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3832B1 -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 - Google Patents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3832B1
KR101913832B1 KR1020180062791A KR20180062791A KR101913832B1 KR 101913832 B1 KR101913832 B1 KR 101913832B1 KR 1020180062791 A KR1020180062791 A KR 1020180062791A KR 20180062791 A KR20180062791 A KR 20180062791A KR 101913832 B1 KR101913832 B1 KR 101913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fastening
connection
lin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2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지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천지
Priority to KR1020180062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38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3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3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joining or terminating cables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선과 분기선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는 배전선에서 분기되는 분기선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에 있어서, 상기 배전선이 끼워지는 체결본체, 상기 체결본체의 측면 둘레에 복수 개가 형성되어 상기 분기선이 결합되는 아답터끼움홈, 상기 분기선의 끝단에 설치되고 상기 아답터끼움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아답터끼움홈에 끼워지는 형태로 상기 분기선을 상기 체결본체에 결합하는 체결아답터, 상기 아답터끼움홈에 설치되고 상기 아답터끼움홈으로 삽입되는 상기 체결아답터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하며 회전에 따라 일단은 상기 체결아답터에 접촉되고 타단은 상기 배전선에 접속되어 상기 배전선과 상기 분기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회전접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접속부재는 상기 체결아답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부, 상기 접속단자부의 반대방향에 형성되어 상기 배전선의 피복을 절개하여 파고들어가 상기 배전선의 심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칼날부, 상기 접속단자부와 상기 칼날부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아답터끼움홈에서 상기 회전접속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이 위치된 상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회전접속부재가 회전하여 상기 배전선과 상기 분기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체결아답터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회전접속부재를 회전시키는 가압판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배전선과 분기선을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A Power line branch connection fastener}
본 발명은 배전선과 분기선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선은 배전을 위해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선으로서, 배전선에 분기선을 연결하여 배전선을 통해 공급되는 전기를 각 사용처로 제공한다.
한편, 배전선과 분기선을 연결할 때에는 피복을 벗긴 후 서로 결합해야하기 때문에 상호 체결에 따른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94255호(2017.11.20.공고)의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가 개시된 바가 있다.
종래의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는 중앙에 직교 방향의 커넥터가 결합되며 전도체상 결속구가 내장된 비전도체상의 본체와, 상기 결속구의 양측에 결합되는 전도체상 연결핀이 내장된 비전도체상의 접속체결구와, 상기 커넥터의 하부에 결합되는 또 다른 전도체상 연결핀이 내장된 비전도체상의 분기체결구로 분할 형성되며; 상기 접속체결구의 단부에는 연결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성된 접속뭉치구가 구비되고; 상기 분기체결구의 단부에는 연결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성된 분기뭉치구가 구비되고; 상기 결속구의 양측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축으로 하여 외륜은 고정되고 내륜이 회전하는 내측베어링이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내측베어링의 내륜에 상기 접속뭉치구가 억지 끼움 되어 결합되고; 상기 커넥터에 직교 방향을 축으로 하여 외륜은 고정되고 내륜이 회전하는 분기베어링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분기베어링의 내륜에 상기 분기뭉치부가 억지 끼움 되어 결합되고; 본체의 양측단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지름이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안치요홈이 형성되고, 접속체결구의 전방은 상기 안치요홈에 대응되는 삽입경사면이 형성되어, 접속뭉치구가 내측베어링에 억지 끼움 결합될 시 본체와 접속체결구가 밀착되도록 구성되었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의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는배전선을 접속뭉치부에 결합하고, 분기선을 분기뭉치부에 결합하여 본체에 상호 끼워 결합함으로써, 배전선과 분기선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는 배전선의 접속단자가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상호 결합 시 전기에 의한 감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배전선을 단선시킨 후, 외피를 벗겨내고 각각에 접속뭉치부를 결합해야하고, 체결후 본체와 각 뭉치부를 탄성체로 결합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 시간이 오래 소요될 뿐만 아니라, 설치의 번거로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분기선과 