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5050B1 -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5050B1
KR101915050B1 KR1020170012994A KR20170012994A KR101915050B1 KR 101915050 B1 KR101915050 B1 KR 101915050B1 KR 1020170012994 A KR1020170012994 A KR 1020170012994A KR 20170012994 A KR20170012994 A KR 20170012994A KR 101915050 B1 KR101915050 B1 KR 101915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vent
nozzle
supply pipe
clean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2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8210A (ko
Inventor
김승훈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2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050B1/ko
Publication of KR20180088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8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50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 B05B15/55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using cleaning fluids
    • B05B15/555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using cleaning fluids discharged by cleaning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50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 B05B15/55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using cleaning fluids
    • B05B15/557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using cleaning fluids the cleaning fluid being a mixture of gas an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Landscapes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폭발위험 없이 부품을 효율적으로 세척하고, 용제의 재순환이 가능하도록 한 세척장치가 제공된다. 세척장치는, 내부에 용제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용기부, 수용공간에 설치되며 용제 상부에 위치하여 세척물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고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과 공기공급관과 연결되어 용기부 내측을 향해 용제를 분사하는 오리피스 노즐과 일단이 상기 수용공간 내측에 위치하여 용제에 잠기고 타단은 오리피스 노즐과 연결되는 용제공급관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척장치{Was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폭발위험 없이 부품을 효율적으로 세척하고, 용제의 재순환이 가능하도록 한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이나 해양구조물의 선저부는 해수에 잠긴 상태로, 일반적으로 선체의 외부는 해풍 또는 파도의 마찰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선박 표면에 아무 처리도 하지 않은 채로 운항 하는 경우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부식이 유발되어 표면이 불균일해진다. 이로 인해, 항해 속도는 저하되고, 선박의 수명 역시 단축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선체의 외부는 도장작업을 필요로 하며, 뿐만 아니라, 선체의 내부에도 방폭 등을 위한 방폭 물질 처리를 하거나 여러 기능성 도료를 이용한 도장작업을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를 충족하기 위해 선박이나 해양구조물을 건조하는 과정 중, 도장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대부분의 선박이 대형임에 따라, 도장작업의 수행 면적은 매우 넓다. 따라서, 넓은 면적을 효율적으로 도장 하기 위하여 스프레이를 이용한 도장 장치가 사용된다. 도료가 도장면에 분사되면, 건조 또는 경화 등의 반응을 통해 졸(sol) 상태에서 겔(gel) 상태로 변화하며 선박에 엷은 막을 형성하며 일종의 보호막 구실을 하게 된다. 그러나 도료의 특성에 의해 도료의 분사가 일어나는 스프레이 팁에서도 이러한 도료의 건조 또는 경화가 일어나 잔류 도료의 고착이 일어날 수 있다. 즉, 반복된 도장작업으로 스프레이 건의 잔류 도료에 의해 도료의 분사 능력이 현저히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스프레이 팁을 포함한 스프레이 장치 내외부에 고착된 도료를 제거해야 할 필요성이 존재하며, 도장장치의 세척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되, 세척제의 사용량을 감소시키고, 세척용제로 휘발성 용제인 시너 등이 이용되는 만큼 세척 시 안전성을 높여 폭발 등의 사고가 발생하지 않는 세척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필요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세척장치는 마련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88659호, (2010.10.12)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폭발위험 없이 부품을 효율적으로 세척하고, 용제의 재순환이 가능하도록 한 세척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에 의한 세척장치는, 내부에 용제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용기부와,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용제 상부에 위치하여 세척물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고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과, 상기 공기공급관과 연결되어 상기 용기부 내측을 향해 상기 용제를 분사하는 오리피스 노즐과, 일단이 상기 수용공간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용제에 잠기고 타단은 상기 오리피스 노즐과 연결되는 용제공급관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부를 포함한다.
