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7308B1 - 기지국장치 및 그 장치의 주파수대역 조합 방법 - Google Patents

기지국장치 및 그 장치의 주파수대역 조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7308B1
KR101917308B1 KR1020170135480A KR20170135480A KR101917308B1 KR 101917308 B1 KR101917308 B1 KR 101917308B1 KR 1020170135480 A KR1020170135480 A KR 1020170135480A KR 20170135480 A KR20170135480 A KR 20170135480A KR 101917308 B1 KR101917308 B1 KR 101917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band
frequency bands
frequency
base station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5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정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5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73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72/08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6Reselecting a communication resource in the serving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주파수대역(예: 5CC, Component Carrier)이 공존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환경에서, 일부의 주파수대역(3CC)에 대한 동시 접속만을 지원하는 CA(Carrier Aggregation) 단말에 대해서 상향링크품질과 하향링크품질을 고려한 최적의 주파수대역 조합을 선택함으로써, 단말에 대한 이동통신 서비스 품질을 제고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지국장치 및 그 장치의 주파수대역 조합 방법{BASE STATION AND METHOD THEREOF FOR COMPONENT CARRIER COMBINING}
본 발명은, 다수의 주파수대역(예: 5CC, Component Carrier)이 공존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환경에서, 일부의 주파수대역(3CC)에 대한 동시 접속만을 지원하는 CA(Carrier Aggregation) 단말에 대해서 최적의 주파수대역 조합을 선택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LTE 시스템에서는 예컨대, 850M, 1.8G, 2.1G, 2.6G D대역, 2.6G E대역 등 총 5개 주파수대역(5CC, Component Carrier)이 공존하는 시스템 환경하에서, 보다 더 넓은 주파수대역을 지원하기 위해 주파수집합(Carrier Aggregation, CA) 기술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장치에서는 우선 5개의 주파수대역(CC) 중 우선 다수의 주파수대역(CC) 중 한 1 개의 기본주파수대역(PCell, Primary Cell)을 통해 기지국장치에 접속하고, 이후, 보조주파수대역(SCell, Secondary Cell)에 해당하는 나머지 4개의 주파수대역을 통해 기지국장치에 동시 접속하여, 여러 주파수대역을 통합하는 방식을 통해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최근 상용화되는 단말장치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5개의 주파수대역(CC)에 모두에 대한 동시 접속을 지원하는 반면, 기존에 이미 상용화된 단말장치의 경우 5개의 주파수대역(CC) 중 일부의 주파수대역 예컨대, 3개의 주파수대역(3CC)에 대한 동시 접속만을 지원할 수 있다.
헌데, 이처럼 다수의 주파수대역(5CC) 환경에서 일부 주파수대역(3CC)에 대한 동시 접속을 지원하는 단말장치에 대해서는, 다수의 주파수대역(5CC) 모두에 대한 동시 접속을 지원하는 단말장치와는 달리, 기본주파수대역과 보조주파수대역으로 이루어진 주파수대역의 조합을 선택해야만 한다.
때문에, 다수의 주파수대역(5CC) 환경에서 일부 주파수대역(3CC)에 대한 동시 접속만을 지원하는 단말장치에 대한 양질의 이동통신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주파수대역(5CC)으로부터 최적의 주파수대역의 조합을 선택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다수의 주파수대역(예: 5CC, Component Carrier)이 공존하는 시스템 환경에서, 일부의 주파수대역(3CC)에 대한 동시 접속만을 지원하는 CA(Carrier Aggregation) 단말에 대해서 최적의 주파수대역 조합을 선택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는, 다수의 주파수대역 별로 확인되는 상향링크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단말장치가 접속한 기본주파수대역을 변경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부; 상기 기본주파수대역을 변경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기본주파수대역으로부터 특정 주파수대역으로 핸드오버하도록 하여 상기 기본주파수대역을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으로 변경하는 변경부; 및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을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대역 별로 확인되는 하향링크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나머지 주파수대역 중 일부의 주파수대역을 상기 단말장치가 접속할 보조주파수대역으로 선택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정부는,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상기 기본주파수대역보다 양호한 상향링크품질이 확인되는 주파수대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본주파수대역을 변경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은,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상향링크품질이 가장 양호한 주파수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택부는, 상기 나머지 주파수대역으로부터 상기 하향링크품질이 가장 양호한 순서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에서 접속을 지원하는 주파수대역의 개수만큼 상기 보조주파수대역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향링크품질은,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향링크 기준신호에 대해 측정되는 신호대잡음비(SINR) 및 각 주파수 대역에서의 부하량을 기초로 확인되며, 상기 신호대잡음비가 크거나, 상기 부하량이 작은 주파수대역일수록 보다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향링크품질은, 각 주파수대역에서의 부하량을 기초로 확인되며, 상기 부하량이 작을수록 