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7216B1 - 보컬 평가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컬 평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7216B1
KR101917216B1 KR1020170100455A KR20170100455A KR101917216B1 KR 101917216 B1 KR101917216 B1 KR 101917216B1 KR 1020170100455 A KR1020170100455 A KR 1020170100455A KR 20170100455 A KR20170100455 A KR 20170100455A KR 101917216 B1 KR101917216 B1 KR 101917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luation
rhythm
pitch
points
gi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0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석
유대걸
Original Assignee
(주)엠더블유스토리
이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더블유스토리, 이준석 filed Critical (주)엠더블유스토리
Priority to KR1020170100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72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06K9/00221
    • G06K9/0033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10H2210/066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for pitch analysis as part of wider processing for musical purposes, e.g. transcription, musical performance evaluation; Pitch recognition, e.g. in polyphonic sounds; Estimation or use of missing fundament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10H2210/09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for performance evaluation, i.e. judging, grading or scoring the musical qualities or faithfulness of a performance, e.g. with respect to pitch, tempo or other timings of a reference perform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sychiat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 선곡된 노래에 대해 녹화된 영상 파일을 업로드하고, 영상 파일에 대해 장르별로 음감, 리듬감, 발성, 감정선 및 호감도 항목에 상이한 가중치를 부여하고 평가하거나, 그룹별로 상이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평가하고, 평가정보를 다각도로 표준화된 점수, 및 참여 대상 순위와 참여 대상 백분율 정보로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하여서, 보컬 관련 입시 준비생과 보컬 관련 지망생이 본인의 보컬 능력을 보다 객관적이고 절대적인 기준에 의해 파악할 수 있고, 다각도로 표준화된 평가정보에 의해 미비한 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하는, 보컬 평가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보컬 평가 시스템{Vocal Evaluating System}
본 발명은 보컬의 가창력 평가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노래의 주관적인 선호도와 무관하게, 장르별 또는 다양한 평가그룹별로 상이한 가중치가 부여된 음감, 리듬감, 발성, 감정 및 호감도를 평가기준으로 보컬의 가창력을 절대평가하여 객관적 평가정보를 제공하는, 보컬 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보컬의 가창력을 평가할 때 곡 또는 가사에 대한 주관적인 호불호가 개입되기도 한다. 또는, 곡 또는 가사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 없이, 단지 가창력만을 기준으로 평가하기도 한다.
한편, 보컬의 가창력 평가 기술과 관련된 선행 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1997-0063232호(가라오케 채점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종래기술의 가라오케 채점장치는 마이크로폰에 의해 픽업된 가창자의 보컬 사운드와, 레이저 디스크 및 콤팩트 디스크의 가라오케 음원으로부터 재생된 모델 보컬 사운드로부터의 음정 및 음량을 상호 비교하여 단순히 점수를 산출한다.
하지만, 선곡된 곡의 장르 구분없이, 보컬의 가창력을 일률적으로 평가하므로, 객관적인 가창력 평가지표로서는 부족한 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보컬의 가창력을 평가하는 기술은 기술적으로 가창을 평가하므로 평가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노래에는 다양한 장르들이 있는데, 발라드에서는 감정 부분이 더 중요한 평가지표가 되어야 하고, 힙합에서는 리듬감 또는 호감도 부분이 더 중요한 평가지표가 되어야 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997-0063232호(가라오케 채점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노래의 장르별로 다양한 평가항목에 상이한 가중치를 부여하고 평가하여서 보컬의 가창력을 보다 객관적으로 점수화하여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보컬 평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술적인 가창 평가에 의한 오류를 보안할 수 있는 보컬 평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마트 단말기; 