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7509B1 - 브레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7509B1
KR101917509B1 KR1020170058041A KR20170058041A KR101917509B1 KR 101917509 B1 KR101917509 B1 KR 101917509B1 KR 1020170058041 A KR1020170058041 A KR 1020170058041A KR 20170058041 A KR20170058041 A KR 20170058041A KR 101917509 B1 KR101917509 B1 KR 101917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electrode
disk
shoe
slip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8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갑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058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75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6/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working conditions, e.g. wear,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1/0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 F16D51/16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 F16D51/18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with two brake-sho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회전체와 연결된 디스크의 제동을 구현하는 패드의 마모, 편마모 또는 패드와 브레이크 슈 등의 기계적인 결함에 따른 장치의 비정상 가동을 신속하게 파악 가능하게 하는 한편, 디스크와 패드간 슬립량도 파악 가능하게 한 브레이크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브레이크 장치는, 바디수단상에서 구동수단을 매개로 작동되는 슈수단;과, 상기 슈수단에 제공되고 선택적으로 디스크수단에 밀착되어 제동을 구현하는 패드수단;과, 상기 슈수단과 패드수단의 다수 지점에서 관통하여 제공되고 슈수단의 작동에 따라 상기 디스크수단에 밀착되거나 이격되는 전극수단; 및, 적어도 상기 디스크수단과 패드수단의 슬립량을 파악 가능하게 제공되는 슬립량 감지수단;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브레이크 장치{Brake Apparatus}
본 발명은 제동을 구현하는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체와 연결된 디스크의 제동을 구현하는 패드의 마모, 편마모 또는 패드와 브레이크 슈 등의 기계적인 결함에 따른 장치의 비정상 가동을 신속하게 파악 가능하게 하는 한편, 디스크와 패드 간 슬립양도 파악 가능하게 한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체 전반에서는 설비나 회전체의 제동을 구현하는 브레이크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원통 디스크의 양측에서 감싸는 패드가 브레이크 슈에 부착되어 디스크에 이격된 상태에서, 구동원의 작동으로 브레이크 슈가 원통 디스크에 밀착되는 경우 패드가 디스크를 압박하여 제동이 구현되고, 반대로 브레이크 슈가 작동하면 패드가 디스크에서 이탈되어 제동이 풀리면서 원통디스크에 연결된 회전체 등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런데, 예컨대 크레인 등의 이동 설비의 제동에 사용되는 기존 브레이크 장치의 가동과 관련하여, 지금까지는 주로 제동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패드의 마모를 감지(파악) 가능하게 하거나, 패드량을 파악하여, 장치의 오작동에 따른 문제를 미리 차단하고, 장치의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었다.
즉, 기존의 경우 대부분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 환경에 국한되어 문제를 해소하는 것과 관련된 기술이 대부분이었고, 보다 다양한 문제 즉, 패드의 편마모나 기계적 결함도 실시간 파악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는 없었다.
이에, 기존 브레이크 장치의 가동시 발생되는 패드의 마모는 물론, 패드의 편마모, 기타 기계적 결함이나, 정상적인 패드 닫힘이나 개방 등의 매우 다양한 브레이크의 작동 상태를 파악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요구되어 왔다.
더욱이, 이와 같은 브레이크 장치의 다양한 작동상태의 파악을 가능하게 하면서, 디스크와 패드 간 슬립 정도(량)도 파악 가능하게 하는 기술도 요구되어 왔다.
한편, 일본국(JP) 공개특허 2013-079121 A(2013.05.02)에서는 브레이크 패드 마모 등을 감지하는 관련 기술이 개시되나, 실질적으로 위의 여러 요구되는 기술들을 만족하지는 못하는 것이다.
