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1988B1 - 포터블 감도조절 누전 차단기 - Google Patents

포터블 감도조절 누전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1988B1
KR101441988B1 KR1020140061383A KR20140061383A KR101441988B1 KR 101441988 B1 KR101441988 B1 KR 101441988B1 KR 1020140061383 A KR1020140061383 A KR 1020140061383A KR 20140061383 A KR20140061383 A KR 20140061383A KR 101441988 B1 KR101441988 B1 KR 101441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input
current
unit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1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퓨처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퓨처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퓨처컴
Priority to KR1020140061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19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1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fault current to earth, frame or m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3/00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 G01R13/40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using modulation of a light beam otherwise than by mechanical displacement, e.g. by Kerr effect
    • G01R13/401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using modulation of a light beam otherwise than by mechanical displacement, e.g. by Kerr effect for continuous analogue, or simulated analogue, display
    • G01R13/402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using modulation of a light beam otherwise than by mechanical displacement, e.g. by Kerr effect for continuous analogue, or simulated analogue, display using active, i.e. light-emitting display devices, e.g. electroluminescent displa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H02H3/04Details with warning or supervision in addition to disconnection, e.g. for indicating that protective apparatus has functione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08Modifications for protecting switching circuit against overcurrent or overvoltage
    • H03K17/082Modifications for protecting switching circuit against overcurrent or overvoltage by feedback from the output to the control circuit
    • H03K17/0824Modifications for protecting switching circuit against overcurrent or overvoltage by feedback from the output to the control circuit in thyristor switches

Abstract

본 발명은 포터블 감도조절 누전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하로 입력되는 입력전류(ii)와, 부하에서 AC입력부(10)로 회귀하는 귀로전류(io)에 의해 유기되는 유기전압을 검출하는 영상변류기(30)와, 상기 유기전압에 의해 상기 유기전압에 의한 감도전류가 설정치보다 큰 전기기기의 전원을 차단토록 전원차단신호를 발생시키는 누전검출부가 구비됨으로써, 전기기기에서 소모하는 전력이외의 미세한 누전 전류를 감지하여 외부에 LED의 빛이나 소리로 알리며, 정해진 수신기나 별도의 서버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RF통신모듈이 구비되어 누전정보를 송수신하고, 미세 누전을 감지하여 누전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포터블 감도조절 누전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포터블 감도조절 누전 차단기{Portable sensitivity adjustment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포터블 감도조절 누전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하로 입력되는 입력전류와 귀로전류의 차에 의해 발생되는 유기전압을 증폭하며, 상기 유기전압에 의한 감도전류가 설정치보다 커 누전이 일어난다고 판단되는 전기기기의 전원공급을 차단토록 전원차단신호를 발생시키는 누전검출부가 구비됨으로써, 전기기기에서 소모되는 정격전력 이외의 미세한 누전 전류를 감지하고 이를 외부에 LED의 빛이나 소리로 알리며, 정해진 수신기나 별도의 서버에서 수신되어 관리되도록 RF통신모듈이 구비된 포터블 감도조절 누전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누전차단기는 정격 감도전류가 25 ~ 30mA로 구성되어 주로 분전함에 취부되어 구비되며, 이러한 누전차단기는 다수의 전기기기에 발생되는 전력 소모량의 총 합에 의해 작동되게 된다.
이러한, 누전차단기의 동작 원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가전제품이 접지가 되어 있지 않거나, 가전제품 중 전력을 많이 소모하는 에어컨이나 온풍기 등이 허용된 전력을 초과하는 경우나, 누전이 되어 누전차단기가 동작하거나, 또는 누전차단기가 불량일 경우가 누전차단기의 동작 원인으로 주로 작용된다.
