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4604B1 - 클라우드 플랫폼을 이용한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플랫폼을 이용한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4604B1
KR101914604B1 KR1020180108051A KR20180108051A KR101914604B1 KR 101914604 B1 KR101914604 B1 KR 101914604B1 KR 1020180108051 A KR1020180108051 A KR 1020180108051A KR 20180108051 A KR20180108051 A KR 20180108051A KR 101914604 B1 KR101914604 B1 KR 101914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iot device
status
item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8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보현
허봉준
권혁주
김영인
Original Assignee
(주)위즈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위즈네트 filed Critical (주)위즈네트
Priority to KR1020180108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46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4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4604B1/ko
Priority to US16/547,572 priority patent/US20200084060A1/en
Priority to CN201910807169.0A priority patent/CN110891005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09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that an appliance service is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a format for calling an appliance service function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4Exchanging control software or macros for 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18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from a device located outside both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60Healthcare; Welfa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형 단말에 의해 인식된 이미지 코드로부터 추출되는 디바이스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광대역 네트워크로 연결 가능한 복수의 IOT 디바이스 중 수신된 디바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IOT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IOT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상태 아이템 및 하나 이상의 제어 아이템을 인식하는 단계 및 결정된 IOT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상태 아이템을 포함하는 상태 정보 및 결정된 IOT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고 현재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제어 아이템을 포함하는 제어상태 정보를 휴대형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플랫폼을 이용한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클라우드 플랫폼을 이용한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CONTROL METHOD AND CONTROL SYSTEM FOR IOT DEVICE USING CLOUD PLATFORM}
본 발명은 클라우드 플랫폼을 이용한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이미지 코드를 통해 인식되는 IOT 디바이스의 상태를 클라우드 플랫폼을 활용하여 확인 가능하고 IOT 디바이스의 출력을 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클라우드 플랫폼을 이용한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기술이 발전하여 각각의 사물에도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게 되었고 이러한 네트워킹 환경이나 기술을 통칭하여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이라 지칭된다. 사물인터넷은 사물들이 다양한 네트워킹 방식으로 연결되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사물인터넷 기술이 널리 활용됨에 따라 각각의 IOT 디바이스는 네트워킹 기술을 통해 스마트폰이나 서버 등에 연결되고 스마트폰이나 서버 등으로 각종 센싱 데이터를 전송하고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제어 데이터에 따라 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특정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해 스마트폰 등은 해당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전용 앱을 구비하여 해당 IOT 디바이스를 근거리 또는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한다.
제어할 IOT 디바이스가 다수 개가 존재하는 경우, 스마트폰 등은 다수의 IOT 디바이스용 앱을 각각 구비하여 해당 IOT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IOT 디바이스를 위한 앱 프로그램들이 필요하다.
단일의 앱 프로그램들을 통해서 다수의 IOT 디바이스의 제어를 가정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도 각각의 IOT 디바이스를 용이하게 특정하거나 지정할 필요가 존재한다.
IOT 디바이스가 널리 활용됨에 따라 IOT 디바이스를 쉽게 구성할 수 있는 내장형 개발 키트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아두이노 키트(보드) 등은 각종 센서,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를 구비한다. 아두이노 키트는 입력 단자가 임의의 입력 신호에 연결되어 입력 신호에 따라 특정 출력 단자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아두이노 키드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가능한 키트는 임의의 입력 단자에 연결되어 임의의 출력 단자를 제어할 수 있다.
아두이노 키트 등과 같은 개발 보드는 IOT 디바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IOT 디바이스는 다양한 환경에서 다양한 기능을 하도록 지정될 수 있고 이를 스마트폰 등에 의해 특정되고 스마트폰 등에 의해 제어가 이루어질 필요가 존재한다.
이러한 기존 IOT 디바이스의 제어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클라우드 플랫폼을 이용한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이 필요하다.
10-1792142호(B1), 2017년11월20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휴대형 단말에서 IOT 디바이스를 인식하고 인식된 IOT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상태 및 제어 인터페이스를 동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우드 플랫폼을 이용한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IOT 디바이스에 표시되어 있는 이미지 코드 인식으로부터 IOT 디바이스를 특정하고 특정된 IOT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상태 이미지와 제어 이미지를 휴대형 단말에 표시하고 제어 이미지에 대한 입력 수신으로 인식된 특정 IOT 디바이스를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우드 플랫폼을 이용한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IOT 디바이스에서 인식되는 상태 아이템과 제어 아이템을 동적으로 라벨링하고 라벨링된 상태 아이템과 제어 아이템을 휴대형 단말에 표시하여 상태를 확인하고 그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IOT 디바이스가 적용 및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우드 플랫폼을 이용한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은 클라우드 서버가 휴대형 단말에 의해 인식된 이미지 코드로부터 추출되는 디바이스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클라우드 서버가 광대역 네트워크로 연결 가능한 복수의 IOT 디바이스 중 수신된 디바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IOT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단계, 클라우드 서버가 결정된 IOT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상태 아이템 및 하나 이상의 제어 아이템을 인식하는 단계 및 클라우드 서버가 결정된 IOT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상태 아이템을 포함하는 상태 정보 및 결정된 IOT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고 현재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제어 아이템을 포함하는 제어상태 정보를 휴대형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인식되는 하나 이상의 상태 아이템 및 하나 이상의 제어 아이템의 개수는 결정된 IOT 디바이스에 따라 서로 상이하다.
상기한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이미지 코드는 QR 코드이고 디바이스 식별자는 MAC 주소이며, 상태 정보의 하나 이상의 상태 아이템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상태 아이콘 이미지 및 제어상태 정보의 하나 이상의 제어 아이템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제어 아이콘 이미지는 휴대형 단말에서 캡쳐링되는 영상 이미지에 오버랩되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상기한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에 있어서, 클라우드 서버가 휴대형 단말로부터 상태 아이템 및 제어 아이템을 라벨링하기 위한 라벨링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클라우드 서버가 결정된 IOT 디바이스의 상태 아이템의 명칭을 라벨링등록 요청의 라벨링 상태명으로 설정하고 제어 아이템의 명칭을 라벨링등록 요청의 라벨링 제어명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태 정보는 상태 아이템의 라벨링 상태명을 포함하고 제어상태 정보는 제어 아이템의 라벨링 제어명을 포함하여 휴대형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상기한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에 있어서, 클라우드 서버가 연결된 복수의 IOT 디바이스 각각으로부터 상태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클라우드 서버가 수신된 각각의 상태 데이터를 IOT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오브젝트의 상태 아이템에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휴대형 단말로 전송되는 상태 정보는 IOT 디바이스로부터의 상태 데이터로 변경되는 상태 아이템을 포함한다.
상기한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에 있어서, 클라우드 서버가 휴대형 단말로부터 제어 아이템 식별자 및 제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클라우드 서버가 휴대형 단말에 연결되어 있는 IOT 디바이스로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제어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IOT 디바이스로부터의 수신되는 제어 응답에 따라 IOT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오브젝트의 제어 아이템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휴대형 단말로 전송되는 제어상태 정보는 IOT 디바이스로부터의 응답에 따라 변경되는 제어 아이템을 포함한다.
