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6446B1 - 전용 채널(dch) 인핸스먼트들과 함께 연속 패킷 연결성(cpc) - Google Patents

전용 채널(dch) 인핸스먼트들과 함께 연속 패킷 연결성(cpc)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6446B1
KR101916446B1 KR1020167025448A KR20167025448A KR101916446B1 KR 101916446 B1 KR101916446 B1 KR 101916446B1 KR 1020167025448 A KR1020167025448 A KR 1020167025448A KR 20167025448 A KR20167025448 A KR 20167025448A KR 101916446 B1 KR101916446 B1 KR 101916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tx
cpc
dch
enhancements
time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5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6307A (ko
Inventor
소니 아카라카란
페이맨 라자기
사라드 디파크 삼바니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60136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6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4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connection with interruption of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13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사용자 장비(UE)에서 전용 채널(DCH) 인핸스먼트들과 함께 연속 패킷 연결성(CPC)을 수행하기 위한 양상들을 제시한다. 예를 들어, 양상들은 일정 시간 기간 동안 UE에서 CPC와 연관하여 DTX가 허용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것, 일정 시간 기간 동안 UE에서 DCH 인핸스먼트들과 연관하여 DTX가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 그리고 CPC 및 DCH 인핸스먼트들 모두가 DTX를 허용할 때 일정 시간 기간 동안 UE에서 DTX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UE에서 DCH 인핸스먼트들과 함께 CPC가 수행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용 채널(DCH) 인핸스먼트들과 함께 연속 패킷 연결성(CPC){CONTINUOUS PACKET CONNECTIVITY (CPC) WITH DEDICATED CHANNEL (DCH) ENHANCEMENTS}
[0001] 본 특허출원은 "Continuous Packet Connectivity (CPC) with Dedicated Channel (DCH) Enhancements"라는 명칭으로 2014년 12월 12일자 출원된 미국 비-가특허출원 제14/569,362호, 및 "CPC with DCH Enhancements"라는 명칭으로 2014년 3월 21일자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61/969,026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이 출원은 본 출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되고, 이로써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명백히 포함된다.
[0002] 본 개시의 양상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에서 전용 채널(DCH: dedicated channel) 인핸스먼트들(enhancements)과 함께 연속 패킷 연결성(CPC: continuous packet connectivity)에 관한 것이다.
[0003]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은 텔레포니, 비디오, 데이터, 메시징, 브로드캐스트들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도록 폭넓게 전개된다. 보통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들인 이러한 네트워크들은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 자원들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통신들을 지원한다.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례는 UMTS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TRAN: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이다. UTRAN은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의해 지원되는 3세대(3G) 모바일 전화 기술인 범용 모바일 전기 통신 시스템(UMTS)의 일부로서 정의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Radio Access Network)이다. 글로벌 모바일 통신 시스템(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기술들에 대한 계승자인 UMTS는 현재,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CDMA: Wideband-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분할-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TD-CDMA: Time Division-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시분할-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TD-SCDMA: Time Division-Synchronou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와 같은 다양한 에어 인터페이스 표준들을 지원한다. UMTS는 또한, 연관된 UMTS 네트워크들에 더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들 및 용량을 제공하는, 고속 패킷 액세스(HSPA: High Speed Packet Access)와 같은 향상된 3G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들을 지원한다.
[0004] 연속 패킷 연결성(CPC) 특징은 업링크(UL: uplink) 상에서 불연속 송신(DTX: discontinuous transmission)을 그리고/또는 다운링크(DL: downlink) 상에서 불연속 수신(DRX: discontinuous reception)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 장비(UE)에서의 배터리 전력 절감을 제공한다. 그러나 전용 채널(DCH)은 사실상 회선 교환되고 CPC는 사실상 패킷 교환되기 때문에 UE에서 DCH 인핸스먼트들의 특징이 구성된다면 CPC는 허용되지 않는다.
[0005] 따라서 사용자 장비(UE)에서 연속 패킷 연결성(CPC) 동작의 개선들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0006] 다음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양상들의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이러한 양상들의 간단한 요약을 제시한다. 이 요약은 고려되는 모든 양상들의 포괄적인 개요가 아니며, 모든 양상들의 주요 또는 핵심 엘리먼트들을 식별하지도, 임의의 또는 모든 양상들의 범위를 기술하지도 않는 것으로 의도된다. 그 유일한 목적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양상들의 일부 개념들을 뒤에 제시되는 보다 상세한 설명에 대한 서론으로서 간단한 형태로 제시하는 것이다.
[0007] 본 개시는 사용자 장비(UE)에서 연속 패킷 연결성(CPC) 및 전용 채널(DCH) 인핸스먼트들이 구성될 때 불연속 송신(DTX)을 수행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한다. 예를 들어, 본 개시는 일정 시간 기간 동안 UE에서 CPC와 연관하여 DTX가 허용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일정 시간 기간 동안 UE에서 DCH 인핸스먼트들과 연관하여 DTX가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그리고 CPC 및 DCH 인핸스먼트들 모두가 DTX를 허용할 때 일정 시간 기간 동안 UE에서 DTX를 수행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0008] 추가로, 본 개시는 사용자 장비(UE)에서 연속 패킷 연결성(CPC) 및 전용 채널(DCH) 인핸스먼트들이 구성될 때 불연속 송신(DTX)을 위한 예시적인 장치를 제시하며, 이는 일정 시간 기간 동안 UE에서 CPC와 연관하여 DTX가 허용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수단, 일정 시간 기간 동안 UE에서 DCH 인핸스먼트들과 연관하여 DTX가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CPC 및 DCH 인핸스먼트들 모두가 DTX를 허용할 때 일정 시간 기간 동안 UE에서 DTX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0009] 추가 양상에서, 본 개시는 사용자 장비(UE)에서 연속 패킷 연결성(CPC) 및 전용 채널(DCH) 인핸스먼트들이 구성될 때 불연속 송신(DTX)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 가능 코드를 저장하는 예시적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제시하며, 이는 일정 시간 기간 동안 UE에서 CPC와 연관하여 DTX가 허용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코드, 일정 시간 기간 동안 UE에서 DCH 인핸스먼트들과 연관하여 DTX가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코드, 및 CPC 및 DCH 인핸스먼트들 모두가 DTX를 허용할 때 일정 시간 기간 동안 UE에서 DTX를 수행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0010] 더욱이, 한 양상에서, 본 개시는 사용자 장비(UE)에서 연속 패킷 연결성(CPC) 및 전용 채널(DCH) 인핸스먼트들이 구성될 때 불연속 송신(DTX)을 수행하기 위한 예시적인 장치를 제시하며, 이는 일정 시간 기간 동안 UE에서 CPC와 연관하여 DTX가 허용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CPC 구성 컴포넌트, 일정 시간 기간 동안 UE에서 DCH 인핸스먼트들과 연관하여 DTX가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DCH 인핸스먼트 구성 컴포넌트, 및 CPC 및 DCH 인핸스먼트들 모두가 DTX를 허용할 때 일정 시간 기간 동안 UE에서 DTX를 수행하기 위한 DTX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0011] 앞서 언급된 그리고 관련된 목적들의 이행을 위해,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양상들은, 이후에 충분히 설명되며 청구항들에서 특별히 지적되는 특징들을 포함한다. 다음 설명 및 첨부 도면들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양상들의 특정 예시적인 특징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특징들은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이 채용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들 중 몇몇을 나타낼 뿐이며, 이러한 설명은 이러한 모든 양상들 및 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0012] 도 1은 본 개시의 양상들의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0013] 도 2는 시간에 따른 업링크 프레임들의 블록도이며, 이는 연속 패킷 연결성의 예시적인 양상을 예시한다.
[0014] 도 3은 시간에 따른 업링크 프레임들의 블록도이며, 이는 DCH 인핸스먼트들의 예시적인 양상을 예시한다.
[0015] 도 4는 시간에 따른 업링크 프레임들의 블록도이며, 이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양상을 예시한다.
[0016] 도 5는 본 개시의 양상들에서 예시적인 방법의 양상들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0017]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구성 관리기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사용자 장비의 양상들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0018]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구성 관리기를 갖는 사용자 장비를 포함하는 전기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개념적으로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0019]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구성 관리기를 갖는 사용자 장비를 포함하는 액세스 네트워크의 일례를 예시하는 개념도이다.
[0020] 도 9는 본 개시의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사용자 및 제어 평면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아키텍처의 일례를 예시하는 개념도이다.
[0021] 도 10은 전기 통신 시스템에서 본 개시에 따른 구성 관리기를 포함하는 UE와 통신하는 노드 B의 일례를 개념적으로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0022] 첨부 도면들과 관련하여 아래에 제시되는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구성들의 설명으로 의도되며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개념들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구성들만을 나타내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개념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할 목적으로 특정 세부사항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개념들은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도 있음이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어떤 경우들에는, 이러한 개념들을 불명료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잘 알려진 컴포넌트들은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0023] 본 개시는 사용자 장비(UE)에서 연속 패킷 연결성(CPC) 및 전용 채널(DCH) 인핸스먼트들이 구성될 때 불연속 송신(DTX)을 수행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한다. 예를 들어, 예시적인 방법은 일정 시간 기간 동안 UE에서 CPC와 연관하여 DTX가 허용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일정 시간 기간 동안 UE에서 DCH 인핸스먼트들과 연관하여 DTX가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CPC 및 DCH 인핸스먼트들 모두가 DTX를 허용할 때 일정 시간 기간 동안 UE에서 DTX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0024]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장비(UE)에서 전용 채널(DCH) 인핸스먼트들과 함께 연속 패킷 연결성(CPC)의 구성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이 예시된다. 예를 들어, 시스템(100)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오버 디 에어(over-the-air) 링크들(114 및/또는 116)을 통해 네트워크 엔티티(110) 및/또는 기지국(112)과 통신할 수 있는 UE(10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UE(102)는 업링크(UL)(114) 및/또는 다운링크(DL)(116) 상에서 기지국(112)과 통신할 수도 있다. UL(114)은 일반적으로 UE(102)로부터 기지국(112)으로의 통신에 사용되고, 그리고/또는 DL(116)은 일반적으로 기지국(112)으로부터 UE(102)로의 통신에 사용된다.
[0025] 한 양상에서, 네트워크 엔티티(110)는, 네트워크 엔티티(110) 및/또는 기지국(112)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주파수 또는 주파수들의 대역에 걸친 통신 세션을 포함할 수도 있는 무선 통신 링크들(114 및/또는 116)과 통신하고 그리고/또는 이러한 링크들을 설정하여 유지하는 것을 UE(102)가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임의의 타입의 네트워크 컴포넌트들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네트워크 컴포넌트, 예를 들어 기지국(BS: base station)이나 노드 B 또는 eNode B 또는 펨토 셀, 중계기, 피어 투 피어 디바이스, 인증, 권한 부여 및 과금(AAA: 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nd accounting) 서버, 모바일 교환 센터(MSC: mobile switching center),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 radio network controller) 등을 비롯한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추가 양상에서, 예를 들어 기지국(112)은 무선 액세스 기술(RAT: radio access technology) 표준, 예를 들어 GSM, CDMA, W-CDMA, HSPA 또는 롱 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0026] 추가 양상에서, UE(102)는 모바일 장치일 수도 있고, 또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이동국, 가입자국, 모바일 유닛, 가입자 유닛, 무선 유닛, 원격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 무선 통신 디바이스, 원격 디바이스, 모바일 가입자국, 액세스 단말, 모바일 단말, 무선 단말, 원격 단말, 핸드셋, 단말, 사용자 에이전트, 모바일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어떤 적당한 전문용어로 지칭될 수도 있다.