예를 들면, 전기를 사용하지 않는데 전기 계량기가 돌아가고 있다면 누전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누전 유무의 확인은 누전차단기를 내린 상태에서 콘센트를 한 개씩 꼽아서 계량기가 회전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각 가전제품의 이상 유무를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누전차단기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1298469(2013.08.21)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상기 종래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정용 포터블 디지털 누전 탐지기로서, 전기 콘센트에 접속되는 제1 콘센트 접속부; 상기 제1 콘센트 접속부를 통해 유입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누전 측정부; 및 상기 누전 측정부에서 일정한 시간 동안 측정된 전류에서 최고치와 최저치를 제외하여 계산한 평균 전류가 기 설정된 정상 범위 내에 해당하면 누전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기 설정된 정상 범위 내에 해당하지 않으면 누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디스플레이부가 더 포함되어 1mA 내지 2mA는 10%의 누전위험도로 나타내고, 3mA 이상부터는 누전위험도를 5%씩 증가시키며, 이때 누전위험도는 감전시 상해를 입히는 정도로서, 감전시 생명을 위협할수 있는 수준을 %수치로 감전 위험도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부하전류에서 소비되는 전류량을 표시하고, 이를 감전 위험도에 환산하여 표시함에 따라 실제 전기기기에서 미세누전이 발생시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특정기기의 누전을 판단시 최고치와 최저치의 평균값을 산정하여 누전을 판별함에 따라 실제 누전에 따른 문제가 발생시 이를 즉각 처리하지 못하여 화재 발생등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종래기술은 사용자가 직접 눈으로 확인하면서 누전전류를 판단해야 함에 따라, 전기기기의 온도상승에 따른 이상 동작 시 이를 외부에 알릴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상적으로 소모되는 소비전력외의 누설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유기전압과, 상기 유기전압에 의한 감도전류의 크기를 외부에서 설정하여 실제 누전되는 전력이 설정된 감도전류를 초과할 경우 누전으로 판단하여 외부에 누전 상황을 알린 후 전원공급을 차단토록, 기준치 이상의 미세 누전을 검출하는 누전검출부와 외부에 누전상황을 소리 또는 LED빛으로 알리는 알람부와 누전상황을 디지털 신호로 가공하여 통신부를 통해 외부에 알리는 디지털알람부가 구비되어, 부하에서 소모되는 정격전류 이외의 누전전류 발생시 이를 알리고 차단하는 포터블 감도조절 누전 차단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포터블 감도조절 누전 차단기는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부하에 공급하며 누설전류를 감지하여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누전차단기로서, 상기 교류전원이 입력되는 플러그형의 AC입력부와; 상기 AC입력부에서 입력된 교류전원을 온오프하는 릴레이가 구비되어 상기 부하에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형의 AC출력부와; 상기 AC입력부에서 상기 부하로 입력되는 입력전류와, 상기 부하에서 상기 AC입력부로 회귀하는 귀로전류의 차이에 의해 유기되는 유기전압을 출력하는 영상변류기와; 상기 영상변류기에서 출력된 상기 유기전압에 의한 감도전류를 조정하는 감도조절단과, 상기 감도조절단에서 인가된 상기 유기전압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차동증폭기와, 상기 차동증폭기에서 출력되는 출력전압이 설정치 이상일 경우 전원차단신호를 출력하는 랫치회로와, 상기 차동증폭기의 구동전압을 일정하게 공급하는 전압레귤레이터가 구비되어 상기 유기전압이 설정치 이상일 경우 전원차단신호를 발생시키는 누전검출부와; 상기 전원차단신호에 의해 온오프되는 제1싸이리스터와, 상기 제1싸이리스터의 온오프에 따라 작동되는 상기 릴레이의 접점에 따라 외부에 정상 상태임을 알리는 녹색LED와, 누전 상태임을 알리는 적색LED 및 부저가 구비된 알람부와; 상기 AC입력부에서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정류하여 공급하는 DC전원공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누전검출부에서 발생되는 상기 전원차단신호를 감지하여 감지상태정보를 출력하는 MPU와, 상기 MPU에서 출력되는 