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6850B1 -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장치 및 층간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장치 및 층간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6850B1
KR101916850B1 KR1020160102779A KR20160102779A KR101916850B1 KR 101916850 B1 KR101916850 B1 KR 101916850B1 KR 1020160102779 A KR1020160102779 A KR 1020160102779A KR 20160102779 A KR20160102779 A KR 20160102779A KR 101916850 B1 KR101916850 B1 KR 101916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obile terminal
path
transmission signal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2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8952A (ko
Inventor
이승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파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파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파코리아
Priority to KR1020160102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6850B1/ko
Publication of KR20180018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8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 H04B5/0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PLA 통신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건물 내부의 서로 다른 층에 위치된 이동 단말간 또는 무전기간이 직접 통신이 가능한 소방용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장치 및 층간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장치 및 층간 서비스 방법 {FLOOR-BY-FLOOR SERVICE APPARATUS FOR FIRE FIGHT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FLOOR-BY-FLOOR SERVICE METHOD USING THEROF}
본 발명은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장치 및 층간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라인 경로를 통하여 각각 송신 및 수신하는 소방용 무선통신에서 건물 내부의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한 단말간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층간 서비스 장치 및 층간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PLA(Power Line Amp) 통신이라 함은, 이동통신(TRS: 휴대용 통신 단말기 포함)에서 RF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동축케이블을 연장하였을 때, 선로의 손실(loss) 때문에 신호의 레벨(level)이 낮아지면 동축케이블 중간에 RF 신호 레벨을 증폭하여 손실을 보상함으로써 서비스 및 동축 케이블 연장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경로(path) 또는 라인(line)상에 신호 증폭기(AMP)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이다.
도 1 은 종래의 PLA 통신시스템을 이용한 소방 관재시스템의 개략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종래의 PLA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소방 관재시스템은 통신 선로로서 동축케이블을 이용하고 있으며, 송신(TX)선로와 수신(RX)선로가 서로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건물 내부의 이동 단말(예를 들어, 무전기(101 및 103))과 건물 내의 방재실 또는 통제소의 중계기(110)와 통신이 가능하다.
그러나, 건물내에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한 무전기(101)와 무전기(103)간에는 직접 통신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종래의 PLA 통신 시스템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해 도 1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건물 내부의 선로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건물 내부 층 두개의 층(A층과 B층)의 선로 구성이다.
A층과 B층은 건물의 동일한 층이 아님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A층과 B층이 반드시 연속하는 건물의 층일 필요는 없다. 즉, A층은 지하층이며 B층은 지상의 임의의 층(예를 들어, 14층 또는 15 층 등등)일 수 있다.
종래 기술의 PLA 시스템은 중계기(도 1의 110)의 옥외 송수신 안테나(도 1의 116)의 서비스 범위 내에 있는 무전기(도 1의 115)와 건물 내부의 지하(예를 들어, 도 2의 220) 또는 지상 층에 위치한 무전기(예를 들어, 도 2의 210) 간의 서비스는 원활하게 되는 반면, 중계기(도 1의 110)의 옥외 송수신 안테나(도 1의 116)의 서비스 범위 내가 아닌 건물내부의 지하(B 층)와 지상 층(A 층)에 있는 두 개 이상의 무전기(예를 들어, 무전기 (210)와 무전기 (220))간에는 직접 상호 통신을 할 수 없는 문제가 존재한다.
종래 기술의 PLA 통신 시스템 구조는 RX 입력 포트(230)를 통해 입력된 신호가 PLA 내부 블럭을 거쳐 출력되며, 출력된 신호는 신호 분배기(205)에서 분배되어 캐스케이드 연결된 PLA(233) 및 층 내부에 서비스를 하기 위해 라인(232)을 통하여 단방향으로만 전달된다.
A층에서의 RX 포트 구성은 B층에서의 RX 포트 구성과 유사하다. 즉, 단방향으로만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TX 경로를 살펴보면, 무전기(210)에서 송신된 TX 신호(241) 및 상위 연결된 PLA의 신호(242)가 결합되어 입력 포트(243)를 통해 입력된 신호가 내부 블럭을 거쳐 출력된다.
출력된 신호는 캐스케이드 연결된 PLA(246)로 전달된다.
이렇게 종래기술의 Power Line Amp (설치된 동축 케이블)는 신호를 단 방향으로만 신호를 전달하고 있다.
층 내부를 서비스하기 위해 RX 안테나(232, 236) 및 TX 안테나(241, 245)를 설치하였지만, 단방향으로만 송수신 되기 때문에 건물내부의 서로 다른 층에 있는 무전기(220와 210)는 직접 상호 통신을 할 수 없다.
RX 안테나(232 또는 236)를 통해 송신되는 신호는 중계기(도1의 110)에서 RX 선로로 출력된 신호만이 각 층 내부의 무전기에 전달된다.
각 층의 TX 안테나(241 또는 245)를 통해 수신된 무전기 신호는 Power Line Amp 및 중계기(도 1의 110)의 TX 송신 안테나(도1의 116)로 출력되어 무전기(도 1의 115)로 신호가 전달된다.
