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4682B1 - Floating bush bearing and ship exhaust turbine - Google Patents
Floating bush bearing and ship exhaust turb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14682B1 KR101914682B1 KR1020177009242A KR20177009242A KR101914682B1 KR 101914682 B1 KR101914682 B1 KR 101914682B1 KR 1020177009242 A KR1020177009242 A KR 1020177009242A KR 20177009242 A KR20177009242 A KR 20177009242A KR 101914682 B1 KR101914682 B1 KR 1019146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sh
- shaft
- bearing
- circumferential groove
- turbin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7/0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7/02—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radial load onl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7/0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7/12—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characterised by features not related to the direction of the load
- F16C17/18—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characterised by features not related to the direction of the load with floating brasses or brushing, rotatable at a reduced spe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6—Sliding surface mainly made of metal
- F16C33/10—Construction relative to lubrication
- F16C33/1025—Construction relative to lubrication with liquid, e.g. oil, as lubricant
- F16C33/106—Details of distribution or circulation inside the bearings, e.g. details of the bearing surfaces to affect flow or pressure of the liqui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7/0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7/26—System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liding-contact bear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30—Ships, e.g. propelling shafts and bearings there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60/00—Engines or pump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 Y02T10/144—
-
- Y02T10/16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 Supercharger (AREA)
Abstract
선박용 엔진(5)과 함께 선박에 탑재되는 선박용 배기터빈(7)이, 선박용 엔진(5)으로부터 공급되는 배기가스에 의해 회전하는 터빈 부(71)와, 터빈 부(71)와 일체로 회전하는 축(3)과, 축을 지지하는 부동 부시 베어링(2)을 구비한다. 부동 부시 베어링(2)은, 베어링 하우징(21)과, 베어링 하우징(21)에 회전 불가능하게 내장됨과 함께 축(3)의 외측에 끼워지는 부시(4)와, 부시(4)의 내주면(42) 측과 외주면(41) 측 각각에 윤활유에 의해 형성되는 유막을 구비한다. 부시(4)는, 부시(4)를 반지름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유 구멍(43)과, 부시(4)의 상반 부분 내주면(42)에 형성되고 축의(3) 회전 방향으로 깊이가 얕아지는 부분 원주홈(44)을 가진다. A marine exhaust turbine 7 mounted on a ship together with a marine engine 5 is connected to a turbine section 71 which is rotated by exhaust gas supplied from the marine engine 5 and a turbine section 71 which is rotated integrally with the turbine section 71 A shaft 3, and a floating bushing bearing 2 for supporting the shaft. The bush bearing 2 includes a bearing housing 21 and a bush 4 which is rotatably housed in the bearing housing 21 and fitted to the outside of the shaft 3 and an inner peripheral surface 42 of the bush 4 And the oil film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41 side by lubricating oil. The bush 4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oil supply hole 43 penetrating the bush 4 in the radial direction and at least one oil supply hole 43 formed in the upper half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42 of the bush 4 and having a shallow depth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shaft 3 (44).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속 회전하는 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으로서 적합한 부동(浮動) 부시 베어링 및 그것을 이용한 선박용 배기터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ing bush bearing suitable as a bearing for supporting a high-speed rotating shaft and an exhaust turbine for a ship using the bearing.
최근, 선박의 연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선박용(舶用) 주 기관으로부터의 배기가스 일부로 파워 터빈을 구동하여 얻어진 힘으로 주 기관의 크랭크축에 힘을 가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와 같은 파워 터빈의 베어링에 부동 부시 베어링이 이용되는 일이 있다. 부동 부시 베어링은, 일반적으로, 내주면 및 외주면에 윤활유에 의한 유막이 형성되는 부시를 가지며, 부시의 내주면 측의 유막을 통해서 축을 지지한다. Recently, in order to improve the fuel efficiency of a ship, a force is applied to a crankshaft of a main engine with a force obtained by driving a power turbine with a part of exhaust gas from a main engine for a ship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 Floating bush bearings may be used for such power turbine bearings. The floating bushing bearing generally has a bush on which an oil film of lubricating oil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supports the shaft through the oil film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ide of the bush.