감지상태정보를 정해진 수신기에 송신하는 RF통신모듈이 구비된 디지털알람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MPU는 누전 상태임을 알리는 상기 전원차단신호 감지시 상기 릴레이의 접점을 제어하여 상기 적색LED와 상기 부저를 구동하되, 상기 부저의 알람은 정해진 시간동안 1회 내지 다수회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누전검출부에는 상기 랫치회로의 출력상태를 테스트하거나 초기화하는 리셋스위치와, 상기 리셋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2싸이리스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셋스위치는 온상태일 경우 누전상태를 알리는 상기 전원차단신호가 상기 랫치회로를 통해 출력되고, 온상태에서 오프상태로 상태 변경될 경우 상기 랫치회로를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도조절단은 감도전류의 조절을 위해 가변저항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C전원공급부는 상기 AC입력부에서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정류하여 상기 누전검출부에 공급하는 제1정류기와, 상기 AC입력부에서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정류하는 제2정류기와, 상기 제2정류기에서 정류된 직류전원을 상기 디지털알람부에 전압조절하여 공급하는 제2레귤레이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RF통신모듈은 상기 감지상태정보를 송신토록 400MHZ대역 고주파무선통신 또는 CDMA프로토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비되되, 상기 감지상태정보는 누전 또는 정상을 나타내는 감지상태과, 기기ID와 이벤트발생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터블 감도조절 누전 차단기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누전을 판별하는 감도전류에 의해 유기되는 유기전압을 미세조정 또는 레벨조정하여 설정가능한 누전검출부가 구비됨으로써, 미세 누전을 감지하여 누전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둘째, 주로 분전함에 취부되던 누전 차단기가 취부가 간편한 포터블 형으로 구비됨에 따라 일상생활 속에서 누전 차단기의 활용이 용이하며,
셋째, 다수 개의 전기기기가 하나의 누전 차단기로 연결되어 관리되던 종래의 방식과 다르게 개별로 각 전기기기와 연결되어 운용됨에 따라 누전사고가 다른 전기기기 또는 다른 계통으로의 파급을 방지하고, 누전을 외부에 알리는 적색LED와 부저가 구비됨에 따라, 누전되는 전기기기의 위치 파악이 용이하며
넷째, 누전을 외부의 특정 기기나 장소에 알릴 수 있는 RF통신부가 구비됨으로써, 중앙 집중형으로 전기기기를 개별로 관리가 가능하여 누전으로 인한 화재사고를 줄이고 재산 및 인명피해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정용 디지털 누전차단기를 설명한 블럭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터블 감도조절 누전 차단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터블 감도조절 누전 차단기의 블럭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감도조절 누전 차단기의 작용을 설명하는 블럭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감도조절 누전 차단기의 작용을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터블 감도조절 누전 차단기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류전원(AC)을 입력받아 부하에 공급하며 누설전류를 감지하여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누전차단기로서, 상기 교류전원(AC)이 입력되는 플러그형의 AC입력부(10)와; 상기 AC입력부(10)에서 입력된 교류전원(AC)을 온오프하는 릴레이(21)가 구비되어 상기 부하에 교류전원(AC)을 공급하는 콘센트형의 AC출력부(20)와; 상기 AC입력부(10)에서 상기 부하로 입력되는 입력전류(ii)와, 상기 부하에서 상기 AC입력부(10)로 회귀하는 귀로전류(io)의 차이에 의해 유기되는 유기전압을 출력하는 영상변류기(30)와; 상기 영상변류기(30)에서 출력된 상기 유기전압에 의한 감도전류를 조정하는 감도조절단(41)과, 상기 감도조절단(41)에서 인가된 상기 유기전압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차동증폭기(42)와, 상기 차동증폭기(42)에서 출력되는 출력전압이 설정치 이상일 경우 전원차단신호(S)를 출력하는 랫치회로(43)와, 상기 차동증폭기(42)의 구동전압을 일정하게 공급하는 전압레귤레이터(44)가 