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5774B1 - 금융기기용 현금 카세트 - Google Patents

금융기기용 현금 카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5774B1
KR101915774B1 KR1020170050512A KR20170050512A KR101915774B1 KR 101915774 B1 KR101915774 B1 KR 101915774B1 KR 1020170050512 A KR1020170050512 A KR 1020170050512A KR 20170050512 A KR20170050512 A KR 20170050512A KR 101915774 B1 KR101915774 B1 KR 101915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sides
engaging portion
alignment guid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0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7420A (ko
Inventor
김동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에프에스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에프에스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에프에스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70050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774B1/ko
Publication of KR20180117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7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7D11/0006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10Cassettes, holders, bins, decks, trays, supports or magazines for sheets stack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65H2405/11Parts and details thereof
    • B65H2405/115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Abstract

ATM 등의 뱅킹 시스템에 사용되는 매체 카세트에 대해 기술한다. 매체 카세트:는 매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가지는 본체; 상기 공간을 덮는 덮개; 상기 덮개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매체를 정렬하는 정렬 가이드; 상기 정렬 가이드와 덮개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덮개 내면에 대한 정렬 가이드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상보적 결합구조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를 구비하고, 상기 상보적 결합 구조는 스페이서의 상하에 마련되는 상보적 결합을 위한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포함하고, 인접한 두 스페이서에서, 일측 스페이서의 제1결합부와 타측 스페이서의 제2결합부가 상호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Description

