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7320B1 - 양방향식 선풍기 - Google Patents

양방향식 선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7320B1
KR101917320B1 KR1020170063429A KR20170063429A KR101917320B1 KR 101917320 B1 KR101917320 B1 KR 101917320B1 KR 1020170063429 A KR1020170063429 A KR 1020170063429A KR 20170063429 A KR20170063429 A KR 20170063429A KR 101917320 B1 KR101917320 B1 KR 101917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ing fan
head
fan
grill
w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3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송우
Original Assignee
한일전기 주식회사
신한일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전기 주식회사, 신한일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3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73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10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having provisions for automatically changing direction of output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25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for axial flow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8Blades
    • F04D29/384Blades characterised by form
    • F04D29/386Skewed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by means of rotor construction or layout, e.g. unequal distribution of blades or v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7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by influencing the flow pattern, e.g. suppression of turbule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1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703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specially for fans, e.g. fan guards

Abstract

본 발명의 양방향식 선풍기는, 외부전원을 통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회전모터가 구비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되, 상기 송풍팬은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중심부; 및 상기 중심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날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심부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중심부의 전방으로 바람이 토출되거나 상기 중심부의 후방으로 바람이 토출되도록 상기 날개부는 각각 일방향으로 뒤틀린 형태로 마련되면서, 상기 중심부의 측면에서 볼 때에 상기 중심부의 외측 둘레에 사선으로 기울어져 설치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양방향식 선풍기{Interactive electric fan}
본 발명은 양방향식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헤드부의 상, 하 각도 조절 범위가 넓으면서, 날개부에 대한 전개각도 구조의 개선을 통해 모터의 정방향 회전에 따른 헤드부의 전방은 물론, 모터의 역방향 회전에 따른 헤드부의 후방으로 바람을 토출시킬 수 있는 양방향식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절기에 인공적으로 바람을 일으켜 더위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선풍기가 사용된다. 선풍기는 스탠드에 설치된 지지대에 직각방향으로 헤드부가 설치되어 있고, 헤드부에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축에 팬이 구비되어 있어 모터의 구동으로 인하여 모터의 회전축과 송풍팬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헤드부의 후방과 주위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전방으로 토출시킴에 따라 바람이 발생되는 지주식 선풍기가 있다.
이러한 지주식 선풍기는 헤드부가 좌, 우로 180°범위를 넘지 않는 일정 각도 범위를 왕복하면서, 바람을 전방으로 토출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상기한 지주식 선풍기는 좌우로 왕복하는 범위를 벗어난 곳으로는 바람이 전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좌우 방향으로 360° 회전이 가능한 선풍기를 개시한 바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좌우 방향으로 회전을 가능하지만, 헤드부의 전방으로만 바람이 토출됨에 따라 헤드부의 후방에는 바람이 전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헤드부의 각도를 상, 하 방향으로 조절할 수는 있으나, 그 범위가 제한적인 문제점이 여전히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2013-0027899호(공고일자 2013.03.18.)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헤드부의 상, 하 각도 조절 범위가 넓으면서, 날개부에 대한 전개각도 구조의 개선을 통해 모터의 정방향 회전에 따른 헤드부의 전방은 물론, 모터의 역방향 회전에 따른 헤드부의 후방으로 바람을 토출시킬 수 있는 양방향식 선풍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양방향식 선풍기는, 외부전원을 통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회전모터가 구비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되, 상기 송풍팬은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중심부; 및 상기 중심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날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심부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중심부의 전방으로 바람이 토출되거나 상기 중심부의 후방으로 바람이 토출되도록 상기 날개부는 각각 일방향으로 뒤틀린 형태로 마련되면서, 상기 중심부의 측면에서 볼 때에 상기 중심부의 외측 둘레에 사선으로 기울어져 설치되는 구성이다.
상기 날개부의 전면에는 상기 송풍팬의 전방으로 토출되는 바람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가이드리브가 상기 날개부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날개부의 후면에는 상기 송풍팬의 후방으로 토출되는 바람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가이드리브가 상기 날개부의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송풍팬의 전방 및 후방에는 각각 전방그릴 및 후방그릴이 설치되며, 상기 전방그릴에는 상기 송풍팬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송풍팬의 회전방향으로 굴곡지게 마련되는 유선형의 제 1 그릴리브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구성이다.