및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되, 노래를 선곡하는 선곡 모듈과, 상기 선곡된 노래의 반주에 따라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마이크와 카메라를 통해 영상으로 녹화하는 녹화 모듈과, 선곡 정보와 영상 파일을 상기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 업로드하는 업로드 모듈과, 상기 업로드된 영상 파일을 평가하되, 상기 선곡된 노래의 장르에 따라 상이한 가중치가 부여되는 음감, 리듬감, 발성, 감정선 및 호감도를 음성 지문 및 주파수 분석을 기반으로 수치화하여 평가하는 제1 평가 모듈과, 전공 교수 전문가 그룹, 전문 트레이너 전문가 그룹, 준전문가 그룹 및 비전문가 그룹별 상기 음감, 리듬감, 발성, 감정선 및 호감도에 대해 채점된 점수를 수신하여, 상기 그룹별 부여된 비중에 따라 상기 가중치별로 상기 채점된 점수를 환산하여 평가하는 제2 평가 모듈과, 상기 제1 평가 모듈 또는 상기 제2 평가 모듈에 의한 평가 방식을 선택하는 선택 모듈과, 상기 제1 및 제2 평가 모듈에 의한 평가정보를 다각도로 표준화된 점수, 및 참여 대상 순위와 참여 대상 백분율 정보로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평가정보 제공 모듈을 포함하는, 보컬 평가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평가 모듈은, 상기 선곡 모듈에 의해서 선곡된 노래의 장르 정보를 음원사이트로부터 수신하여 장르별 상이한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 모듈은, 상기 제2 평가 모듈이 상기 그룹 중 특정 그룹만을 선택하여 선택된 그룹에 의해 채점된 점수를 수신하여 평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평가 모듈은, 상기 장르 정보가 발라드이면, 100점 기준으로 감정선, 발성, 음감, 및 리드감 순으로 상대적인 가중치를 부여하고, 100점 기준으로 호감도를 30% 부여하며, 상기 장르 정보가 팝/알엔비이면, 100점 기준으로 감정선, 발성, 및 음감과 리듬감 순으로 상대적인 가중치를 부여하고, 100점 기준으로 호감도를 30% 부여하며, 상기 장르 정보가 어쿠스틱락이면, 100점 기준으로 감정선과 발성, 및 음감과 리듬감 순으로 상대적인 가중치를 부여하고, 100점 기준으로 호감도를 30% 부여하며, 상기 장르 정보가 모던락이면, 100점 기준으로 감정선과 발성, 및 음감과 리듬감 순으로 상대적인 가중치를 부여하고, 100점 기준으로 호감도를 30% 부여하며, 상기 장르 정보가 락발라드이면, 100점 기준으로 감정선, 발성, 음감, 및 리듬감 순으로 상대적인 가중치를 부여하고, 100점 기준으로 호감도를 30% 부여하며, 상기 장르 정보가 메탈이면, 100점 기준으로 감정선과 발성, 및 음감과 리듬감 순으로 상대적인 가중치를 부여하고, 100점 기준으로 호감도를 30% 부여하며, 상기 장르 정보가 힙합이면, 100점 기준으로 발성과 리듬감, 감정선, 및 음감 순으로 상대적인 가중치를 부여하고, 100점 기준으로 호감도를 40% 부여하며, 상기 장르 정보가 댄스이면, 100점 기준으로 리듬감, 감정선과 발성, 및 음감 순으로 상대적인 가중치를 부여하고, 100점 기준으로 호감도를 40% 부여하며, 상기 장르 정보가 미디움댄스이면, 100점 기준으로 발성, 및 감정선과 음감과 리듬감 순으로 상대적인 가중치를 부여하고, 100점 기준으로 호감도를 40% 부여하며, 상기 장르 정보가 포크이면, 100점 기준으로 감정선, 발성, 음감, 및 리듬감 순으로 상대적인 가중치를 부여하고, 100점 기준으로 호감도를 30% 부여하며, 상기 장르 정보가 소울이면, 100점 기준으로 감정선과 발성, 및 음감과 리듬감 순으로 상대적인 가중치를 부여하고, 100점 기준으로 호감도를 30% 부여하고, 상기 장르 정보가 가스펠/CCM이면, 100점 기준으로 감정선, 발성, 리듬감, 및 음감 순으로 상대적인 가중치를 부여하고, 100점 기준으로 호감도를 30%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평가 모듈은, 상기 음감과 리듬감과 발성에 대해서는, 100% 기준으로, 전공 교수 전문가 그룹, 전문 트레이너 전문가 그룹, 준전문가 그룹, 및 비전문가 그룹 순으로 가중치를 부여하며, 상기 감정선에 대해서는, 100% 기준으로, 전공 교수 전문가 그룹과 준전문가 그룹, 및 전문 트레이너 전문가 그룹과 비전문가 그룹 순으로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호감도에 대해서는, 100% 기준으로, 비전문가 그룹, 준전문가 그룹, 전문 트레이너 전문가 그룹, 및 전공 교수 전문가 그룹 순으로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가정보 제공 모듈은, 상기 평가정보를 장르별, 상기 평가항목별, 또는 상기 그룹별로, 표준화된 점수, 및 참여 대상 순위와 참여 대상 백분율 정보로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1 평가 모듈은, 상기 영상 파일을 분석하여 감정을 식별하는 안면 인식 모듈과 동작을 식별하는 동작 인식 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호감도를 평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곡된 곡의 장르별 또는 채점하는 평가그룹별로 상이하게 가중치가 부여된 음감, 리듬감, 발성, 감정 및 호감도를 평가기준으로 보컬의 가창력을 절대평가하고 객관적 평가정보를 제공하여서, 보컬 관련 입시 준비생과 보컬 관련 오디션 지망생 또는 자신의 노래 실력을 알고 싶은 일반인 누구나, 본인의 보컬 능력을 보다 객관적이고 절대적인 평가기준에 의해 파악할 수 있고, 다각도로 표준화된 평가정보에 의해 평가항목 중 미비한 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컬 평가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보컬 평가 시스템에 의한 보컬 평가 방법을 구현하는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전술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컬 평가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보컬 평가 시스템은, 전체적으로, 스마트 단말기(110)와, 스마트 단말기(110)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업로드된 영상 파일을 분석하여 보컬의 가창력을 절대평가하는 보컬 평가 서버(120)로 구성된다.