금융기기용 현금 카세트{cash cassette of banking system}
본 발명은 ATM 등의 금융기기에 사용되는 현금 카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지폐의 크기에 따른 가이드 바의 높이 조절이 용이한 현금 카세트에 관한 것이다.
금융 자동화기기(ATM, Automatic Teller Machine)는 시간 및 장소에 구애됨이없이 사용자가 자유롭고 편리하게 금융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ATM은 카드나 통장을 이용하여 현금, 수표와 같은 종이 매체의 입출금 등의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ATM은 현금 또는 지폐 인출을 위한 매체 저장용 카세트를 보유하여야 하는데, 이 카세트는 크기가 다른 매체에 대응하는 내부 구조를 가져야 한다. 이러한 카세트는, 내부 공간에 지폐와 같은 종이 매체가 저장되는 공간을 가지는 본체와 이를 덮는 덮개, 상기 본체 내에서 매체 출입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종이매체를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덮개에 마련되어 상기 매체를 적절한 높이에서 매체를 정렬하는 정렬 가이드(Align Guide or Damper Guide); 본체에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셔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정렬 가이드는 사용될 매체의 크기에 따라 사전에 조정되게 되는데, 매체의 크기에 따라 정해진 두께의 스페이서를 선택하여 덮개의 내면에 일정한 높이로 나사 등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종래 구조에서는 사용되던 매체가 바뀌어서 정렬 가이드의 높이를 조절해야 할 경우, 나사 등의 체결 부품을 해체하고 다른 높이의 스페이서를 갈아 끼우든지 해야 하며, 이때에 높이가 달라진 스페이서에 대해 달라진 길이의 체결부품이 채용되어야 한다.
이러한 종래 정렬 가이드는 결과적으로 현장에서 지폐의 크기에 따라 스페이서를 교체해야 할 경우 번거로운 정렬 가이드 해체 및 스페이서 교체 그리고 정렬 가이드의 재고정 등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KR 10-1557729 B1
본 발명은 매체의 변경에 따른 정렬 가이드의 조정이 용이한 매체 카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카세트:는
매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가지는 본체;
상기 공간을 덮는 덮개;
상기 덮개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매체를 정렬하는 정렬 가이드;
상기 정렬 가이드와 덮개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덮개 내면에 대한 정렬 가이드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상보적 결합구조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를 구비하고
상기 상보적 결합 구조는 스페이서의 상면과 하면 각각에 상보적 결합을 위한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포함하고, 인접한 두 스페이서에서, 일측 스페이서의 제1결합부와 타측 스페이서의 제2결합부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는 고정홈과 고정홈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탄력적 고정편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페이서들은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에 의해상호 동일방향 또는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덮개에 최근접하는 첫번째 스페이서는 체결 부품에의해 덮개에 직접 고정되고, 그 다음의 스페이서는 상기 첫번째 스페이서에 대해 상기 상보적 결합 구조에 의해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스페이서:는
4개의 변을 가지는 사각형 몸체;
상기 몸체의 4개의 변에서 상호 마주 보는 두 개의 변에 마련되는 제1결합부;
상기 몸체의 4개의 변에서 상기 제1결합부가 마련되는 두 개의 변 또는 나머지 두 개의 변에 마련되는 제2결합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이 매체의 크기가 변경된 경우 상보적 결합 구조에 의해 스페이서를 교체 또는 증설 또는 감설이 가능하다. 따라서, 매체 교환시 신속하고 체결 부품의 해체 없이 스페이서의 단순 증감 등에 의해 용이하게 정렬 스페이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카세트의 외관 사시 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카세트의 덮개를 개방한 상태에서 종이 매체가 저장되는 내부 공간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카세트에서 정렬 가이드와 스페이서 간의 관계를 보이는 부분 발췌 사시도이다.
도4는 도3에 도시된 정렬 가이드와 스페이서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5 및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카세트에 적용되는 두 개의 스페이서의 결합 전과 후를 보이는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라 두 개의 스페이서에 의해 덮개의 내면에 일정 높이로 고정된 정렬 가이드의 결합상태를 상징적으로 도시한다.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9는 도8에 도시된 스페이서가 복수 개 결합된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카세트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카세트(10)의 외관 사시 도이며, 도2는 덮개(12)를 개방한 상태에서 종이 매체가 저장되는 본체(11)의 내부 공간을 보이는 전개도이다.
도1과, 도2를 참조하면, 매체 카세트(10)는 일 측면에 손잡이(13)가 붙어 있는 본체(11)와 본체(11)에 경첩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덮개(12)를 포함한다. 도면에서 참조번호 14는 본체(11) 내부 공간을 덮고 있는 덮개(12)를 잠그는 잠금장치이다.
상기 본체(11) 내부 공간에는 화폐나 수표 등의 종이 매체가 저장되며, 덮개(12)의 내면에는 매체를 정렬하는 정렬 가이드(15)가 매체가 적층되는 방향(16)으로 연장되어 있다.
길게 연장된 정렬 가이드(15)는 덮개(12)의 내면에 나란하게 두 개가 설치되는데, 나사와 같은 체결 부품(17)에 의해 덮개(12)에 마련된 암나사부 또는 나사자리(12a)에 고정된다.
상기 체결 부품(12)이 결합되는 암나사부(12a) 에는 정렬 가이드(15)의 높이를 조절하는 스페이서(18)가 마련되는데, 이는 덮개(12)와 정렬 가이드(15)의 사이에 개재된다.
이러한 스페이서(18)는 일정한 높이를 가지며, 정렬 가이드(15)의 목표 높이에 따라 하나 또는 두 개 또는 그 이상이 적층 결합될 수 있다.
도3은 하나의 정렬 가이드(15)과 스페이서(18)과의 관계를 보이는 부분 발췌사시도이며, 도4는 상기 정렬 가이드(15)에 스페이서(18)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 가이드(15)에는 체결부품 등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151)이 마련되고이 관통공(151)에 동축을 이루는 관통공(181)을 가지는 스페이서(18)가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18)는 상호 보완적인 결합, 즉 상보적 결합을 위한 제1결합부로서의 고정편 또는 고정홈을 포함하며, 그리고 제1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로서의 고정홈 또는 고정편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보적 결합을 위한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는 고정편 및 고정홈과 같은 특정한 구조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상호 결합이 가능한 어떠한 구조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스페이서(18)는 4개의 변을 가지는 사각형 몸체, 상기 몸체의 4개의 변에서 상호 마주 보는 두 개의 변에 마련되는 제1결합부, 상기 몸체의 4개의 변에서 상기 제1결합부가 마련되는 두 개의 변 또는 나머지 두 개의 변에 마련되는 제2결합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체적인 스페이서의 실시 예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스페이서(18)의 양측에는 걸림턱(182a)이 그 선단부에 형성되는 수직의 고정편(182)이 마련되어 있고, 이 스페이서(18)가 고정되는 정렬 가이드(15)에 상기 고정편(182)이 끼워져 걸리는 고정홈(152)가 상기 관통공(151)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스페이서(18)가 하나만 사용되는 경우, 상기 스페이서(18)는 나사 등의 체결 부품에 의해 덮개(12)의 내면에 고정되고, 상기 정렬 가이드(15)는 상기 고정홈(152)에 걸리는 상기 스페이서(18)의 고정편(182)에 의해 상기 스페이서(18)와 결합되고 따라서 정렬 가이드(15)는 상기 스페이서(18)에 의해 간접 고정된다.
