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480B1 - 안테나 증설 장치 - Google Patents

안테나 증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8480B1
KR102078480B1 KR1020180144131A KR20180144131A KR102078480B1 KR 102078480 B1 KR102078480 B1 KR 102078480B1 KR 1020180144131 A KR1020180144131 A KR 1020180144131A KR 20180144131 A KR20180144131 A KR 20180144131A KR 102078480 B1 KR102078480 B1 KR 102078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pole
sub
coupl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4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일규
Original Assignee
박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일규 filed Critical 박일규
Priority to KR1020180144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4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07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42Rigid mas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n aerial

Landscapes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옥탑에 운용중인 원폴에 안테나 폴대를 증설하는 안테나 증설 장치에 관한 것으로, 안테나가 결합되는 메인 안테나 폴대를 지지하는 베이스부, 블록 형상으로, 상기 베이스부에 십자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메인 안테나 폴대 외에 복수의 서브 안테나 폴대가 지지되도록 상기 복수의 서브 안테나 폴대의 결합 부재와 결합하는 결합부 및 상기 메인 안테나 폴대 및 상기 서브 안테나 폴대를 연결하는 연결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테나 증설 장치{ANTENNA DEVICE TO INSTALL ADDITIONAL ANTENNA}
본 발명은 안테나 증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옥탑에 운용중인 원폴에 안테나 폴대를 증설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테나는 특정 영역 대의 전자기파를 송신 혹은 수신하기 위한 변환장치이다. 안테나는 라디오 주파수대의 전기 신호를 전자기파로 바꾸어 발신하거나 그 반대로 전자기파를 전기 신호로 바꾸는 역할을 한다. 라디오나 텔레비전 등 방송과 전파를 이용한 무전기, 무선 LAN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장치 그리고 레이다와 우주 탐사용 전파망원경 등에 널리 쓰인다. 주로 지상 혹은 물속이나 땅속에서는 작동이 제한을 받는다.
이러한 안테나는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 사용되며 이러한 경우 기기 내부에 내장된다. 반면에, 건물 옥탑이나 높은 산의 정상 부근에 이러한 안테나가 설치되며, 이러한 경우 안테나를 지지하는 안테나 지지 장치를 구비한다.
다만, 최근에는 이통사 별로 비용절감의 일환으로 건물 옥탑에 간이 원폴 형태의 안테나 지지 장치를 건립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간이 원폴 형태의 안테나 지지 장치는 추가적인 안테나 공용시설을 적용하기에 한계가 존재하였다.
또한, 건물 옥탑에 타 이통사 별로 건립하는 철탑으로 인해 상면이 부족하여 추가 안테나 지지 장치를 건립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 옥탑 상면의 한정된 공간 내에서 복수의 서로 다른 안테나 폴대를 증설할 수 있는 안테나 증설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 옥탑에 타 이통사 별로 복수의 안테나 폴대를 증설함으로써, 공용화 문제를 해소하고, 공사비 절감과 공사 소요 시간을 최소화하며, 안테나 증설 작업을 간소화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증설 장치는 안테나가 결합되는 메인 안테나 폴대를 지지하는 베이스부 및 블록 형상으로, 상기 베이스부에 십자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메인 안테나 폴대 외에 복수의 서브 안테나 폴대가 지지되도록 상기 복수의 서브 안테나 폴대의 결합 부재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부를 기준으로 상, 하, 좌, 우의 십자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블록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직육면체의 블록 형태이며, 상기 베이스부를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서브 안테나 폴대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 부재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서브 안테나 폴대의 결합 부재는 직육면체의 블록 형태인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결합부의 크기에 대응하는 결합공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에 탈부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증설 장치는 상기 메인 안테나 폴대 및 상기 서브 안테나 폴대를 연결하는 연결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고정부는 막대 형상으로, 상기 메인 안테나 폴대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메인 안테나 폴대와,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상기 결합부에 결합된 상기 서브 안테나 폴대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 고정부는 상기 메인 안테나 폴대와 상기 서브 안테나 폴대가 배치된 가로 방향의 반경방향으로 길이 조절 가능한 길이 조절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증설 장치는 건물 옥탑 상면의 한정된 공간 내에서 복수의 서로 다른 안테나 폴대를 증설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 옥탑에 타 이통사 별로 복수의 안테나 폴대를 증설함으로써, 공용화 문제를 해소하고, 공사비 절감과 공사 소요 시간을 최소화하며, 안테나 증설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증설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및 도 2b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안테나 폴대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증설 장치에 서브 안테나 폴대를 결합하는 예를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고정부를 포함하는 안테나 증설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고정부를 세부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시청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증설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증설 장치(100)는 건물 옥탑에 운용중인 원폴에 안테나 폴대를 증설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증설 장치(100)는 베이스부(110) 및 결합부(12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10)는 안테나(111)가 결합되는 메인 안테나 폴대(112)를 지지한다.