상기한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어상태 정보의 제어 아이템은 제어 범위를 특정할 수 있는 제어 타입 데이터를 포함하고, 제어 요청에 포함되는 제어 데이터는 제어 타입에 따라 설정 가능한 제어 범위 내에서 제어 타입별 상이하게 휴대형 단말에 표시되는 제어 아이콘 이미지에 대한 입력으로 결정되는 데이터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IOT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은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고, 클라우드 서버는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유닛,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 가능한 복수의 IOT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디바이스 오브젝트를 저장하는 저장 유닛 및 통신 유닛을 통해 휴대형 단말에 의해 인식된 이미지 코드로부터 추출되는 디바이스 식별자를 수신하고 복수의 디바이스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수신된 디바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IOT 디바이스를 결정하고 결정된 IOT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상태 아이템 및 하나 이상의 제어 아이템을 인식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제어 유닛은 결정된 IOT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상태 아이템을 포함하는 상태 정보 및 결정된 IOT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고 현재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제어 아이템을 포함하는 제어상태 정보를 구성하여 통신 유닛을 통해 휴대형 단말로 전송하며, 인식되는 하나 이상의 상태 아이템 및 하나 이상의 제어 아이템의 개수는 결정된 IOT 디바이스에 따라 서로 상이하다.
상기한 IOT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 유닛은 통신 유닛을 통해 휴대형 단말로부터 상태 아이템 및 제어 아이템을 라벨링하기 위한 라벨링등록 요청을 수신하고 결정된 IOT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오브젝트의 상태 아이템의 명칭을 라벨링등록 요청의 라벨링 상태명으로 설정하고 제어 아이템의 명칭을 라벨링등록 요청의 라벨링 제어명으로 설정하며, 상태 정보는 상태 아이템의 라벨링 상태명을 포함하고 제어상태 정보는 제어 아이템의 라벨링 제어명을 포함하여 휴대형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상기한 IOT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클라우드 서버에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복수의 IOT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고, 제어 유닛은 통신 유닛을 통해 휴대형 단말로부터 제어 아이템 식별자 및 제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어 요청을 수신하고 복수의 IOT 디바이스 중 휴대형 단말로부터 수신된 디바이스 식별자에 따라 연결된 IOT 디바이스로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제어 요청을 통신 유닛을 통해 전송하고 통신 유닛을 통해 IOT 디바이스로부터의 수신되는 제어 응답에 따라 IOT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오브젝트의 제어 아이템을 변경하며, 휴대형 단말로 전송되는 제어상태 정보는 IOT 디바이스로부터의 응답에 따라 변경되는 제어 아이템을 포함한다.
상기한 IOT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상태 정보의 제어 아이템은 제어 범위를 특정할 수 있는 제어 타입 데이터를 포함하고, 제어 요청에 포함되는 제어 데이터는 제어 타입에 따라 설정 가능한 제어 범위 내에서 제어 타입별 상이하게 휴대형 단말에 표시되는 제어 아이콘 이미지에 대한 입력으로 결정되는 데이터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플랫폼을 이용한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은 휴대형 단말에서 IOT 디바이스를 인식하고 인식된 IOT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상태 및 제어 인터페이스를 동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플랫폼을 이용한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은 IOT 디바이스에 표시되어 있는 이미지 코드 인식으로부터 IOT 디바이스를 특정하고 특정된 IOT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상태 이미지와 제어 이미지를 휴대형 단말에 표시하고 제어 이미지에 대한 입력 수신으로 인식된 특정 IOT 디바이스를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플랫폼을 이용한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은 IOT 디바이스에서 인식되는 상태 아이템과 제어 아이템을 동적으로 라벨링하고 라벨링된 상태 아이템과 제어 아이템을 휴대형 단말에 표시하여 상태를 확인하고 그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IOT 디바이스가 적용 및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클라우드 플랫폼을 이용한 IOT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클라우드 서버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클라우드 플랫폼을 이용하여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예시적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휴대형 단말에 표시되는 아이콘 이미지들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클라우드 플랫폼(cloud platform)을 이용한 IOT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IOT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100), 휴대형 단말(300), 클라우드 서버(200) 및 광대역 네트워크(400)를 포함한다.
IOT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기(장치)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면, IOT 디바이스(100)는 클라우드 서버(200)와 연동하여 광대역 네트워크(400)를 통해 제어 가능한 기기이다.
IOT 디바이스(100)는 특정 사물에 결합되거나 사물을 구성하고 해당 사물에서의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할당된 각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IOT 디바이스(100)는 예를 들어 가전 기기, 조명 기기, 가구, 각종 센서 등과 같이 네트워킹이 요구되는 임의의 사물에 결합하거나 임의의 사물을 구성할 수 있다.
IOT 디바이스(100)는 구비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광대역 네트워크(400)에 연결되어 클라우드 서버(200)와 통신 가능하도록 바람직하게 구성된다. IOT 디바이스(100)는 LoRa, NB-IOT, 지그비, 블루투스, 무선랜, 유선랜 등의 근거리 또는 저전력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클라우드 서버(200)에 연결될 수 있다.
IOT 디바이스(100)는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를 구비하여 임의의 입력 포트를 통해 입력(상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상태(입력) 데이터를 구성하여 클라우드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IOT 디바이스(100)는 출력 포트를 구비하여 클라우드 서버(200)로부터의 디바이스 제어 요청을 수신하고 디바이스 제어 요청에 대응하는 출력 포트로 디바이스 제어 요청의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각각의 IOT 디바이스(100)는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이용 가능한 각각의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에 맵핑된 기능이나 제어 또한 서로 다를 수 있다.
각각의 IOT 디바이스(100)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기기이거나 개발용 보드 등과 같이 표준화된 내장형 보드를 특정 제품이나 기능에 적용한 기기일 수 있다. 그에 따라, 각각의 디바이스 유형이나 개발자에 따라 제공되는 기능에 따라 표준화된 내장형 보드의 입력 포트들과 출력 포트들 중에서 서로 이용되는 입력/출력 포트의 수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IOT 디바이스(100)는 이미지 코드(101)를 외부에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IOT 디바이스(100)는 그 외부 케이스나 내장형 보드 내의 칩셋 등에 표시되는 바코드나 QR(Quick Response) 코드 등의 이미지 코드(101)를 내장할 수 있다.
바코드나 QR 코드 등의 이미지 코드(101)는 적어도 IOT 디바이스(100)의 디바이스 식별자를 포함한다. 디바이스 식별자는 적어도 클라우드 서버(200) 상에서 디바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IOT 디바이스(100)를 다른 IOT 디바이스(100)와 식별(구별) 가능하도록 하는 식별자로서 예를 들어 맥(MAC) 주소나 시리얼 번호 등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미지 코드(101)는 QR 코드이고 IOT 디바이스(100)의 디바이스 식별자는 LoRa, NB-IOT, 지그비, 블루투스, 무선랜, 유선랜 등의 근거리 또는 저전력 네트워크에서 이용되는 32비트, 48비트, 128비트 등의 맥(MAC) 주소일 수 있다. IOT 디바이스(100)에 표시되는 이미지 코드(101)는 휴대형 단말(300) 등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인식될 수 있다.