따라서, 건물내부의 서로 다른 층간에 위치된 무전기간에 직접 통신은 불가능한데, 이는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직접 경로가 설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같이, 종래의 PLA 통신 시스템에서 건물내부의 서로 다른 층에 위치된 이동 단말간에 직접 통신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PLA 통신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건물 내부의 서로 다른 층에 위치된 이동 단말간 또는 무전기간이 직접 통신이 가능한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장치 및 층간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장치의 일 측면에 따라,
TX 경로 및 RX 경로를 각각 별도로 구비하는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서비스 장치의 PLA(Power Line Amp)에 있어서,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의 수신을 검출하는 TX 신호 레벨 검출기;
상기 RX 경로를 통하여 수신된 수신 신호의 RX 안테나로의 출력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치; 및
상기 TX 신호 레벨 검출기에서의 상기 송신 신호의 검출 여부에 따라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TX 안테나;
상기 송신 신호를 상기 TX 경로로 출력하는 TX 출력 포트;
캐스케이드된(cascaded) TX 경로를 통하여 입력되는 캐스케이드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TX 입력 포트;
상기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RX 입력 포트; 및
캐스케이드된 RX 경로를 통하여 출력되는 캐스케이드 수신 신호를 출력하는 RX 출력 포트;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장치의 외부에 위치되어, 상기 송신 신호를 분배하는 분배기(splitter)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신 신호는 상기 분배기에서 분배된 송신 신호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기는 상기 TX 신호 레벨 검출기에서 상기 송신 신호의 검출시 상기 스위치를 오프시켜 상기 RX 경로를 통하여 수신된 상기 수신 신호가 상기 RX 안테나로 출력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소방용 무선 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장치의 다른 측면에 따라,
TX 경로 및 RX 경로를 각각 별도로 구비하는 PLA(Power Line Amp) 통신 층간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건물의 각 층에 설치되어 서로 다른 층에 위치된 제 1 이동 단말과 제 2 이동 단말간에 직접 통신 서비스를 허용하는 복수개의 층간 서비스 모듈; 및
상기 TX 경로를 통하여 송신된 상기 제 1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를 분배하고, 분배된 상기 제 1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의 일부를 수신 신호로서 상기 RX 경로로 전달하는 중계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이동 단말이 위치된 상기 건물의 제 1 층에 설치된 제 1 층간 서비스 모듈은
상기 제 1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의 수신을 검출하는 제 1 TX 신호 레벨 검출기;
상기 RX 경로를 통하여 전달된 상기 수신 신호의 제 1 RX 안테나로의 출력을 온/오프시키는 제 1 스위치;
상기 제 1 TX 신호 레벨 검출기에서의 상기 제 1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의 검출에 따라 상기 제 1 스위치를 오프(OFF)시키는 제 1 제어기;를 포함하여,
상기 제 1 층에 위치된 상기 제 1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가 상기 제 1 RX 안테나로 출력되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이동 단말이 위치된 상기 건물의 상기 제 1 층과 다른 제 2 층에 설치된 제 2 층간 서비스 모듈은
상기 제 2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의 수신을 검출하는 제 2 TX 신호 레벨 검출기;
상기 RX 경로를 통하여 수신된 상기 수신 신호의 제 2 RX 안테나로의 출력을 온/오프시키는 제 2 스위치;
상기 제 2 TX 신호 레벨 검출기에서의 상기 제 2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의 미검출에 따라 상기 스위치를 온(ON)시키는 제 2 제어기;를 포함하여,
상기 제 1 층에 위치된 상기 제 1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가 상기 제 2 층에 위치된 상기 2 이동 단말에 상기 수신 신호로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층간 서비스 모듈은
상기 제 1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TX 안테나;
상기 제 1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를 상기 TX 경로로 출력하는 제 1 TX 출력 포트;
캐스케이드된(cascaded) TX 경로를 통하여 입력되는 캐스케이드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TX 입력 포트;
상기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RX 입력 포트; 및
캐스케이드된 RX 경로를 통하여 출력되는 캐스케이드 수신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RX 출력 포트;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층간 서비스 모듈은
상기 제 2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TX 안테나;
상기 제 2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를 상기 TX 경로로 출력하는 제 2 TX 출력 포트;
캐스케이드된(cascaded) TX 경로를 통하여 입력되는 캐스케이드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TX 입력 포트;
상기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RX 입력 포트; 및
캐스케이드된 RX 경로를 통하여 출력되는 캐스케이드 수신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RX 출력 포트;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계기는 상기 건물의 내부에 위치된 방재실 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계기는
상기 제 1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를 분배하는 분배기(splitter);
상기 TX 경로를 통하여 전달된 상기 제 1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를 옥외 TX 안테나로 전달하는 송신부;
옥외 RX 안테나로부터의 옥외 신호를 상기 RX 경로로 전달하는 수신부; 및
상기 옥외 신호와 상기 분배된 제 1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RX 경로로 전달하는 결합기(combiner);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층간 서비스 모듈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를 제 1 주파수 신호로 변조하고, 제 2 주파수 신호를 상기 수신 신호로 복원하는 제 1 RF 모듈을 포함하는 듀플렉서; 및
상기 중계기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주파수 신호를 상기 제 1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로 복원하고, 상기 수신 신호를 상기 제 2 주파수 신호로 변조하는 제 2 RF 모듈을 포함하는 듀플렉서;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RF 모듈을 포함하는 듀플렉서와 상기 제 2 RF 모듈을 포함하는 듀플렉서 사이에서는 상기 제 1 주파수 신호 및 상기 제 2 주파수 신호를 전달하는 하나의 라인(line)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RF 모듈을 포함하는 듀플렉서와 상기 제 2 RF 모듈을 포함하는 듀플렉서 사이에 상기 제 1 주파수 신호와 상기 제 2 주파수 신호를 분배하는 분배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방법의 일 측면에 따라,
TX 경로 및 RX 경로를 각각 별도로 구비하는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방법의 PLA(Power Line Amp)에 있어서,
