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7342B1 - 방수, 방진모터의 방열구조 - Google Patents

방수, 방진모터의 방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7342B1
KR101917342B1 KR1020170033079A KR20170033079A KR101917342B1 KR 101917342 B1 KR101917342 B1 KR 101917342B1 KR 1020170033079 A KR1020170033079 A KR 1020170033079A KR 20170033079 A KR20170033079 A KR 20170033079A KR 101917342 B1 KR101917342 B1 KR 101917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heat
compartment
substrate
heat dissip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3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7336A (ko
Inventor
공양근
김내현
조진표
김광희
조재봉
조준하
Original Assignee
(주)정원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원전자 filed Critical (주)정원전자
Priority to KR1020170033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7342B1/ko
Publication of KR20180107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7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on from ingress, e.g. water or fing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8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ribs or fins for improving heat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otor Or Generator Cooling System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 방진모터의 방열구조 관한 것으로, 코일이 결합된 축이 위치되는 모터공간부가 구성된 모터케이스와, 상기 모터케이스의 일측으로 연결되며 내측으로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기판이 위치되는 격실, 상기 격실에 위치되어 기판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발산시키면서 격실로 유입되는 먼지, 이물질을 차단하는 방열부재가 구성된 방열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탄소계 방열재질로 이루어진 방열부재를 다양한 형태로 형성하여 사용함으로써, 모터에서 발생되는 열을 대류현상이 아닌 방열부재의 우수한 열전도도 및 열방출성에 따른 전도현상을 통해 외부로 용이하게 발산할 수 있도록 하여, 열에 의한 모터의 성능이 저하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예방하여 모터를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방수, 방진모터의 방열구조{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of waterproof and dustproof motor}
본 발명은 방수, 방진모터의 방열구조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열전도도 및 열방출효과가 우수한 탄소계 방열재질이 포함된 방열부를 모터에 형성된 기판 등에 직접 접촉되도록 하여, 모터에서 발생되는 열을 용이하게 방열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모터의 성능저하나 파손을 예방할 수 있으며 방열부의 형태를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성 및 다양한 선택권을 제공할 수 있는 방수, 방진모터의 방열구조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의 작동에 의해 모터에 포함된 코일이나 코어 등에서 열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열에 대한 방열이 제대로 이루어져야만 모터의 성능이 향상되게 된다.
그래서, 대한민국특허등록번호 제10-0432243호와 같이 코일 및 코어의 상측으로 열전도율이 낮은 단열판을 형성하면서 상기 단열판의 상, 하측으로 냉각수가 흐르는 냉각배관을 배열하여 상기 냉각배관을 통해 모터에서 발생되는 발열을 효과적으로 차단시키면서 가동자를 냉각시키고 외부로의 열을 차단하여 모터의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코일이나 코어 등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발산시키지 않고 단열판을 이용하여 가동자로의 열전달을 차단하기 때문에, 모터의 코어 및 코일에서 발생되는 열이 제대로 외부로 방출되지 않게 되면서 코어 및 코어에서 발생되는 열의 누적에 의한 코어 및 코일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동자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한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 유지보수비용의 증가 및 제작 및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열전도율 등의 기계적,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탄소계 방열재질을 이용하여 모터에서 발생되는 열을 전도현상으로 통해 용이하게 외부로 방출시켜 열방출효과를 향상시킴은 물론, 외부에서 모터 내부로의 이물질, 수분의 유입을 막아 방수성 