배전선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전선의 외피를 벗길 필요가 없으며, 배전선이 활선된 상태에서 분기선을 용이하게 접속시켜 체결할 수 있는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는 배전선에서 분기되는 분기선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에 있어서, 상기 배전선이 끼워지는 체결본체, 상기 체결본체의 측면 둘레에 복수 개가 형성되어 상기 분기선이 결합되는 아답터끼움홈, 상기 분기선의 끝단에 설치되고 상기 아답터끼움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아답터끼움홈에 끼워지는 형태로 상기 분기선을 상기 체결본체에 결합하는 체결아답터, 상기 아답터끼움홈에 설치되고 상기 아답터끼움홈으로 삽입되는 상기 체결아답터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하며 회전에 따라 일단은 상기 체결아답터에 접촉되고 타단은 상기 배전선에 접속되어 상기 배전선과 상기 분기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회전접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접속부재는 상기 체결아답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부, 상기 접속단자부의 반대방향에 형성되어 상기 배전선의 피복을 절개하여 파고들어가 상기 배전선의 심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칼날부, 상기 접속단자부와 상기 칼날부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아답터끼움홈에서 상기 회전접속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이 위치된 상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회전접속부재가 회전하여 상기 배전선과 상기 분기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체결아답터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회전접속부재를 회전시키는 가압판부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아답터는 상기 아답터끼움홈과 마주하는 면을 관통하고 내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이동체결공, 및 상기 체결본체에서 상기 아답터끼움홈의 반대방향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체결공에 나사체결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체결아답터를 상기 아답터끼움홈에 강제적으로 삽입시키는 회전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아답터는 상기 회전접속부재가 상기 체결아답터의 가압에 의해 회전하여 세워질 때, 상기 접속단자부가 삽입되는 절개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체결본체에 체결아답터가 결합된 배전선을 결합하면 회전접속부재가 회전하면서 배전선과 분기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때문에 배전선에 분기선을 용이하게 전기 접속이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또한, 회전접속부재가 회전하면서, 접속칼날부가 배전선의 외피를 절개하며 심선을 파고들어 배전선의 심선 노출에 따른 감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활선상태에서도 분기선의 체결이 가능하고, 외피를 제거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회전체결부재의 회전에 의해 체결아답터를 체결함으로써, 견고하고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분기선을 선택적으로 설치가 가능하고, 분기선의 분리 시에도 회전접속부재가 회전하여 배전선과 분기선을 단선시켜 감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를 구성하는 체결본체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를 구성하는 체결아답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의 접속본체에 체결아답터가 체결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의 회전접속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의 회전접속부재가 체결아답터에 의해 회전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의 회전접속부재가 체결아답터에 의해 회전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100)는 체결본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체결본체(11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주에 배전선(210)이 관통하도록 끼워질 수 있으며, 체결본체(110)는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절연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체결본체(110)는 링 형상을 상하로 양분하여 배전선(210)을 중앙에 두고 서로 결합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체결본체(110)의 어느 한 측면에는 하기에 설명될 체결아답터(130)가 끼워지는 아답터끼움홈(1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아답터끼움홈(111)은 배전선(210)의 둘레에 복수 개의 분기선(220)이 접속될 수 있도록 체결본체(110)의 측면 둘레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네 개의 분기선(220)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네 개의 아답터끼움홈(111)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아답터끼움홈(111)의 둘레에는 하기에 설명될 체결아답터(130)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115)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100)는 체결아답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체결아답터(130)는 배전선(2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분기선(220)의 끝단에 결합될 수 있으며, 체결아답터(130)는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절연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체결아답터(130)에는 분기선(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아답터단자(135)가 설치될 수 있으며, 체결아답터(130)에는 아답터끼움홈(111)의 가이드홈(115)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아답터(130)가 아답터끼움홈(111)에 끼워질 