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6269B1 - 전기히터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히터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6269B1
KR101916269B1 KR1020170045278A KR20170045278A KR101916269B1 KR 101916269 B1 KR101916269 B1 KR 101916269B1 KR 1020170045278 A KR1020170045278 A KR 1020170045278A KR 20170045278 A KR20170045278 A KR 20170045278A KR 101916269 B1 KR101916269 B1 KR 101916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heater
control unit
unit
waveform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5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3765A (ko
Inventor
김정희
Original Assignee
(주)제이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솔루션 filed Critical (주)제이솔루션
Priority to KR1020170045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6269B1/ko
Publication of KR20180113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02Switch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35Electrical circuits used in resistive heating apparatus

Landscapes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터 제어장치간 통신을 통해 제어장치의 운영조건을 설정하고 제어장치의 운영정보(운영온도 및 고장여부)를 공유하는 기능과 히터제어장치에서 히터를 제어하기 위해서 공급되는 펄스 전원을 사용하여 히터의 고장 여부를 감지하는 히터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열원으로 사용하고 흐르는 전류에 의해 열이 발생하는 전기히터와, 상기 전기히터에 각각 위치되어 전기히터의 온도를 감지하여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전기히터를 제어하고, 전기히터의 상태를 하기 마스터 제어부로 전송하는 슬레이브 제어부와, 각 부의 슬레이브 제어부에 설정온도를 전달하고 슬레이브 제어부를 통해 전기히터의 상태를 입력받고, 필요시 전기히터의 상태를 관리서버, 관리자 단말기, 운영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상위체계로 전달하는 마스터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Description

전기히터 제어 장치 및 방법{An Electric Heater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히터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러 대의 전기히터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원격으로 제어되고 있는 전기히터의 고장여부를 감지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히터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히터는 열원으로 사용하고 흐르는 전류에 의해 열이 발생하는 구조로서, 열효율은 비교적 낮지만 냄새가 없고 설치가 간단하며, 특히 가스나 석유히터에 비해 화재의 위험이 적고 관리가 쉬워 많이 이용되고 있다.
전기히터는 지속적인 전류의 흐름으로 인한 과열 및 고장을 방지하기 위해 온도 조절기를 사용한다. 온도 조절기는 온도를 설정하고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전기히터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장치이다.
현재 다수개의 전기히터를 제어하기 위해서 제어장치 단독으로 다수개의 전기히터를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는 각각의 전기히터를 독립적인 운전을 위해 병렬로 연결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병렬 구조에 따라 제어장치에서 각 전기히터의 고장 여부를 감지하는데 어려움이 발생되고 있다.
즉, 하나의 제어장치에 다수개의 전기히터를 직렬로 연결하면 연결된 전기히터 중 하나라도 고장(단선 등)이 나면 흐르는 전류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어 전기히터의 고장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제어장치에 다수개의 전기히터가 병렬로 연결되면 전기히터의 고장 여부를 전류의 흐름만으로 감지하여 고장 난 전기히터의 고장 여부를 감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현재 하나의 제어장치에 다수개의 전기히터가 병렬로 연결된 구조에서 각 전기히터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운영요원이 병렬로 연결된 전기히터를 일일이 손으로 만져서 확인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제어장치의 단독운영으로 