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4148B1 - 통신주 증설용 지지구조물 - Google Patents

통신주 증설용 지지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4148B1
KR101914148B1 KR1020180087687A KR20180087687A KR101914148B1 KR 101914148 B1 KR101914148 B1 KR 101914148B1 KR 1020180087687 A KR1020180087687 A KR 1020180087687A KR 20180087687 A KR20180087687 A KR 20180087687A KR 101914148 B1 KR101914148 B1 KR 101914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se
supporting
supporting portion
tele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만웅
김대균
Original Assignee
(주)전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전통 filed Critical (주)전통
Priority to KR1020180087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41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4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4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34Arrangements for erecting or lowering towers, masts, poles, chimney stacks, or the like
    • E04H12/347Arrangements for setting poles in the groun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92Holders used for protection, repair or reinforcement of the post or p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주 증설용 지지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 설치된 통신주에 별도의 보조통신주를 결합하여 통신주를 증설하기 위한 통신주 증설용 지지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통신주(10)의 하부에 일정 면적만큼 타설 양생되고, 통신주(10)를 중심으로 그 외측에 복수개의 앵커볼트(25)가 설치된 기초콘크리트(20); 상기 기초콘크리트(20)의 상측에 구비되어 가장자리가 상기 앵커볼트(25)에 관통되어 너트결합되고, 내측에는 상기 통신주(10)의 하부 외주면을 받쳐 지지하도록 서로 마주보게 적어도 2개의 제1지지편(31)이 결합수단으로 연결되게 형성된 베이스지지부(30); 상기 베이스지지부(30)의 상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복수개 배치되고, 내측에는 상기 통신주(10)의 외주면과 통신주의 상부에 연장설치되는 보조통신주(15)의 외주면을 받쳐 지지하도록 서로 마주보게 적어도 2개의 제2지지편(41)이 결합수단으로 연결되게 형성된 내측지지부(40); 상기 베이스지지부(30)와 그 베이스지지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내측지지부(40)의 모서리에 서로 마주보게 적어도 2쌍 이상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베이스지지부와 내측지지부를 상호 연결하되, 한 쌍의 제1지지대(51)가 다른 한 쌍의 제2지지대(52)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베이스지지대(50); 일정 간격 이격 설치된 복수개의 상기 내측지지부(40)를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제1지지대(51)와 제2지지대(52)의 상단부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2개 이상 설치되는 일정 길이의 외측지지대(6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지지대(51)의 길이는 제2지지대(52)의 길이에 비해 2배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지지대(60)는 상기 제1지지대(51)의 길이와 동일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제1지지대(51)의 상단과 제2지지대(52)의 상단에 서로 높이를 달리하면서 상방으로 수직 연결되게 설치된다.

Description

통신주 증설용 지지구조물{A support structure for communication pole extension}
본 발명은 통신주 증설용 지지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 설치된 통신주에 별도의 보조통신주를 결합하여 통신주를 증설하기 위한 통신주 증설용 지지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의 발달이 가속화되어 가고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통화는 물론 정보 송수신을 위해 특정지역에 안테나 및 중계기 등의 통신설비가 설치된다.
상기 통신설비는 통상 지면에 고정되어 수직 설치되는 통신주의 상부에 고정부재를 매개로 설치됨이 일반적이다.