TX 신호 레벨 검출기를 통하여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의 수신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TX 신호 레벨 검출기에서의 상기 송신 신호의 검출 여부에 따라 제어기를 이용하여 상기 RX 경로를 통하여 수신된 수신 신호의 RX 안테나로의 출력을 온/오프시키도록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장치의 외부에 위치된 분배기를 통하여 상기 송신 신호를 분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 신호는 상기 분배기에서 분배된 송신 신호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기는 상기 TX 신호 레벨 검출기에서 상기 송신 신호의 검출시 상기 스위치를 오프시켜 상기 RX 경로를 통하여 수신된 상기 수신 신호가 상기 RX 안테나로 출력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방법의 다른 측면에 따라,
TX 경로 및 RX 경로를 각각 별도로 구비하는 PLA(Power Line Amp) 통신 층간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방법은
건물의 제 1 층에 설치된 제 1 층간 서비스 모듈과 상기 건물의 상기 제 1 층과 다른 제 2 층에 설치된 제 2 층간 서비스 모듈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제 1 층간 서비스 모듈은 제 1 TX 신호 레벨 검출기, 제 1 스위치 및 제 1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층간 서비스 모듈은 제 2 TX 신호 레벨 검출기, 제 2 스위치 및 제 2 제어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TX 신호 레벨 검출기를 통하여 제 1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의 수신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 1 TX 신호 레벨 검출기에서의 상기 제 1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의 검출에 따라 상기 제 1 제어기를 이용하여 상기 RX 경로를 통하여 전달된 수신 신호의 제 1 RX 안테나로의 출력을 오프(OFF)시키도록 제 1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 2 TX 신호 레벨 검출기를 통하여 제 2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의 수신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 2 TX 신호 레벨 검출기에서의 상기 제 2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의 미검출에 따라 제 2 제어기를 이용하여 상기 RX 경로를 통하여 수신된 상기 수신 신호의 제 2 RX 안테나로의 출력을 온(ON)시키도록 제 2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물의 내부에 위치된 분배기에 의해 상기 송신 신호를 분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신 신호는 상기 분배기에서 분배된 송신 신호의 일부이어서,
상기 제 1 층에 위치된 상기 제 1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가 상기 제 2 층에 위치된 상기 2 이동 단말에 상기 수신 신호로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층간 서비스 모듈에 위치된 제 1 RF 모듈을 포함하는 듀플렉서를 통하여, 상기 제 1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를 제 1 주파수 신호로 변조하고, 제 2 주파수 신호를 상기 수신 신호로 복원하는 단계; 및
상기 중계기에 위치된 제 2 RF 모듈을 포함하는 듀플렉서를 통하여, 상기 제 1 주파수 신호를 상기 제 1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로 복원하고, 상기 수신 신호를 상기 제 2 주파수 신호로 변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RF 모듈을 포함하는 듀플렉서와 상기 제 2 RF 모듈을 포함하는 듀플렉서 사이에서는 상기 제 1 주파수 신호 및 상기 제 2 주파수 신호를 전달하는 하나의 라인(line)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RF 모듈을 포함하는 듀플렉서와 상기 제 2 RF 모듈을 포함하는 듀플렉서 사이에 위치된 분배기를 통하여, 상기 제 1 주파수 신호와 상기 제 2 주파수 신호를 분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장치 및 층간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중계기의 옥외 안테나의 서비스 범위에 제한을 받지 않고, 건물 내부의 서로 다른 층에 위치된 무전기간에 직접 통신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장치 및 층간 서비스 방법은 별도의 선로 구축 없이 건물 내부의 서로 다른 층에 위치된 무전기간 직접 통신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PLA 통신 시스템의 선로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PLA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소방용 통신 시스템에서의 건물 내부의 무전기간 직접 통신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원 발명에 따른 PLA 통신 층간 서비스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원 발명에 따른 PLA 통신 층간 서비스 모듈을 이용한 층간 서비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원 발명에 따른 PLA 통신 층간 서비스 모듈의 블럭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원 발명에 따른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장치의 전체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원 발명에 따른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원 발명에 따른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원 발명에서의 PLA 통신 시스템이라 함은 PLA(Power Line Amp) 통신이라 함은, 이동통신(TRS 포함)에서 RF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동축케이블을 연장하였을 때, 선로의 손실 때문에 신호의 레벨이 낮아지면 동축케이블 중간에 RF 신호 레벨을 증폭하여 손실을 보상함으로써 서비스 및 동축 케이블 연장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경로 또는 라인상에 신호 증폭기(AMP)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이다.
본원 발명에서의 PLA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로서 소방용 통신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른 용도로서 활용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본원 발명에서의 TX 신호는 하나이상의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를 총칭하여 말하는 것으로, TX 신호는 이동 단말에서 중계기로 전송되도록 구성된다.
본원 발명에서의 RX 신호는 중계기로부터 하나이상의 이동 단말에 수신되는 신호를 총칭하여 말하는 것으로, RX신호는 RX/FM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은 종래의 PLA 통신 시스템의 건물 내부의 무전기 즉 이동 단말간의 직접 통신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층간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여 별도의 선로 또는 경로 개설없이 직접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도 3은 본원 발명에 따른 PLA 통신 층간 서비스 모듈(300)의 개략도이다.
본원 발명에 따른 PLA 통신 층간 서비스 모듈(300)은 TX 신호 레벨 검출기(302), 스위치(305) 및 제어기(30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X 신호 레벨 검출기(302)는 이동 단말(310)의 송신 신호의 수신 여부를 검출한다.
스위치(305)는 RX 경로(340)를 통하여 수신된 수신 신호의 RX 안테나(360)로의 출력을 온/오프시킨다.
제어기(304)는 TX 신호 레벨 검출기(302)에서의 송신 신호의 검출 여부에 따라 스위치를 제어한다.
도 3에서의 AMP(320)는 송신 경로상에서의 신호 증폭을 위한 라인 앰프를 의미하며, AMP(330)은 수신 경로상에서의 신호 증폭을 위한 라인 앰프를 의미한다.
본원 발명에서의 이동 단말의 일 예는 TRS 무전기가 될 수 있다.
TX 신호 레벨 검출기(302)에서의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를 TX 안테나(350)을 이용하여 수신된다.
본원 발명에서의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장치는 하나의 주파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송신 신호를 발송한 이동 단말이 위치한 RX 경로로는 해당 이동 단말이 발송한 정보를 갖는 수신 신호가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동 단말(310)이 위치한 건물의 층을 제외한 다른 모든 층에 위치된 이동 단말이 이동 단말(310)로부터 발송된 송신 신호를 수신하지만, 이동 단말(310) 자신은 수신 대상에서 제외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본원 발명에서의 PLA 통신 층간 서비스 모듈의 특징이다.