및 분진성을 향상시켜 열과, 이물질, 수분 등에 의한 모터의 성능저하 및 파손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다수의 기판을 일체화하면서 한 곳에 설치함으로써, 공간의 낭비를 줄여 공간활용도를 우수하게 하면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모터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제조, 관리, 사용, 보수를 편리하게 하면서 그로 인한 제조, 보수비용 등을 줄여 우수한 경제성 및 편리성을 제공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무게가 가벼우면서 기계적 및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탄소계 방열재질이 포함된 방열부재를 사용하여 제작 및 사용의 편리성 및 우수한 경제성을 제공하며,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 소멸시켜 모터로의 전달을 최소화하고, 기판의 위치조절을 용이하게 하면서 외부로의 열 발산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코일이 결합된 축이 위치되는 모터공간부가 구성된 모터케이스와, 상기 모터케이스의 일측으로 연결되며 내측으로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기판이 위치되는 격실, 상기 격실에 위치되어 기판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발산시키면서 격실로 유입되는 먼지, 이물질을 차단하는 방열부재가 구성된 방열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탄소계 방열재질로 이루어진 방열부재를 다양한 형태로 형성하여 사용함으로써, 모터에서 발생되는 열을 대류현상이 아닌 방열부재의 우수한 열전도도 및 열방출성에 따른 전도현상을 통해 외부로 용이하게 발산할 수 있도록 하여, 열에 의한 모터의 성능이 저하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예방하여 모터를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열전도율 및 점도, 가벼운 무게 등과 같이 기계적, 전기적인 특성이 우수한 탄소계 방열재질이 포함된 방열부를 사용함으로써, 저렴하면서도 편리하게 제작할 수 있으면서 손쉽게 유지보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모터의 방열을 위해 금속재가 아닌 무게가 가벼운 탄소계 방열재질이 포함된 방열부를 제작하여 사용함으로써, 제작비용,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편리하게 제작,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다수의 기판을 일체형으로 하나의 격실에 위치시켜 제조, 설치, 관리 등을 용이하게 하면서 제작, 설치, 보수비용 등을 줄일 수 있으며, 기판 등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여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더해, 방수성 및 분진성이 우수한 방열부재를 통해 모터의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 수분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음은 물론, 외부에서 모터로 전해지는 충격을 방열부재가 자체적으로 흡수하면서 소멸시켜 모터 및 기판 등을 전해지는 충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어, 모터의 고장이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기판 등에서 발생되는 열을 추가적으로 외부로 발산할 수 있도록 하면서 위치를 조절하여 열 등에 의한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방수, 방진모터의 방열구조의 단면상태를 도시한 간략도.
도 2는 본 발명인 방수, 방진모터의 방열구조의 다른 실시 예의 단면상태를 도시한 간략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인 방수, 방진모터의 방열구조의 방열부에 대한 실시 예의 단면상태를 도시한 간략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방수, 방진모터의 방열구조(5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케이스(10), 방열부(20)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모터케이스(1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도면에 미도시)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것으로 코일(11)의 내부를 관통하는 축(12)이 위치되는 모터공간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모터케이스(10)는 현재 일반적으로 모터의 한 구성을 이루는 일반적인 구성인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방열부(20)는 모터케이스(10)의 일측으로 연결되어 모터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용이하게 발산시키면서 모터의 내부로 이물질이나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모터의 작동을 위한 기판(p)이 내부에 위치되는 격실(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격실(21)로의 이물질이나 수분의 유입을 방지하면서 모터에서 발생되는 열을 용이하게 발산시킬 수 있도록 방열부재(2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기판(p)은 모터의 전체적인 제어를 위한 모터기판(p)과 전원의 공급을 위한 전원기판(p) 등으로 나누어지는데, 본 발명에서는 모터기판(p)과 