한편, 최근에는 4G통신시스템의 상용화 이후 증가추세에 있는 무선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세대 이동통신(5G)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부지역에서는 이미 상용화되었거나 상용화를 위해 시험중에 있으며, 점차적으로 넓은 지역에서의 5G통신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설치된 통신주는 길이가 짧음에 따라 5G통신을 위한 중계기 등의 통신설비를 설치하더라도 해당 중계기가 커버할 수 있는 지역이 좁아 만족할만한 통신속도를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현재 설치된 통신주보다 1.5배 또는 2배 이상 길이가 긴 통신주를 새로 제쟉하여 교체하여야 하나, 제작에 따른 추가비용과 교체작업에 따른 비용, 인건비, 시간낭비 등 막대한 투자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에 설치된 통신주의 상부에 별도의 보조통신주를 단순하게 밴드 등의 고정부재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보조통신주의 길이가 대략 5~8m 정도로 상대적으로 길기 때문에 통신주의 상부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어렵고, 외력에 의해 자칫 넘어지는 경우에는 2차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83198호(2012.09.10, 통신전주용 보조전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75935호(2007.11.06, 배전선 증설용 보조전주)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017627호(1999.05.25, 전주용 연장대 결속밴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에 설치된 통신주의 상부에 별도의 보조통신주를 결합하여 통신주를 증설하는 경우에 조립을 통해 통신주 및 보조통신주를 효과적으로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외력에 의한 통신주의 쓰러짐 또는 보조통신주의 분리 등의 문제발생을 사전에 예방하도록 한 통신주 증설용 지지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통신주(10)의 하부에 일정 면적만큼 타설 양생되고, 통신주(10)를 중심으로 그 외측에 복수개의 앵커볼트(25)가 설치된 기초콘크리트(20); 상기 기초콘크리트(20)의 상측에 구비되어 가장자리가 상기 앵커볼트(25)에 관통되어 너트결합되고, 내측에는 상기 통신주(10)의 하부 외주면을 받쳐 지지하도록 서로 마주보게 적어도 2개의 제1지지편(31)이 결합수단(80)으로 연결되게 형성된 베이스지지부(30); 상기 베이스지지부(30)의 상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복수개 배치되고, 내측에는 상기 통신주(10)의 외주면과 통신주의 상부에 연장설치되는 보조통신주(15)의 외주면을 받쳐 지지하도록 서로 마주보게 적어도 2개의 제2지지편(41)이 결합수단(80)으로 연결되게 형성된 내측지지부(40); 상기 베이스지지부(30)와 그 베이스지지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내측지지부(40)의 모서리에 서로 마주보게 적어도 2쌍 이상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베이스지지부와 내측지지부를 상호 연결하되, 한 쌍의 제1지지대(51)가 다른 한 쌍의 제2지지대(52)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베이스지지대(50); 일정 간격 이격 설치된 복수개의 상기 내측지지부(40)를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제1지지대(51)와 제2지지대(52)의 상단부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2개 이상 설치되는 일정 길이의 외측지지대(6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지지대(51)의 길이는 제2지지대(52)의 길이에 비해 2배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지지대(60)는 상기 제1지지대(51)의 길이와 동일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제1지지대(51)의 상단과 제2지지대(52)의 상단에 서로 높이를 달리하면서 상방으로 수직 연결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지지부(30)와 내측지지부(40)의 안쪽에는 내주면이 상기 통신주(10)와 보조통신주(15)의 외주면 곡률과 동일 곡률을 갖는 통신주받침구(35,45)가 각각 구비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지지부(30)와 내측지지부(40)는 네모서리를 갖도록 형성되고, 각 모서리에는 평단면형상이 'ㄱ'형상으로 된 고정편(70)이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지지대(50)와 외측지지대(60)는 평단면형상이 상기 고정편(70)과 동일한 'ㄱ'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이 상기 고정편(70)의 외주면에 밀착된 채로 고정수단(75)에 의해 고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통신주 증설용 지지구조에 따르면, 간단한 조립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시공이 용이하고, 특히 통신주 및 보조통신주의 지지력 상승으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통신주의 쓰려짐 또는 보조통신주의 분리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유지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보조통신주의 길이에 상관없이 효과적인 지지가 가능하여 현장상황 또는 설치장소에 따라 상대적으로 긴 보조통신주도 쉽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주 증설용 지지구조물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지지부의 설치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주 증설용 지지구조물에서 통신주 및 보조통신주를 받쳐 지지하는 내측지지부를 보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지지부와 내측지지부에 설치된 통신주받침구를 보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지지부와 내측지지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베이스지지대를 보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지지대의 상측에 내측지지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외측지지대를 보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주 증설용 지지구조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주 증설용 지지구조물{이하, '지지구조물'이라 함}은 기 설치된 통신주의 상부에 보조통신주를 설치하여 높이를 증설하고자 하는 경우에 통신주와 보조통신주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이러한 지지구조물은 통신주(10)의 하부에 일정 면적만큼 타설 양생되는 기초콘크리트(20)와, 통신주(10)의 하부 외주면을 받쳐 지지하는 베이스지지부(30)와, 베이스지지부(30)의 상측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통신주(10)와 보조통신주(15)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내측지지부(40)와, 베이스지지부(30)와 내측지지부(40)를 연결하는 베이스지지대(50)와, 내측지지부(40) 간을 연결하는 외측지지대(60)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초콘크리트(20)는 기 설치된 통신주(10)의 하부에 거푸집을 설치한 후 그 안쪽에 몰타르를 타설하여 양생을 통해 시공되는 것으로, 통신주(10)를 중심으로 그 외측에 복수개의 앵커볼트(25)가 설치된다.