상기 후방그릴에는 상기 송풍팬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송풍팬의 회전방향으로 굴곡지게 마련되는 유선형의 제 2 그릴리브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구성이다.
상기 양방향식 선풍기는 상기 헤드부가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지주 및 상기 지주의 하부에는 일측에 상기 헤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리드선이 구비되며, 상기 헤드부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지주의 내측 상단에는 상기 헤드부와 결합되며, 상기 송풍팬을 통해 발생되는 바람의 토출각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헤드부의 상, 하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헤드부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금구와, 상기 헤드부의 상, 하 각도 조절을 가이드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힌지부를 통해 상, 하 각도가 조절된 상기 헤드부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조절부재를 구비하여 헤드부의 각도가 상, 하 방향의 매우 넓은 범위로 조절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방면으로 바람을 전달할 수 있어 그 활용도가 뛰어나다.
둘째, 본 발명은 날개부의 구조로 인해 정방향 및 역방향을 포함하는 양방향으로 바람이 토출되도록 마련되기 때문에 송풍팬의 전방뿐만 아니라, 후방으로도 바람이 토출됨으로써 선풍기로서의 본 기능은 물론, 사계절 내내 이용 가능한 공기순환기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셋째, 본 발명은 손잡이부가 헤드부의 하중과 조작부의 하중 사이 중심부에 해당하는 지주의 최상단에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파지하여 이동할 경우에도 무게중심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아 안정적으로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식 선풍기의 송풍팬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식 선풍기의 송풍팬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식 선풍기의 각도 조절 형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식 선풍기의 조절부재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식 선풍기의 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식 선풍기의 전방그릴을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식 선풍기의 후방그릴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이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도록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의미하며, 도면들에 있어서 층 또는 영역의 길이와 두께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덧붙여, 제 1 구성 요소가 제 2 구성 요소 "상"에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 상기 제 1 구성 요소가 상기 제 2 구성 요소와 직접 접촉하는 상측에 위치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구성 요소와 상기 제 2 구성 요소 사이에 제 3 구성 요소가 위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는 제 1 구성 요소와 제 2 구성 요소는 당업자의 편의에 따라 임의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를 들어,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는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면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덧붙여,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식 선풍기의 송풍팬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식 선풍기의 송풍팬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식 선풍기의 각도 조절 형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식 선풍기의 조절부재를 도시한 것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식 선풍기의 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식 선풍기의 전방그릴을 도시한 것이고,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식 선풍기의 후방그릴을 도시한 것이다.
도1 내지 도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식 선풍기에 대해 설명하면, 양방향식 선풍기는 헤드부(100), 송풍팬(200), 전방그릴(300), 후방그릴(400), 지주(500) 및 조작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헤드부(100)는 외부전원을 통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모터가 구비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모터의 중심부에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이 설치되어 있다.
송풍팬(200)은 상기 헤드부(100)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구성으로, 중심부(210) 및 날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중심부(210)는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축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게 되는 구성이며, 날개부(220)는 상기 중심부(2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구성으로,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날개부(220)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심부(210)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중심부(210)의 전방으로 바람이 토출되거나 상기 중심부(210)의 후방으로 바람이 토출되도록 각각 일방향으로 뒤틀린 형태로 마련되면서, 상기 중심부(210)의 측면에서 볼 때에 상기 중심부(210)의 외측 둘레에 사선으로 기울어져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날개부(220)에 대한 전개각도 개선을 통해 정방향 및 역방향을 포함하는 양방향으로 바람이 토출되기 때문에 송풍팬(200)의 전방뿐만 아니라, 후방으로도 바람이 토출됨으로써 선풍기로서의 본 기능은 물론, 사계절 내내 이용 가능한 공기순환기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날개부(220)의 전면에는 상기 송풍팬(200)의 전방으로 토출되는 바람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가이드리브(221)가 상기 날개부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날개부(220)의 후면에는 상기 송풍팬(200)의 후방으로 토출되는 바람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가이드리브(222)가 상기 날개부(220)의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날개부(220)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제 1 가이드리브(221) 및 제 2 가이드리브(222)가 형성되어 송풍팬(20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바람이 부드럽게 토출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기 때문에 송풍팬(200)에서 토출되는 바람의 소음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제 1 가이드리브(221) 및 제 2 가이드리브(222)의 형성유무에 따라 소음 데시벨(dBA)을 측정하여 아래의 표1에 나타내었다.