[0027] 한 양상에서, UE(102)는, UE(102)에서 연속 패킷 연결성(CPC) 및 전용 채널(DCH) 인핸스먼트들이 구성될 때 불연속 송신(DTX)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 관리기(104)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구성 관리기(104)는 일정 시간 기간 동안 UE에서 CPC와 연관하여 DTX가 허용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CPC 구성 컴포넌트(106)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UE(102)는 일정 시간 기간 동안 DCH 인핸스먼트들과 연관하여 DTX가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DCH 확장 구성 컴포넌트(108)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0028] 이에 따라, 추가 양상에서는, 일정 시간 기간 동안 CPC 및 DCH 인핸스먼트들 모두가 DTX를 허용할 때, 구성 관리기(104)는 일정 시간 기간 동안 UE에서의 (예를 들어,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업링크 채널들의) 불연속 송신을 수행하도록 UE(102)를 구성할 수도 있다.
[0029] 추가적인 또는 선택적인 양상에서, 구성 관리기(104)는 일정 시간 기간 내에 다운링크 전용 물리적 제어 채널(DL DPCCH: downlink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 상에서 송신 전력 제어(TPC: transmit power control) 비트를 수신하도록 UE(102)를 구성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일정 시간 기간은 부분적 전용 물리 채널(F-DPCH: fractional-dedicated physical channel)을 수신하기 위한 동일한 시간 기간이다.
[0030] 추가적인 또는 선택적인 양상에서, UE(102)는 CPC 및 DCH 인핸스먼트들 모두가 불연속 수신(DRX)을 허용할 때 일정 시간 기간 동안 UE에서 DRX를 수행하기 위한 구성 관리기(104)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구성 관리기(104)는 일정 시간 기간 동안 UE에서 CPC와 연관하여 불연속 수신(DRX)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CPC 구성 컴포넌트(106)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UE(102)는 일정 시간 기간 동안 DCH 인핸스먼트들과 연관하여 DRX가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DCH 확장 구성 컴포넌트(108)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일정 시간 기간 동안 CPC 및 DCH 인핸스먼트들 모두가 DRX를 허용할 때, 구성 관리기(104)는 일정 시간 기간 동안 UE에서의 (예를 들어,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업링크 채널들의) 불연속 수신을 수행하도록 UE(102)를 구성할 수도 있다.
[0031] 상기 양상들과 결합하여 또는 이에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추가 양상들이 아래에 논의되며 UE(102)에서 DCH 인핸스먼트들로 CPC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어질 수 있다.
[0032] 도 2는 2㎳ TTI를 갖는 CPC(202)에 대한 무선 프레임들의 프레임 구조(200)의 예시적인 양상을 예시하며, 이는 UE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다.
[0033] CPC 또는 CPC 특징은 일반적으로, 셀 간섭을 감소시키고, 시스템 용량을 증가시키고 그리고/또는 배터리 소모를 줄이도록 UE에서 업링크(114) 상에서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채널들의 불연속 송신(DTX) 그리고/또는 다운링크(116) 상에서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채널들의 불연속 수신(DRX)을 포함한다.
[0034] CPC와 연관된 불연속 송신은 UE(102)가 데이터 송신에서 비활동 기간들 동안 업링크 상에서 불연속적으로 송신하게 한다. 예컨대, 한 양상에서, UE(102)는 데이터 송신에서 비활동 기간들 동안 업링크 채널, 예를 들어 업링크 전용 물리적 제어 채널(UL DPCCH: uplink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 고속 전용 물리적 제어 채널(HS DPCCH: high speed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 등에서 불연속적으로 송신할 수도 있다. 예컨대, DTX에 의해, UE(102)는 비활동 기간들 동안 특정 패턴들 또는 사이클들로 UL DPCCH 또는 HS DPCCH를 송신할 수도 있다.
[0035] 추가로, 예를 들어, CPC와 연관된 불연속 수신(DRX)은 UE(102)가 데이터 수신에서 비활동 기간들 동안 다운링크 상에서 불연속적으로 수신하게 한다. 예컨대, 한 양상에서, UE(102)는 계속해서 청취하는 대신에 DL 상에서 불연속적으로 다운링크 채널(예를 들어, DL DPCCH)을 수신하며 이에 따라 UE에서 배터리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UE에서의 DRX는, 다운로드되는 데이터의 특성이 주기적이거나 짧은 버스트들이라면 특히 도움이 될 ㅅ 있으며, UE가 비활동 기간 동안 다운링크에서 제어 채널을 수신할 필요가 없다.
[0036] 한 양상에서, UE(102)는 UE(102)가 CPC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예를 들어, 셋업 시점에) 네트워크 엔티티(110) 및/또는 기지국(112)에 통지할 수 있다. UE(102)는 자신이 UE 릴리스 번호(예를 들어, Rel. 10, 11, 12 등) 및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UE 성능들(예를 들어, UMTS, HDDPA, LTE 등)을 기반으로 CPC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네트워크 엔티티(110) 및/또는 기지국(112)이 UE(102)로부터 통지를 수신하면, 네트워크 엔티티(110) 및/또는 기지국(112)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 구성을 기초로 CPC로 UE(102)를 구성할지(예를 들어, CPC 모드를 트리거할지) 여부를 결정하여 CPC 구성 정보(예를 들어, TTI 듀레이션, UE가 송신/수신할 TTI들의 수, UE가 DTX/DRX 상태에 들어가는 TTI들의 수 등)를 전송하며, UE(102)는 그에 따라 구성된다.
[0037] 예컨대, 한 양상에서, UE(102)는 CPC를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CPC(202)는 UE(102)가 첫 번째 TTI(210) 동안 (예를 들어, 도 2에서 "ON"으로 표시된) 정상적인 또는 일반적인 전력 상태들 하에서 송신하고 다음 3개의 TTI들(예를 들어, TTI들(212, 214, 216) 동안 불연속 송신(예를 들어, 송신 없음)을 수행하는 2㎳ TTI로 구성될 수 있다. 즉, UE(102)는 0㎳에서부터 2㎳까지 정상 전력 상태들을 송신하고 2㎳에서부터 8㎳까지 불연속 송신을 수행한다. 2㎳ 동안 송신하고 6㎳ 동안 불연속 송신을 수행하는 이러한 동작은 네트워크 엔티티(110) 및/또는 기지국(112)으로부터 수신되는 CPC 구성 정보를 기초로 반복될 수 있다. 추가로, UE(10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8㎳에서부터 10㎳까지(예를 들어, TTI(218)) 정상적으로(예를 들어, 불연속적이지 않게) 송신하고, 10㎳에서부터 16㎳까지(예를 들어, TTI들(220, 222, 224)) 불연속 송신(예를 들어, 송신 없음)을 수행하고, 16㎳에서부터 18㎳까지(예를 들어, TTI(226)) 정상적으로 송신하고, 18㎳에서부터 24㎳까지(예를 들어, TTI들(228, 230, 232)) 불연속 송신(예를 들어, 송신 없음)을 수행하고, 24㎳에서부터 26㎳까지(예를 들어, TTI(234)) 정상적으로 송신하고, 26㎳에서부터 30㎳까지(예를 들어, TTI들(236, 238)) 불연속 송신(예를 들어, 송신 없음)을 수행하는 식일 수도 있다.
[0038] 업링크 상의 채널들에 대한 DTX와 관련하여 CPC(202)에 대한 무선 프레임들의 일례가 예시되고(도 2) (위에서) 설명되었지만, CPC(202)는 UE(102)에서 다운링크 상의 채널들에 대한 DRX와 비슷한 식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추가 양상에서, CPC(202)는 DTX 및/또는 DRX의 다른 패턴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고, CPC와 연관된 DTX/DRX 규칙들은 릴리스 12 이전의 3GPP 릴리스들을 기반으로 한다.
[0039] 도 3은 10㎳ TTI 동작을 갖는 DCH 인핸스먼트들(302)에 대한 무선 프레임들의 프레임 구조(300)의 예시적인 양상을 예시하며, 이는 UE(102)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다.
[0040] 예를 들어, 한 양상에서, UE(102)는 UE(102)가 DCH 인핸스먼트들(302)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예를 들어, 셋업 시점에) 네트워크 엔티티(110) 및/또는 기지국(112)에 통지할 수 있다. UE(102)는 자신이 UE의 릴리스 번호(예를 들어, Rel. 10, 11, 12 등)를 기반으로 그리고/또는 UE의 성능들을 기반으로 DCH 인핸스먼트들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UE(102)가 DCH 인핸스먼트들을 지원한다면, UE(102)는 UE(102)가 DCH 인핸스먼트들을 "기본 모드"로 지원하는지 아니면 "전체 모드"로 지원하는지를 네트워크 엔티티(110) 및/또는 기지국(112)에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모드에서, UE(102)는 다운링크(DL) 프레임 조기 종료(FET: frame early termination) 특징을 이용할 수 있는데, 이는 전체 모드에서만 지원되는 DCH 인핸스먼트들의 하위 특징이다. 또한, 기본 모드와 전체 모드 모두에서, UE(102)는 UL 상에서 동적인 10㎳/20㎳ 전환을 이용할 수 있는데, 이는 두 모드들 모두에서 지원되는 DCH 인핸스먼트들의 다른 하위 특징이다. 예를 들어, 동적인 10㎳/20㎳ 전환으로, UE(102)는 예를 들어, 3GPP 규격들에 정의된 바와 같은 프로시저들을 사용하여 UE에서 전력 헤드룸(예를 들어, 이용 가능 송신 전력)을 기초로 UL 상에서 10㎳를 사용할지 아니면 20㎳ 송신을 사용할지를 음성 패킷마다 결정한다.
[0041] DL FET 특징은 부분적으로 수신된 음성 프레임들을 (예를 들어, 기지국(112)에서) 주기적으로 디코딩하고 기지국(112)에서 음성 프레임의 성공적인 디코딩시 (예를 들어, UE(102)에) 확인 응답을 전송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는 UE(102)가 기지국(112)으로의 송신을 조기에 종료하여, 무선 자원들의 감소된 사용, 감소된 간섭 및 감소된 전력 소모로 이어지게 한다. UL 상에서 UE(102)의 10㎳ TTI 동작은 프레임을 압축함으로써(예를 들어, 압축 동작 모드) UE(102)가 10㎳ 내에 20㎳ 음성 프레임을 송신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확산 계수를 2:1로 감소시키거나(예를 들어, 비트들이 2배 더 빠르게 전송되도록 데이터 레이트를 증가시키거나), 비트들을 펑처링하거나(예를 들어, 원본 데이터로부터 비트들을 제거하고 송신될 필요가 있는 정보의 양을 감소시키거나), 사용자 트래픽에 더 적은 타임슬롯들을 사용하도록 상위 계층 스케줄링을 변경함으로써 압축 동작 모드가 달성될 수도 있다.
[0042] 네트워크 엔티티(110) 및/또는 기지국(112)이 DCH 인핸스먼트들(302)에 대한 지원에 관해 UE(102)로부터 통지를 수신하면, 네트워크 엔티티(110) 및/또는 기지국(112)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 구성을 기초로 DCH 인핸스먼트들로 UE(102)를 구성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DCH 인핸스먼트들의 구성 정보를 UE(102)에 전송한다.