상기 앵커볼트(25)는 지지구조물의 균형적인 설치를 위해 적어도 4개 이상 설치되는 것이고, 첨부 도면에서와 같이 통상 4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지지부(30)는 상기 기초콘크리트(20)의 상측에 구비되어 가장자리가 상기 앵커볼트(25)에 관통되어 너트결합됨으로써 기초콘크리트(20)와 연결되어 일체가 되게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지지부(30)의 내측에는 상기 통신주(10)의 하부 외주면에 접촉되면서 통신주를 받쳐 지지하도록 서로 마주보게 적어도 2개의 제1지지편(31)이 형성되어 있으며, 2개의 상기 제1지지편(31)은 통신주의 외주면에 접촉된 상태로 결합수단(80)으로 서로 연결되어 지며, 상기 제1지지편(31)은 상기 베이스지지부(30)에 결합수단(80)으로 결합된다.
상기 결합수단(80)의 예로서, 볼트와 너트를 사용할 수 있다.
통신주의 직경에 상관없이 상기 제1지지편을 베이스지지부에 결합할 수 있도록 베이스지지부에는 볼트가 관통되는 홀이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거나 장방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내측지지부(40)는 베이스지지부(30)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통신주와 보조통신주를 받쳐 지지해 주기 위한 구성으로, 내측에는 상기 통신주(10)의 외주면과 통신주의 상부에 연장설치되는 보조통신주(15)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서로 마주보게 적어도 2개의 제2지지편(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지지편(41)도 제1지지편의 결합구조와 같이 결합수단으로 서로 연결되게 구비되고, 상기 내측지지부에 결합수단으로 결합된다.
상기 내측지지부에도 상기 제2지지편의 결합을 위해 볼트가 관통되는 홀이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거나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지지부(30)와 내측지지부(40)는 사각프레임이나 엘자 앵글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첨부 도면에서는 일실시예로 평면에서 바라본 경우에 'Ⅱ'형상을 갖도록 형성하였다.
상기 베이스지지대(50)는 상기 베이스지지부(30)와 그 베이스지지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내측지지부(40)를 서로 연결하는 지지대로서, 베이스지지부(30)와 내측지지부의 모서리에 서로 마주보게 적어도 2쌍 이상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진다.
첨부 도면에서는 일실시예로서 2쌍 총 4개의 베이스지지대를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지지부와 내측지지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하였다.
이때, 상기 베이스지지대(50)는 한 쌍의 제1지지대(51)가 다른 한 쌍의 제2지지대(52)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길게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베이스지지부와 내측지지부의 모서리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한 경우에 제1지지대(51)가 제2지지대(52)에 비해 상측방향으로 더 길게 돌출되도록 한다.