RPM 계측기 가이드리브 유무 회전방향 측정 위치(dBA) 암소음
(dBA)
좌측 정면 우측 평균
250 RPM 인하대 계측기 가이드리브 유 정방향 21.0 23.0 21.3 21.7 19.5
역방향 21.6 22.5 21.4 21.8
가이드리브 무 정방향 21.6 24.4 22.4 22.8
역방향 22.1 23.0 21.9 22.3
즉, 상기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날개부(220)에 제 1 가이드리브(221) 및 제 2 가이드리브(222)가 형성된 경우에 소음 데시벨(dBA)이 더 낮게 측정된 것을 알 수 있었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송풍팬(200)에서 토출되는 바람의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전방그릴(300) 및 후방그릴(400)은 각각 송풍팬(200)의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되어 외측 둘레가 상호 결합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전방그릴(300)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풍팬(200)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송풍팬(200)의 회전방향으로 굴곡지게 마련되는 유선형의 제 1 그릴리브(310)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후방그릴(400)에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풍팬(200)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송풍팬(200)의 회전방향으로 굴곡지게 마련되는 유선형의 제 2 그릴리브(410)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송풍팬(200)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전방그릴(300) 및 후방그릴(400)에 각각 구비되는 제 1 그릴리브(310) 및 제 2 그릴리브(410)를 형태에 의해 바람이 토출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와도(vorticity)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지주(500)는 상기 헤드부(100)가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구성이며, 이러한 지주(500)의 상단에는 상기 헤드부(100)와 결합되며, 상기 송풍팬(200)을 통해 발생되는 바람의 토출각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헤드부(100)의 상, 하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부재(5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조절부재(510)는 상기 헤드부(10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금구(520)와, 상기 헤드부(100)의 상, 하 각도 조절을 가이드하는 힌지부(530)와, 상기 힌지부(530)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힌지부(530)를 통해 상, 하 각도가 조절된 상기 헤드부(10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5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헤드부(100)는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530)를 통해 상, 하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되며, 이와 같이 상, 하 방향으로 회전하여 조절된 위치가 고정부(540)를 통해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아울러, 고정부(54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금구(520)와 결합되는 회전금구(541)와, 상기 회전금구(54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와셔(542)와, 상기 와셔(542)의 중심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중심축(543)과, 상기 중심축(543)의 외측에 결합되는 너트(544)와, 상기 와셔(542)의 외측에 권선되어 인장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54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헤드부(100)는 힌지부(530)에 의해 상방으로 각도가 조절될 경우 상기 너트(544), 와셔(542) 및 스프링(545) 간의 마찰력과 스프링(545)의 인장력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며, 하방으로 각도가 조절될 경우 상기 너트(544), 와셔(542) 및 스프링(545) 간의 마찰력과 중심축(543)의 회전에 따라 스프링(545)이 감기면서 발생되는 인장력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00)의 각도가 넓은 범위로 조절이 가능하면서, 헤드부(10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도 바람이 토출되기 때문에 다양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조작부(600)는 상기 지주(5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헤드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리드선(610)이 구비되며, 상기 헤드부(10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리드선(610)은 일측이 상기 조작부(600)의 일측에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지주(500)의 내부를 관통하면서, 상기 힌지부(530)의 일측으로 인출되어 상기 헤드부(100)에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헤드부(100) 및 조작부(600)에 연결된 리드선(610)의 구조 및 인출방향에 의해 헤드부(100)가 상, 하 방향으로 각도가 조절되더라도 리드선(610)이 꼬이거나 엉키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지주(500)의 최상단에는 상기 조절부재(510)의 외측에 결합되며, 본 발명의 양방향식 선풍기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손잡이부(70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선풍기에서 손잡이는 헤드부에 설치됨에 따라 사용자가 선풍기의 손잡이를 파지하여 선풍기의 위치를 이동시킬 경우, 헤드부의 하중이 높기 때문에 무게중심이 헤드부 측으로 쏠려 균형을 유지하기 힘들지만, 본 발명의 손잡이부(70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00)의 하중과 조작부(600)의 하중 사이 중심부에 해당하는 지주(500)의 최상단에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파지하여 이동할 경우에도 무게중심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아 안정적으로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100 : 헤드부 200 : 송풍팬
210 : 중심부 220 : 날개부
221 : 제 1 가이드리브
222 : 제 2 가이드리브
300 : 전방그릴 310 : 제 1 그릴리브
400 : 후방그릴 410 : 제 2 그릴리브
500 : 지주 510 : 조절부재
520 : 고정금구 530 : 힌지부
540 : 고정부 541 : 회전금구
542 : 와셔 543 : 중심축
544 : 너트 545 : 스프링
600 : 조작부 610 : 리드선
700 : 손잡이부