상기 노즐부는 복수 개가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를 향하여 상기 용제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관은 상기 용기부 외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오리피스노즐과 상기 용제공급관은 상기 용기부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노즐부 전방에 소형 세척물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는 상기 오리피스노즐의 노즐홀과 연통된 분사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분사홀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소형 세척물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적어도 일부에 상기 노즐부로부터 분사된 상기 용제를 투과시키는 망체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망체를 통과하여 상기 수용공간 하부로 모인 상기 용제는 상기 용제공급관을 통하여 상기 오리피스노즐로 다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세척장치는, 스프레이 팁 등을 포함하는 부품의 내부에 고착된 도료를 폭발 위험 없이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세척제로 이용되는 용제의 재순환이 가능하여 세척의 효율성을 증가시킨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한 세척장치에 의해, 세척제로 이용되는 휘발성 용제에 의한 위험요인을 제거하여 보다 안전하게 세척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척장치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도시한 절개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세척장치의 노즐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노즐부를 A-A'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용기부를 제외한 세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세척장치를 이용하여 소형세척물을 세척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확대단면도를 세척 단계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세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척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척장치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도시한 절개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세척장치의 노즐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노즐부를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용기부를 제외한 세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척장치(1)는, 내부에 용제(12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용기부(100), 수용공간에 설치되며 수용된 용제(120)의 상부에 위치하여 세척물을 지지하는 지지부(200), 고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310)과 공기공급관(310)과 연결되어 용기부(100) 내측을 향해 용제(120)를 분사하는 오리피스노즐(320)과 일단이 수용공간 내측에 위치하여 용제(120)에 잠기고 타단은 오리피스노즐(320)과 연결되는 용제공급관(330)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척장치(1)는, 이러한 구성을 통해 노즐부(300)로부터 분사되는 용제를 순환시키며 세척대상을 세척한다. 세척장치(1)는 세척대상의 크기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 즉, 세척대상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지지부(200)에 전체적으로 안착시켜 세척할 수 있고, 세척대상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후술할 고정부(400)에 안착시켜 세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이러한 특징을 갖는 세척장치(1)에 대해 각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부(100)는 내부에 수용공간(110)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공간(110)에는 세척장치(1)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와 용제가 수용될 수 있다. 용기부(100)는 다양한 형태의 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가 세척을 위한 구성장치를 방사상으로 배열하기에 용이하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용기부(100)는 세척하고자 하는 장치의 크기에 맞춰 다양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으며, 용기부(100)의 크기에 맞춰 설치되는 노즐부(300)의 배치 가능 개수의 증감이 가능하다.
용기부(100)에 형성된 수용공간(110)에는 용제(120)가 수용되며, 수용된 용제(120)의 상부에는 지지부(200)가 위치할 수 있다.
지지부(200)는 세척물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부(200)를 중심으로 지지부(200)의 외주면과 용기부(100)의 내주면이 맞닿는 부분을 따라 노즐부(300)가 배열될 수 있다. 지지부(200)의 중앙에 놓인 세척물은 세척물을 둘러싸듯 배열된 노즐부(300)를 통해 분사되는 공기 및 용제를 통해 세척된다.
지지부(200)의 적어도 일부에는 세척과정을 거친 용제가 통과하여 다시 수용공간(110)으로 회수될 수 있는 망체(210)가 형성되어 있다. 망체(210)는 보편적으로 그물구조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지지부(200) 상에 다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세척을 마친 용제(120)의 찌꺼기는 걸러지고 용제(120)는 투과되는 형태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노즐부(300)로부터 분사된 용제(120)는 세척물을 세척하고, 망체(210)를 통과하여 수용공간(110) 하부로 다시 모이게 된다. 수용공간(110) 하부로 모인 용제(120)는 다시 노즐부(300)로 유입되어 세척에 재사용될 수 있다.
용기부(100)에 형성된 수용공간(110)에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부(300)가 설치된다. 노즐부(300)는 복수 개가 지지부(200)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세척 대상을 세척하기 위한 용제를 분사한다.