일본국(JP) 공개특허 2013-079121 A (2013.05.02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회전체와 연결된 디스크의 제동을 구현하는 패드의 마모, 편마모 또는 패드와 브레이크 슈 등의 기계적인 결함에 따른 장치의 비정상 가동을 신속하게 파악 가능하게 하는 한편, 디스크와 패드간 슬립량도 파악 가능하게 한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바디수단 상에서 구동수단을 매개로 작동되는 슈수단; 상기 슈수단에 제공되고 선택적으로 디스크수단에 밀착되어 제동을 구현하는 패드수단; 상기 슈수단과 패드수단의 다수 지점에서 관통하여 제공되고 슈수단의 작동에 따라 상기 디스크수단에 밀착되거나 이격되는 전극수단; 및, 적어도 상기 디스크수단과 패드수단의 슬립량을 파악 가능하게 제공되는 슬립량 감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슬립량 감지수단은, 상기 패드수단과 슈수단의 적어도 일지점에 제공되는 제2 전극봉; 및, 상기 제2 전극봉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디스크수단의 원주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요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크수단은 원통 디스크로 제공되고, 상기 패드수단과 슈수단은 상기 원통디스크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패드와 슈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극수단은, 상기 슈수단에 장착되는 갭부재와 상기 패드수단에 형성된 전극홀을 관통하여 상기 디스크수단에 접촉하는 전극봉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봉은 상기 슈수단과 패드수단의 상,하측으로 배치되어 적어도 장치 사방에 제공될 수 있다.
이?, 상기 전극봉은 상기 디스크수단인 원통디스크와의 접촉 유무에 따라 전기적인 폐회로 또는 개방회로를 구현하여 패드와 원통디스크간 접촉 유무를 파악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극봉이 관통하는 전극홀의 주변에 형성되어 적어도 전극 마모분이 유입되는 환형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전극봉은 상기 슈수단에 구비된 슈에 장착되는 갭부재와 상기 패드수단에 구비된 패드에 형성된 제2 전극홀를 관통하여 상기 디스크수단인 원통디스크와 접촉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전극봉은, 제동시 원통디스크와 패드간 슬립이 발생되는 경우 통과하는 상기 요홈부의 갯수에 대응되어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폐회로 및 개방회로를 매개로 슬립량이 감지되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제2 전극홀의 주변에 형성되어 제2 전극봉의 디스크수단 접촉시 발생되는 전극 마모분이 유입되는 제2 환형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실질적으로 회전체와 연결된 디스크의 제동을 구현하는 패드의 마모, 편마모 또는 패드와 브레이크 슈 등의 장치 기계적인 결함에 따른 장치의 비정상적인 가동을 신속하게 파악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제동시 디스크와 패드간 슬립 량도 정밀하게 파악 가능하게 하는 다른 효과를 제공한다.
이에 궁극적으로, 브레이크 장치의 오작동을 예방하여 이로 인하 설비 사고를 방지하고, 장치의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하면서 장치 수명을 극대화 가능하게 하는 또 다른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요부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4는 도 1의 'B' 부분의 확대도
도 5는 도 2의 'C' 부분의 확대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의 패드 마모, 기계적 결함 및 정상 닫힘과 개방 등의 작동 상태를 파악하는 상태도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브레이크 장치의 담힘과 개방 상태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11은 도 9 내지 도 10에서 도시한 브레이크 장치의 여러 작동 환경을 도시한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이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이하의 본 실시예 설명에서, 본 발명의 브레이크 장치(100)와 관련된 주요 구성수단인 바디수단(110), 슈수단(130), 디스크수단(150) 및 패드수단(170)은 100번대의 도면부호로 설명하고,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듯이 본 발명의 주요 특징적 구성수단인 전극수단(210)과 슬립량 감지수단(230)은 200번대의 도면부호로 설명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전극수단과 슬립량 감지수단을 포함하는 브레이크 장치(100)를 도시하고,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브레이크 장치(100)를 도시하고 있다. 이에 먼저 도 9 내지 도 11을 토대로 본 발명과 관련된 브레이크 장치의 기본 구성과 작동을 설명하고, 그 다음 도 1 내지 도 8을 토대로 전극수단(210)과 슬립량 감지수단(230)을 기반으로 하는 본 발명의 브레이크 장치(100)를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본 실시예 설명에서 디스크수단은 일 실시예로 원통디스크(150)로 설명한다.