베이스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증설 장치(100)의 하측 중앙에 마련되어 안테나(111)가 결합된 메인 안테나 폴대(112)가 수직 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지지한다. 또한, 베이스부(110)는 블록 형상의 결합부(120)가 십자 형태로 배열되도록 지지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베이스부(110)는 필요에 따라 지하 등에 매설될 수도 있다. 베이스부(110)의 웨이트는 필요에 따라 다수의 결합부(120)가 조립된 형태로 이루어져 설치, 이동, 해체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결합부(120)는 블록 형상으로, 베이스부(110)에 십자 형태로 배치되며, 메인 안테나 폴대 외에 복수의 서브 안테나 폴대가 지지되도록 복수의 서브 안테나 폴대의 결합 부재와 결합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베이스부(110)는 안테나(111)가 결합되는 메인 안테나 폴대(112)를 지지하여 안테나 증설 장치(100)의 하측 중앙에 위치하고, 결합부(120)는 베이스부(110)를 중심으로 상, 하, 좌, 우의 십자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블록 형태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증설 장치(100)는 하단 중심의 베이스부(110)를 기준으로 복수 개의 결합부(120)가 배치된 형태를 기본으로 한다.
결합부(120)는 직육면체의 블록 형태이며, 베이스부(110)를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서브 안테나 폴대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 부재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브 안테나 폴대의 결합 부재는 직육면체의 블록 형태인 결합부(120)에 결합되도록 결합부(120)의 크기에 대응하는 결합공을 포함하며, 결합부(120)에 탈부착되는 것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서브 안테나 폴대 하단의 결합 부재와 안테나 증설 장치(100)의 결합부(120)가 서로 결합되며, 서브 안테나 폴대에 결합된 서브 안테나는 안테나 증설 장치(100)에 증설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안테나 폴대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안테나 폴대(210)는 하단의 단부에 결합 부재(22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b를 참조하면, 결합 부재(220)는 결합 메인 부재(221), 결합공(222), 연결 홀(223) 및 연결 부재(224)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메인 부재(221)는 서브 안테나 폴대(210)의 하단에 위치하며, ‘F’와 같은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결합 메인 부재(221)는 안테나 증설 장치(100)의 결합부(120)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2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결합공(222)은 결합 메인 부재(221)의 ‘F’의 형상에서 결합부(120)의 크기에 대응하는 특정 공간을 나타내며, 특정 공간에 접합되는 결합부(120)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결합 메인 부재(221)는 안테나 증설 장치(100)의 결합부(120)에 서브 안테나 폴대(210)를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 홀(22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브 안테나 폴대(210)의 결합 부재(220)는 안테나 증설 장치(100)의 결합부(120)에 결합되며, 연결 홀(223)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224)를 이용하여 결합부(120)와 결합부(120) 상에 위치하는 결합 부재(2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연결 홀(223) 및 연결 부재(224)의 개수 및 위치는 도 2a 및 도 2b에 한정되는 바는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메인 안테나 폴대(112) 및 서브 안테나 폴대(210)를 메인과 서브로 구분하여 작성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증설 장치(100)에 결합 및 증설되는 안테나의 위치에 의한 것이므로, 이통사 또는 안테나 종류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증설 장치에 서브 안테나 폴대를 결합하는 예를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브 안테나 폴대(210) 하단의 결합 부재(220)는 안테나 증설 장치(100)의 결합부(120)에 접합되어 결합되며, 이로 인해 서브 안테나 폴대(210)는 안테나 증설 장치(100)에 증설될 수 있다.