보다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하량은, 각 주파수대역에서 RB(Resource Block)이 할당된 상태와 관련된 PRB(Physical Resource Block) 사용률, 및 각 주파수대역에서 수신되는 데이터 크기와 관련된 BSR(Buffer Status Re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주파수대역 조합 방법은, 다수의 주파수대역 별로 확인되는 상향링크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단말장치가 상기 기지국장치와 접속한 기본주파수대역을 변경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단계; 상기 기본주파수대역을 변경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기본주파수대역으로부터 특정 주파수대역으로 핸드오버하도록 하여 상기 기본주파수대역을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으로 변경하는 변경단계; 및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에서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을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대역 별로 확인되는 하향링크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나머지 주파수대역 중 일부의 주파수대역을 상기 단말장치가 접속할 보조주파수대역으로 선택하는 선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상기 기본주파수대역보다 양호한 상향링크품질이 확인되는 주파수대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본주파수대역을 변경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은,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상향링크품질이 가장 양호한 주파수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택단계는, 상기 나머지 주파수대역으로부터 상기 하향링크품질이 가장 양호한 순서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에서 접속을 지원하는 주파수대역의 개수만큼 상기 보조주파수대역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 및 그 장치의 주파수대역 조합 방법에 의하면, 다수의 주파수대역(예: 5CC, Component Carrier)이 공존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환경에서, 일부의 주파수대역(3CC)에 대한 동시 접속만을 지원하는 CA(Carrier Aggregation) 단말에 대해서 상향링크품질과 하향링크품질을 고려한 최적의 주파수대역 조합을 선택함으로써, 단말에 대한 이동통신 서비스 품질을 제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 환경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주파수대역 조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 환경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 환경은, 동일 지역에 대해 다수의 주파수대역을 지원하는 기지국장치(10), 및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일부 주파수대역에 대한 동시 접속을 지원하는 단말장치(2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기지국장치(10)는 5개의 주파수대역을 지원함으로써, 예컨대, 제1주파수대역(CC1)에 따른 제1셀(C1), 제2주파수대역(CC2)에 따른 제2셀(C2), 제3주파수대역(CC3)에 따른 제3셀(C3), 제4주파수대역(CC4)에 따른 제4셀(C4), 및 제5주파수대역(CC5)에 따른 제5셀(5C)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주파수대역 내지 제5주파수대역(CC1, CC2, CC3, CC4, 및 CC5)는 예컨대, LTE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공존하는 850M, 1.8G, 2.1G, 2.6G D대역, 2.6G E대역 각각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기지국장치(10)는 보다 넓은 주파수대역을 지원한 위한 목적으로 주파수집합(CA, Carrier Aggregation) 기술을 채택하게 된다.
CA 기술은, 다중 단위 주파수대역(CC, Component Carrier)의 통합을 통해 보다 넓은 주파수대역을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각 단위 주파수대역(CC)은 LTE 단말에게 LTE 주파수대역으로서 이용되기 때문에 이전 통신시스템과의 호환성 또한 지원할 수 있다.
이에, 기지국장치(10)는, 다수의 주파수대역(CC1, CC2, CC3, CC4, 및 CC5)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대역을 통해 접속되는 단말에 통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CA 기능으로 동작하는 단말에 대해서는 CA 기능을 활용한 통신서비스를 즉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을 통합하여 통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CA지원기지국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단말장치(20)는 전술한 CA 기능을 지원하는 CA단말을 일컫는 것으로서, 2 이상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동시 접속을 지원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20)의 경우, 기지국장치가 지원하는 다수의 주파수대역(CC1, CC2, CC3, CC4, 및 CC5) 중 일부의 주파수 대역 예컨대 3개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동식 접속만을 지원하는 CA 단말로 특정된다.
이러한, 단말장치(20)는 전원 온(Power On)에 따라 다수의 주파수대역(CC1, CC2, CC3, CC4, 및 CC5) 중 하나의 주파수대역을 통해 기지국장치(10)에 접속한다.
이때, 단말장치(20)는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이기 때문에, 주파수대역 별 우선순위정보를 근거로 우선순위가 높게 지정된 주파수대역 즉, 초기 접속하도록 지정된 주파수대역을 통해 기지국장치(10)에 접속하게 되는데, 이처럼 단말장치(20)가 초기 접속하는 주파수대역이 기본주파수대역(PCell, Primary Cell)에 해당된다.
이후, 단말장치(20)는 기본주파수대역(PCell)을 통해 기지국장치(10)에 접속한 후, 2개의 보조주파수대역(SCell, Secondary Cell)을 통해 기지국장치(10)에 추가 접속하게 되며, 이를 통해 여러 주파수대역 즉 1개의 기본주파수대역과 2개의 보조주파수대역을 통합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20)는 기지국장치(10)가 지원하는 다수의 주파수대역(CC1, CC2, CC3, CC4, 및 CC5) 모두에 대한 동시 접속을 지원하는 것이 아닌, 일부의 주파수대역 즉, 3개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동시 접속만을 지원함을 확인할 수 있다.