인해 운영자가 각각의 전기히터의 운영조건을 설정하고, 제어장치를 통해 전기히터의 정보를 일일이 점검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306009호 (등록일자 2001.08.03)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히터 제어장치간 통신을 통해 제어장치의 운영조건을 설정하고 제어장치의 운영정보(운영온도 및 고장여부)를 공유하는 기능과 히터제어장치에서 히터를 제어하기 위해서 공급되는 펄스 전원을 사용하여 히터의 고장 여부를 감지하는 히터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히터 제어 장치의 특징은 열원으로 사용하고 흐르는 전류에 의해 열이 발생하는 전기히터와, 상기 전기히터에 각각 위치되어 전기히터의 온도를 감지하여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전기히터를 제어하고, 전기히터의 상태를 하기 마스터 제어부로 전송하는 슬레이브 제어부와, 각 부의 슬레이브 제어부에 설정온도를 전달하고 슬레이브 제어부를 통해 전기히터의 상태를 입력받고, 필요시 전기히터의 상태를 관리서버, 관리자 단말기, 운영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상위체계로 전달하는 마스터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바람직하게 각 부의 슬레이브 제어부는 다수개의 전기히터 각각에 위치되고, 상기 각 부의 슬레이브 제어부는 하나의 마스터 제어부에 연결되어 관리 및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슬레이브 제어부는 마스터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AC의 전원 파형을 전기히터로 전달하는 SSR와, 각 부의 슬레이브 제어부 간의 연동을 위한 통신 및 전기히터의 온도를 측정하여 설정온도와 측정온도를 기반으로 상기 SSR에서 전기히터로 전달되는 전원 파형의 온 시간을 주기(T) 동안 제어하여 전기히터의 온도를 설정온도로 조절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PID(Proportional Integral Derivative)의 제어를 통해 SSR 온(on)이 되는 일정 주기(T) 동안에 상기 SSR(280)에서 전기히터로 입력되는 전원 파형을 감지하여 전기히터에 전원이 공급되는지를 판단하는 펄스전원 감지부와, SSR 온(on)이 되는 일정 주기(T) 동안에 변류기(Current Transformer : CT)를 이용하여 상기 전기히터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감지부와, 상기 펄스전원 감지부에서 감지된 펄스전원과 상기 전류 감지부에서 감지된 전류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조건정보와 비교하여 전기히터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에서 판단된 고장여부 결과를 전시하는 전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펄스전원 감지부는 정류부의 양의 출력단에 애노드가 병렬 연결되는 제 1 포토다이오드와, 상기 제 1 포토다이오드의 캐소드에 캐소드가 연결되는 제 2 포토다이오드와, 상기 제 1 포토다이오드와 광 결합되고, 컬렉터가 비교부와 연결되고, 이미터가 그라운드에 접지되는 제 1 포토트랜지스터(A)와, 상기 제 2 포토다이오드와 광결합되고, 컬렉터가 비교부(260)와 연결되고, 이미터가 그라운드에 접지되는 제 2 포토트랜지스터(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펄스전원 감지부에 전원 파형이 입력되면, 양의 교류파형(①)은 제 1 포토트랜지스터(A)가 감지하고, 음의 교류파형(②)은 제 2 포토트랜지스터(B)가 감지하여 비교부에 펄스 전원의 상태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히터 제어 방법의 특징은 (A) 마스터 제어부를 이용하여 각 부의 슬레이브 제어부로 전기히터의 운영조건을 설정하는 단계와, (B) 슬레이브 제어부의 제어부를 이용하여 마스터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운영조건을 기반으로 전기히터에서 측정되는 측정온도와 마스터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운영조건에서 설정된 설정온도를 서로 비교하는 단계와, (C) 슬레이브 제어부의 제어부를 이용하여 상기 비교된 온도 차이를 기반으로 SSR에서 전기히터로 전달되는 전원 파형의 온 시간을 주기(T) 동안 제어하여 전기히터의 온도를 설정온도로 조절하는 단계와, (D) 슬레이브 제어부의 비교부를 이용하여 펄스전원 감지부 및 전류 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일정 주기(T) 동안에 SSR에서 전기히터로 입력되는 전원 파형 및 전기히터에 흐르는 전류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조건정보와 비교하여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E) 슬레이브 제어부의 전시부를 이용하여 전기히터에서 측정되는 측정온도 및 판단되는 고장여부 결과를 포함하는 운영정보를 전시 및 각 부의 슬레이브 제어부를 거쳐 마스터 제어부로 전달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운영조건은 운영온도, 알람 조건 및 장치 설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C) 단계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주기 