[0043] 예컨대, 한 양상에서, UE(102)는 DCH 인핸스먼트들(302)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DCH 인핸스먼트들(302)은 20㎳ TTI(340)로 구성될 수 있지만, UE(102)는 TTI(340)의 처음 10㎳(310) 동안 (예를 들어, 도 3에서 "ON"으로 표시된) 정상적인 상태들 하에서 송신하고 TTI(340)의 두 번째 10㎳(320) 동안 불연속 송신(예를 들어, 송신 없음)을 수행하고 있을 수도 있다. 즉, UE(102)는 0㎳에서부터 10㎳까지 정상적으로 송신하고 10㎳에서부터 20㎳까지 불연속 송신을 수행한다. 10㎳ 동안 정상적으로 송신하고 10㎳ 동안 불연속 송신(예를 들어, 송신 없음)을 수행하는 이러한 동작은 네트워크 엔티티(110) 및/또는 기지국(112)으로부터 수신되는 DCH 인핸스먼트들의 구성 정보를 기초로 반복될 수 있다. 추가로, UE(10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330에서 20㎳에서부터 30㎳까지 정상적으로(예를 들어, 불연속적이지 않게) 송신하는 식일 수도 있다.
[0044] 업링크 상의 채널들에 대한 DTX와 관련하여 DCH 인핸스먼트들(302)에 대한 무선 프레임들의 일례가 예시되고(도 3) (위에서) 설명되었지만, DCH 인핸스먼트들(302)은 UE(102)에서 다운링크 상의 채널들에 대한 DRX와 비슷한 식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추가 양상에서, DCH 인핸스먼트들(302)은 DTX 및/또는 DRX의 다른 패턴들, 그리고 릴리스 12 이전의 3GPP 릴리스들을 기반으로 하는 DCH 인핸스먼트들(302)과 연관된 DTX/DRX 규칙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0045] 도 4는 시간에 따른 업링크 프레임들(400)의 블록도이며, 이는 본 개시의 한 양상에서, CPC 및 DCH 인핸스먼트들(402) 모두가 구성될 때 DTX(또는 DRX)를 수행하기 위한 일례를 예시한다.
[0046] 한 양상에서, CPC 및 DCH 인핸스먼트들(402)에 대한 무선 프레임들을 참조하면, UE(102) 및/또는 구성 관리기(104)는 CPC 및 DCH 인핸스먼트들 모두가 허용되는 시간 기간 동안 UE에서의 (예를 들어,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업링크 채널들의) 불연속 송신 및/또는 UE(102)에서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다운링크 채널들의 불연속 수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단지 참조 목적으로만 CPC(202) 및 DCH 인핸스먼트들(302)에 대한 개별 무선 프레임들이 도시된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0047] 예컨대, CPC 및 DCH 인핸스먼트들(402)에 대한 업링크 프레임들의 한 양상에서, UE(102)는 410에서 0㎳ - 10㎳ 동안에는 정상적으로 송신하고(예를 들어, "ON"을 송신하고), 412에서 10㎳에서부터 16㎳까지는 불연속 송신(예를 들어, 송신 없음)을 수행하고, 414에서 16㎳에서부터 18㎳까지는 정상적으로 송신하고(예를 들어, "ON"을 송신하고), 416에서 18㎳에서부터 20㎳까지는 모든 업링크 채널들의 불연속 송신을 수행하는 식일 수도 있다. 즉, UE(102) 및/또는 구성 관리기(10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CPC 및 DCH 인핸스먼트들에 대한 시간 기간들이 겹치거나 정렬되는 시간 기간들(412, 416) 동안에는 UE에서 불연속 송신을 수행한다.
[0048] 업링크 상의 채널들에 대한 DTX와 관련하여 CPC 및 DCH 인핸스먼트들(402)에 대한 무선 프레임들의 일례가 예시되고(도 4) (위에서) 설명되었지만, CPC 및 DCH 인핸스먼트들(402)은 UE(102)에서 다운링크 상의 채널들에 대한 DRX와 비슷한 식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추가 양상에서, CPC 및 DCH 인핸스먼트들(402)은 DTX 및/또는 DRX의 다른 패턴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0049] 추가 양상에서는, 도 4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UE(102) 및/또는 구성 관리기(104)는 모든 업링크 채널들이 (예를 들어, 412 및 416에서) 불연속 송신(DTX)을 수행하고 있을 때 UE(102)에서의 업링크의 송신을 보류하거나 일시적으로 중단하고 그리고/또는 모든 다운링크 채널들이 불연속 수신(DRX)을 수행하고 있을 때 UE(102)에서의 다운링크의 수신을 보류하거나 일시적으로 중단할 수도 있다.
[0050] 도 5는 사용자 장비(UE)에서 연속 패킷 연결성(CPC) 및 전용 채널(DCH) 인핸스먼트들이 구성될 때 불연속 송신(DTX)을 수행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500)을 예시한다.
[0051] 한 양상에서, 블록(502)에서, 방법(500)은 일정 시간 기간 동안 UE에서 CPC와 연관하여 DTX가 허용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한 양상에서, UE(102) 및/또는 구성 관리기(104)는 일정 시간 기간(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 - 16㎳) 동안 UE(102)에서 (202의) CPC와 연관하여 DTX가 허용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도록 메모리에 저장된 특별하게 프로그래밍된 코드를 실행하는 프로세서 또는 특별하게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0052] 예컨대, 한 양상에서는, 도 2와 관련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UL 채널들, 예를 들어 UL DPCCH, HS DPCCH 등은 TTI들(220, 222, 224) 동안에는(예를 들어, 10㎳에서부터 16㎳까지) 불연속 송신을 위해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한 양상에서, 구성 관리기(104)는 UE(102)의 통신 컴포넌트(예를 들어, 트랜시버)를 통해 네트워크 엔티티(110) 및/또는 기지국(112)으로부터 수신되는 CPC 구성 정보를 기초로 UE(102)에서 CPC를 구성할 수 있다. 한 양상에서, 구성 관리기(104)는 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CPC 구성 컴포넌트(106)를 포함할 수도 있다.
[0053] 한 양상에서, 블록(504)에서, 방법(500)은 일정 시간 기간 동안 UE에서 DCH 인핸스먼트들과 연관하여 DTX가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한 양상에서, UE(102) 및/또는 구성 관리기(104)는 일정 시간 기간(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 - 16㎳) 동안 UE(102)에서 DCH 인핸스먼트들과 연관하여 DTX가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메모리에 저장된 특별하게 프로그래밍된 코드를 실행하는 프로세서 또는 특별하게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0054] 예컨대, 도 3과 관련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한 양상에서는, 예를 들어 업링크 채널들, 예를 들어 HS DPCCH는 TTI들(320) 동안(예를 들어, 10㎳에서부터 20㎳까지) 불연속 송신을 위해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한 양상에서, 구성 관리기(104)는 UE(102)의 통신 컴포넌트(예를 들어, 트랜시버)를 통해 네트워크 엔티티(110) 및/또는 기지국(112)으로부터 수신되는 DCH 인핸스먼트들의 구성 정보를 기초로 UE(102)에서 DCH 인핸스먼트들을 구성할 수도 있다. 한 양상에서, 구성 관리기(104)는 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DCH 인핸스먼트들의 구성 컴포넌트(108)를 포함할 수도 있다.
[0055] 한 양상에서, 블록(506)에서, 방법(500)은 CPC 및 DCH 인핸스먼트들 모두가 DTX를 허용할 때 일정 시간 기간 동안 UE에서 DTX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한 양상에서, UE(102) 및/또는 구성 관리기(104)는 CPC 및 DCH 인핸스먼트들 모두가 DTX를 허용할 때 일정 시간 기간(예를 들어, 도 4에서 412로 표시된 바와 같이 10㎳ - 16㎳) 동안 UE(102)에서 DTX를 수행하도록 메모리에 저장된 특별하게 프로그래밍된 코드를 실행하는 프로세서 또는 특별하게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0056] 예컨대, 도 4와 관련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한 양상에서, 예를 들어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UL 채널들, 예를 들어 UL DPCCH, HS DPCCH 등은 412에서 10㎳에서부터 16㎳까지 불연속 송신을 위해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한 양상에서, 구성 관리기(104)는 UE(102)의 통신 컴포넌트(예를 들어, 트랜시버)를 통해 CPC 및 DCH 인핸스먼트들 모두가 DTX를 허용할 때 일정 시간 기간 동안 UE에서 DTX를 수행할 수도 있다. 한 양상에서, 구성 관리기(104)는 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불연속 송신(DTX) 컴포넌트(512)를 포함할 수도 있다.
[0057] 추가적인 또는 선택적인 양상에서, 구성 관리기(104)는 도 4에서 412 및 4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CPC 및 DCH의 불연속 송신(또는 수신)이 중첩(또는 정렬)하는 시간 기간 동안 UE(102)에서 업링크(또는 다운링크) 상의 모든 채널들의 송신을 오프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 양상에서, CPC 구성 관리기(106), DCH 확장 컴포넌트(108) 및/또는 DTX 컴포넌트(512)가 이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0058] 더 추가적인 또는 선택적인 양상에서, 구성 관리기(104)는 일정 시간 기간 내에 다운링크 전용 물리적 제어 채널(DL DPCCH) 상에서 송신 전력 제어(TPC) 비트를 수신하도록 송신 전력 제어 컴포넌트(TPC)에 대해 구성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일정 시간 기간은 부분적 전용 물리 채널(F-DPCH)을 수신하기 위한 동일한 시간 기간이다. 한 양상에서, TPC 컴포넌트(514)가 이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0059] 추가적인 또는 선택적인 양상에서, UE(102) 및/또는 구성 관리기(104)는 일정 시간 기간(예를 들어, 412) 동안 UE에서 CPC와 연관하여 불연속 수신(DRX)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일정 시간 기간(예를 들어, 412) 동안 UE에서 DCH 인핸스먼트들과 연관하여 DRX가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CPC 및 DCH 인핸스먼트들 모두가 DRX를 허용할 때 일정 시간(예를 들어, 412) 기간 동안 UE에서 DRX를 수행할 수도 있다. 한 양상에서, CPC 구성 관리기(106), DCH 확장 컴포넌트(108) 및/또는 DRX 컴포넌트(516)가 이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0060] 추가 양상에서, 트래픽 활동을 기초로 한 더 긴 DTX 사이클로의 전환들의 결정, 데이터 버스트들 이전 그리고 이후에 프리앰블들 및 포스트앰블들의 송신 등과 같은 현재 CPC 규칙들(예를 들어, 3GPP 릴리스 12 이전의 CPC 규칙들)은 DCH 상에서 전달되는 패킷들 또는 활동과 관계없이 변경되지 않고 유지된다. 추가로, DCH 상에서 활동들의 시작 또는 종료로 인해 DTX 상태에서 나오거나 DTX 상태에 다시 들어가기 위해 추가 프리앰블들 및 포스트앰블들을 명시할 필요는 없을 수도 있는데, 이는 이들을 위해 필요한 프리앰블들/포스트앰블들이 CPC가 구성되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DCH 인핸스먼트들의 일부로서 명시될 수 있기 때문이다.
