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3798B1 - 외부 유리창 청소기 - Google Patents

외부 유리창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3798B1
KR101913798B1 KR1020170183254A KR20170183254A KR101913798B1 KR 101913798 B1 KR101913798 B1 KR 101913798B1 KR 1020170183254 A KR1020170183254 A KR 1020170183254A KR 20170183254 A KR20170183254 A KR 20170183254A KR 101913798 B1 KR101913798 B1 KR 101913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water
window
main body
cleaning spo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3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수
Original Assignee
정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수 filed Critical 정현수
Priority to KR1020170183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37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3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3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6Hand implements
    • A47L1/09Hand implements for cleaning one side with access from the other side only
    • A47L1/095Hand implements for cleaning one side with access from the other side only with provision for supplying liquids, e.g. cleaning agent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외부 유리창 청소기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외부 유리창 청소기는,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운동되는 안쪽 창문과 바깥쪽 창문에서 상기 바깥쪽 창문의 단부에 결합되되 내부에 세척용 물이 충전되는 물탱크 겸용 본체; 및 상기 물탱크 겸용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물탱크 겸용 본체로부터 물이 공급되되 단부 영역이 상기 안쪽 창문의 외부에 배치되는 외부 유리창에 접촉되며, 상기 안쪽 창문과 상기 바깥쪽 창문 중 하나를 다른 하나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시킬 때, 상기 외부 유리창의 표면을 물로 닦아 청소하는 청소 스펀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외부 유리창 청소기{Outside window cleaner}
본 발명은, 외부 유리창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외부 유리창을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물을 사용해서 외부 유리창을 닦아 청소하기 때문에 청소효율이 종래보다 향상될 수 있는 외부 유리창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창문이나 베란다 등의 유리창은 그 특성상 오염되기 쉽다. 유리창이 오염되면 외부가 잘 보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전반적으로 지저분한 환경을 유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유리창이 오염되면 수시로 닦아 청소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실내 쪽의 유리창 청소는 어렵지 않다. 하지만, 실외, 즉 외부 유리창은 손이 잘 닿지 않기 때문에 청소가 불편하고 어렵다. 특히, 고층 건물의 경우에는 추락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외부 유리창을 청소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다양한 형태의 유리창 청소기가 제안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유리창 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청소기는 사각 형상의 유리판(10), 프레임부(20) 및 유리판 청소장치(30)를 포함하고, 상기 유리판 청소장치(30)는 본체부(40), 청소기구부(50), 자력 발생부(60) 및 손잡이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과 같은 구조의 유리창 청소기는 특히, 유리창의 내부와 외부 모두를 청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유리창의 내외, 특히 유리창의 외부 청소를 위한 구성이 너무 복잡하며, 그로 인해 사용상의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세척수, 즉 물 없이 유리창을 단순히 닦아내는 방식이라서 세척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자석을 이용한 간단한 방식이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이 역시,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움직여야 유리창이 청소될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한계를 드러내고 있고, 또한 물 없이 유리창을 단순히 닦아내는 방식이라서 세척효율이 현저히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외부 유리창 청소기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9-0088720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1-0081821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1-0101029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8-000023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외부 유리창을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물을 사용해서 외부 유리창을 닦아 청소하기 때문에 청소효율이 종래보다 향상될 수 있는 외부 유리창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운동되는 안쪽 창문과 바깥쪽 창문에서 상기 바깥쪽 창문의 단부에 결합되되 내부에 세척용 물이 충전되는 물탱크 겸용 본체; 및 상기 물탱크 겸용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물탱크 겸용 본체로부터 물이 공급되되 단부 영역이 상기 안쪽 창문의 외부에 배치되는 외부 유리창에 접촉되며, 상기 안쪽 창문과 상기 바깥쪽 창문 중 하나를 다른 하나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시킬 때, 상기 외부 유리창의 표면을 물로 닦아 청소하는 청소 스펀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유리창 청소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청소 스펀지의 일측에 배치되되 상기 청소 스펀지의 작용으로 상기 외부 유리창에 잔존 가능한 물기를 제거하며, 선단부에 첨예부가 형성되는 제거하는 고무 와이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탱크 겸용 본체에는 상기 고무 와이퍼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퍼 홀더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 겸용 본체의 벽체에는 상기 청소 스펀지를 향해 내장된 물이 자연적으로 공급되게 하는 물 공급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 겸용 본체의 일면에는 상기 바깥쪽 창문의 단부에 결합되기 위한 부착용 테이프가 마련되며, 상기 부착용 테이프에는 이형지가 박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외부 유리창을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물을 사용해서 외부 유리창을 닦아 청소하기 때문에 청소효율이 종래보다 향상될 수 있는 외부 유리창 청소기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유리창 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외부 유리창 청소기의 사용 상태 동작도이다.
