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5696B1 - 지형변화를 감지하여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의 지표면 측지측량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형변화를 감지하여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의 지표면 측지측량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5696B1
KR101915696B1 KR1020180115024A KR20180115024A KR101915696B1 KR 101915696 B1 KR101915696 B1 KR 101915696B1 KR 1020180115024 A KR1020180115024 A KR 1020180115024A KR 20180115024 A KR20180115024 A KR 20180115024A KR 101915696 B1 KR101915696 B1 KR 101915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point
housing
liquid
national
ma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5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한숙
Original Assignee
뉴비전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비전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뉴비전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80115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6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1/00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e.g. stereogrammetry; Photographic survey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형변화를 감지하여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의 지표면 측지측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국가기준점의 지반침하 상태 및 그 침하 정도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하며 지반침하 이전의 국가기준점 높이정보를 근사값의 수치로써 계산하여 시간이 부족한 사업수행 업체가 근사값으로 계산된 국가기준점 높이정보를 이용하므로 인해 측지 측량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기준점 표주에 대한 점검을 통해 분리,교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지형변화를 감지하여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의 지표면 측지측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형변화를 감지하여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의 지표면 측지측량시스템{Geodetic surveying system for GPS in surface of earth by datum point}
본 발명은 지형변화를 감지하여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의 지표면 측지측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국가기준점의 지반침하 상태 및 그 침하 정도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하며 지반침하 이전의 국가기준점 높이정보를 근사값의 수치로써 계산하여 시간이 부족한 사업수행 업체가 근사값으로 계산된 국가기준점 높이정보를 이용하므로 인해 측지 측량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기준점 표주에 대한 점검을 통해 분리,교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지형변화를 감지하여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의 지표면 측지측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위치정보의 제공표지는 국가에서 관리하는 삼각점, 국가수준점 및 국가기준점과 지방자치단체에서 관리하는 지자체 도시 기준점 그리고 GPS 상시 관측소나 지적공사에서 관리하는 지적삼각점, 지적도근점 등 절대 또는 상대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표지를 의미한다.
그리고 국가기준점은 통상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유지 및 관리하므로 특정 지역의 사업수행 업체는 국가기준점의 이용을 위해 국토지리정보원으로부터 사업수행 해당 지역의 국가기준점 위치를 기록한 국가기준점 성과표를 발급받는다.
그러나 국토지리정보원이 국가기준점에 대해 주기적으로 관리를 하고 있지만 국가기준점이 설치된 장소의 지반침하는 예고 없이 수시로 발생할 수 있으므로 특정 지역의 사업수행 업체가 해당 지역의 국가기준점 성과표를 바탕으로 국가기준점을 이용하는 경우에 해당 국가기준점이 최초 시공시의 정확한 위치를 유지하지 못하는 상황은 수시로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이로 인해 사업수행 업체는 국가기준점의 정확한 위치를 찾거나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국가기준점의 신뢰성 문제에 기인한 작업 지연 및 추가 비용 발생 등의 어려움이 있다.
다시 말해 사업수행 업체는 사업수행 과정 중 이상이 있는 국가기준점을 이용하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해당 국가기준점의 설치 장소에 도착한 후에야 그 사실을 확인할 수 있고, 국토지리정보원도 이상이 발생된 국가기준점에 대해 해당 사실을 인지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사업수행 업체의 이상 신고나 유지보수 요청이 있은 후에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측지측량 사업수행 업체의 입장에서 사업수행의 지연 원인이 되고 국토지리정보원의 입장에서는 국가기준점의 관리를 소홀히 하였다는 비난의 원인이 된다.