[0061] 추가적인 또는 선택적인 양상에서, 구성 관리기(104)는 CPC DTX 및 DRX 기간들을 DCH 인핸스먼트들의 예상 게이팅 기간들(예를 들어, ON/DTX, ON/DRX)과 정렬하도록 CPC 송신(ON) 및 DTX에 대해 (그리고 수신(ON) 및 DRX에 대해서도 비슷하게) 새로운 패턴들을 정의할 수도 있다. 예컨대, 한 양상에서, DCH 인핸스먼트들의 게이팅 패턴은 20㎳ 음성 프레임 듀레이션을 갖는 주기적 동작을 나타낼 수도 있기 때문에, 20㎳의 배수들 또는 인수들로 DTX 및 DRX 사이클들을 선택함으로써 기존 CPC 구현과 정렬이 얻어질 수도 있다. 10㎳, 20㎳ 및 40㎳의 사이클들은 CPC에 대해 이미 지원되기 때문에, (상기 도 4와 관련하여 앞서 설명한 요구되는 정렬에 추가하여) DTX 및 DRX 패턴의 어떠한 추가 최적화도 요구되지 않을 수도 있다. 더욱이, DCH 송신/수신은 CPC DTX/DRX에 비해 우선순위를 갖기 때문에, CPC는 레거시 DCH로도 구성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DCH는 마치 CPC가 구성되지 않을 것처럼 기능을 할 것이다.
[0062] 한 양상에서, CPC 및 DCH 인핸스먼트들이 구성될 때, 부분적 전용 물리 채널(F-DPCH)과 DPCH 둘 다 동시에 허용되지는 않기 때문에 송신 전력 제어(TPC) 비트는 DL DPCCH 상에서 전달된다. 추가 양상에서, 현재 규칙들(예를 들어, 릴리스 12 이전의 규칙들)이 특정 시점(예를 들어, 슬롯)에서 노드 B에 의한 F-DPCH 송신/UE에 의한 수신을 필요로 한다면, DCH 인핸스먼트들과 함께 CPC는 동일한 타임 슬롯에서 DL DPCCH를 통한 TPC 비트의 송신/수신을 필요로 할 수도 있다. 더 추가 양상에서, DL DPCCH는 동일한 타임 슬롯에서 송신/수신될 수도 있고, DL DPDCH는 DL DPDCH 송신이 의무적이지 않을 때 DCH 인핸스먼트들에 의해 허용된다면 게이팅될 수도 있다.
[0063] 따라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장비(UE)에서 전용 채널(DCH) 인핸스먼트들과 함께 연속 패킷 연결성(CPC)이 수행될 수 있다.
[0064] 도 6을 참조하면, 한 양상에서, 예를 들어 구성 관리기(104)를 포함하는 UE(102)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특별하게 프로그래밍된 또는 구성된 컴퓨터 디바이스일 수도 있고 또는 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 구현의 한 양상에서, UE(102)는 구성 관리기(104), 그리고 CPC 구성 컴포넌트(106), DCH 확장 구성 컴포넌트(108), 불연속 송신(DTX) 컴포넌트(512), TPC 컴포넌트(514) 및/또는 불연속 수신(DRX) 컴포넌트(516)를 포함하는 그 서브컴포넌트들을 예컨대, 특별하게 프로그래밍된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들 또는 코드,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어떤 결합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0065] 한 양상에서, 예를 들어, 파선들로 표현된 바와 같이, 구성 관리기(104)는 프로세서(602), 메모리(604), 통신 컴포넌트(606) 및 데이터 저장소(608)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구현되거나 이들을 사용하여 실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구성 관리기(104)는 프로세서(602)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프로세서 모듈들로서 정의되거나 아니면 프로그래밍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구성 관리기(104)는 메모리(604) 및/또는 데이터 저장소(608)에 저장되어 프로세서(602)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예를 들어,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서 정의될 수도 있다. 더욱이, 예를 들어, 구성 관리기(104)의 동작들에 관한 입력들 및 출력들이 통신 컴포넌트(606)에 의해 제공 또는 지원될 수도 있는데, 통신 컴포넌트(606)는 UE(102)의 컴포넌트들 간의 버스 또는 외부 디바이스들이나 컴포넌트들과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0066] 프로세서(602)는 구성 컴포넌트(104)를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기능들 및 컴포넌트들 중 하나 이상과 연관된 처리 기능들을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602)는 단일 또는 다수 세트의 프로세서들 또는 멀티코어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프로세서(602)는 통합 처리 시스템 및/또는 분산 처리 시스템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0067] 메모리(604)는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데이터 그리고/또는 예컨대, 구성 컴포넌트(104)를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각각의 엔티티들의 각각의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프로세서(602)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들 및/또는 명령들이나 코드의 로컬 버전들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메모리(604)는 컴퓨터에 의해 사용 가능한 임의의 타입의 메모리, 예컨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판독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테이프들, 자기 디스크들, 광 디스크들,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및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0068] 통신 컴포넌트(606)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들을 이용하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관계자들과의 통신들의 구축 및 유지를 제공하는 임의의 디바이스 또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컴포넌트(606)는 UE(102) 상의 컴포넌트들 사이뿐만 아니라, 통신 네트워크에 걸쳐 로케이팅된 디바이스들 및/또는 UE(102)에 직렬로 또는 로컬하게 접속된 디바이스들과 같은 외부 디바이스들과 UE(102) 사이에서도 통신들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컴포넌트(606)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버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외부 디바이스들과 인터페이스하도록 동작 가능한 트랜시버, 또는 송신기 및 수신기와 각각 연관된 송신 체인 컴포넌트들 및 수신 체인 컴포넌트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0069] 추가로, 데이터 저장소(608)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적당한 결합일 수 있으며, 이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양상들과 관련하여 이용되는 정보, 데이터베이스들 및 프로그램들의 대용량 저장소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저장소(608)는 프로세서(602)에 의해 현재 실행되고 있지 않은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데이터 저장소일 수도 있다.
[0070] UE(102)는 사용자 장비(102)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들을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할 수 있으며, 추가로 사용자에게 제시할 출력들을 생성하도록 동작 가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컴포넌트(610)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컴포넌트(610)는, 키보드, 숫자 패드, 마우스, 터치 감응식(touch-sensitive) 디스플레이, 내비게이션 키, 기능 키, 마이크로폰, 음성 인식 컴포넌트,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메커니즘,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닌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입력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컴포넌트(610)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햅틱(haptic) 피드백 메커니즘, 프린터, 사용자에게 출력을 제시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메커니즘,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닌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출력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0071] 이 개시 전반에 걸쳐 제시되는 다양한 개념들은 광범위한 전기 통신 시스템들, 네트워크 아키텍처들 및 통신 표준들에 걸쳐 구현될 수 있다.
[0072] 도 7을 참조하면, 한정이 아닌 예로서, 본 개시의 양상들은 W-CDMA 에어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UMTS 시스템(700)에 관련하여 제시되며, 도 1의 구성 관리기(104)의 한 양상을 실행하는 UE(102)를 포함할 수도 있다. UMTS 네트워크는 3개의 상호 작용 도메인들: 코어 네트워크(CN: Core Network)(704), UMTS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TRAN)(702) 및 UE(102)를 포함한다. 한 양상에서는, 지적한 바와 같이, UE(102)(도 1)는 예를 들어, UE에서 연속 패킷 연결성(CPC) 및 전용 채널(DCH) 인핸스먼트들이 구성될 때 불연속 송신(DTX)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그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추가로, UTRAN(702)은 네트워크 엔티티(110) 및/또는 기지국(112)(도 1)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이들은 노드 B들(708) 중 각각의 노드 B들일 수도 있다. 이 예에서, UTRAN(702)은 텔레포니, 비디오, 데이터, 메시징, 브로드캐스트들 및/또는 다른 서비스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무선 서비스들을 제공한다. UTRAN(702)은 RNS(705)와 같은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RNS: Radio Network Subsystem)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RNC(706)와 같은 각각의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에 의해 제어된다. 여기서, UTRAN(702)은 본 명세서에 예시된 RNC들(706)과 RNS들(705) 외에도, 임의의 수의 RNC들(706) 및 RNS들(705)을 포함할 수 있다. RNC(706)는 무엇보다도, RNS(705) 내에서 무선 자원들의 할당, 재구성 및 해제를 담당하는 장치이다. RNC(706)는 임의의 적당한 전송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직접적인 물리적 접속, 가상 네트워크 등과 같은 다양한 타입들의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UTRAN(702) 내의 (도시되지 않은) 다른 RNC들에 상호 접속될 수 있다.
[0073] UE(102)와 노드 B(708) 사이의 통신은 물리(PHY: physical) 계층 및 매체 액세스 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 계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여겨질 수도 있다. 추가로, 각각의 노드 B(708)에 의한 UE(102)와 RNC(706) 사이의 통신은 무선 자원 제어(RRC: radio resource control) 계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여겨질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PHY 계층은 계층 1로 여겨질 수 있고; MAC 계층은 계층 2로 여겨질 수 있고; RRC 계층은 계층 3으로 여겨질 수 있다. 아래 본 명세서에서의 정보는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 RRC 프로토콜 규격 3GPP TS 77.331 v7.1.0에서 소개되는 용어를 이용한다.
[0074] RNS(705)에 의해 커버되는 지리적 영역은 각각의 셀을 서빙하는 무선 트랜시버 장치를 갖는 다수의 셀들로 분할될 수 있다. 무선 트랜시버 장치는 일반적으로 UMTS 애플리케이션들에서는 노드 B로 지칭되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기지국(BS), 기지국 트랜시버(BTS: base transceiver station), 무선 기지국, 무선 트랜시버, 트랜시버 기능, 기본 서비스 세트(BSS: basic service set), 확장 서비스 세트(ESS: extended service set),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또는 다른 어떤 적당한 전문용어로도 또한 지칭될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해, 각각의 RNS(705)에 3개의 노드 B들(708)이 도시되지만, RNS들(705)은 많은 무선 노드 B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노드 B들(708)은 UE(102)와 같은 임의의 수의 모바일 장치들에 CN(704)에 대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을 제공하며, 도 1의 네트워크 엔티티(110) 및/또는 기지국(112)일 수도 있다. 모바일 장치의 예들은 셀룰러폰, 스마트폰,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전화, 랩톱, 노트북, 넷북, 스마트북,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위성 라디오,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디바이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비디오 디바이스,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예를 들어, MP3 플레이어), 카메라, 게임 콘솔, 또는 임의의 다른 유사한 기능의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모바일 장치는 이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UMTS 애플리케이션들에서는 UE로 지칭되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이동국, 가입자국, 모바일 유닛, 가입자 유닛, 무선 유닛, 원격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 무선 통신 디바이스, 원격 디바이스, 모바일 가입자국, 액세스 단말, 모바일 단말, 무선 단말, 원격 단말, 핸드셋, 단말, 사용자 에이전트, 모바일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어떤 적당한 전문용어로도 또한 지칭될 수도 있다.
[0075] 예시 목적으로, 하나의 UE(102)가 다수의 노드 B들(708)과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순방향 링크로도 또한 지칭되는 DL은 노드 B(708)로부터 UE(102)로의 통신 링크(예를 들어, 링크(116))를 의미하고, 역방향 링크로도 또한 지칭되는 UL은 UE(102)로부터 노드 B(708)로의 통신 링크(예를 들어, 링크(114))를 의미한다.
[0076] CN(704)은 UTRAN(702)과 같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액세스 네트워크들과 인터페이스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CN(704)은 GSM 코어 네트워크이다. 그러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인식하는 바와 같이, 본 개시 전반에 걸쳐 제시된 다양한 개념들은 GSM 네트워크들 이외의 다른 타입들의 CN들에 액세스하는 UE들을 제공하도록, RAN 또는 다른 적당한 액세스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도 있다.