우선, 스마트 단말기(110)는, 보컬 평가 서버(12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한 스마트 기기로서, 마이크(111)와 카메라(112)를 포함하고, 그 예로서,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피씨 또는 스마트 폰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 보컬 평가 서버(12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스마트 단말기(110)와 연결되는데, 선곡 모듈(121)과, 녹화 모듈(122)과, 업로드 모듈(123)과, 제1 평가 모듈(124)과, 제2 평가 모듈(125)과, 선택 모듈(126)과, 평가정보 제공 모듈(127)로 구성된다.
선곡 모듈(121)은 데이터베이스(DB)에 구축된 곡 중 특정 곡을 선택하도록 한다.
녹화 모듈(122)은, 선곡된 노래의 반주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110)의 마이크(111)와 카메라(112)를 통해 영상으로 녹화하도록 한다.
업로드 모듈(123)은, 선곡 정보와 녹화된 영상 파일을 스마트 단말기(110)를 통해 업로드하여 저장하도록 한다. 여기서, 업로드 모듈(123)은 녹화 완료 후 영상 파일을 업로드하거나, 스트리밍을 통해 실시간으로 스마트 단말기(110)로부터 업로드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1 평가 모듈(124)은, 업로드된 영상 파일을 평가하되, 선곡 모듈(121)에 의해 선곡된 노래의 장르에 따라 상이한 가중치가 부여되는 음감(pitch), 리듬감(rhthm), 발성(vocalization), 감정선(feel-in) 및 호감도(charm)를 음성 지문 및 주파수 분석을 기반으로 수치화하여 평가한다.
제2 평가 모듈(125)은, 전공 교수 전문가 그룹, 전문 트레이너 전문가 그룹, 준전문가 그룹 및 비전문가 그룹별 음감, 리듬감, 발성, 감정선 및 호감도에 대해 채점된 점수를 수신하여, 그룹별 부여된 비중에 따라, 전술한 장르별 가중치별로 채점된 점수를 환산하여 평가한다.
한편, 제1 평가 모듈(124)은, 영상 파일을 분석하여 감정을 식별하는 안면 인식 모듈(124a)과 동작을 추출하여 식별하는 동작 인식 모듈(124b)을 포함하여 호감도를 평가할 수도 있다.
참고로, 음감 분석은 음정 분석으로서, 저음, 중음 및 고음에서의 피치 일치 여부와, 악보에서의 음표 및 쉼표의 표현 정도에 의해 이루어진다.
리듬감 분석은 박자 분석으로서, 기준 박자감, 비트감, 그루브, 바운스감, 및 장르별 리듬 이해도를 통해 이루어진다.
발성 분석은 목소리 분석으로서, 호흡, 발음, 곡에 적합한 톤 구사 여부, 샤우팅, 공명감, 애드립, 가사 전달력(예컨대, 곡의 메시지 전달력, 또는 라임과 플로우의 표현력), 및 다양한 발성 활용 정도(예컨대, 흉성, 진성, 두성 또는 가성의 활용 정도)에 의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호흡 분석은 끝음 처리, 리듬에 적합한 호흡법 구사, 보컬 애드리브 라인 표현시의 호흡 안정감, 프레이즈(phrase) 표현시의 호흡 관리, 및 비브라토 표현 정도를 포함할 수 있다.
감정선 분석은, 곡에 대한 몰입도 분석으로서, 곡의 기승전결에 상응하는 곡 해석력, 곡 또는 가사 표현력, 및 독창성과 창의성을 포함하는 보컬의 감성에 의해 이루어진다.