만약, 이동 단말(310)이 자신이 발송한 송신 신호를 다시 수신하도록 구성된다면, 하나의 주파수에 의해 구동되는 이동 단말(310)은 제대로 동작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송신 신호를 발송하는 주체인 이동 단말(310)은 수신 대상에서 제외되고, 다른 층에 위치한 모든 이동 단말들만이 수신 대상이 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PLA 통신 층간 서비스 모듈(300)은 TX 신호 레벨 검출기(302)에서 이동 단말(310)의 송신 신호의 수신을 검출한 때에는 제어기(304)는 스위치(305)를 오프시켜, RX 안테나(360)로의 수신 신호의 출력을 방지한다.
도 4는 본원 발명에 따른 PLA 통신 층간 서비스 모듈을 이용한 층간 서비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에서 건물(400)의 B층에 위치한 이동 단말(410)이 송신 신호를 발송하고 있다.
그리고, B층에 위치한 이동 단말(410)을 제외한 A층에 위치한 이동 단말(420)과 C층에 위치한 이동 단말(430)이 B층에 위치한 이동 단말(410)이 발송한 송신 신호를 수신하고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도 4의 A층에 위치한 PLA 통신 층간 서비스 모듈(431)에 포함된 스위치(403)은 RX ANT로 턴 온되어 RX경로를 통하여 전달된 수신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유사하게, C층에 위치한 PLA 통신 층간 서비스 모듈(421)에 포함된 스위치(401)도 RX ANT로 턴 온되어 RX경로를 통하여 전달된 수신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B층에 위치한 PLA 통신 층간 서비스 모듈(411)에 포함된 스위치(402)는 RX ANT로 연결되지 않도록 턴 오프되어 RX경로를 통하여 전달된 수신 신호를 B층의 이동 단말(410)로 전달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도 4의 도면에서 굵은 실선으로 표현된 라인들은 실질적으로 신호가 전송되는 구간을 표현하고 있으며, 가는 실선으로 표현된 라인들은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구간을 표현한다.
송신 신호가 전송되는 TX 경로를 검토하여 보면, 라인 앰프(413)로부터 PLA 통신 층간 서비스 모듈(411)의 TX ANT(417)까지는 굵은 실선으로 표현되어, B층에 위치한 이동 단말(410)으로부터 발송된 신호가 전송됨을 나타낸다.
그리고, 건물(400)에 위치된 중계기(도 6의 676)로 이동 단말(410)의 송신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PLA 통신 층간 서비스 모듈(411)의 TX 출력 포트(418)로부터 PLA 통신 층간 서비스 모듈(431)의 TX 입력 포트(436)로 구간도 굵은 실선으로 표현되며, PLA 통신 층간 서비스 모듈(431)의 TX 출력 포트(438)로부터 중계기까지의 구간도 굵은 실선으로 표현될 것이다.
본원 발명에서 PLA 통신 층간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은 B층의 이동 단말(410)의 송신 신호를 A층(430)의 이동단말(430) 및 C층(420)의 이동단말(420)을 전달한다는 것이기 때문에, RX 경로로 전송되는 수신 신호는 당연히 B층의 이동 단말(410)에서 발송된 송신 신호의 일부일 것이다.
TX 경로로 전달되는 이동 단말(410)의 송신 신호는 중계기(도 6의 676)에서 분배되고, 분배된 송신 신호의 일부가 RX 경로로 전달되어 건물(400) 내부의 B층을 제외한 A층에 이동단말(430) 및 C층에 이동단말(420)로 전달되어 층간 서비스가 이루어진다.
각 층에 위치된 PLA 통신 층간 서비스 모듈 내부에 컴포넌트의 기능에 대하여 도 5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4에서는 B층에서의 이동 단말(410)이 발송 신호를 송신하기 때문에 PLA 통신 층간 서비스 모듈(411)의 스위치가 턴 오프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만약, A층의 이동 단말(430)이 발송 신호를 송신한다면, PLA 통신 층간 서비스 모듈(431)의 스위치(403)가 턴 오프되고, B 층의 PLA 통신 층간 서비스 모듈(421)의 스위치 (401) 및 PLA 통신 층간 서비스 모듈(411)의 스위치(402)는 턴 온 되어 각각의 RX 안테나로의 연결될 것이다.
도 5는 본원 발명에 따른 PLA 통신 층간 서비스 모듈의 블럭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PLA 통신 층간 서비스 모듈에 포함된 각 구성 컴포넌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서의 PLA 통신 층간 서비스 모듈(500)은 TX단(550)과 RX단(510)이 결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스템 구축 환경에 따라 일정 간격으로 떨어져 구성될 수도 있다.
본원 발명의 PLA 통신 층간 서비스 모듈(500)은 TX 신호 레벨 검출기(501), 스위치(503) 및 제어기(502)를 포함한다.
TX 신호 레벨 검출기(501)는 도 3에서의 TX 신호 레벨 검출기(301)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고, 스위치(503)는 도 3에서의 스위치(305)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고, 제어기(502)는 도 3에서의 제어기(304)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TX 안테나(552)는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를 수신한다.
TX 출력 포트(553)은 송신 신호를 TX 경로로 출력한다.
본원 발명에서의 TX 경로는 PLA 통신 층간 서비스 모듈(500)로부터 중계기(도 6의 676)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선로를 의미한다.
TX 입력 포트(551)은 캐스케이드된(cascaded) TX 경로를 통하여 입력되는 캐스케이드 송신 신호를 수신한다.
본원 발명에서의 캐스케이드 송신 신호는 다른 층의 이동 단말로부터 발송된 송신 신호가 될 수 있다.
RX 입력 포트(513)는 수신 신호를 수신한다.
본원 발명에서의 RX 경로는 중계기(도 6의 676)로부터 PLA 통신 층간 서비스 모듈(500)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선로를 의미한다.
RX 출력 포트(512)는 캐스케이드된 RX 경로를 통하여 출력되는 캐스케이드 수신 신호를 출력한다.
