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4272A - 다용도 조립용기 - Google Patents

다용도 조립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4272A
KR20060054272A KR1020060039736A KR20060039736A KR20060054272A KR 20060054272 A KR20060054272 A KR 20060054272A KR 1020060039736 A KR1020060039736 A KR 1020060039736A KR 20060039736 A KR20060039736 A KR 20060039736A KR 20060054272 A KR20060054272 A KR 20060054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urface
packaging container
container
convex
concav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9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성
Original Assignee
김용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성 filed Critical 김용성
Priority to KR1020060039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54272A/ko
Publication of KR20060054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42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65D21/0204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and joined together by interconnecting formations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 e.g. dove-tail, snap connections, hook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of polygonal cross-section and all parts being permanently connected to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조립용기는, 탄산음료와 우유, 차, 과즙, 쥬스, 커피 등 각종 음료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이 형성된 포장용기(10)는 합성수지 성형물로써, 6면을 가진 사각기둥으로, 외부면 중 제 1접촉면(21)에 9개의 볼록 돌기(20)가 형성되고 그 타측면인 제 6접촉면(33)에 9개의 오목 홈(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장용기(10)의 외부면 중 제 2접촉면(22)에 9개의 볼록 돌기(20)가 형성되고 그 타측면인 제 5접촉면(32)에 9개의 오목 홈(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장용기(10)의 외부면 중 제 3접촉면(23)에 9개의 볼록 돌기(20)가 형성되고 그 타측면인 제 4접촉면(31)에 9개의 오목 홈(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장용기(10)의 내부공간에 내용물을 빨대로 흡입할 수 있도록 제 1접촉면(21)에 흡입구(4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외부면에 형성된 오목 홈(30)은 상기와 같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 타포장용기(10a)의 외부면에 형성된 볼록 돌기(20) 및 상기 외부면에 형성된 볼록 돌기(20)는 상기와 같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 타포장용기(10a)의 외부면에 형성된 오목 홈(30)과 마찰 접촉을 통해 결합과 분리를 반복할 수 있어 소비자가 요구하는 다양한 욕구를 충족하여 일상생활에 있어 활용성이 매우 크며, 이에 재활용에 도움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용도 조립용기

Description

다용도 조립용기{Multipurpose assembly courag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조립용기의 사시도,
도 1a는 도 1의 도면의 복잡성을 고려해 도 1에서 표현하지 못한 A-A 선을 추가 및 B-B 선을 추가한 다용도 조립용기의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A-A의 종단면도,
도 1c는 도 1a의 B-B의 종단면도,
도 1d는 도 1의 펼침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와 타포장용기의 결합상태를 일실시예로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a는 도 2의 볼록 돌기와 오목 홈의 결합상태를 상세히 알아볼 수 있도록 볼록 돌기 및 오목 홈을 따로 떼어내어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볼록 돌기와 오목 홈의 결합상태를 상세히 알아볼 수 있도록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분리 단면도,
도 3은 2b의 볼록 돌기와 오목 홈의 결합상태 보다 진보된 볼록 돌기와 오목 홈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단면도.
