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3668B1 - A prefabricated scaffolding device which can work aheat power plant - Google Patents

A prefabricated scaffolding device which can work aheat power pla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3668B1
KR101913668B1 KR1020180042610A KR20180042610A KR101913668B1 KR 101913668 B1 KR101913668 B1 KR 101913668B1 KR 1020180042610 A KR1020180042610 A KR 1020180042610A KR 20180042610 A KR20180042610 A KR 20180042610A KR 101913668 B1 KR101913668 B1 KR 101913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iler
installation part
scaffold
bracket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26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학명
Original Assignee
호리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리코리아(주) filed Critical 호리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180042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366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3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36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36Scaffold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for stairs, cupolas, domes
    • E04G1/362Scaffold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for stairs, cupolas, domes specially adapted for tanks, silos or similar vess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6Consoles;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6Struts or stiffening rods, e.g. diagonal ro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04G2001/157Extensible platforms, e.g. telescopic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025/003Supports therefor, e.g. trip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mporary structure for interior work of a boiler in a power plant. The temporary structure comprises: a floor post installing part (120) vertically expanding and mounted on the floor of a boiler in a power plant and assembling a structure using floor post materials with the purpose of supporting an upper load; an expansion part (130) expanding outwar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floor post installing part (120) to secure a work space for a worker; and a scaffold mounting part (140) expanding on an upper side of the floor post installing part (120)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ssembling the structure using scaffold materials with the purpose of offering a work space and a moving line of the worker. The present invention can secure a structural stability since the floor post installing part is assembled and mounted using the floor post materials with the purpose of supporting the upper load and the scaffold mounting part is assembled and mounted using the scaffold materials with the purpose of offering a work space and a moving line of the worker.

Description

발전소의 보일러 내부 공사용 가설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A prefabricated scaffolding device which can work aheat power plant}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scaffolding device,

본 발명은 발전소의 보일러 내부 공사용 가설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일러 내부의 하부쪽에 상부하중을 지지할 목적으로 동바리 자재들을 이용해 동바리 설치부를 조립설치하고, 동바리 설치부 상측에 작업자의 작업공간 및 동선을 제공할 목적으로 비계 자재들을 이용해 비계 설치부를 조립설치함으써,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는 발전소의 보일러 내부 공사용 가설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iler installation structure for a boiler of a power pla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boiler installation structure for a boil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mporary structure for internal construction of a boiler and a method for installing the same in a power plant that assures structural stability by assembling and installing a scaffold installation part using scaffold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work space and copper line of an operator.

일반적으로 화력발전소(이하 '발전소'라 함)는 아래의 그림과 같이 석탄이나 석유에 의한 화력으로 증기를 발생시켜 터빈을 돌리고, 그것에 의하여 발전기를 운전하는 발전소로서, 아래의 그림과 같은 공정으로 이루어진다.Generally, a thermal power pla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ower plant") is a power plant that operates a generator by turning a turbine by generating steam by thermal power by coal or oil as shown in the figure below. .

위 그림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보일러의 내부 구조는 화로에 의한 열기를 하부에서부터 상부로 확산시킬 수 있도록 도2와 같이 상광하협형 테이퍼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보일러 내벽은 화로의 열을 수집하기 위해 관 속에 물이 채워진 튜브가 수직으로 세워진 채 내벽에 둘러싸인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울산화력발전소의 경우 튜브의 길이는 바닥으로부터 약 35m정도 된다.Referring to the above figure,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boiler is configured to have a taper shape of a top-down type as shown in FIG. 2 so that the heat generated by the furnace can be diffus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and the inner wall of the boiler collects heat of the furnace For example, in the case of Ulsan Thermal Power Plant, the length of the tube is about 35m from the bottom.

화력발전소는 주기적으로 휴식기를 갖게 되는데, 이때 보일러의 내부에 인력이 투입되어 보일러의 내부를 청소하거나, 노후 된 튜브 및 훼손된 튜브를 교체(이하 '관리'라 함)하게 된다.The thermal power plant has a periodic rest period, in which manpower is injected into the boiler to clean the inside of the boiler, or to replace old and damaged tub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management").

특히, 화력발전소의 보일러 내부구조는 상광하협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수직으로 증축되는 통상의 건축용 비계를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보일러의 내부 입구는 열손실을 막기 위해 상당이 좁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중장비를 동원할 수 없는 실정이다.In particular, since the inner structure of the boiler of the thermal power plant is made up of the upper stream,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normal construction scaffold which is vertically enlarged, and the inner entrance of the boiler is formed to be narrow to prevent heat loss. It is absent.

이에 종래는 사다리나 밧줄 등을 이용하여 보일러의 내부를 관리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보일러의 내부에 대한 관리를 마치는데 소비되는 시간이 상당히 길고, 많은 인원이 필요하며, 작업이 힘들 뿐 아니라, 작업중 추락할 수 있으므로 안전에 취약한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Conventionally, such a conventional method manages the inside of the boiler by using a ladder or a sling, and the time consumed for completing maintenance of the inside of the boiler is considerably long, a large number of people are needed, In addition, it was vulnerable to safety because it could fall during work.

한편, 하기의 선행기술문헌 중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8501호의 경우 사다리타입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비계를 제안한 바 있으나, 사다리타입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비계는 위치를 이동하면서 보일러의 내부를 관리하여야 하므로 넓은 면적을 관리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이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among the following prior art documents,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408501 has proposed a prefabricated scaffold made of a ladder type, but since the prefabricated scaffold made of a ladder type needs to manage the inside of the boiler while moving its position, It takes a considerable time to manag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move.