전원기판(p)을 하나의 격실(21) 내부에 위치시켜, 모터기판(p), 전원기판(p)을 모터의 내부와 외부로 나누어 별도로 위치시키지 않도록 함으로써, 모터기판(p), 전원기판(p, 이하 기판이라고 통일함)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의 낭비를 예방하면서 각각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설치 및 보수, 관리의 용이성을 제공하면서 단가가 상승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격실(21)에는 기판(p)에서 발생되는 열을 용이하게 외부로 발산시킬 수 있도록 기판(p)을 공중에 위치시키거나 기판(p)의 간격조절 또는 위치조절을 위한 방열핀(a)과 격실(21)의 내부공기의 순환을 위한 방열홈(b)이 더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방열핀(a) 및 방열홈(b)은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방열핀(a)은 기판(p)이 결합되거나 거치될 수 있는 핀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고, 방열홈(b)은 공기가 순환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상기 방열핀(a)에 대한 재질은 한정되지 않지만, 열을 효율적으로 외부로 전달할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격실(21)의 내부에는 모터나 기판(p) 등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용이하게 발산시킬 수 있는 방열부재(22)가 형성되는데, 상기 방열부재(22)는 탄소계 방열재질과 합성수지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되, 탄소계 방열재질은 전체 중량에 약 1 ~ 10중량%로 이루어지고, 합성수지는 전체 중량에 약 90 ~ 99중량%로 혼합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탄소계 방열재질을 10중량% 이상으로 혼합할 경우 탄소계 방열재질의 전도효과 및 방열효과의 향상율의 비율이 낮아지게 되면서 효과가 크게 증가하지 않고 탄소계 방열재질의 사용비용이 증가하게 되며, 탄소계 방열재질을 1중량% 이하로 혼합할 경우 탄소계 방열재질의 특성이 나타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상술한 비율대로 탄소계 방열재질을 혼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탄소계 방열재질은 분말형태로 이루어지면서 다양한 종류로 분류되는데, 사용자의 편의나 목적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탄소계 방열재질 중 그라파이트,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중 어느 하나의 종류만 사용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그라파이트(graphite)는 흑연 또는 석모라고 불리 우며 탄소의 동소체(한 종류의 원소로 이루어졌으나 그 성질이 다른 물질로 존재할 때, 이 여러 형태를 부르는 것임.) 중 하나로 굳기가 부드러우며, 전기 전도체로 작용하면서 전기저항은 방향에 따라 큰 차이로 보이는 것으로 내열성, 내열충격성, 내식성이 강하면서 전기 및 열전도성이 우수하여, 화학공정에서의 내식성 기구의 재료나 전기 용광로의 전극이나 전기 분해를 위한 기구의 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CNT)는 원기둥 모양의 나노구조를 가지고 있는 탄소의 동소체로 그래핀이라는 탄소 원자 한 증으로 이루어진 막을 벽으로 하면서 길고 속이 빈 튜브 모양으로 만들어져 단일벽 나노튜브나 다중벽 나노튜브로 나누어지며, 특히 열전도율 및 기계적, 전기적인 특성이 매우 특이하여 다양한 구조물질의 첨가제로 사용되고 있으며, 나노기술, 전기공학, 광학 등에 응용되고 있다.
덧붙여, 상기 그래핀(graphene)은 탄소의 동소체 중 하나이면 탄소 원자들이 모여 2차원 평면을 이루고 있는 구조이며, 그래핀은 매우 높은 진성 전자이동도와 높은 열전도율을 지니고 있어, 구리보다 100배 이상 전기가 잘 통하고 반도체로 사용되는 실리콘보다 전자를 빠르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탄성도가 뛰어나 늘리거나 구부려도 전기적인 성질을 잃지 않게 되어, 전기, 전자, 방열필름, 디스플레이, 충전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즉, 상기 탄소계 방열재질은 탄소의 동소체로써 전기전도도 및 열전도율이 우수한 재질로, 사용자가 손쉽게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방열부재(22)의 제작시 탄소계 방열재질 외에 사용되는 합성수지는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유기 화합물의 합성으로 만들어진 수지 모양의 고분자 화합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로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등의 열가소성수지와 페놀수지 요소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로 나누어지는데, 사용자의 목적이나 편의에 따라 얼마든지 다양한 종류의 수지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사항이다.
이에 더해, 상기 방열부재(22)에 포함되는 합성수지의 특징에 의해 방열부재(22)는 일정한 점도 및 점착성을 가지는 것을 자명한 사항이다.
여기서, 상기 방열부재(22)는 사용자의 목적이나 편의에 따라 액상이나 젤 형태인 액상층(22a)으로 형성하거나 다수의 기판(p)을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핀이나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의 형태인 연결부(22b)로 형성할 수도 있다.