헌데, 이처럼, 기지국장치(10)가 지원하는 다수의 주파수대역(CC1, CC2, CC3, CC4, 및 CC5) 중 일부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동시 접속만을 지원하는 경우, 단말장치(20)가 어느 주파수대역을 조합하여 기지국장치(10)에 접속하는지에 따라 단말장치(20)에 대한 이동통신 서비스 품질에 큰 차이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서비스 품질의 차이는, 단말장치(20)가 기지국장치(10)에 접속하는 시점에, 기지국장치(10)가 지원하는 각 주파수대역(제1주파수대역, 제2주파수대역, 제3주파수대역, 제4주파수대역, 및 제5주파수대역)의 품질 차이에서 기인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다수의 주파수대역(CC1, CC2, CC3, CC4, 및 CC5)이 공존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환경에서, 일부의 주파수대역(3CC)에 대한 동시 접속만을 지원하는 단말장치(20)에 대해 최적의 주파수대역을 선택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기지국장치(10)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10)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10)는 단말장치(20)가 접속한 기본주파수대역의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부(11), 기본주파수대역을 변경하는 변경부(12), 및 보조주파수대역을 선택하는 선택부(13)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기지국장치(10)의 전체 구성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내지는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모듈이란, 예컨대, 기지국장치(10) 내에서 연산을 처리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어는 기지국장치(10) 내 별도의 메모리에 탑재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10)는 전술한 구성 이외에 단말장치(20)와의 실질적인 통신 기능을 담당하는 RF 모듈인 통신부(14)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4)는 예컨대,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덱(CODEC) 칩셋,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회로는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10)는 전술한 구성을 통해 단말장치(20)에 대해서 최적의 주파수대역 조합을 선택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기지국장치(10) 내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결정부(11)는 단말장치(20)가 접속한 기본주파수대역을 변경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정부(11)는 단말장치(20)의 기본주파수대역 접속이 확인되는 경우, 기지국장치(10)가 지원한 다수의 주파수대역(CC1, CC2, CC3, CC4, 및 CC5) 중 단말장치(20)가 접속한 기본주파수대역을 변경할지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때, 결정부(11)는 다수의 주파수대역(CC1, CC2, CC3, CC4, 및 CC5) 별로 확인되는 상향링크품질에 기초하여 단말장치(20)가 접속한 기본주파수대역을 변경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처럼, 단말장치(20)가 접속한 기본주파수대역을 변경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다수의 주파수대역(CC1, CC2, CC3, CC4, 및 CC5) 별로 가입자가 균등하게 분포하지 않고, 특정 주파수대역에 가입자가 몰리는 경우 단말장치(20)가 접속한 기본주파수대역의 상향링크품질 열화가 발생하여 단말장치(20)에 대한 이동통신 서비스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는 점에 기인한다.
이에, 결정부(11)는 다수의 주파수대역(CC1, CC2, CC3, CC4, 및 CC5)에 대한 상향링크품질 확인 결과, 단말장치(20)가 접속한 기본주파수대역보다 양호한 상향링크품질이 확인되는 주파수대역이 존재하는 경우, 단말장치(20)가 접속한 기본주파수대역을 변경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반면, 결정부(11)는 다수의 주파수대역(CC1, CC2, CC3, CC4, 및 CC5)에 대한 상향링크품질 확인 결과, 단말장치(20)가 접속한 기본주파수대역의 상향링크품질이 가장 양호한 경우에는, 단말장치(20)가 접속한 기본주파수대역을 변경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함은 물론이다.
이처럼 단말장치(20)가 접속한 기본주파수대역의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근거가 되는 상향링크품질은,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향링크 기준신호에 대해 측정되는 신호대잡음비(SINR, 혹인 일정시간 동안의 신호대잡음비 평균 값)와 각 주파수 대역에서의 부하량을 기초로 확인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향링크품질은 측정된 신호대잡음비가 크거나, 부하량이 작을수록 보다 양호한 것으로 확인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주파수 대역에서의 부하량은, 예컨대, 각 주파수대역에서 RB(Resource Block)이 할당된 상태와 관련된 일정시간(예: 5분) 동안의 PRB(Physical Resource Block) 사용률 평균 값 및 각 주파수대역에서 수신되는 일정시간 동안의 데이터 크기와 관련된 BSR(Buffer Status Report) 평균 중 적어도 하나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참고로, 기지국장치(10)는 주파수자원 예컨대 대역폭 당 할당(사용) 가능한 자원 RB(Resource Block)이 정해져 있으며, 다수의 주파수대역(CC1, CC2, CC3, CC4, 및 CC5) 별로 얼만큼의 RB를 가입자(단말)에 할당하여 사용 중인지에 대한 사용 비율 즉 PRB사용률을 파악할 수 있으며, 또한 각 주파수대역 별(CC1, CC2, CC3, CC4, 및 CC5) 가입자(단말)로부터 버퍼상태에 관한 정보, 즉 전송해야 할 데이터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 BSR(Buffer Status Report)을 수신할 수 있다.
정리하자면, 단말장치(20)가 접속한 기본주파수대역의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근거가 되는 다수의 주파수대역(CC1, CC2, CC3, CC4, 및 CC5) 별 상향링크품질은, 각 주파수대역에 대해 측정되는 신호대잡음비(SINR)와 각 주파수대역에 대해서 확인되는 부하량을 이용하여 확인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향링크품질은 예컨대, 아래 [수식 1]을 통해서 수치화된 형태로 계산될 수 있다.