참고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9716호는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건축용 비계에 관한 선행기술문헌이다.For reference,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479716 is a prior art document relating to a commonly used architectural scaffold.

예를 들어 상기한 건축용 비계를 화력발전소의 보일러 내부에 적용할 경우 상술한 건축용 비계는 하부로부터 상부를 확장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므로 보일러의 내부 상부구간에는 보일러의 내벽과 비계 간에 거리가 멀어 작업을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For example, when the above-mentioned architectural scaffold is applied to the inside of a boiler of a thermal power plant, the above-mentioned architectural scaffold is not a structure that can expand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Which is difficult to perform.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 - 1677178호Korean Patent No. 10 - 1677178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보일러 내부의 하부쪽에 상부하중을 지지할 목적으로 동바리 자재들을 이용해 동바리 설치부를 조립설치하고, 동바리 설치부 상측에 작업자의 작업공간 및 동선을 제공할 목적으로 비계 자재들을 이용해 비계 설치부를 조립설치하는 발전소의 보일러 내부 공사용 가설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iler installation part by assembling and installing a boiler installation part by using raw materials for the purpose of supporting an upper loa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mporary structure for internal construction of a boiler and a method for installing the same in a power plant in which a scaffold installation part is assembled and installed using scaffold material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a work space and a work line of an operato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확장부를 구성함에 있어, 상부연결대 및 하부연결대가 동바리 수직재와 난간기둥에 각각 연결되어 하중을 분산하고, 특히 난간기둥과 하부연결대가 맞닿는 지점 아래쪽에 이격공간을 두고 이탈방지 플레이트를 형성함으로써, 대각재의 단부에 형성된 U-바가 삽입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발전소의 보일러 내부 공사용 가설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vator system in which an upper connecting rod and a lower connecting rod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a vertical barrel and a railing so as to distribute the load and in particular to provide a separation space below the point where the railing column and the lower connecting rod abut, And a U-bar formed at the end of the large screed material is inserted so that the U-bar is not remov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발전소용 보일러의 바닥면에 수직방향으로 확장 설치되고, 상부하중을 지지할 목적으로 동바리 자재들을 이용해 구조물을 조립하는 동바리 설치부;A boiler installation part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iler for a power plant and assembling the structure by using the boiler materials for the purpose of supporting the upper load;

상기 동바리 설치부의 외측 수평방향으로 확장 설치되어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확보하는 확장부; 및An extension part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outside of the barb mounting part to secure a work space of an operator; And

상기 동바리 설치부 상측에 수직방향으로 확장 설치되고, 작업자의 작업공간 및 동선을 제공할 목적으로 비계 자재들을 이용해 구조물을 조립하는 비계 설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의 보일러 내부 공사용 가설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And a scaffold installation part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horseshoe installation part and assembling a structure using scaffold material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a work space and a copper line of an operator, Can be provided.

여기서, 상기 바닥기초구조물은 링형상 거더의 단면형상이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bottom foundation 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tional shape of the ring girder is circular.

또한, 상기 동바리 설치부는, 직경60.5mm 두께의 관체로서, 수직방향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평면상에 정방형으로 배치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동바리 수직재; 및 상기 동바리 수직재와 동바리 수직재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동바리 수평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ubular mounting portion is a tubular body having a diameter of 60.5 mm and includes a plurality of tubular vertical members arranged in a square on a plane to support a vertical load; And a tilting horizontal member horizontally connecting the tilting vertical member and the vertical tilting member.

또한, 상기 확장부는, 동바리수직재에 일측단부가 결합되어 외팔보 형태로 설치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타측단부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난간기둥; 상기 브라켓의 타측단부 저면과 동바리수직재 사이를 대각선상에 연결시켜 브라켓 타측단부에 집중되는 하중을 동바리수직재에 지지되도록 하는 대각재; 및 상기 브라켓 상부에 결합되는 작업자 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extension portion may include: a bracke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right vertical member and installed in a cantilever shape; A parapet connected vertically to the other end of the bracket; A bracket for connecting a bottom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bracket and the right vertical reinforcement member on a diagonal line so that a load concentrated on the other end of the bracket is supported on the right vertical reinforcement; And an operator footrest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racket.

이때, 상기 브라켓은 상부연결대와, 상기 상부연결대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나란히 형성되는 하부연결대와, 상기 상부연결대와 하부연결대 사이를 종방향으로 잇는 복수의 버팀재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상부연결대의 양측단부에 각각 결합수단인 클립부를 형성하며, 하부연결대는 동바리수직재와 접하는 측에만 클립부를 형성하고 다른측 단부는 난간기둥에 맞닿아 접하도록 형성하되, 동바리수직재에 결합하는 측의 상하 단부 사이의 이격거리를 넓게 형성하고 반대측 상하 단부 사이의 이격거리를 좁게 형성하여 대략 삼각꼴을 이루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bracket includes a top connecting rod, a lower connecting rod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upper connecting ro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plurality of straps connecting the upper connecting rod and the lower connecting ro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 clip portion as a coupling means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ng rod, and the lower connecting rod is formed such that a clip portion is formed only on the side in contact with the upright vertical member and the other side end is in contact with the parapet,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opposite side is narrowed so as to form a substantially triangular shape.