부동 부시 베어링에서는, 축과 부시 사이의 유막 거동이나 축심의 흔들림 등에 의해서 축의 회전이 불안정해지고, 축이 진동하는 현상이 생긴다는 것이 알려졌다. 특히,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파워 터빈에서는, 축의 한쪽 단부는 선박용 주 기관 등의 동력 부하와 접속되지만, 반대쪽의 단부는 동력 부하와 접속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파워 터빈은 일반적인 터빈과 비교하여 축의 진폭이 크다. 거기서, 파워 터빈의 베어링으로서 축의 진동 억제 효과가 높은 부동 부시가 요구된다. In the case of a floating bushing bearing, it has been known that the motion of the oil film between the shaft and the bushing or the shaking of the shaft center causes the rotation of the shaft to become unstable and the shaft to vibrate. Particularly, in a power turbine as disclosed in
축의 진동 억제 효과가 높은 베어링으로서, '다원호(多圓弧) 베어링'이라고 불리는, 축과의 미끄럼 부분이 복수 개의 원호로 이루어지는 베어링이 알려졌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는, 내주면을 축심과 동심의 중립 원에 사인(sine) 곡선을 복수로 얹은 곡면형상으로 만든 부시를 구비한, 부동 부시 베어링(세미 부동 베어링)이 제시되어 있다. BACKGROUND ART [0002] A bearing having a high vibration suppression effect of a shaft is known as a " multiple arc bearing ", and a bearing in which a sliding portion with a shaft is formed by a plurality of arcs is known. For example,
또한, 축의 진동 억제 효과가 높은 베어링으로서, '압력 댐(dam) 베어링'이라고 불리는, 상부 베어링의 내면에 오일 웅덩이를 가지고, 오일 웅덩이에 생긴 압력으로 축을 누르는 작용을 지니는 베어링이 알려졌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3에는, 축과의 미끄럼 면에, 윤활유의 운동 에너지를 압력으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댐 부(오일 웅덩이)가 설치된 압력 댐 베어링이 제시되어 있다. Bearings known to be called "pressure dam" bearings having an oil sump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bearing and a function of pressing the shaft by the pressure generated in the oil sump have been known as bearings having a high vibration suppressing effect on the shaft. For example,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다원호 베어링에서는, 축이 고속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축과 부시가 동심이 되더라도 부시 내주면의 사인 곡선에 의한 굴곡에 의해 강한 쐐기막 작용을 지닌 부분이 형성되고, 여기서 발생하는 동압에 의해 축의 진동이 억제된다. 그런데 다원호 베어링은 부시 내주면의 복잡한 형상을 가공하기 위하여 높은 기술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가공비용이 커지는 것이 과제가 된다. In the multi-arc bearing disclosed in
또한,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압력 댐 베어링에서는, 오일 웅덩이에서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축이 하방으로 눌려 내려가는 것에 의해 그 축의 진동이 억제된다. 그렇지만, 압력 댐 베어링에서는, 고속 회전에서는 유막의 발열량이 증대하고, 윤활유의 온도 상승에 의한 눌어붙음이나 마찰 토크 증대라고 하는 문제를 야기하는 것이 과제가 된다. Further, in the pressure dam bearing described in
본 발명은 이상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선행기술의 과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경감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its object is to alleviate at least one of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른 부동 부시 베어링은, 베어링 하우징과, 상기 베어링 하우징에 회전 불가능하게 내장됨과 함께, 축 외측에 끼워지는 부시로서, 상기 부시를 반지름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유 구멍과, 상기 부시의 상반 부분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축의 회전 방향으로 깊이가 얕아지는 부분 원주홈을 가지는 부시와, 상기 부시의 내주면 측과 외주면 측 각각에 윤활유에 의해 형성되는 유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loating bush bearing comprising: a bearing housing; at least one oil supply hole penetrating the bush in a radial direction, A bush having a partial circumferential groove formed on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an upper half portion of the bush and shrunk in depth in a rotating direction of the shaft; and an oil film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bush by lubricating oil, respectively .
또한,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른 선박용 배기터빈은, 선박용 엔진과 함께 선박에 탑재되는 선박용 배기터빈으로서, 상기 선박용 엔진으로부터 공급되는 배기가스에 의해 회전하는 터빈 부와, 상기 터빈 부와 일체로 회전하는 축과, 상기 축을 지지하는 상기 부동 부시 베어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ccordance with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xhaust turbine for a ship, which is mounted on a ship together with an engine for a ship, the exhaust turbine comprising: a turbine portion rotated by exhaust gas supplied from the marine engine; And the floating bushing bearing for supporting the shaft.
상기 구성의 부동 부시 베어링 및 선박용 배기터빈에서는, 부시의 내주면에 마련된 부분 원주홈에 윤활유의 오일 웅덩이가 형성되고, 이 오일 웅덩이 부분에 타부분과 비교하여 큰 유막 압력이 발생하고, 이 유막 압력으로 축이 하방으로 눌려진다. 이것에 의해, 부시 내의 축의 편심률이 커지게 되어, 축의 진동이 억제되고, 축의 회전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부시의 내주면에 설치된 부분 원주홈에 의해, 특허문헌 3에 기재된 것과 같은 종래의 압력 댐 베어링과 비교하여, 부시 및 윤활유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가 있다. 더불어, 부분 원주홈은, 다원호 베어링의 부시 내주면과 비교하여 단순한 형상으로, 가공비용을 억제할 수가 있다. In the floating bushing bearing and the marine exhaust turbin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 oil sump of lubricating oil is formed in the partial circumferential groove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sh, a large oil film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oil sump portion as compared with the other portions, The shaft is depressed downward. As a result, the eccentricity of the shaft in the bush is increased, vibration of the shaft is suppressed, and stability of rotation of the shaft can be improved. The partial circumferential groove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shing can suppress the temperature rise of the bush and the lubricating oil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pressure dam bearing described in
상기 부동 부시 베어링 및 선박용 배기터빈에서, 상기 부분 원주홈이, 상기 부시의 상반 부분 내주면 중 상기 축의 회전 방향 상류 측의 사분원(1/4원)의 영역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더 적은 용적의 부분 원주홈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축의 진동을 억제할 수가 있다. In the floating bushing bearing and the exhaust turbine for a ship, it is preferable that the partial circumferential groove is provided in a quadrant (1/4 circle) on the upstream side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shaft am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upper half portion of the bush.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vibration of the shaft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by the partial circumferential groove of smaller volume.