[0077] CN(704)은 회선 교환(CS: circuit-switched) 도메인 및 패킷 교환(PS: packet-switched) 도메인을 포함한다. 회선 교환 엘리먼트들 중 일부는 모바일 서비스 교환 센터(MSC: Mobile services Switching Centre),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및 게이트웨이 MSC이다. 패킷 교환 엘리먼트들은 서빙 GPRS 지원 노드(SGSN: Serving GPRS Support Node) 및 게이트웨이 GPRS 지원 노드(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를 포함한다. EIR, HLR, VLR 및 AuC와 같은 일부 네트워크 엘리먼트들은 회선 교환 도메인과 패킷 교환 도메인 모두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 예시되는 예에서, CN(704)은 MSC(712) 및 GMSC(714)와의 회선 교환 서비스들을 지원한다. 일부 애플리케이션들에서, GMSC(714)는 미디어 게이트웨이(MGW: media gateway)로 지칭될 수도 있다. RNC(706)와 같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RNC들은 MSC(712)에 접속될 수 있다. MSC(712)는 호 셋업, 호 라우팅 및 UE 이동성 기능들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MSC(712)는 또한, UE가 MSC(712)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 기간 동안 가입자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VLR을 포함한다. GMSC(714)는 UE가 회선 교환 네트워크(716)에 액세스하도록 MSC(712)를 통한 게이트웨이를 제공한다. GMSC(714)는 특정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들의 세부사항들을 반영한 데이터와 같은 가입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715)를 포함한다. HLR은 또한, 가입자 특정 인증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증 센터(AuC: authentication center)와 연관된다. 특정 UE에 대해 호가 수신되면, GMSC(714)는 HLR(715)을 조회하여 UE의 위치를 결정하고, 그 위치를 서빙하는 특정 MSC로 호를 전달한다.
[0078] CN(704)은 또한 서빙 GPRS 지원 노드(SGSN)(718) 및 게이트웨이 GPRS 지원 노드(GGSN)(720)와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들을 지원한다.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를 나타내는 GPRS는 표준 회선 교환 데이터 서비스들에 이용 가능한 것들보다 더 높은 속도들로 패킷 데이터 서비스들을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GGSN(720)은 패킷 기반 네트워크(722)에 UTRAN(702)에 대한 접속을 제공한다. 패킷 기반 네트워크(722)는 인터넷, 사설 데이터 네트워크, 데이터 네트워크, 또는 다른 어떤 적당한 패킷 기반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GGSN(720)의 주요 기능은 UE들(104)에 패킷 기반 네트워크 접속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데이터 패킷들은 SGSN(718)을 통해 GGSN(720)과 UE들(102) 사이로 전달될 수 있으며, SGSN(718)은 주로, MSC(712)가 회선 교환 도메인에서 수행하는 것과 동일한 기능들을 패킷 기반 도메인에서 수행한다.
[0079] UMTS에 대한 에어 인터페이스는 확산 스펙트럼 직접 시퀀스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DS-CDMA: Direct-Sequenc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을 이용할 수도 있다. 확산 스펙트럼 DS-CDMA는 칩들로 지칭되는 의사 랜덤 비트들의 시퀀스와의 곱셈을 통해 사용자 데이터를 확산시킨다. UMTS에 대한 "광대역" W-CDMA 에어 인터페이스는 이러한 직접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 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추가로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FDD: frequency division duplexing)을 필요로 한다. FDD는 노드 B(708)와 UE(102) 사이의 UL과 DL에 대해 서로 다른 반송파 주파수를 사용한다. DS-CDMA를 이용하며 시분할 듀플렉싱(TDD: time division duplexing)을 사용하는 UMTS에 대한 다른 에어 인터페이스는 TD-SCDMA 에어 인터페이스이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예들이 W-CDMA 에어 인터페이스에 관련될 수도 있지만, 기본 원리들은 TD-SCDMA 에어 인터페이스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할 수도 있다고 인식할 것이다.
[0080] HSPA 에어 인터페이스는 3G/W-CDMA 에어 인터페이스에 대한 일련의 확장들을 포함하여, 더 큰 스루풋 및 감소된 레이턴시를 가능하게 한다. 이전 릴리스들에 대한 다른 변형들 중에서도, HSPA는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신 요청(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공유 채널 송신, 그리고 적응적 변조 및 코딩을 이용한다. HSPA를 규정하는 표준들은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및 (강화된 업링크(enhanced uplink) 또는 EUL로도 또한 지칭되는)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HSU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를 포함한다.
[0081] HSDPA는 자신의 전송 채널로서 고속 다운링크 공유 채널(HS-DSCH)을 이용한다. HS-DSCH는 3개의 물리 채널들: 고속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HS-PDSCH: high-speed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고속 공유 제어 채널(HS-SCCH: high-speed shared control channel) 및 고속 전용 물리적 제어 채널(HS-DPCCH: high-speed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로 구현된다.
[0082] 이들 물리 채널들 중에서, HS-DPCCH는 대응하는 패킷 송신이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었는지 여부를 표시하기 위해 업링크를 통해 HARQ ACK/NACK 시그널링을 전달한다. 즉, 다운링크와 관련하여, UE(102)는 자신이 다운링크 상에서 패킷을 정확하게 디코딩했는지 여부를 표시하기 위해 HS-DPCCH를 통해 노드 B(708)에 피드백을 제공한다.
[0083] HS-DPCCH는 변조 및 코딩 방식과 프리코딩 가중치 선택에 관해 옳은 결정을 내리는 데 있어 노드 B(708)를 보조하기 위한 UE(102)로부터의 피드백 시그널링을 더 포함하는데, 이러한 피드백 시그널링은 CQI 및 PCI를 포함한다.
[0084] 진화형 HSPA(HSPA Evolved) 또는 HSPA+는 MIMO 및 64-QAM을 포함하여 증가한 스루풋 및 더 높은 성능을 가능하게 하는 HSPA 표준의 진화이다. 즉, 본 개시의 한 양상에서, 노드 B(708) 및/또는 UE(102)는 MIMO 기술을 지원하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가질 수 있다. MIMO 기술의 사용은 노드 B(708)가 공간 도메인을 활용하여 공간 다중화, 빔 형성 및 송신 다이버시티를 지원할 수 있게 한다.
[0085]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은 다중 안테나 기술, 즉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채널에 대한 다수의 입력들) 및 다수의 수신 안테나들(채널로부터의 다수의 출력들)을 의미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MIMO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데이터 송신 성능을 향상시켜, 다이버시티 이득들이 다중 경로 페이딩을 감소시키고 송신 품질을 증가시킬 수 있게 하고, 공간 다중화 이득들이 데이터 스루풋을 증가시킬 수 있게 한다.
[0086] 공간 다중화는 동일한 주파수 상에서 서로 다른 데이터 스트림들을 동시에 송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데이터 스트림들은 데이터 레이트를 증가시키기 위해 단일 UE(102)에 또는 전체 시스템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다수의 UE들(102)에 송신될 수 있다. 이는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을 공간적으로 프리코딩한 다음에 각각의 공간적으로 프리코딩된 스트림을 다운링크 상에서 서로 다른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함으로써 달성된다. 공간적으로 프리코딩된 데이터 스트림들은 서로 다른 공간 서명들로 UE(들)(102)에 도달하며, 이는 UE(들)(102) 각각이 해당 UE(102)에 대해 예정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데이터 스트림들을 복원할 수 있게 한다. 업링크 상에서, 각각의 UE(102)는 공간적으로 프리코딩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데이터 스트림들을 송신할 수 있으며, 이는 노드 B(7108)가 각각의 공간적으로 프리코딩된 데이터 스트림의 소스를 식별할 수 있게 한다.
[0087] 공간 다중화는 채널 상태들이 양호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채널 상태들이 덜 유리할 때,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방향들로 송신 에너지를 집중시키기 위해, 또는 채널의 특성들을 기초로 송신을 개선하기 위해 빔 형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통한 송신을 위해 데이터 스트림을 공간적으로 프리코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셀의 에지들에서 양호한 커버리지를 달성하기 위해, 단일 스트림 빔 형성 송신이 송신 다이버시티와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0088] 일반적으로, n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이용하는 MIMO 시스템들의 경우, n개의 전송 블록들이 동일한 채널화 코드를 이용하여 동일한 반송파를 통해 동시에 송신될 수 있다. n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통해 전송되는 서로 다른 전송 블록들은 서로 다른 또는 동일한 변조 및 코딩 방식들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0089] 다른 한편으로, 단일 입력 다중 출력(SIMO: Single Input Multiple Output)은 일반적으로 단일 송신 안테나(채널에 대한 단일 입력) 및 다수의 수신 안테나들(채널로부터의 다수의 출력들)을 이용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따라서 SIMO 시스템에서는, 각각의 반송파를 통해 단일 전송 블록이 전송된다.
[0090] 도 8을 참조하면, UTRAN 아키텍처의 액세스 네트워크(800)가 예시되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UE들(830, 832, 834, 836, 838, 840)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들은 사용자 장비(UE)에서 연속 패킷 연결성(CPC) 및 전용 채널(DCH) 인핸스먼트들이 구성될 때 불연속 송신(DTX)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 관리기(104)(도 1; 예를 들어, 여기서는 UE(836)와 연관된 것으로 예시됨)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서 UE(102)(도 1)와 동일하거나 비슷할 수도 있다. 다중 액세스 무선 통신 시스템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섹터들을 각각 포함할 수 있는 셀들(802, 804, 806)을 포함하는 다수의 셀룰러 영역들(셀들)을 포함한다. 다수의 섹터들은 셀의 일부분에서 UE들과의 통신을 담당하는 각각의 안테나를 갖는 안테나들의 그룹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802)에서, 안테나 그룹들(812, 814, 816)은 각각 서로 다른 섹터에 대응할 수 있다. 셀(804)에서, 안테나 그룹들(818, 820, 822)은 각각 서로 다른 섹터에 대응한다. 셀(806)에서, 안테나 그룹들(824, 826, 828)은 각각 서로 다른 섹터에 대응한다. UE들(예를 들어, 830, 832 등)은 여러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도 1의 구성 관리기(104)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또는 UE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들은 각각의 셀(802, 804 또는 808)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섹터들과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들(830, 832)은 노드 B(842)와 통신할 수 있고, UE들(834, 836)은 노드 B(844)와 통신할 수 있으며, UE들(838, 840)은 노드 B(846)와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노드 B(842, 844, 846)는 각각의 셀들(802, 804, 806) 내의 모든 UE들(830, 832, 834, 836, 838, 840)에 대해 CN(704)(도 7)에 대한 액세스 포인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추가로, 각각의 노드 B(842, 844, 846)는 기지국(112)일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UE들(830, 832, 834, 836, 838, 840)은 도 1의 UE(102)일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개요가 설명된 방법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0091] UE(834)가 셀(804) 내의 예시된 위치로부터 셀(806)로 이동할 때, 서빙 셀 변경(SCC: serving cell change) 또는 핸드오버가 일어날 수 있으며, 여기서는 UE(834)와의 통신이, 소스 셀로 지칭될 수 있는 셀(804)로부터 타깃 셀로 지칭될 수 있는 셀(806)로 전환한다. 핸드오버 프로시저의 관리는 UE(834)에서, 각각의 셀들에 대응하는 노드 B들에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706)(도 7)에서, 또는 무선 네트워크 내의 다른 적당한 노드에서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셀(804)과의 호 도중, 또는 임의의 다른 시점에, UE(834)는 소스 셀(804)의 다양한 파라미터들뿐만 아니라, 셀들(806, 802)과 같은 이웃 셀들의 다양한 파라미터들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추가로, 이러한 파라미터들의 품질에 따라, UE(834)는 이웃 셀들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셀과의 통신을 유지할 수 있다. 이 시간 동안, UE(834)는 액티브 세트, 즉 UE(834)가 동시에 접속되는 셀들의 리스트를 유지할 수 있다(즉, 다운링크 전용 물리 채널(DPCH: downlink dedicated physical channel) 또는 부분적 다운링크 전용 물리 채널(F-DPCH)을 UE(834)에 현재 할당하고 있는 UTRA 셀들이 액티브 세트를 구성할 수 있다).