또한, 상기 난간기둥은 하부연결대와 맞닿는 지점 아래쪽에 이격공간을 두고 이탈방지 플레이트를 형성함으로써, 대각재의 단부에 형성된 U-바가 삽입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ailing pillars are provided with a separation prevention space below the point where they abut the lower connecting rod, thereby preventing the U-bar formed at the end of the curved rod from being inserted and removed.

또한, 상기 발판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4면에 직선형 발판이 배치되고, 직선형 발판과 직선형 발판이 만나는 코너부에는 3각형 형상의 코너부 발판이 배치되도록 하되, 상기 코너부 발판은 직각을 이루는 2개의 변에는 각각 동바리 수평재에 끼워지는 걸림턱을 형성하고, 직각을 이루는 꼭지점에는 수직재에 끼워져 상하 이동이 가능한 체결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oot plate is arranged such that a straight foot plate is disposed on four sides in a plan view, and a triangular corner foot plate is disposed on a corner where the straight foot and the straight foot meet, And a locking ring is formed at the vertexes at right angles so as to be fitted in the vertical member and to move up and down.

또한, 상기 동바리 설치부에서 비계 설치부로 변환되는 구간에 4각 파이프 형상의 멍에재를 중간 연결재로 설치하되, 동바리 설치부의 단부와 멍에재, 비계 설치부의 단부와 멍에재 각각은 U자형 클램프로 끼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quadrangular pipe-like yoke is provided in the section which is transformed from the upstream installation part to the downstream side installation part, and the ends of the upstream installation part, the end parts of the scaffold installation part, .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발전소용 보일러의 바닥면에 동바리 자재들을 이용해 동바리 설치부 수직방향으로 확장 형성하는 단계;Expand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boiler for the power plant in the vertical direction using the trowel materials;

상기 동바리 설치부의 외측 수평방향으로 확장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Forming an extension in an outer horizontal direction of the trough mounting portion; And

상기 동바리 설치부 상측에 비계 자재들을 이용해 비계 설치부를 수직방향으로 확장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의 보일러 내부 공사용 가설구조물 설치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nd expanding the scaffolding unit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using scaffold materials on the upper side of the scaffolding unit.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보일러 내부의 하부쪽에 상부하중을 지지할 목적으로 동바리 자재들을 이용해 동바리 설치부를 조립설치하고, 동바리 설치부 상측에 작업자의 작업공간 및 동선을 제공할 목적으로 비계 자재들을 이용해 비계 설치부를 조립설치함으써,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는 효과를 갖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boiler installation part is assembled and installed by using the raw materials for supporting the upper load in the lower part of the boiler, and by using the scaffold material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work space and copper line of the worker above the boiler installation part By assembling and installing the scaffold mounting part,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tructural stability.

또한, 본 발명은 확장부를 구성함에 있어, 상부연결대 및 하부연결대가 동바리 수직재와 난간기둥에 각각 연결되어 하중을 분산하고, 특히 난간기둥과 하부연결대가 맞닿는 지점 아래쪽에 이격공간을 두고 이탈방지 플레이트를 형성함으로써, 대각재의 단부에 형성된 U-바가 삽입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in constructing the extension part, the upper connecting rod and the lower connecting rod are connected to the right and left vertical members and the railing pillars, respectively, so as to distribute the load. Particularly, a separation preventing space is provided below the point where the railing pillars and the lower connecting rod come into contact, So that the U-bar formed on the end of the large screed material is not inserted and removed so that the safety accident is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전소의 보일러 내부 작업용 가설구조물이 적용되는 보일러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전소의 보일러 내부 작업용 가설구조물을 설명하는 보일러 내부 설치도면.
도 3은 도 2의 "A"부에 도시된 베이스 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B"부에 도시된 확장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발판 설치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2의 "C"부에 도시된 멍에재 설치구간을 도시한 확대도.
도 7은 도 2의 "D"부에 도시된 또 다른 멍에재 설치구간을 도시한 확대도.
1 is a conceptu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oiler internal structure to which a boiler internal construction for a power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 view showing an internal construction of a boiler for explaining a built-in structure for a boiler internal work of a power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se plate shown in the "A" part of Fig.
Fig. 4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extension shown in the "B" part of Fig. 2;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ootrest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yoke reinstalling section shown in the "C" portion of FIG. 2; FIG.
FIG. 7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other yoke reinstalling section shown in the "D" portion of FIG. 2;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전소의 보일러 내부 작업용 가설구조물이 적용되는 보일러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전소의 보일러 내부 작업용 가설구조물을 설명하는 보일러 내부 설치도면이다.FIG. 1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boiler internal structure to which a boiler internal construction for a power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boiler internal construction for explaining a boiler internal construction for a power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크게 바닥 동바리 설치부(120), 확장부(130), 비계 설치부(140)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comprises a floor bottom mounting part 120, an expansion part 130, and a scaffold mounting part 140.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동바리 설치부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installation part of the trapezoi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동바리 설치부(120)은 상기 바닥기초구조물(110)의 멍에재(A2)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확장 설치되고, 상부하중을 지지할 목적으로 동바리 자재들을 이용해 구조물을 조립하게 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hatchback installation part 120 is vertically extended on the yoke A2 of the bottom foundation structure 110, and the structure is assembled using the hilly materials for the purpose of supporting the upper load do.

이때, 상기 동바리 설치부(120)에 사용되는 동바리자재는, 직경60.5mm 두께의 관체로서, 수직방향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거푸집 등의 건설자재로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직경 48.6mm의 비계와는 구별되는 자재이다.The tie barriers used for the tie barriers 120 are mainly used as construction materials such as molds for supporting a vertical load and are tubular bodies having a diameter of 60.5 mm and are distinguished from scaffolds having a diameter of 48.6 mm Material.