노즐부(300)는 공기공급관(310)과 오리피스노즐(320), 및 용제공급관(3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공기공급관(310)을 통해 고압공기가 공급되며, 공기공급관(310)의 일단부는 용기부(100)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타단부는 오리피스노즐(320)과 연결된다. 오리피스노즐(320)은 용기부(100) 내측을 향해 용제(120)를 분사하며, 용제공급관(330)이 연결되어 용제를 공급받는다. 용제공급관(330)은 일단이 수용공간 하부로 연장되어 용제(120)에 잠기며, 타단이 오리피스노즐(320)에 연결된다. 노즐부(300)는 이러한 각각의 관들이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노즐부(300)는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으며, 지지부(200)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용기부(100)의 내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공기공급관(310)은 용기부(100) 외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며, 오리피스노즐(320)과 용제공급관(330)은 용기부(100) 내부에 위치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노즐부(300)는 고압공기가 이동하는 공기공급관(310)과 세척제로 이용되는 용제가 이동하는 용제공급관(330)이 수직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공급관(310)은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용기부(100) 외부로부터 고압의 공기를 공급한다. 오리피스노즐(320)과 연결되어 있어, 외부의 공기는 공기공급관(310)을 통과하여 오리피스노즐(320)로 유입된다. 공기공급관(310)을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된 공기는 관로의 폭이 좁아지는 오리피스노즐(320)의 목부(321)를 통과할 때 속력이 빨라지고, 압력은 감소한다. 이것은 베르누이 원리에 의한 것으로, 유체는 단면적이 큰 곳과 작은 곳을 흐를 때, 단면적이 큰 곳에서는 유체의 흐름이 느리고 압력은 높은 반면, 단면적이 작은 곳은 유체의 흐름이 빠르고 압력이 낮아지는 원리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공급관(310)과 오리피스노즐(320)은 수평상태의 동일 축 상에 위치하고, 용제공급관(330)은 오리피스노즐(320)의 목부(321)에 수직하도록 위치하므로 전술한 베르누이 원리에 의하여 용제를 원활하게 공급 받을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공기공급관(310)과 연결된 오리피스노즐(320)은 목부(321)에서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공기공급관(310)을 통과한 공기가 오리피스노즐(320)로 유입될 때, 좁아진 단면적에 의해 공기 흐름은 빨라지고 압력은 낮아지면서 오리피스노즐(320)의 목부(321)와 연결된 용제공급관(330)으로부터 용제(120)를 유입시킬 수 있다. 유입된 용제(120)는 오리피스노즐(320)을 통해 공기와 함께 용기부(100)의 내측을 향해 분사된다. 이 때, 용제는, 미립화된 상태로 공기와 함께 분사되며, 고압 공기에 의해 고압으로 분사되어 완전 액체 상태로 분사될 때보다 분사 효율이 좋아진다. 즉, 용제는 미립화된 상태로 공기와 함께 분사되어 좁은 틈이나 공간에도 쉽게 침투가 되어 좁은 공간에 고화된 도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용제공급관(330)은 일단은 수용공간(110) 내측에 위치하여 용제(120)에 잠기고, 타단은 오리피스노즐(320)과 연결된다. 용제공급관(330)은 지지대(331)의 일측면에 결합하고, 지지대(331)의 타측면이 용기부(100)의 내측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용기부(100)에 고정될 수 있다. 용제공급관(330)은 지지대(331)를 통하여 용기부(100)에 고정되어 외부 충격 등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지지대(331)는 좁고 긴 관형 상의 용제공급관(330)을 보호하고 곧게 지지하여 용제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공기공급관(310)으로 유입된 공기가 빠른 속도로 오리피스노즐(320)을 통과하면, 오리피스노즐(320)내부의 압력이 감소되며, 수용공간(110) 내부에 수용된 용제(120)가 오리피스노즐(320)의 목부(321)까지 상승할 수 있다. 상승한 용제(120)는 공기공급관(310)을 통과한 공기와 함께 용기부(100) 내측으로 분사된다. 이 때, 용제(120)와 공기는 오리피스노즐(320)의 목부(321)에서 무화(霧化, atomization)가 일어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 공기가 빠른 속도로 공급되는 중에 공기의 흐름이 형성되는 관로의 단면적이 변화함에 따라, 순간적인 압력의 감소로 용제가 상승되는 원리로 용제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어, 엔진이나 펌프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용제를 공급하고 순환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스파크 또는 정전기가 발생될 염려가 없고, 세척제로 쓰이는 휘발성 용제가 폭발할 우려 없이 용제의 순환이 가능해진다.
노즐부(300)는 지지부(200)를 향하여 용제를 분사한다. 지지부(200)의 중앙에는 세척물(T)이 안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노즐부(300)는 지지부(200)의 중앙에 위치하는 세척물(T)을 향하여 분사되는 구조이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지지부(200)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형성된 수직방향 축 상의 한 지점을 향하여 분사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즉, 오리피스노즐(320)로부터 지지부(200) 상부의 어느 지점을 향해 연장된 방향으로 분사될 수도 있다.