T 동안 SSR에서 전기히터로 전달되는 전원 파형(AC 파형)의 온 시간을 증가시키거나 줄여 전원의 펄스파형의 폭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건정보는 전원 파형 및 전류와의 조건에 따른 고장여부를 분류한 조건정보로서, 펄스전원 감지부에서 감지된 전원파형이 주기 T 동안 펄스파형의 SSR이 온(on)인 동안 전류 감지부에서 감지된 전류의 흐름이 온(on)이면 전기히터는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전류의 흐름이 오프(off)이면 전기히터는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E) 단계는 마스터 제어부를 이용하여 필요시 전달된 전기히터의 상태를 관리서버, 관리자 단말기, 운영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상위체계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히터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제어장치 연동을 통해 개별 장치의 운영조건을 설정하고 개별 장치의 운영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병렬로 연결된 히터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동작의 불량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로써 지속적인 히터의 열원을 관리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히터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 는 도 1에서 슬레이브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3 은 도 1에서 슬레이브 제어부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
도 4 는 도 3에서 펄스전원 감지부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회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히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히터 제어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히터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열원으로 사용하고 흐르는 전류에 의해 열이 발생하는 전기히터(300)와, 상기 전기히터(300)에 각각 위치되어 전기히터(300)의 온도를 감지하여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전기히터(300)를 제어하고, 전기히터(300)의 상태(히터의 운영온도, 고장여부 등)를 하기 마스터 제어부(100)로 전송하는 슬레이브 제어부(200)와, 각 부의 슬레이브 제어부(200)에 설정온도를 전달하고 슬레이브 제어부(200)를 통해 전기히터(300)의 상태를 입력받아 확인하고, 필요시 전기히터(300)의 상태를 나타내는 운영정보를 상위체계(관리서버, 관리자 단말기, 운영자 인터페이스 등)로 전달하는 마스터 제어부(100)로 구성된다.
이처럼, 각 부의 슬레이브 제어부(200)를 하나의 마스터 제어부(100)에서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각 부의 슬레이브 제어부(200)는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전기히터(300) 각각에 위치됨에 따라, 다수의 전기히터(300)를 슬레이브 제어부(200)를 통해 단독운영은 물론 하나의 마스터 제어부(100)를 통해 연동운영이 모두 가능하게 된다.
상기 슬레이브 제어부(200)는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상기 마스터 제어부(100)로부터 전달되는 220V 전압을 갖는 AC의 전원 파형을 전기히터(300)로 전달하는 SSR(280)와, 각 부의 슬레이브 제어부(200) 간의 연동을 위한 통신 및 전기히터(300)의 온도를 측정하여 설정온도와 측정온도를 기반으로 상기 SSR(280)에서 전기히터(300)로 전달되는 전원 파형의 온 시간을 주기(T) 동안 제어하여 전기히터(300)의 온도를 설정온도로 조절하는 제어부(210)와, 상기 제어부(210)에서 PID(Proportional Integral Derivative)의 제어를 통해 SSR 온(on)이 되는 일정 주기(T) 동안에 상기 SSR(280)에서 전기히터(300)로 입력되는 전원 파형을 감지하여 전기히터(300)에 전원이 공급되는지를 판단하는 펄스전원 감지부(220)와, 상기 펄스전원 감지부(220)에서 감지되는 AC 전압을 DC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AC-DC 컨버터부(230)와, 상기 AC-DC 컨버터부(230)에서 변환된 DC 전원을 저장하는 DC 저장부(240)와, SSR 온(on)이 되는 일정 주기(T) 동안에 변류기(Current Transformer : CT)를 이용하여 상기 전기히터(300)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감지부(250)와, 상기 펄스전원 감지부(220)에서 감지된 펄스전원과 상기 전류 감지부(250)에서 감지된 전류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조건정보와 비교하여 전기히터(300)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비교부(260)와, 상기 비교부(260)에서 판단된 고장여부 결과를 전시하는 전시부(270)로 구성된다.