호감도 분석은 청각적인 호감도, 시각적 호감도, 무대 매너, 스타일, 및 자신감에 의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평가 모듈(124,125)은, 아래의 표1에 제시된 바와 같이, 장르 정보가 발라드이면, 100점 기준으로 감정선, 발성, 음감, 및 리드감 순으로 상대적인 가중치를 부여하고, 100점 기준으로 호감도를 30% 부여하며, 장르 정보가 팝/알엔비이면, 100점 기준으로 감정선, 발성, 및 음감과 리듬감(동일 가중치) 순으로 상대적인 가중치를 부여하고, 100점 기준으로 호감도를 30% 부여하며, 장르 정보가 어쿠스틱락이면, 100점 기준으로 감정선과 발성(동일 가중치), 및 음감과 리듬감(동일 가중치) 순으로 상대적인 가중치를 부여하고, 100점 기준으로 호감도를 30% 부여하며, 장르 정보가 모던락이면, 100점 기준으로 감정선과 발성(동일 가중치), 및 음감과 리듬감(동일 가중치) 순으로 상대적인 가중치를 부여하고, 100점 기준으로 호감도를 30% 부여하며, 장르 정보가 락발라드이면, 100점 기준으로 감정선, 발성, 음감, 및 리듬감 순으로 상대적인 가중치를 부여하고, 100점 기준으로 호감도를 30% 부여하며, 장르 정보가 메탈이면, 100점 기준으로 감정선과 발성(동일 가중치), 및 음감과 리듬감(동일 가중치) 순으로 상대적인 가중치를 부여하고, 100점 기준으로 호감도를 30% 부여하며, 장르 정보가 힙합이면, 100점 기준으로 발성과 리듬감, 감정선, 및 음감 순으로 상대적인 가중치를 부여하고, 100점 기준으로 호감도를 40% 부여하며, 장르 정보가 댄스이면, 100점 기준으로 리듬감, 감정선과 발성(동일 가중치), 및 음감 순으로 상대적인 가중치를 부여하고, 100점 기준으로 호감도를 40% 부여하며, 장르 정보가 미디움댄스이면, 100점 기준으로 발성, 및 감정선과 음감과 리듬감(동일 가중치) 순으로 상대적인 가중치를 부여하고, 100점 기준으로 호감도를 40% 부여하며, 장르 정보가 포크이면, 100점 기준으로 감정선, 발성, 음감, 및 리듬감 순으로 상대적인 가중치를 부여하고, 100점 기준으로 호감도를 30% 부여하며, 장르 정보가 소울이면, 100점 기준으로 감정선과 발성(동일 가중치), 및 음감과 리듬감(동일 가중치) 순으로 상대적인 가중치를 부여하고, 100점 기준으로 호감도를 30% 부여하고, 장르 정보가 가스펠/CCM이면, 100점 기준으로 감정선, 발성, 리듬감, 및 음감 순으로 상대적인 가중치를 부여하고, 100점 기준으로 호감도를 30% 부여할 수 있다.
음감
(25점기준)
리듬감
(25점기준)
발성
(25점기준)
감정선
(25점기준)
호감도
(100점기준)
발라드 20% 10% 30% 40% 30%
팝/알엔비 20% 20% 25% 35% 30%
어쿠스틱락 20% 20% 30% 30% 30%
모던락 20% 20% 30% 30% 30%
락발라드 20% 15% 30% 35% 30%
메탈 20% 20% 30% 30% 30%
힙합 10% 30% 30% 20% 40%
댄스 10% 40% 20% 20% 40%
미디움댄스 20% 20% 30% 20% 40%
포크 20% 10% 30% 40% 30%
소울 20% 20% 30% 30% 30%
가스펠/CCM 10% 20% 30% 40% 30%
또한, 제2 평가 모듈은, 아래의 표2에 제시된 바와 같이, 음감과 리듬감과 발성에 대해서는, 100% 기준으로, 전공 교수 전문가 그룹, 전문 트레이너 전문가 그룹, 준전문가 그룹, 및 비전문가 그룹 순으로 가중치를 부여하며, 감정선에 대해서는, 100% 기준으로, 전공 교수 전문가 그룹과 준전문가 그룹(동일 가중치), 및 전문 트레이너 전문가 그룹과 비전문가 그룹(동일 가중치) 순으로 가중치를 부여하고, 호감도에 대해서는, 100% 기준으로, 비전문가 그룹, 준전문가 그룹, 전문 트레이너 전문가 그룹, 및 전공 교수 전문가 그룹 순으로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음감 리듬감 발성 감정선 호감도
전공교수 전문가 그룹 35% 40% 40% 30% 10%
전문트레이너 전문가 그룹 25% 25% 30% 20% 20%
준전문가 그룹 25% 25% 20% 30% 30%
비전문가 그룹 15% 10% 10% 20% 40%
총합 100% 100% 100% 100% 100%
한편, 제1 및 제2 평가 모듈(124,125)은, 선곡 모듈(121)에 의해서 선곡된 노래의 장르 정보를 자체 데이터베이스(DB)로부터 추출하여 장르별 상이한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으나, 별도의 음원사이트(130), 예컨대 멜론 또는 네이버로부터 선곡된 노래의 장르 정보를 수신하여 장르별 상이한 가중치를 부여할 수도 있다.