이어서, 도 1과 도 4를 참조하여, 노즐부(300)와 연결된 고정부(400)의 구조에 대해 보다 자세히 살펴본다.
고정부(400)는 노즐부(300) 전방에 위치하여 소형세척물(t)을 고정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전방' 및 '후방'은, 유체(고압공기 또는 용제)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전방'은 유체가 분사되는 측이나 배출되는 측 또는 이와 연결된 부분을 말하는 것일 수 있으며, '후방'은 유체가 유입되는 측이나 이와 연결되는 부분을 말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가 유동하는 장치, 구성부, 관로 등에서 분사 또는 배출이 이루어지는 부분을, 상기 장치, 구성부, 관로 등의 전방으로 표현할 수 있고, 유입되는 측이나 이와 연결된 부분을 상기 장치, 구성부, 관로의 후방으로 표현할 수 있다. 즉, 전방에 배치되거나 연결되는 것은 분사 또는 배출이 이루어지는 측에 배치되거나 연결되는 것을 의미하고, 후방에 배치되거나 연결되는 것은 유입되는 측에 배치되거나 연결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고정부(400)는 오리피스노즐(320)의 노즐홀(322)과 연통되는 분사홀(422)이 형성되어 있고, 분사가 이루어지는 노즐부(30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노즐홀(322)로부터 분사된 용제는, 분사홀(422)을 통과하여 고정부(400) 내부로 유입된다. 이 때, 소형세척물(t)은 노즐부(300)의 전방과 맞닿은 고정부(400)의 일측면에 해당하는 두께만큼 노즐홀(322)로부터 이격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해, 고정부(400)가 소형세척물(t)을 고정할 때, 분사홀(422)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고정할 수 있어, 노즐홀(322)과 소형세척물(t) 사이에 충분한 거리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공간에 의해, 용제가 고정부(400)로 유입될 때, 고정부(400) 내부에 강한 압력부하가 걸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할 세척과정과 함께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400)는 각각의 노즐부(300) 전방에 위치할 수 있으며, 고정부(400)는 고정블록(420)과 체결블록(410)으로 구성됨에 따라, 소형 세척물의 수용이 보다 용이하다. 이 때, 고정블록(420)과 체결블록(410)이 접하는 면의 중앙에는 배출홀(424)이 형성된다. 배출홀(424)은 고정부(400)의 외측에 형성되어 고정부(400)의 내부와 수용공간(110)은 연통된다. 각각의 고정부(400)는 노즐부(300)의 개수에 비례하여 형성될 수 있으므로, 다수 개의 소형세척물(t)의 세척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노즐부(300)의 전방으로부터 지지부(200)를 향해 용제가 분사되어 세척물(T) 또는 소형세척물(t)의 세척이 이루어지면, 이물질을 포함한 용제(120)는 배출홀(424)을 통해 배출되어, 지지부(200) 상의 일부에 형성된 망체(210)로 낙하한다. 이물질은 망체(210)에 걸러지고 용제(120)만 수용공간(110) 하부로 모인다. 수용공간(110)에 모아진 용제(120)는 일단이 용제(120)에 잠겨 있는 용제공급관(330)을 통하여 전술한 과정을 거쳐 노즐부(300)로 재분사 되며 세척과정에 반복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세척장치를 이용한 세척과정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세척장치를 이용하여 소형세척물을 세척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확대단면도를 세척단계별로 도시한 도면이다. 세척과정에 대한 설명은 도 5를 중심으로 하되, 도 6의 (a) 내지 (c)를 함께 참조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세척장치의 각 구성부에 대한 설명은 추가적인 언급이 없는 한 전술한 설명사항과 동일한 설명이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세척장치(1)는 공기에 의한 용제의 순환이 가능하여, 폭발위험 없이 부품을 효율적으로 세척하고, 용제의 재순환이 가능한 구조임을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베르누이 원리에 의해 용제공급관(330)을 통한 용제(120)가 상승하고, 오리피스노즐(320)로 유입되면, 공기와 용제가 함께 무화되어 노즐홀(322)을 통해 분사된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이 시작된 단계의 소형세척물(t)은 내부가 도료 또는 이물질로 꽉 막혀있는 상태이다. 노즐홀(322)로부터 분사되는 용제는 공기공급관(310)을 통해 공급받은 고압공기에 섞여 무화된 상태로, 압력을 이용하여 도료를 떨어뜨리는 방식으로 세척을 시작한다. 이 때, 잔류도료에 용제가 분사되면 도료의 표면은 녹기 시작하고, 용제에 의해 도료의 떨어뜨림과 녹임이 반복되며 세척이 진행될 수 있다.