먼저, 도 9 및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된 브레이크 장치(100)는 기본적으로 구동수단(120)을 매개로 구동되는 슈수단(130)와, 상기 슈수단(130)에 제공되고 선택적으로 원통디스크(150)에 밀착되어 제동을 구현하는 패드수단(17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원통디스크(150)의 중심에는 회전축(152)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과 관련된 브레이크 장치(100)는, 상기 구동수단(120)과 슈수단(130)이 장착되는 바디수단(11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패드수단(170)과 슈수단(130)은 상기 원통디스크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패드(172)와 슈(132)들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바디수단(110)은, 베이스(112)와 상기 베이스(112)의 양측으로 한쌍이 각각 제공되는 제1 바디(114)들과 상기 제1 바디에 제공되는 제2 바디(116)들로 제공되고, 베이스(112)와 제1 바디(114)들은 제동을 구현하기 위한 제1 바디의 유동을 가능토록 핀(118)으로 조립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120)은 일측 제2 바디(116)상에 제공되는 전자석 (121)을 관통하는 축(122)에 제공된 구동디스크(123)와, 상기 축(122)에 제동 스프링(124)을 매개로 타측 제2 바디(116) 상에 연계되는 작동로드(125)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로드(125)는 제2 바디(116)상에 나사 방식으로 너트(126)를 통하여 길이 조정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전자석(121)에 전원이 인가되어 자력이 발생되면 구동디스크(123)는 도 10과 같이, 전자석(121)으로 밀착되고, 이? 축(122)과 제동스프링(124)의 유동으로 작동로드(125)가 이동하게 되고, 이와 같은 작동로드(125)의 이동은 연계된 제2 바디(116)에 수직한 제1 바디(114)가 베이스의 핀(118)을 기준으로 원운동하게 된다.
즉, 제1 바디(114)들이 서로 멀어지거나 좁아지는 이격 운동에 따라 한쌍의 패드수단(170)의 패드(172)들이 원통디스크(150)와 밀착되거나 이격됨에 따라 제동이 구현되거나, 제동이 인가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예컨대, 도 9는 제동이 구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미제동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도 9 및 도 10에서 미설명 도면부호 127 및 190은 커버와 갭 조정기구이다.
한편, 도 2, 도 9 및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슈수단(130)의 슈(132)의 후면에는 핀 고정홈부(134)가 일체로 제공되고, 여기에 제1 바디(114)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핀(136)이 삽입된다.
따라서, 앞에서 설명한 구동수단(120)의 작동시 제1 바디(114)가 베이스 상의 핀(118)을 기준으로 이동하면, 상기 양측 슈수단(130)의 슈(132)에 부착된 한쌍의 패드수단(170)의 패드(172)들은 상기 원통디스크(150)의 외주면이 밀착되거나 이격되게 되고, 밀착시 제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도 11a 내지 도 11e에서는 도 9 및 도 10을 토대로 앞에서 설명한 본 발명과 관련된 브레이크 장치(100)의 여러 작동 환경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때, 도 11c 내지 도 11e에서 'x','y','z'는 패드 마모나 기계적 결함 등에 따른 비정상적인 패드(172)의 원통디스크(150)간 이격부분(틈새)을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1a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브레이크 장치(100)의 '정상개방'를 도시하고 있는데, 양측 패드(172)들이 원통디스크(150)에서부터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어 미제동 상태로 원통디스크(150)가 정상적으로 구동되는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다음, 도 11b에서는 양측 패드(172)들이 원통디스크(150)의 양측면에 동일하게 밀착되어 제동이 구현되는 '정상닫힘' 상태 또는, 도 11a의 '정상개방'이 기계적 문제로 발생되지 않는 '개방실패'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다음, 도 11c 내지 도 11e에서는, 브레이크 작동이 정상적이지 않는 상태들을 도시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도 11c에서는 '마모결함'으로 패드(172)의 일부분이 원통디스크(150)에서 이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11d에서는 도 11c와 반대로 다른 패드의 일부분이 원통디스크(150)에서 이격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11e는 '기계적결함' 상태로서 패드(172)들이 원통디스크(150)와 불균일하게 이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c 내지 도 11e에서 'x','y','z'은 비정상 이격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과 관련된 브레이크 장치(100)는 실제 제동을 구현하는 원통디스크(150)에 밀착되는 패드수단(170)의 패드(172)들과 원통디스크(150)간 밀착과 이격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이들은 쉽게 감지(파악)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100)를 도 1 내지 도 8에서 도시하고 있다.