선택 모듈(126)은 제1 평가 모듈(124) 또는 제2 평가 모듈(125)에 의한 평가 방식을 선택하도록 한다.
또한, 선택 모듈(126)은, 제2 평가 모듈(125)이 그룹 중 특정 그룹만을 선택하여 선택된 그룹에 의해 채점된 점수를 수신하여 평가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선택 모듈(126)은 제2 평가 모듈(125)이 준전문가 그룹에 의해 채점된 점수만으로 전술한 항목별 적용된 가중치에 의해 평가할 수 있거나, 비전문가 그룹에 채점된 점수만으로 전술한 항목별 적용된 가중치에 의해 평가할 수도 있다.
참고로, 여기서, 준전문가 그룹은 전공 교수 전문가 그룹, 전문 트레이너 전문가 그룹, 및 비전문가 그룹에 의한 특정 횟수 이상의 평가에서의 상위 5% 이내의 비전문가 그룹으로 지칭된다.
평가정보 제공 모듈(127)은, 제1 및 제2 평가 모듈(124,125)에 의한 평가정보를 다각도로 표준화된 점수, 및 참여 대상 순위와 참여 대상 백분율 정보로 스마트 단말기(110)로 전송하여 제공한다.
예컨대, 평가정보 제공 모듈(127)은, 전술한 장르별, 전술한 평가항목별, 또는 전술한 그룹별로 세분화하여, 100점 기준으로 절대 점수로 제공하거나, 특정 기간 또는 특정 대상(입시 준비생, 오디션 지망생, 또는 가창 평가를 원하는 일반인) 중 참여 대상 중 절대 순위와 백분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보컬 평가 시스템에 의한 보컬 평가 방법을 구현하는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술한 보컬 평가 시스템에 의한 보컬 평가 방법은, 통신망을 통한 스마트 단말기(110)와 보컬 평가 서버(120)와의 연결 단계(S110)와, 선곡 단계(S120)와, 영상 녹화 단계(S130)와, 영상 파일 업로드 단계(S140)와, 평가 방법 선택 단계(S150)와, 제1 평가 단계(S160)와, 제2 평가 단계(S170)와, 스마트 단말기(110)로의 평가정보 제공 단계(S180)로 구성된다.
우선, 연결 단계(S110)에서는, 통신망을 통해서, 스마트 단말기(110)가 보컬 평가 서버(120)로 연결하여 통신한다.
이후, 선곡 단계(S120)에서는, 데이터베이스(DB)에 구축된 곡 중 특정 곡을 선택하도록 한다.
이후, 영상 녹화 단계(S130)에서는, 선곡된 노래의 반주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110)의 마이크와 카메라를 통해 영상으로 녹화하도록 한다.
이후, 영상 파일 업로드 단계(S140)에서는, 선곡 정보와 녹화된 영상 파일을 스마트 단말기(110)를 통해 업로드하여 저장하도록 한다. 여기서, 녹화 완료 후 영상 파일을 업로드하거나, 스트리밍을 통해 실시간으로 스마트 단말기(110)로부터 업로드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후, 평가 방법 선택 단계(S150)에서는, 후술하는 제1 평가 단계(S160) 또는 제2 평가 단계(170)에 의한 평가 방식을 선택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2 평가 단계(S170)의 선택시, 전술한 그룹 중 특정 그룹만을 선택하여 선택된 그룹에 의해 채점된 점수를 수신하여 평가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준전문가 그룹에 의해 채점된 점수만으로 전술한 항목별 적용된 가중치에 의해 평가할 수 있거나, 비전문가 그룹에 채점된 점수만으로 전술한 항목별 적용된 가중치에 의해 평가할 수도 있다.
이후, 제1 평가 단계(S160)에서는, 업로드된 영상 파일을 평가하되, 선곡된 노래의 장르에 따라 상이한 가중치가 부여되는 음감, 리듬감, 발성, 감정선 및 호감도를 음성 지문 및 주파수 분석을 기반으로 수치화하여 평가한다.
한편, 제1 평가 단계(S160)에서는, 영상 파일을 분석하여 감정을 식별하고, 동작을 추출하여 식별하여 호감도를 평가할 수도 있다.