도 4 는 펄스전원 감지부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회로도로서,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정류부의 양의 출력단에 애노드가 병렬 연결되는 제 1 포토다이오드와, 상기 제 1 포토다이오드의 캐소드에 캐소드가 연결되는 제 2 포토다이오드와, 상기 제 1 포토다이오드와 광결합되고, 컬렉터가 비교부(260)와 연결되고, 이미터가 그라운드에 접지되는 제 1 포토트랜지스터(A)와, 상기 제 2 포토다이오드와 광결합되고, 컬렉터가 비교부(260)와 연결되고, 이미터가 그라운드에 접지되는 제 2 포토트랜지스터(B)로 구성된다.
그리고 펄스전원 감지부(220)에 전원 파형이 입력되면, 양의 교류파형(①)은 제 1 포토트랜지스터(A)가 감지하고, 음의 교류파형(②)은 제 2 포토트랜지스터(B)가 감지하여 비교부(260)에 펄스 전원의 상태를 알려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기히터 제어 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또는 도 2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한 부재를 지칭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히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마스터 제어부(100)를 이용하여 각 부의 슬레이브 제어부(200)로 전기히터(300)의 운영조건을 설정한다(S100). 이때, 설정되는 운영조건은 운영온도, 알람 조건(고온, 저온 등) 및 장치 설정(통신 속도, 아이디 등)이다.
이에 슬레이브 제어부(200)는 제어부(210)를 이용하여 상기 마스터 제어부(100)로부터 전달되는 운영조건을 기반으로 전기히터(300)에서 측정되는 측정온도와 마스터 제어부(100)로부터 전달된 운영조건에서 설정된 설정온도를 서로 비교한다(S200).
이어 슬레이브 제어부(200)는 제어부(210)를 이용하여 상기 비교된 온도 차이를 기반으로 SSR(280)에서 전기히터(300)로 전달되는 전원 파형의 온 시간을 주기(T) 동안 제어하여 전기히터(300)의 온도를 설정온도로 조절한다(S300).
즉, 상기 제어부(210)는 도 6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주기 T 동안 SSR(280)에서 전기히터(300)로 전달되는 전원 파형(AC 파형)의 온 시간을 증가시키거나 줄여 전원의 펄스파형의 폭을 조절한다. 이때 조절되는 펄스파형의 펄스폭은 감지한 온도가 설정온도 보다 낮으면 온(on) 시간을 길게 하고, 설정온도보다 높으면 온(on) 시간을 짧게 한다.
한편, 슬레이브 제어부(200)는 비교부(260)를 이용하여 펄스전원 감지부(220) 및 전류 감지부(250)를 통해 감지되는 일정 주기(T) 동안에 상기 SSR(280)에서 전기히터(300)로 입력되는 전원 파형 및 전기히터(300)에 흐르는 전류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조건정보와 비교하여 전기히터의 고장여부를 판단한다(S400).
즉, 상기 비교부(260)는 다음 표 1에서 나타내고 있는 조건정보를 감지된 전원 파형 및 전류와 대입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게 된다.
펄스전원 감지부 전류 감지부 비교부 결과
SSR On CT On 히터 정상
SSR On CT Off 히터 고장
SSR Off - 이전 상태 유지
상기 표 1에서 설정된 조건정보를 기반으로 비교부(260)는 펄스전원 감지부(220)에서 감지된 전원파형이 주기 T 동안 펄스파형의 SSR이 온(on)인 동안 전류 감지부(250)에서 감지된 전류의 흐름(CT)이 온(on)이면 전기히터(300)는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전류의 흐름(CT)이 오프(off)이면 전기히터(300)는 고장인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슬레이브 제어부(200)는 전시부(270)를 이용하여 전기히터(300)에서 측정되는 측정온도 및 판단되는 고장여부 결과를 포함하는 운영정보를 전시 및 각 부의 슬레이브 제어부(200)를 거쳐 마스터 제어부(100)로 전달된다(S500).
