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6091B1 - 판재 접합용 파스너 - Google Patents

판재 접합용 파스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6091B1
KR101916091B1 KR1020170032062A KR20170032062A KR101916091B1 KR 101916091 B1 KR101916091 B1 KR 101916091B1 KR 1020170032062 A KR1020170032062 A KR 1020170032062A KR 20170032062 A KR20170032062 A KR 20170032062A KR 101916091 B1 KR101916091 B1 KR 101916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plate
dissimilar
joining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2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5021A (ko
Inventor
안상수
박병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170032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6091B1/ko
Publication of KR20180105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5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8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weld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1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 B23K20/12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using a non-consumable tool, e.g. friction stir 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1/00Connect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by sticking or pressing them together, e.g. cold pressure welding
    • F16B11/006Connect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by sticking or pressing them together, e.g. cold pressure welding by glu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8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 F16B19/086Self-piercing riv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06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Abstract

판재 접합용 파스너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판재 접합용 파스너는 금속판재와, 상기 금속판재와 다른 소재의 이종판재를 상호 겹친 상태로, 상기 이종판재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하여 끼워 상기 금속판재에 마찰교반에 의해 접합하기 위한 판재 접합용 파스너에 있어서, 원형단면을 가지며, 상면에 스핀들이 삽입되는 툴 삽입홈이 형성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하면 중심에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접착제가 충진되고, 외주면에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이종판재의 관통홀 내주 측으로 상기 접착제를 유출시키는 토출홀이 형성되는 몸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판재 접합용 파스너{FASTENER FOR JOINING PANAL}
본 발명은 차량의 판재 접합용 파스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본딩이나 복잡한 체결부품 없이, 마찰교반용접을 함과 동시에, 접착제에 의한 접합을 통하여 금속판재와 이종판재를 간단하게 접합할 수 있는 차량의 판재 접합용 파스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분야에서 두 금속판재를 상호 겹치기 접합하기 위해서는 레이저 발진기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빔을 이용한 레이저 용접이나, 스폿 용접기를 이용한 전기저항 용접이 주로 적용된다.
도 1에서는 일반적인 레이저 용접 시스템에 의해 레이저 용접 공정도로써, 레이저빔(LB)을 이용하여 금속판재를 용접하기 위한 일반적인 레이저 용접 시스템은 로봇(100)의 아암(130) 선단에 레이저 헤드(150)가 설치되고, 이 레이저 헤드(150)는 레이저 발진기(170)와 연결된다.
상기 로봇(100)은 로봇 제어기(C)에 의해 거동 제어되어 상기 레이저 헤드(150)를 소재(190)의 용접패턴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레이저빔(LB)이 조사되도록 하여 용접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차체의 고강도 경량화의 추세에 따라 차체 소재로 금속판재 또는 비철금속판재뿐만 아니라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이하, CFRP라 칭함)으로 이루어지는 복합판재를 적용하는 사례가 빈번해 졌다.
탄소섬유를 이용한 CFRP는 강도, 탄성률, 경량성, 안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높은 성능이 요구되는 항공이나 자동차 분야에서는 주요한 재료 중 하나로 각광받고 있으며, 경제적인 조건만 해결되면 향후 사용이 더욱 확대되고, CFRP의 제조량이 비약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자동차 산업에서의 CFRP는 탄소섬유를 주로 에폭시나 플라스틱 등의 수지의 심으로 제조하여 많이 사용하는 추세이다.