때,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13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아답터(130)의 중앙부분은 체결아답터(130)의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형태의 절개홈(137)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절개홈(137)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아답터단자(135)가 각각 마주하여 접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아답터단자(135)는 절개홈(137)으로 삽입되는 회전접속부재(150)가 탄성력에 의해 가압되어 밀착 접촉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휘어진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아답터(130)의 절개홈(137)의 양단은 막힌 형상이어서, 체결아답터(130)를 아답터끼움홈(111)에서 분리할 때, 절개홈(137)으로 삽입된 회전접속부재(150)를 회전하였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접속부재(150)의 초기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100)는 회전접속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회전접속부재(150)는 아답터끼움홈(111)의 바닥에 설치되어 회전에 따라 아답터단자(135)와 배전선(210)의 심선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한편, 회전접속부재(150)는 금속의 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접속부재(150)는 접속단자부(151), 접속칼날부(153), 회전축(157), 및 가압판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단자부(151)는 회전접속부재(150)의 일단에 형성되어 회전접속부재(150)의 회전에 따라 체결본체(110)에서 세워진 상태에서 아답터단자(135)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이때, 접속단자부(151)는 체결아답터(130)의 절개홈(137)으로 삽입되어 절개홈(137)에 마주하도록 설치된 아답터단자(135)의 사이로 삽입되는 형태로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접속칼날부(153)는 접속단자부(151)의 타단에 형성되어 회전접속부재(150)의 회전에 따라 체결본체(110)에서 세워진 상태에서 배전선(210)의 외피를 파고들어 심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여기서, 접속칼날부(153)는 칼날과 같이 날카롭게 형성되어 회전접속부재(150)의 회전 시 외피를 절개하여 파고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157)은 회전접속부재(150)의 접속단자부(151)와 접속칼날부(153)의 사이에 양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체결본체(110)의 아답터끼움홈(111)에서 회전접속부재(15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아답터끼움홈(111)에는 회전접속부재(150)의 회전 시 접속칼날부(153)가 하부에 위치되는 배전선(210)으로 돌출되어 절개할 수 있도록 절개한 형태의 부재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배전선(210)의 직경과 분기선(220)의 직경에 따라 접속칼날부(153)와 접속단자부(151)의 길이가 설정되어 접속칼날부(153)와 접속단자부(151)의 경계에 회전축(157)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배전선(210)의 직경이 분기선(220)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접속단자부(151)의 길이보다 접속칼날부(153)의 길이가 더 길어지도록 회전축(157)이 위치되었다.
그리고, 가압판부(155)는 회전축(157)의 상부에 돌출형성될 수 있으며, 가압판부(155)는 아답터끼움홈(111)의 부재홈에 회전접속부재(150)가 삽입된 상태에서 아답터끼움홈(111)의 내측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가압판부(155)는 아답터끼움홈(111)의 내측에서 돌출형성되기 때문에 아답터끼움홈(111)으로 삽입되는 체결아답터(130)의 끝단에 가압되면서 회전접속부재(150)가 수평한 상태에서 수직한 상태로 세워지도록 회전될 수 있다.
이때 가압판부(155)는 하기에 설명될 회전체결부재(160)가 체결아답터(130)의 이동체결공(133)을 가리지 않도록 회전체결부재(160)의 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100)는 이동체결공(133)과 회전체결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이동체결공(133)은 체결아답터(130)가 아답터끼움홈(111)에 끼워질 대, 아답터끼움홈(111)과 마주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동체결공(133)은 체결아답터(130)의 길이방향으로 체결아답터(130)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동체결공(133)은 체결아답터(130)의 절개홈(137)을 중심으로 일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절개홈(137)의 타측이 가압판부(155)를 가압할 수 있다.
한편, 회전체결부재(160)는 체결본체(110)에서 아답터끼움홈(111)과 반대방향의 면에 아답터끼움홈(111)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체결본체(110)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회전체결부재(160)는 봉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에는 이동체결공(133)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체결부재(160)의 끝단에는 회전체결부재(160)의 둘레보다 더 큰 둘레를 가져 체결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걸쳐지는 머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머리부에는 공구체결홈이 형성되어 공구에 의해 회전체결부재(16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회전체결부재(160)는 아답터끼움홈(111)으로 관통되어 위치되는 부분의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아답터끼움홈(111)으로 삽입되는 체결아답터(130)의 이동체결공(133)에 나사체결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머리부를 공구에 의해 회전시키면, 회전체결부재(160)가 회전하면서, 회전체결부재(160)에 나사체결된 체결아답터(130)를 나사체결에 의해 아답터끼움홈(111)으로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100)는 체결본체(110)를 분기선(220)을 설치할 배전선(210)의 부분에 끼워 설치한다.
그리고, 체결본체(110)가 배전선(210)에 설치되면, 배전선(210)에 연결할 분기선(220)의 끝단에 체결아답터(130)를 설치한다.
