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0914B1 - 치과용 임플란트의 패키지 - Google Patents

치과용 임플란트의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0914B1
KR101260914B1 KR1020110088791A KR20110088791A KR101260914B1 KR 101260914 B1 KR101260914 B1 KR 101260914B1 KR 1020110088791 A KR1020110088791 A KR 1020110088791A KR 20110088791 A KR20110088791 A KR 20110088791A KR 101260914 B1 KR101260914 B1 KR 101260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grip
guide slit
support hole
pac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5481A (ko
Inventor
박준형
최규옥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8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0914B1/ko
Priority to PCT/KR2012/005751 priority patent/WO2013032133A1/ko
Publication of KR20130025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5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7Means for sterile storage or manipulation of dental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2Protective casings, e.g. boxes for instruments; Ba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에 제1 그립부와 제2 그립부가 형성되어 제2 그립부에 의하여 임플란트가 고정되어지되, 임플란트를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할 경우 제1 그립부를 파지함에 따른 압력이 제2 그립부에 전달되지 않고 작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분리해 낼 수 있도록 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과용 임플란트의 패키지{PACKAGE FOR DENTAL IMPLANT}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의 패키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 및 분리가 각각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는 일반적으로 상실된 치아의 치근(齒根)을 대신할 수 있도록, 자연치근이 빠져나간 치조골에 픽스쳐(fixture)를 매식하여 유착시킨 후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원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대치물을 의미한다.
특히, 픽스쳐는 치조골에 매식되어 임플란트 시스템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데, 인체 골조직과의 융합을 위해서 생체적 합성이 우수한 티타늄으로 제조된다.
그리고, 임플란트는 통상 포장용 케이스에 마운트가 수용된 상태로 포장되어 출고되는데, 포장용 케이스에는 마운트의 상부측 직경에 대응하는 홀이 관통되고, 이러한 홀의 가장자리로부터 절개된 안내 슬릿이 형성되어 임플란트의 고정 및 분리가 되도록 한다.
여기서, 시술자는 시술을 위하여 임플란트를 포장용 케이스로부터 분리하여야 하며, 포장용 케이스를 파지한 상태에서 마운트 스크류를 파지하고 홀로부터 안내 슬릿을 통해 임플란트를 분리하여야 한다.
그러나, 포장용 케이스에 가해진 사용자의 파지력으로 인하여 홀 주위에 가해지는 압력 또한 유지되는 바, 임플란트를 포장용 케이스로부터 원활하게 분리하는 것이 힘든 것이다.
따라서, 포장용 케이스를 별도의 도구로 절단하거나 절개하여 임플란트를 분리하는 번거로운 작업 또한 수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등록특허 제10-0759260호(2007.09.11) 등록특허 제10-0723949호(2007.05.25) 등록특허 제10-0886400호(2009.02.24) 등록특허 제10-0899005호(2009.05.15) 공개특허 제10-2011-0033820호(2011.03.31) 등록실용 제20-0303351호(2003.01.24) 등록실용 제20-0404051호(2005.12.12) 등록실용 제20-0448457호(2010.04.0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포장 및 분리가 각각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패키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임플란트의 마운트가 수용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일단부에 수용홀을 형성하고, 수용홀의 일측 가장자리는 개방되게 형성되는 제1 그립부와, 수용홀의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제1 그립부의 개방된 일측을 향하여 형성되고, 임플란트를 파지하거나 하우징으로부터 임플란트의 분리가 가능하게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제2 그립부를 포함하며, 제1 그립부와 제2 그립부는 독립적으로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패키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제2 그립부는 수용홀로부터 연장된 연결편과, 연결편의 단부 양측으로부터 수용홀과 이격되게 연장되는 그립편과, 그립편에 임플란트와 연결되는 마운트의 상부측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관통된 지지홀과, 지지홀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수용홀의 개방된 일측을 향하여 그립편의 단부까지 절개 형성된 안내 슬릿을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안내 슬릿의 지지홀측 단부의 폭은 지지홀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안내 슬릿의 그립편 단부측의 폭은 안내 슬릿의 지지홀측 단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내 슬릿은 수용홀의 개방된 일측을 향하여 점차 넓어지게 형성되며, 안내 슬릿의 지지홀측 단부의 폭은 지지홀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그립부와 제2 그립부가 독립적으로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포장시 임플란트를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케이스, 즉 하우징을 파지한 상태에서도 분리를 힘들게 하는 압력이 가해지지 않아 임플란트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패키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시점에서 바라본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패키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A 시점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에 제1 그립부(200)와 제2 그립부(300)가 형성되어 제2 그립부(300)는 임플란트(510)가 연결된 마운트(500)를 고정하되, 마운트(500)를 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할 경우 제1 그립부(200)를 파지함에 따른 압력이 제2 그립부(300)에 전달되지 않고 작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분리해 낼 수 있도록 한 구조임을 알 수 있다.
하우징(100)은 임플란트(510)가 수용되는 것으로, 후술할 제1 그립부(200)와 제2 그립부(300)가 형성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제1 그립부(200)는 하우징(100)의 일단부에 수용홀(101)을 형성하고, 수용홀(101)의 일측 가장자리는 개방되어 하우징(100) 일단부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부재이다.
제2 그립부(300)는 수용홀(101)의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제1 그립부(200)의 개방된 일측을 향하여 형성되고, 마운트(500)를 파지하거나 하우징(100)으로부터 마운트(500)의 분리가 가능하게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부재이다.
따라서, 제1 그립부(200)와 제2 그립부(300)는 독립적으로 탄성 변형을 허용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임플란트(510)를 하우징(10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2 그립부(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00)에 마운트(500)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편(310)에 지지홀(330)과 안내 슬릿(340)이 형성된 그립편(32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연결편(310)은 수용홀(101)로부터 연장되고, 그립편(320)은 연결편(310)의 단부 양측으로부터 수용홀(101)과 이격되게 연장되며, 지지홀(330)은 그립편(320)에 임플란트(510)와 대응하는 직경으로 관통되어 마운트(500)를 고정한다.
안내 슬릿(340)은 지지홀(330)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수용홀(101)의 개방된 일측을 향하여 그립편(320)의 단부까지 절개 형성되어 임플란트(510)를 하우징(100)에 고정 또는 분리할 때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안내 슬릿(340)의 지지홀측 단부의 폭(w1)은 마운트(500)가 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홀(330)의 직경(d)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안내 슬릿(340)의 그립편(320) 단부측의 폭(w2)은 마운트(500)가 하우징(100)에 원활하게 고정되거나 하우징(100)으로부터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안내 슬릿(340)의 지지홀(330)측 단부의 폭(w1)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내 슬릿(340)은 마운트(500)가 하우징(100)에 원활하게 고정되거나 하우징(100)으로부터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수용홀(101)의 개방된 일측을 향하여 점차 넓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포장 및 분리가 각각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하우징 200...제1 그립부
300...제2 그립부 500...마운트
510...임플란트