휴대형 단말(300)은 클라우드 플랫폼을 이용한 IOT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상에서 IOT 디바이스(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가 휴대하는 단말이다. 휴대형 단말(300)은 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일 수 있다.
휴대형 단말(300)은 카메라( 센서), 디스플레이, 광대역 네트워크(400)에 연결 가능한 통신 인터페이스, 앱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 소자(예를 들어, 비휘발성 메모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터치 패널, 버튼 등) 및 앱 프로세서를 구비하여 클라우드 서버(200)와 연동하여 카메라( 센서)를 통해 인식된 IOT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형 단말(300)은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이미지 코드(101)를 인식하고 이미지 코드(101)에서 디바이스 식별자를 추출할 수 있다. 휴대형 단말(300)은 추출된 디바이스 식별자를 광대역 네트워크(400)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200)로 전송하고 클라우드 서버(200)로부터 인식된 IOT 디바이스(100)의 입력 포트에 대응하는 상태 정보와 출력 포트의 제어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디스플레이로 출력 가능하다.
휴대형 단말(300)은 상태 정보로부터 하나 이상의 상태 아이콘 이미지를 생성하고 제어상태 정보로부터 하나 이상의 제어 아이콘 이미지를 생성하고 카메라 센서를 통해 캡쳐링되는 영상 이미지에 오버랩핑(overlapping)하여 디스플레이에 출력(표시)할 수 있다.
휴대형 단말(300)은 터치 패널, 버튼 등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사용자 입력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200)를 통해 인식된 IOT 디바이스(100)의 특정 출력 포트를 제어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200)는 광대역 네트워크(400)를 통해 IOT 디바이스(100)(들)에 연결되어 IOT 디바이스(100)를 원격에서 휴대형 단말(300)로부터의 제어 요청에 따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클라우드 서버(200)는 하나 이상의 물리적인 서버로 구성되어 광대역 네트워크(400)상에서 휴대형 단말(300)을 통해 IOT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200)의 구성과 휴대형 단말(300) 및 IOT 디바이스(100)에서 이루어지는 제어 흐름은 도 2 이하에서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광대역 네트워크(400)는 IOT 디바이스(100)들, 클라우드 서버(200) 및 휴대형 단말(300)들 사이에서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광대역 네트워크(400)는 기기, 장치, 단말,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약속된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광대역 네트워크(400)는 이동통신망, 인터넷망 등을 포함하거나 그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클라우드 서버(200)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따르면, 클라우드 서버(200)는 통신 유닛(201), 저장 유닛(203), 제어 유닛(205) 및 연결 유닛(207)을 포함한다. 도 2는 바람직하게는 기능 블록도를 나타내며 대응하는 하드웨어 블록을 각 기능 블록들은 구비한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200)는 하나 이상의 PC, 워크스테이션 및/또는 서버 프레임 등의 조합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200)는 IOT 디바이스(100)나 휴대형 단말(300) 측에서 논리적으로 단일의 서버로 인식될 수 있다. 그러나 클라우드 서버(200)는 물리적인 구조로서 다수의 서버로 구성되거나 인터넷(광대역 네트워크(400))상에서 산재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블록들이 설계 변형에 따라 이 블록도에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도 2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200)를 살펴보면, 통신 유닛(201)은 광대역 네트워크(400)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 유닛(201)은 광대역 네트워크(400)를 통해 지정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구성되는 통신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 유닛(201)은 구비된 유선랜 인터페이스나 무선랜 인터페이스를 통해 광대역 네트워크(400)에 연결되어 각종 정보, 요청, 응답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신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다.
저장 유닛(203)은 각종 데이터와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저장 유닛(203)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하드 디스크 등의 대용량 저장매체를 구비하여 각종 데이터와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저장 유닛(203)은 하나 이상의 하드 디스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활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거나 포함할 수 있다.
저장 유닛(203)에 저장되는 각종 데이터를 살펴보면, 저장 유닛(203)은 IOT 디바이스(100)들을 관리하기 위한 IOT-디바이스 관리 DB(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한다. IOT-디바이스 관리 DB는 IOT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에서 제어 및 관리 가능한 IOT 디바이스(100) 각각을 관리하기 위한 디바이스 오브젝트( 엔트리)를 광대역 네트워크(400)를 통해 연결되어 관리 가능한 IOT 디바이스(100)들의 개수만큼 저장한다.
IOT-디바이스 관리 DB의 각각의 디바이스 오브젝트(Object)는 디바이스 식별 정보,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제품 타입 정보, 하나 이상의 상태 아이템 및 하나 이상의 제어 아이템을 포함한다.
디바이스 식별 정보는 IOT 디바이스(100)의 식별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데, 예를 들어 디바이스 식별 정보는 등록된 IOT 디바이스(100)의 맥(MAC) 주소를 포함하고 나아가 IP 주소 및/또는 이동통신망이나 인터넷망에서 액세스 가능한 전화번호 등을 더 포함한다.
사용자 식별 정보는 휴대형 단말(300)의 식별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데, 예를 들어 사용자 식별 정보는 사용자 ID, 패스워드, IP 주소 및/또는 이동통신망이나 인터넷망에서 액세스 가능한 전화번호 등을 포함한다.
제품 타입 정보는 IOT 디바이스(100)의 제품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제품 타입 정보는 개발자나 IOT 디바이스(100)의 배포자에 의해서 설정 가능한 식별 자(제품 타입 식별자)로서 표준화된 내장형 보드상에서 특정 제품 유형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품 타입 정보는 개발자나 배포자에 의해서 설정될 수 있고 제품 타입 정보에 따라 할당된 입력과 출력의 개수가 (달리) 인식될 수 있다.
상태 아이템은 등록되어 있는 IOT 디바이스(100)에 구비된 입력 포트들 중 이용 가능한 입력 포트의 현재 상태를 설정한다. 각각의 상태 아이템은 입력 포트 식별자, 상태 타입과 상태 데이터를 포함한다.
입력 포트 식별자는 IOT 디바이스(100) 내의 입력 포트 중 특정한 입력 포트를 식별할 수 있는 숫자, 문자 등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상태 타입은 해당 입력 포트를 통해 인식 가능한 데이터의 유형(이진 데이터, 비부호형(unsigned) 또는 부호형(signed)의 8비트 데이터 또는 비부호형 또는 부호형의 16비트 데이터 등)을 나타낸다. 상태 데이터는 상태 타입에 따라 입력 포트를 통해 인식된 (입력) 데이터를 나타낸다. 상태 데이터는 IOT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태 아이템은 사용자 등에 의해서 라벨링 가능한 라벨링 상태명을 더 포함한다.