여기서, 체결아답터(130)가 분기선(220)에 설치되면, 체결아답터(130)에 설치된 아답터단자(135)와 분기선(220)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한편, 분기선(220)에 체결아답터(130)가 설치되면, 회전체결부재(160)의 끝단이 이동체결공(133)에 대응되도록 체결아답터(130)를 체결본체(110)의 아답터끼움홈(111)에 끼우고, 회전체결부재(160)의 머리부에 공구를 결합하여 회전체결부재(160)를 회전시킨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결부재(160)가 회전하면, 이동체결공(133)에 회전체결부재(160)가 나사체결에 의해 체결아답터(130)가 아답터끼움홈(111)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체결아답터(130)의 끝단이 회전접속부재(150)의 가압판부(155)를 가압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아답터(130)의 끝단이 가압판부(155)를 계속적으로 가압하여 삽입되면, 회전접속부재(150)가 아답터끼움홈(111)에서 수평한 상태에서 수직상태로 세워져 회전하여 접속단자부(151)는 체결아답터(130)의 절개홈(137)의 사이로 삽입되면서 아답터단자(135)의 사이로 삽입되어 아답터단자(135)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접속부재(150)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와 동시에 회전접속부재(150)가 회전하면, 접속단자부(151)의 반대방향에 위치되는 접속칼날부(153)는 체결본체(110)에서 배전선(210)이 위치된 방향으로 돌출되고, 돌출되는 접속칼날부(153)는 날카로운 칼날에 의해 배전선(210)의 외피를 절개하면서 배전선(210)의 심선을 파고들어 접속칼날부(153)가 배전선(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렇게 체결아답터(130)가 아답터끼움홈(111)에 완전히 삽입되어 끼워지면, 회전접속부재(150)에 의해 배전선(210)과 분기선(220)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배전선(210)의 전기를 분기선(220)으로 분기하여 보낼 수 있다.
여기서, 체결본체(110)에는 복수 개의 아답터끼움홈(111)이 형성되기 때문에 필요한 분기선(220)의 개수만큼 체결본체(110)에 연결하여 분기할 수 있다.
한편, 배전선(210)에서 분기선(220)을 분리할 때에는 체결아답터(130)가 아답터끼움홈(111)에 삽입하기 위해 회전접속부재(150)를 회전시켰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체결아답터(130)의 이동체결공(133)과 회전접속부재(150)의 나사체결에 의해 아답터끼움홈(111)에서 체결아답터(130)가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체결아답터(130)의 절개홈(137)으로 삽입되었던 회전접속부재(150)의 아답터단자(135)가 체결아답터(130)의 내측에 지지되면서 수직으로 세워졌던 회전접속부재(15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분리된다.
그리고, 회전접속부재(150)가 세워졌던 회전접속부재(150)가 수평하게 회전하면, 아답터단자(13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었던 접속단자부(151)가 절개홈(137)의 하부로 회전하면서 전기적으로 단선되며 분리되고, 이와 동시에 배전선(210)을 파고들어 전기적으로 접속되었던 접속칼날부(153)가 삽입되었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배전선(210)과 단선되면서 배전선(210)에서 분리되는 형태로 배전선(210)과 분기선(220)을 전기적으로 단선시키면서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100)는 분기선(220)에 결합된 체결아답터(130)를 배전선(210)이 결합된 체결본체(110)의 아답터끼움홈(111)에 끼우면 회전접속부재(150)가 회전하면서 분기선(220)과 배전선(210)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때문에 배전선(210)에 분기선(220)을 서로 결합하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회전접속부재(150)가 회전하면서 접속칼날부(153)가 배전선(210)의 외피를 절개하여 파고들기 때문에 배전선(210)의 외피를 절개해야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활선상태에서도 분기선(220)의 연결이 가능하고, 배전선(210)의 노출로 인한 감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체결부재(160)가 체결아답터(130)에 나사체결되는 형태로 체결아답터(130)를 결합하기 때문에 체결아답터(130)를 체결본체(110)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결아답터(130)를 분리시에도 회전접속부재(150)가 회전하면서 분기선(220)과 배전선(210)이 전기적으로 단선되면서 분리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감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
110: 체결본체 111: 아답터끼움홈
113: 부재홈 115: 가이드홈
130: 체결아답터 131: 가이드돌기
133: 이동체결공 135: 아답터단자
137: 절개홈 150: 회전접속부재
151: 접속단자부 153: 접속칼날부
155: 가압판 부 157: 회전축
160: 회전체결부재 210: 배전선
220: 분기선

Claims (3)

  1. 배전선에서 분기되는 분기선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에 있어서,
    상기 배전선이 끼워지는 체결본체,
    상기 체결본체의 측면 둘레에 복수 개가 형성되어 상기 분기선이 결합되는 아답터끼움홈,
    상기 분기선의 끝단에 설치되고 상기 아답터끼움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아답터끼움홈에 끼워지는 형태로 상기 분기선을 상기 체결본체에 결합하는 체결아답터,
    상기 아답터끼움홈에 설치되고 상기 아답터끼움홈으로 삽입되는 상기 체결아답터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하며 회전에 따라 일단은 상기 체결아답터에 접촉되고 타단은 상기 배전선에 접속되어 상기 배전선과 상기 분기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회전접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접속부재는