상기 부동 부시 베어링 및 선박용 배기터빈에서, 상기 부시가, 상기 부시의 내주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급유 구멍과 중복하는 한편, 상기 부분 원주홈의 깊이가 얕은 쪽의 단부와 중복하거나 근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부분 원주홈에서 온도 상승한 윤활유가 신속하게 축방향 홈으로 유도되고, 축방향 홈을 통해 부시의 내주로부터 배출된다. In the above-mentioned floating bushing bearing and exhaust turbine for a ship, the bushing is installed at a position overlapping or near the shallow end of the partial circumferential groove while overlapping the at least one oil supply hole 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sh And at least one axial groov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lubricating oil whose temperature has risen in the partial circumferential groove is quickly guided to the axial groove, and is discharged from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ush through the axial groove.
본 발명에 따른 부동 부시 베어링 및 선박용 배기터빈에서는, 부시의 내주면에 마련된 부분 원주홈의 유막 압력으로 축이 하방으로 눌려지는 것에 의해 축의 진동이 억제된다. 또한, 부시의 내주면에 마련된 부분 원주홈에 의해서, 특허문헌 3에 기재된 것과 같은 종래의 압력 댐 베어링과 비교하여, 부시 및 윤활유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가 있다. 더불어, 부분 원주홈은, 다원호 베어링의 부시 내주면과 비교하여 단순한 형상으로, 가공 비용을 억제할 수가 있다. In the floating bushing bearing and the marine exhaust turb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ft is depressed downward by the oil film pressure of the partial circumferential groove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sh, whereby the shaft vibration is suppressed. The partial circumferential groove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shing can suppress the temperature rise of the bush and the lubricating oil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pressure dam bearing described i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선박용 배기터빈을 포함하는 선박용 엔진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부동 부시 베어링을 축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에 따른 부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오목부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도 2의 Ⅲ-Ⅲ 선에 따른 부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오목부의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 1에 따른 부동 부시 베어링의 각종 치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 1에 따른 부동 부시 베어링으로 지지한 축과 비교예 1에 따른 부동 부시 베어링으로 지지한 축의 회전수와 진폭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marine engine system including a marine exhaust turb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loating bushing bearing viewed from the axial direc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ushing taken along line III-III in Fig.
4 is a sectional view of the bushing taken along the line III-III in Fig. 2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recessed por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osition of the concave por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various dimensions of the floating bushing bearin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7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tation speed and the amplitude of the shaft supported by the floating bushing bearin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haft supported by the floating bushing bearing according to the first comparison example.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선박용 배기터빈(7)을 포함하는 선박용 엔진 시스템(1)의 개략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보인 선박용 엔진 시스템(1)은, 도시되지 않은 선박을 항행시키기 위한 이른바 '주 기관'으로서, 선박에 탑재된다. 