[0092] 추가로, 액세스 네트워크(800)에 의해 이용되는 변조 및 다중 액세스 방식은 전개되는 특정 전기 통신 표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로서, 표준은 최적화된 에볼루션 데이터(EV-DO: Evolution-Data Optimized) 또는 울트라 모바일 브로드밴드(UMB: Ultra Mobile Broadband)를 포함할 수도 있다. EV-DO 및 UMB는 CDMA2000 표준군의 일부로서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2(3GPP2)에 의해 반포된 에어 인터페이스 표준들이며, CDMA를 이용하여 이동국들에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한다. 표준은 대안으로, 광대역-CDMA(W-CDMA) 및 CDMA의 다른 변형들, 예컨대 TD-SCDMA를 이용하는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UTRA: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TDMA를 이용하는 글로벌 모바일 통신 시스템(GSM); 및 진화형 UTRA(E-UTRA: Evolved UTRA), 울트라 모바일 브로드밴드(UMB), IEEE 1002.11(Wi-Fi), IEEE 1002.16(WiMAX), IEEE 1002.20, 및 OFDMA를 이용하는 플래시-OFDM일 수도 있다. UTRA, E-UTRA, UMTS, LTE, LTE 어드밴스드 및 GSM은 3GPP 조직으로부터의 문서들에 기술되어 있다. CDMA2000 및 UMB는 3GPP2 조직으로부터의 문서들에 기술되어 있다. 실제 무선 통신 표준 및 이용되는 다중 액세스 기술은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시스템에 부과된 전체 설계 제약들에 좌우될 것이다.
[0093] 무선 프로토콜 아키텍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다양한 형태들을 취할 수 있다. 이제 도 9와 관련하여 HSPA 시스템에 대한 일례가 제시될 것이다. 도 9는 사용자 평면 및 제어 평면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아키텍처의 일례를 예시하는 개념도이다.
[0094]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장비(UE), 예를 들어 UE에서 연속 패킷 연결성(CPC) 및 전용 채널(DCH) 인핸스먼트들이 구성될 때 불연속 송신(DTX)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 관리기(104)(도 1과 도 9)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도 1의 UE(102)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아키텍처는 3개의 계층들: 계층 1(L1), 계층 2(L2) 및 계층 3(L3)으로 도시된다. 계층 1은 최하위 계층이며 다양한 물리 계층 신호 처리 기능들을 구현한다. 계층 1(L1 계층)은 본 명세서에서 물리 계층(906)으로 지칭된다. 계층 2(L2 계층)(908)는 물리 계층(906)보다 위에 있고 물리 계층(906) 위에서 UE와 노드 B 사이의 링크를 담당한다.
[0095] 사용자 평면에서, L2 계층(908)은 매체 액세스 제어(MAC) 하위 계층(910), 무선 링크 제어(RLC: radio link control) 하위 계층(912) 및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하위 계층(914)을 포함하며, 이들은 네트워크 측의 노드 B에서 종결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UE는 네트워크 측의 PDN 게이트웨이에서 종결되는 네트워크 계층(예를 들어, IP 계층), 및 접속의 다른 종단(예를 들어, 원단(far end) UE, 서버 등)에서 종결되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비롯하여, L2 계층(908) 위의 여러 상위 계층들을 가질 수 있다.
[0096] PDCP 하위 계층(914)은 서로 다른 무선 베어러들과 로직 채널들 사이의 다중화를 제공한다. PDCP 하위 계층(914)은 또한, 무선 송신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한 상위 계층 데이터 패킷들에 대한 헤더 압축, 데이터 패킷들의 암호화에 의한 보안, 그리고 노드 B들 사이의 UE들에 대한 핸드오버 지원을 제공한다. RLC 하위 계층(912)은 상위 계층 데이터 패킷들의 분할 및 리어셈블리, 유실된 데이터 패킷들의 재송신, 및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신 요청(HARQ)으로 인해 비순차적(out-of-order) 수신을 보상하기 위한 데이터 패킷들의 재정렬을 제공한다. MAC 하위 계층(910)은 로직 채널과 전송 채널 사이의 다중화를 제공한다. MAC 하위 계층(910)은 또한 하나의 셀에서의 다양한 무선 자원들(예를 들어, 자원 블록들)을 UE들 사이에 할당하는 것을 담당한다. MAC 하위 계층(910)은 또한 HARQ 동작들을 담당한다.
[0097] 도 10은 UE(1050)와 통신하는 노드 B(1010)의 블록도이며, 여기서 노드 B(1010)는 네트워크 엔티티(110)의 기지국(112)일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UE(1050)는 제어기/프로세서(1090) 및/또는 메모리(1092)에 있어서, 사용자 장비(UE)에서 연속 패킷 연결성(CPC) 및 전용 채널(DCH) 인핸스먼트들이 구성될 때 불연속 송신(DTX)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 관리기(104)(도 1)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서
도 1의 UE(102)와 동일하거나 비슷할 수도 있다. 다운링크 통신에서, 송신 프로세서(1020)는 데이터 소스(1012)로부터 데이터를 그리고 제어기/프로세서(1040)로부터 제어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송신 프로세서(1020)는 데이터 및 제어 신호들뿐만 아니라, 기준 신호들(예를 들어, 파일럿 신호들)에 대한 다양한 신호 처리 기능들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송신 프로세서(1020)는 에러 검출을 위한 순환 중복 검사(CRC: cyclic redundancy check) 코드들, 순방향 에러 정정(FEC: forward error correction)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코딩 및 인터리빙, 다양한 변조 방식들(예를 들어, 이진 위상 시프트 키잉(BPSK: binary phase-shift keying), 직각 위상 시프트 키잉(QPSK: quadrature phase-shift keying), M-위상 시프트 키잉(M-PSK: M-phase-shift keying), M-직각 진폭 변조(M-QAM: 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등)을 기반으로 한 신호 성상도(constellation)들에 대한 맵핑, 직교 가변 확산 인자(OVSF: orthogonal variable spreading factor)들에 의한 확산, 및 일련의 심벌들을 생성하기 위한 스크램블링 코드들과의 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송신 프로세서(1020)에 대한 코딩, 변조, 확산 및/또는 스크램블링 방식들을 결정하기 위해 채널 프로세서(1044)로부터의 채널 추정들이 제어기/프로세서(104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채널 추정들은 UE(1050)에 의해 송신된 기준 신호로부터 또는 UE(1050)로부터의 피드백으로부터 도출될 수도 있다. 송신 프로세서(1020)에 의해 생성된 심벌들은 송신 프레임 프로세서(1030)에 제공되어 프레임 구조를 생성한다. 송신 프레임 프로세서(1030)는 제어기/프로세서(1040)로부터의 정보와 심벌들을 다중화하여 일련의 프레임들을 야기함으로써, 이러한 프레임 구조를 생성한다. 그 다음, 프레임들은 송신기(1032)에 제공되며, 송신기(1032)는 안테나(1034)에 의한 무선 매체를 통한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프레임들의 증폭, 필터링 및 반송파 상에서의 변조를 포함하는 다양한 신호 조정 기능들을 제공한다. 안테나(1034)는 예를 들어, 빔 조향 양방향 적응성 안테나 어레이들 또는 다른 유사한 빔 기술들을 포함하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0098] UE(1050)에서, 수신기(1054)는 안테나(1052)를 통해 다운링크 송신을 수신하고 송신을 처리하여 반송파 상에서 변조된 정보를 복원한다. 수신기(1054)에 의해 복원된 정보는 수신 프레임 프로세서(1060)에 제공되며, 수신 프레임 프로세서(960)는 각각의 프레임을 파싱하여, 프레임들로부터의 정보를 채널 프로세서(1094)에 그리고 데이터, 제어 및 기준 신호들을 수신 프로세서(1070)에 제공한다. 그 다음, 수신 프로세서(1070)는 노드 B(1010)의 송신 프로세서(1020)에 의해 수행된 처리의 역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신 프로세서(1070)는 심벌들을 디스크램블링하고 역확산한 다음, 변조 방식을 기반으로 하여 노드 B(1010)에 의해 송신된, 가장 가능성 있는 신호 성상도 포인트들을 결정한다. 이러한 소프트 결정들은 채널 프로세서(1094)에 의해 계산되는 채널 추정치들을 기초로 할 수 있다. 그 다음, 소프트 결정들이 디코딩되고 디인터리빙되어 데이터, 제어 및 기준 신호들을 복원한다. 그 다음, 프레임들이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CRC 코드들이 검사된다. 그 다음, 성공적으로 디코딩된 프레임들에 의해 전달된 데이터가 데이터 싱크(1072)에 제공될 것이며, 데이터 싱크(1072)는 UE(1050) 및/또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에서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나타낸다. 성공적으로 디코딩된 프레임들에 의해 전달된 제어 신호들은 제어기/프로세서(1090)에 제공될 것이다. 프레임들이 수신 프로세서(1070)에 의해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지 못하면, 제어기/프로세서(1090)는 또한 확인 응답(ACK: acknowledgement) 및/또는 부정 응답(NACK: negative acknowledgement)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이러한 프레임들에 대한 재송신 요청들을 지원할 수 있다.
[0099] 업링크에서, 데이터 소스(1078)로부터의 데이터 및 제어기/프로세서(1090)로부터의 제어 신호들이 송신 프로세서(1080)에 제공된다. 데이터 소스(1078)는 UE(1050) 및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예를 들어, 키보드)에서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나타낼 수 있다. 노드 B(1010)에 의한 다운링크 송신과 관련하여 설명된 기능과 마찬가지로, 송신 프로세서(1080)는 CRC 코드들, FEC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코딩 및 인터리빙, 신호 성상도들에 대한 맵핑, OVSF들에 의한 확산, 및 일련의 심벌들을 생성하기 위한 스크램블링을 포함하는 다양한 신호 처리 기능들을 제공한다. 노드 B(1010)에 의해 송신된 기준 신호로부터 또는 노드 B(1010)에 의해 송신된 미드앰블(midamble)에 포함된 피드백으로부터 채널 프로세서(1094)에 의해 도출된 채널 추정들이 적절한 코딩, 변조, 확산 및/또는 스크램블링 방식들을 선택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송신 프로세서(1080)에 의해 생성된 심벌들은 송신 프레임 프로세서(1082)에 제공되어 프레임 구조를 생성할 것이다. 송신 프레임 프로세서(1082)는 제어기/프로세서(1090)로부터의 정보와 심벌들을 다중화하여 일련의 프레임들을 야기함으로써, 이러한 프레임 구조를 생성한다. 그 다음, 프레임들은 송신기(1056)에 제공되며, 송신기(1056)는 안테나(1052)에 의한 무선 매체를 통한 업링크 송신을 위해 프레임들의 증폭, 필터링 및 반송파 상에서의 변조를 포함하는 다양한 신호 조정 기능들을 제공한다.
