-24 임플란트 픽스츄어 고정용 그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4372A KR20100034372A (ko) 2010-04-01
KR100982967B1 true KR100982967B1 (ko) 2010-09-17

Family

ID=42212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3478A KR100982967B1 (ko) 2008-09-24 2008-09-24 임플란트 픽스츄어 고정용 그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29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2133A1 (ko) * 2011-09-02 2013-03-07 오스템임플란트(주) 치과용 임플란트의 패키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376B1 (ko) * 2012-10-31 2014-09-15 주식회사 제노스 임플란트 시술용 어버트먼트 홀더
US11633270B2 (en) 2015-06-12 2023-04-25 Rtrs Investment, Llc Systems and methods for sterile delivery of prostheses
WO2016198427A1 (en) * 2015-06-12 2016-12-15 Natural Dental Implants Ag Systems and methods for sterile delivery of prosthes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2133A1 (ko) * 2011-09-02 2013-03-07 오스템임플란트(주) 치과용 임플란트의 패키지
KR101260914B1 (ko) 2011-09-02 2013-05-06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의 패키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4372A (ko) 201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3949B1 (ko)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KR101670093B1 (ko) 임플란트 고정체용 수납 용기
JP5113179B2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包装容器
KR101491879B1 (ko) 치열교정용 장치 및 치열교정용 캡의 탈착 방법
KR100886400B1 (ko) 치과용 픽스처 포장용기
KR100958841B1 (ko) 임플란트 부품 포장용 앰플
KR101394116B1 (ko)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KR100982967B1 (ko) 임플란트 픽스츄어 고정용 그립
US20070181446A1 (en) Medical implant package
KR101037386B1 (ko) 픽스츄어 포장용 앰플용기
KR20190088753A (ko)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KR100785660B1 (ko) 교환이 용이한 임플란트 픽스쳐
KR101511332B1 (ko)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KR200473225Y1 (ko) 오버덴쳐용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장치
KR200441072Y1 (ko) 치과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고정부시
KR101437376B1 (ko) 임플란트 시술용 어버트먼트 홀더
KR101515790B1 (ko) 힐링어버트먼트 취부용 지그
WO2009007891A1 (en) A dental implant and dental implant packaging
KR101098667B1 (ko) 치아 임플란트용 유지 및 패키징 장치
KR101239298B1 (ko) 임플란트용 틀니 구조
KR102047451B1 (ko)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KR101606551B1 (ko) 치과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보관 케이스
KR200303351Y1 (ko) 인공치아용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포장용기
KR102318794B1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1917657B1 (ko)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