도 6은 외부 유리창 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7의 개략적인 평단면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외부 유리창 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9의 요부 확대도로서 고무 와이퍼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외부 유리창 청소기의 평단면 구조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외부 유리창 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서 뚜껑을 개방한 상태의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외부 유리창 청소기의 사용 상태 동작도, 도 6은 외부 유리창 청소기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요부 확대도, 그리고 도 8은 도 7의 개략적인 평단면 구조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유리창 청소기(100)는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외부 유리창(11)을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물을 사용해서 외부 유리창(11)을 닦아 청소하기 때문에 청소효율이 종래보다 향상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유리창 청소기(100)는 도 4 및 도 5처럼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운동되는 안쪽 창문(10)과 바깥쪽 창문(20)에서 바깥쪽 창문(20)의 단부에 결합되며, 안쪽 창문(10)과 바깥쪽 창문(20) 중 하나를 다른 하나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시킬 때, 외부 유리창(11)의 표면을 물로 닦아 청소하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유리창 청소기(100)는 동력이 필요하거나 혹은 인위적인 청소를 해야만 외부 유리창(11)을 청소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도 5처럼 안쪽 창문(10)과 바깥쪽 창문(20) 중 하나를 다른 하나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동작만으로도 외부 유리창(11)이 자연적으로 청소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종래의 어떤 제품들보다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유리창 청소기(100)는 물탱크 겸용 본체(110), 청소 스펀지(130), 고무 와이퍼(140), 그리고 와이퍼 홀더(150)를 포함할 수 있다.
물탱크 겸용 본체(110)는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운동되는 안쪽 창문(10)과 바깥쪽 창문(20)에서 바깥쪽 창문(20)의 단부에 결합된다.
물탱크 겸용 본체(110) 내에는 세척용 물이 충전된다. 세척용 물인 일반 수돗물일 수도 있고, 아니면 소정의 세제가 함유된 물일 수도 있다.
물탱크 겸용 본체(110)의 설치를 위해 물탱크 겸용 본체(110)의 일면에는 바깥쪽 창문(20)의 단부에 결합되기 위한 부착용 테이프(120)가 마련된다.
부착용 테이프(120)에는 이형지(121)가 박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이형지(121)를 떼어내고 부착용 테이프(120)를 바깥쪽 창문(20)의 단부에 부착시킴으로써 물탱크 겸용 본체(110)를 해당 위치에 용이하게 설치할 있다.
청소 스펀지(130)는 물탱크 겸용 본체(110)의 일측에 결합되어 물탱크 겸용 본체(110)로부터 물이 공급되되 단부 영역이 안쪽 창문(10)의 외부에 배치되는 외부 유리창(11)에 접촉되며, 안쪽 창문(10)과 바깥쪽 창문(20) 중 하나를 다른 하나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시킬 때, 외부 유리창(11)의 표면을 물로 닦아 청소하는 역할을 한다.