덧붙여, 상기 방열부재(22)는 사용자의 목적이나 편의에 따라 격실(21)에 액상층(22a)의 형태로만 채워지도록 하거나 상기 연결부(22b)의 형태로만 격실(21)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하거나 액상층(22a)과 연결부(22b)가 모두 격실(21)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방열부재(22)를 연결부(22b)의 형태로 형성할 경우, 기판(p)들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22b)가 결합되는 구멍(도면에 미도시) 등이 기판(p)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케이스(10)와 방열부(20)의 외부를 알루미늄과 같은 재질이나 상술한 방열부재(22)를 이루고 있는 재질과 같이 열의 발산이 용이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방열부재(22)는 전기전도도 및 열전도가 우수한 탄소의 동소체로 이루어진 분말형태의 탄소계 방열재질과 액상의 합성수지를 상술한 비율과 같이 혼합하여 경화시키면서 펠렛형태로 제작한 후,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이나 편의에 따라 펠렛에 열을 가하여 액상 또는 젤 형태로 형성하거나 고체형태로 형성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분말형태의 탄소계 방열재질 약 1 ~ 10중량%와 액상형태의 합성수지 약 90 ~ 99중량%를 혼합하면서 인발 또는 사출 등의 방법으로 방열부재(22)를 펠렛형태로 제작하도록 한다.
한편, 모터를 이루고 있는 모터케이스(10)를 제작, 조립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모터케이스(10)의 일측으로 격실(21)이 형성된 방열부(20)를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도면에 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결합하도록 하는데, 상기 격실(21)의 내부에 모터의 전체적인 제어를 위한 기판(p)과 전원의 공급을 위한 기판(p)을 동시에 위치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하나의 격실(21)에 모터에서 사용되는 2개 이상의 기판(p)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판(p)을 모터의 내부와 외부에 설치하기 위한 공간의 낭비를 줄여 모터를 임의의 지점에 간편하게 설치함은 물론, 하나의 격실(21)에서 기판(p)을 제어, 관리, 보수할 수 있게 되어 기판(p)의 관리, 제어, 사용, 보수 등에 대한 편리성을 제공하면서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제작, 관리, 사용, 보수 등에 대한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더해, 상기 격실(21)에 기판(p)을 위치시킬 때, 격실(21)에는 방열핀(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방열핀(a)을 통해 기판(p)의 위치를 조절시키면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방열핀(a)에 기판(p)을 결합하거나 방열핀(a)의 상측으로 기판(p)을 거치시켜 기판(p)이 격실(21)에서 공중에 띄어지는 형태로 배열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격실(21)의 내부에 액체나 젤 형태인 액상층(22a)이나 핀형태인 연결부(22b)로 이루어진 방열부재(22)가 위치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방열부재(22)를 액상이나 젤 형태인 액상층(22a)일 경우에는, 펠렛형태로 제작된 방열부재(22)에 열을 가해 액상이나 젤형태로 변환된 액상층(22a)을 격실(21)의 내부에 채우도록 하며, 그 격실(21)의 내부에 기판(p)을 결합시키면 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기판(p)에서 발생된 열이 액상층(22a)을 통해 전달되어 흐르면서 격실(21)의 벽면 등을 통해 외부로 용이하게 발산되는 것이다.
이와 다르게, 방열부재(22)가 핀형태인 연결부(22b)로 형성할 경우, 펠렛형태의 방열부재(22)를 압축, 절삭하면서 핀형태로 제작하거나 펠렛형태의 방열부재(22)를 가열, 용융, 응결시켜 핀형태로 제작하도록 한다.
그런 후, 상기 격실(21)의 내부에 연결부(22b)를 위치시키도록 하는데, 격실(21)의 내부에 연결부(22b)를 형성할 수 있도록 용접 등에 의한 방법과 같이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법을 통해 연결부(22b)를 격실(21)의 내부에 형성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핀형태의 연결부(22b)의 일측으로 격실(21)의 내부 벽면에 고정시키고, 기판(p)에 연결부(22b)가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을 형성하여 그 구멍을 통해 핀형태의 연결부(22b)에 모터기판(p)과 전원기판(p)을 동시에 결합하면서 2개의 기판(p)이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배열한다.