상기한 바와 같은 동바리자재들은 동바리 수직재(121)와, 동바리 수평재(123), 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체결수단(A1)로 이루어진다.The above-mentioned tongue-and-groove materials consist of a tongue-like vertical member 121, a tongue-like horizontal member 123, and a fastening means A1 for connecting them.

상기 동바리 수직재(121)은 평면상에 정방형으로 배치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데 적개는 4개가 설치되기도 하나, 보일러 내부 사이즈에 따라 확장이 가능하다.The vertical members 121 are arranged in a square on a plane and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four lanterns may be installed, but they can be expanded according to the inner size of the boiler.

예컨대, 수직방향으로의 연장은 관체와 관체 사이를 끼워서 조립하는 원형막대 형상의 연결핀부재를 이용해 연장할 수 있고, 수평방향으로의 확장은 동바리 수평재(123)과 동바리 수직재(121) 사이를 체결수단(A1)을 이용해 연결해 나감으로써 확장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ext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extended by using a circular bar-shaped connecting pin member that is assembled by sandwiching the tube body and the tube body, and the expans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achieved by fastening between the horizontal straight member 123 and the horizontal straight member 121 It can be expanded by connecting it using the means A1.

상기 동바리 수평재(123)은 상기 동바리 수직재(121)과 동바리 수직재(121)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관체로서, 양측단부에는 판재 등이 물릴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된 클립부(A11)을 형성한다.The hill horizontal member 123 is a tubular body horizontally connecting the hill vertical member 121 and the hill vertical member 121 and has a clip portion A11 having insertion grooves formed at both ends thereof so that a plate material can be inserted.

상기 동바리 수직재(121)은 상기 클립부(A11)에 물리도록 하는 판형의 클립플레이트(A13)을 축상에 구비한다.The right curved vertical member 121 includes a plate-shaped clip plate A13 which is held on the clip portion A11 in an axial direction.

상기 클립플레이트(A13)과 클립부(A11)이 물린 상태에서 이들을 관통하는 체결핀(A13)이 삽입되어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A fastening pin A13 penetrating the clip plate A13 and the clip portion A11 in a state of being bitten is inserted to prevent the clip A13 from coming off.

이때, 상기 클립플레이트(A13)은 동바리 수직재(121)을 중심으로 다방향에서 체결이 가능하도록 원주방향에 복수의 체결핀 관통공을 형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lip plate A13 may form a plurality of fastening pin through-hol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the clip plate A13 can be fastened in various directions around the right vertical member 121.

도 3을 참조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대해서 설명한다.The base plate 1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3은 도 2의 "A"부에 도시된 베이스 플레이트의 사시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동바리 수직재(121)의 보일러 바닥면과 닿는 잭베이스 저면에 바닥 접지면적을 확장하기 위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된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se plate shown in the portion "A" of Fig. 2. The base plate 110 as shown in the figure has a bottom ground area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jack base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boiler Lt; RTI ID = 0.0 > detachably < / RTI >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넓은 접지면적을 갖는 판체 형상의 본체 중앙에 수직재(121) 내경에 결합하는 센터가이드(111)를 형성하고, 상기 센터가이드(111) 외주연 둘레에는 잭베이스의 4방향 모서리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날개(112)를 형성하며, 상기 클램핑 날개(112)와 센터가이드(111) 사이에는 잭베이스에 볼트결합이 가능한 복수의 체결홀(113)을 형성한다.The base plate 110 is formed with a center guide 111 coupled to the inside diameter of the vertical member 121 at the center of a plate shaped body having a wide ground surface area,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13 are formed between the clamping wing 112 and the center guide 111 so that the fastening holes 113 can be bolted to the jack base.

이와 같은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발전소의 보일러 바닥에 요철 등의 장애물이 있어 불규칙한 노면을 형성하는 경우에 사용하거나 구조물의 안정화를 위해 설치하게 된다.The base plate 110 may be used to form an irregular road surface due to obstacles such as irregularities on the bottom of a boiler of a power plant or to be installed for stabilization of a structure.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확장부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expansion un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4는 도 2의 "B"부에 도시된 확장부를 도시한 확대도이다.4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extension shown in the "B" part of FIG.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확장부(130)은 상기 동바리 설치부(120)의 외측 수평방향으로 작업공간을 확장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한다.The enlarged portion 130 as shown in the drawing provides a structure for expanding the work spa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utside of the rough installation portion 120.

상기 확장부(130)는, 브라켓(131), 난간기둥(134), 대각재(133), 작업자 발판(135)로 구성된다.The extension 130 includes a bracket 131, a railing 134, a stiffener 133, and an operator's foot 135.

상기 브라켓(131)은 동바리 수직재(121)에 일측단부가 결합되어 외팔보 형태로 설치되에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물이다.The bracket 131 is a cantilever type structure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right vertical member 121 to support a load.