즉, CFRP는 탄소섬유를 와인딩 모양이나 직물 모양으로 제조한 후, 수지류에 함침하여 경화시킨 것으로서, 고강도, 고탄성의 경량소재로 주목받고 있는 첨단 복합 재료이며, 비금속재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CFRP 또는 비철금속판재 등을 차체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이를 대체하기 어려운 부분에 적용되는 금속판재과의 접합이 가능해야 하는데, 두 소재의 물성적 특성에 의해 종래와 같이 레이저 용접이나 스폿 용접은 불가능한 단점이 있어, 주로 본딩이나 복잡한 체결부품을 이용한 기계적 접합(셀프 피어싱, 볼팅, 리벳팅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금속판재에 CFRP 복합판재 또는 비철금속판재 등의 이종판재를 종래의 접합방법에 따른 본딩이나 기계적 접합을 위해서는 설계치수를 벗어나지 않도록 설계단계에서부터 치수가 고려되어야 하며, 이에 따른 레이아웃 상의 자유도가 낮은 단점이 있어 새로운 접합방법의 연구개발이 시급한 문제이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금속판재와, 상기 금속판재와는 다른 소재의 이종판재를 상호 겹치기 접합하도록 상기 이종판재의 하부에 금속판재를 겹친 상태로, 상기 이종판재에 형성된 피어싱홀을 통하여 파스너를 삽입하여 상기 금속판재에 대하여 마찰교반용접으로 접합하고, 상기 이종판재에 대해서는 기계적 접합과 접착부재를 통한 접합으로 접합되어 상기 금속판재와 이종판재를 상호 겹치기 접합할 수 있도록 하는 판재 접합용 파스너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금속판재와, 상기 금속판재와 다른 소재의 이종판재를 상호 겹친 상태로, 상기 이종판재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하여 끼워 상기 금속판재에 마찰교반에 의해 접합하기 위한 판재 접합용 파스너에 있어서, 원형단면을 가지며, 상면에 스핀들이 삽입되는 툴 삽입홈이 형성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하면 중심에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접착제가 충진되고, 외주면에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이종판재의 관통홀 내주 측으로 상기 접착제를 유출시키는 토출홀이 형성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판재 접합용 파스너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는 하면에 가장자리를 따라 뾰족하게 하향 돌출된 압입단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는 상기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하면 상에 내측으로 유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내부에 하부로 개구된 충진홈이 형성되고, 외주면 둘레를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상기 충진홈에 연결된 복수개의 토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종판재는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 재질의 복합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금속판재와, 상기 금속판재와는 다른 소재의 이종판재를 상호 겹치기 접합하도록 상기 이종판재의 하부에 금속판재를 겹친 상태로, 상기 이종판재에 형성된 피어싱홀을 통하여 파스너를 삽입하여 상기 금속판재에 대하여 마찰교반용접으로 접합하고, 상기 이종판재에 대해서는 기계적 접합과 접착부재를 통한 접합으로 접합되어 상기 금속판재와 이종판재를 상호 겹치기 접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본딩이나 복잡한 체결부품 없이도 접합이 가능하기 때문에, 자동화 라인의 구현이 쉽고, 별도의 체결부품 등을 최소화하여 설계치수를 고려할 필요가 없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CFRP 복합판재, 비철금속판재 외에도 다양한 복합판재와 금속판재의 접합에 적용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이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레이저 용접 시스템에 의해 레이저 용접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판재 접합용 파스너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판재 접합용 파스너의 저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 선에 따른 파스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판재 접합용 파스너의 접합공정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실시 예들 중에서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판재 접합용 파스너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판재 접합용 파스너의 저부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A-A 선에 따른 파스너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판재 접합용 파스너(1)는 금속판재(3)와, 상기 금속판재(3)와 다른 소재의 이종판재(5)를 상호 겹치기 접합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금속판재(3)는 스틸 또는 마그네슘 합금으로 이루어진 판재일 수 있으며, 상기 이종판재(5)는 비철금속 또는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재질의 복합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철금속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금속판재(3)와 이종판재(5)를 상호 겹치기 이러한 판재 접합용 파스너(1)는 헤드부(10) 및 몸체부(20)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부(10)는 일정두께의 원형단면을 가지며, 상면에 중앙에는 스핀들(40)이 삽입되는 툴 삽입홈(1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헤드부(10)는 상기 원형단면의 하단 외주면을 따라 하면에 뾰족하게 하향 돌출된 압입단(1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압입단(13)은 상기 금속판재(3)와 이종판재(5)의 겹치기 접합 시, 상기 이종판재(5)를 파고들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헤드부(10)는 하면 상에 내측으로 유입홈(15)이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헤드부(10)의 하면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몸체부(20)의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파인 유입홈(15)이 형성된다.
이러한 유입홈(15)은 상기 금속판재(3)와 이종판재(5)의 겹치기 접합 시, 상기 이종판재(5)와 접착제(30)가 유입되어 상기 압입단(13)과 함께 접합력을 높여준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20)는 상기 헤드부(10)의 하면 중심에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20)의 내부에 하부로 개구된 충진홈(21)이 형성된다.