상기 제1지지대(51)를 제2지지대(52)보다 더 길게 형성한 이유는,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를 설치한 경우에 제1지지대가 제2지지대보다 상측방향으로 더 길게 돌출되어 짐으로써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의 상단에 각각 외측지지대(60)를 연결하여 설치한 경우에 인접되는 외측지지대의 높이가 서로 상이하도록 함으로써 지지력을 더 높여주기 위함이다.
따라서, 바람 등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대적으로 약한 연결부분이 분리되거나 휘어지는 등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통신주의 증설 후 유지관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외측지지대(60)는 일정 간격 이격 설치된 복수개의 상기 내측지지부(40)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며,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제1지지대(51)와 제2지지대(52)의 상단부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2개 이상 설치되어 진다.
상기 외측지지대(60)는 상기 제2지지대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되어도 상관없으나 가능하면 상기 제2지지대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보조통신주(15)의 설치높이에까지 너무 많은 개수를 구비하지 않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지지대(51)의 길이는 제2지지대(52)의 길이에 비해 2배의 길이로 형성되게 하고, 상기 외측지지대(60)는 상기 제1지지대(51)의 길이와 동일길이를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제1지지대(51)의 상단과 제2지지대(52)의 상단에 서로 높이를 달리하면서 상방으로 수직 연결되게 복수개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예로서, 상기 제1지지대와 외측지지대는 6m의 길이로 형성하고, 상기 제2지지대는 3m의 길이로 형성하며, 상기 외측지지대가 상기 제2지지대의 상단에 수직 연결되게 설치된 경우에 인접되는 제1지지대의 상단높이가 외측지지대의 절반인 중간위치에 이르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지지구조물의 시공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보조통신주를 증설하여 높이를 더 높이고자 하는 통신주의 하부에 통신주가 중앙에 위치되게 하여 거푸집을 설치하고, 거푸집의 안쪽 공간에 기초철근 배선하고 기초철근에 4개의 앵커볼트(25)를 연결한 후 몰타르를 타설하여 일정 시간 양생시킨다.
기초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거푸집을 분리한 다음, 상부로 돌출된 앵커볼트에 베이스지지부(30)를 너트로 결합하고, 베이스지지부(30)의 내측에 2개의 제1지지편(31)을 통신주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한 상태로 볼트와 너트로 조여 결합한 다음 제1지지편(31)을 베이스지지부(30)에 볼트와 너트로 결합한다.
이후, 상기 베이스지지부(30)의 모서리에 베이스지지대(50)를 연결하되, 서로 마주보게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를 볼트와 너트로 연결하여 수직으로 설치한다.
그리고 나서, 통신주의 중간부분에 내측지지부(40)를 구비하되, 내측지지부의 제2지지편을 상기 베이스지지부의 제1지지편과 같이 통신주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한 상태에서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하고, 이후 제2지지편을 내측지지부(40)에 다시 볼트와 너트로 결합하여 고정한다.
상기 내측지지부(40)를 설치한 후에는 내측지지부(40)의 모서리에 상기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를 각각 볼트와 너트로 연결한다. 이후에도 상기 내측지지부(40)를 통신주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설치하면 되고, 수직방향으로 일정 간격 설치되는 복수개의 내측지지부(40)는 외측지지대(60)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하면 된다.
그리고 통신주의 상단부에는 연결밴드나 브라켓 등의 연결수단으로 보조통신주(15)를 결합하고, 상기 보조통신주(15)의 결합 후에는 보조통신주의 외주면에도 일정 간격으로 상기 내측지지부(40)를 설치한 다음 모서리에 외측지지대(60)를 결합하여 상방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내측지지부(40)를 상호 연결시키면 된다.