이러한, 상기 브라켓(131)은 상부연결대(131a)와, 상기 상부연결대(131a)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나란히 형성되는 하부연결대(131b)와, 상기 상부연결대(131a)와 하부연결대(131b) 사이를 종방향으로 잇는 복수의 버팀재(131c)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상부연결대(131a)의 양측단부에 각각 결합수단인 클립부(A11)을 형성하며, 하부연결대(131b)는 동바리 수직재(121)와 접하는 측에만 클립부(A11)을 형성하고 다른측 단부는 난간기둥(134)에 맞닿아 접하도록 형성하되, 동바리 수직재(121)에 결합하는 측의 상하 단부 사이의 이격거리를 넓게 형성하고 반대측 상하 단부 사이의 이격거리를 좁게 형성하여 대략 삼각꼴을 이루도록 하고 있다.The bracket 131 includes an upper link 131a and a lower link 131b spaced apart from the upper link 131a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n upper link 131a and a lower link 131b. A clip portion A11 as a coupling means is formed at both side ends of the upper linking portion 131a and a lower linking portion 131b is formed as a fastener vertical portion 131a, The clip portion A11 is formed only on the side in contact with the horizontal member 121 and the other side end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parapet 134 so as to abut on the horizontal member 134, And the spacing dista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opposite side is narrowed to form a substantially triangular shape.

이때, 상기 하부연결대(131b)는 난간기둥(134) 쪽 단부를 2단 절곡하여 양쪽 단부의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wer connecting rod 131b may bend the end of the side of the railing 134 in two steps to form a step at both ends.

또한, 상기 클립부(A11)은 동바리 수직재(121)에 형성된 클립플레이트(A13)을 삽입홈에 끼워서, 별도의 체결핀(A13)을 이용해 관통시켜 체결수단(A1)서 사용된다.The clip portion A11 is used in the fastening means A1 by inserting the clip plate A13 formed in the rightmost vertical member 121 into the insertion groove and penetrating the clip plate A13 using another fastening pin A13.

이때, 상기 클립플레이트(A13)은 동바리 수직재(121)을 중심으로 다방향에서 체결이 가능하도록 원주방향에 복수의 체결핀 관통공을 형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lip plate A13 may form a plurality of fastening pin through-hol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the clip plate A13 can be fastened in various directions around the right vertical member 121.

그리고, 상기 브라켓(131)의 타측단부에 수직방향으로 난간기둥(134)가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131)의 타측단부 저면과 동바리 수직재(121) 사이를 대각재(133)을 이용해 연결시켜 브라켓(131) 타측단부에 집중되는 하중을 동바리 수직재(121)에 지지되도록 한다.The railing 134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bracket 131 and the other end of the bracket 131 is connected to the rotor 121 using a stiffener 133, So that the load concentrated on the other end portion is supported by the right vertical member 121.

이때, 상기 난간기둥(134)는 동바리 수직재(121)과 유사한 형태의 부재로서 길이를 짧게 한 것으로 보면된다.At this time, the railing 134 is a member having a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vertical member 121, and the length is shortened.

상기 난간기둥(134)의 하부연결대(131b)와 맞닿는 지점 아래쪽에 이격공간을 두고 이탈방지 플레이트(134a)를 형성하는데, 상기 이격공간에 대각재(133)의 단부에 형성된 U-바(133a)가 삽입되도록 한다.The U-bar 133a formed at the end of the stiffener 133 in the spacing space is formed with a separation space below the point where it abuts the lower link 131b of the railing 134, .

삽입된 대각재(133)의 U-바(133a)는 하부가 이탈방지 플레이트(134a)에 지지되고 있어 이탈이 방지될 뿐만아니라 하중 분산의 역할도 함께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e lower portion of the U-bar 133a of the inserted diagonal plate 133 is supported by the diversion prevention plate 134a so that the U-bar 133a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U-bar 133a.

상기 브라켓(131) 상부에는 작업자 발판(135)가 결합된다.An operator's footrest 135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racket 131.

도 5를 참조하여 발판 설치구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The footrest installation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5는 본 발명의 발판 설치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발판(135)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4면에 직선형 발판(135a)이 배치되고, 직선형 발판(135a)과 직선형 발판(135a)이 만나는 코너부에는 3각형 형상의 코너부 발판(135b)이 배치되도록 한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ootrest instal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trest 135 as shown in the figure is provided with a linear footrest 135a on four sides in a plan view, a straight footrest 135a, And a corner foot plate 135b having a triangular shape is arranged at a corner portion where the foot plate 135a meets.

이때, 직선형 발판(135a)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설재로서, 발판 양측단부에는 "C"형상의 걸쇠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파이프류의 부재 상부에서 끼워서 결합 사용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linear footrest 135a is a generally used construction material, and a "C" -shaped latch is integrally formed at the both end portions of the footrest, so that the linear footrest 135a is engag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pipe.

이러한, 발판부재는 코너부의 연결을 위해서 직선형 발판을 덧대어 사용하게 되는데, 자재간 체결이 용이하지 못하고, 미끌리는 문제가 있고, 단턱이 지기 때문에 통해에 지장을 주는 문제를 갖는바, 본 발명의 상기 코너부 발판(135b)은 맞춤형 제작방식으로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Such a pedestal member uses a straight pedestal for attaching a corner portion. However, since the pedestal member is not easy to fasten between the material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edestal member is not attracted to the pedestal member, The corner foot plate 135b solves this problem as a customized manufacturing method.

상기 코너부 발판(135b)은 직각을 이루는 2개의 변에는 각각 동바리 수평재(123)에 끼워지는 걸림턱(135c)을 형성하고, 직각을 이루는 꼭지점에는 수직재에 끼워져 상하 이동이 가능한 체결링(135d)을 형성한다.The corner pedestal 135b is formed with a locking protrusion 135c which is fitted to the right curved horizontal member 123 at two orthogonal sides and a fastening ring 135d which is inserted into a perpendicular member and is vertically movable, .