또한, 일부 측지측량 사업수행 업체는 침하 등의 이상이 발생한 사실을 모르거나 또는 사업수행 요구기한을 맞춰야하는 시간적인 문제 등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가 있어 정확도가 저하된 국가기준점을 기준으로 측지측량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불량한 측량값을 얻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801692호(2017.11.28.)에는 '지형변화를 감지하여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의 지표면 측지측량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지표면의 측지측량 관측시스템은 기준점 표주에 대한 점검이 쉽지 않은 것은 물론, 점검을 통해 교체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도 작업자가 직접 기준점 표주를 들어올려야 하기 때문에 분리,교체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801692호(2017.11.28.) '지형변화를 감지하여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의 지표면 측지측량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국가기준점의 지반침하 상태 및 그 침하 정도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하며 지반침하 이전의 국가기준점 높이정보를 근사값의 수치로써 계산하여 시간이 부족한 사업수행 업체가 근사값으로 계산된 국가기준점 높이정보를 이용하므로 인해 측지 측량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기준점 표주에 대한 점검을 통해 분리,교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지형변화를 감지하여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의 지표면 측지측량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국가기준점(100)을 설치할 장소의 지면에 설치되되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이 상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형성되는 기초구조물(110); 상기 기초구조물(110)의 수용공간에 고정 설치되고 내측에 부력 발생을 위한 액체(121)가 수용되며 내측에 수용되어 상기 액체(121)의 부력으로 기준점 표주(130)를 띄워 지지하는 동시에 수밀 유지 기능을 하는 패킹부재(122)가 상단에 구비되는 표주하우징(120); 상기 표주하우징(120)의 내측에 수용되어 상측 일부는 액체(121)의 부력에 의해 상기 표주하우징(120)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표주하우징(120)의 내측에서 상기 액체(121)의 부력에 의해 소정 높이를 유지하는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패킹부재(122)의 상단과 같은 높이로써 외면 일측부에 표시되는 기준눈금(131)과 상기 기준눈금(131)으로부터 하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침하 길이 측정눈금(132)을 구비하는 기준점 표주(130); 상기 표주하우징(120)의 상부 쪽 측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초구조물(110)에 고정 설치되어 내측에 액체(142)를 수용하며 상기 표주하우징(120)의 내부와 통하는 배출구(141)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141)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밸브(150)가 장착되는 액체탱크(140); 상기 기초구조물(110)이나 표주하우징(120)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기초구조물(110) 또는 표주하우징(120)의 절대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되는 절대위치 값에 변화가 있을 때 해당 신호를 제어부(170)에 입력하는 절대위치센서(160); 상기 절대위치센서(16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50)의 개폐를 제어하되 상기 절대위치센서(16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값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50)의 개폐 시간을 조정하여 상기 배출구(141)를 통해 상기 표주하우징(120) 내로 유입되는 액체(142)의 양을 조정하며, 상기 절대위치센서(16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값을 사전 설정된 임계 신호값과 비교하여 국가기준점(100)이 설치된 주변의 지반 침하 여부를 판별하는 제어부(170); 상기 제어부(17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제어부(170)가 상기 국가기준점(100)이 설치된 지반의 침하 판단에 따라 출력하는 해당 신호를 원거리에 위치한 국가기준점 관리서버(300)에 무선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180); 상기 무선통신모듈(180)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국가기준점(100)이 설치된 지반의 침하 사실을 해당 국가기준점(100)의 관리자가 휴대한 작업자 단말기(200)에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국가기준점 관리서버(300); 및 상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여 상기 국가기준점 관리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며 기 탑재된 GPS 수신기 및 전자지도를 이용하여 상기 국가기준점(100)의 좌표를 구하고 상기 국가기준점(100)의 좌표 관련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작업자 단말기(200)로 구성되는 지형변화를 감지하여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의 지표면 측지측량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준점 표주(130)에 대한 