도 4는 도 1의 흡입구를 다른 실시예로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포장용기 10a : 타포장용기
20 : 볼록 돌기 21 : 제 1접촉면
22 : 제 2접촉면 22a : 타타접촉면
23 : 제 3접촉면 30 : 오목 홈
31 : 제 4접촉면 31a : 타접촉면
32 : 제 5접촉면 33 : 제 6접촉면
40 : 흡입구 41: 마개
본 발명은 다용도 조립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품 내용물을 간편하게 저장하는 포장용기(10)에 볼록 돌기(20)와 오목 홈(30)을 형성하여 그 볼록 돌기(20)와 오목 홈(30)이 형성된 용기를 통해 남녀노소(男女老少) 사용자가 표현하고자 하는 여러 형태로 조립할 수 있는 조립기능을 갖춘 다용도 조립용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포장용기의 포장물질은 유리병, 종이포장물, 철캔, 알루미늄캔, 플라스틱용기(PVC, PET, HDPE)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중에 플라스틱용기인 PET(polyethylen terephthalate; 이하"PET"라함.)는 다른 포장물질인 유리병, 종이포장물, 철캔, 알루미늄캔 보다 재료의 다양한 디자인의 성형성이 우수하고 타 재료에 비해 중량이 가벼우며 충격에도 강하여 상품의 운반과 보관이 용이하여 파손이 적고 종래의 포장용기로 사용해 오던 유리병이나 종이팩, 철캔류를 PET 용기로 대체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PET 재질로 된 포장용기가 다른 재질로 만들어진 포장용기 보다 더 많이 소비되고 있는 것 만큼이나 가정 내외(內外)에서 PET 재질로 된 각종 포장용기가 생활쓰레기로 배출되는 양이 상상외로 많고 생활쓰레기를 수거하는 인력도 부족하여 주변의 생활환경이 파괴되는 것과 포장용기에 채워진 내용물을 음용자가 PET 재질로 만들어진 포장용기의 내용물을 모두 음용한 후에 빈 포장용기는 가정에서 생수용기로 재사용하는 것 외에 몇 가지 안 되는 생활에 지혜로써, 빈 포장용기의 이용성과 활용성이 극히 저조하여 일회용품이 아니지만 일회용품으로 전락(轉落)하는 문제점들이 있다.
이러한 PET 재질의 포장용기는 소비자가 즐겨 찾는 포장 용기 중 하나이나 소비자가 요구하는 다양한 욕구를 충족하지 못하는 것이 흠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포장용 기로 다양한 형태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조립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 다용도 조립용기는 각종 음료를 담기 위한 저장공간을 가지는 6면을 가진 사각기둥의 포장용기(10)와, 상기 포장용기(10)의 외부면 중 제 1접촉면(21)에 9개의 볼록 돌기(20)가 형성되고 그 타측면인 제 6접촉면(33)에 9개의 오목 홈(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장용기(10)의 외부면 중 제 2접촉면(22)에 9개의 볼록 돌기(20)가 형성되고 그 타측면인 제 5접촉면(32)에 9개의 오목 홈(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장용기(10)의 외부면 중 제 3접촉면(23)에 9개의 볼록 돌기(20)가 형성되고 그 타측면인 제 4접촉면(31)에 9개의 오목 홈(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볼록 돌기(20) 및 오목 홈(30)은 원통형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포장용기(10)의 내부공간에 내용물을 빨대로 흡입할 수 있도록 제 1접촉면(21)에 흡입구(4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조립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1a는 도 1의 도면의 복잡성을 고려해 도 1에서 표현하지 못한 A-A 선을 추가 및 B-B 선을 추가한 다용도 조립용기의 사시도이며, 도 1b는 도 1a의 A-A의 종단면도이고, 도 1c는 도 1a의 B-B의 종단면도이고, 도 1d는 도 1의 펼침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용기와 타포장용기의 결합상태를 일실시예로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2의 볼록 돌기와 오목 홈의 결합상태를 상세히 알아볼 수 있도록 볼록 돌기 및 오목 홈을 따로 떼어내어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볼록 돌기와 오목 홈의 결합상태를 상세히 알아볼 수 있도록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분리 단면도이고, 도 3은 2b의 볼록 돌기와 오목 홈의 결합상태 보다 진보된 볼록 돌기와 오목 홈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흡입구를 다른 실시예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조립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1d는 도 1의 펼침도로써, 도 1에서 표시되지 않은 면을 도 1d에서 알아보기 쉽게 제공하는 바, 포장용기(10)는 합성수지 성형물로써, 6면을 가진 사각기둥으로 각종 음료를 저장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외부면 중 제 1접촉면(21)에 9개의 볼록 돌기(20)가 형성되고 그 타측면인 제 6접촉면(33)에 9개의 오목 홈(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장용기(10)의 외부면 중 제 2접촉면(22)에 9개의 볼록 돌기(20)가 형성되고 그 타측면인 제 5접촉면(32)에 9개의 오목 홈(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장용기(10)의 외부면 중 제 3접촉면(23)에 9개의 볼록 돌기(20)가 형성되고 그 타측면인 제 4접촉면(31)에 9개의 오목 홈(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볼록 돌기(20) 및 오목 홈(30)은 원통형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포장용기(10)의 내부공간에 내용물을 빨대로 흡입할 수 있도록 제 1접촉면(21)에 흡입구(40)를 형성되 어 있다.