물탱크 겸용 본체(110)의 벽체에는 청소 스펀지(130)를 향해 내장된 물이 자연적으로 공급되게 하는 물 공급구(111)가 형성된다. 이때, 물 공급구(111)는 미세하게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고무 와이퍼(140)는 청소 스펀지(130)의 일측에 배치되되 청소 스펀지(130)의 작용으로 외부 유리창(11)에 잔존 가능한 물기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외부 유리창(11)에 잔존 가능한 물기가 보다 확실하게 제거될 수 있게끔 고무 와이퍼(140)의 선단부는 뾰족하게 첨예부(141)를 형성한다. 즉 첨예부(141)로 인해 외부 유리창(11)에 잔존 가능한 물기가 보다 확실하게 제거된다.
와이퍼 홀더(150)는 물탱크 겸용 본체(110)에 마련되며, 고무 와이퍼(14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와이퍼 홀더(150)는 물탱크 겸용 본체(110) 상에 다수 개 마련되어 고무 와이퍼(140)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외부 유리창 청소기(100)를 도 4처럼 바깥쪽 창문(20)의 단부에 설치한 후, 도 5처럼 안쪽 창문(10)과 바깥쪽 창문(20) 중 하나를 다른 하나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물이 묻은 청소 스펀지(130)가 외부 유리창(11)의 표면을 물로 1차로 닦아내며, 이후에는 잔존되는 물기를 고무 와이퍼(140)가 2차로 제거해주기 때문에 외부 유리창(11)이 깨끗해질 수 있다.
특히, 동력이 필요하거나 혹은 인위적인 청소를 해야만 외부 유리창(11)을 청소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도 5처럼 안쪽 창문(10)과 바깥쪽 창문(20) 중 하나를 다른 하나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동작만으로도 외부 유리창(11)이 자연적으로 청소될 수 있기 때문에 외부 유리창(11)을 늘 깨끗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외부 유리창(11)을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물을 사용해서 외부 유리창(11)을 닦아 청소하기 때문에 청소효율이 종래보다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외부 유리창 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도 9의 요부 확대도로서 고무 와이퍼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유리창 청소기(200) 역시, 물탱크 겸용 본체(210), 청소 스펀지(130), 첨예부(241)를 구비하는 고무 와이퍼(240), 그리고 와이퍼 홀더(25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물탱크 겸용 본체(210)에는 물 주입용 마개(211)가 마련된다. 물탱크 겸용 본체(210) 내의 물이 전부 소진되면 물 주입용 마개(211)를 열고 물탱크 겸용 본체(210) 내로 물을 충전시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유리창 청소기(200)는 전술한 것과 달리 고무 와이퍼(240)의 돌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고무 와이퍼(240)에는 라운드형 돌기(242)가 마련되고, 와이퍼 홀더(250)에는 라운드형 돌기(242)가 선택적으로 수용되어 고정되는 다수의 돌기홈(252)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10 또는 도 11처럼 라운드형 돌기(242)가 다수의 돌기홈(252) 중 어느 곳에 수용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고무 와이퍼(240)의 돌출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청소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외부 유리창(11, 도 4 및 도 5 참조)을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물을 사용해서 외부 유리창(11)을 닦아 청소하기 때문에 청소효율이 종래보다 향상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외부 유리창 청소기의 평단면 구조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유리창 청소기(300) 역시, 물탱크 겸용 본체(310), 청소 스펀지(330), 첨예부(241)를 구비하는 고무 와이퍼(140), 그리고 와이퍼 홀더(15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청소 스펀지(330)의 구조가 전술한 실시예들과 상이하다. 즉 청소 스펀지(330)는 스펀지 홀더(370)에 의해 지지되는데, 스펀지 홀더(370)는 일부가 물탱크 겸용 본체(310)의 외부로 노출되고 나머지는 물탱크 겸용 본체(310) 내의 물에 침지된다. 따라서 청소 스펀지(330) 역시, 청소부(331)는 외부로 노출되고, 물 흡수부(332)는 물탱크 겸용 본체(310) 내의 물에 침지된다.