Claims (5)

  1. 임플란트의 마운트가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단부에 수용홀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홀의 일측 가장자리가 개방되게 형성되는 제1 그립부; 및
    상기 수용홀로부터 연장된 연결편과, 상기 연결편의 단부 양측으로부터 상기 수용홀과 이격되게 연장되는 그립편과, 상기 그립편에 상기 임플란트와 연결되는 상기 마운트의 상부측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관통된 지지홀과, 상기 지지홀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수용홀의 개방된 일측을 향하여 상기 그립편의 단부까지 절개 형성된 안내 슬릿을 포함하며, 상기 임플란트를 파지하거나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임플란트의 분리가 가능하게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제2 그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그립부와 상기 제2 그립부는 독립적으로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패키지.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내 슬릿의 상기 지지홀측 단부의 폭은 상기 지지홀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패키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내 슬릿의 상기 그립편 단부측의 폭은 상기 안내 슬릿의 상기 지지홀측 단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패키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내 슬릿은 상기 수용홀의 개방된 일측을 향하여 점차 넓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안내 슬릿의 상기 지지홀측 단부의 폭은 상기 지지홀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패키지.
KR1020110088791A 2011-09-02 2011-09-02 치과용 임플란트의 패키지 KR101260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791A KR101260914B1 (ko) 2011-09-02 2011-09-02 치과용 임플란트의 패키지
PCT/KR2012/005751 WO2013032133A1 (ko) 2011-09-02 2012-07-19 치과용 임플란트의 패키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791A KR101260914B1 (ko) 2011-09-02 2011-09-02 치과용 임플란트의 패키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5481A KR20130025481A (ko) 2013-03-12
KR101260914B1 true KR101260914B1 (ko) 2013-05-06