제어 아이템은 등록되어 있는 IOT 디바이스(100)에 구비된 출력 포트들 중 이용 가능한 출력 포트의 제어 상태를 설정한다. 각각의 제어 아이템은 출력 포트 식별자, 제어 타입과 제어 데이터를 포함한다.
출력 포트 식별자는 IOT 디바이스(100) 내의 출력 포트 중 특정한 출력 포트를 식별할 수 있는 숫자, 문자 등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제어 타입은 해당 출력 포트로 출력될 수 있는 제어 데이터의 타입을 나타낸다. 제어 타입은 예를 들어 이진 타입, 부호형(비부호형)의 8비트 타입 또는 부호형(비부호형)의 16비트 타입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제어 데이터는 해당 출력 포트로 설정되어 현재 출력되는 데이터를 나타낸다. 제어 데이터는 IOT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되어 확인 가능하며 휴대형 단말(300)에 의해서 설정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어 아이템은 사용자 등에 의해서 라벨링 가능한 라벨링 제어명을 더 포함한다.
그 외 저장 유닛(203)은 제품 타입별 입출력 포트를 정의하는 제품타입 정보 D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품타입 정보 DB는 다수의 제품타입 아이템을 포함할 수 있다. 제품타입 아이템은 제품 타입 식별자(제품 타입 정보의 식별자), 맵핑되어 있는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 및 각각의 타입에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품타입 아이템은 개발자, 배포자, 생산자 등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품타입 아이템은 제품타입 식별자와 함께 이용 가능한 모든 입력 포트 중 프로그래밍 등에 의해서 이용되는 입력 포트와 그 타입을 특정하고 이용 가능한 출력 포트 중 프로그래밍 등에 의해서 활용되는 출력 포트와 그 타입을 특정할 수 있도록 한다.
IOT 디바이스(100)가 등록되는 경우에, 이 제품타입 정보 DB를 활용하여 IOT 디바이스(100)의 여러 입출력 포트 중에서 특정한 입출력 포트가 배포자나 설계자 등에 의해서 활용되어 입력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그 출력을 변경할 수 있다.
연결 유닛(207)은 클라우드 서버(200) 내의 블록 간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연결 유닛(207)은 근거리 네트워크, 병렬 버스, 시리얼 버스 등을 이용하여 구성된다.
제어 유닛(205)은 하나 이상의 실행 유닛(Execution Unit)을 구비하여 저장 유닛(203)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로딩하고 실행 유닛을 통해 프로그램의 명령어 코드를 실행하여 클라우드 서버(200)를 제어한다. 제어 유닛(205)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CPU, MPU, 중앙 처리 장치 등을 포함하거나 나타낸다.
제어 유닛(205)은 저장 유닛(203)에 저장되어 있고 IOT 디바이스(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이미지 코드(101)를 통해 인식된 IOT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유닛(205)은 제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특정 개발자나 배포자 등으로부터 제품타입 아이템 등록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등록 요청에 따라 제품타입 아이템을 생성하여 해당 IOT 디바이스(100) 유형에 대한 원격 제어가 가능토록 한다.
제어 유닛(205)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제어는 도 3 이하에서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클라우드 플랫폼을 이용하여 IOT 디바이스(100)를 제어하는 예시적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흐름의 진행에 앞서, 개발자, 배포자, 제조사 등은 배포(판매)하는 IOT 디바이스(100)의 제품 타입을 클라우드 서버(200)에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발자 등은 클라우드 서버(200)의 제품타입 정보 DB에 제품타입 아이템의 생성 요청하여 제품타입 아이템에 제품 타입 식별자, 프로그래밍 등에 의해 이용되는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 그리고 각각의 포트의 타입(예를 들어 이진, 8비트 등)을 지정할 수 있다.
등록되는 IOT 디바이스(100)는 내장형 보드를 포함하고 이 내장형 보드는 개발용 키트에 포함되는 보드일 수 있다. 본 제품타입 아이템의 등록에 따라 동일한 내장형 보드를 활용하는 서로 다른 IOT 디바이스(100)는 배포자나 개발자 등의 서로 다른 프로그래밍에 따라 서로 다른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를 활용할 수 있고 해당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를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제품타입 정보 DB의 제품타입 아이템의 등록은 설계 변형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먼저, 클라우드 서버(200)(의 제어 유닛(205))는 IOT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상에서 관리 가능한 IOT 디바이스(100)와의 접속 연결을 통신 유닛(201)을 통해 설정(① 참조)한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200)(의 제어 유닛(205))는 임의의 IOT 디바이스(100)(1:N, N은 2 이상)로부터의 접속 연결 요청에 따라 접속 연결 요청으로부터 추출 가능한 IOT 디바이스(100)의 식별 정보를 추출하여 연결 가능한 IOT 디바이스(100)인 지를 저장 유닛(203)의 디바이스 오브젝트(Object)들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하고 연결 가능한 IOT 디바이스(100)인 경우 광대역 네트워크(400)상에서 통신 채널을 설정한다. 클라우드 서버(200)(의 제어 유닛(205))는 설정된 통신 채널을 통해 각종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신 패킷을 IOT 디바이스(100)와 송수신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200)에 연결된 IOT 디바이스(100)는 설정된 주기나 입(출)력 데이터의 변경에 따라, 하나 이상의 상태 데이터 및/또는 하나 이상의 제어 상태 데이터를 생성하여 클라우드 서버(200)로 전송(② 참조)한다.
IOT 디바이스(100)로부터 클라우드 서버(200)로의 상태 데이터 및 제어 상태 데이터의 전송은 설정된 주기에 따라서 또는 데이터의 변경에 따라서 발생하여 다른 제어 단계의 발생 중, 전, 후에 계속 이루어진다.
각각의 상태 데이터는 입력 포트 식별자(예를 들어 입력 포트 번호 등)와 함께 해당 입력 포트에서 인식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제어 상태 데이터는 출력 포트 식별자(예를 들어, 출력 포트 번호)와 함께 해당 출력 포트로 출력되고 있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인식 데이터와 출력 데이터는 설정된 데이터 타입에 따른 데이터일 수 있다.
상태 데이터 및/또는 제어 상태 데이터를 IOT 디바이스(100)로부터 통신 유닛(201)을 통해 수신함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200)(의 제어 유닛(205))는 데이터를 전송한 IOT 디바이스(100)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오브젝트를 저장 유닛(203)에서 검색한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200)(의 제어 유닛(205))는 상태 데이터 및/또는 제어 상태 데이터를 전송한 통신 채널의 디바이스 식별자로 대응하는 디바이스 오브젝트를 검색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200)(의 제어 유닛(205))는 검색된 디바이스 오브젝트의 상태 아이템 각각에 수신된 상태 데이터 각각을 설정하고 제어 아이템 각각에 수신된 제어 상태 데이터 각각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200)(의 제어 유닛(205))는 상태 데이터의 입력 포트 식별자에 대응하는 상태 아이템을 검색하고 해당 상태 아이템의 상태 데이터를 인식 데이터로 갱신하고 제어 상태 데이터의 출력 포트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어 아이템을 검색하고 해당 제어 아이템의 제어 데이터를 출력 데이터로 갱신할 수 있다.