그리고 청소 스펀지(330)의 물 흡수부(332)에 이웃된 물탱크 겸용 본체(310) 내에는 미세통공(361)이 형성되는 격판(360)이 배치된다.
격판(360)으로 인해 과도한 물이 청소 스펀지(330)의 물 흡수부(332)로 이동되는 것을 어느 정도 제한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제2 실시예처럼 본 실시예 역시, 물탱크 겸용 본체(310) 내의 물을 재충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처럼 청소 스펀지(330)의 일부가 물탱크 겸용 본체(310) 내의 물에 침지되기 때문에 청소 스펀지(330)의 청소부(331)에는 늘 물기가 충만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물을 사용한 외부 유리창(11)의 청소작업이 진행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외부 유리창(11, 도 4 및 도 5 참조)을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물을 사용해서 외부 유리창(11)을 닦아 청소하기 때문에 청소효율이 종래보다 향상될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외부 유리창 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에서 뚜껑을 개방한 상태의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유리창 청소기(400) 역시, 물탱크 겸용 본체(410), 청소 스펀지(430), 그리고 고무 와이퍼(440)를 포함할 수 있다.
물탱크 겸용 본체(410)의 일측에는 뚜껑(411)이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럴 경우, 물을 보충하기에 좋다. 뚜껑(411)은 나사 결합되지만 다른 형태의 결합 방식이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청소 스펀지(430)와 고무 와이퍼(440)가 물탱크 겸용 본체(410) 측의 고정 홀더부(411)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된다. 이러한 경우, 설치와 유지보수가 용이해질 수 있다. 즉, 물탱크 겸용 본체(410)에는 평면상 "T"자 형상의 2개의 홈을 갖는 고정 홀더부(411)가 형성되고, 청소 스펀지(430)와 고무 와이퍼(440)는 고정 홀더부(411)의 홈에 각각 끼워지도록 평면상 "T"자 형상의 끼움부(431)(441)가 각각 고정되어 청소 스펀지(430)와 고무 와이퍼(440)가 고정 홀더부(411)에 홈에 각각 끼워져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구조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유리창 청소기(400)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집게부(470)를 통해 창문틀에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럴 경우, 착탈이 용이해서 부품을 수리 혹은 교환하거나 물을 충전하는 데에 유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3에 도시된 물탱크 겸용 본체(410), 청소 스펀지(430), 그리고 고무 와이퍼(440) 등의 형상이 제1 실시예와는 상이하나 그 형상만이 상이할 뿐 기능과 역할은 모두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외부 유리창(11, 도 4 및 도 5 참조)을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물을 사용해서 외부 유리창(11)을 닦아 청소하기 때문에 청소효율이 종래보다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안쪽 창문 11 : 외부 유리창
20 : 바깥쪽 창문 100 : 외부 유리창 청소기
110 : 물탱크 겸용 본체 111 : 물 공급구
120 : 부착용 테이프 121 : 이형지
130 : 청소 스펀지 140 : 고무 와이퍼
141 : 첨예부 150 : 와이퍼 홀더

Claims (5)

  1.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운동되는 안쪽 창문과 바깥쪽 창문에서 상기 바깥쪽 창문의 단부에 결합되되 내부에 세척용 물이 충전되는 물탱크 겸용 본체;
    상기 물탱크 겸용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물탱크 겸용 본체로부터 물이 공급되되 단부 영역이 상기 안쪽 창문의 외부에 배치되는 외부 유리창에 접촉되며, 상기 안쪽 창문과 상기 바깥쪽 창문 중 하나를 다른 하나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시킬 때, 상기 외부 유리창의 표면을 물로 닦아 청소하는 청소 스펀지;
    상기 청소 스펀지의 일측에 배치되되 상기 청소 스펀지의 작용으로 상기 외부 유리창에 잔존 가능한 물기를 제거하며, 선단부에 첨예부가 형성되는 제거하는 고무 와이퍼를 포함하며,