상기 걸림턱(135c)은 비틀림이나 미끌림을 방지하고, 체결링(135d)은 코너부 발판(135b)의 이탈을 방지하며, 수직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손쉽게 설치하거나 분해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The engagement jaw 135c prevents twisting or slipping, and the engagement ring 135d prevents the corner footplate 135b from coming off, and is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it can be easily installed or disassembled .

상기 동바리 설치부(120) 상측에 수직방향으로 확장 설치되고, 작업자의 작업공간 및 동선을 제공할 목적으로 비계 자재들을 이용해 구조물을 조립하는 비계 설치부(140)이 형성된다.A scaffolding installation part 14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rseshoe installation part 120 to vertically assemble the structure using scaffolding material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a work space and copper lines for an operator.

상기 비계 설치부(140)의 구성 및 설치방법은 일반적으로 공사현장에서 사용되는 공지기술로서 본 발명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construction and installation method of the scaffold installation part 140 are generally known technologies used in a construction sit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동바리 설치부(120)에서 비계 설치부(140)로 변환되는 구간에 4각 파이프 형상의 멍에재(A2)를 중간 연결재로 설치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quadrangular tubular yoke A2 is installed as an intermediate joint member in a section that is converted from the hatching installation part 120 to the scaffold installation part 140. [

이하, 도 6,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멍에재 설치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 example of reinstalling the yok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Fig.

도 6은 도 2의 "C"부에 도시된 멍에재 설치구간을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7은 도 2의 "D"부에 도시된 또 다른 멍에재 설치구간을 도시한 확대도이다.FIG. 6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yoke re-installation section shown in the "C" portion of FIG. 2, and FIG. 7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other yoke reinstall section shown in the "D" portion of FIG.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바리 설치부(120)과 비계 설치부(140)은 수직재의 배치간격이나, 수직재 끼리의 직경이 맞지 않아 연결이 어려운 문제가 있고, 이로 인해, 현장에서는 이들 부재를 함께 사용하지 않는 것이 관례이다.As shown in FIG. 6,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pacing between the vertical members and the vertical members are not matched with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mounting unit 120 and the horizontal mounting unit 140, It is customary not to.

동바리 설치부(120)의 단부와 멍에재(A2), 비계 설치부(140)의 단부와 멍에재(A2) 각각은 U자형 클램프(C)를 형성하고, 상기 U자형 클램프(C)를 이용해 멍에재(A2)에 각각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The U-shaped clamp C is formed by forming the U-shaped clamp C and the end of the root mounting part 120, the yoke A2, the end of the scaffold attaching part 140 and the yoke A2, To the yoke A2, respectively.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멍에재(A2)는 비계 설치부(140) 내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yoke A2 may be used in the scaffolding unit 140 as well.

예컨대, 비계 설치구간 내에 튜브구간과 같은 보일러설비가 간섭되는 경우, 그 구간에서는 수직비계의 연결이 어렵기 때문에 이구간을 제외한 지점에 멍에재(A2)를 이용하여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if a boiler facility such as a tube section is interfered with in a scaffold installation section, it is difficult to connect a vertical scaffold in that section, so that it can be supported using a yoke material (A2) at a point excluding the opening.

이와 같은 방식은 조립방식이 단순하면서도, 자유로운 배치가 가능하고, 동바리 자재와 비계 자재를 연결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Such a method provides a simple, yet easy to assemble, and offers the advantage of connecting the raw material to the scaffold material.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발전소의 보일러 내부 공사용 가설구조물의 설치방법에 대해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method of installing a boiler internal construction for a power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발전소용 보일러의 바닥면에 동바리 자재들을 이용해 동바리 설치부(120) 수직방향으로 확장 형성하는 단계가 수행된다.First, a step of expanding the boiler installation portion 120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per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iler for power generation using the raw materials.

다음으로, 상기 동바리 설치부(120)의 외측 수평방향으로 확장부(130)을 형성하는 단계가 수행된다.Next, a step of forming the extension part 13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utside of the barb mounting part 120 is performed.

다음으로, 상기 동바리 설치부(120) 상측에 비계 자재들을 이용해 비계 설치부(140)을 수직방향으로 확장 형성하는 단계가 수행된다.Next, the step of vertically expanding the scaffold-mounted part 140 using scaffold materials is per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rseshoe-mounted part 120.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보일러 내부의 하부쪽에 상부하중을 지지할 목적으로 동바리 자재들을 이용해 동바리 설치부를 조립설치하고, 동바리 설치부 상측에 작업자의 작업공간 및 동선을 제공할 목적으로 비계 자재들을 이용해 비계 설치부를 조립설치함으써,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boiler installation part is assembled and installed by using the raw materials for supporting the upper load in the lower part of the boiler, and by using the scaffold material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work space and copper line of the worker above the boiler installation part By assembling and installing the scaffold mounting portion, the structural stability can be ensured.