이에,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10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앞에서 도 9 내지 도 11을 토대로 앞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100)의 기본 구성수단인 바디수단(110), 구동수단(120), 슈수단(130), 디스크수단(150) 및 패드수단(170)들의 상세한 설명은 이하의 본 실시예 설명에서는 간략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100)는, 상기 슈수단(130)과 패드수단(170)의 다수 지점에서 관통하여 제공되고 슈수단(130)의 작동에 따라 원통디스크(150)에 밀착되거나 이격되면서 장치의 작동상태를 파악 가능하게 하는 전극수단(210) 및, 적어도 상기 원통디스크(150)와 패드수단(170)의 슬립량을 파악 가능하게 제공되는 슬립량 감지수단(230)을 포함한다.
따라서, 다음의 도 6 내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극수단(201)은 도 11a 내지 도 11e를 토대로 설명한, '정상개방','정상닫힘', 패드의 '마모결함' 및 '기계적 결함' 등의 장치 가동시의 여러 상태(정상, 비정상 상태)를 간단하게 파악 가능하게 한다.
다음, 본 발명의 전극수단(210)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 내지 도 3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슈수단(130)의 슈(132)에 형성된 캡 장착 구멍(222)에 삽입되는 갭부재(212)를 관통하고, 상기 패드수단(170)의 패드(172)에 형성된 전극홀(214)에 삽입되는 전극봉(216)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캡부재(212)는 슈(132)에 형성된 구멍(222)에 삽입되고, 상기 캡부재(212)의 중심에는 구멍(미부호)이 형성되어 전극봉(216)이 이를 관통하여 패드(172)에 형성된 전극홀(214)에 전극봉(216)이 삽입 고정되고, 이에 패드와 전극봉은 디스크 제동시 같이 마모되게 된다.
이때, 상기 캡부재(212)는 별도의 도면 부호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헤드부분이 구비되어 상기 슈의 구멍(222)을 덮개된다.
즉, 슈(132)의 작동으로 패드(172)가 원통디스크(150)에서 밀착되거나 이격되면 일체로 전극봉(216)도 원통디스크(150)에서 밀착되거나 이격된다.
이때, 본 발명의 전극수단(210)의 전극봉(216)은, 상기 원통디스크(150)에 접촉하되,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쌍의 슈(132)와 패드(172) 상,하측으로 배치되어 적어도 장치의 사방에 배치되게 제공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극수단(210)의 전극봉(216)들은 상기 슈(132)와 패드(172)를 관통하여 상기 원통디스크(150)와의 접촉하게 제공되고, 원통디스크의 제동시 원통디스크와 패드간 슬립이 발생되면, 상기 패드와 마찬가지로 상기 전극봉(216)들도 마모되어 패드와 전극봉 간 틈새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원통디스크(150)의 양측으로 상,하에 총 4지점에 배치되는 전극봉(216)들은 결국 원통디스크(150)의 사방에서 슈(132)의 작동에 따라 접촉되거나 접촉되지 않게 된다.