도 1b는 도 1a의 A-A의 종단면도로써, 포장용기(10)는 합성수지 성형물이고, 내부 공간이 빈 사각기둥으로 외부면이 굴곡진 볼록 돌기(20)와 오목 홈(30)은 원통형 구조를 형성하고 대응되는 내부면은 굴곡진 돌기 및 홈을 형성하고 있다. 그 외주면에 형성된 볼록 돌기(20)의 크기가 H3(10mm)*H4(5mm)이면 오목 홈(30) 외주면의 크기도 W3(10mm)*W4(5mm)로 형성되어 있으며, 오목 홈(30)과 오목 홈(30) 사이의 간격이 W2(30mm)이면 볼록 돌기(20)와 볼록 돌기(20) 사이의 간격도 H2(30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W1(15mm)은 오목 홈(30)과 오목 홈(30) 사이의 간격이 W2(30mm)에 1/2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면, H1(15mm)은 볼록 돌기(20)와 볼록 돌기(20) 사이의 간격도 H2(30mm)에 1/2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H4(5mm)의 길이는 W4(5mm)의 길이와 같으며, 상기 치수는 예시적인 공식이며, 상기 해당 부분의 길이나 크기가 변경될 경우, 이에 비례하여, 상기 비교되는 부분의 길이나 크기도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H의 길이나 W의 길이는 상기 예시적인 공식을 토대로 수치가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c는 도 1a의 B-B의 종단면도로써, 포장용기(10)는 합성수지 성형물이고, 내부 공간이 빈 사각기둥으로 외부면이 굴곡진 볼록 돌기(20)와 오목 홈(30)은 원통형 구조를 형성하고 대응되는 내부면은 굴곡진 돌기 및 홈을 형성하 고 있다. 그 외주면에 형성된 볼록 돌기(20)의 크기가 H3(10mm)*H4(5mm)이면 오목 홈(30) 외주면의 크기도 L3(10mm)*L4(5mm)로 형성되어 있으며, 오목 홈(30)과 오목 홈(30) 사이의 간격이 L2(30mm)이면 볼록 돌기(20)와 볼록 돌기(20) 사이의 간격도 H2(30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L1(15mm)은 오목 홈(30)과 오목 홈(30) 사이의 간격이 L2(30mm)에 1/2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면, H1(15mm)은 볼록 돌기(20)와 볼록 돌기(20) 사이의 간격도 H2(30mm)에 1/2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H4(5mm)의 길이는 L4(5mm)의 길이와 같으며, 상기 치수는 예시적인 공식이며, 상기 해당 부분의 길이나 크기가 변경될 경우, 이에 비례하여, 상기 비교되는 부분의 길이나 크기도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H의 길이나 L의 길이는 상기 예시적인 공식을 토대로 수치가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도 1b와 도 1c의 설명한 내용이 도 1과 도 1d와 도 2의 도시된 도면을 참고하여, 외부면에 볼록 돌기(20)가 형성된 접촉면인 제 1접촉면(21), 제 2접촉면(22), 제 3접촉면(23) 중 하나의 접촉면과 상기 포장용기(10)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 타포장용기(10a)의 외부면에 오목 홈(30)이 형성된 접촉면인 제 4접촉면(31), 제 5접촉면(32), 제 6접촉면(33) 중 하나의 접촉면이 서로 마찰 접촉을 통하여 의도적으로 특정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포장용기(10)에 형성된 볼록 돌기(20)와 타포장용기(10a)에 형성된 오목 홈(30)과 서로 결합을 시도하여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와 타포장용기의 결합상태를 일실시예로 나타낸 분리 사시도써, 포장용기(10) 외부면 중에 제 4접촉면(31)에 형성된 오목 홈(30)과 타포장용기(10a) 외부면 중 타타접촉면(22a)에 형성된 볼록 돌기(20)와 마찰 접촉을 통해 볼록 돌기(20)와 오목 홈(30)이 서로 밀착되어 결합된 것을 분리한 사시도이다.