또한, 본 발명은 확장부를 구성함에 있어, 상부연결대 및 하부연결대가 동바리 수직재와 난간기둥에 각각 연결되어 하중을 분산하고, 특히 난간기둥과 하부연결대가 맞닿는 지점 아래쪽에 이격공간을 두고 이탈방지 플레이트를 형성함으로써, 대각재의 단부에 형성된 U-바가 삽입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constructing the extension part, the upper connecting rod and the lower connecting rod are connected to the right and left vertical members and the railing pillars, respectively, so as to distribute the load. Particularly, a separation prevention space is provided below the point where the railing pillars and the lower connecting rod meet, The U-bar formed at the end of the large stiffen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inserted and remove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and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such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10: 베이스 플레이트 111: 센터가이드
112: 클램핑 날개 113: 체결홀
120: 동바리 설치부 121: 동바리 수직재
123: 동바리 수평재 130: 브라켓 설치부
131: 브라켓 131a: 상부연결대
131b: 하부연결대 131c: 버팀재
131d: 클립부 133: 대각재
134: 난간기둥 134a: 이탈방지 플레이트
135: 발판 135a: 직선형 발판
135b: 코너부 발판 135c: 걸림턱
135d: 체결링 140: 비계 설치부
A1: 체결수단 A11: 클립부
A12: 클립 플레이트 A13: 체결핀
A2: 멍에재 C: U자형 클램프
110: base plate 111: center guide
112: clamping wing 113: fastening hole
120: Hollow mounting part 121: Hollow vertical member
123: Horizontal horizontal member 130: Bracket mounting part
131: bracket 131a: upper linkage
131b: lower connecting rod 131c:
131d: clip portion 133:
134: Raised column 134a:
135: foot plate 135a: straight foot plate
135b: corner foot plate 135c:
135d: fastening ring 140: scaffolding part
A1: fastening means A11: clip section
A12: clip plate A13: fastening pin
A2: yoke C: U-shaped clamp

Claims (9)

발전소용 보일러의 바닥에 수직방향으로 확장 설치되고, 상부하중을 지지할 목적으로 동바리 자재들을 이용해 구조물을 조립하는 동바리 설치부(120); 상기 동바리 설치부(120)의 외측 수평방향으로 확장 설치되어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확보하는 확장부(130); 및 상기 동바리 설치부(120) 상측에 수직방향으로 확장 설치되고, 작업자의 작업공간 및 동선을 제공할 목적으로 비계 자재들을 이용해 구조물을 조립하는 비계 설치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동바리 설치부(120)는, 직경60.5mm 두께의 관체로서, 수직방향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평면상에 정방형으로 배치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동바리 수직재(121); 및 상기 동바리 수직재(121)과 동바리 수직재(121)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동바리 수평재(123);를 포함하며,
상기 동바리 수직재(121)는 보일러 바닥면과 닿는 잭베이스 저면에 바닥 접지면적을 확장하기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110)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넓은 접지면적을 갖는 판체 형상의 본체 중앙에 수직재(121) 내경에 결합하는 센터가이드(111)를 형성하고, 상기 센터가이드(111) 외주연 둘레에는 잭베이스의 4방향 모서리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날개(112)를 형성하며, 상기 클램핑 날개(112)와 센터가이드(111) 사이에는 잭베이스에 볼트결합이 가능한 복수의 체결홀(113)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의 보일러 내부 공사용 가설구조물.
A trough installation part (120)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ttom of the boiler for power generation and assembling a structure using tread materials for the purpose of supporting an upper load; An extension part 130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outside the hill-mount part 120 to secure a work space of an operator; And a scaffold installation part (140) extending vertically above the upright installation part (120) for assembling a structure using scaffold material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a work space and a copper line of an operator,
The barb mounting portion 120 is a tube having a diameter of 60.5 mm and includes a plurality of barb vertical members 121 arranged in a square on a plane to support a vertical load; And an oblique horizontal member 123 horizontally connecting the obliquely vertical member 121 and the obliquely vertical member 121,
The base plate 11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jack base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boiler. The base plate 110 has a plate-like body A clamping blade 112 for clamping the four corners of the jack base is forme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center guide 111, Wherein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13) are formed between the wing (112) and the center guide (111) so that the jack base can be bolted to the jack bas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130)는, 동바리 수직재(121)에 일측단부가 결합되어 외팔보 형태로 설치되는 브라켓(131);
상기 브라켓(131)의 타측단부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난간기둥(134);
상기 브라켓(131)의 타측단부 저면과 동바리 수직재(121) 사이를 대각선상에 연결시켜 브라켓(131) 타측단부에 집중되는 하중을 동바리 수직재(121)에 지지되도록 하는 대각재(133); 및
상기 브라켓(131) 상부에 결합되는 작업자 발판(13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의 보일러 내부 공사용 가설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xtension 130 includes: a bracket 131 having a cantilever shape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right vertical member 121;
A handrail column 134 vertical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bracket 131;
A stiffener 133 connec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bracket 131 and the right vertical member 121 diagonally to support a load concentrated on the other end of the bracket 131 on the right vertical member 121; And
And a work footrest (135)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racket (131).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31)은 상부연결대(131a)와, 상기 상부연결대(131a)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나란히 형성되는 하부연결대(131b)와, 상기 상부연결대(131a)와 하부연결대(131b) 사이를 종방향으로 잇는 복수의 버팀재(131c)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상부연결대(131a)의 양측단부에 각각 결합수단인 클립부(A11)을 형성하며, 하부연결대(131b)는 동바리 수직재(121)와 접하는 측에만 클립부(A11)을 형성하고 다른측 단부는 난간기둥(134)에 맞닿아 접하도록 형성하되, 동바리 수직재(121)에 결합하는 측의 상하 단부 사이의 이격거리를 넓게 형성하고 반대측 상하 단부 사이의 이격거리를 좁게 형성하여 삼각꼴을 이루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의 보일러 내부 공사용 가설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3,
The bracket 131 includes an upper link 131a and a lower link 131b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link 131a and between the upper link 131a and the lower link 131b A clip portion A11 as a coupling means is formed at both side ends of the upper linking portion 131a and the lower linking portion 131b is connected to the right and left vertical portions 121a, And the other side end portion is formed so as to abut against and contact with the railing 134,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ide connected to the upright vertical member 121 is made wider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opposite side is narrowed so as to form a triangular shap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기둥(134)는 하부연결대(131b)와 맞닿는 지점 아래쪽에 이격공간을 두고 이탈방지 플레이트(134a)를 형성함으로써, 대각재(133)의 단부에 형성된 U-바(133a)가 삽입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의 보일러 내부 공사용 가설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3,
The railing 134 is formed with a separation preventing plate 134a with a spacing space below the point at which it touches the lower connecting rod 131b so that the U-bar 133a formed at the end of the striking member 133 is inserted Wherein the boiler is installed in the boiler.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135)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4면에 직선형 발판(135a)이 배치되고, 직선형 발판(135a)과 직선형 발판(135a)이 만나는 코너부에는 3각형 형상의 코너부 발판(135b)이 배치되도록 하되, 상기 코너부 발판(135b)은 직각을 이루는 2개의 변에는 각각 동바리 수평재(123)에 끼워지는 걸림턱(135c)을 형성하고, 직각을 이루는 꼭지점에는 수직재에 끼워져 상하 이동이 가능한 체결링(135d)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의 보일러 내부 공사용 가설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3,
The pedestal 135 has a rectangular pedestal 135a on four sides and a corner pedestal 135b having a triangular shape on the corner where the pedestal 135a and the pedestal 135a meet. The corner footrest 135b is formed with a pair of right and left angled hooking protrusions 135c which are respectively fitted to the right and left horizontal grooves 123. Vertical angled vertices of the corner footrests 135b are fastened to vertical members, And a ring (135d)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boil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바리 설치부(120)에서 비계 설치부(140)로 변환되는 구간에 4각 파이프 형상의 멍에재(A2)를 중간 연결재로 설치하되,
동바리 설치부(120)의 단부와 멍에재(A2), 비계 설치부(140)의 단부와 멍에재(A2) 각각은 U자형 클램프(C)로 끼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의 보일러 내부 공사용 가설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quadrangular tubular yoke A2 is installed as an intermediate joint member in a section of the hatching installation part 120 to be converted into the scaffold installation part 140,
Wherein the ends of the upstream installation part (120), the yoke (A2), the end of the scaffold installation part (140) and the yoke (A2) are fitted together by a U-shaped clamp (C) Hypothetical structures.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042610A 2018-04-12 2018-04-12 A prefabricated scaffolding device which can work aheat power plant KR1019136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610A KR101913668B1 (en) 2018-04-12 2018-04-12 A prefabricated scaffolding device which can work aheat power pla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610A KR101913668B1 (en) 2018-04-12 2018-04-12 A prefabricated scaffolding device which can work aheat power pla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3668B1 true KR101913668B1 (en) 2018-10-31