점검을 통해 분리,교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점검부(4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점검부(400)는, 상기 표주하우징(120)의 내부 바닥면에 안착되는 지지판(410); 일단부는 상기 지지판(41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기준점 표주(130)를 통과하는 와이어(420); 상기 와이어(420)의 타단부가 연결되며, 구동에 따라 상기 와이어(420)를 권취 또는 풀림하는 권취수단(430); 및 상기 기초구조물(110)로부터 상기 권취수단(43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440)을 포함하고, 상기 권취수단(430)은, 상기 지지수단(44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420)의 타단부가 권취되는 풀리(431); 및 상기 풀리(431)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432)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432)는, 정방향 구동에 따라 상기 와이어(420)가 상기 풀리(431)로 권취되도록 하거나, 역방향 구동에 따라 상기 풀리(431)로부터 상기 와이어(420)가 풀림되도록 하며, 상기 지지판(410)은, 상기 모터(432)의 정방향 구동에 따라 상방향으로 승강되면서 상기 기준점 표주(130)의 바닥면에 접하는 한편, 상기 기준점 표주(130)가 함께 승강되도록 하여 상기 표주하우징(120)으로부터 인출되도록 하고, 상기 모터(432)의 역방향 구동에 따라 하강되면서 상기 기준점 표주(130)가 상기 표주하우징(120)로 인입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표주하우징(120)과 이격되어 상기 기초구조물(110)의 바닥면에 안착되면서 상기 기준점 표주(130)가 상기 액체(121)에 부상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형변화를 감지하여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의 지표면 측지측량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국가기준점의 지반침하 상태 및 침하 정도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지반침하 전의 국가기준점 높이를 근사값의 수치로써 계산할 수 있어 시간이 부족한 사업수행 업체는 이렇게 계산된 수치로 측지 측량 작업을 수행하여도 비교적 정확한 측량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사업수행 업체 또는 국가기준점의 관리자가 국가기준점의 지반 침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해당 사실을 신속히 원거리의 관리서버에 전송 후 해당 작업자가 스스로 조치를 취하거나 필요한 조치를 관리서버에 요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기준점 표주에 대한 점검을 통해 분리,교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형변화를 감지하여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의 지표면 측지측량시스템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지반 침하로 인해 변화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은 발명에 따른 지형변화를 감지하여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의 지표면 측지측량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발명에 따른 지형변화를 감지하여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의 지표면 측지측량시스템에서 지반침하 및 그에 따른 기준점 표주의 높이 조정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발명에 따른 지형변화를 감지하여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의 지표면 측지측량시스템에서 점검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점검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5에서 지지판과 와이어 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지형변화를 감지하여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의 지표면 측지측량시스템(이하 "측지측량시스템"이라 한다)은 기초구조물(110), 표주하우징(120), 기준점 표주(130), 액체탱크(140), 절대위치센서(160)의 구성을 포함한다.
기초구조물(110)은 국가기준점(100)을 설치할 장소의 지면에 설치되며, 이러한 기초구조물(110)은 상부를 개방한 수용공간이 상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형성된다.
표주하우징은(120) 기초구조물(110)의 수용공간에 고정 설치되며, 이러한 표주하우징(120)의 내측에는 부력 발행을 위한 액체(121)가 수용된다. 여기서 액체(121)는 표주하우징(120)의 내측 상단까지 채워지는 것은 아니며, 액체탱크(140)로부터 추가로 액체를 공급받을 수 있는 여분의 공간을 남기는 상태로 수용된다.
표주하우징(120)의 상단에는 패킹부재(122)가 구비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패킹부재(122)는 표주하우징(120)의 내측에 수용되어 액체(121)의 부력에 의해 띄워지는 기준점 표주(130)를 지지하는 동시에 수밀을 유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기준점 표주(130)는 표주하우징(120)의 내측에 수용되어 상측 일부는 액체의 부력에 의해 표주하우징(120)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기준점 표주(130)가 표주하우징(120)의 내측에서 액체(121)의 부력에 의해 소정 높이를 유지하는 상태를 기준으로, 기준점 표주(130)에는 패킹부재(122)의 상단과 같거나 유사한 높이로써 외면의 일부분에 기준눈금(131)이 표시되고, 또한 기준점 표주(130)에는 기준눈금(131)으로부터 하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순차적으로 침하길이 측정눈금(132)이 표시된다.