따라서, 제 2접촉면(22)과 타접촉면(31a)과도 결합이 가능하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으며, 그 전체적인 구성 및 작용효과는 도 1b, 1c에서 설명한 내용을 토대로 외부면에 형성된 볼록 돌기(20)의 접촉면인 제 1접촉면(21), 제 2접촉면(22), 제 3접촉면(23) 중 하나의 접촉면과 상기 포장용기(10)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 타포장용기(10a)의 외부면에 형성된 오목 홈(30)의 접촉면인 제 4접촉면(31), 제 5접촉면(32), 제 6접촉면(33) 중 하나의 접촉면이 서로 마찰 접촉을 통하여 의도적으로 특정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포장용기(10)에 형성된 볼록 돌기(20)와 타포장용기(10a)에 형성된 오목 홈(30)과 서로 결합을 시도하여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는 도 2의 볼록 돌기와 오목 홈의 결합상태를 상세히 알아볼 수 있도록 볼록 돌기 및 오목 홈을 따로 떼어내어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로써, 도 2a는 하나의 볼록 돌기(20)와 하나의 오목 홈(30)을 제외한 전체의 외부면을 보이지 않게 하였고, 도 2에서 형성된 포장용기(10)와 타포장용기(10a)의 외부면에 형성된 볼록 돌기(20) 및 오목 홈(30) 중에 단 하나의 볼록 돌기(20)와 오목 홈(30)을 선택하여 결합 구조를 도시하므로써, 그 볼록 돌기(20)와 오목 홈(30)의 형상이 원통형이란 것을 알 수 있다.
도 2b는 도 2a의 볼록 돌기와 오목 홈의 결합상태를 상세히 알아볼 수 있도록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분리 단면도로써, 볼록 돌기(20)가 오목 홈(30) 내지 오목 홈(30)이 볼록 돌기(20)에 밀착 결합이 가능함은 도면에서 보듯이 볼록 돌기(20)가 오목 홈(30)에 안착 될 수 있는 것은, 도 1b와 도 1c를 설명한 내용을 참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2b의 볼록 돌기와 오목 홈의 결합상태 보다 진보된 볼록 돌기와 오목 홈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단면도로써, 포장용기(10)의 볼록 돌기(20)가 타포장용기(10a)의 오목 홈(30) 내지 포장용기(10)의 오목 홈(30)이 타포장용기(10a)의 볼록 돌기(20)에 밀착 결합이 가능함은, 타포장용기(10a)에 형성된 볼록 돌기(20)의 단면은 마치 아기젖병의 젖꼭지 부분을 닮은 듯한 형상이며 포장용기(10)에 형성된 오목 홈(30)은 상기 타포장용기(10a)에 형성된 볼록 돌 기(20)가 안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타포장용기(10a)의 볼록 돌기(20) 부분 중에 볼록돌기라운딩(50), 볼록돌기라운딩(50) 부분에 부드럽게 라운딩 처리되어 있으며, 포장용기(10)의 오목 홈(30) 부분 중에 상기 타포장용기(10a)의 볼록 돌기(20)가 포장용기(10)에 형성된 오목 홈(30)에 안착할 때 부딪히는 포장용기(10)의 부분인 오목홈라운딩(50a), 오목홈라운딩(50a) 부분은 PET 용기 재질의 특성으로 인해 탄력성을 가져 약간 벌어지고 타포장용기(10a)의 볼록 돌기(20) 부분 중에 볼록돌기라운딩(50), 볼록돌기라운딩(50) 부분도 PET 용기 재질의 특성으로 인해 탄력성을 가져 약간 수축하면서 포장용기(10)의 오목 홈(30)에 부분으로 밀려들어가서 안착하면, 타포장용기(10a)의 볼록 돌기(20) 부분 중에 볼록돌기라운딩(50), 볼록돌기라운딩(50) 부분은 PET 용기 재질의 특성으로 인해 탄력성을 가져 약간 수축한 것이 벌어지면서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고 포장용기(10)의 부분인 오목홈라운딩(50a), 오목홈라운딩(50a) 부분도 PET 용기 재질의 특성으로 인해 탄력성을 가져 약간 벌어진 것이 수축하여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2b의 