[수식 1]
상향링크품질 = 10 * A + 1000 - B
(A= 신호대잡음비, B = 부하량)
참고로, 상향링크품질의 계산 방식은 위 [수식 1]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측정된 신호대잡음비가 크거나, 부하량이 작은 주파수대역일수록 보다 양호한 것으로 확인될 수 있는 전술한 특성을 반영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정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관련하여, 아래 [표 1]에는 다수의 주파수대역(CC1, CC2, CC3, CC4, 및 CC5) 별 상향링크품질에 대한 확인 결과를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단 부하량은 BSR(Buffer Status Report) 평균 값을 기준으로 확인된 결과이다.
주파수 신호대잡음비
(A)
부하량
(B)
상향링크품질 비고
CC1 10dB 350kbytes 750
CC2 15dB 120kbytes 1120
CC3 3dB 400kbytes 630
CC4 7dB 22kbytes 1048
CC5 -1dB 5200kbytes 470
참고로, 결정부(11)는 위 [표 1]과 관련하여, 단말자치(20)가 접속한 기본주파수대역이 상향링크품질이 가장 양호한 제2주파수대역(CC2)인 경우를 제외한 모든 경우에 대해서 단말장치(20)가 접속한 기본주파수대역을 변경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만약 단말장치(20)가 접속한 기본주파수대역이 상향링크품질이 가장 양호한 제2주파수대역(CC2)인 경우라면, 단말장치(20)가 접속한 기본주파수대역을 변경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변경부(12)는 단말장치(20)가 접속한 기본주파수대역을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변경부(12)는 단말장치(20)가 접속한 기본주파수대역을 변경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단말장치(20)가 기본주파수대역으로부터 특정 주파수대역으로 핸드오버하도록 하여 단말장치(20)가 접속한 기본주파수대역을 특정 주파수대역으로 변경하게 된다.
이때, 변경부(12)는 단말장치(20)에 대해 주파수대역 간 핸드오버를 명령하기 위한 RRC 명령(RRC Reconfiguration)을 전달함으로써, 단말장치(20)가 특정 주파수대역으로 핸드오버하도록 한다.
여기서, 단말장치(20)가 핸드오버하는 특정 주파수대역은, 다수의 주파수대역(CC1, CC2, CC3, CC4, 및 CC5) 별 상향링크품질에 대한 확인 결과 상향링크품질이 가장 양호한 주파수대역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 예시한 [표 1]을 참조하여, 단말장치(20)가 우선순위정보를 근거로 접속한 기본주파수대역이 제4주파수대역(CC4)인 경우라면, 단말장치(20)가 제4주파수대역(CC4)으로부터 상향링크품질이 가장 양호한 제2주파수대역(CC2)으로 핸드오버하도록 하여, 단말장치(20)가 접속한 기본주파수대역이 제4주파수대역(CC4)으로부터 제2주파수대역(CC2)으로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정리하자면, 변경부(12)는 다수의 주파수대역(CC1, CC2, CC3, CC4, 및 CC5) 별 상향링크품질에 대한 확인 결과를 근거로 단말장치(20)가 접속한 기본주파수대역보다 상향링크품질이 양호한 특정 주파수대역이 존재하는 경우, 단말장치(20)의 기본주파수대역을 해당 주파수대역으로 변경함으로써, 단말장치(20) 사용자의 상향링크 체감속도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선택부(13)는 단말장치(20)가 접속할 보조주파대역을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선택부(13)는 단말장치(20)가 접속한 기본주파수대역에 대한 변경이 완료되는 경우(혹은, 기본주파수대역이 유지되는 경우), 다수의 주파수대역(CC1, CC2, CC3, CC4, 및 CC5) 중, 단말장치(20)가 핸드오버한 기본주파수대역(예: C2)를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대역(CC1, CC3, CC4, 및 CC5)으로부터 단말장치(20)가 접속할 보조주파수대역을 선택하게 된다.
이때, 선택부(13)는 다수의 주파수대역(CC1, CC2, CC3, CC4, 및 CC5) 중, 단말장치(20)가 핸드오버한 기본주파수대역(예: C2)를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대역(CC1, CC3, CC4, 및 CC5) 각각에 대해서 확인되는 하향링크품질에 기초하여 단말장치(20)가 접속한 기본주파수대역을 변경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처럼 단말장치(20)가 접속할 보조주파수대역을 선택하는 근거가 되는 하향링크품질은, 각 주파수대역에서의 부하량을 기초로 확인될 수 있으며, 이러한, 하향링크품질은 부하량이 작을수록 보다 양호한 것으로 확인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주파수 대역에서의 부하량은, 예컨대, 각 주파수대역에서 RB(Resource Block)이 할당된 상태와 관련된 일정시간(예: 5분) 동안의 PRB(Physical Resource Block) 사용률 평균 값으로 이해될 수 있다.