이때, 제동을 수행하는 경우 본 발명의 전극수단(210)의 전극봉(216)이 패드와 일체로 원통디스크의 외주면에 접촉하면 전기적으로 폐회로가 형성되고, 반대로 슈수단(130)의 슈(132)가 작동하여 패드와 일체로 전극봉(216)이 원통디스크의 외주면에서 이격되면, 개방회로를 구현하게 되고, 결국 전극봉과 원통디스크간 접촉 유무에 따라,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 상태를 정밀하고 신속하게 파악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극(216)이 관통하는 패드(172)에 형성된 전극홀(214)의 주변에는 환형홈(218)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즉, 도 3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극(216)이 삽입되는 패드 전극홀(214) 주변의 환형홈(218)에는 패드(172)와 일체로 원통디스크와 접촉하고 디스크의 슬립으로 전극봉에서 마모가 발생하면, 전극봉 가루 즉, 전극봉 마모분들은 상기 환형홈(218)에 유입되고,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환형홈(218)은 전극봉과 디스크 사이의 전극 마모분에 의한 오작동 방지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극봉(216)들은 전선(220)들이 각각 연결되고, 이들 전선은 도 6 내지 도 7과 같이, 전극 신호를 발생시키어 전극봉 들의 원통디스크 접촉 유무에 따른, 개방회로 또는 폐회로 형성시 이를 감지 가능하게 하고, 도면에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는 제어부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작업자(관리자)가 쉽게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 상태를 파악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 내지 도 8에서는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브레이크 장치(100)에서 전극수단(210)을 매개로 한 장치의 여러 작동상태를 파악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즉, 도 6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도 11a에서 설명한 '정상개방'을 도시하고 있는데, 총 4개의 전극봉(216) 1 내지 4는 원통디스크(150)에서 모두 이격된 상태이고, 이경우 신호정보는 '0'로서 '정상개방'은 모두 '양호'로 판단된다.
여기서, 전극봉 1은 상부 우측의 전극봉을 의미하고, 시계방향으로 전극봉 2 내지 4가 배치된다.
따라서, 브레이크 장치(100)는, 제동이 인가되지 않는 상태로 패드와 디스크간 국부 접촉이 없는 정상 개방상태로 작동됨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6의 경우 패드(172)가 원통디스크(150)에 접촉되어 제동을 구현하는 것이 정상적이라면, 반대로 '정상닫힘실패'인 경우 에러 신호가 표시될 것이다.
다음, 도 7에서는 도 6과는 반대로 '정상닫힘' 또는 '정상개방실패'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경우도 전극봉(216) 1 내지 4 모두가 원통디스크와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전극봉(216)들이 원통디스크(150)의 4지점에서 모두 접촉하면 제동을 구현하는 정상닫힘으로 판단되거나, 도 6과는 반대로 패드들이 디스크에서 이격되어야 하는 '정상개방'이 이루어지지 않은 '정상개방실패'로 판단될 수 있다.
즉, 도 6 및 도 7의 경우는 전극봉(216)들이 원통디스크(150)의 외주면에 적어도 4지점에서 모두 접촉하거나 이격된 상태로서, 개방이나 닫힘의 정상 또는 실패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 및 도 7에서 '실패'인 경우 작업자가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 구현이나 제동 불인가 지시를 토대로 그 반대인 경우인 것으로 판단되면 될 것이다.
다음, 도 8에서는 '패드마모' 또는 '기계적 결함' 상태를 나타낸다.
즉, 도 8에서 상부 우측의 전극봉인 전극봉 1이라 하고 시계방향으로 전극봉 2 내지 4라 할때, 전극봉 1은 '개방인 경우' 원통디스크(150)와 밀착되므로 에러로 나타내고, 닫힘인 경우 양호로 나타내고, 전극봉 2는 개방을 양호로, 전극봉 3,4는 닫힘을 양호로 나타낸다.
결국, 도 6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100)는, 정상개방, 정상닫힘, 패드마모, 기계적 결함 등의 장치 작동상태를, 전극수단(210)의 전극봉(216)의 원통디스크(150)간 밀착 유무로 간편하게 파악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다음, 도 1, 도 2, 도 4 및 도 5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100)의 상기 슬립량 감지수단(230)을 도시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슬립량 감지수단(230)은, 상기 패드수단(170)과 슈수단(130)의 적어도 일지점에 제공되는 제2 전극봉(232) 및, 상기 제2 전극봉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원통디스크(150)의 원주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요홈부(234)들을 포함하여 제공된다.
따라서, 도 2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슬립량 감지수단(230)의 제2 전극봉(232)은 원통디스크(150)가 패드(172)에서 제동시 슬립되면, 상기 제2 전극봉(232)은 고정된 위치에서 상기 원통디스크(150)에 형성된 요홈부(234)를 통과하고, 원통디스크(150)와 접촉하는 것을 반복하는 정도에 따라, 제동시 원통디스크의 패드 슬립량(정도)를 파악 가능하게 하는데, 예를 들어 슬립량이 크면 클수록 원통디스크의 회전량이 증가하고, 이경우 제2 전극봉(216)은 더 많은 요홈부(234)들을 거치게 된다.