캐스케이드 수신 신호는 RX 경로를 통하여 전송된 수신 신호로서, 다른 층의 이동 단말로 전달되는 신호가 될 수 있다.
도 5에서 2WAY 결합기(554)는 2개의 신호를 입력 받아 결합하여 하나의 신호로 출력한다.
2WAY 분배기(515)는 1개의 신호를 입력 받아 분기하여 두개의 신호로 출력한다.
PAD(555, 555-2, 555-3, 555-4 및 516-1, 516-2, 516-3, 516-4)는 저항 값으로 파이형 PAD를 구현하여 신호를 감쇠시킨다.
AMP(556, 556-1, 556-2, 517-1, 517-2)는 입력된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기이다.
T-PAD(555-1)는 온도보상 회로이다.
SAW Filter(557, 519)는 서비스 대역만 통과시키는 필터이다.
ATT(558, 558-1518, 518-1)은 신호의 레벨을 조정하는 감쇠기이다.
도 6은 본원 발명에 따른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장치의 전체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른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장치의 전체 시스템은 건물 내부의 각 층에 구비된 복수개의 층간 서비스 모듈과 방재실내에 포함된 중계기(67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층간 서비스 모듈들은 건물의 각 층에 설치되어 서로 다른 층에 위치된 제 1 이동 단말과 제 2 이동 단말간에 직접 통신 서비스를 허용한다.
중계기(676)는 TX 경로를 통하여 송신된 제 1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를 분배하고, 분배된 제 1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의 일부를 수신 신호로서 RX 경로로 전달한다.
도 6에서의 굵은 실선들은 실제로 신호들이 전송되는 구간인 것을 나타내며, 가는 실선들은 신호들이 전송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서는 C 층에 위치된 이동단말(640)이 송신 신호를 발송하여, 다른 층에 위치한 이동 단말들이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서비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 3 및 도 4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C층에 위치된 이동 단말(640)로는 송신 신호가 수신되지 않도록 층간 서비스 모듈 내부의 스위치(미도시)가 턴 오프된다.
층간 서비스 모듈에서의 동작은 이미 도 3 내지 도 5에서 충분히 설명되었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중계기(676)단에서의 동작 및 중계기(676)와 건물 내부(600)에 위치된 층간 서비스 모듈(621 및 631)의 연결 구간에 대하여 설명한다.
C층에 위치된 이동 단말(640)에 의해 발송된 송신 신호는 TX 라인을 통하여 중계기(676)로 전송된다.
도 6에서 중계기(676)는 방재실(670)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일 예시일 뿐이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중계기의 위치는 건물 내부(600)에 위치될 수 있고, 복수의 건물에 대한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건물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TX 라인을 통하여 전송된 C층에 위치된 이동 단말(640)에 의해 발송된 송신 신호는 분배기(672)에서 분배된다.
분배된 C층에 위치된 이동 단말(640)에 의해 발송된 송신 신호는 결합기 (675)로 전달되어 RX 경로를 통하여 전송되게 된다.
도 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종래의 PLA 통신 시스템에서는 건물 내부에 위치된 제 1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는 옥외의 중계자에 의해 운용되는 이동 단말(690)을 통하여 중계되어 다른 층에 위치된 제 2 이동 단말과 통신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원 발명의 PLA 통신 시스템은 중계기 내에 위치된 분배기(672)를 통하여 분배된 송신 신호를 RX 경로로 전환시켜 줌으로써 옥외에 위치한 중계자의 인위적인 중계 없이도 층간 서비스가 가능한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된 이동 단말(640)의 송신 신호는 수신 신호로서 RX 경로를 통하여 전송된다.
RX 경로를 통하여 전송되는 이동 단말(640)의 송신 신호는 C층을 제외한 다른 층의 모든 이동 단말들에 전송된다.
도 6에 도시된 결합기(675)는 중계기(676) 내부에 위치될 수도 있으며, 반드시 중계기 외부에 위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결합기(675)는 옥외 이동 단말(690)로부터 수신된 수신 신호를 수신하여 RX 경로로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옥외 중계자의 송신 신호를 수신하여 건물 내부의 이동 단말들에 전송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중계기(676)의 TX단(또는 송신부)(673)의 TX 출력포트(673-2)를 통하여 이동 단말(640)의 송신 신호를 전송한다. 이동 단말(690)는 TX 안테나(681)을 통하여 이동 단말(640)의 송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분배기(672)는 반드시 중계기(676) 내부에 위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중계기(676) 외부에 위치될 수도 있다.
본원 발명에서의 중계라인(695)은 중계기 내부에 위치된 RF 모듈을 포함하는 듀플렉서(duplexer)(671)단에서부터 층간 서비스 모듈(631 및 621)에 설치된 RF 모듈을 포함하는 듀플렉서(606 및 607)까지의 구간을 말한다.
RF 모듈을 포함하는 듀플렉서(606, 607 및 671)는 하나의 주파수를 갖는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를 상이한 별도의 주파수를 갖는 변조 신호로 변환시켜 주거나, 상이한 별도의 주파수를 갖는 변조 신호를 하나의 주파수를 갖는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로 변환 또는 복원시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RF모듈은 주파수 변/복조에 관여하고, 듀플렉서는 변/복조된 주파수 신호의 송/수신에 관여한다.
RF 모듈을 포함하는 듀플렉서의 특성상 중계구간에서는 TX 경로와 RX 경로를 별도로 구성하지 않고, 하나의 경로 또는 라인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중계구간에서는 하나의 라인상에 서로 다른 두개의 주파수를 운용할 수 있다.
송신 주파수와 수신 주파수를 상이하게 구성함으로써 별도로 TX 경로와 RX 경로를 구성해야 하는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중계기(676)단에서의 RF 모듈을 포함하는 듀플렉서(671)는 반드시 중계기 내부에 위치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중계기 외부에 위치될 수도 있다.