이러한 충진홈(21)에는 접착제(30)가 충진된다.
여기서 상기 접착제(30)는 열경화성 고상 접착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20)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토출홀(2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토출홀(23)은 상기 몸체부(2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상기 충진홈(21)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토출홀(23)은 마찰교반용접 시, 원심력에 의해 상기 이종판재(5)의 관통홀(H) 내주 측으로 상기 접착제(30)를 유출시키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판재 접합용 파스너(1)는 상호 겹쳐진 금속판재(3)와 이종판재(5)를 마찰교반용접(FW) 및 접착제를 이용한 접합으로 상호 겹치기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상기 판재 접합용 파스너(1)는 이종판재(5)에 형성된 관통홀(H)을 통하여 상기 몸체부(20)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스핀들(40)을 통한 가압 및 회전작동에 의해 상기 몸체부(20)가 상기 금속판재(3)에 마찰교반용접(FW)되고, 상기 헤드부(10)가 상기 이종판재(5)의 상면을 상기 금속판재(3) 측으로 압착하여 기계적 접합으로 접합한다.
이때, 상기 몸체부(20) 내부에 충진된 접착제(30)가 원심력에 의해 상기 이종판재(5)의 관통홀(H) 내주측으로 유출되어 상기 유입홈(15) 측으로 유입되면서 접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판재 접합용 파스너의 접합공정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판재 접합용 파스너(1)는 스틸판재, 마그네슘 합금판재 등의 금속판재(3)와, 알루미늄판재, CFRP 복합판재 등의 관통홀(H)을 갖는 이종판재(5)를 상호 겹친 상태로, 상기 관통홀(H)을 통하여 마찰교반용접(FW) 및 접착제(30)를 이용한 접합을 통하여 접합한다.
즉, 도 5의 (S1)에서와 같이, 상기 이종판재(5)의 하부에 금속판재(3)를 겹친 상태로, 상기 이종판재(5)에 형성된 관통홀(H)을 통하여 파스너(1)를 삽입하고, 상기 헤드부(10) 상의 툴 삽입홈(11)에 스핀들(40)을 장착하여 상기 몸체부(20)를 금속판재(3)에 대하여 가압하면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금속판재(3)에 대해서는 상기 몸체부(20)의 하단부가 마찰열을 발생시키면서 마찰교반용접(FW)이 진행되고, 상기 이종판재(5)에 대해서는 상기 헤드부(10)가 회전하면서 압입단(13)이 상기 이종판재(5)의 상면을 파고듦과 동시에, 상기 몸체부(20)의 내부에 충진된 접착제(30)가 용융되면서 상기 토출홀(23)을 통해 상기 이종판재(4)의 관통홀(H) 내주 측으로 유출된다.
이때, 상기 헤드부(10)의 유입홈(15)에는 이종판재(5)와 상기 접착제(30)가 동시에 유입되면서 접합된다.
이에 따라, 도 5의 (S2)를 참조하면, 상기 파스너(1)는 몸체부(20)가 상기 금속판재(3)의 상면에 대하여 마찰교반용접(FW)이 이루어져 접합되고, 상기 헤드부(10)가 상기 이종판재(5)에 대하여 압입됨과 동시에, 접착제(30)에 의해 접합이 이루어져, 상기 금속판재(3)와 이종판재(5), 즉, 비철금속판재 또는 CFRP 복합판재 등을 쉽게 겹치기 접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판재 접합용 파스너는 CFRP 복합판재, 비철금속판재 외에도 다양한 복합판재와 금속판재의 접합에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판재 접합용 파스너(1)는 별도의 복잡한 체결부품 없이도 접합이 가능하기 때문에, 자동화 라인의 구현이 쉽고, 별도의 체결부품 등을 최소화하여 설계치수를 고려할 필요가 없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파스너
3: 금속판재
5: 이종판재
10: 헤드부
11: 툴 삽입홈
13: 압입단
15: 유입홈
20: 몸체부
21: 충진홈
23: 토출홀
30: 접착제
40: 스핀들
H: 관통홀
FW: 마찰교반용접

Claims (9)

  1. 금속판재와, 상기 금속판재와 다른 소재의 이종판재를 상호 겹친 상태로, 상기 이종판재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하여 끼워 상기 금속판재에 마찰교반에 의해 접합하기 위한 판재 접합용 파스너에 있어서,
    원형단면을 가지며, 상면에 스핀들이 삽입되는 툴 삽입홈이 형성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하면 중심에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접착제가 충진되고, 외주면에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이종판재의 관통홀 내주 측으로 상기 접착제를 유출시키는 토출홀이 형성되는 몸체부;
    를 포함하는 판재 접합용 파스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하면에 가장자리를 따라 뾰족하게 하향 돌출된 압입단이 형성되는 판재 접합용 파스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하면 상에 내측으로 유입홈이 형성되는 판재 접합용 파스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내부에 하부로 개구된 충진홈이 형성되고, 외주면 둘레를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상기 충진홈에 연결된 복수개의 토출홀이 형성되는 판재 접합용 파스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종판재는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 재질의 복합판재로 이루어지는 판재 접합용 파스너.