즉, 상기 슬립량 감지수단(230)의 제2 전극봉(232)이 원통디스크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경우 전기적으로 폐회로가 형성되고, 반대로 제2 전극봉(232)이 요홈부(234)에 위치되면 전기적 통전이 차단되는 개방회로가 형성되고, 따라서 폐회로와 개방회로의 형성 휫수를 감지하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요홈부(234)사이의 간격이 설정되어 있어, 슬립량을 파악(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디스크의 슬립 정도에 따라 제2 전극봉(232)이 통과하는 요홈부(234)들의 숫자는 결과적으로 슬립량에 비례하고, 이를 기준으로 슬립량이 파악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슬립량 감지수단(230)의 상기 제2 전극봉(232)은 상기 슈수단(130)의 슈(132)에 형성된 구멍(242)에 장착되는 제2 갭부재(236)의 중심 구멍(미부호)를 관통하고, 상기 패드수단(170)의 패드(172)에 형성된 제2 전극홀(238)에 삽입되어, 원통디스크(150)와 접촉하도록 제공될 수 있고, 전선(244)이 제2 갭부재를 통과하여 상기 제2 전극봉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전극봉(232)이 관통되는 패드에 형성된 제 2 전극홀(238)의 주변에도 제2 전극봉과 디스크 접촉시 발생되는 전극 마모분이 유입되게 하는 제2 환형홈(24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극 마모분에 의한 제2 전극봉(232)의 원통디스크 접촉 오류도 방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슬립량 감지수단(230)도 제2 전극봉(232)을 매개로 하여 원통디스크(150)와 요홈부(234)간 전극 위치시의 전기적인 폐회로와 개방회로의 형성을 토대로, 원통디스크의 슬립량을 감지할 수 있게 한다.
이는, 원통디스크의 제동이 정상적 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하여, 패드의 과마모 등에 따른 패드 교체 등의 장치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장치 수명도 연장시키는 것이다.
한편,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슬립량 감지수단(230)은, 앞에서 설명한 한쌍의 패드(172)들의 상,하측에 배치되는 전극수단(210)의 사이로 배치되되, 원통디스크의 폭방향으로는 전극수단(210) 보다 원통디스크의 모서리 쪽으로 더 배치되고, 이에 대응하여 원통디스크(150)의 원주를 따라 요홈부(234)들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들은 전극봉 마찰을 줄이도록 입구 부분이 더 확장된 구조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1, 도 3 및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전극수단(210)의 전극봉(216)과 연결된 전선(220)과 슬립량 감지수단(230)의 제2 전극봉(232)과 연결된 전선(244)들은 파워유닛(P)에 집결되어, 도 6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신호정보 '0' 또는 '1' 을 발생시키도록 전기적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브레이크 장치(100)는, 제동과 관련된 '정상개방','정상닫힘','정상개방실패','정상닫힘실패','패드마모'.'기계적결함'등을 신속하게 파악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원통디스크와 패드간 슬립량 감지도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브레이크 장치 110... 바디수단
120.... 구동수단 130.... 슈수단
132.... 슈 150.... 디스크수단(원통디스크)
170.... 패드수단 172.... 패드
210.... 전극수단 212,236.... 갭부재 및 제2 캡부재
214, 238.... 전극홀 및 제2 전극홀 216,232.... 전극봉 및 제2 전극봉
230.... 슬립량 감지수단 234.... 요홈부

Claims (9)

  1. 바디수단 상에서 구동수단을 매개로 작동되는 슈수단;
    상기 슈수단에 제공되고 선택적으로 디스크수단에 밀착되어 제동을 구현하는 패드수단;
    상기 슈수단과 패드수단의 다수 지점에서 관통하여 제공되고 슈수단의 작동에 따라 상기 디스크수단에 밀착되거나 이격되는 전극수단; 및,
    적어도 상기 디스크수단과 패드수단의 슬립량을 파악 가능하게 제공되는 슬립량 감지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슬립량 감지수단은, 상기 패드수단과 슈수단의 적어도 일지점에 제공되는 제2 전극봉; 및,
    상기 제2 전극봉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디스크수단의 원주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요홈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브레이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수단은 원통 디스크로 제공되고,