이와 같은 기준눈금(131)과 침하길이 측정눈금(132)은 국가기준점(100)의 침하 현상 시 그 침하 정도를 계산하여 비교적 정확한 침하 길이를 계산할 수 있도록 하는 용도이다.
액체탱크(140)는 표주하우징(120)의 상부 쪽 측면에 위치하도록 기초구조물(110)에 고정 설치된다.
액체탱크(140)는 내측에 액체(142)를 수용하는 것으로서, 액체탱크(140)에 수용되는 액체(142)는 표주하우징(120)의 내측에 공급되기 위한 용도이며, 이에 따라 액체탱크(140)는 표주하우징(120)의 내부와 통하는 배출구(141)를 구비한다.
액체탱크(140)는 배출구(141)의 개폐를 위한 솔레노이드밸브(150)를 구비한다.
즉, 솔레노이드밸브(150)의 개폐에 따라 액체탱크(140) 내 액체(142)의 표주하우징(120)에 대한 유입이 제어되고, 이렇게 표주하우징(120) 내로 추가 공급되는 액체탱크(140)의 액체(142)로 인해 표주하우징(120) 내의 기준점 표주(130)는 표주하우징(120)을 기준으로 한 최초 높이보다 더 높은 상태에 위치하게 된다.
절대위치센서(160)는 기초구조물(110)이나 표주하우징(120)의 일부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절대위치센서(160)는 국가기준점(100), 다시 말해 기초구조물(110)이나 표주하우징(120)의 절대 위치를 감지하여 이를 통해 지반 침하에 따른 국가기준점(100)의 함몰이나 위치 변화가 있는지를 감지한다.
절대위치센서(160)는 고도에 의한 절대위치 정보를 주변의 다른 위치에 설치된 레이저 송신장치로부터 직접 수신하므로 현재의 절대위치 변동상태를 감지 또는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절대위치센서(160)는 고도에 의한 절대위치 정보를 GPS 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므로 현재의 절대위치 변동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절대위치센서(160)는 고도에 의한 절대위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일반적인 기술 및 새로운 기술이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면을 참조하여 부연 설명하면, 도 1은 국가기준점(100)을 형성하는 기초구조물(110), 표주하우징(120), 기준점 표주(130) 등의 최초 설치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국가기준점(100)이 설치된 영역에 소정의 지반 침하가 발생하여 국가기준점(100)을 형성하는 기초구조물(110), 표주하우징(120), 기준점 표주(130) 등이 하방향으로 일정 길이 침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은 도 3을 참조하여 제어부(170), 무선통신모듈(180), 국가기준점 관리서버(300), 작업자 단말기(200)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부(170)는 절대위치센서(16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150)의 개폐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170)는 절대위치센서(16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값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150)의 개폐 시간을 조정하여 배출구(141)를 통해 표주하우징(120) 내로 유입되는 액체(142)의 양을 조정한다.
여기서 액체탱크(140)로부터 표주하우징(120) 내로 유입되는 액체(142)의 양은 기준점 표주(130)의 기준눈금(131)이 패킹부재(122)의 상단과 동일 높이를 이루도록 하는 양, 다시 말해 기준점 표주(130)가 표주하우징(120) 내측에 띄워져 설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기준점 표주(130)의 높이가 지반 침하 전의 최초 설치 높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용량이다.
또한, 제어부(170)는 절대위치센서(16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값을 사전 설정된 임계 신호값과 비교하여 국가기준점(100)의 지반 침하 여부를 판별한다.
무선통신모듈(180)은 제어부(17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제어부(170)가 국가기준점(100)의 지반 침하 판단에 따라 출력하는 해당 신호를 원거리에 위치한 국가기준점 관리서버(300)에 무선 송출하는 기능을 한다.
국가기준점 관리서버(300)는 무선통신모듈(180)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 후, 국가기준점(100)의 지반 침하 사실을 해당 국가기준점의 관리자가 휴대한 작업자 단말기(200)에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한다.