구비되어 상기 유기전압이 설정치 이상일 경우 전원차단신호(S)를 발생시키는 누전검출부(40)와; 상기 전원차단신호(S)에 의해 온오프되는 제1싸이리스터(51)와, 상기 제1싸이리스터(51)의 온오프에 따라 작동되는 상기 릴레이(21)의 접점에 따라 외부에 정상 상태임을 알리는 녹색LED(52)와, 누전 상태임을 알리는 적색LED(53) 및 부저(54)가 구비된 알람부(50)와; 상기 AC입력부(10)에서 입력되는 교류전원(AC)을 직류전원으로 정류하여 공급하는 DC전원공급부(6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영상변류기(30)(zero current transformer)는 단상식 또는 3상식으로 구비되게 되는데, 이는 전기기기의 전력 소모량와 입력 전원의 구성에 따라 선택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릴레이(21)는 상기 제1싸이리스터(51)에 의해 온오프되며 전원 공급을 스위칭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포터블 감도조절 누전 차단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전검출부(40)에서 발생되는 상기 전원차단신호(S)를 감지하여 감지상태정보를 출력하는 MPU(71)와, 상기 MPU(71)에서 출력되는 감지상태정보(I)를 정해진 수신기에 송신하는 RF통신모듈(72)이 구비된 디지털알람부(70)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알람부(70)는 상기 RF통신모듈(72)을 통해 외부에 누전을 알리게 되며, 상기 MPU(71)는 상기 릴레이(21)을 제어하여 알람(B)이나 LED빛으로 외부에 누전을 알리는 것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MPU(71)는 RF통신모듈(72)과 연결되어 외부에서 상기 알람(B)의 주기와 감도전류 등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릴레이(21)는 전원차단신호(S)가 없을 때는 정상상태로 접점이 자동 복귀 된다.
또한, 상기 MPU(71)는 누전 상태임을 알리는 상기 전원차단신호(S) 감지시 상기 릴레이(21)의 접점을 제어하여 상기 적색LED(53)와 상기 부저(54)를 구동하되, 상기 부저(54)의 알람(B)은 정해진 시간동안 1회 내지 다수회 반복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누전검출부(40)에는 상기 랫치회로(43)의 출력상태를 테스트하거나 초기화하는 리셋스위치(45)와, 상기 리셋스위치(45)의 작동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2싸이리스터(46)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리셋스위치(45)는 온상태일 경우 누전상태를 알리는 상기 전원차단신호(S)가 상기 랫치회로(43)를 통해 출력되고, 온상태에서 오프상태로 상태 변경될 경우 상기 랫치회로(43)를 초기화한다.
여기서, 상기 리셋스위치(45)는 상기 녹색LED(52)와, 적색LED(53) 및 상기 부저(54)와 연동되어, 포터블 감도조절 누전 차단기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감도조절단(41)은 감도전류의 조절을 위해 가변저항(41a)으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외부에서 조정가능토록 구비되며, 이때, 연속된 값으로 설정하여 조정토록 할 수도 있지만, 10mA, 12mA, 15mA등의 레벨 별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차동증폭기(42)와,상기 랫치회로(43)와, 상기 전압레귤레이터(44) 는 IC칩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DC전원공급부(60)는 상기 AC입력부(10)에서 입력되는 교류전원(AC)을 직류전원으로 정류하여 상기 누전검출부(40)에 공급하는 제1정류기(61)와, 상기 AC입력부(10)에서 입력되는 교류전원(AC)을 직류전원으로 정류하는 제2정류기(62)와, 상기 제2정류기(62)에서 정류된 직류전원을 상기 디지털알람부(70)에 전압조절하여 공급하는 제2레귤레이터(6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RF통신모듈(72)은 상기 감지상태정보(I)를 송신토록 400MHZ대역 고주파무선통신 또는 CDMA프로토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비되되, 상기 감지상태정보(I)는 누전 또는 정상을 나타내는 감지상태와, 기기ID와 이벤트발생시간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구분 요청신호 기기ID 감지상태(추가정보) 이벤트발생시간
종류 ACK(1BIT) 16BIT 2BIT(2BYTE) 3BYTE
REQ(1BIT) 16BIT 2BIT(2BYTE) 3BYTE
상기 표1은 상기 감지상태정보(I)에 포함된 정보의 예시이다. 상기 RF통신모듈(72)을 통하여 기준전압을 변경하거나 다른 변경 정보를 수용하기 위한 여유공간이다.