또는, 제2 평가 단계(S170)에서는, 전공 교수 전문가 그룹, 전문 트레이너 전문가 그룹, 준전문가 그룹 및 비전문가 그룹별 음감, 리듬감, 발성, 감정선 및 호감도에 대해 채점된 점수를 수신하여, 그룹별 부여된 비중에 따라, 전술한 장르별 가중치별로 채점된 점수를 환산하여 평가한다.
여기서, 구체적인 제1 및 제2 평가 방법(S160,S170)은,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제1 및 제2 평가 모듈(124,125)과, 표1 및 표2에 의한 평가 방법과 동일하므로, 이하 생략하고자 한다.
한편, 제1 평가 단계(S160)와 제2 평가 단계(S170)는 배타적인 선택 단계가 아닌 상호 독립적인 선택 단계로서, 개별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선택될 수 있다.
한편, 별도의 음원사이트(130), 예컨대 멜론 또는 네이버로부터 선곡된 노래의 장르 정보를 수신하여 장르별 상이한 가중치를 부여하는, 장르 정보 수신 단계(S18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후, 평가정보 제공 단계(S190)에서는, 제1 및 제2 평가 단계(S160,S170)에 의한 평가정보를 다각도로 표준화된 점수, 및 참여 대상 순위와 참여 대상 백분율 정보로 스마트 단말기(110)로 전송하여 제공한다.
예컨대, 전술한 장르별, 전술한 평가항목별, 또는 전술한 그룹별로 세분화하여, 100점 기준으로 절대 점수로 제공하거나, 특정 기간 또는 특정 대상(입시 준비생 또는 오디션 지망생) 중 참여 대상 중 절대 순위와 백분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 보컬 평가 서버에 접속하여 보컬 평가를 수행하는 구성으로 상술하였으나, 보컬 평가 서버로부터 보컬 평가 관련 앱을 스마트 단말기로 다운로드하고 설치하여 그 앱에 의해 보컬 평가를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보컬 평가 시스템에 의해서, 보컬 관련 입시 준비생과 보컬 관련 지망생이 본인의 보컬 능력을 보다 객관적이고 절대적인 기준에 의해 파악할 수 있고, 다각도로 표준화된 평가정보에 의해 미비한 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10 : 스마트 단말기 111 : 마이크
112 : 카메라 120 : 보컬 평가 서버
121 : 선곡 모듈 122 : 녹화 모듈
123 : 업로드 모듈 124 : 제1 평가 모듈
125 : 제2 평가 모듈 126 : 선택 모듈
127 : 평가정보 제공 모듈 130 : 음원사이트

Claims (7)

  1. 스마트 단말기; 및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되, 노래를 선곡하는 선곡 모듈과, 상기 선곡된 노래의 반주에 따라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마이크와 카메라를 통해 영상으로 녹화하는 녹화 모듈과, 선곡 정보와 영상 파일을 상기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 업로드하는 업로드 모듈과, 상기 업로드된 영상 파일을 평가하되, 상기 선곡된 노래의 장르에 따라 상이한 가중치가 부여되는 음감, 리듬감, 발성, 감정선 및 호감도를 음성 지문 및 주파수 분석을 기반으로 수치화하여 평가하는 제1 평가 모듈과, 전공 교수 전문가 그룹, 전문 트레이너 전문가 그룹, 준전문가 그룹 및 비전문가 그룹별 상기 음감, 리듬감, 발성, 감정선 및 호감도에 대해 채점된 점수를 수신하여, 상기 그룹별 부여된 비중에 따라 상기 가중치별로 상기 채점된 점수를 환산하여 평가하는 제2 평가 모듈과, 상기 제1 평가 모듈 또는 상기 제2 평가 모듈에 의한 평가 방식을 선택하는 선택 모듈과, 상기 제1 및 제2 평가 모듈에 의한 평가정보를 다각도로 표준화된 점수, 및 참여 대상 순위와 참여 대상 백분율 정보로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평가정보 제공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평가 모듈은, 상기 선곡 모듈에 의해서 선곡된 노래의 장르 정보를 음원사이트로부터 수신하여 장르별 상이한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선택 모듈은, 상기 제2 평가 모듈이 상기 그룹 중 특정 그룹만을 선택하여 선택된 그룹에 의해 채점된 점수를 수신하여 평가하도록 하고,