Family

ID=47756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791A KR101260914B1 (ko) 2011-09-02 2011-09-02 치과용 임플란트의 패키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60914B1 (ko)
WO (1) WO20130321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97931B1 (de) * 2014-09-19 2019-12-11 Cendres + Métaux SA Instrument zur handhabung eines dentalteils
CH710129A1 (de) * 2014-09-19 2016-03-31 Cendres & Métaux Sa Instrument, insbesondere Schraubendreher, zur Handhabung eines Dentalteils, insbesondere eines Patrizenteil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20084A (ja) 1998-07-13 2002-07-09 ノーベル ビウカーレ アーベー 組合せインプラント保持具およびバイアルキャップ
KR100723949B1 (ko) 2007-02-28 2007-06-04 주식회사 메가젠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KR100982967B1 (ko) 2008-09-24 2010-09-1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 픽스츄어 고정용 그립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92528B1 (de) * 2009-09-04 2013-02-20 Straumann Holding AG Verpackungsgehäuse für ein längliches Objek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20084A (ja) 1998-07-13 2002-07-09 ノーベル ビウカーレ アーベー 組合せインプラント保持具およびバイアルキャップ
KR100723949B1 (ko) 2007-02-28 2007-06-04 주식회사 메가젠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KR100982967B1 (ko) 2008-09-24 2010-09-1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 픽스츄어 고정용 그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32133A1 (ko) 2013-03-07
KR20130025481A (ko) 2013-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19741A1 (en) Package for drills, a method and an arrangement therefore
EP2526893B1 (en) Abutment for implant
US20060276809A1 (en) Metallic clamp for surgical applications
US9750583B2 (en) Fixture remover for implant
US8684177B2 (en) Stopper housing case
EP2572671A1 (en) Stopper ring for a bone drill
EP2567672A2 (en) Driver assembly with a driver and an abutment
KR101260914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패키지
KR200473225Y1 (ko) 오버덴쳐용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장치
KR200470574Y1 (ko) 오버덴쳐용 볼 타입 어태치먼트 장치
US20190315563A1 (en) Package for drills, a method and an arrangement therefore
KR101437376B1 (ko) 임플란트 시술용 어버트먼트 홀더
KR200441072Y1 (ko) 치과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고정부시
KR102036605B1 (ko) 픽스쳐체결용 틀니고정장치
KR101707596B1 (ko) 치과 임플란트의 상호 호환용 어버트먼트
KR20180078396A (ko) 치과 임플란트 유닛
KR100982967B1 (ko) 임플란트 픽스츄어 고정용 그립
KR100721603B1 (ko) 임플란트용 분리장치
KR101604910B1 (ko) 치과 임플란트의 픽스쳐 분리장치
KR100923275B1 (ko) 치과용 뼈 절단공구
KR102250959B1 (ko) 맞춤형 오버덴쳐용 보철물 부착용 맞춤형 어버트먼트
KR20150106603A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평행 식립장치 및 임플란트 평행 식립방법
KR100988306B1 (ko) 픽스쳐 식립시술용 드라이버
TWM500557U (zh) 數位五合一植牙手術輔助定位器
KR101521447B1 (ko) 펀칭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