선박용 엔진 시스템(1)은, 엔진 본체(5)와, 과급기(6)와, 배기터빈(7)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 선박용 엔진 시스템(1)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차례로 설명한다. Nex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엔진 본체(5)(선박용 엔진)는, 선박용 엔진 시스템(1)의 중심을 이루는 장치로서, 본 실시형태의 엔진 본체(5)는 이른바 '저속 디젤 엔진'이다. 엔진 본체(5)는, 선단에 프로펠러(16)가 장착된 프로펠러 축(15)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프로펠러(16)를 선박이 전진하는 방향으로 추진력이 발생하도록 정회전시키거나 선박이 후진하는 방향으로 추진력이 발생하도록 역회전시킬 수 있다. 프로펠러 축(15)은 크랭크축(51)에 연결되어 있으며, 크랭크축(51)은 복수의 피스톤(52)에 연결되어 있다. 각 피스톤(52)은 실린더(53) 내에서의 연료의 폭발에 따라 왕복 운동하고, 각 피스톤(52)의 왕복운동에 의해서 크랭크축(51)이 회전한다. The engine main body 5 (marine engine) is a device constituting the center of the
또한, 엔진 본체(5)는, 각 실린더(53)의 상류 측에 공통 소기관(掃氣管)(55)과, 각 실린더(53)의 하류 측에 공통 배기관(56)을 구비한다. 소기관(55)은, 과급기(6)에서 압축된 공기를 일단 모아서 각 실린더(53)로 공급한다. 배기관(56)은, 실린더(53)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를 일단 모아서 과급기(6) 및 배기터빈(7)으로 공급한다. The engine
과급기(6)는, 외부로부터 취입된 공기를 압축하여 엔진 본체(5)에 공급하는 장치이다. 과급기(6)는, 터빈 부(61)와 컴프레서 부(62)를 가진다. 엔진 본체(5)의 배기관(56)으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는 터빈 부(61)로 공급된다. 터빈 부(61)는, 공급된 배기가스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회전한다. 터빈 부(61)를 통과한 배기가스는 연도로 유도된다. 컴프레서 부(62)는, 연결축(63)을 통해 터빈 부(61)와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터빈 부(61)의 회전에 따라서 컴프레서 부(62)도 회전한다. 컴프레서 부(62)는, 외부로부터 취입된 공기를 압축하여 소기관(55)으로 공급한다. The
배기터빈(7)은, 배기가스 에너지를 이용하여 엔진 본체(5)를 조력하는 장치(파워 터빈)이다. 배기터빈(7)은, 터빈 부(71)와 가변 노즐(72)을 가진다. 배기터빈(7)에 엔진 본체(5)로부터 배기가스가 공급되면, 터빈 부(71)는, 공급된 배기가스의 에너지에 의해서 회전한다. 터빈 부(71)와 일체로 회전하는 축(3)은 엔진 본체(5)의 크랭크축(51)에 감속기(12)를 통해 연결되어, 터빈 부(71)의 회전 동력이 감속기(12)를 통해 크랭크축(51)에 전달된다. 또한, 배기가스에 의해서 회전할 때의 배기터빈(7)의 회전방향은 일정하며, 엔진 본체(5)가 정회전 할 경우에만 엔진 본체(5)를 조력할 수가 있다. The
가변 노즐(72)은, 배기터빈(7)의 입구 측에 설치되어, 주로 환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가동 베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구성된다. 이 가동 베인의 각도를 바꾸는 것으로, 가변 노즐(72)의 개구 면적(개도)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터빈 부(61)로의 배기가스 유입 속도를 변화시킬 수가 있다. 또한, 가변 노즐(72)의 개도를 조정하는 것으로, 과급기(6)에 공급되는 배기가스의 양(엔진 본체(5)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양에 대한 과급기(6)에 공급되는 배기가스의 양의 비율)을 변화시킬 수가 있다. The
배기터빈(7)의 축(3)은, 부동 부시 베어링(2)에 의해 지지 된다. 부동 부시 베어링(2)은, 베어링 하우징(21)과, 베어링 하우징(21)에 회전 불가능하게 내장됨과 함께 축(3)의 외측에 끼워지는 부시(4)와, 부시(4)의 내주면(42) 측과 외주면(41) 측 각각에서 윤활유에 의해 형성되는 유막으로 구성된다. 부시(4)의 내주면(42)이, 축(3)과의 미끄럼 면(접동면)이다. The shaft (3) of the exhaust turbine (7) is supported by a floating bushing bearing (2). The
베어링 하우징(21)에는, 부시(4)를 내장하기 위한 원기둥 모양의 공간인 하우징 보어(23)와, 하우징 보어(23)로 윤활유를 공급하기 위한 유로(22)가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부동 부시 베어링(2)에는, 하우징 보어(23)의 감속기(12) 측과 배기터빈(7) 측 각각에 1개씩의 부시(4)가 설치된다. 이하, 각 부시(4)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각 부시(4)는 동일한 구조이므로, 여기서는 그 중 하나의 부시(4)에 대해서 설명한다. The bearing