참고로, 이처럼 각 주파수 대역에서의 부하량을 판단하는 기준은 전술한 PRB뿐만 아니라, 예컨대, DL CQI, BLER, HARQ 재전송율, 및 UL SINR 등의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CA 기술의 성능과 관련된 정보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결국, 선택부(13)는 다수의 주파수대역(CC1, CC2, CC3, CC4, 및 CC5) 중, 단말장치(20)가 핸드오버한 기본주파수대역(예: C2)를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대역(CC1, CC3, CC4, 및 CC5)에 대한 하향링크품질 확인 결과, 하향링크품질이 가장 양호한 순서에 따라 단말장치(20)에서 접속을 지원하는 나머지 2개의 주파수대역을 보조주파수대역으로 선택할 수 있다.
정리하자면, 선택부(13)는 단말장치(20)가 핸드오버한 기본주파수대역(예: C2)를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대역(CC1, CC3, CC4, 및 CC5) 중 하향링크품질이 가장 양호한 순서의 주파수대역 2개를 단말장치(20)가 접속할 나머지 2개의 보조주파수대역으로 선택함으로써, 단말장치(20) 사용자의 하향링크 체감속도의 향상을 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선택부(13)는 단말장치(20)에 대한 보조주파수대역의 선택이 완료되면, 단말장치(20)에 대해서 선택된 2 개의 보조주파수대역에 대한 Add/Active 명령을 전달함으로써, 단말장치(20)로 하여금 핸드오버한 기본주파수대역과, 나머지 2개의 보조주파수대역을 통합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단말장치(20)는 전원 온(Power On)에 따라 다수의 주파수대역(CC1, CC2, CC3, CC4, 및 CC5) 중 하나의 주파수대역을 통해 기지국장치(10)에 접속한다(S11-S12).
이때, 단말장치(20)는 CA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이기 때문에, 주파수대역 별 우선순위정보를 근거로 우선순위가 높게 지정된 주파수대역 즉, 초기 접속하도록 지정된 주파수대역을 통해 기지국장치(10)에 접속하게 되는데, 이처럼 단말장치(20)가 초기 접속하는 주파수대역이 기본주파수대역(PCell, Primary Cell)에 해당된다.
이에 대해, 기지국장치(10)는 결정부(11)는 단말장치(20)의 기본주파수대역 접속이 확인되는 경우, 기지국장치(10)가 지원한 다수의 주파수대역(CC1, CC2, CC3, CC4, 및 CC5) 중 단말장치(20)가 접속한 기본주파수대역을 변경할지 여부를 결정한다(S13-S14).
이때, 기지국장치(10)는 다수의 주파수대역(CC1, CC2, CC3, CC4, 및 CC5)에 대한 상향링크품질 확인 결과, 단말장치(20)가 접속한 기본주파수대역보다 양호한 상향링크품질이 확인되는 주파수대역이 존재하는 경우, 단말장치(20)가 접속한 기본주파수대역을 변경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반면, 결정부(11)는 다수의 주파수대역(CC1, CC2, CC3, CC4, 및 CC5)에 대한 상향링크품질 확인 결과, 단말장치(20)가 접속한 기본주파수대역의 상향링크품질이 가장 양호한 경우에는, 단말장치(20)가 접속한 기본주파수대역을 변경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함은 물론이다.
이처럼 단말장치(20)가 접속한 기본주파수대역의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근거가 되는 상향링크품질은,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향링크 기준신호에 대해 측정되는 신호대잡음비(SINR, 혹인 일정시간 동안의 신호대잡음비 평균 값)와 각 주파수 대역에서의 부하량을 기초로 확인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향링크품질은 측정된 신호대잡음비가 크거나, 부하량이 작을수록 보다 양호한 것으로 확인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주파수 대역에서의 부하량은, 예컨대, 각 주파수대역에서 RB(Resource Block)이 할당된 상태와 관련된 일정시간(예: 5분) 동안의 PRB(Physical Resource Block) 사용률 평균 값 및 각 주파수대역에서 수신되는 일정시간 동안의 데이터 크기와 관련된 BSR(Buffer Status Report) 평균 중 적어도 하나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런 다음, 기지국장치(10)는 단말장치(20)가 접속한 기본주파수대역을 변경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단말장치(20)가 기본주파수대역으로부터 특정 주파수대역으로 핸드오버하도록 하여 단말장치(20)가 접속한 기본주파수대역을 특정 주파수대역으로 변경한다(S15-S16).
이때, 기지국장치(10)는 단말장치(20)에 대해 주파수대역 간 핸드오버를 명령하기 위한 RRC 명령(RRC Reconfiguration)을 전달함으로써, 단말장치(20)가 특정 주파수대역으로 핸드오버하도록 하며, 이처럼 단말장치(20)가 핸드오버하는 특정 주파수대역은, 다수의 주파수대역(CC1, CC2, CC3, CC4, 및 CC5) 별 상향링크품질에 대한 확인 결과 상향링크품질이 가장 양호한 주파수대역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나아가, 기지국장치(10)는 단말장치(20)가 접속한 기본주파수대역에 대한 변경이 완료되는 경우(혹은, 기본주파수대역이 유지되는 경우), 다수의 주파수대역(CC1, CC2, CC3, CC4, 및 CC5) 중, 단말장치(20)가 핸드오버한 기본주파수대역(예: C2)를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대역(CC1, CC3, CC4, 및 CC5)으로부터 단말장치(20)가 접속할 보조주파수대역을 선택한다(S17-S18).