소형세척물(t)은 고정부(400) 내부에 고정될 때, 분사홀(422)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노즐홀(322)로부터 분사되는 용제가 소형세척물(t)에 충분한 압력을 가할 수 있는 구조이다. 다시 말하면, 노즐홀(322)과 소형세척물(t)의 이격에 의해 형성된 여유 공간에 의해, 용제가 고정부(400)로 유입될 때, 고정부(400) 내부에 강한 압력부하가 걸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척대상이 고정부에 여유공간 없이 밀착되어 고정된다면, 도료로 막힌 곳으로는 용제가 빠져 나갈 수 없어 장치에 부하가 걸리고, 그 부하에 의해 노즐부에 손상이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부(400) 내부에 이격에 의한 여유공간이 형성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음에 따라, 충분한 압력으로 용제(120)를 분사할 수 있게 된다.
필요한 경우에는, 수용공간(110)에 용제(120)를 수용하지 않은 상태로 공기공급관(310)으로 공기만 공급하는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어, 노즐홀(322)을 통해 분사되는 공기의 분사압을 이용하여 세척 과정 전, 전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세척과정을 수행한 용제(120)는 배출홀(424)을 통해 수용공간 내부로 배출되며, 지지부(200)로 낙하한다. 배출홀(424)은 노즐부(300)의 전방에 형성된 노즐홀(322)과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어 수용공간(110)과 고정부(400) 내부를 연통할 수 있다. 고정부(400) 내부는 분사홀(422)과 배출홀(424)이 형성된 아래쪽으로 여유공간이 더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소형세척물(t)로부터 튕겨져 나온 이물질이 고정부(400) 내부에 쌓일 수 있다. 따라서, 부피가 큰 이물질은 일차로 고정부(400) 내부에 수용되고, 망체(210)를 통해 걸러줘야 할 이물질은 부피가 작은 이물질 들로 한정되어, 이물질의 축적에 의한 망체(210)의 기능 저하를 줄일 수 있고 재사용되는 용제(120)의 오염 역시 감소시킬 수 있다.
낙하한 용제는 수용공간(110) 하부로 모이게 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제공급관(330)으로 재유입되어 순환할 수 있다.
재유입된 용제(120)는 다시 노즐부(300)의 전방으로 토출되어 분사되는 형식으로 순환한다.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세척물(t) 내부의 이물질은 용제에 의해 튕겨나가거나 녹는 과정을 반복하며 점점 제거된다. 용제(120)는 도 6에 도시된 순환과정을 따라 계속 재순환 하며 소형세척물(t) 내부의 이물질을 세척하게 된다. 도 7의 (c)를 참조하면, 용제가 소형세척물(t) 내부의 막혀있던 관로를 뚫고 통과하여 배출홀(424)로부터 토출되어 수용공간(110) 내부로 분사되면서 소형세척물(t) 내부의 세척은 마무리된다. 노즐부(300) 내부의 순간적인 압력 감소에 의해 용제공급관(330)으로부터 계속적으로 용제(120)를 상승시킬 수 있음에 따라, 새로운 용제를 공급하지 않고도 재사용이 가능하다. 특히, 재사용되는 용제(120)는, 이물질이 고정부(400) 내부로 탈락되며 일차적으로 걸러지고 망체(210)를 통과하며 이차적으로 걸러짐으로써, 단계적인 정화를 거칠 수 있어서, 보다 깨끗한 상태로 순환될 수 있다. 소형 세척물의 세척이 완료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블록(410)을 분리하여 소형세척물(t)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세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로, 노즐부(300) 전방에 형성된 고정부(400)를 분리하여 노즐부(300)의 전방에 형성된 노즐홀(322)을 직접 수용공간(110)과 연통시킬 수 있어, 부피가 큰 세척물(T)을 세척하는 경우 적용할 수 있다. 부피가 큰 세척물(T)의 경우, 지지부(200)의 상단에 안착시켜 용기부(100)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세척물(T)은 지지부(200)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노즐부(300)의 전방에 위치함으로써, 노즐부(300)는 360도에 해당하는 전 방향에서 세척을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세척대상의 부피에 관계없이 세척장치의 적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장치를 통해, 사고 위험이 현저히 감소한 세척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세척의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세척장치 100: 용기부
110: 수용공간 120: 용제
200: 지지부 210: 망체
300: 노즐부 310: 공기공급관
320: 오리피스노즐 321: 목부(321)
322: 노즐홀 330: 용제공급관
331: 지지대 400: 고정부
410: 체결블록 420: 고정블록
422: 분사홀 424: 배출홀
T: 세척물 t: 소형세척물

Claims (7)