제어 데이터의 갱신 예는 설계 예에 따라 생략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200)(의 제어 유닛(205))는 수신된 출력 데이터와 제어 아이템의 제어 데이터의 비교로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그 출력 데이터의 디바이스 오브젝트에 기록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갱신되거나 변경되는 상태 아이템(이나 제어 아이템)은 상태 정보나 제어상태 정보로 구성되어 휴대형 단말(300)로 전송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휴대형 단말(300)은 IOT 디바이스(100)에서 변경된 상태나 제어 출력을 확인 가능하다.
한편, 휴대형 단말(300)은 IOT 디바이스(100)를 제어하기 위한 앱 프로그램을 구동하고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이미지 코드(101)를 인식(③ 참조)한다. 휴대형 단말(300)은 카메라를 통해 캡쳐링된 영상 이미지에서 이미지 코드(101) 부분을 약속된 포맷에 따라 인식하고 이미지 코드(101)에서 약속된 포맷에 따라 구성된 디바이스 식별자를 추출한다. 휴대형 단말(300)은 설계 예에 따라 제품 타입 식별자를 더 추출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바이스 식별자는 IOT 디바이스(100)의 MAC 주소일 수 있고 이미지 코드(101)는 QR 코드이다.
이미지 코드(101)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식별자의 최초 인식에 따라, 휴대형 단말(300)은 인식된 IOT 디바이스(100) 제어를 위한 제어연결 요청을 클라우드 서버(200)로 전송(④ 참조)한다.
제어연결 요청은 적어도 디바이스 식별자를 포함하고 제품 타입 식별자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연결 요청은 단일의 통신 패킷으로 구성되어 전송되거나 다수의 통신 패킷을 이용하여 구성되어 전송될 수도 있다. 적어도, 클라우드 서버(200)는 휴대형 단말(300)로부터 디바이스 식별자를 수신하고 수신된 디바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IOT 디바이스(100)에 휴대형 단말(300)을 연결시킬 수 있다.
통신 유닛(201)을 통해 디바이스 식별자를 수신함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200)(의 제어 유닛(205))는 광대역 네트워크(400)로 연결 가능한 복수의 IOT 디바이스(100) 중 수신된 디바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IOT 디바이스(100)를 결정(⑤ 참조)한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200)(의 제어 유닛(205))는 저장 유닛(203)의 IOT-디바이스 관리 DB에서 디바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디바이스 식별자를 가지는) 디바이스 오브젝트( 엔트리)를 검색한다.
디바이스 오브젝트가 검색되지 않아 디바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IOT 디바이스(100)가 결정되지 못하는 경우에, 클라우드 서버(200)(의 제어 유닛(205))는 신규의 디바이스 오브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
디바이스 오브젝트가 검색되지 않음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200)(의 제어 유닛(205))는 휴대형 단말(300)과 연동하여 신규의 디바이스 오브젝트에 디바이스 식별 정보, 사용자 식별 정보, 제품 타입 정보, 하나 이상의 상태 아이템 및 제어 아이템을 신규 설정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200)(의 제어 유닛(205))는 제품타입 정보 DB에서 이미지 코드(101)를 통해 인식 가능한 제품 타입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품타입 아이템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상태 아이템과 제어 아이템을 최초 설정할 수 있다.
IOT 디바이스(100)가 IOT-디바이스 관리 DB에서 결정됨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200)(의 제어 유닛(205))는 결정된 IOT 디바이스(100)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상태 아이템과 하나 이상의 제어 아이템을 검색된 디바이스 오브젝트에서 인식(⑥ 참조)한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200)(의 제어 유닛(205))는 디바이스 오브젝트의 하나 이상의 상태 아이템과 하나 이상의 제어 아이템을 추출할 수 있다. 인식되는 하나 이상의 상태 아이템과 하나 이상의 제어 아이템의 개수는 IOT 디바이스(100)의 유형별로 서로 상이할 수 있고 심지어 IOT 디바이스(100)가 표준화된 내장형 보드를 가지는 경우에도 서로 상이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200)(의 제어 유닛(205))는 인식된 하나 이상의 상태 아이템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와 결정된 IOT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상태 정보로서 현재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인식된 하나 이상의 제어 아이템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어상태 정보를 구성하고 이를 통신 유닛(201)을 통해 휴대형 단말(300)로 전송(⑦ 참조)한다.
상태 정보의 각각의 상태 아이템은 상태 타입 및 현재의 상태 데이터를 포함하고 라벨링 상태명이나 상태 아이템 식별자(예를 들어, 입력 포트 식별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상태 정보의 각각의 제어 아이템은 제어 타입 및 현재의 제어 데이터를 포함하고 라벨링 제어명이나 제어 아이템 식별자(예를 들어, 출력 포트 식별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휴대형 단말(300)로 전송되는 상태 아이템은 디바이스 오브젝트에 저장된 상태 아이템과는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고 저장된 상태 아이템으로부터 추출되거나 구성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휴대형 단말(300)로 전송되는 제어 아이템은 디바이스 오브젝트에 저장된 제어 아이템과는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고 저장된 제어 아이템으로부터 추출되거나 구성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상태 정보 및 제어상태 정보의 휴대형 단말(300)로의 전송은 상태나 제어상태가 변경된 경우에 발생하거나 설정된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또는 반복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휴대형 단말(300)은 상태 정보 및 제어상태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20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상태 정보 및 제어상태 정보를 휴대형 단말(3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⑧ 참조)한다.
구체적으로, 휴대형 단말(300)은 수신된 상태 정보의 각각의 상태 아이템에 대응하는 각각의 상태 아이콘 이미지를 상태 아이템의 상태 타입과 상태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한다. 휴대형 단말(300)은 상태 데이터의 상태 타입(데이터 타입)에 따라 인식 가능한 데이터 범위 내에서 현재의 상태 데이터를 표시하는 상태 아이콘 이미지를 구성(도 4의 (a) 및 (b) 참조)한다. 특정 상태 아이콘 이미지는 이전의 상태 데이터를 반영하여(포함하여) 구성(도 4의 (b) 참조)될 수 있다. 특정 상태 아이콘 이미지는 현재의 수신된 상태 데이터를 데이터 타입에 따라 설정 가능한 전체 범위내에서 표시(도 4의 (a) 참조)할 수 있다.
또한, 휴대형 단말(300)은 제어상태 정보의 각각의 제어 아이템에 대응하는 각각의 제어 아이콘 이미지를 수신된 제어 아이템의 제어 타입과 제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한다. 제어상태 정보에 포함되는 제어 타입은 제어 범위를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타입이 이진 타입인 경우에 해당 제어 데이터는 1(On) 또는 0(Off)의 제어값을 가진다. 제어 타입이 8비트(16비트) 타입인 경우에 해당 제어 데이터는 0~255(0~65535)까지의 제어값을 가질 수 있다.