    상기 체결아답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부,
    상기 접속단자부의 반대방향에 형성되어 상기 배전선의 피복을 절개하여 파고들어가 상기 배전선의 심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칼날부,
    상기 접속단자부와 상기 칼날부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아답터끼움홈에서 상기 회전접속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이 위치된 상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회전접속부재가 회전하여 상기 배전선과 상기 분기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체결아답터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회전접속부재를 회전시키는 가압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아답터는 상기 아답터끼움홈과 마주하는 면을 관통하고 내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이동체결공, 및
    상기 체결본체에서 상기 아답터끼움홈의 반대방향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체결공에 나사체결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체결아답터를 상기 아답터끼움홈에 강제적으로 삽입시키는 회전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아답터는
    상기 회전접속부재가 상기 체결아답터의 가압에 의해 회전하여 세워질 때, 상기 접속단자부가 삽입되는 절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
KR1020180062791A 2018-05-31 2018-05-31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 KR101913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791A KR101913832B1 (ko) 2018-05-31 2018-05-31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791A KR101913832B1 (ko) 2018-05-31 2018-05-31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3832B1 true KR101913832B1 (ko) 2018-10-31

Family

ID=64099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791A KR101913832B1 (ko) 2018-05-31 2018-05-31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383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468Y1 (ko) 2004-01-09 2004-04-28 박순조 조명등용 조도 제어 장치
KR101380324B1 (ko) 2014-02-17 2014-04-02 경남전설감리(주) 설치가 용이한 지중 배전선로의 접속기구
KR101609860B1 (ko) 2015-07-31 2016-04-07 주식회사 제이케이이엔지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구
KR101794255B1 (ko) 2017-05-24 2017-11-20 대한전기감리(주)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468Y1 (ko) 2004-01-09 2004-04-28 박순조 조명등용 조도 제어 장치
KR101380324B1 (ko) 2014-02-17 2014-04-02 경남전설감리(주) 설치가 용이한 지중 배전선로의 접속기구
KR101609860B1 (ko) 2015-07-31 2016-04-07 주식회사 제이케이이엔지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구
KR101794255B1 (ko) 2017-05-24 2017-11-20 대한전기감리(주)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0229B1 (en) Plug connector
US4564255A (en) Strain relief device for an electrical plug connector
CA1112318A (en) Electrical connector attachable to an end portion of a power cable
KR20010092337A (ko) 차량 배터리 단자에 케이블의 플러그인 접속을 위한 장치
CA2210359C (en) Wiring device with ground clamping plate
KR20110008466A (ko)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
JP2008186670A (ja) 電気コネクタ
KR101913832B1 (ko)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
US5035646A (en) Flush mounted receptacle and plug with pin and sleeve type contacts
US11469478B2 (en) Connector for battery box of electric vehicle and battery box, electric vehicle thereof
US4143930A (en) Swivel connection
KR102125952B1 (ko) 레버 커넥터
EP3130041B1 (en) Replaceable bushing for electrical equipment
JP3751460B2 (ja) コネクタの嵌合固定構造
US6984148B1 (en) Electrical connector apparatus and cover therefor
KR102383632B1 (ko) 특고압전선의 활선 작업용 슬리브를 이용한 설치 공법
US4846706A (en) Electric plug
EP1058345A1 (en) Compact branch connector with grounding
KR200209229Y1 (ko) 저압선로형 분기접속장치
JP4040258B2 (ja) 電気連結器
EP1034588B1 (en) A device for securing a cable
KR100922149B1 (ko) 조인트커넥터 어셈블리
EP3355426A1 (en) Tubular insulating seal and corresponding insulating arrangement
KR200344509Y1 (ko) 단자브라켓
KR200332384Y1 (ko) 케이블 꼬임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