작업자 단말기(200)는 상기 유무선 통신망에 접속하여 국가기준점 관리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며, 기탑재된 GPS 수신기 및 전자지도를 이용하여 상기 국가기준점(100)의 좌표를 정확하게 구하고, 국가기준점(100) 관련 데이터들을 입력 및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측지측량시스템에서 지반침하 및 그에 따른 기준점 표주의 높이 조정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측지측량시스템에서 지반침하 및 그에 따른 기준점 표주의 높이 조정 과정을 설명한다.
단계(S110)에서 절대위치센서(160)에서 감지되는 신호값이 제어부(170)에 입력된다.
단계(S120)에서 제어부(170)는 절대위치센서(16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값에 따라 국가기준점(100) 주변의 지반침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S130)에서 단계(S120)의 판단결과 국가기준점(100) 주변의 지반이 소정 높이 침하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70)는 액체탱크(140)의 솔레노이드밸브(150)를 개방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액체탱크(140)의 솔레노이드밸브(150)는 개방된다.
단계(S140)에서 액체탱크(140)의 액체(142)가 배출구(141)를 통해 표주하우징(120) 내로 공급된다.
단계(S150)에서 솔레노이드밸브(150)가 폐쇄된다. 다시 말해 제어부(170)는 솔레노이드밸브(150)를 폐쇄하는 제어신호를 솔레노이드밸브(150)에 출력하며, 이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150)는 폐쇄 상태를 유지한다.
단계(S160)에서 제어부(170)는 단계(S120)의 판단 결과 국가기준점(100)의 주변 지면이 침하된 것으로 판단되었으므로, 해당 제어신호를 무선통신모듈(180)을 통해 국가기준점 관리서버(300)에 전송한다.
단계(S170)에서 국가기준점 관리서버(300)는 제어부(17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한다.
단계(S180)에서 국가기준점 관리서버(300)는 국가기준점(100)의 관리자가 휴대하는 작업자 단말기(200), 다시 말해 지반침하가 발생한 국가기준점(100)의 해당 관리자가 휴대한 작업자 단말기(200)에 국가기준점(100)의 지반 침해 사실 정보를 전송한다.
단계(S190)에서 국가기준점(100)의 관리자는 자신의 작업자 단말기(200)를 통해 국가기준점(100)의 지반 침해 발생 사실 정보를 수신한다.
도 1 내지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측지측량시스템은 국가기준점의 지반침하 상태 및 그 침하 정도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하는 동시에 지반침하 전의 국가기준점 높이를 근사값의 수치로써 계산할 수 있어 시간이 부족한 사업수행 업체는 이렇게 계산된 수치로 측지 측량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국가기준점의 지반 침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바, 사업수행 업체의 담당자 또는 해당 국가기준점의 관리자가 해당 사실을 신속히 원거리의 관리서버에 전송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측지측량시스템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점 표주(130)에 대한 점검을 통해 분리,교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점검부(400)를 더 포함한다.
점검부(400)는 패킹부재(122)와 기준점 표주(130) 간의 접촉에 따른 마모와 함께 장시간 사용에 따른 변형 등을 점검하여 필요시 분리,교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패킹부재(122)는 마모 상태에 따라 기준점 표주(130)와 함께 분리, 교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점검부(400)는 기준점 표주(130)와 패킹부재(122) 간으로 수분이나 이물질 등이 유입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표주하우징(120)의 수위변화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점검부(400)는 국가기준점의 지반침하 상태 및 그 침하 정도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점검부(400)는 표주하우징(120)의 내부 바닥면에 안착되는 지지판(410), 일단부는 지지판(41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기준점 표주(130)를 통과하는 와이어(420), 와이어(420)의 타단부가 연결되며 구동에 따라 와이어(420)를 권취 또는 풀림하는 권취수단(430) 및 기초구조물(110)로부터 권취수단(43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440)을 포함한다.
지지판(410)은 일정무게를 가지면서 액체(121)에 부상함이 없이 표주하우징(120)의 바닥면에 안착된다.