휴대형 단말(300)은 현재의 수신된 제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각의 제어 타입에 따라 제어 아이콘 이미지를 각 제어 아이템을 대상으로 구성한다. 예를 들어, 휴대형 단말(300)은 이진 타입의 제어 아이콘 이미지를 On/Off 버튼 이미지(도 4의 (c) 참조)로 구성한다. 휴대형 단말(300)은 8비트 등의 제어 아이콘 이미지를 스케일 바(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현재 설정값을 변경 가능한 이미지 아이콘, 도 4의 (d) 참조)의 형태로 구성한다. 휴대형 단말(300)은 각각의 제어 아이콘 이미지에 현재의 설정된 제어 데이터(제어 값)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휴대형 단말(300)은 상태 정보로부터 구성된 하나 이상의 상태 아이콘 이미지와 제어상태 정보로부터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제어 아이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각각의 상태 아이콘 이미지와 각각의 제어 아이콘 이미지는 휴대형 단말(300)에서 카메라를 통해 캡쳐링되는 영상 이미지에 오버랩되어 디스플레이에 바람직하게 표시된다.
각각의 아이템에 대응하는 라벨링 명이 수신된 경우에, 휴대형 단말(300)은 대응하는 라벨링 명칭을 상태 아이콘 이미지나 제어 아이콘 이미지에 맵핑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휴대형 단말(300)의 사용자는 각 이미지 아이콘의 제어 대상이나 용도를 정확히 인식하고 그에 따라 용도에 따른 상태를 확인하거나 원하는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IOT 디바이스(100)는 다양한 개발자, 제작자, 배포자 등에 의해서 구성되어 사용자가 이용 가능하기에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고 나아가 그 입력과 출력의 목적이나 용도가 사용자별로 다를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각각의 입력이나 출력 포트에 대해 개별적인 라벨링이 필요하고 라벨링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휴대형 단말(300)의 사용자는 앱 프로그램을 통해 각각의 상태 아이콘 이미지와(나) 제어 아이콘 이미지에 사용자가 희망하는 명칭으로 라벨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휴대형 단말(300)의 사용자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상태 아이콘 이미지나 제어 아이콘 이미지에 대한 라벨링 명칭을 입력하고 휴대형 단말(300)은 입력된 라벨링 명칭을 포함하는 라벨링등록 요청을 구성하여 클라우드 서버(200)로 전송(⑨ 참조)한다.
라벨링등록 요청은 라벨링될 상태 아이템의 상태 아이템 식별자와 함께 라벨링 상태명을 포함하고(거나) 라벨링된 제어 아이템의 제어 아이템 식별자와 함께 라벨링 제어명을 포함한다. 라벨링 상태명 및 라벨링 제어명은 숫자, 문자 등의 조합으로 구성되고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되는 데이터이다.
클라우드 서버(200)(의 제어 유닛(205))는 광대역 네트워크(400)로부터 통신 유닛(201)을 통해 라벨링등록 요청을 수신(⑨ 참조)하고 앞서 결정된 IOT 디바이스(100)(⑤ 참조)의 디바이스 오브젝트의 상태 아이템의 명칭을 라벨링등록 요청의 라벨링 상태명으로 설정하고(거나) 제어 아이템의 명칭을 라벨링 제어명으로 설정(⑩ 참조)한다.
클라우드 서버(200)(의 제어 유닛(205))는 라벨링등록 요청의 상태 아이템 식별자를 이용하여 설정 변경이 이루어질 상태 아이템을 결정된 IOT 디바이스(100)의 디바이스 오브젝트에서 검색하고 해당 상태 아이템의 라벨링 상태명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200)(의 제어 유닛(205))는 라벨링등록 요청의 제어 아이템 식별자를 이용하여 설정 변경이 이루어질 제어 아이템을 결정된 IOT 디바이스(100)의 디바이스 오브젝트에서 검색하고 해당 제어 아이템의 라벨링 제어명을 변경할 수 있다.
라벨링의 변경 후에 휴대형 단말(300)로 전송되는 상태 정보와(나) 제어상태 정보는 설정 변경된 라벨링 상태명이나 라벨링 제어명을 포함하여 생성되는 상태 이미지 아이콘과(이나) 제어 아이콘 이미지와 함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한편, 휴대형 단말(300)은 입력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에 결합되어 있는 터치 패널)를 통해 특정 제어 아이콘 이미지에 대한 제어 입력을 수신(⑪ 참조)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온/오프 버튼 이미지의 온/오프 설정을 변경하거나 스케일 바에서 현재 설정값을 변경하는 제어 입력을 인가하고 휴대형 단말(300)은 이를 수신할 수 있다.
휴대형 단말(300)은 제어 입력으로부터 제어를 요청한 제어 이미지 아이콘에 대응하는 제어 아이템을 식별하고 제어 아이템의 제어 타입과 제어 입력에 따라 제어 변경 요청할 제어 데이터를 결정한다. 제어 타입에 따라 그 결정되는 제어 데이터는 제어 타입에 따라 설정 가능한 제어 범위내에서 서로 상이할 수 있는 데, 이진 타입의 제어 데이터는 온(1) 또는 오프(0)를 나타내는 제어값일 수 있고 8비트 타입의 제어 데이터는 0에서 255 사이의 제어값일 수 있다. 각각의 제어 데이터는 대응하는 제어 아이콘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결정된다.
휴대형 단말(300)은 사용자에 의한 입력에 따라 제어 요청을 구성하여 클라우드 서버(200)로 전송(⑫)하고 클라우드 서버(200)(의 제어 유닛(205))는 통신 유닛(201)을 통해 수신한다. 클라우드 서버(200)로 전송되는 제어 요청은 제어 변경이 이루어질 제어 아이템 식별자 및 변경될 제어 데이터를 포함한다.
클라우드 서버(200)(의 제어 유닛(205))는 제어 연결 요청 등에 따라 관리 중인 복수의 IOT 디바이스(100) 중에서 이미지 코드(101)를 통한 디바이스 식별자의 수신에 따라 휴대형 단말(300)에 연결되어 있는 IOT 디바이스(100)로 디바이스 제어 요청을 통신 유닛(201)을 통해 전송(⑬ 참조)한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200)는 출력 포트 식별자(제어 아이템 식별자) 및 해당 출력 포트로 출력될 제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어 요청을 수신되는 제어 요청으로부터 구성하여 해당 IOT 디바이스(100)로 전송할 수 있다.
디바이스 제어 요청을 광대역 네트워크(400)를 통해 수신한 IOT 디바이스(100)는 출력 포트 식별자에 대응하는 출력 포트를 수신된 제어 데이터(이진 데이터, 8비트, 16비트 데이터 등)로 설정한다. 설정에 따른 제어 데이터의 출력 후에, IOT 디바이스(100)는 제어 데이터의 설정을 확인(예를 들어 출력 데이터를 읽고 수신된 제어 데이터를 읽은 출력 데이터와 비교하여 동일 여부를 판단)하여 제어 변경 완료나 제어 변경 불가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어 응답을 구성하여 클라우드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200)(의 제어 유닛(205))는 IOT 디바이스(100)로부터 디바이스 제어 요청에 대응한 제어 응답을 수신(⑭ 참조)하고 제어 응답에 따라 IOT 디바이스(100)의 디바이스 오브젝트의 제어 아이템 식별자(출력 포트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어 아이템(의 제어 데이터)을 변경(⑮ 참조)한다.