원통형으로 형성된 볼록 돌기(20)와 오목 홈(30)의 결속력 보다 진보된, 결속력이 높은 볼록 돌기(20)와 오목 홈(30)이라 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흡입구를 다른 실시예로 나타낸 사시도로써, 소비자가 요구하 는 다양한 방법 중에 포장용기(10)의 내부에 채워져 있는 내용물이 있을 경우에, 도 1을 참고로 포장용기(10)에 내용물을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이 1.5L 정도되면 흡입구(40)에 빨대를 꽃아 내용물을 마실 수가 없는 문제가 있으므로써, 상기와 같은 대용량의 내용물을 저장하는 포장용기(10)는 흡입구(40)의 위치에 마개(41) 구비하여, 종래에 나사결합을 하는 마개(41)를 구비함으로써, 문제가 해소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 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조립용기에 의하면 각종 음료를 담기 위한 저장공간을 가지는 6면을 가진 사각기둥의 포장용기(10)와, 상기 포장용기(10)의 외부면 중 제 1접촉면(21)에 9개의 볼록 돌기(20)가 형성되고 그 타측면인 제 6접촉면(33)에 9개의 오목 홈(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장용기(10)의 외부면 중 제 2접촉면(22)에 9개의 볼록 돌기(20)가 형성되고 그 타측면인 제 5접촉면(32)에 9개의 오목 홈(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장용기(10)의 외부면 중 제 3접촉면(23)에 9개의 볼록 돌기(20)가 형성되고 그 타측면인 제 4접촉면(31)에 9개의 오목 홈(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볼록 돌기(20) 및 오목 홈(30)은 원통형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포장용기(10)의 내부공간에 내용물을 빨대로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구(40)를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종래에 사용하던 용기와는 다르게 용기를 모으려고 하는 소비자의 관심과 더불어 몇 가지의 효과를 다음과 같이 적는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조립용기는 조립이 가능함에 따라서 크기나 종류별로 제작된 용기를 조립하고자 하는 형상을 생각하며 빈 용기를 많이 모을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서 빈 용기들이 길거리나 자연에 마구 버려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음.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조립용기는 조립이 가능함과 각종 용기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서 화분이나 분재 같은 것을 본 포장용기의 한 면을 절개한 후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음.
셋째, 간편한 조립으로 인해 날씨가 더운 계절인 여름에 방 바닥이나 들 마루에 일자(평자)로 조립하여 이용하면 볼록 돌기가 있는 면은 지압이 되는 효과를 가짐.
넷째, 학교급식용 우유용기로 종이 팩 대신에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조립용기를 사용한다면 지금 보다 나은 재미로 인해, 이벤트를 제공하여 어린이들의 두뇌개발과 재활용에 대한 인식이 더욱더 나아질 것임.
다섯째, 학교, 집, 학원 등에 바쁘게 생활하는 어린 아이들이 공부에 지쳐서 힘들어 할 때, 한 순간이라도 재미를 만끽할 수 있음을 예상함.
여섯째, 무궁무진한 아이디어로 무엇이든지 조립할 수 있어서 실생활에 많은 보탬이 된다. 예를 들어, 화장품보관함이나 애견동물의 집, 배게, 서류함 등에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음.