지지판(410)은 기준점 표주(130)의 바닥면에 접촉된 상태를 기준으로 기준점 표주(130)를 상방향으로 원활하게 들어올릴 수 있는 정도의 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판(410)은 상부에 고리(411)가 형성되고, 와이어(420)는 일단부에 후크(421)가 형성되면서 고리(411)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크(421)는 고리(411)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와이어(420)의 외측으로 기준점 표주(13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와이어(420)의 외측으로 결합된 기준점 표주(130)에 대한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점검부(400)는 기준점 표주(130)가 와이어(420)와 접촉되면서 발생되는 마모나, 파손 등을 방지하는 보호부재(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부재(450)는 상,하부가 개방되는 관 형태를 이루면서 내측으로 와이어가 통과되도록 기준점 표주(130)의 내측으로 매립된다.
이에 따라, 보호부재(450)는 기준점 표주(130)가 와이어(420)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으로써 와이어(420)와의 접촉에 따른 기준점 표주(130)의 마모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수단(440)은 기초구조물(110)의 일측 상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주(441), 지주(441)의 일측에 구비되며 권취수단(430)을 지지하는 보강지주(442), 지주(441)와 보강지주(442)를 연결하는 연결바(443), 지주(441)의 상부에 구비되는 고정바(444) 및 고정바(444)의 상부에 구비되며 와이어(420)를 지지하는 제1롤러(445), 지주(441)의 상부에 구비되며 와이어(420)를 지지하는 제2롤러(446)를 포함한다.
보강지주(442)는 지주(441)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지주(441)가 권취수단(430)의 구동에 따라 승,하강되는 기준점 표주(130)의 하중에 의해 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바(444)는 일단부가 지주(441)의 상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지주(441)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기준점 표주(130)의 상부에 배치된다.
제1,2롤러(445,446)는 와이어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한편, 와이어(420)의 진행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기준점 표주(130)의 승,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점검부(400)는 권취수단(430)의 구동에 따른 기준점 표주(130)의 승강시, 고정바(444)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충돌방지수단(4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충돌방지수단(460)은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기준점 표주(13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와이어(420)의 외측으로 결합된다.
권취수단(430)은 지지수단(44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와이어(420)의 타단부가 권취되는 풀리(431) 및 풀리(431)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432)를 포함한다.
모터(432)는 정방향 구동에 따라 와이어(420)가 풀리(431)로 권취되도록 하거나, 역방향 구동에 따라 풀리(431)로부터 와이어(420)가 풀림되도록 한다.
지지판(410)은 모터(432)의 정방향 구동에 따라 상방향으로 승강되면서 기준점 표주(130)의 바닥면에 접하는 한편, 기준점 표주(130)가 함께 승강되도록 하여 표주하우징(120)으로부터 인출되도록 한다.
기준점 표주(130)가 표주하우징(120)으로부터 인출됨에 따라 기준점 표주(130)에 대한 점검과 함께 필요시 분리, 교체를 진행할 수 있다. 이때, 패킹부재(122)에 대한 점검을 함께 진행함으로써 필요시 패킹부재(122)를 분리, 교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지판(410)은 모터(432)의 역방향 구동에 따라 하강되면서 기준점 표주(130)가 표주하우징(120)로 인입되도록 하는 한편, 표주하우징(120)과 이격되어 기초구조물(110)의 바닥면에 안착되면서 기준점 표주(130)가 액체(121)에 부상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점검부(600)는 기준점 표주(130)에 대한 점검이나 분리, 교체를 완료함으로써 국가기준점의 지반침하 상태 및 그 침하 정도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점검부(600)는 기준점 표주(130)와 패킹부재(122) 간으로 수분이나 이물질 등이 유입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표주하우징(120)의 수위변화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점검부(400)는 국가기준점의 지반침하 상태 및 그 침하 정도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지형변화를 감지하여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의 지표면 측지측량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국가기준점 110 : 기초구조물