이후, 클라우드 서버(200)로부터 휴대형 단말(300)로 전송되는 제어상태 정보는 IOT 디바이스(100)로부터의 제어 응답에 따라 변경되는 제어 아이템을 포함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200)를 통해 IOT 디바이스(100)에 연결된 휴대형 단말(300)은 계속 상태 정보나 제어상태 정보를 주기적으로 또는 변경 이벤트에 따라 수신(⑦, ⑧ 참조)할 수 있고 수신된 정보에 따라 특정 출력 포트의 제어를 변경(⑪, ⑫ 등참조)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IOT 디바이스(100)는 주기적으로 또는 입력(상태) 등의 변경에 따라 상태 데이터나 제어 상태 데이터를 전송(② 참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흐름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IOT 디바이스(100)를 휴대형 단말(300)을 통해 제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동일한 내장형 보드를 활용하는 IOT 디바이스(100)의 구성 변형예를 반영하여 개별적으로 IOT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IOT 디바이스(100)의 입출력 데이터 타입을 반영하여 휴대형 단말(300)에 표시 가능하고 각 데이터 타입에 따라 특화된 제어가 가능토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IOT 디바이스
101 : 이미지 코드
200 : 클라우드 서버
201 : 통신 유닛 203 : 저장 유닛
205 : 제어 유닛 207 : 연결 유닛
300 : 휴대형 단말
400 : 광대역 네트워크

Claims (10)

  1. 클라우드 서버가 휴대형 단말에 의해 인식된 이미지 코드로부터 추출되는 디바이스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클라우드 서버가 광대역 네트워크로 연결 가능한 복수의 IOT 디바이스 중 수신된 디바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IOT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단계;
    클라우드 서버가 결정된 IOT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상태 아이템 및 하나 이상의 제어 아이템을 인식하는 단계; 및
    클라우드 서버가 결정된 IOT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상태 아이템을 포함하는 상태 정보 및 상기 결정된 IOT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고 현재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제어 아이템을 포함하는 제어상태 정보를 상기 휴대형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인식되는 하나 이상의 상태 아이템 및 하나 이상의 제어 아이템의 개수는 결정된 IOT 디바이스에 따라 서로 상이한,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코드는 QR 코드이고 상기 디바이스 식별자는 MAC 주소이며,
    상기 상태 정보의 하나 이상의 상태 아이템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상태 아이콘 이미지 및 상기 제어상태 정보의 하나 이상의 제어 아이템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제어 아이콘 이미지는 휴대형 단말에서 캡쳐링되는 영상 이미지에 오버랩되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클라우드 서버가 휴대형 단말로부터 상태 아이템 및 제어 아이템을 라벨링하기 위한 라벨링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클라우드 서버가 결정된 IOT 디바이스의 상태 아이템의 명칭을 라벨링등록 요청의 라벨링 상태명으로 설정하고 제어 아이템의 명칭을 라벨링등록 요청의 라벨링 제어명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태 정보는 상태 아이템의 라벨링 상태명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상태 정보는 제어 아이템의 라벨링 제어명을 포함하여 휴대형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클라우드 서버가 연결된 복수의 IOT 디바이스 각각으로부터 상태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클라우드 서버가 수신된 각각의 상태 데이터를 IOT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오브젝트의 상태 아이템에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휴대형 단말로 전송되는 상기 상태 정보는 IOT 디바이스로부터의 상태 데이터로 변경되는 상태 아이템을 포함하는,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클라우드 서버가 휴대형 단말로부터 제어 아이템 식별자 및 제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휴대형 단말에 연결되어 있는 IOT 디바이스로 상기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제어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IOT 디바이스로부터의 수신되는 제어 응답에 따라 상기 IOT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오브젝트의 제어 아이템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휴대형 단말로 전송되는 제어상태 정보는 IOT 디바이스로부터의 응답에 따라 변경되는 제어 아이템을 포함하는,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상태 정보의 제어 아이템은 제어 범위를 특정할 수 있는 제어 타입 데이터를 포함하고,
    제어 요청에 포함되는 제어 데이터는 제어 타입에 따라 설정 가능한 제어 범위 내에서 제어 타입별 상이하게 휴대형 단말에 표시되는 제어 아이콘 이미지에 대한 입력으로 결정되는 데이터인,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
  7. 클라우드 서버로서,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유닛;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 가능한 복수의 IOT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디바이스 오브젝트를 저장하는 저장 유닛; 및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휴대형 단말에 의해 인식된 이미지 코드로부터 추출되는 디바이스 식별자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수신된 디바이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IOT 디바이스를 결정하고 결정된 IOT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상태 아이템 및 하나 이상의 제어 아이템을 인식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결정된 IOT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상태 아이템을 포함하는 상태 정보 및 결정된 IOT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고 현재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제어 아이템을 포함하는 제어상태 정보를 구성하여 통신 유닛을 통해 상기 휴대형 단말로 전송하며,
    인식되는 하나 이상의 상태 아이템 및 하나 이상의 제어 아이템의 개수는 결정된 IOT 디바이스에 따라 서로 상이한,
    클라우드 서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통신 유닛을 통해 휴대형 단말로부터 상태 아이템 및 제어 아이템을 라벨링하기 위한 라벨링등록 요청을 수신하고 결정된 IOT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오브젝트의 상태 아이템의 명칭을 라벨링등록 요청의 라벨링 상태명으로 설정하고 제어 아이템의 명칭을 라벨링등록 요청의 라벨링 제어명으로 설정하며,
    상기 상태 정보는 상태 아이템의 라벨링 상태명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상태 정보는 제어 아이템의 라벨링 제어명을 포함하여 휴대형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클라우드 서버.