[00100] UE(1050)에서의 수신기 기능과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노드 B(1010)에서 업링크 송신이 처리된다. 수신기(1035)는 안테나(1034)를 통해 업링크 송신을 수신하고 송신을 처리하여 반송파 상에서 변조된 정보를 복원한다. 수신기(1035)에 의해 복원된 정보는 수신 프레임 프로세서(1036)에 제공되며, 수신 프레임 프로세서(1036)는 각각의 프레임을 파싱하여, 프레임들로부터의 정보를 채널 프로세서(1044)에 그리고 데이터, 제어 및 기준 신호들을 수신 프로세서(1038)에 제공한다. 수신 프로세서(1038)는 UE(1050)의 송신 프로세서(1080)에 의해 수행된 처리의 역을 수행한다. 성공적으로 디코딩된 프레임들에 의해 전달된 데이터 및 제어 신호들은 데이터 싱크(1039) 및 제어기/프로세서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프레임들 중 일부가 수신 프로세서에 의해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지 않았다면, 제어기/프로세서(1040)는 또한 확인 응답(ACK) 및/또는 부정 응답(NACK)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이러한 프레임들에 대한 재송신 요청들을 지원할 수 있다.
[00101] 제어기/프로세서들(1040, 1090)은 각각 노드 B(1010) 및 UE(1050)에서의 동작을 지시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프로세서들(1040, 1090)은 타이밍, 주변 인터페이스들, 전압 조정, 전력 관리 및 다른 제어 기능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들(1042, 1092)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들은 각각 노드 B(1010) 및 UE(1050)에 대한 데이터 및 소프트웨어를 저장할 수 있다. 노드 B(1010)에서의 스케줄러/프로세서(1046)는 UE들에 자원들을 할당하고 UE들에 대한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 송신들을 스케줄링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00102] W-CDMA 시스템을 참조로 전기 통신 시스템의 여러 양상들이 제시되었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쉽게 인식하는 바와 같이, 본 개시 전반에 걸쳐 설명된 다양한 양상들은 다른 전기 통신 시스템들, 네트워크 아키텍처들 및 통신 표준들로 확장될 수 있다.
[00103] 예로서, 다양한 양상들은 TD-SCDMA,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HSDPA),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HSUPA), 고속 패킷 액세스 플러스(HSPA+: High Speed Packet Access Plus) 및 TD-CDMA와 같은 다른 UMTS 시스템들로 확장될 수 있다. 다양한 양상들은 또한 (FDD, TDD, 또는 두 모드들 모두에서의) 롱 텀 에볼루션(LTE), (FDD, TDD, 또는 두 모드들 모두에서의) LTE 어드밴스드(LTE-A: LTE-Advanced), CDMA2000, 최적화된 에볼루션 데이터(EV-DO), 울트라 모바일 브로드밴드(UMB),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초광대역(UWB: Ultra-Wideband), 블루투스 및/또는 다른 적당한 시스템들을 이용하는 시스템들로 확장될 수 있다. 이용되는 실제 전기 통신 표준, 네트워크 아키텍처 및/또는 통신 표준은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시스템에 부과되는 전체 설계 제약들에 좌우될 것이다.
[00104]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르면, 엘리먼트나 엘리먼트의 임의의 부분 또는 엘리먼트들의 임의의 결합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처리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들의 예들은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들,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들,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PLD: programmable logic device)들, 상태 머신들, 게이티드(gated) 로직, 이산 하드웨어 회로들, 및 본 개시 전반에 걸쳐 설명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다른 적당한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처리 시스템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프로세서들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하드웨어 기술 언어 또는 다른 식으로 지칭되든지 간에, 명령들, 명령 세트들,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들, 서브프로그램들, 소프트웨어 모듈들, 애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패키지들, 루틴들, 서브루틴들, 객체들, 실행 파일(executable)들, 실행 스레드들, 프로시저들, 함수들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광범위하게 해석될 것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상에 상주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일 수 있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예로서, 자기 저장 디바이스(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광 디스크(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D: compact disk),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digital versatile disk)), 스마트 카드,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예를 들어,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프로그래밍 가능한 ROM(PROM: programmable ROM), 소거 가능한 PROM(EPROM: erasable PROM),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PROM(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M), 레지스터, 착탈식 디스크, 및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및 판독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명령들을 저장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당한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또한 예로서, 반송파, 송신선, 및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및 판독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명령들을 송신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당한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처리 시스템 내에 상주하거나, 처리 시스템 외부에 있을 수도 있고, 또는 처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다수의 엔티티들에 걸쳐 분산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로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패키징 재료들에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전체 설계 제약들 및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본 개시 전반에 제시된 설명되는 기능을 어떻게 최상으로 구현할지를 인식할 것이다.
[00105] 개시된 방법들의 단계들의 특정 순서 또는 계층 구조는 예시적인 프로세스들의 실례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설계 선호들을 기초로, 방법들의 단계들의 특정 순서 또는 계층 구조는 재배열될 수도 있다고 이해된다. 첨부한 방법 청구항들은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예시적인 순서로 제시하며,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제시된 특정 순서 또는 계층 구조로 한정되는 것으로 여겨지는 것은 아니다.
[00106] 상기의 설명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임의의 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다양한 양상들을 실시할 수 있게 하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양상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이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쉽게 명백할 것이며, 본 명세서에 정의된 일반 원리들은 다른 양상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청구항들은 본 명세서에 도시된 양상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항들의 문언과 일치하는 전체 범위에 따르는 것이며, 여기서 엘리먼트에 대한 단수 언급은 구체적으로 그렇게 언급하지 않는 한 "하나 및 단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그보다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을 의미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일부"라는 용어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것을 의미한다. 항목들의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하는 문구는 단일 멤버들을 포함하여 이러한 항목들의 임의의 결합을 의미한다. 일례로,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는 a; b; c; a와 b; a와 c; b와 c; 그리고 a와 b와 c를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알려진 또는 나중에 알려지게 될 본 개시 전반에 걸쳐 설명된 다양한 양상들의 엘리먼트들에 대한 모든 구조적 그리고 기능적 등가물들은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명백히 포함되며, 청구항들에 의해 포괄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청구항들에 이러한 개시 내용이 명시적으로 기재되어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공중이 사용하도록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청구항 엘리먼트가 명백히 "~을 위한 수단"이라는 문구를 사용하여 언급되거나, 방법 청구항의 경우에는 엘리먼트가 "~을 위한 단계"라는 문구를 사용하여 언급되지 않는 한, 어떠한 청구항 엘리먼트도 35 U.S.C.§112 6항의 조항들 하에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30)

  1.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에서 연속 패킷 연결성(CPC: continuous packet connectivity) 및 전용 채널(DCH: dedicated channel) 인핸스먼트들(enhancements)이 구성될 때 불연속 송신(DTX: discontinuous transmission)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 1 시간 기간 동안 상기 UE에서 상기 CPC와 연관하여 상기 DTX가 허용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제 2 시간 기간 동안 상기 UE에서 상기 DCH 인핸스먼트들과 연관하여 상기 DTX가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 1 시간 기간 및 상기 제 2 시간 기간이 상기 DTX를 허용할 때 제 3 시간 기간 동안 상기 UE에서 상기 DTX를 수행하는 단계 ― 상기 제 3 시간 기간은 상기 CPC의 DTX 및 상기 DCH 인핸스먼트들의 DTX 모두 사이에 중첩(overlap)이 있는 듀레이션(duration)임 ―; 및
    상기 CPC의 DTX 및 상기 DCH 인핸스먼트들의 DTX 모두 사이에 중첩이 없는 시간 기간들 동안 송신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UE)에서 연속 패킷 연결성(CPC) 및 전용 채널(DCH) 인핸스먼트들이 구성될 때 불연속 송신(DTX)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시간 기간 동안 다운링크 전용 물리적 제어 채널(DL DPCCH: downlink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 상에서 송신 전력 제어(TPC: transmit power control) 비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3 시간 기간은 부분적 전용 물리 채널(F-DPCH: fractional-dedicated physical channel)을 수신하기 위한 동일한 시간 기간인,
    사용자 장비(UE)에서 연속 패킷 연결성(CPC) 및 전용 채널(DCH) 인핸스먼트들이 구성될 때 불연속 송신(DTX)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PC는 2㎳ 송신 시간 간격(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으로 구성되고,
    상기 DCH 인핸스먼트들은 10㎳ TTI로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UE)에서 연속 패킷 연결성(CPC) 및 전용 채널(DCH) 인핸스먼트들이 구성될 때 불연속 송신(DTX)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UE가 업링크 전용 물리적 제어 채널(UL DPCCH: uplink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의 DTX를 수행하고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는,
    사용자 장비(UE)에서 연속 패킷 연결성(CPC) 및 전용 채널(DCH) 인핸스먼트들이 구성될 때 불연속 송신(DTX)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UE의 릴리스 번호 또는 무선 액세스 성능들에 기초하는,
    사용자 장비(UE)에서 연속 패킷 연결성(CPC) 및 전용 채널(DCH) 인핸스먼트들이 구성될 때 불연속 송신(DTX)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 3 시간 기간 동안 상기 UE에서 모든 업링크 채널들의 DTX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UE)에서 연속 패킷 연결성(CPC) 및 전용 채널(DCH) 인핸스먼트들이 구성될 때 불연속 송신(DTX)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시간 기간 동안 상기 UE에서 상기 CPC와 연관하여 불연속 수신(DRX: discontinuous reception)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 3 시간 기간 동안 상기 UE에서 상기 DCH 인핸스먼트들과 연관하여 상기 DRX가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CPC 및 상기 DCH 인핸스먼트들 모두가 상기 DRX를 허용할 때 상기 제 3 시간 기간 동안 상기 UE에서 상기 DRX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UE)에서 연속 패킷 연결성(CPC) 및 전용 채널(DCH) 인핸스먼트들이 구성될 때 불연속 송신(DTX)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8. 사용자 장비(UE)에서 연속 패킷 연결성(CPC) 및 전용 채널(DCH) 인핸스먼트들이 구성될 때 불연속 송신(DTX)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서,
    제 1 시간 기간 동안 상기 UE에서 상기 CPC와 연관하여 상기 DTX가 허용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수단;
    제 2 시간 기간 동안 상기 UE에서 상기 DCH 인핸스먼트들과 연관하여 상기 DTX가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 1 시간 기간 및 상기 제 2 시간 기간이 상기 DTX를 허용할 때 제 3 시간 기간 동안 상기 UE에서 상기 DTX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제 3 시간 기간은 상기 CPC의 DTX 및 상기 DCH 인핸스먼트들의 DTX 모두 사이에 중첩이 있는 듀레이션임 ―; 및
    상기 CPC의 DTX 및 상기 DCH 인핸스먼트들의 DTX 모두 사이에 중첩이 없는 시간 기간들 동안 송신을 허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UE)에서 연속 패킷 연결성(CPC) 및 전용 채널(DCH) 인핸스먼트들이 구성될 때 불연속 송신(DTX)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시간 기간 동안 다운링크 전용 물리적 제어 채널(DL DPCCH) 상에서 송신 전력 제어(TPC) 비트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3 시간 기간은 부분적 전용 물리 채널(F-DPCH)을 수신하기 위한 동일한 시간 기간인,