120 : 표주하우징 130 : 기준점 표주
140 : 액체탱크 150 : 솔레노이드 밸브
160 : 절대위치센서 170 : 제어부
200 : 작업자 단말기 300 : 국가기준점 관리서버
400 : 점검부 410 : 지지판
420 : 와이어 430 : 권취수단
431 : 풀리 432 : 모터
440 : 지지수단 441 : 지주
442 : 보강지주 443 : 연결바
444 : 고정바 445 : 제1롤러
446 : 제2롤러 450 : 보호부재
460 : 충돌방지수단

Claims (1)

  1. 국가기준점(100)을 설치할 장소의 지면에 설치되되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이 상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형성되는 기초구조물(110);
    상기 기초구조물(110)의 수용공간에 고정 설치되고 내측에 부력 발생을 위한 액체(121)가 수용되며 내측에 수용되어 상기 액체(121)의 부력으로 기준점 표주(130)를 띄워 지지하는 동시에 수밀 유지 기능을 하는 패킹부재(122)가 상단에 구비되는 표주하우징(120);
    상기 표주하우징(120)의 내측에 수용되어 상측 일부는 액체(121)의 부력에 의해 상기 표주하우징(120)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표주하우징(120)의 내측에서 상기 액체(121)의 부력에 의해 소정 높이를 유지하는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패킹부재(122)의 상단과 같은 높이로써 외면 일측부에 표시되는 기준눈금(131)과 상기 기준눈금(131)으로부터 하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침하 길이 측정눈금(132)을 구비하는 기준점 표주(130);
    상기 표주하우징(120)의 상부 쪽 측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초구조물(110)에 고정 설치되어 내측에 액체(142)를 수용하며 상기 표주하우징(120)의 내부와 통하는 배출구(141)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141)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밸브(150)가 장착되는 액체탱크(140);
    상기 기초구조물(110)이나 표주하우징(120)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기초구조물(110) 또는 표주하우징(120)의 절대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되는 절대위치 값에 변화가 있을 때 해당 신호를 제어부(170)에 입력하는 절대위치센서(160); 및
    상기 절대위치센서(16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50)의 개폐를 제어하되, 상기 절대위치센서(16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값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50)의 개폐 시간을 조정하여 상기 배출구(141)를 통해 상기 표주하우징(120) 내로 유입되는 액체(142)의 양을 조정하며, 상기 절대위치센서(16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값을 사전 설정된 임계 신호값과 비교하여 국가기준점(100)이 설치된 주변의 지반 침하 여부를 판별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하는 지형변화를 감지하여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의 지표면 측지측량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준점 표주(130)에 대한 점검을 통해 분리,교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점검부(4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점검부(400)는,
    상기 표주하우징(120)의 내부 바닥면에 안착되는 지지판(410);
    일단부는 상기 지지판(41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기준점 표주(130)를 통과하는 와이어(420);
    상기 와이어(420)의 타단부가 연결되며, 구동에 따라 상기 와이어(420)를 권취 또는 풀림하는 권취수단(430); 및
    상기 기초구조물(110)로부터 상기 권취수단(43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440)을 포함하고,
    상기 권취수단(430)은,
    상기 지지수단(44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420)의 타단부가 권취되는 풀리(431); 및
    상기 풀리(431)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432)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432)는,
    정방향 구동에 따라 상기 와이어(420)가 상기 풀리(431)로 권취되도록 하거나, 역방향 구동에 따라 상기 풀리(431)로부터 상기 와이어(420)가 풀림되도록 하며,
    상기 지지판(410)은,
    상기 모터(432)의 정방향 구동에 따라 상방향으로 승강되면서 상기 기준점 표주(130)의 바닥면에 접하는 한편, 상기 기준점 표주(130)가 함께 승강되도록 하여 상기 표주하우징(120)으로부터 인출되도록 하고, 상기 모터(432)의 역방향 구동에 따라 하강되면서 상기 기준점 표주(130)가 상기 표주하우징(120)로 인입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표주하우징(120)과 이격되어 상기 기초구조물(110)의 바닥면에 안착되면서 상기 기준점 표주(130)가 상기 액체(121)에 부상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형변화를 감지하여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의 지표면 측지측량시스템.