그러면, 상기 기판(p)에서 발생되는 열이 연결부(22b)를 따라 전도되어 흐르면서 격실(21)의 벽면과 추가로 형성할 수 있는 방열홈(b)을 통해 외부로 용이하게 발산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방열부재(22)를 상술한 바와 같이 액상층(22a)의 형태나 핀형태(22b)로 형성할 수 있는데, 방열부재(22)를 액상층(22a)으로 형성할 경우 격실(21)에 방열홈(b)이 형성되어 있으면 상기 방열홈(b)을 통해 액상층(22a)이 외부로 흘러나갈 수도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목적이나 편의에 따라 방열홈(b)의 크기나 형상을 조절하거나 방열홈(b) 자체를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는 것은 자명한 사항이다.
한편, 상기 격실(21)에 형성되는 방열부재(22)를 상술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형태로만 형성하여 격실(21)에 형성할 수도 있지만, 액상층(22a)과 연결부(22b)를 동시에 격실(21)에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격실(21)의 내부에 연결부(22b)를 형성하면서 액상층(22a)을 채우고, 격실(21)에 채워진 액상층(22a)의 사이로 기판(p)을 위치시키면서 연결부(22b)에 기판(p)을 결합시키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방열부재(22)를 액상, 젤 형태의 액상층(22a) 및 핀형태의 연결부(22b)의 2가지 형태 모두 사용하게 되면서 기판(p)이나 모터 등에서 발생되는 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우수하게 외부로 방열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모터케이스(10)와 방열부(20)를 제작하고,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 등을 통해 모터케이스(10)와 방열부(20)를 결합하여, 사용자가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 설치하고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모터에 형성된 2개의 기판(p)이 모두 하나의 격실(21)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간활용도를 높이면서 제조비용 등을 줄이고 제작, 설치, 관리, 보수 등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모터의 작동시 모터나 기판(p) 등에서 열이 발생하게 되면, 격실(21)의 내부에 형성된 액상, 젤 형태의 액상층(21a)이나 핀형태의 연결부(22b)로 이루어진 방열부재(22)를 통해 열이 대류현상이 아닌 전도현상을 이용하여 외부로 발산됨으로써, 방열효과를 우수하게 하여 열로 인한 모터의 파손, 오작동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실(21)의 내부에 있는 액상층(22a)의 방열부재(22)를 통해 모터의 내부로 이물질이나 수분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모터의 방수성, 분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방열부재(22)에 포함되는 탄소계 방열재질의 특성인 높은 전기전도도 및 열전달율, 방출율을 통해 모터(10)에서 발생된 열이 방열부재(22)를 통해 원활하게 전도되면서 외부로 전달되며, 액상층(22a)의 방열부재(22)에 의해 수분,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방수성, 방진성 등을 향상시켜 열 및 이물질 등에 의한 모터의 부하누적이나 오작동, 파손 등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격실(21)에 형성된 방열부재(22)를 통해 기판(p) 등으로 전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여, 충격 등에 의한 기판(p)의 파손, 고장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방열부재(22)를 이루고 있는 재질의 특성을 통해 외부에서 격실(21)의 내부로 전해지는 충격을 기판(p)으로 전달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소멸시켜 충격에 의한 기판(p)의 파손 등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격실(21)에 추가적으로 형성된 방열핀(a) 및 방열홈(b)을 통해 기판(p)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 설치하면서 열의 온도를 낮추면서 외부로 용이하게 발산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방열핀(a)을 통해 기판(p)이 격실(21)의 벽면이나 모터케이스(10)와 접촉하지 않도록 공중으로 띄운 형태로 배열함으로써, 기판(p)에서 발생된 열이 다른 곳으로 전달되지 않고 외부로 열이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하여, 열에 의한 문제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방열홈(b)을 통해 기판(p)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용이하게 발산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더해, 상기 모터케이스(10) 및 방열부(20)의 외부를 열전도가 우수한 알루미늄과 같은 재질로 제작하여, 기판(p) 등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용이하게 발산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방열부재(22)가 무게가 무거운 금속재로 이루어지지 않고, 가벼운 무게로 이루어지게 되면서 편리하게 제작, 이동, 보관, 관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방열부재(22)를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성 및 다양한 선택권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0 : 모터케이스