    상기 패드수단과 슈수단은 상기 원통디스크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패드와 슈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전극수단은, 상기 슈수단에 장착되는 갭부재와 상기 패드수단에 형성된 전극홀를 관통하여 상기 디스크수단에 접촉하는 전극봉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봉은 상기 슈수단과 패드수단의 상,하측에 배치되어 적어도 장치 사방에 제공되는 브레이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봉은 상기 디스크수단인 원통디스크와의 접촉 유무에 따라 전기적인 폐회로 또는 개방회로를 구현하여 패드와 원통디스크간 접촉 유무를 파악 가능하게 하는 브레이크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봉이 관통하는 전극홀의 주변에 형성되어 적어도 전극 마모분이 유입되는 환형홈을 더 포함하는 브레이크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봉은, 상기 슈수단에 구비된 슈에 장착되는 제2 갭부재와 상기 패드수단에 구비된 패드에 형성된 제2 전극홀를 관통하여 상기 디스크수단인 원통디스크와 접촉하도록 제공되는 브레이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봉은, 제동시 원통디스크와 패드간 슬립이 발생되는 경우 통과하는 상기 요홈부의 갯수에 대응되어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폐회로 및 개방회로를 매개로 슬립량이 감지되도록 구성되는 브레이크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홀의 주변에 형성되어 제2 전극봉의 디스크수단 접촉시 발생되는 적어도 전극 마모분이 유입되는 제2 환형홈을 더 포함하는 브레이크 장치.
KR1020170058041A 2017-05-10 2017-05-10 브레이크 장치 KR101917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041A KR101917509B1 (ko) 2017-05-10 2017-05-10 브레이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041A KR101917509B1 (ko) 2017-05-10 2017-05-10 브레이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7509B1 true KR101917509B1 (ko) 2018-11-12

Family

ID=64397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8041A KR101917509B1 (ko) 2017-05-10 2017-05-10 브레이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750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3922A (ja) 2006-11-29 2008-06-12 Hitachi Ltd 電動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3922A (ja) 2006-11-29 2008-06-12 Hitachi Ltd 電動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5760A (en) Apparatus for detecting and signaling the function and status of an elevator safety brake
KR101433844B1 (ko) 도전성 마모 카운터페이스와의 이용을 위한 개방 회로 마모 센서
US6257374B1 (en) Brake pad wear sensing system and method
EP1127025B1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operation and condition of the holding brake of an elevator and holding brake
CN109510389A (zh) 电磁电机的制动系统
JP4667489B2 (ja) エレベータ用ブレーキ点検システム
US98561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lubricant content of elevator ropes
KR20080111408A (ko) 브레이크 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구동기 및 방법
RU2002102419A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спуска людей с горной станции на станцию в долине
KR101917509B1 (ko) 브레이크 장치
JP2006528117A (ja) ロープブレーキ
KR20120052810A (ko)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 파단 감지장치
US9580275B2 (en) Elevator system having a safety device
JP7151998B2 (ja) ブレーキライニングの摩耗検出センサー、および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JP2019126107A (ja) モータ駆動装置および故障検出方法
JP2008037611A (ja) 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装置の調整治具
JP6220650B2 (ja) 産業用ロボットの無励磁作動型電磁ブレーキ
US7420450B2 (en) Apparatus for providing supervisory signal for a solenoid
EP2522874A1 (de) Aufzugsantrieb mit Bremse
JP7098573B2 (ja) エレベーター調速機
JPH09240936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CN112004768A (zh) 电梯设备
JP5429808B2 (ja) エレベータ巻上機ブレーキ
EP3800154B1 (en) Elevator brake control device, elevator brake system and method of testing such elevator brake system
WO2020039586A1 (ja) 摩耗検出装置、及びエレベータ巻上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