도 2는 부동 부시 베어링(2)을 축방향(L)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에 따른 부시(4)의 단면도, 도 4는 부분 원주홈(44)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도 2의 Ⅲ-Ⅲ 선에 따른 부시(4)의 단면도, 도 5는 부분 원주홈(44)의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보인 바와 같이, 부시(4)는, 축(3)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두꺼운 원통 형상을 가진다. 부시(4)는, 부시(4)의 외주면(41)과 하우징 보어(23)의 내주면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생기도록 베어링 하우징(21)의 내측에 배치됨과 동시에, 적어도 1개(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회전구속 핀(24)에 의해서 베어링 하우징(21)에 대한 부시(4)의 회전이 규제된다. 즉, 부동 부시 베어링(2)은, 이른바 '세미 부동 부시 베어링'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부시(4)에는, 부시(4)를 반지름 방향으로 관통하고, 부시(4)의 내주면(42) 측과 외주면(41) 측을 연통시키는, 적어도 1개의 급유 구멍(43)이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부시(4)의 정상부를 포함하여, 부시(4)를 원주방향으로 3등분 하는 적절한 위치 각각에 급유 구멍(43)이 마련된다. 단, 급유 구멍(43)의 위치는 본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At least one
부시(4)의 외주면(41) 측으로, 베어링 하우징(21)의 유로(22)를 통해서 윤활유가 공급되고, 이 윤활유에 의해 부시(4)의 외주면(41) 측에 유막이 형성된다. 그리고 부시(4)의 외주면(41) 측의 윤활유는, 부시(4)의 각 급유 구멍(43)을 통해서 부시(4)의 내주면(42) 측으로 공급되고, 이 윤활유에 의해 부시(4)의 내주면(42) 측에 유막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부시(4)의 내주면(42) 및 외주면(41)에 형성된 유막에 의해 축(3)이 지지된다. Lubricating oil is supplied to the outer
부시(4)의 내주면(42)에는, 적어도 1개의 축방향 홈(46)(축 방향(L)으로 연장되는 오일 홈)이 형성된다. 각 축방향 홈(46)에는 급유 구멍(43)이 개구 되어 있다. 각 축방향 홈(46)의 횡단면 형상은, 삼각형 또는 반원형이어도 좋다. 이들 축방향 홈(46)을 통하여, 부시(4)의 내주면(42) 측의 윤활유가 부시(4)의 축방향(L) 양측으로 유도되어 나간다. At least one axial groove 46 (oil groove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L) is formed in the inner
또한, 부시(4)의 상반(上半) 부분 내주면(42)에는, 축(3)의 회전 방향(정회전 방향)으로 깊이가 서서히 얕아지는 테이퍼 모양의 부분 원주홈(44)이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부분 원주홈(44)은, 부시(4)의 축방향(L) 전체 폭에 걸쳐서 형성된, 이른바 '관통홈'이다. 단, 도 4에 보인 바와 같이, 부분 원주홈(44)이, 부시(4)의 축방향(L) 양단에 남겨 진 진원(眞圓) 형태의 랜드(land) 부(48) 사이에 형성되는, 이른바 '멈춤 홈'이어도 좋다. A tapered partial
부분 원주홈(44)은, 더욱 적은 용적으로 효과적으로 축(3)의 진동을 억제하기 위하여, 부시(4)의 상반 부분의 내주면(42) 중 축(3)의 회전방향 상류 측의 사분원의 영역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보인 바와 같이, 부시(4)를 축 방향(L)에서 바라볼 때, 부시(4)의 축심을 '원점(O)'으로 하고, 원점(O)을 통과하는 수평선을 'X-축'으로 하며, 원점(O)을 통과하는 수선을 'Y-축'으로 하고, 축(3)의 회전방향을 '회전방향'으로 하는 극좌표 계를 가정한다. 이 극좌표 계에서, 부분 원주홈(44)의 시작 단부(P1)는 X-축 상의 0°에서 45°까지의 범위(더 바람직하게는, 15°에서 30°까지의 범위)에 있고, 부분 원주홈(44)의 끝 단부(P2)는 45°에서 90°까지의 범위(더 바람직하게는, 70°에서 90°까지의 범위)에 있다. 즉, r1을 부시(4)의 내주면(42)의 반지름이라고 하면, 부분 원주홈(44)의 시작 단부(P1)의 좌표를 (r1, θ1)으로 표시하고, 부분 원주홈(44)의 끝 단부(P2)의 좌표를 (r1, θ2)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0°≤ θ1 ≤45°(더 바람직하게는, 15°≤ θ1 ≤ 30°), 45°≤ θ2 ≤ 90°(더 바람직하게는, 70°≤ θ2 ≤ 90°), θ1 < θ2이다. 또한, 상기 극좌표 계에서, 부분 원주홈(44)의 깊이가 최대가 되는 최심부(P3)의 좌표는 (r2, θ3)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r1 < r2이고, θ1≤ θ3 < θ2이다. The partial
부분 원주홈(44)의 끝 단부(P2)(즉, 깊이가 얕은 쪽의 원주방향 단부)는, 부시(4)의 내주면(42)의 정상부에 형성된 축방향 홈(46)과 중복하거나 근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근접하는」이란, 부시(4)를 축방향(L)에서 바라보았을 때, 부시(4)의 축심과 부분 원주홈(44)의 끝 단부(P2)를 통과하는 직선과, 부시(4)의 축심과 축방향 홈(46)을 통과하는 직선과의, 2개의 직선이 이루는 각도가 0°보다 크고 15°이하의 범위인 것을 말한다. The end portion P2 of the partial circumferential groove 44 (i.e., the circumferential end on the shallower side) overlaps or is close to the
부분 원주홈(44)의 원주 방향 범위(α)(= θ2 - θ1)는, 클수록 오일 웅덩이의 용적이 커져서 더욱 큰 유막 압력이 발생하지만, 그만큼 오일 웅덩이의 윤활유의 발열량이 증대한다. 그 때문에, 부분 원주홈(44)의 원주 방향 범위(α)의 크기는, 후술하는 축(3)을 부상시키는 힘에 대해 적절하게 축(3)을 억누를 수 있는 유막 압력을 발생시키는 범위에서 좀 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부분 원주홈(44)의 원주 방향 범위(α)는, 예를 들면, 30° 이상 90° 이하(30°≤ α ≤ 90°)이다. The larger the circumferential range? (=? 2 -? 1) of the partial