  9. IOT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으로서,
    제7항의 클라우드 서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복수의 IOT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제어 유닛은 통신 유닛을 통해 휴대형 단말로부터 제어 아이템 식별자 및 제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어 요청을 수신하고 복수의 IOT 디바이스 중 휴대형 단말로부터 수신된 디바이스 식별자에 따라 연결된 IOT 디바이스로 상기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제어 요청을 통신 유닛을 통해 전송하고 통신 유닛을 통해 상기 IOT 디바이스로부터의 수신되는 제어 응답에 따라 상기 IOT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오브젝트의 제어 아이템을 변경하며,
    상기 휴대형 단말로 전송되는 제어상태 정보는 IOT 디바이스로부터의 응답에 따라 변경되는 제어 아이템을 포함하는,
    IOT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상태 정보의 제어 아이템은 제어 범위를 특정할 수 있는 제어 타입 데이터를 포함하고,
    제어 요청에 포함되는 제어 데이터는 제어 타입에 따라 설정 가능한 제어 범위 내에서 제어 타입별 상이하게 휴대형 단말에 표시되는 제어 아이콘 이미지에 대한 입력으로 결정되는 데이터인,
    IOT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KR1020180108051A 2018-09-11 2018-09-11 클라우드 플랫폼을 이용한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 KR101914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051A KR101914604B1 (ko) 2018-09-11 2018-09-11 클라우드 플랫폼을 이용한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
US16/547,572 US20200084060A1 (en) 2018-09-11 2019-08-22 Method of controlling iot device using cloud platform, cloud server and system for controlling iot device
CN201910807169.0A CN110891005A (zh) 2018-09-11 2019-08-29 Iot设备的控制方法、云服务器及iot设备控制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051A KR101914604B1 (ko) 2018-09-11 2018-09-11 클라우드 플랫폼을 이용한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4604B1 true KR101914604B1 (ko) 2018-11-02

Family

ID=64328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8051A KR101914604B1 (ko) 2018-09-11 2018-09-11 클라우드 플랫폼을 이용한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084060A1 (ko)
KR (1) KR101914604B1 (ko)
CN (1) CN110891005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05896A (zh) * 2019-01-09 2019-03-01 福晟生活服务有限公司 设备运行状态的检测系统以及方法
CN112468567A (zh) * 2020-10-22 2021-03-09 杭州智尔科技有限公司 一种物联网数据传输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2319511B1 (ko) * 2020-10-15 2021-10-28 김재학 IoT 플랫폼의 운영 및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RU2775168C1 (ru) * 2021-05-31 2022-06-28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ьютон Ин" Система конфигурирования, мониторинга и управления объектами iot
KR20230013379A (ko) 2021-07-19 2023-01-26 기라성 설치 예술품을 이용한 ai 어시스턴트 시스템 및 방법
US11972065B2 (en) 2022-03-08 2024-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face to control external device
KR20240059766A (ko) 2022-10-27 2024-05-08 주식회사 에스원 클라우드 환경에서 트윈 정보를 이용하여 사물인터넷장치의 이벤트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08583B2 (en) * 2018-11-19 2021-08-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llaborative learning and enabling skills among smart devices within a closed social network group
CN113507508B (zh) * 2021-06-25 2022-11-15 中标慧安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物联网与云端同步传输方法和系统
CN114116110A (zh) * 2021-07-20 2022-03-01 上海诺司纬光电仪器有限公司 基于增强现实的智能界面
CN114070824B (zh) * 2021-11-17 2023-12-05 远景智能国际私人投资有限公司 物联网设备的注册方法、注册云服务器及介质
CN114301756A (zh) * 2021-12-23 2022-04-08 广州亿电邦科智能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iot设备管理系统、方法及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639B1 (ko) 2012-09-10 2016-07-21 이플로우 인코포레이션 디바이스 페어링 방법 및 디바이스
KR101792142B1 (ko) 2015-12-30 2017-11-20 주식회사 서비전자 사물인터넷과 연동되는 무선제어장치와 그를 제어하는 스마트기기의 디바이스 셋업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65564B2 (en) * 2011-07-26 2018-05-08 Schneider Electric It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hardware status using augmented reality
KR102110257B1 (ko) * 2014-01-20 2020-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전자 기기 및 방법
US9977415B2 (en) * 2015-07-03 2018-05-22 Afero, Inc.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and hubs
KR20170067337A (ko) * 2015-12-08 2017-06-16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클라우드 서버, 화상형성장치 및 팩스 전송 방법
US10594796B2 (en) * 2016-02-09 2020-03-17 Qualcomm Incorporated Extending an IoT control interface from an IoT controller to a user device as part of a video media stream of a wireless media presentation session
CN107393055A (zh) * 2016-05-10 2017-11-24 泊车克拉欧德有限公司 基于车牌号码和车辆类型的车辆出入管理方法及管理系统
US9841968B1 (en) * 2016-06-03 2017-12-12 Afero, Inc. Integrated development tool with preview functionality for an internet of things (IoT)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639B1 (ko) 2012-09-10 2016-07-21 이플로우 인코포레이션 디바이스 페어링 방법 및 디바이스
KR101792142B1 (ko) 2015-12-30 2017-11-20 주식회사 서비전자 사물인터넷과 연동되는 무선제어장치와 그를 제어하는 스마트기기의 디바이스 셋업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05896A (zh) * 2019-01-09 2019-03-01 福晟生活服务有限公司 设备运行状态的检测系统以及方法
KR102319511B1 (ko) * 2020-10-15 2021-10-28 김재학 IoT 플랫폼의 운영 및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WO2022080568A1 (ko) * 2020-10-15 2022-04-21 김재학 Iot 플랫폼의 운영 및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CN112468567A (zh) * 2020-10-22 2021-03-09 杭州智尔科技有限公司 一种物联网数据传输方法、装置及电子设备
RU2775168C1 (ru) * 2021-05-31 2022-06-28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ьютон Ин" Система конфигурирования, мониторинга и управления объектами iot
KR20230013379A (ko) 2021-07-19 2023-01-26 기라성 설치 예술품을 이용한 ai 어시스턴트 시스템 및 방법
US11972065B2 (en) 2022-03-08 2024-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face to control external device
KR20240059766A (ko) 2022-10-27 2024-05-08 주식회사 에스원 클라우드 환경에서 트윈 정보를 이용하여 사물인터넷장치의 이벤트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891005A (zh) 2020-03-17
US20200084060A1 (en) 2020-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4604B1 (ko) 클라우드 플랫폼을 이용한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
CN105723652B (zh) 用于控制智能家庭系统的方法和电子设备
CN100586073C (zh) 网络设备的简易动态配置
KR102060573B1 (ko) 개방식 감시 시스템 및 그 조작 방법
US9560087B2 (en) Providing machine-to-machine service
US20180199386A1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connecting devices
EP357597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smart network interface card
US2008013765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uter management
CN111343048B (zh) 压力测试方法及装置、计算机装置及存储介质
EP3541084B1 (en) Sensor opening test system, sensor opening test method and program
CN108810062A (zh) 网络管理系统及其自动注册连网装置的方法
WO2019057089A1 (zh) 网卡镜像抓包方法、终端以及可读存储介质
JP2011039731A (ja) 仮想空間利用型機器制御システム、現実空間制御システム、及び仮想空間利用型機器制御プログラム
US20130326077A1 (en) Method for connecting a remote network and system for connecting a remote network
WO2019235653A1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근처 지인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과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6665660B2 (ja) 機器制御システム、及び機器制御方法
CN104079717A (zh) 一种显示设备界面的方法及服务器
CN110678879A (zh) 数据生成装置、数据生成方法以及程序
JP6663253B2 (ja) デバイス制御装置、及び情報提供方法
CN112413826B (zh) 设备配置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6802354B2 (ja) 通信試験装置、通信試験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7894935A (zh) Ops电脑模块检测处理方法、装置以及电子设备
JP6506706B2 (ja) デバイス制御装置、情報提供方法、及びデバイス制御システム
JP7314340B2 (ja) デバイス制御方法
JP2019046093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処理方法と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