위와 같은 구조에 더하여 스페이서(18)가 하나 더 추가될 경우,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스페이서(18)가 하나로 결합되어 2배의 높이를 가지는 스페이서 구조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 상태로 정렬 가이드와 덮개의 사이에 위치한다.
도5와 도6을 참조하면,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두 스페이서(18) 각각은 4개의 변을 가지는 사각형의 몸체(18a)에서 장변인 제1변과 이에 마주하는 제3변에 관통공의 통과하는 축에 나란한 수직으로 연장되는 고정편(182)이 마련되고, 제1변과 제3변의 사이의 단변인 제2변과 제4변에 상기 고정편(182)이 관통하는 크기를 가지는 고정홈(183)(183)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고정홈(183)은 상기 몸체(18a)에 대해 그 양단이 연결되는 "ㄷ"자형 브리지(18b)에 의해 마련된다. 이러한 고정홈(183)의 가장자리 일측에 상기 고정편(182)의 선단에 마련된 고정턱(182a)가 걸린다. 따라서, 상기 두 스페이서(18)의 두 장변이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려서 서로 조립하게 되면, 도6의 "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측 스페이서(18)의 고정편(182)이 상부측 스페이서(18)의 고정홈(183)에 끼워지고, 이때에 고정홈(183)의 가장자리에 이에 끼우진 고정편(182)의 고정턱(182)이 걸린다. 따라서 두 스페이서((18)는 상기 고정홈(183)과 이에 걸리는 고정편(182)에 의해 강하게 결합되며, 일정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상호 분리되지 않는다.
이렇게 두 개의 스페이서에 의해 전체 높이가 높아진 스페이서 조립체는 도7에 상징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 가이드(15)와 덮개(12)의 사이에 위치하여, 덮개(12)에 대한 정렬 가이드(15)의 높이를 결정한다. 여기에서, 덮개(12)에 인전한 스페이서(18)는 나사 등의 체결 부품에 의해 덮개(12)에 완전 고정되고, 그리고, 그 위의 스페이서(18)는 전술한 바와 같은 고정편 및 고정홈의 결합에 의해 상호 탄력적으로 견고하게 결합되고, 최상위의 스페이서(18)는 그 고정편(182)이 정렬 가이드(15)에 형성되는 고정홈((152)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들 스페이서와 스페이서 및 스페이서와 정렬 가이드 간의 결합력은 고고정홈과 이에 끼워지는 고정편에 의해 유지되며, 일정 수준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한 분리되지 않는다. 특히 정렬 가이드는 종이 매체 등에 의해 가압되는 상태이기 때문에 의도적인 외력에 의해 분리하지 않은 한 정렬 가이드와 스페이서의 결합은 견고하게 유지된다.
한편, 상기 스페이서는 다른 유형으로의 변형이 가능하다. 위의 실시예에서는 상하 스페이서가 서로 교차하는 방향 또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서로 결합되는데, 서로 교차하지 않고 동일 방향으로 배치되어도 상호 결합이 가능한 구조의 구현이 가능하다.
전술한 구조에서는 사각형의 스페이서에서 고정편과 고정홈이 서로 다른 변에 교호적으로 마련되어 있었는데, 같은 변에 고정편과 고정홈이 마련될 수 있다.
도8을 참조하면, 관통공(181)을 가지는 사각형의 몸체에서 서로 마주 보는 두 개의 변, 도면에서 좌우에 사각형 몸체(18a)의 상면 방향(도면에서 전방 방향)의 고정편(182)과 저면 방향(도면에서 후방)의 "ㄷ"자형 브리지(18b)에 의한 고정홈(183)이 같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사각형 몸체의 상하에 마련되는 브리지형태의 구조물은 결합구조와 무관한다.
이러한 스페이서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같은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앞뒤로 서로 결합 가능하다. 도9에서는 3개의 스페이서(18,18,18)가 하나로 결합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와 같이 결합된 복수의 스페이서들은 매우 견고하게 결합상태를 유지하며, 그러나, 캔틸레버형 고정편(182)을 고정홈(183)내에서 약간 뒤로 젖히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금 카세트는 높이 조절이 매우 용이한 구조, 특히 스페이서 간에 별도의 체결 부품이 없이 상호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상보적 결합 구조를 가짐으로써 사용되는 종이 매체가 바뀌어도 손쉽게 스페이서를 증감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본 발명에서 상보적 결합의 의미를 마주 보는 두 부품이 하나로 결합되어 일정 수준의 강도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암수 결합 구조를 의미하며, 위에서 설명된 고정편과 이에 대응하는 고정홈이 상보적 결합 구조를 구성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스페이서에 별도의 체결 부품이 없는 상보적 결합을 위해 짝을 이루는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마련하여, 복수의 스페이서를 일렬로 연속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서 제1결합부로서는 고정편 또는 고정홈이 해당하며, 제2결합부로서는 고정홈 또는 고정편이 해당한다.
본 발명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덮개에 최근접하는 스페이서는 덮개에 대해 볼트(나사)등의 체결부품에 고정되지 않고, 스페이서가 고정되는 부분에 스페이서의 고정홈에 결합되는 고정편에 의한 제1결합부를 마련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모든 스페이서가 체결 부품이 없이 덮개의 내면 고정될 수 있으며, 최상위의 정렬 가이드 마져도 상보적 결합을 위한 제2결합부를 기존의 스페이서를 고정하는 암나사부 또는 나사 자리(12a, 도2참조)에 대체 요소로 형성함으로써 체결 부품이 없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페이서에 의한 스페이서 구조체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원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모범적인 실시 예가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 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고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시되고 설명된 내용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다양한 다른 변형이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10: 현금 카세트
11: 본체 12: 덮개 13: 손잡이 14: 잠금장치
15: 정렬 가이드
18: 스페이서
182: 고정편(제1결합부 또는 제2결합부)
183: 걸림홈(제2결합부 또는 제1결합부)