한편, 원하는 높이로 보조통신주를 세워 더 이상의 내측지지부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최상측 내측지지부에 연결되는 외측지지대는 상단 높이가 상이하더라도 큰 문제가 없음에 따라 그대로 둘 수 있으나, 미관을 위해 동일 높이를 갖도록 절단시켜 놓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지지부(30)와 내측지지부(40)는 상기 통신주(10)와 보조통신주(15)가 원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통신주와 보조통신주의 외주면에 정확하게 밀착되더라도 흔들릴 가능성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지지부(30)와 내측지지부(40)의 안쪽에는 내주면이 상기 통신주(10)와 보조통신주(15)의 외주면 곡률과 동일 곡률을 갖는 통신주받침구(35,45)가 각각 구비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통신주받침구는 통신주와 보조통신주의 설치위치마다 곡률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각기 곡률이 상이하게 여러개 제작하여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베이스지지부(30)와 내측지지부(40)가 사각형의 프레임 또는 앵글로 제작된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지지부(30)와 내측지지부(40)의 네모서리에 상기 베이스지지대와 외측지지대의 어느 일측만이 결합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흔들림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흔들림 발생을 방지하고 견고한 결합 고정을 위해, 상기 베이스지지부와 내측지지부의 각 모서리에는 평단면형상이 'ㄱ'형상으로 된 고정편(7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지지대(50)와 외측지지대(60)도 평단면형상이 상기 고정편(70)과 동일한 'ㄱ'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이 상기 고정편(70)의 외주면에 밀착된 채로 고정수단(75)에 의해 고정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수단(75)은 'ㄱ'자형상의 밀착편(75a)과, 볼트(75b)와 너트로 구성하여 상기 밀착편을 상기 베이스지지대와 외측지지대의 연결부위 외주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볼트로 밀착편과 고정편을 관통하여 너트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베이스지지대와 외측지지대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75)은 외측지지대(60)를 서로 연결하는 경우에도 사용됨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지지구조물은 통신주를 증설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 조립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운반이 용이하고, 통신주의 증설높이 즉, 보조통신주의 길이에 상관없이 통신주와 보조통신주를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받쳐 지지해줄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10: 통신주 15: 보조통신주
20: 기초콘크리트 25: 앵커볼트
30: 베이스지지부 31: 제1지지편
35, 45: 통신주받침구 40: 내측지지부
41: 제2지지편 50: 베이스지지대
51: 제1지지대 52: 제2지지대
60: 외측지지대 70: 고정편
75: 고정수단 75a: 밀착편
75b: 볼트 80: 결합수단

Claims (4)

  1. 통신주(10)의 하부에 일정 면적만큼 타설 양생되고, 통신주(10)를 중심으로 그 외측에 복수개의 앵커볼트(25)가 설치된 기초콘크리트(20);
    상기 기초콘크리트(20)의 상측에 구비되어 가장자리가 상기 앵커볼트(25)에 관통되어 너트결합되고, 내측에는 상기 통신주(10)의 하부 외주면을 받쳐 지지하도록 서로 마주보게 적어도 2개의 제1지지편(31)이 결합수단(80)으로 연결되게 형성된 베이스지지부(30);
    상기 베이스지지부(30)의 상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복수개 배치되고, 내측에는 상기 통신주(10)의 외주면과 통신주의 상부에 연장설치되는 보조통신주(15)의 외주면을 받쳐 지지하도록 서로 마주보게 적어도 2개의 제2지지편(41)이 결합수단(80)으로 연결되게 형성된 내측지지부(40);
    상기 베이스지지부(30)와 그 베이스지지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내측지지부(40)의 모서리에 서로 마주보게 적어도 2쌍 이상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베이스지지부와 내측지지부를 상호 연결하되, 한 쌍의 제1지지대(51)가 다른 한 쌍의 제2지지대(52)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베이스지지대(50);
    일정 간격 이격 설치된 복수개의 상기 내측지지부(40)를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제1지지대(51)와 제2지지대(52)의 상단부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2개 이상 설치되는 일정 길이의 외측지지대(6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지지대(51)의 길이는 제2지지대(52)의 길이에 비해 2배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지지대(60)는 상기 제1지지대(51)의 길이와 동일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제1지지대(51)의 상단과 제2지지대(52)의 상단에 서로 높이를 달리하면서 상방으로 수직 연결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주 증설용 지지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지지부(30)와 내측지지부(40)의 안쪽에는 내주면이 상기 통신주(10)와 보조통신주(15)의 외주면 곡률과 동일 곡률을 갖는 통신주받침구(35,45)가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주 증설용 지지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지지부(30)와 내측지지부(40)는 네모서리를 갖도록 형성되고, 각 모서리에는 평단면형상이 'ㄱ'형상으로 된 고정편(70)이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지지대(50)와 외측지지대(60)는 평단면형상이 상기 고정편(70)과 동일한 'ㄱ'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이 상기 고정편(70)의 외주면에 밀착된 채로 고정수단(75)에 의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주 증설용 지지구조물.