  1. 내부에 용제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용기부;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용제 상부에 위치하여 세척물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고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과, 상기 공기공급관과 연결되어 상기 용기부 내측을 향해 상기 용제를 분사하는 오리피스 노즐과, 일단이 상기 수용공간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용제에 잠기고 타단은 상기 오리피스 노즐과 연결되는 용제공급관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부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부 전방에 소형 세척물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는 상기 오리피스 노즐의 노즐홀과 연통된 분사홀이 형성된 세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복수 개가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를 향하여 상기 용제를 분사하는 세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관은 상기 용기부 외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오리피스노즐과 상기 용제공급관은 상기 용기부 내부에 위치하는 세척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분사홀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소형 세척물을 고정하는 세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적어도 일부에 상기 노즐부로부터 분사된 상기 용제를 투과시키는 망체가 형성된 세척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망체를 통과하여 상기 수용공간 하부로 모인 상기 용제는 상기 용제공급관을 통하여 상기 오리피스 노즐로 다시 공급되는 세척장치.
KR1020170012994A 2017-01-26 2017-01-26 세척장치 KR101915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994A KR101915050B1 (ko) 2017-01-26 2017-01-26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994A KR101915050B1 (ko) 2017-01-26 2017-01-26 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8210A KR20180088210A (ko) 2018-08-03
KR101915050B1 true KR101915050B1 (ko) 2018-11-05

Family

ID=63250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994A KR101915050B1 (ko) 2017-01-26 2017-01-26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50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932B1 (ko) * 2018-10-05 2019-04-30 정두섭 탱크 클리닝장치
CN114602705A (zh) * 2022-03-11 2022-06-10 南京市园林规划设计院有限责任公司 一种壁画修复用注浆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659B1 (ko) 2003-02-21 2010-10-18 제임스 도일 비접촉식 스프레이 기구 세척 장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8210A (ko) 2018-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5915B2 (en) Nozzle assembly, substrate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nozzle assembly, and method of treating substrate using the assembly
US10610900B2 (en) Apparatus and system for cleaning paint masking devices
KR102042373B1 (ko) 스프레이 건을 위한 클리너에 사용하기 위한 임펠러
KR100632318B1 (ko) 여과 장치
KR101915050B1 (ko) 세척장치
KR100988659B1 (ko) 비접촉식 스프레이 기구 세척 장비
US8851397B1 (en) Bell cup atomizer having improved cleaning capability
JP5616312B2 (ja) ゴム栓洗浄方法及びゴム栓洗浄装置
WO2009087750A1 (ja) フィルタ洗浄装置及びフィルタ洗浄方法
JP2008279429A (ja) フィルタ洗浄装置及びフィルタ洗浄方法
JP2019010633A (ja) 係留ロープ用洗浄装置
JP2007307448A (ja) 流動層装置
KR101802172B1 (ko) 질소를 이용한 배관 세척 장치
JP6329342B2 (ja) 洗浄方法及び洗浄装置
CN111511477B (zh) 喷涂枪的清洗方法
JP2009034635A (ja) 廃液分別装置、及び廃液分別方法
US8470096B2 (en) Paint bell cup cleaning method
JP5694722B2 (ja) 塗料配管内の洗浄方法
JP2016034628A (ja) 浄化装置
KR20110138555A (ko) 차량용 브레이크 디스크 또는 브레이크 드럼 도장시스템에서의 세정장치
GB2260720A (en) Surface treatment of plastic material
US2010011629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ponent recovery
JP2004202363A (ja) 洗浄装置
JP2011183239A (ja) 洗浄装置
US2020034625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leaning pressure pot cove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