이때, 상기 마스터 제어부(100)는 필요시 전달된 전기히터(300)의 상태를 나타내는 운영정보를 상위체계(관리서버, 관리자 단말기, 운영자 인터페이스 등)로 전달하는 마스터 제어부(100)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열원으로 사용하고 흐르는 전류에 의해 열이 발생하는 전기히터와,
    상기 전기히터에 각각 위치되어 전기히터의 온도를 감지하여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전기히터를 제어하고, 전기히터의 상태를 하기 마스터 제어부로 전송하는 슬레이브 제어부와,
    각 부의 슬레이브 제어부에 설정온도를 전달하고 슬레이브 제어부를 통해 전기히터의 상태를 입력받고, 필요시 전기히터의 상태를 관리서버, 관리자 단말기, 운영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상위체계로 전달하는 마스터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슬레이브 제어부는
    마스터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AC의 전원 파형을 전기히터로 전달하는 SSR와,
    각 부의 슬레이브 제어부 간의 연동을 위한 통신 및 전기히터의 온도를 측정하여 설정온도와 측정온도를 기반으로 상기 SSR에서 전기히터로 전달되는 전원 파형의 온 시간을 주기(T) 동안 제어하여 전기히터의 온도를 설정온도로 조절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PID(Proportional Integral Derivative)의 제어를 통해 SSR 온(on)이 되는 일정 주기(T) 동안에 상기 SSR(280)에서 전기히터로 입력되는 전원 파형을 감지하여 전기히터에 전원이 공급되는지를 판단하는 펄스전원 감지부와,
    SSR 온(on)이 되는 일정 주기(T) 동안에 변류기(Current Transformer : CT)를 이용하여 상기 전기히터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감지부와,
    상기 펄스전원 감지부에서 감지된 펄스전원과 상기 전류 감지부에서 감지된 전류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조건정보와 비교하여 전기히터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에서 판단된 고장여부 결과를 전시하는 전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히터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각 부의 슬레이브 제어부는 다수개의 전기히터 각각에 위치되고,
    상기 각 부의 슬레이브 제어부는 하나의 마스터 제어부에 연결되어 관리 및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히터 제어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전원 감지부는
    정류부의 양의 출력단에 애노드가 병렬 연결되는 제 1 포토다이오드와,
    상기 제 1 포토다이오드의 캐소드에 캐소드가 연결되는 제 2 포토다이오드와,
    상기 제 1 포토다이오드와 광결합되고, 컬렉터가 비교부와 연결되고, 이미터가 그라운드에 접지되는 제 1 포토트랜지스터(A)와,
    상기 제 2 포토다이오드와 광결합되고, 컬렉터가 비교부(260)와 연결되고, 이미터가 그라운드에 접지되는 제 2 포토트랜지스터(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히터 제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전원 감지부에 전원 파형이 입력되면, 양의 교류파형(①)은 제 1 포토트랜지스터(A)가 감지하고, 음의 교류파형(②)은 제 2 포토트랜지스터(B)가 감지하여 비교부에 펄스 전원의 상태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히터 제어 장치.