여기서, 상기 구성의 부동 부시 베어링(2)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축(3)이 고속 회전하면, 부시(4)의 내주면(42) 측의 유막을 형성하고 있는 윤활유의 점성에 의해, 축(3)을 부상시키려고 하는 압력이 발생한다. 이것에 대해, 부시(4)의 내주면(42)에 형성된 부분 원주홈(44)이 윤활유의 오일 웅덩이로서의 기능을 하고, 이 오일 웅덩이에 윤활유의 운동 에너지가 압력으로 저장됨으로써, 오일 웅덩이 부분의 유막 압력이 다른 부분보다 높아진다. 이 오일 웅덩이 부분의 유막 압력에 의해서 축(3)이 하방으로 눌려진다. 이것에 의해, 부시(4) 내의 축(3)의 편심률이 커지게 되어, 축(3)의 진동이 억제되고, 축(3)의 회전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Here, the action of the floating
그리고 상기 구성의 부동 부시 베어링(2)에서는, 부분 원주홈(44)의 깊이가 시작 단부(P1)로부터 끝 단부(P2)를 향하여(즉, 축(3)의 회전 방향을 따라서) 서서히 얕아지는 것에 의해, 부분 원주홈(44)의 깊이가 일정한 경우와 비교하여, 홈의 개구 면적에 대한 홈의 용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부분 원주홈(44)에 모인 윤활유에 의한 유막의 발열량을 감소시킬 수가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floating
또한, 부분 원주홈(44)의 깊이가 시작 단부(P1)로부터 끝 단부(P2)를 향해서 얕아지고, 끝 단부(P2)와 랜드(미끄럼 면) 또는 축방향 홈(46)이 매끄럽게 연속하고 있음으로써, 축(3)의 회전에 따라서 부분 원주홈(44)에 모여있는 윤활유가 부분 원주홈(44)의 끝 단부(P2)로부터 서서히 배출됨과 함께, 부분 원주홈(44)의 시작 단부(P1)로부터 새로이 윤활유가 부분 원주홈(44) 안으로 도입된다. 이와 같이 부분 원주홈(44)에서 윤활유가 체류하지 않기 때문에, 부분 원주홈(44)에 모여있는 윤활유의 온도 상승을 낮출 수 있다. The depth of the partial
또한, 상기 구성의 부동 부시 베어링(2)에서는, 부분 원주홈(44)의 끝 단부(P2)가, 부시(4)의 내주면(42)의 정상부에 형성된 축방향 홈(46)과 중복하거나 근접하고 있으므로, 부분 원주홈(44)에서 온도 상승한 윤활유가 신속하게 축방향 홈(46)으로 유도되고, 축방향 홈(46)을 통해서 부시(4)의 내주로부터 배출된다. 이와 같은 윤활유의 흐름에 의해 부분 원주홈(44)에서 발생한 열이 부시(4)의 외부로 방산 되므로, 부시(4) 안으로의 윤활유 급유에 의한 냉각 효과를 높일 수가 있다. The end portion P2 of the partial
또한, 상기 구성의 부동 부시 베어링(2)에서, 부시(4)의 부분 원주홈(44)의 형상은 다원호 베어링의 부시 내주면 형상과 비교하여 단순하다. 따라서, 부시(4)에 부분 원주홈(44)을 가공하기 위한 비용을, 다원호 베어링의 부시 내주면 형상을 가공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억제할 수가 있다. Further, in the floating
[실시예][Example]
본 발명에 따른 부동 부시 베어링(2)의 축(3)의 진동 억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음에 설명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 실험에서는 실시예 1에 따른 부동 부시 베어링, 비교예 1에 따른 부동 부시 베어링 및 비교예 2에 따른 부동 부시 베어링 각각에 대해서, 부동 부시 베어링으로 축(3)을 지지하고, 축(3)의 회전수를 변화시켜가면서 축(3)의 진폭을 측정하였다. In order to verify the vibration suppressing effect of the
도 6은 실시예 1에 따른 부동 부시 베어링의 각종 치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보인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따른 부동 부시 베어링에서는, 부동 부시 베어링(2)의 하우징 보어(23)의 직경(Φ2)을 53mm, 부시(4)의 외경(D)을 52.72mm, 부시(4)의 내경(d)(부분 원주홈(44) 부분을 제외한다)을 36.2mm, 축(3)의 직경(Φ1)을 36mm, 부시(4)의 축방향(L) 폭을 0.7mm, 축방향 홈(46)의 깊이를 0.7mm로 하였다. 또한, 부분 원주홈(44)의 최대 깊이(h)를 0.2mm, 부분 원주홈(44)의 시작 단부(P1)의 편각(θ1)을 15°, 부분 원주홈(44)의 끝 단부(P2)의 편각(θ2)을 75°, 부분 원주홈(44)의 원주 방향 범위(α)를 60°로 하였다. 6 is a view for explaining various dimensions of the floating bushing bearin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6, the diameter? 2 of the housing bore 23 of the floating
비교예 1에 따른 부동 부시 베어링은, 부시(4)의 내주면(42)에 부분 원주홈(44)이 없고, 축방향(L)에서 바라본 부시(4)의 내주면(42)이 진원인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따른 부동 부시 베어링과 동일한 형상이다. 또한, 비교예 2에 따른 부동 부시 베어링은, 부시(4)의 내주면(42)에 축방향 홈(46)이 없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따른 부동 부시 베어링과 동일한 형상이다. The floating bushing bearing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1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inner
도 7은 실시예 1에 따른 부동 부시 베어링으로 지지한 축(3)과 비교예 1에 따른 부동 부시 베어링으로 지지한 축(3)의 회전수와 진폭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의 그래프에서, 종축이 축(3)의 진폭[㎛]을 나타내고, 횡축이 축(3)의 회전수[rpm]를 나타낸다. 이 그래프에서는, 축(3)이 높은 회전수(25,000 ~ 50,000 rpm)일 때, 비교예 1에 따른 부동 부시 베어링으로 지지한 축(3)보다, 실시예 1에 따른 부동 부시 베어링으로 지지한 축(3)의 진폭이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결과로부터, 실시예 1에 따른 부동 부시 베어링은, 비교예 1에 따른 부동 부시 베어링과 비교하여, 축(3)의 높은 회전수(25,000 ~ 50,000 rpm)에서 축(3)의 진동을 억제하는 효과가 높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7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revolutions and the amplitude of the