이 때, 서브 안테나 폴대(210)는 결합 부재(220)와 결합부(120)의 결합 유무에 따라, 안테나 증설 장치(100)에 탈부착될 수 있다.
또한, 서브 안테나 폴대(2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증설 장치(100)에 포함된 결합부(120)의 개수만큼 증설될 수 있으며, 결합 및 증설되는 위치와 방향은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고정부를 포함하는 안테나 증설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고정부를 세부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증설 장치(100)는 메인 안테나 폴대(112)와 서브 안테나 폴대(210)를 연결하는 연결 고정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 고정부(130)는 메인 안테나 폴대(112)의 위치를 기준으로 메인 안테나 폴대(112)와,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결합부(120)에 결합된 서브 안테나 폴대(210)를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연결 고정부(130)는 막대 모양의 형태를 나타낼 수 있으며, 메인 안테나 폴대(122) 및 서브 안테나 폴대(210)를 연결 또는 고정하기 위한 방법은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증설 장치(100)는 메인 안테나(111)가 결합된 메인 안테나 폴대(112)와 서브 안테나(211)가 결합된 서브 안테나 폴대(210)를 고정시킴으로써, 안테나 증설 장치(100)에 증설되는 추가 안테나 폴대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 메인 안테나(111) 및 서브 안테나(211)는 이통사 또는 KT 안테나와 같은 서로 다른 안테나 종류를 나타낼 수 있으며, 안테나의 방향 및 위치는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메인 안테나(111) 및 서브 안테나(211)의 회전 방향 및 위치는 조절 가능한 것일 수 있다.
통상의 이동통신 기지국용 철탑에서 안테나 상호간에 전파 방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요구되는 안테나 간 이격거리는 상하 및 좌우 500mm를 기준으로 하는 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증설 장치(100)에 설치 및 증설된 메인 안테나(111) 및 서브 안테나(211) 간 이격거리를 500mm 이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연결 고정부(130)는 메인 안테나 폴대(112)와 서브 안테나 폴대(210)가 배치된 가로 방향의 반경방향으로 길이 조절 가능한 길이 조절 슬롯(131)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서, 연결 고정부(130)는 길이 조절 슬롯(131) 없이, 막대 형태로만 존재할 수도 있으며, 적용되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길이 조절 슬롯(131)의 개수 및 위치가 변동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연결 고정부(130)는 복수 개의 길이 조절 슬롯(131)을 포함하며, 홀(hole) 형태의 길이 조절 슬롯(131)을 이용하여 메인 안테나 폴대(112) 및 서브 안테나 폴대(2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연결 고정부(130)는 안테나 증설 장치(100)의 베이스부(110)에 위치하는 메인 안테나 폴대(112)를 기준으로 증설되는 서브 안테나 폴대(210)를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서브 안테나 폴대(210)를 기준으로 추가 증설되는 서브 안테나 폴대(210)들을 연결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증설 장치(100)는 건물 옥탑에 설치되는 안테나 증설 시, 전체 부피를 대폭 축소하여 이의 설치 시, 공간적인 제약을 해소함과 아울러, 서브 안테나 폴대(210)와 결합부(120) 간의 탈부착 가능한 결합을 통해 안테나 증설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안테나 설치 시, 트러스와 같은 부속물이 필요치 않게 되어 안테나 설치 구조물 및 건물에 미치는 하중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안테나 증설 장치
110: 베이스부
111: 안테나(또는 메인 안테나)
112: 메인 안테나 폴대
120: 결합부
130: 연결 고정부
131: 길이 조절 슬롯
210: 서브 안테나 폴대
220: 결합 부재
221: 결합 메인 부재
222: 결합공
223: 연결 홀
224: 연결 부재

Claims (7)

  1. 안테나가 결합되는 메인 안테나 폴대를 지지하는 베이스부;
    블록 형상으로, 상기 베이스부에 십자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메인 안테나 폴대 외에 복수의 서브 안테나 폴대가 지지되도록 상기 복수의 서브 안테나 폴대의 결합 부재와 결합하는 결합부; 및
    상기 메인 안테나 폴대 및 상기 서브 안테나 폴대를 연결하는 연결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부를 기준으로 상, 하, 좌, 우의 십자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직육면체의 블록 형태이며, 상기 베이스부를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서브 안테나 폴대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서브 안테나 폴대의 결합 부재는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도록 결합 메인 부재의 ‘F’의 형상에서 상기 결합부의 크기에 대응하여 특정 공간을 나타내는 결합공을 포함하여 상기 결합부에 탈부착되며,