이러한, 상기 감지상태정보(I)에는 에러신호비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포터블 감도조절 누전 차단기의 작용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포터블 감도조절 누전 차단기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AC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되는 교류전원(AC)이 AC출력부(20)를 통해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데, 이때 부하에 단락이나 단선등의 이상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부하로 입력되는 입력전류(ii)와, 상기 부하에서 상기 AC입력부(10)로 회귀하는 귀로전류(io)의 차이에 의해 유기되는 유기전압이 영상변류기(30)에서 발생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영상변류기(30)에서 유기되는 상기 유기전압은 누전검출부(40)의 차동증폭기(42)에 인가되게 된다. 또한, 상기 차동증폭기(42)는 상기 유기전압을 증폭하여 랫치회로(43)에 인가하고, 상기 랫치회로(43)은 전원차단신호(S)를 출력하여 알람부(50) 또는 디지털알람부(70)를 통해 누전 상태임을 알리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알람부(50)는 제1싸이리스터(51)의 온오프에 따라 작동되는 릴레이(21)의 접점 변경되게 되며, 이에 따라 적색LED(53) 및 부저(54)가 빛이나 알람(B)으로 외부에 알리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싸이리스터(51)는 릴레이(21)의 접점을 변경하여 상기 AC출력부(20)에서 상기 부하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토록 변경되게 된다.
한편, 상기 디지털알람부(7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전검출부(40)에서 송신된 전원차단신호(S)를 감지하여 적색LED(53)와, 부저(54)를 통해 누전상태를 알리게 된다. 아울러 상기 디지털알람부(70)는 RF통신모듈(72)를 통해 외부의 특정 수신기나 전원관리서버에 누전상태를 전송하게된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알람부(70)에 구비된 MPU(71)는 상기 RF통신모듈(72)를 통해 감지상태정보(I)를 전송하게 되는데, 이때 포함되는 정보는 기기ID와 이벤트발생시간과 누전 또는 정상을 나타내는 감지상태를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원관리서버를 관리하는 관리자는 전원공급에 이상이 발생한 전기기기의 위치를 파악하여 이상원인을 제거하되, 부하의 전원공급을 하는 상기 릴레이(21)가 전원공급을 차단함에 따라 다른 전기기기에 영향을 최소화하게 된다.
한편, 상기 누전검출부(40)에는 감도전류의 크기를 외부에서 설정할 수 있도록 가변저항(41a)이 구비되는데, 이는 상기 차동증폭기(42)에 입력되는 입력전압의 크기를 제한하는 역할을 하게된다. 즉, 감도조절부(41)에 구비된 상기 가변저항(41a)은 상기 감도전류의 허용치를 조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허용치 이상의 상기 감도전류가 발생시에는 상기 랫치회로(43)를 통해 전원차단신호(S)를 출력하여 누전을 관리하게된다.