Claims (7)

  1. 외부전원을 통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회전모터가 구비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송풍팬; 및 상기 헤드부가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지주; 를 포함하되,
    상기 송풍팬은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중심부; 및 상기 중심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날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심부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중심부의 전방으로 바람이 토출되거나 상기 중심부의 후방으로 바람이 토출되도록 상기 날개부는 각각 일방향으로 뒤틀린 형태로 마련되면서, 상기 중심부의 측면에서 볼 때에 상기 중심부의 외측 둘레에 사선으로 기울어져 설치되고,
    상기 지주의 내측 상단에는 상기 헤드부와 결합되며, 상기 송풍팬을 통해 발생되는 바람의 토출각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헤드부의 상, 하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헤드부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금구와, 상기 헤드부의 상, 하 각도 조절을 가이드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힌지부를 통해 상, 하 각도가 조절된 상기 헤드부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금구와 결합되는 회전금구와, 상기 회전금구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와셔와, 상기 와셔의 중심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의 외측에 결합되는 너트와, 상기 와셔의 외측에 권선되어 인장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식 선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의 전면에는 상기 송풍팬의 전방으로 토출되는 바람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가이드리브가 상기 날개부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식 선풍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의 후면에는 상기 송풍팬의 후방으로 토출되는 바람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가이드리브가 상기 날개부의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식 선풍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의 전방 및 후방에는 각각 전방그릴 및 후방그릴이 설치되며,
    상기 전방그릴에는 상기 송풍팬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송풍팬의 회전방향으로 굴곡지게 마련되는 유선형의 제 1 그릴리브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식 선풍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그릴에는 상기 송풍팬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송풍팬의 회전방향으로 굴곡지게 마련되는 유선형의 제 2 그릴리브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식 선풍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하부에는 일측에 상기 헤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리드선이 구비되며, 상기 헤드부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식 선풍기.
  7. 삭제
KR1020170063429A 2017-05-23 2017-05-23 양방향식 선풍기 KR101917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429A KR101917320B1 (ko) 2017-05-23 2017-05-23 양방향식 선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429A KR101917320B1 (ko) 2017-05-23 2017-05-23 양방향식 선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7320B1 true KR101917320B1 (ko) 2018-11-12

Family

ID=64397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3429A KR101917320B1 (ko) 2017-05-23 2017-05-23 양방향식 선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73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26239C1 (ru) * 2019-12-16 2020-07-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уки Институт горного дела им. Н.А. Чинакала Сибирского отдел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Способ реверсирования осевого вентилятора с двумя рабочими колесам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31164A (ja) * 2013-07-31 2015-02-16 日本電産株式会社 インペラ、および、送風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31164A (ja) * 2013-07-31 2015-02-16 日本電産株式会社 インペラ、および、送風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26239C1 (ru) * 2019-12-16 2020-07-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уки Институт горного дела им. Н.А. Чинакала Сибирского отдел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Способ реверсирования осевого вентилятора с двумя рабочими колесам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36317A1 (zh) 风扇头部、立式及壁挂式风扇、家用电器和吹风方法
CA2824649C (en) Fan assembly comprising annular nozzle and ceiling mount
US9797411B2 (en) Fan
US20130336771A1 (en) Fan
KR102500709B1 (ko) 선풍기
CN101925783A (zh) 空气调节机
EP3779311A1 (en) Blade adjustment mechanism and air circulator
WO2016015387A1 (zh) 一种空调器扫风装置及空调器
KR101917320B1 (ko) 양방향식 선풍기
KR101893096B1 (ko) 다목적 선풍기
CN211650476U (zh) 空调室内机和空调器
JP6238227B2 (ja) 吹出口装置
CN208442062U (zh) 一种壁挂扇90°俯仰摆头机构
CN208349526U (zh) 一种空调室内机的扫风叶片、扫风叶片组件及空调室内机
CN208936478U (zh) 出风设备
KR101263120B1 (ko) 선풍기용 풍향 조절장치
CN108561323B (zh) 俯仰组件、机头机构及家用电器
EP3771831B1 (en) Cooling fan
KR102231186B1 (ko) 다방향 배출이 가능한 날개없는 선풍기
US20060110257A1 (en) Ceiling fan blade
JP7069355B2 (ja) 扇風機
CN107525146B (zh) 天花机
JP7360147B2 (ja) 垂直軸風車および可変風防機構
CN107388390B (zh) 天花机
CN211823040U (zh) 出风结构及移动空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