이때, 기지국장치(10)는 다수의 주파수대역(CC1, CC2, CC3, CC4, 및 CC5) 중, 단말장치(20)가 핸드오버한 기본주파수대역(예: C2)를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대역(CC1, CC3, CC4, 및 CC5)에 대한 하향링크품질 확인 결과, 하향링크품질이 가장 양호한 순서에 따라 단말장치(20)에서 접속을 지원하는 나머지 2개의 주파수대역을 보조주파수대역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처럼 단말장치(20)가 접속할 보조주파수대역을 선택하는 근거가 되는 하향링크품질은, 각 주파수대역에서의 부하량을 기초로 확인될 수 있으며, 이러한, 하향링크품질은 부하량이 작을수록 보다 양호한 것으로 확인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주파수 대역에서의 부하량은, 예컨대, 각 주파수대역에서 RB(Resource Block)이 할당된 상태와 관련된 일정시간(예: 5분) 동안의 PRB(Physical Resource Block) 사용률 평균 값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후, 기지국장치(10)는 단말장치(20)에 대한 보조주파수대역의 선택이 완료되면, 단말장치(20)에 대해서 선택된 2 개의 보조주파수대역에 대한 Add/Active 명령을 전달함으로써, 단말장치(20)로 하여금 핸드오버한 기본주파수대역과, 나머지 2개의 보조주파수대역을 통합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S19-S20).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10)의 주파수대역 조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10)의 주파수대역 조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먼저, 결정부(11)는 단말장치(20)의 기본주파수대역 접속이 확인되는 경우, 기지국장치(10)가 지원한 다수의 주파수대역(CC1, CC2, CC3, CC4, 및 CC5) 중 단말장치(20)가 접속한 기본주파수대역을 변경할지 여부를 결정한다(S21-S23).
이때, 결정부(11)는 다수의 주파수대역(CC1, CC2, CC3, CC4, 및 CC5) 별로 확인되는 상향링크품질에 기초하여 단말장치(20)가 접속한 기본주파수대역을 변경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처럼, 단말장치(20)가 접속한 기본주파수대역을 변경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다수의 주파수대역(CC1, CC2, CC3, CC4, 및 CC5) 별로 가입자가 균등하게 분포하지 않고, 특정 주파수대역에 가입자가 몰리는 경우 단말장치(20)가 접속한 기본주파수대역의 상향링크품질 열화가 발생하여 단말장치(20)에 대한 이동통신 서비스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는 점에 기인한다.
이에, 결정부(11)는 다수의 주파수대역(CC1, CC2, CC3, CC4, 및 CC5)에 대한 상향링크품질 확인 결과, 단말장치(20)가 접속한 기본주파수대역보다 양호한 상향링크품질이 확인되는 주파수대역이 존재하는 경우, 단말장치(20)가 접속한 기본주파수대역을 변경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반면, 결정부(11)는 다수의 주파수대역(CC1, CC2, CC3, CC4, 및 CC5)에 대한 상향링크품질 확인 결과, 단말장치(20)가 접속한 기본주파수대역의 상향링크품질이 가장 양호한 경우에는, 단말장치(20)가 접속한 기본주파수대역을 변경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함은 물론이다.
이처럼 단말장치(20)가 접속한 기본주파수대역의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근거가 되는 상향링크품질은,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향링크 기준신호에 대해 측정되는 신호대잡음비(SINR, 혹인 일정시간 동안의 신호대잡음비 평균 값)와 각 주파수 대역에서의 부하량을 기초로 확인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향링크품질은 측정된 신호대잡음비가 크거나, 부하량이 작을수록 보다 양호한 것으로 확인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주파수 대역에서의 부하량은, 예컨대, 각 주파수대역에서 RB(Resource Block)이 할당된 상태와 관련된 일정시간(예: 5분) 동안의 PRB(Physical Resource Block) 사용률 평균 값 및 각 주파수대역에서 수신되는 일정시간 동안의 데이터 크기와 관련된 BSR(Buffer Status Report) 평균 중 적어도 하나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참고로, 기지국장치(10)는 주파수자원 예컨대 대역폭 당 할당(사용) 가능한 자원 RB(Resource Block)이 정해져 있으며, 다수의 주파수대역(CC1, CC2, CC3, CC4, 및 CC5) 별로 얼만큼의 RB를 가입자(단말)에 할당하여 사용 중인지에 대한 사용 비율 즉 PRB사용률을 파악할 수 있으며, 또한 각 주파수대역 별(CC1, CC2, CC3, CC4, 및 CC5) 가입자(단말)로부터 버퍼상태에 관한 정보, 즉 전송해야 할 데이터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 BSR(Buffer Status Report)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변경부(12)는 단말장치(20)가 접속한 기본주파수대역을 변경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단말장치(20)가 기본주파수대역으로부터 특정 주파수대역으로 핸드오버하도록 하여 단말장치(20)가 접속한 기본주파수대역을 특정 주파수대역으로 변경한다(S24-S25).
이때, 변경부(12)는 단말장치(20)에 대해 주파수대역 간 핸드오버를 명령하기 위한 RRC 명령(RRC Reconfiguration)을 전달함으로써, 단말장치(20)가 특정 주파수대역으로 핸드오버하도록 한다.