Claims (6)

  1. 매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가지는 본체;
    상기 공간을 덮는 덮개;
    상기 덮개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매체를 정렬하는 정렬 가이드;
    상기 정렬 가이드와 덮개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덮개 내면에 대한 정렬 가이드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상보적 결합구조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를 구비하고,
    상기 상보적 결합 구조는 스페이서의 상하에 마련되는 상보적 결합을 위한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포함하고, 인접한 두 스페이서에서, 일측 스페이서의 제1결합부와 타측 스페이서의 제2결합부가 상호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는, 매체 카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는 스페이서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편 및 고정편이 탄력적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카세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에 최근접하는 스페이서는 체결 부품에 의해 덮개에 마련되는 나사자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카세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가 고정되는 덮개의 내면에 상기 스페이서의 제1결합부 또는 제2결합부가 결합되는 제2결합부 또는 제1결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카세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4개의 변을 가지는 사각형 몸체;
    상기 몸체의 4개의 변에서 상호 마주 보는 두 개의 변에 마련되는 제1결합부;
    상기 몸체의 4개의 변에서 상기 제1결합부가 마련되는 두 개의 변 또는 나머지 두 개의 변에 마련되는 제2결합부;를 구비하는, 매체 카세트.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4개의 변을 가지는 사각형 몸체;
    상기 몸체의 4개의 변에서 상호 마주 보는 두 개의 변에 마련되는 제1결합부;
    상기 몸체의 4개의 변에서 상기 제1결합부가 마련되는 두 개의 변 또는 나머지 두 개의 변에 마련되는 제2결합부;를 구비하는, 매체 카세트.
KR1020170050512A 2017-04-19 2017-04-19 금융기기용 현금 카세트 KR101915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512A KR101915774B1 (ko) 2017-04-19 2017-04-19 금융기기용 현금 카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512A KR101915774B1 (ko) 2017-04-19 2017-04-19 금융기기용 현금 카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420A KR20180117420A (ko) 2018-10-29
KR101915774B1 true KR101915774B1 (ko) 2018-11-06

Family

ID=64101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512A KR101915774B1 (ko) 2017-04-19 2017-04-19 금융기기용 현금 카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577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6324A (ja) 1999-11-18 2001-05-29 Xerox Corp 複写装置用紙の大容量自動投入システム
JP2009526298A (ja) 2006-02-10 2009-07-16 シーティーエス・キャッシュプロ・ソチエタ・ペル・アツィオーニ 銀行券及び/又は紙幣などを整然と収納するための設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6324A (ja) 1999-11-18 2001-05-29 Xerox Corp 複写装置用紙の大容量自動投入システム
JP2009526298A (ja) 2006-02-10 2009-07-16 シーティーエス・キャッシュプロ・ソチエタ・ペル・アツィオーニ 銀行券及び/又は紙幣などを整然と収納するための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420A (ko) 2018-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4037B2 (en) Sheet handling machine
EP3540702B1 (en) Automated banking machine cassette and cassette module
US9858743B2 (en) Medium housing device and medium processing device
KR100754050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가이드장치
US8636131B2 (en) Medium process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WO2015096544A1 (zh) 纸币收纳装置
KR101915774B1 (ko) 금융기기용 현금 카세트
US8651372B2 (en) Self-service terminal
KR101170559B1 (ko) 지폐회수박스 잠금장치
US10994955B2 (en) Tray unit assembly
US8789751B2 (en) Medium process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CN107818629B (zh) 一种介质存储装置及介质鉴别终端
JP6024434B2 (ja) 媒体処理装置
JP7456293B2 (ja) 装置固定具および自動取引装置
KR100980151B1 (ko) 금융자동화기기
KR102308277B1 (ko) 지폐 처리 장치
JP7040150B2 (ja) 媒体処理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自動取引装置
KR101084163B1 (ko) 지폐 카트리지
CN109035547B (zh) 币箱及纸币处理装置
KR200393046Y1 (ko) 지폐카세트 잠금장치
WO2018110092A1 (ja) 媒体処理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KR102621309B1 (ko) 매체 저장 카세트
KR101936907B1 (ko) 탄성력 있는 필름 소재의 진입구 R-gate를 갖는 지폐 계수기 장치
JP2017126171A (ja) 媒体処理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KR102174772B1 (ko) 지폐 강제인출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