    사용자 장비(UE)에서 연속 패킷 연결성(CPC) 및 전용 채널(DCH) 인핸스먼트들이 구성될 때 불연속 송신(DTX)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하는 것은 상기 UE가 업링크 전용 물리적 제어 채널(UL DPCCH)의 DTX를 수행하고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는,
    사용자 장비(UE)에서 연속 패킷 연결성(CPC) 및 전용 채널(DCH) 인핸스먼트들이 구성될 때 불연속 송신(DTX)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하는 것 그리고 상기 결정하는 것은 상기 UE의 릴리스 번호 또는 무선 액세스 성능들에 기초하는,
    사용자 장비(UE)에서 연속 패킷 연결성(CPC) 및 전용 채널(DCH) 인핸스먼트들이 구성될 때 불연속 송신(DTX)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제 3 시간 기간 동안 상기 UE에서 모든 업링크 채널들의 DTX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UE)에서 연속 패킷 연결성(CPC) 및 전용 채널(DCH) 인핸스먼트들이 구성될 때 불연속 송신(DTX)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시간 기간 동안 상기 UE에서 상기 CPC와 연관하여 불연속 수신(DRX)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3 시간 기간 동안 상기 UE에서 상기 DCH 인핸스먼트들과 연관하여 상기 DRX가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CPC 및 상기 DCH 인핸스먼트들 모두가 상기 DRX를 허용할 때 상기 제 3 시간 기간 동안 상기 UE에서 상기 DRX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UE)에서 연속 패킷 연결성(CPC) 및 전용 채널(DCH) 인핸스먼트들이 구성될 때 불연속 송신(DTX)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14. 사용자 장비(UE)에서 연속 패킷 연결성(CPC) 및 전용 채널(DCH) 인핸스먼트들이 구성될 때 불연속 송신(DTX)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가능 코드를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제 1 시간 기간 동안 상기 UE에서 상기 CPC와 연관하여 상기 DTX가 허용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코드;
    제 2 시간 기간 동안 상기 UE에서 상기 DCH 인핸스먼트들과 연관하여 상기 DTX가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코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 1 시간 기간 및 상기 제 2 시간 기간이 상기 DTX를 허용할 때 제 3 시간 기간 동안 상기 UE에서 상기 DTX를 수행하기 위한 코드 ― 상기 제 3 시간 기간은 상기 CPC의 DTX 및 상기 DCH 인핸스먼트들의 DTX 모두 사이에 중첩이 있는 듀레이션임 ―; 및
    상기 CPC의 DTX 및 상기 DCH 인핸스먼트들의 DTX 모두 사이에 중첩이 없는 시간 기간들 동안 송신을 허용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시간 기간 동안 다운링크 전용 물리적 제어 채널(DL DPCCH) 상에서 송신 전력 제어(TPC) 비트를 수신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3 시간 기간은 부분적 전용 물리 채널(F-DPCH)을 수신하기 위한 동일한 시간 기간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하는 것은 상기 UE가 업링크 전용 물리적 제어 채널(UL DPCCH)의 DTX를 수행하고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하는 것 그리고 상기 결정하는 것은 상기 UE의 릴리스 번호 또는 무선 액세스 성능들에 기초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기 위한 코드는 상기 제 3 시간 기간 동안 상기 UE에서 모든 업링크 채널들의 DTX를 수행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시간 기간 동안 상기 UE에서 상기 CPC와 연관하여 불연속 수신(DRX)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코드;
    상기 제 3 시간 기간 동안 상기 UE에서 상기 DCH 인핸스먼트들과 연관하여 상기 DRX가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CPC 및 상기 DCH 인핸스먼트들 모두가 상기 DRX를 허용할 때 상기 제 3 시간 기간 동안 상기 UE에서 상기 DRX를 수행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0. 사용자 장비(UE)에서 연속 패킷 연결성(CPC) 및 전용 채널(DCH) 인핸스먼트들이 구성될 때 불연속 송신(DTX)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 1 시간 기간 동안 상기 UE에서 상기 CPC와 연관하여 상기 DTX가 허용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제 2 시간 기간 동안 상기 UE에서 상기 DCH 인핸스먼트들과 연관하여 상기 DTX가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 1 시간 기간 및 상기 제 2 시간 기간이 상기 DTX를 허용할 때 제 3 시간 기간 동안 상기 UE에서 상기 DTX를 수행하고 ― 상기 제 3 시간 기간은 상기 CPC의 DTX 및 상기 DCH 인핸스먼트들의 DTX 모두 사이에 중첩이 있는 듀레이션임 ―; 그리고
    상기 CPC의 DTX 및 상기 DCH 인핸스먼트들의 DTX 모두 사이에 중첩이 없는 시간 기간들 동안 송신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UE)에서 연속 패킷 연결성(CPC) 및 전용 채널(DCH) 인핸스먼트들이 구성될 때 불연속 송신(DTX)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3 시간 기간 동안 다운링크 전용 물리적 제어 채널(DL DPCCH) 상에서 송신 전력 제어(TPC) 비트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 3 시간 기간은 부분적 전용 물리 채널(F-DPCH)을 수신하기 위한 동일한 시간 기간인,
    사용자 장비(UE)에서 연속 패킷 연결성(CPC) 및 전용 채널(DCH) 인핸스먼트들이 구성될 때 불연속 송신(DTX)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CPC는 2㎳ 송신 시간 간격(TTI)으로 구성되고,
    상기 DCH 인핸스먼트들은 10㎳ TTI로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UE)에서 연속 패킷 연결성(CPC) 및 전용 채널(DCH) 인핸스먼트들이 구성될 때 불연속 송신(DTX)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UE가 업링크 전용 물리적 제어 채널(UL DPCCH)의 DTX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식별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UE)에서 연속 패킷 연결성(CPC) 및 전용 채널(DCH) 인핸스먼트들이 구성될 때 불연속 송신(DTX)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UE의 릴리스 번호 또는 무선 액세스 성능들에 기초하여 식별 및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UE)에서 연속 패킷 연결성(CPC) 및 전용 채널(DCH) 인핸스먼트들이 구성될 때 불연속 송신(DTX)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25.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3 시간 기간 동안 상기 UE에서 모든 업링크 채널들의 DTX를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UE)에서 연속 패킷 연결성(CPC) 및 전용 채널(DCH) 인핸스먼트들이 구성될 때 불연속 송신(DTX)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26.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3 시간 기간 동안 상기 UE에서 상기 CPC와 연관하여 불연속 수신(DRX)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제 3 시간 기간 동안 상기 UE에서 상기 DCH 인핸스먼트들과 연관하여 상기 DRX가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CPC 및 상기 DCH 인핸스먼트들 모두가 상기 DRX를 허용할 때 상기 제 3 시간 기간 동안 상기 UE에서 상기 DRX를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UE)에서 연속 패킷 연결성(CPC) 및 전용 채널(DCH) 인핸스먼트들이 구성될 때 불연속 송신(DTX)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KR1020167025448A 2014-03-21 2015-03-13 전용 채널(dch) 인핸스먼트들과 함께 연속 패킷 연결성(cpc) KR1019164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69026P 2014-03-21 2014-03-21
US61/969,026 2014-03-21
US14/569,362 2014-12-12
US14/569,362 US10004106B2 (en) 2014-03-21 2014-12-12 Continuous packet connectivity (CPC) with dedicated channel (DCH) enhancements
PCT/US2015/020472 WO2015142652A1 (en) 2014-03-21 2015-03-13 Continuous packet connectivity (cpc) with dedicated channel (dch) enhancem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307A KR20160136307A (ko) 2016-11-29
KR101916446B1 true KR101916446B1 (ko) 2018-11-08

Family

ID=54143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5448A KR101916446B1 (ko) 2014-03-21 2015-03-13 전용 채널(dch) 인핸스먼트들과 함께 연속 패킷 연결성(cpc)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04106B2 (ko)
EP (1) EP3120661B1 (ko)
JP (1) JP6452714B2 (ko)
KR (1) KR101916446B1 (ko)
CN (1) CN106134260B (ko)
WO (1) WO20151426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20603B1 (en) * 2014-03-21 2019-06-19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Compressed mode for umts enhanced dedicated channel for circuit switched voice services
KR20170064537A (ko) * 2014-09-24 2017-06-09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통신 장치 및 불연속 송신 방법
US20170118786A1 (en) * 2015-10-27 2017-04-27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single-radio simultaneous lte and umts calls
CN108616999B (zh) * 2017-01-04 2019-09-1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65195B2 (en) * 2006-08-21 2013-10-22 Nokia Corporation Apparatu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providing support for packet data user continuous uplink connectivity
CN101179825B (zh) * 2006-11-08 2010-09-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上行非连续传输的处理方法、终端、基站及系统
US8094554B2 (en) * 2006-10-26 2012-01-10 Qualcomm Incorporated Compressed mode operation and power control with discontinuous transmission and/or reception
CN101588625B (zh) * 2008-05-20 2012-07-25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激活时刻的控制方法和装置
CN101360340B (zh) * 2008-09-04 2012-04-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业务配置方法和设备
US8165099B2 (en) * 2008-12-18 2012-04-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Continuous packet connectivity (CPC) scheduler
JP5990464B2 (ja) * 2010-01-08 2016-09-14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マルチキャリア/マルチセル動作のための不連続受信および/または不連続送信を実行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8675554B2 (en) * 2010-11-08 2014-03-18 Intel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neighbor cell analysis during continuous packet connectivity mode
EP2549807A1 (en) * 2011-07-18 2013-01-23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for facilitating synchronisation between a communications network and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operating in a cpc dtx mode and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CN103188754B (zh) * 2011-12-30 2016-03-02 华为技术有限公司 选择目标小区的方法、节点及系统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30513
3GPP R1-133689
3GPP R1-133691
KARI AHO, "HSPA SYSTEMS"
QUALCOMM INCORPORATED, "DCH Enhancements for UM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134260B (zh) 2019-08-02
JP2017508396A (ja) 2017-03-23
CN106134260A (zh) 2016-11-16
WO2015142652A1 (en) 2015-09-24
EP3120661A1 (en) 2017-01-25
EP3120661B1 (en) 2021-03-10
JP6452714B2 (ja) 2019-01-16
US20150271869A1 (en) 2015-09-24
US10004106B2 (en) 2018-06-19
KR20160136307A (ko) 2016-11-29
BR112016024116A2 (pt) 2018-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4455B1 (ko) Dsds 시나리오들에서의 데이터 스루풋 최적화를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KR102113451B1 (ko) 전력 절감들을 위해 사용자 장비에서 불연속 수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338293B1 (ko) Dch 향상들을 갖는 압축 모드
EP3138330B1 (en) Reducing battery consumption at a user equipment
US9516597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enhanced mobile power management
KR20140133857A (ko) 이중-sim 이중-스탠바이 모바일 디바이스들에서 튠 어웨이를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404793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rc message combining
WO2015199820A1 (en) Packet filtering for saving power at a user equipment
JP6513714B2 (ja) 不連続受信管理
KR101916446B1 (ko) 전용 채널(dch) 인핸스먼트들과 함께 연속 패킷 연결성(cpc)
US20150036518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inuous inter-frequency measurement reconfigurations of dc-hsupa ue
CN106105337B (zh) 多rab场景中hs-dpcch开销减少
KR101628848B1 (ko) Rx 체인의 이른 종결을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41938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application signaling from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US20160037577A1 (en) Multicarrier discontinuous communication management
EP278103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ci signaling desi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