  4. 삭제
KR1020180087687A 2018-07-27 2018-07-27 통신주 증설용 지지구조물 KR101914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687A KR101914148B1 (ko) 2018-07-27 2018-07-27 통신주 증설용 지지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687A KR101914148B1 (ko) 2018-07-27 2018-07-27 통신주 증설용 지지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4148B1 true KR101914148B1 (ko) 2018-11-01

Family

ID=64398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687A KR101914148B1 (ko) 2018-07-27 2018-07-27 통신주 증설용 지지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41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812B1 (ko) * 2019-09-23 2020-03-02 주식회사 현대쏠라텍 태양광 패널 지지용 지주 승하강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6999B2 (ja) * 1989-06-29 2001-04-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配電線路保護システム
JP2004308521A (ja) * 2003-04-04 2004-11-04 Nippon Steel Corp 風力発電装置の建設方法と建設装置
KR100822594B1 (ko) * 2006-10-24 2008-04-16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철탑주주재의 보강재 간 상대변위를 활용한 철탑구조마찰형 보강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6999B2 (ja) * 1989-06-29 2001-04-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配電線路保護システム
JP2004308521A (ja) * 2003-04-04 2004-11-04 Nippon Steel Corp 風力発電装置の建設方法と建設装置
KR100822594B1 (ko) * 2006-10-24 2008-04-16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철탑주주재의 보강재 간 상대변위를 활용한 철탑구조마찰형 보강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812B1 (ko) * 2019-09-23 2020-03-02 주식회사 현대쏠라텍 태양광 패널 지지용 지주 승하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9402A (en) Antenna support for power transmission tower
US66684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guyed towers having increased load capacity and stability
US10202734B2 (en) Prefabricated resuable concrete pedestal element
US6948290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the load capacity and stability of guyed towers
KR101914148B1 (ko) 통신주 증설용 지지구조물
KR20180083022A (ko) 강관주
US10422465B2 (en) Prefabricated reusable concrete pedestal element
KR101695413B1 (ko) 탄성힌지로 거동하는 공장제작형 소켓부재를 이용한 라멘교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 시공방법
KR100481632B1 (ko) 이동통신 기지국용 안테나 설치구조물
JP2019208134A (ja) アンテナ固定架台、基地局、及び、基地局の設置方法
KR20220002858U (ko) 통신용 강관주 지지용 기초 조립체
CN210105440U (zh) 一种电杆加高装置
RU130336U1 (ru) Антенная опора башенного типа
KR102078480B1 (ko) 안테나 증설 장치
CN220080321U (zh) 一种组合房屋建筑节点固定结构
CN219298259U (zh) 一种新型的外爬支架式单管通信铁塔装配式基础结构
KR102316492B1 (ko) 안테나 지지장치
JP2000204569A (ja) 鉄塔用基礎ユニット
CN218292772U (zh) 一种土建主体施工快速拆装模板
EP3772772A1 (en) Structure for supporting telecommunications stations
CN220538707U (zh) 一种方形预制装配式沉井的连接结构
AU2014265049B1 (en) Tower installation
CN110374360B (zh) 基础结构及活动板房的施工方法
CN218525721U (zh) 一种立式天线安装支架
CN212582722U (zh) 地铁上盖塔吊基础转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