중계 라인(695)에 위치된 분배기(605)는 지상에 위치된 층간 서비스 모듈(631)과 지하에 위치된 층간 서비스 모듈(621)로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를 양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만약, 모든 층간 서비스 모듈이 지상에만 위치되고 지하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분배기(605)는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도 6에서 중계라인(695)에서 분배기(605)과 RF 모듈을 포함하는 듀플렉서(606) 사이의 구간, 분배기(605)과 RF 모듈을 포함하는 듀플렉서(607) 사이의 구간은 서로 다른 주파수의 송신 및 수신 신호가 하나의 라인으로 각각 구성된 것이다.
다시 말해, 분배기(605)과 RF 모듈을 포함하는 듀플렉서(606) 사이는 TX 경로를 의미하지 않으며, 분배기(605)과 RF 모듈을 포함하는 듀플렉서(607) 사이가 RX 경로를 의미하지 않는다.
도 7은 본원 발명에 따른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PLA(Power Line Amp) 통신 층간 서비스 방법은 S710에서 TX 신호 레벨 검출기를 통하여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의 수신 여부를 검출한다.
TX 신호 레벨 검출기에서의 송신 신호의 검출 여부에 따라 제어기를 이용하여 RX 경로를 통하여 수신된 수신 신호의 RX 안테나로의 출력을 온/오프시키도록 스위치를 제어한다(S720).
층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의 일부는 RX 경로를 통하여 다른 층의 이동 단말로 전달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장치의 외부에 위치된 분배기를 통하여 송신 신호를 분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신호는 분배기에서 분배된 송신 신호의 일부이다.
제어기는 TX 신호 레벨 검출기에서 송신 신호의 검출시 스위치를 오프시켜 RX 경로를 통하여 수신된 수신 신호가 RX 안테나로 출력되는 것을 방지한다.
스위치를 턴 오프시킴으로써 이동 단말이 발송한 송신 신호가 자신에게 다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원 발명에 따른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의 흐름도는 도 6의 시스템 구성도를 참조하여 보다 더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방법은 건물의 제 1 층에 설치된 제 1 층간 서비스 모듈과 건물의 제 1 층과 제 2 층에 설치된 제 2 층간 서비스 모듈에 의해 수행된다.
설명의 명확화를 위하여, 두개의 층을 예로 설명하지만, 더 많은 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잇다.
제 1 층간 서비스 모듈은 제 1 TX 신호 레벨 검출기, 제 1 스위치 및 제 1 제어기를 포함한다.
제 2 층간 서비스 모듈은 제 2 TX 신호 레벨 검출기, 제 2 스위치 및 제 2 제어기를 포함한다.
제 1층간 서비스 모듈내 제 1 TX 신호 레벨 검출기를 통하여 제 1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의 수신여부를 검출한다(S810).
제 1 TX 신호 레벨 검출기에서의 제 1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의 검출에 따라 제 1 제어기를 이용하여 RX 경로를 통하여 전달된 수신 신호의 제 1 RX 안테나로의 출력을 오프(OFF)시키도록 제 1 스위치를 제어한다(S820).
S820은 도 6에서의 C층에서의 이동단말(640)이 수신 신호를 전달 받을 수 없도록 RX 경로를 통하여 전달된 수신 신호가 RX 안테나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위치 오프되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TX 신호 레벨 검출기를 통하여 제 2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의 수신을 검출한다(S830).
제 2 TX 신호 레벨 검출기에서의 제 2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의 미검출에 따라 제 2 제어기를 이용하여 RX 경로를 통하여 수신된 수신 신호의 RX 안테나로의 출력을 온(ON)시키도록 제 2 스위치를 제어한다(S840).
S840은 도 6에서의 B층에서의 이동단말(630), D층에서의 이동단말(650), E층에서의 이동단말(660), 지하 1층에서의 이동단말(620) 및 지하 2층에서의 이동단말(610)들이 수신 신호를 전달 받을 수 있도록 RX 경로를 통하여 전달된 수신 신호가 RX 안테나로 전달되는 허용하도록 스위치 온되는 것을 의미한다.
건물의 내부에 위치된 분배기에 의해 송신 신호를 분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신호는 분배기에서 분배된 송신 신호의 일부이어서, 제 1 층에 위치된 제 1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가 제 2 층에 위치된 2 이동 단말에 수신 신호로서 전달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300 PLA 통신 층간 서비스 모듈
302 TX 신호 레벨 검출기
305 스위치
304 제어기

Claims (23)

  1. TX 경로 및 RX 경로를 각각 별도로 구비하는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의 수신을 검출하는 TX 신호 레벨 검출기;
    상기 RX 경로를 통하여 수신된 수신 신호의 RX 안테나로의 출력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치; 및
    상기 TX 신호 레벨 검출기에서의 상기 송신 신호의 검출 여부에 따라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되,
    상기 수신 신호가 상기 송신 신호의 일부인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TX 신호 레벨 검출기에서 상기 송신 신호의 검출시 상기 스위치를 오프시켜 상기 RX 경로를 통하여 수신된 상기 수신 신호가 상기 RX 안테나로 출력되는 것을 방지하는,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TX 안테나;
    상기 송신 신호를 상기 TX 경로로 출력하는 TX 출력 포트;
    캐스케이드된(cascaded) TX 경로를 통하여 입력되는 캐스케이드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TX 입력 포트;
    상기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RX 입력 포트; 및
    캐스케이드된 RX 경로를 통하여 출력되는 캐스케이드 수신 신호를 출력하는 RX 출력 포트;를 더 포함하는,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장치의 외부에 위치되어, 상기 송신 신호를 분배하는 분배기(splitter)를 더 포함하는,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장치.