    상기 제1 및 제2 평가 모듈은,
    상기 장르 정보가 발라드이면, 100점 기준으로 감정선, 발성, 음감, 및 리드감 순으로 상대적인 가중치를 부여하고, 100점 기준으로 호감도를 30% 부여하며,
    상기 장르 정보가 팝/알엔비이면, 100점 기준으로 감정선, 발성, 및 음감과 리듬감 순으로 상대적인 가중치를 부여하고, 100점 기준으로 호감도를 30% 부여하며,
    상기 장르 정보가 어쿠스틱락이면, 100점 기준으로 감정선과 발성, 및 음감과 리듬감 순으로 상대적인 가중치를 부여하고, 100점 기준으로 호감도를 30% 부여하며,
    상기 장르 정보가 모던락이면, 100점 기준으로 감정선과 발성, 및 음감과 리듬감 순으로 상대적인 가중치를 부여하고, 100점 기준으로 호감도를 30% 부여하며,
    상기 장르 정보가 락발라드이면, 100점 기준으로 감정선, 발성, 음감, 및 리듬감 순으로 상대적인 가중치를 부여하고, 100점 기준으로 호감도를 30% 부여하며,
    상기 장르 정보가 메탈이면, 100점 기준으로 감정선과 발성, 및 음감과 리듬감 순으로 상대적인 가중치를 부여하고, 100점 기준으로 호감도를 30% 부여하며,
    상기 장르 정보가 힙합이면, 100점 기준으로 발성과 리듬감, 감정선, 및 음감 순으로 상대적인 가중치를 부여하고, 100점 기준으로 호감도를 40% 부여하며,
    상기 장르 정보가 댄스이면, 100점 기준으로 리듬감, 감정선과 발성, 및 음감 순으로 상대적인 가중치를 부여하고, 100점 기준으로 호감도를 40% 부여하며,
    상기 장르 정보가 미디움댄스이면, 100점 기준으로 발성, 및 감정선과 음감과 리듬감 순으로 상대적인 가중치를 부여하고, 100점 기준으로 호감도를 40% 부여하며,
    상기 장르 정보가 포크이면, 100점 기준으로 감정선, 발성, 음감, 및 리듬감 순으로 상대적인 가중치를 부여하고, 100점 기준으로 호감도를 30% 부여하며,
    상기 장르 정보가 소울이면, 100점 기준으로 감정선과 발성, 및 음감과 리듬감 순으로 상대적인 가중치를 부여하고, 100점 기준으로 호감도를 30% 부여하고,
    상기 장르 정보가 가스펠/CCM이면, 100점 기준으로 감정선, 발성, 리듬감, 및 음감 순으로 상대적인 가중치를 부여하고, 100점 기준으로 호감도를 30%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컬 평가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평가 모듈은,
    상기 음감과 리듬감과 발성에 대해서는, 100% 기준으로, 전공 교수 전문가 그룹, 전문 트레이너 전문가 그룹, 준전문가 그룹, 및 비전문가 그룹 순으로 가중치를 부여하며,
    상기 감정선에 대해서는, 100% 기준으로, 전공 교수 전문가 그룹과 준전문가 그룹, 및 전문 트레이너 전문가 그룹과 비전문가 그룹 순으로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호감도에 대해서는, 100% 기준으로, 비전문가 그룹, 준전문가 그룹, 전문 트레이너 전문가 그룹, 및 전공 교수 전문가 그룹 순으로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컬 평가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정보 제공 모듈은, 상기 평가정보를 장르별, 평가 항목별, 또는 상기 그룹별로, 표준화된 점수, 및 참여 대상 순위와 참여 대상 백분율 정보로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컬 평가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가 모듈은, 상기 영상 파일을 분석하여 감정을 식별하는 안면 인식 모듈과 동작을 식별하는 동작 인식 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호감도를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컬 평가 시스템.