또한, 상기 실험에서, 축(3)의 회전수가 35,000 rpm(원주 속도 66.0m/s) 이고 베어링 간극이 160㎛에서의 부시(4)의 3점평균온도를 계측하였는바, 비교예 1에 따른 부동 부시 베어링에서 79.6℃이던 것에 대해, 실시예 1에 따른 부동 부시 베어링에서는 74.4℃로 낮아졌다. 이 결과로부터, 부시(4)의 축(3)과의 미끄럼 면에 형성된 부분 원주홈(44)(오일 웅덩이)에 의해, 부시(4) 및 그 주위의 윤활유의 온도 상승이 억제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Further, in the above experiment, the three-point average temperature of the
또한, 상기 실험에서, 축(3)의 회전수가 35,000 rpm(원주 속도 66.0m/s) 이고 베어링 간극이 200㎛에서의 부시(4)의 3점평균온도를 계측하였는바, 비교예 2에 따른 부동 부시 베어링에서 71.8℃인 것에 대해, 실시예 1에 따른 부동 부시 베어링에서는 67.3℃로 낮아졌다. 또한, 상기 조건에서, 부시(4)의 부분 원주홈(44)의 온도를 계측하였는바, 비교예 2에 따른 부동 부시 베어링에서 82.6℃이던 것에 대해, 실시예 1에 따른 부동 부시 베어링에서는 69.8℃로 낮아졌다. 이 결과로부터, 부시(4)의 내주면(42)에 형성된 축방향 홈(46)에 의해, 부시(4) 및 그 주위 윤활유의 온도 상승이 억제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In the above experiment, the three-point average temperature of the
1: 선박용 엔진 시스템 2: 부동 부시 베어링
3: 축 4: 부시
5: 엔진 본체(선박용 엔진) 6: 과급기
7: 배기터빈(선박용 배기터빈) 71: 터빈 부
12: 감속기 21: 베어링 하우징
22: 유로 23: 하우징 보어
24: 회전구속 핀 41: 외주면
42: 내주면 43: 급유 구멍
44: 부분 원주홈 46: 축방향 홈
48: 랜드 부1: Marine engine system 2: Floating bush bearing
3: Axis 4: Bush
5: engine body (marine engine) 6: supercharger
7: exhaust turbine (exhaust turbine for ship) 71: turbine section
12: Reduction gear 21: Bearing housing
22: Euro 23: Housing bore
24: rotation restraining pin 41: outer peripheral surface
42: inner peripheral surface 43: oil supply hole
44: partial circumferential groove 46: axial groove
48: Land portion
Claims (4)
상기 베어링 하우징에 회전 불가능하게 내장됨과 동시에, 축 외측에 끼워지는 부시로서, 상기 부시를 반지름 방향으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급유 구멍과, 상기 부시의 상반 부분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축의 회전 방향으로 깊이가 얕아지는 부분 원주홈을 갖는 부시; 및
상기 부시의 내주면 측과 외주면 측 각각에 윤활유에 의해 형성되는 유막을 구비하고,
상기 부시가, 상기 부시의 내주면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급유 구멍과 중복하는 동시에, 상기 부분 원주홈의 깊이가 얕은쪽의 단부와 중복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축방향 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동 부시 베어링.
Bearing housing;
At least one oil supply hole formed in the bearing housing so as to be non-rotatably housed and fitted to the outside of the shaft, the at least one oil supply hole passing through the bush in the radial direction; A bush having a shallow partial circumferential groove; And
And an oil film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bush by lubricating oil,
Characterized in that the bush has at least one axial groove which overlaps with the at least one oil supply hole 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sh and is provided at a position overlapping with the shallow end of the depth of the partial circumferential groove, bearing.
상기 부분 원주홈이, 상기 부시의 상반 부분의 내주면 중 상기 축의 회전 방향 상류 측의 사분원의 영역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동 부시 베어링.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rtial circumferential groove is provided in an area of a quadrant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half portion of the bush on the upstream side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shaft.
상기 선박용 엔진으로부터 공급되는 배기가스에 의해 회전하는 터빈부;
상기 터빈부와 일체로 회전하는 축; 및
상기 축을 지지하는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부동 부시 베어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배기터빈.