KR1020180115024A 2018-09-27 2018-09-27 지형변화를 감지하여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의 지표면 측지측량시스템 KR101915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024A KR101915696B1 (ko) 2018-09-27 2018-09-27 지형변화를 감지하여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의 지표면 측지측량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024A KR101915696B1 (ko) 2018-09-27 2018-09-27 지형변화를 감지하여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의 지표면 측지측량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5696B1 true KR101915696B1 (ko) 2018-11-06

Family

ID=64329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5024A KR101915696B1 (ko) 2018-09-27 2018-09-27 지형변화를 감지하여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의 지표면 측지측량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56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065B1 (ko) 2021-10-18 2022-03-25 주식회사 공간지적측량 지형변화를 감지하여 기준점별 gps 좌표의 지표면 지적측량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090B1 (ko) 2012-09-25 2014-02-19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무인기를 이용한 지형 변화 감지 시스템
KR101801692B1 (ko) 2017-08-10 2017-11-28 (주)에스지원정보기술 지형변화를 감지하여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의 지표면 측지측량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090B1 (ko) 2012-09-25 2014-02-19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무인기를 이용한 지형 변화 감지 시스템
KR101801692B1 (ko) 2017-08-10 2017-11-28 (주)에스지원정보기술 지형변화를 감지하여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의 지표면 측지측량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065B1 (ko) 2021-10-18 2022-03-25 주식회사 공간지적측량 지형변화를 감지하여 기준점별 gps 좌표의 지표면 지적측량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6150B1 (ko) 일정범위지역의 지반에 시공되는 토목 및 건축 구조물의 토사침하 센싱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915290B1 (ko) 기준점별 정밀도를 향상시킨 측지측량장치
KR101209286B1 (ko) 지형변화를 감지해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의 정밀 적용을 가능하게 한 지표면의 측지측량 관측시스템
RU2528329C2 (ru) Способ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сооружения элемента траншейной стены
KR101217602B1 (ko) 지하시설의 지도제작을 위한 지피에스 기반 측지측량 시스템
CN209230680U (zh) 一种高速铁路边坡自动化监测系统
JP2002286512A (ja) 地盤内沈下感知測定器
KR101801692B1 (ko) 지형변화를 감지하여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의 지표면 측지측량시스템
CN101706276B (zh) 一种竖井设备安装中的纵向标定法
KR101915696B1 (ko) 지형변화를 감지하여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의 지표면 측지측량시스템
KR101384674B1 (ko) 수두차이의 검측을 이용한 대구경 강관말뚝의 수직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구경 강관말뚝의 수직도 측정방법
KR100836644B1 (ko) 측량 기준점과 수준점 매설에 따른 지반침하상태의 시각적계측을 위한 시스템
KR100767791B1 (ko) 위치시스템을 이용한 기초지반의 붕괴정도 측량감지시스템
KR102043416B1 (ko) 기준점 측량방법에 따른 측지측량시스템
US11796316B2 (en) Method for determining location and orientation of machine
JP2020197082A (ja) 計測システム、計測方法および間隔決定方法
KR100798473B1 (ko) 지피에스 측량결과의 데이터 편차를 이용하는 지형지물의변경확인시스템
CN107702767B (zh) 基于静态液位的液位报警开关检测方法及其报警线的标定方法
KR102570024B1 (ko) 로드셀 기반의 관입력 측정시스템이 구비된 드레인재 타설장치
US6584697B1 (en) Surveyors elevation measuring stick and method
KR102336835B1 (ko) 국가기준점을 이용하는 측량 작업의 정밀도를 현저히 향상시킨 측지측량시스템
CN106638535A (zh) 基坑施工现场监测装置以及监测方法
KR101223182B1 (ko) 국가기준점의 지반침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계측시스템
KR20100131072A (ko) 지표면 침하량 측정장치
JP2005331242A (ja) 路面等の沈下量の測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