    상기 고무 와이퍼에는 라운드형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고무 와이퍼를 상기 물탱크 겸용 본체에 고정하는 와이퍼 홀더에는 라운드형 돌기가 수용되어 고정되는 다수의 돌기홈이 형성되어 상기 고무 와이퍼의 돌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유리창 청소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스펀지를 상기 물탱크 겸용 본체에 지지하는 스펀지 홀더가 더 구비되되, 상기 스펀지 홀더는 일부가 상기 물탱크 겸용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고 나머지는 상기 물탱크 겸용 본체 내의 물에 침지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청소 스펀지의 일부는 외부로 노출되면서 나머지는 상기 물탱크 겸용 본체 내의 물에 침지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청소 스펀지의 물 흡수부에 이웃된 물탱크 겸용 본체 내에는 미세통공이 형성되는 격판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유리창 청소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 겸용 본체에는 평면상 "T"자 형상의 2개의 홈을 갖는 고정 홀더부가 형성되고, 상기 청소 스펀지와 상기 고무 와이퍼는 상기 고정 홀더부의 홈에 각각 끼워지도록 평면상 "T"자 형상의 끼움부가 각각 고정되어 상기 청소 스펀지와 상기 고무 와이퍼가 상기 고정 홀더부의 홈에 각각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유리창 청소기.
KR1020170183254A 2017-12-28 2017-12-28 외부 유리창 청소기 KR101913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254A KR101913798B1 (ko) 2017-12-28 2017-12-28 외부 유리창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254A KR101913798B1 (ko) 2017-12-28 2017-12-28 외부 유리창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3798B1 true KR101913798B1 (ko) 2018-10-31

Family

ID=64099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3254A KR101913798B1 (ko) 2017-12-28 2017-12-28 외부 유리창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37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2078B1 (ko) 2022-07-07 2023-01-26 송중화 외부 유리창 세척부가 구비된 창호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679Y1 (ko) * 2003-07-02 2004-02-18 음우형 유리창 닦이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679Y1 (ko) * 2003-07-02 2004-02-18 음우형 유리창 닦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2078B1 (ko) 2022-07-07 2023-01-26 송중화 외부 유리창 세척부가 구비된 창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071933U (zh) 一种擦窗机器人
KR101913798B1 (ko) 외부 유리창 청소기
CN104525539B (zh) 三轴式医用试管清洗器
KR200484056Y1 (ko) 유리창 청소도구
CN105877601B (zh) 一种可折叠拆卸的玻璃清洗器
KR200474749Y1 (ko) 유리창 닦이
WO2005077239A3 (de) Putzeimerdeckel
KR20130042684A (ko) 아파트 베란다 유리창 양면 청소구 및 그를 이용한 청소방법
CN201036532Y (zh) 玻璃清洁工具
CN202505263U (zh) 新型玻璃窗清洗器
CN210395136U (zh) 一种高速公路隔音屏障
KR100732568B1 (ko) 흡착판이 구비된 유리창 닦는 장치
JP2000041905A (ja) ガラス清掃装置
CN201216565Y (zh) 一种多功能拖把
CN210478642U (zh) 一种汽车前档内玻璃清洗器
CN220327380U (zh) 一种多功能玻璃洁具
KR20060103306A (ko) 유리창 닦는 장치
CN217471633U (zh) 一种带有无线充电模块的浴镜
CN209437147U (zh) 一种擦刮两用的擦玻璃器
CN219303552U (zh) 一种变压器瓦斯继电器
CN219578828U (zh) 一种拖把
CN208725577U (zh) 一种新型双人洗漱台
CN202891793U (zh) 一种便捷清洁器
CN212703541U (zh) 一种检验试管清洗器
KR102064263B1 (ko) 창문 청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