  6. (A) 마스터 제어부를 이용하여 각 부의 슬레이브 제어부로 전기히터의 운영조건을 설정하는 단계와,
    (B) 슬레이브 제어부의 제어부를 이용하여 마스터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운영조건을 기반으로 전기히터에서 측정되는 측정온도와 마스터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운영조건에서 설정된 설정온도를 서로 비교하는 단계와,
    (C) 슬레이브 제어부의 제어부를 이용하여 상기 비교된 온도 차이를 기반으로 SSR에서 전기히터로 전달되는 전원 파형의 온 시간을 주기(T) 동안 제어하여 전기히터의 온도를 설정온도로 조절하는 단계와,
    (D) 슬레이브 제어부의 비교부를 이용하여 펄스전원 감지부 및 전류 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일정 주기(T) 동안에 SSR에서 전기히터로 입력되는 전원 파형 및 전기히터에 흐르는 전류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조건정보와 비교하여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E) 슬레이브 제어부의 전시부를 이용하여 전기히터에서 측정되는 측정온도 및 판단되는 고장여부 결과를 포함하는 운영정보를 전시 및 각 부의 슬레이브 제어부를 거쳐 마스터 제어부로 전달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히터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조건은 운영온도, 알람 조건 및 장치 설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히터 제어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주기 T 동안 SSR에서 전기히터로 전달되는 전원 파형(AC 파형)의 온 시간을 증가시키거나 줄여 전원의 펄스파형의 폭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히터 제어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정보는 전원 파형 및 전류와의 조건에 따른 고장여부를 분류한 조건정보로서,
    펄스전원 감지부에서 감지된 전원파형이 주기 T 동안 펄스파형의 SSR이 온(on)인 동안 전류 감지부에서 감지된 전류의 흐름이 온(on)이면 전기히터는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전류의 흐름이 오프(off)이면 전기히터는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히터 제어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마스터 제어부를 이용하여 필요시 전달된 전기히터의 상태를 관리서버, 관리자 단말기, 운영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상위체계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히터 제어 방법.
KR1020170045278A 2017-04-07 2017-04-07 전기히터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916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278A KR101916269B1 (ko) 2017-04-07 2017-04-07 전기히터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278A KR101916269B1 (ko) 2017-04-07 2017-04-07 전기히터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765A KR20180113765A (ko) 2018-10-17
KR101916269B1 true KR101916269B1 (ko) 2018-11-07

Family

ID=64099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5278A KR101916269B1 (ko) 2017-04-07 2017-04-07 전기히터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62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8684B1 (ko) * 2020-12-23 2021-06-23 ㈜엠지에이치코리아 전열기기 제어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7260B1 (ko) * 2014-12-12 2016-05-02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발열유리의 제어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7260B1 (ko) * 2014-12-12 2016-05-02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발열유리의 제어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765A (ko) 2018-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3191B2 (en) Fail-safe lighting control system
US10278264B2 (en) System for preventing excessive cable heating in power over ethernet-based lighting systems
KR101689993B1 (ko) 릴레이 오작동 검출 장치
KR101934726B1 (ko) 히팅케이블 절전형 스마트제어 및 감시장치
EP2860605B1 (en) Device and method for single board energy-saving and single board
KR101694370B1 (ko) 소비전류값을 이용한 손상된 led모듈 자동검출 시스템 및 방법
KR101824223B1 (ko) 태양광발전소 전기실의 환기팬 고장감시 시스템
US10936030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emperature
KR101916269B1 (ko) 전기히터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5227043B (zh) 用于在紧急情况下变频器运行控制的系统
KR101819048B1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히트 트레이싱 시스템의 감시 제어장치
KR101108499B1 (ko) 가로등용 누설전류 원격 검출시스템
KR101441988B1 (ko) 포터블 감도조절 누전 차단기
JP6476787B2 (ja) 発電システム
CN110345332A (zh) 一种电伴热系统
KR20090100856A (ko) 분할난방 시스템
KR101126073B1 (ko) 스마트 그리드 내에 분산전원 단독운전 방지 시스템
US20210210951A1 (en) Power device protection
KR102525554B1 (ko)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기의 동작상태 디스플레이 구동장치
JP6641707B2 (ja) 故障検出システム
US10652983B2 (en) Central management of DC energy devices
KR20010111431A (ko) 차단기 이상 검출장치
KR20120057389A (ko) Led전원제어방법, 상기 led전원제어방법을 사용하는 led 전원제어장치 및 led 구동시스템
KR19980024962U (ko) 부하의 단선 검출 장치
KR102014152B1 (ko) 온도제어를 포함하는 최대전력관리장치와 주제어장치의 스마트제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