  4. 삭제
  5. TX 경로 및 RX 경로를 각각 별도로 구비하는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건물의 각 층에 설치되어 서로 다른 층에 위치된 제 1 이동 단말과 제 2 이동 단말간에 직접 통신 서비스를 허용하는 복수개의 층간 서비스 모듈; 및
    상기 TX 경로를 통하여 송신된 상기 제 1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를 분배하고, 분배된 상기 제 1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의 일부를 수신 신호로서 상기 RX 경로로 전달하는 중계기;를 포함하되,
    상기 층간 서비스 모듈은 상기 제 1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가 상기 중계기 및 상기 제 2 이동 단말로는 전달되지만, 상기 제 1 이동 단말로는 전달되지 않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 단말이 위치된 상기 건물의 제 1 층에 설치된 제 1 층간 서비스 모듈은
    상기 제 1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의 수신을 검출하는 제 1 TX 신호 레벨 검출기;
    상기 RX 경로를 통하여 전달된 상기 수신 신호의 제 1 RX 안테나로의 출력을 온/오프시키는 제 1 스위치;
    상기 제 1 TX 신호 레벨 검출기에서의 상기 제 1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의 검출에 따라 상기 제 1 스위치를 오프(OFF)시키는 제 1 제어기;를 포함하여,
    상기 제 1 층에 위치된 상기 제 1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가 상기 제 1 RX 안테나로 출력되는 것을 방지하는,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동 단말이 위치된 상기 건물의 상기 제 1 층과 다른 제 2 층에 설치된 제 2 층간 서비스 모듈은
    상기 제 2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의 수신을 검출하는 제 2 TX 신호 레벨 검출기;
    상기 RX 경로를 통하여 수신된 상기 수신 신호의 제 2 RX 안테나로의 출력을 온/오프시키는 제 2 스위치;
    상기 제 2 TX 신호 레벨 검출기에서의 상기 제 2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의 미검출에 따라 상기 스위치를 온(ON)시키는 제 2 제어기;를 포함하여,
    상기 제 1 층에 위치된 상기 제 1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가 상기 제 2 층에 위치된 상기 2 이동 단말에 상기 수신 신호로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간 서비스 모듈은
    상기 제 1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TX 안테나;
    상기 제 1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를 상기 TX 경로로 출력하는 제 1 TX 출력 포트;
    캐스케이드된(cascaded) TX 경로를 통하여 입력되는 캐스케이드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TX 입력 포트;
    상기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RX 입력 포트; 및
    캐스케이드된 RX 경로를 통하여 출력되는 캐스케이드 수신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RX 출력 포트;를 더 포함하는,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2 층간 서비스 모듈은
    상기 제 2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TX 안테나;
    상기 제 2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를 상기 TX 경로로 출력하는 제 2 TX 출력 포트;
    캐스케이드된(cascaded) TX 경로를 통하여 입력되는 캐스케이드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TX 입력 포트;
    상기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RX 입력 포트; 및
    캐스케이드된 RX 경로를 통하여 출력되는 캐스케이드 수신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RX 출력 포트;를 더 포함하는,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장치.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는 상기 건물의 내부에 위치된 방재실 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는
    상기 제 1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를 분배하는 분배기(splitter);
    상기 TX 경로를 통하여 전달된 상기 제 1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를 옥외 TX 안테나로 전달하는 송신부;
    옥외 RX 안테나로부터의 옥외 신호를 상기 RX 경로로 전달하는 수신부; 및
    상기 옥외 신호와 상기 분배된 제 1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RX 경로로 전달하는 결합기(combiner);를 포함하는,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장치.
  12.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층간 서비스 모듈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를 제 1 주파수 신호로 변조하고, 제 2 주파수 신호를 상기 수신 신호로 복원하는 제 1 RF 모듈을 포함하는 듀플렉서; 및
    상기 중계기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주파수 신호를 상기 제 1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로 복원하고, 상기 수신 신호를 상기 제 2 주파수 신호로 변조하는 제 2 RF 모듈을 포함하는 듀플렉서;를 더 포함하는,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 1 RF 모듈을 포함하는 듀플렉서와 상기 제 2 RF 모듈을 포함하는 듀플렉서 사이에서는 상기 제 1 주파수 신호 및 상기 제 2 주파수 신호를 전달하는 하나의 라인(line)으로 구성되는,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 1 RF 모듈을 포함하는 듀플렉서와 상기 제 2 RF 모듈을 포함하는 듀플렉서 사이에 상기 제 1 주파수 신호와 상기 제 2 주파수 신호를 분배하는 분배기를 더 포함하는,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장치.
  15. TX 경로 및 RX 경로를 각각 별도로 구비하는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TX 신호 레벨 검출기를 통하여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의 수신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TX 신호 레벨 검출기에서의 상기 송신 신호의 검출 여부에 따라 제어기를 이용하여 상기 RX 경로를 통하여 수신된 수신 신호의 RX 안테나로의 출력을 온/오프시키도록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수신 신호가 상기 송신 신호의 일부인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TX 신호 레벨 검출기에서 상기 송신 신호의 검출시 상기 스위치를 오프시켜 상기 RX 경로를 통하여 수신된 상기 수신 신호가 상기 RX 안테나로 출력되는 것을 방지하는,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장치의 외부에 위치된 분배기를 통하여 상기 송신 신호를 분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방법.
  17. 삭제
  18. TX 경로 및 RX 경로를 각각 별도로 구비하는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방법은
    건물의 제 1 층에 설치된 제 1 층간 서비스 모듈과 상기 건물의 상기 제 1 층과 다른 제 2 층에 설치된 제 2 층간 서비스 모듈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제 1 층간 서비스 모듈은 제 1 TX 신호 레벨 검출기, 제 1 스위치 및 제 1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층간 서비스 모듈은 제 2 TX 신호 레벨 검출기, 제 2 스위치 및 제 2 제어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TX 신호 레벨 검출기를 통하여 제 1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의 수신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 1 TX 신호 레벨 검출기에서의 상기 제 1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의 검출에 따라 상기 제 1 제어기를 이용하여 상기 RX 경로를 통하여 전달된 수신 신호의 제 1 RX 안테나로의 출력을 오프(OFF)시키도록 제 1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 2 TX 신호 레벨 검출기를 통하여 제 2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의 수신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 2 TX 신호 레벨 검출기에서의 상기 제 2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의 미검출에 따라 제 2 제어기를 이용하여 상기 RX 경로를 통하여 수신된 상기 수신 신호의 제 2 RX 안테나로의 출력을 온(ON)시키도록 제 2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내부에 위치된 분배기에 의해 상기 송신 신호를 분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신호는 상기 분배기에서 분배된 송신 신호의 일부이어서,
    상기 제 1 층에 위치된 상기 제 1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가 상기 제 2 층에 위치된 상기 2 이동 단말에 상기 수신 신호로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방법.