    상기 연결 고정부는
    막대 형상으로, 상기 메인 안테나 폴대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메인 안테나 폴대와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상기 결합부에 결합된 상기 서브 안테나 폴대를 연결하고, 상기 메인 안테나 폴대와 상기 서브 안테나 폴대가 배치된 가로 방향의 반경방향으로 길이 조절 가능한 홀(hole) 형태의 길이 조절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 안테나 폴대는
    상기 결합부의 개수만큼 결합 및 증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증설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144131A 2018-11-21 2018-11-21 안테나 증설 장치 KR102078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131A KR102078480B1 (ko) 2018-11-21 2018-11-21 안테나 증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131A KR102078480B1 (ko) 2018-11-21 2018-11-21 안테나 증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8480B1 true KR102078480B1 (ko) 2020-02-17

Family

ID=69670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4131A KR102078480B1 (ko) 2018-11-21 2018-11-21 안테나 증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848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1009U (ko) * 1987-05-15 1988-11-22
JPH1098319A (ja) * 1996-09-25 1998-04-14 Asahi Koyo Kk 測位アンテナ取付け装置
KR20070034410A (ko) * 2005-09-23 2007-03-28 성호티에스(주) 송수신기 은폐형 통신안테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1009U (ko) * 1987-05-15 1988-11-22
JPH1098319A (ja) * 1996-09-25 1998-04-14 Asahi Koyo Kk 測位アンテナ取付け装置
KR20070034410A (ko) * 2005-09-23 2007-03-28 성호티에스(주) 송수신기 은폐형 통신안테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97506B2 (en) Area construction method
US8237617B1 (en) Surface wave antenna mountable on existing conductive structures
EP2256860A1 (en) Antenna array
US20050282586A1 (en) Elevated antenna and mounting structure in a wireless network
KR101503236B1 (ko) 이동통신 중계기용 안테나 각도 조절장치
KR101824220B1 (ko) 안테나 정렬 가이드 장치
US20190221913A1 (en) Small modular cell pole
CN101789548A (zh) 移动通信用基站天线
KR20100051840A (ko) 셀룰러 및 점대점 통신이 가능한 안테나
JP2007264680A (ja) 無線マーカ
KR102078480B1 (ko) 안테나 증설 장치
WO2003058851A1 (fr) Systeme de communications radio par fibres optiques
JP2009171205A (ja) 仮設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仮設無線中継装置
CN204441443U (zh) 定向天线固定支架及具有该支架的天线安装装置
CN104265045A (zh) 新型基站通讯信号发射塔
CN112292560A (zh) 灯杆
KR970060743A (ko) 무선신호 중계방법
KR101914148B1 (ko) 통신주 증설용 지지구조물
CN204112826U (zh) 新型基站通讯信号发射塔
EP2530782A1 (en) Design of rapidly deployable mast mounting assembly with gsm antenna for the provision of mobile coverage for a moving convoy using satellite - bts- to- bsc link.
CN209607902U (zh) 一种集成的5g天线系统及通信网络
KR100481632B1 (ko) 이동통신 기지국용 안테나 설치구조물
JP6884132B2 (ja) 拡張型ネットワーク
EP1525767B1 (en) Telecommunications radio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US6397062B1 (en) Multiple antenna test system and method to simultaneously evaluate multiple elevations of potential wireless base station si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