그리고, 제2싸이리스터(46)는 리셋스위치(45)와 연결되어 상기 리셋스위치(45)가 온상태일 경우 상기 제1정류기(61)의 전원을 상기 랫치회로(43)에 인가하 된다. 이때, 상기 랫치회로(43)는 누전상태를 알리는 상기 전원차단신호(S)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리셋스위치(45)는 온상태에서 오프상태로 상태 변경될 경우 상기 랫치회로(43)는 이를 초기화하는 신호로 인식하여 이상 원인이 제거된 것으로 파악하고 정상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AC입력부 20 : AC출력부
21 : 릴레이 30 : 영상변류기
40 : 누전검출부 41 : 감도조절부
41a : 가변저항 42 : 차동증폭기
43 : 랫치회로 44 : 전압레귤레이터
45 : 리셋스위치 46 : 제2싸이리스터
50 : 알람부 51 : 제1싸이리스터
52 : 녹색LED 53 : 적색LED
54 : 부저 60 : DC전원공급부
61 : 제1정류기 62 : 제2정류기
63 : 제2레귤레이터 70 : 디지털알람부
71 : MPU 72 : RF통신모듈
S : 전원차단신호
I : 감지상태정보 ii : 입력전류
i0 : 귀로전류 B : 알람

Claims (8)

  1. 교류전원(AC)을 입력받아 부하에 공급하며 누설전류를 감지하여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누전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교류전원(AC)이 입력되는 플러그형의 AC입력부(10)와;
    상기 AC입력부(10)에서 입력된 교류전원(AC)을 온오프하는 릴레이(21)가 구비되어 상기 부하에 교류전원(AC)을 공급하는 콘센트형의 AC출력부(20)와;
    상기 AC입력부(10)에서 상기 부하로 입력되는 입력전류(ii)와, 상기 부하에서 상기 AC입력부(10)로 회귀하는 귀로전류(io)의 차이에 의해 유기되는 유기전압을 출력하는 영상변류기(30)와;
    상기 영상변류기(30)에서 출력된 상기 유기전압에 의한 감도전류를 조정하는 감도조절단(41)과, 상기 감도조절단(41)에서 인가된 상기 유기전압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차동증폭기(42)와, 상기 차동증폭기(42)에서 출력되는 출력전압이 설정치 이상일 경우 전원차단신호(S)를 출력하는 랫치회로(43)와, 상기 차동증폭기(42)의 구동전압을 일정하게 공급하는 전압레귤레이터(44)가 구비되어 상기 유기전압이 설정치 이상일 경우 전원차단신호(S)를 발생시키는 누전검출부(40)와;
    상기 전원차단신호(S)에 의해 온오프되는 제1싸이리스터(51)와, 상기 제1싸이리스터(51)의 온오프에 따라 작동되는 상기 릴레이(21)의 접점에 따라 외부에 정상 상태임을 알리는 녹색LED(52)와, 누전 상태임을 알리는 적색LED(53) 및 부저(54)가 구비된 알람부(50)와;
    상기 AC입력부(10)에서 입력되는 교류전원(AC)을 직류전원으로 정류하여 공급하는 DC전원공급부(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감도조절 누전 차단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전검출부(40)에서 발생되는 상기 전원차단신호(S)를 감지하여 감지상태정보(I)를 출력하는 MPU(71)와, 상기 MPU(71)에서 출력되는 감지상태정보(I)를 정해진 수신기에 송신하는 RF통신모듈(72)이 구비된 디지털알람부(7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감도조절 누전 차단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MPU(71)는
    누전 상태임을 알리는 상기 전원차단신호(S) 감지시 상기 릴레이(21)의 접점을 제어하여 상기 적색LED(53)와 상기 부저(54)를 구동하되,
    상기 부저(54)의 알람(B)은 정해진 시간동안 1회 내지 다수회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감도조절 누전 차단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전검출부(40)에는
    상기 랫치회로(43)의 출력상태를 테스트하거나 초기화하는 리셋스위치(45)와, 상기 리셋스위치(45)의 작동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2싸이리스터(46)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감도조절 누전 차단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스위치(45)는
    온상태일 경우 누전상태를 알리는 상기 전원차단신호(S)가 상기 랫치회로(43)를 통해 출력되고, 온상태에서 오프상태로 상태 변경될 경우 상기 랫치회로(43)를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감도조절 누전 차단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도조절단(41)은 감도전류의 조절을 위해 가변저항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감도조절 누전 차단기.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DC전원공급부(60)는
    상기 AC입력부(10)에서 입력되는 교류전원(AC)을 직류전원으로 정류하여 상기 누전검출부(40)에 공급하는 제1정류기(61)와,
    상기 AC입력부(10)에서 입력되는 교류전원(AC)을 직류전원으로 정류하는 제2정류기(62)와, 상기 제2정류기(62)에서 정류된 직류전원을 상기 디지털알람부(70)에 전압조절하여 공급하는 제2레귤레이터(6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감도조절 누전 차단기.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RF통신모듈(72)은 상기 감지상태정보(I)를 송신토록 400MHZ대역 고주파무선통신 또는 CDMA프로토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비되되,
    상기 감지상태정보(I)는 누전 또는 정상을 나타내는 감지상태와, 기기ID와 이벤트발생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감도조절 누전 차단기.