  21.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층간 서비스 모듈에 위치된 제 1 RF 모듈을 포함하는 듀플렉서를 통하여, 상기 제 1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를 제 1 주파수 신호로 변조하고, 제 2 주파수 신호를 상기 수신 신호로 복원하는 단계; 및
    중계기에 위치된 제 2 RF 모듈을 포함하는 듀플렉서를 통하여, 상기 제 1 주파수 신호를 상기 제 1 이동 단말의 송신 신호로 복원하고, 상기 수신 신호를 상기 제 2 주파수 신호로 변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방법.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제 1 RF 모듈을 포함하는 듀플렉서와 상기 제 2 RF 모듈을 포함하는 듀플렉서 사이에서는 상기 제 1 주파수 신호 및 상기 제 2 주파수 신호를 전달하는 하나의 라인(line)으로 구성되는,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방법.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제 1 RF 모듈을 포함하는 듀플렉서와 상기 제 2 RF 모듈을 포함하는 듀플렉서 사이에 위치된 분배기를 통하여, 상기 제 1 주파수 신호와 상기 제 2 주파수 신호를 분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방법.
KR1020160102779A 2016-08-12 2016-08-12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장치 및 층간 서비스 방법 KR101916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779A KR101916850B1 (ko) 2016-08-12 2016-08-12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장치 및 층간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779A KR101916850B1 (ko) 2016-08-12 2016-08-12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장치 및 층간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8952A KR20180018952A (ko) 2018-02-22
KR101916850B1 true KR101916850B1 (ko) 2018-11-09

Family

ID=61386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2779A KR101916850B1 (ko) 2016-08-12 2016-08-12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장치 및 층간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68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519B1 (ko) * 2020-09-11 2020-11-18 주식회사 엘파코리아 긴급 상황 하향 신호의 상시 온 출력이 가능한 소방용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소방용 파워 라인 앰프
KR102213937B1 (ko) * 2020-09-17 2021-02-08 (주)캐스트윈 무선통신 보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357B1 (ko) * 2020-09-02 2020-10-06 주식회사 웨이브컴 1주파단신 및 2주파단신을 사용하는 층간통화와 다중통화가 가능한 무전기중계시스템
KR102418691B1 (ko) * 2021-09-30 2022-07-08 주식회사 젠알에프티 주파수 변조 및 잡음제거 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과, 그를 위한 메인장비 및 리모트 장비
KR102516567B1 (ko) * 2022-09-20 2023-03-30 백홍배 소방용 무선통신 및 재난방송 통합 전송 시스템
KR102651995B1 (ko) 2023-03-21 2024-04-01 주식회사 세진테크 재난 안전 통신망을 포함하는 소방용 무선 통신 보조 설비의 분산 중계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815B1 (ko) * 2000-07-10 2003-08-25 이득수 멀티채널 중계기
KR101604813B1 (ko) * 2014-12-29 2016-03-18 이승한 Pla 통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815B1 (ko) * 2000-07-10 2003-08-25 이득수 멀티채널 중계기
KR101604813B1 (ko) * 2014-12-29 2016-03-18 이승한 Pla 통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519B1 (ko) * 2020-09-11 2020-11-18 주식회사 엘파코리아 긴급 상황 하향 신호의 상시 온 출력이 가능한 소방용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소방용 파워 라인 앰프
KR102213937B1 (ko) * 2020-09-17 2021-02-08 (주)캐스트윈 무선통신 보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8952A (ko) 2018-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6850B1 (ko) 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층간 서비스 장치 및 층간 서비스 방법
US10374697B2 (en) Distributed duplexer configuration for blocking and linearity
US10236921B1 (en) Signal booster device, a means of transportation comprising a signal booster devi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a signal booster device
US20160254857A1 (en) High throughput satellite
KR101682623B1 (ko) 무전기 통신 중계 모듈 및 시스템
KR101557720B1 (ko) 타워 장착 부스터
US11563549B2 (en) Selectable band suppression for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KR101604813B1 (ko) Pla 통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US9660698B2 (en) Leaky cable communication
KR101515762B1 (ko) 무전기 통신 시스템
KR100788872B1 (ko) 송수신 안테나 분리를 이용한 tdd용 rf 중계기
EP2966785B1 (en) Antenna sharing device for wireless access node system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1045760B1 (ko) 방향성 커플러를 이용한 브이에이치에프용 능동형 무전기 안테나 분배기
KR101879286B1 (ko) 터널 내 2주파 단신 중계 시스템
KR100960237B1 (ko) 무선통신용 분산 중계 시스템
KR101825418B1 (ko) 중계 장치
US8213878B1 (en) RF switch power splitter for WLAN and bluetooth coexistence
CA2834725A1 (en) Duplexer with signal cancellation
JP4564056B2 (ja) 無線中継装置
KR102651995B1 (ko) 재난 안전 통신망을 포함하는 소방용 무선 통신 보조 설비의 분산 중계 시스템
KR100928625B1 (ko) 무선 통신용 광중계기의 확장 시스템
KR100718392B1 (ko) Rf 분산 중계기를 갖는 이동통신 시스템
KR20180024059A (ko) Trs/소방용 무선통신을 위한 디지털 광 중계시스템
KR101911355B1 (ko) 시분할 복신 및 주파수 분할 복신 방식을 사용하는 rf 중계장치
JPS5910095B2 (ja) 移動通信用無線中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