여기서, 단말장치(20)가 핸드오버하는 특정 주파수대역은, 다수의 주파수대역(CC1, CC2, CC3, CC4, 및 CC5) 별 상향링크품질에 대한 확인 결과 상향링크품질이 가장 양호한 주파수대역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변경부(12)는 다수의 주파수대역(CC1, CC2, CC3, CC4, 및 CC5) 별 상향링크품질에 대한 확인 결과를 근거로 단말장치(20)가 접속한 기본주파수대역보다 상향링크품질이 양호한 특정 주파수대역이 존재하는 경우, 단말장치(20)의 기본주파수대역을 해당 주파수대역으로 변경함으로써, 단말장치(20) 사용자의 상향링크 체감속도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나아가, 선택부(13)는 단말장치(20)가 접속한 기본주파수대역에 대한 변경이 완료되는 경우(혹은, 기본주파수대역이 유지되는 경우), 다수의 주파수대역(CC1, CC2, CC3, CC4, 및 CC5) 중, 단말장치(20)가 핸드오버한 기본주파수대역(예: C2)를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대역(CC1, CC3, CC4, 및 CC5)으로부터 단말장치(20)가 접속할 보조주파수대역을 선택한다(S26-S27).
이때, 결정부(11)는 다수의 주파수대역(CC1, CC2, CC3, CC4, 및 CC5) 중, 단말장치(20)가 핸드오버한 기본주파수대역(예: C2)를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대역(CC1, CC3, CC4, 및 CC5) 각각에 대해서 확인되는 하향링크품질에 기초하여 단말장치(20)가 접속한 기본주파수대역을 변경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처럼 단말장치(20)가 접속할 보조주파수대역을 선택하는 근거가 되는 하향링크품질은, 각 주파수대역에서의 부하량을 기초로 확인될 수 있으며, 이러한, 하향링크품질은 부하량이 작을수록 보다 양호한 것으로 확인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주파수 대역에서의 부하량은, 예컨대, 각 주파수대역에서 RB(Resource Block)이 할당된 상태와 관련된 일정시간(예: 5분) 동안의 PRB(Physical Resource Block) 사용률 평균 값으로 이해될 수 있다.
결국, 선택부(13)는 다수의 주파수대역(CC1, CC2, CC3, CC4, 및 CC5) 중, 단말장치(20)가 핸드오버한 기본주파수대역(예: C2)를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대역(CC1, CC3, CC4, 및 CC5)에 대한 하향링크품질 확인 결과, 하향링크품질이 가장 양호한 순서에 따라 단말장치(20)에서 접속을 지원하는 나머지 2개의 주파수대역을 보조주파수대역으로 선택할 수 있다.
정리하자면, 선택부(13)는 단말장치(20)가 핸드오버한 기본주파수대역(예: C2)를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대역(CC1, CC3, CC4, 및 CC5) 중 하향링크품질이 가장 양호한 순서의 주파수대역 2개를 단말장치(20)가 접속할 나머지 2개의 보조주파수대역으로 선택함으로써, 단말장치(20) 사용자의 하향링크 체감속도의 향상을 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선택부(13)는 단말장치(20)에 대한 보조주파수대역의 선택이 완료되면, 단말장치(20)에 대해서 선택된 2 개의 보조주파수대역에 대한 Add/Active 명령을 전달함으로써, 단말장치(20)로 하여금 핸드오버한 기본주파수대역과, 나머지 2개의 보조주파수대역을 통합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S28).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10) 및 기지국장치(10)의 주파수대역 조합 방법에 따르면, 기지국장치(10)가 지원하는 다수의 주파수대역(CC1, CC2, CC3, CC4, 및 CC5) 중 일부의 주파수대역 즉, 3개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동시 접속만을 지원하는 단말장치(20)에 대해서, 단말장치(20)가 접속한 기본주파수대역을 상향링크품질이 가장 양호한 주파수대역(CC2)으로 변경하고, 변경된 기본주파수대역(CC2)을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대역(CC1, CC3, CC4, 및 CC5)으로부터 하향링크품질이 양호한 순서로 나머지 2개의 보조주파수대역을 선택함으로써, 최적의 주파수대역 조합을 통해 단말장치(20)에 대한 이동통신 서비스의 품질을 크게 제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코덱 전송률 결정 방법 및 음성코덱 전송률 변경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 및 그 장치의 주파수대역 조합 방법에 따르면, 다수의 주파수대역(예: 5CC, Component Carrier)이 공존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환경에서, 일부의 주파수대역(3CC)에 대한 동시 접속만을 지원하는 CA(Carrier Aggregation) 단말에 대해서 최적의 주파수대역 조합을 선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 기지국장치
11: 결정부 12: 변경부
13: 선택부
20: 단말장치

Claims (11)

  1. 다수의 주파수대역 별로 확인되는 상향링크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단말장치가 접속한 기본주파수대역을 변경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부;
    상기 기본주파수대역을 변경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별로 확인되는 상향링크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기본주파수대역을 특정 주파수대역으로 변경하는 변경부; 및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에서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을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대역 별로 확인되는 하향링크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나머지 주파수대역 중 적어도 일부의 주파수대역을 상기 단말장치가 접속할 보조주파수대역으로 선택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상기 기본주파수대역보다 양호한 상향링크품질이 확인되는 주파수대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본주파수대역을 변경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은,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상향링크품질이 가장 양호한 주파수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상기 나머지 주파수대역으로부터 상기 하향링크품질이 가장 양호한 순서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에서 접속을 지원하는 주파수대역의 개수만큼 상기 보조주파수대역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품질은,
    각 주파수대역에서 상향링크 기준신호에 대해 측정되는 신호대잡음비(SINR) 및 각 주파수 대역에서의 부하량을 기초로 확인되며, 상기 신호대잡음비가 크거나, 상기 부하량이 작은 주파수대역일수록 보다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품질은,
    각 주파수대역에서의 부하량을 기초로 확인되며, 상기 부하량이 작을수록 보다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량은,
    각 주파수대역에서 RB(Resource Block)이 할당된 상태와 관련된 PRB(Physical Resource Block) 사용률, 및 각 주파수대역에서 수신되는 데이터 크기와 관련된 BSR(Buffer Status Re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8. 기지국장치의 주파수대역 조합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주파수대역 별로 확인되는 상향링크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단말장치가 상기 기지국장치와 접속한 기본주파수대역을 변경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단계;