11 : 코일 12 : 축
13 : 모터공간부
20 : 방열부
21 : 격실
22 : 방열부재
22a : 액상층 22b : 연결부
p : 기판 a : 방열핀
b : 방열홈
50 : 방수, 방진모터의 방열구조

Claims (4)

  1. 코일(11)이 결합된 축(12)이 위치되는 모터공간부(13)가 구성된 모터케이스(10);
    상기 모터케이스(10)의 일측으로 연결되며 내측으로 모터기판(p)과 전원기판(p)이 하나의 격실(21)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격실(21)에는 기판(p)의 간격조절 또는 위치조절을 위한 방열핀(a)과 격실(21)의 내부공기의 순환을 위한 방열홈(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격실(21)에 위치되어 상기 모터기판(p)과 전원기판(p)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발산시키면서 격실(21)로 유입되는 먼지, 이물질을 차단하도록 그라파이트,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중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이 혼합되는 탄소계 방열재질 1 ~ 10중량%, 합성수지 90 ~ 99중량%로 혼합된 방열부재(22)와 상기 방열부재(22)는 격실(21) 내부에 액상 또는 젤 형태로 채워지는 액상층(22a)과 격실(21) 내부에 위치되는 기판(p)을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압축, 절삭하거나 또는 가열, 용융, 응결시킨 핀 형태로 형성된 연결부(22b)의 2 가지 형태로 조합을 이루도록 구성된 방열부(20);
    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방수, 방진모터의 방열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033079A 2017-03-16 2017-03-16 방수, 방진모터의 방열구조 KR101917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079A KR101917342B1 (ko) 2017-03-16 2017-03-16 방수, 방진모터의 방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079A KR101917342B1 (ko) 2017-03-16 2017-03-16 방수, 방진모터의 방열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336A KR20180107336A (ko) 2018-10-02
KR101917342B1 true KR101917342B1 (ko) 2018-11-12

Family

ID=63863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3079A KR101917342B1 (ko) 2017-03-16 2017-03-16 방수, 방진모터의 방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73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690B1 (ko) * 2018-11-07 2020-04-06 드라이브텍(주) 브러시리스 모터 장치
CN111564928B (zh) * 2020-06-02 2022-06-03 哈尔滨工业大学(威海) 一种防水水下模型及其制作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567Y1 (ko) * 2001-04-04 2001-10-10 네오다인코리아 주식회사 브러쉬레스 모터용 드라이버 냉각구조
JP2015146710A (ja) * 2014-02-04 2015-08-1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機電一体駆動ユニットの冷却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567Y1 (ko) * 2001-04-04 2001-10-10 네오다인코리아 주식회사 브러쉬레스 모터용 드라이버 냉각구조
JP2015146710A (ja) * 2014-02-04 2015-08-1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機電一体駆動ユニットの冷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336A (ko) 2018-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4842B2 (en) Heat dissipation device for communication chassis
KR100891433B1 (ko) Led전구의 방열장치
KR102147658B1 (ko) 전장소자의 방열 장치
JP2008515366A (ja) 電気機械の冷却装置
US7924565B2 (en) Heat dissipation structure for communication chassis
CN107293633B (zh) 一种用于大功率led的高热流密度冷却装置
KR101917342B1 (ko) 방수, 방진모터의 방열구조
KR101464318B1 (ko) 엘이디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로등
CN101415313A (zh) 散热装置
JP5100165B2 (ja) 冷却基板
CN101415310B (zh) 散热装置
KR101401665B1 (ko) 엘이디 조명장치
CN100456458C (zh) 散热装置
CN209729889U (zh) 防尘散热模组
KR101842522B1 (ko) 열전도성의 나노헤어층과 이것을 이용한 방열구조체
US20190086157A1 (en) Cooling system, cooler, and cooling method
CN110456895B (zh) 一种用于加固服务器的cpu散热安装结构
KR20180024541A (ko) Led 모듈용 방열체
US10939586B2 (en) Heat exchanger structure for a rack assembly
JP6025614B2 (ja) 発熱部品の放熱構造およびこれを用いたオーディオ装置
CN108036284B (zh) 自适应散热设备
KR102430404B1 (ko) 방열장치
KR20240052273A (ko) 냉각기능을 갖는 led 조명장치
KR200404792Y1 (ko) 방열장치
KR102404718B1 (ko) 방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