KR1020140061383A 2014-05-22 2014-05-22 포터블 감도조절 누전 차단기 KR101441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383A KR101441988B1 (ko) 2014-05-22 2014-05-22 포터블 감도조절 누전 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383A KR101441988B1 (ko) 2014-05-22 2014-05-22 포터블 감도조절 누전 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1988B1 true KR101441988B1 (ko) 2014-09-24

Family

ID=51760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1383A KR101441988B1 (ko) 2014-05-22 2014-05-22 포터블 감도조절 누전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19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23715A (zh) * 2019-07-02 2019-10-11 上海闻泰信息技术有限公司 漏电保护装置、方法及空调伴侣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4107A (ja) 1998-11-30 2000-06-16 Ntt Hokkaido Personal Tsushinmo Kk 漏電遮断器復旧装置
KR20020074438A (ko) * 2002-08-29 2002-09-30 이상도. 누전차단형 경보기.
JP2004282893A (ja) 2003-03-14 2004-10-07 Fuji Xerox Co Ltd 電源装置
KR100804518B1 (ko) 2007-07-18 2008-02-20 엠티엔시 (주) 누설 전류를 2단계로 감지하여 오동작을 방지하는 누전차단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4107A (ja) 1998-11-30 2000-06-16 Ntt Hokkaido Personal Tsushinmo Kk 漏電遮断器復旧装置
KR20020074438A (ko) * 2002-08-29 2002-09-30 이상도. 누전차단형 경보기.
JP2004282893A (ja) 2003-03-14 2004-10-07 Fuji Xerox Co Ltd 電源装置
KR100804518B1 (ko) 2007-07-18 2008-02-20 엠티엔시 (주) 누설 전류를 2단계로 감지하여 오동작을 방지하는 누전차단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23715A (zh) * 2019-07-02 2019-10-11 上海闻泰信息技术有限公司 漏电保护装置、方法及空调伴侣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2711B1 (ko) 구내방송장치용 이상부하분석 처리방법 및 장치
US7193335B2 (en) Sensing socket assembly
KR101084109B1 (ko) 화재 방지용 절전 지능 멀티콘센트
KR100929818B1 (ko) 화재 방지용 절전 지능 매입 콘센트
US20080094235A1 (en) Bathing system controller having abnormal operational condition identification capabilities
US10019051B2 (en) Operation control device for electronic apparatus
KR101773897B1 (ko) 전류 감시 및 경보 시스템
JP6580881B2 (ja) 電力計測装置および電力管理方法
WO2019206059A1 (zh) 用电保护断路器
KR20180003857A (ko) 온도와 전압을 감지하여 조절하는 수배전반
KR101441988B1 (ko) 포터블 감도조절 누전 차단기
KR20080005881A (ko) 부하의 전류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80128750A (ko) 공기조화기
KR101931232B1 (ko) 음성 알림 기능을 포함하는 콘센트 장치
KR101362777B1 (ko) 무선 통신 기반 콘센트 장치 및 대기전력 차단 방법
KR101073809B1 (ko) 스마트 대기전력 자동차단 스위치
US201802338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ac/dc surge protection
KR101320785B1 (ko)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화재 예측 시스템
CN108964003A (zh) 一种电源错接保护装置、方法及空调器
KR102325098B1 (ko) 누전 차단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
KR20150111804A (ko) 지능형 전원 플러그 및 전원 어댑터
AU2019101016A4 (en) Voltage Protection Device
KR100285269B1 (ko) 누전 검출 시스템
KR20110112754A (ko) 누설전류 차단용 멀티 콘센트 및 멀티 콘센트를 이용한 누설전류 차단 방법
US20170255913A1 (en) System for distributing electrical ener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