Claims (6)

  1. 각종 음료를 저장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마련된 포장용기와, 상기 포장용기의 외부면에 볼록 돌기가 형성된 접촉면인 제 1접촉면, 제 2접촉면, 제 3접촉면과 이에 대칭되는 접촉면인 제 4접촉면, 제 5접촉면, 제 6접촉면에 오목 홈이 형성된 6면을 가진 사각기둥이며, 상기 볼록 돌기 및 오목 홈은 원통형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포장용기의 내부공간에 내용물을 빨대로 흡입할 수 있도록 제 1접촉면에 흡입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립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접촉면, 제 2접촉면, 제 3접촉면에 형성된 각 볼록 돌기 및 제 4접촉면, 제 5접촉면, 제 6접촉면에 형성된 각 오목 홈은 하나 이상의 동일한 갯수로 각 접촉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립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6면을 가진 사각기둥의 외부면인 접촉면을 하나 이상 늘리거나 외부면인 접촉면을 하나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립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 돌기 및 오목 홈을 다각형기둥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립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 돌기의 단면은 마치 아기젖병의 젖꼭지 부분을 닮은 형태이며, 오목 홈의 단면은 상기 볼록 돌기가 안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립용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종래의 나사결합식 마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립용기.
KR1020060039736A 2006-05-02 2006-05-02 다용도 조립용기 KR200600542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736A KR20060054272A (ko) 2006-05-02 2006-05-02 다용도 조립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736A KR20060054272A (ko) 2006-05-02 2006-05-02 다용도 조립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4272A true KR20060054272A (ko) 2006-05-22

Family

ID=37150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9736A KR20060054272A (ko) 2006-05-02 2006-05-02 다용도 조립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5427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1090A (ko) * 2017-03-31 2018-10-11 주식회사 메가젠글로벌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KR20230156520A (ko) 2022-05-06 2023-11-14 강영길 조립식 용기블럭 및 이 조립식 블럭을 이용한 다용도 조립식 용기블럭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1090A (ko) * 2017-03-31 2018-10-11 주식회사 메가젠글로벌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KR20230156520A (ko) 2022-05-06 2023-11-14 강영길 조립식 용기블럭 및 이 조립식 블럭을 이용한 다용도 조립식 용기블럭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7625B2 (en) Synthetic resin container having a rectangular cylindrical part and a round cylindrical narrow part
US9648971B2 (en) Nesting and reconfigurable wine glass
CA2342259C (en) Nested containers
AU2008291199A1 (en) Collapsible bottles and methods using same
MXPA04008667A (es) Contenedor de plastico que tiene secciones de sujecion.
WO2013134307A1 (en) Top mounting bottle container
WO2007133304A2 (en) Plastic container
US20140332495A1 (en) Beverage or alcohol container
MXPA04008668A (es) Contenedor de plastico que tiene nervaduras estructurales.
US10464720B2 (en) Cork and paperboard beverage-packaging container
WO2002036444A1 (en) Container module and modular container formed therefrom
KR20060054272A (ko) 다용도 조립용기
US20180237186A1 (en) Individual beverage bottle accessory
KR100952175B1 (ko) 접이식 슬라이딩 스트로
US7958997B2 (en) Reversible modular can interlocking device
US20070125740A1 (en) Detachable containers
US20130341324A1 (en) Multi-Compartment Receptacle
KR200404793Y1 (ko) 분리형 이중 음료용기
GB2403202A (en) Bottle having a drinking cup
KR102220212B1 (ko) 직렬 또는 병렬 결합이 가능한 조립식 음료 용기
KR200203011Y1 (ko) 다중 용기
CN2141411Y (zh) 带杯子的饮料瓶
KR200259295Y1 (ko) 측면에 돌출부를 형성한 병뚜껑
KR200391817Y1 (ko) 컵이 부착된 음료수 용기세트.
KR20130038079A (ko) 수직 적층형 액체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