KR1020170100455A 2017-08-08 2017-08-08 보컬 평가 시스템 KR101917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455A KR101917216B1 (ko) 2017-08-08 2017-08-08 보컬 평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455A KR101917216B1 (ko) 2017-08-08 2017-08-08 보컬 평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7216B1 true KR101917216B1 (ko) 2018-11-09

Family

ID=64426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0455A KR101917216B1 (ko) 2017-08-08 2017-08-08 보컬 평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7216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3467B1 (ko) 2023-08-30 2024-01-10 케이팝팩토리 주식회사 사용자 보컬 평가 정보에 기반한 기획사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23424B1 (ko) 2023-08-30 2024-01-10 케이팝팩토리 주식회사 사용자 맞춤형 보컬 평가 보고서 제공 방법
KR102623431B1 (ko) 2023-08-30 2024-01-10 케이팝팩토리 주식회사 사용자 보컬 평가 기반 트레이너 매칭 방법
KR102623419B1 (ko) 2023-08-30 2024-01-10 케이팝팩토리 주식회사 사용자의 단말을 이용한 보컬 데이터 수집 및 이를 이용한 보컬 평가 방법
KR102623462B1 (ko) 2023-08-30 2024-01-10 케이팝팩토리 주식회사 사용자 보컬 평가 정보 기반 보컬 학원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23446B1 (ko) 2023-08-30 2024-01-10 케이팝팩토리 주식회사 사용자 보컬 평가 기반 사용자 맞춤 오디션 곡 선정 방법
KR102623459B1 (ko) 2023-08-30 2024-01-11 케이팝팩토리 주식회사 사용자의 보컬 평가에 기반한 오디션 이벤트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23449B1 (ko) 2023-08-30 2024-01-11 케이팝팩토리 주식회사 사용자 보컬 평가 결과 맞춤형 보컬 트레이닝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40059075A (ko) 2022-10-27 2024-05-07 김기범 기계학습 기반 온라인 보컬 분석 서비스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1041A (ja) * 2005-08-29 2006-02-02 Yamaha Corp フレーズごとに出力される採点データに基づいて採点画像を逐次変化させるカラオケ装置
JP2007140163A (ja) * 2005-11-18 2007-06-07 Yamaha Corp カラオケ装置およびカラオケ装置用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1041A (ja) * 2005-08-29 2006-02-02 Yamaha Corp フレーズごとに出力される採点データに基づいて採点画像を逐次変化させるカラオケ装置
JP2007140163A (ja) * 2005-11-18 2007-06-07 Yamaha Corp カラオケ装置およびカラオケ装置用プログラム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9075A (ko) 2022-10-27 2024-05-07 김기범 기계학습 기반 온라인 보컬 분석 서비스 시스템
KR102623467B1 (ko) 2023-08-30 2024-01-10 케이팝팩토리 주식회사 사용자 보컬 평가 정보에 기반한 기획사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23424B1 (ko) 2023-08-30 2024-01-10 케이팝팩토리 주식회사 사용자 맞춤형 보컬 평가 보고서 제공 방법
KR102623431B1 (ko) 2023-08-30 2024-01-10 케이팝팩토리 주식회사 사용자 보컬 평가 기반 트레이너 매칭 방법
KR102623419B1 (ko) 2023-08-30 2024-01-10 케이팝팩토리 주식회사 사용자의 단말을 이용한 보컬 데이터 수집 및 이를 이용한 보컬 평가 방법
KR102623462B1 (ko) 2023-08-30 2024-01-10 케이팝팩토리 주식회사 사용자 보컬 평가 정보 기반 보컬 학원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23446B1 (ko) 2023-08-30 2024-01-10 케이팝팩토리 주식회사 사용자 보컬 평가 기반 사용자 맞춤 오디션 곡 선정 방법
KR102623459B1 (ko) 2023-08-30 2024-01-11 케이팝팩토리 주식회사 사용자의 보컬 평가에 기반한 오디션 이벤트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23449B1 (ko) 2023-08-30 2024-01-11 케이팝팩토리 주식회사 사용자 보컬 평가 결과 맞춤형 보컬 트레이닝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7216B1 (ko) 보컬 평가 시스템
Pauws Musical key extraction from audio.
Juslin Cue utilization in communication of emotion in music performance: Relating performance to perception.
US8138409B2 (en) Interactive music training and entertainment system
KR100895009B1 (ko) 음악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90038468A1 (en) Interactive Music Training and Entertainment System and Multimedia Role Playing Game Platform
CN103597543A (zh) 语义音轨混合器
EP1798643A2 (en) Taste profile production apparatus, taste profile production method and profile production program
CN102473408B (zh) 卡拉ok主机装置和方法
US20200135237A1 (en) Systems, Methods and Applications For Modulating Audible Performances
KR20190093770A (ko) 인공지능기반 맞춤형 음악추천에 따른 학습생성데이터의 다자간 모바일 컨텐츠 공유서비스 및 시스템
KR101813704B1 (ko) 사용자 음색 분석 장치 및 음색 분석 방법
JP2011095437A (ja) カラオケ採点システム
JP2015191194A (ja) 演奏評価システム、サーバ装置、端末装置、演奏評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944357B2 (ja) 通信カラオケシステム
KR20210067045A (ko) 음악 학원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
Peters et al. Matching artificial reverb settings to unknown room recordings: A recommendation system for reverb plugins
KR20110007352A (ko) 노래 추천 시스템 및 추천 방법
JP6954780B2 (ja) カラオケ装置
CN111883090A (zh) 基于移动终端的音频文件的制作方法及装置
JP4218064B2 (ja) カラオケ装置およびカラオケ装置用プログラム
JP2003500700A (ja) 音声制御式電子楽器
KR20140054810A (ko) 반주음악 제작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JP6317655B2 (ja) カラオケシステム及びサーバ
JP5994343B2 (ja) 演奏評価装置及びカラオ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