    상기 기본주파수대역을 변경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별로 확인되는 상향링크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기본주파수대역을 특정 주파수대역으로 변경하는 변경단계; 및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에서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을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대역 별로 확인되는 하향링크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나머지 주파수대역 중 적어도 일부의 주파수대역을 상기 단말장치가 접속할 보조주파수대역으로 선택하는 선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주파수대역 조합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상기 기본주파수대역보다 양호한 상향링크품질이 확인되는 주파수대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본주파수대역을 변경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주파수대역 조합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주파수대역은,
    상기 다수의 주파수대역 중 상향링크품질이 가장 양호한 주파수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주파수대역 조합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단계는,
    상기 나머지 주파수대역으로부터 상기 하향링크품질이 가장 양호한 순서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에서 접속을 지원하는 주파수대역의 개수만큼 상기 보조주파수대역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주파수대역 조합 방법.
KR1020170135480A 2017-10-18 2017-10-18 기지국장치 및 그 장치의 주파수대역 조합 방법 KR101917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480A KR101917308B1 (ko) 2017-10-18 2017-10-18 기지국장치 및 그 장치의 주파수대역 조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480A KR101917308B1 (ko) 2017-10-18 2017-10-18 기지국장치 및 그 장치의 주파수대역 조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7308B1 true KR101917308B1 (ko) 2019-01-24

Family

ID=65277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5480A KR101917308B1 (ko) 2017-10-18 2017-10-18 기지국장치 및 그 장치의 주파수대역 조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730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0326A (ko) * 2010-02-15 2012-11-01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이동국, 무선기지국 및 통신제어방법
KR20150145364A (ko) * 2014-06-18 2015-12-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반송파 집성 시스템에서의 간섭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16039378A (ja) * 2014-08-05 2016-03-22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0326A (ko) * 2010-02-15 2012-11-01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이동국, 무선기지국 및 통신제어방법
KR20150145364A (ko) * 2014-06-18 2015-12-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반송파 집성 시스템에서의 간섭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16039378A (ja) * 2014-08-05 2016-03-22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68033A1 (en) Selecting among various dual connectivity and single connectivity configurations
US8175594B2 (en) Active set management with hotspot carriers
US20190296789A1 (en) Adaptive Antenna Tuning System for Improving Cellular Call Reception in Mobile Devices
US110579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upling uplink and downlink cell selection
US11006390B2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unlicensed band
US8670778B2 (en) Dynamic sector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20157143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933182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WO2002037888A1 (en) Air-interface efficienc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1015404A (ja) 通信用のモバイルトランシーバ装置及び基地局トランシーバ装置
KR20170041744A (ko)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들 간의 동적 스위칭
WO2020063473A1 (zh) 副链路资源确定方法和设备
SG194110A1 (en) Method, radio network controller, radio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for selecting downlink mode
US11589334B2 (en) Transmission resource selection method, network apparatus, and user equipment
US20170325123A1 (en) Carrier Aggregation with Improved Efficiency
KR20190007415A (ko) 통신 방법, 네트워크 장비 및 단말 장비
JP2024029137A (ja) 方法及び端末装置
RU2603628C1 (ru) Узел сети, беспроводной терминал и осуществляемые на них способы
EP3203672B1 (en) Tm9-based carrier aggregation method and device
KR10249072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반송파 결합 통신 방법 및 장치
US9596699B2 (en) Mobile communication method, radio base station, and mobile station
US20160249227A1 (en) Method and device for eliminating inter-system neighbor cell interference
CN112399503B (zh) 链路失败报告传输的方法和装置
US9699699B1 (en) Consideration of carrier characteristics when providing carrier aggregation service
KR101917308B1 (ko) 기지국장치 및 그 장치의 주파수대역 조합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