Family

ID=64099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2610A KR101913668B1 (en) 2018-04-12 2018-04-12 A prefabricated scaffolding device which can work aheat power pla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366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336B1 (en) * 2018-11-15 2019-07-23 주식회사 삼신 Construction and dismantle method of temporary work table for furnace scaffold
KR102100383B1 (en) * 2019-12-10 2020-04-13 (주)휴하리 System scaffolding for internal piping inspec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7178B1 (en) * 2016-03-30 2016-11-17 주식회사 충력 Scaffolding for the internal management of the thermal power plant boil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7178B1 (en) * 2016-03-30 2016-11-17 주식회사 충력 Scaffolding for the internal management of the thermal power plant boil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336B1 (en) * 2018-11-15 2019-07-23 주식회사 삼신 Construction and dismantle method of temporary work table for furnace scaffold
KR102100383B1 (en) * 2019-12-10 2020-04-13 (주)휴하리 System scaffolding for internal piping inspe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1033B1 (en) Support system and process for connection of supports
US5678654A (en) Hanging-scaffold panel and hanging scaffold comprising said panels
KR101913668B1 (en) A prefabricated scaffolding device which can work aheat power plant
KR101677178B1 (en) Scaffolding for the internal management of the thermal power plant boiler
EP2354375A1 (en) A scaffolding system
KR101968222B1 (en) Scaffold system for construction
KR200381397Y1 (en) Foot plate safety guardrail device of mold
KR200409977Y1 (en) Hanger way bridge checking supporter
KR0140904B1 (en) Scaffolding for an elevator pit
KR101829663B1 (en) Unit module of pendant type scaffoldings and safety handrail assembly for power boiler maintenance
KR20080033208A (en) A supportor for falling object a safety net
JP2009161934A (en) Support for tube and coupler scaffolding, and tube and coupler scaffolding structure using the same
JP6590512B2 (en) Staircase temporary scaffolding
KR20010069576A (en) Traffic signal post
KR200213539Y1 (en) Frame of safety workbench
KR20170109973A (en) Lower cage of gang form with supporting tool
JP2009209543A (en) Scaffolding board, and single pipe and coupler scaffolding structure using the same
KR20110037475A (en) Fixing structure for scaffold in building construction
KR200434150Y1 (en) Rail of stairs for construction field
KR102374870B1 (en) Horizontal precedence safety handrail having sub vertical member
JP6602003B2 (en) Temporary bicycle parking equipment
JP2013129961A (en) Temporary fixation method for steel staircase and pipe support for supporting steel staircase
KR100296450B1 (en)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Concrete LNG Tank
KR20050076059A (en) Form for using construction of a pier
KR102370425B1 (en) The safety rail of the form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