1. An exhaust turbine for a ship mounted on a ship together with a marine engine,
A turbine section rotated by the exhaust gas supplied from the marine engine;
A shaft rotating integrally with the turbine section; And
The exhaust turbine for a ship as claimed in any one of claims 1 to 3, which supports the shaf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4217706A JP6442226B2 (en) | 2014-10-24 | 2014-10-24 | Floating bush bearing and marine exhaust turbine |
JPJP-P-2014-217706 | 2014-10-24 | ||
PCT/JP2015/004733 WO2016063456A1 (en) | 2014-10-24 | 2015-09-16 | Floating bush bearing and ship exhaust turbin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54443A KR20170054443A (en) | 2017-05-17 |
KR101914682B1 true KR101914682B1 (en) | 2018-11-05 |
Family
ID=55760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7009242A KR101914682B1 (en) | 2014-10-24 | 2015-09-16 | Floating bush bearing and ship exhaust turbine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6442226B2 (en) |
KR (1) | KR101914682B1 (en) |
CN (1) | CN107076198B (en) |
WO (1) | WO2016063456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40504A (en) * | 2019-06-07 | 2020-12-16 | 가부시키가이샤 미쯔이 이앤에스 머시너리 | Turbo charger excess power recovery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ship |
CN114576274B (en) * | 2022-02-18 | 2024-03-26 | 北京中煤矿山工程有限公司 | Sliding bearing structure of rock-breaking hob for extremely hard rock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133635A (en) * | 2003-10-30 | 2005-05-26 | Toyota Motor Corp | Bearing structure of turbocharger |
US20090074337A1 (en) * | 2007-09-13 | 2009-03-19 | Elka Precision, Llc | Hybrid hydro (air) static multi-recess journal bearing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149415A (en) * | 1982-02-26 | 1983-09-05 | Hitachi Ltd | Anti-oscillation bearing |
JPS61502692A (en) * | 1984-07-13 | 1986-11-20 | キヤタピラ− トラクタ− コムパニ− | Turbo compound engine in which the output shaft of the power turbine is connected to a synchronous gear |
US6017184A (en) * | 1997-08-06 | 2000-01-25 | Allied Signal Inc. | Turbocharger integrated bearing system |
JP2002534629A (en) * | 1999-01-05 | 2002-10-15 | ティヤガラジャン、マリウス、ラム | New low-cost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excellent mechanical efficiency, fuel saving and pollution control |
JP5979909B2 (en) * | 2012-02-27 | 2016-08-31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Main bearing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2014
- 2014-10-24 JP JP2014217706A patent/JP6442226B2/en active Active
-
2015
- 2015-09-16 WO PCT/JP2015/004733 patent/WO2016063456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09-16 CN CN201580057594.2A patent/CN107076198B/en active Active
- 2015-09-16 KR KR1020177009242A patent/KR10191468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133635A (en) * | 2003-10-30 | 2005-05-26 | Toyota Motor Corp | Bearing structure of turbocharger |
US20090074337A1 (en) * | 2007-09-13 | 2009-03-19 | Elka Precision, Llc | Hybrid hydro (air) static multi-recess journal bear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7076198A (en) | 2017-08-18 |
KR20170054443A (en) | 2017-05-17 |
WO2016063456A1 (en) | 2016-04-28 |
CN107076198B (en) | 2019-06-14 |
JP2016084860A (en) | 2016-05-19 |
JP6442226B2 (en) | 2018-12-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599119B2 (en) | Bearing device for turbocharger | |
US9494189B2 (en) | Turbocharger bearing housing oil groove | |
WO2017046842A1 (en) | Turbocharger | |
US9581195B2 (en) | Low-vibration floating metal bearing | |
JPWO2014097417A1 (en) | Floating bush bearing device and supercharger provided with the same | |
CN104718387A (en) | End face oil configuration for journal bearings | |
KR101914682B1 (en) | Floating bush bearing and ship exhaust turbine | |
KR20170131492A (en) | Oil deflector with oil guide | |
RU2618149C1 (en) | Crank mechanism with piston and two rod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WO2016157575A1 (en) | Connecting rod and cross-head type engine provided with same | |
JP6704107B2 (en) | Thrust collar and thrust bearing device | |
JP6469716B2 (en) | Bearing device for exhaust gas turbocharger and exhaust gas turbocharger | |
JP2010138753A (en) | Bearing device for supercharger | |
US9004041B2 (en) | High-load thrust bearing | |
JP2010169066A (en) | Control device for vehicle | |
US9574458B1 (en) | Bi-rotational thrust bearing for a turbocharger | |
JP2007113708A (en) | Rotation stop structure of bearing, and supercharger using the same | |
US10570952B2 (en) | Thrust washer | |
KR102215297B1 (en) | Bearing crankshaft | |
JP6528720B2 (en) | piston | |
JP5995735B2 (en) | Turbocharger bearing structure and turbocharger including the same | |
WO2017130457A1 (en) | Connecting rod and crosshead-type engine provided with same | |
JP6001470B2 (en) | Turbocharger bearing structure and turbocharger including the same | |
WO2023247816A1 (en) | Bearing shell, main bearing for a piston engine and piston engine | |
EP2612810B1 (en) | Exhaust structure of outboard mo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