  6. 금속판재와, 상기 금속판재와 다른 소재의 이종판재를 상호 겹친 상태로, 상기 이종판재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하여 끼워 상기 금속판재에 마찰교반에 의해 접합하기 위한 판재 접합용 파스너에 있어서,
    원형단면을 가지며, 상면에 스핀들이 삽입되는 툴 삽입홈이 형성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하면 중심에 일체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하부로 개구된 충진홈이 형성되고, 외주면 둘레를 따라서는 일정 간격으로 상기 충진홈에 연결된 복수개의 토출홀가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충진홈에 충진되는 접착제;
    를 포함하는 판재 접합용 파스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하면에 가장자리를 따라 뾰족하게 하향 돌출된 압입단이 형성되는 판재 접합용 파스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하면 상에 내측으로 유입홈이 형성되는 판재 접합용 파스너.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종판재는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 재질의 복합판재로 이루어지는 판재 접합용 파스너.
KR1020170032062A 2017-03-14 2017-03-14 판재 접합용 파스너 KR101916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062A KR101916091B1 (ko) 2017-03-14 2017-03-14 판재 접합용 파스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062A KR101916091B1 (ko) 2017-03-14 2017-03-14 판재 접합용 파스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5021A KR20180105021A (ko) 2018-09-27
KR101916091B1 true KR101916091B1 (ko) 2018-11-07

Family

ID=63719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2062A KR101916091B1 (ko) 2017-03-14 2017-03-14 판재 접합용 파스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609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75128A (ja) 2016-04-08 2016-10-0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異材接合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75128A (ja) 2016-04-08 2016-10-0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異材接合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5021A (ko) 2018-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76291B (zh) 多个部件的接合方法及多部件组件
JP6411993B2 (ja) 異材接合構造体
JP5333584B2 (ja) 部材の接続方法
EP2329905B1 (en) Method for joining metal and plastic workpieces
KR20160131055A (ko)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부품이 포함된 부품들의 결합 방법
JP7015998B2 (ja) レーザ溶接方法
JP6811380B2 (ja) 接合構造
CN107521112A (zh) 不同材料片材的超声焊接
JP7012205B2 (ja) 接合構造
EP2075109A2 (en) System for integrating rivet nuts into plastic components
US9770863B2 (en) Systems and methods to reduce air pocket formation during welding
US10252472B2 (en) Method for joining fiber-reinforced plastic material
JP2013059770A (ja) 部材の接続方法
KR20160082288A (ko) 판재 접합용 파스너
KR20160125148A (ko) 리벳 스크류 드릴
JP5817234B2 (ja) 樹脂部材の接続方法
KR101916091B1 (ko) 판재 접합용 파스너
CN112743218B (zh) 超声波焊接和具有压头的焊头
WO2017169998A1 (ja) 接合構造
CN106335183B (zh) 用于塑料和复合接头强度改进的接头设计
KR20180078041A (ko) 이종소재 접합방법
KR102120653B1 (ko) 이종판재 접합용 하드웨어, 및 이를 이용한 이종판재 접합방법
KR20160125149A (ko) 리벳 스크류 드릴
Makwana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Ultrasonic Welding on Thermoplastic Material—A Review
KR20170014258A (ko) 복합판재의 접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