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3629B1 - 풍력발전기 기어박스 오일 플러싱 및 교체 유닛 - Google Patents

풍력발전기 기어박스 오일 플러싱 및 교체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3629B1
KR101913629B1 KR1020170147967A KR20170147967A KR101913629B1 KR 101913629 B1 KR101913629 B1 KR 101913629B1 KR 1020170147967 A KR1020170147967 A KR 1020170147967A KR 20170147967 A KR20170147967 A KR 20170147967A KR 101913629 B1 KR101913629 B1 KR 101913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gear
storage tank
gear oil
gear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7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동
임상진
Original Assignee
하이파워유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파워유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하이파워유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7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36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3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3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7/00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 F16N7/38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with a separate pump; Central lubricatio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5/00Storage of lubricants in engine-room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9/00Arrangements for conditioning of lubricants in the lubricating system
    • F16N39/04Arrangements for conditioning of lubricants in the lubricating system by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9/00Arrangements for conditioning of lubricants in the lubricating system
    • F16N39/06Arrangements for conditioning of lubricants in the lubricating system by filt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3/00Mechanical arrangements for cleaning lubricating equipment; Special racks or the like for use in draining lubricant from machine parts
    • F16N2033/005Flushing
    • F16N2039/0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10/00Applications
    • F16N2210/12G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70/00Controlling
    • F16N2270/50Condition
    • F16N2270/52Viscos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력발전기 기어박스 오일 플러싱 및 교체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 기어박스 오일 플러싱 및 교체 유닛은, 기어오일(gear oil, 1)을 저장하는 저유탱크(10), 기어오일(1)을 여과하는 필터부(20), 저유탱크(10) 내의 기어오일(1)이, 필터부(20)를 관류하여 이송되도록, 저유탱크(10)와 필터부(20)를 연결하는 연결관로(30), 및 연결관로(30)와 풍력발전기(W)의 기어박스(G)를 서로 연결하여, 기어오일(1)을 기어박스(G) 내로 공급하는 공급호스(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풍력발전기 기어박스 오일 플러싱 및 교체 유닛{OIL FLUSHING AND REPLACEMENT UNIT FOR GEAR BOX OF WIND TURBINE}
본 발명은 풍력발전기 기어박스 오일 플러싱 및 교체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풍력발전기의 기어박스 내에 미세 오염물을 제거하고, 기어오일을 교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에 대한 인류의 관심은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에 걸쳐 계속되고 있다. 최근에는 화석연료의 고갈 및 환경문제가 대두되면서 화석 에너지원을 대체할 만한 에너지로 풍력이 주목받고 있다. 풍력발전기는 바람 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변환하여 발전기를 가동시킴으로써 전기 에너지를 생산한다. 이러한 풍력발전기는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설치되는 기둥, 기둥의 상단에 결합된 커버, 커버 전면에 설치되는 로터, 로터의 후방측으로 커버의 내부에 배치되어 로터의 회전속도를 변환시키는 기어박스, 그리고 기어박스에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가 일체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기어박스 내에는 다수의 기어가 맞물려 돌아가면서 로터의 회전속도를 변환시키는데, 이때 기어 사이에서 마찰이 발생하므로, 기어오일이 주입되어 윤활을 하게 된다.
따라서, 기어오일이 오염되게 되면, 윤활유로서의 기능을 상실하여 기어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없게 되므로, 기어 마모가 증가하고, 종국적으로 기어박스 내의 기계시스템이 손상된다. 기어오일의 오염은 주로 열화, 수분 침투, 마모된 금속 가루나 유입된 미세 이물질 등에 의해 발생한다. 이에 주기적으로 기어오일을 교체하고, 기어박스 내를 플러싱(flushing)하여 미세 이물질을 제거하여야 한다.
그러나 지상에서 수십 미터 이상에 위치하는 기어박스를 플러싱하고 기어오일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모든 공정이 풍력발전기 기둥 위에서 이루어져야 하므로, 작업 안전성 확보가 어렵고, 장비를 소형화할 수 밖에 없어서 작업 효율이 떨어진다. 또한, 일반적인 기어오일은 고점도를 가지므로 지상에서 상공에 있는 기어박스까지 기어오일을 공급하는데 기술적 문제가 있다.
이에 지상에서 안전하게 풍력발전기의 기어박스 내 오일을 교체하고 플러싱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KR 10-2010-0078287 A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지상에서 기어오일을 적정 온도로 가열하여 점도를 조정하고 여과함으로써, 지상에서부터 수십 미터 이상의 상공에 위치하는 풍력발전기의 기어박스 내로 기어오일을 공급하여 기존 오일을 플러싱하고 교체할 수 있는 풍력발전기 기어박스 오일 플러싱 및 교체 유닛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 기어박스 오일 플러싱 및 교체 유닛은 기어오일(gear oil)을 저장하는 저유탱크; 상기 기어오일을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저유탱크 내의 상기 기어오일이, 상기 필터부를 관류하여 이송되도록, 상기 저유탱크와 상기 필터부를 연결하는 연결관로; 및 상기 연결관로와 풍력발전기의 기어박스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기어오일을 상기 기어박스 내로 공급하는 공급호스;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 기어박스 오일 플러싱 및 교체 유닛에 있어서, 상기 기어오일을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는 히터; 및 상기 저유탱크 내의 상기 기어오일이, 상기 히터를 관류하여, 다시 상기 저유탱크로 복귀되도록, 상기 저유탱크와 상기 히터를 연결하는 순환관로;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 기어박스 오일 플러싱 및 교체 유닛에 있어서,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상기 기어오일의 온도는 50 ~ 55 ℃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 기어박스 오일 플러싱 및 교체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저유탱크 내의 상기 기어오일을, 상기 순환관로를 통해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 기어박스 오일 플러싱 및 교체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저유탱크 내의 상기 기어오일을, 상기 공급호스를 통해, 상기 기어박스 내로 압송하는 공급펌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 기어박스 오일 플러싱 및 교체 유닛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와 연결되어, 상기 기어박스 내를 관류한 상기 기어오일을 배출시키는 배출호스;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 기어박스 오일 플러싱 및 교체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저유탱크는 지상에 배치되고, 상기 기어박스는 지상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 기어박스 오일 플러싱 및 교체 유닛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와 연결되는 상기 공급호스의 말단에 배치되고, 토출되는 상기 기어오일의 토출속도를 제어하는 토출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 기어박스 오일 플러싱 및 교체 유닛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상기 토출속도를 다르게 하여 상기 기어오일을 토출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 기어박스 오일 플러싱 및 교체 유닛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와 연결되는 상기 공급호스의 말단에 배치되고,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면을 따라 돌기가 나선형으로 돌출 배열되어, 내부를 통과하는 상기 기어오일을 와류 형태로 토출시키는 와류형성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 기어박스 오일 플러싱 및 교체 유닛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와 연결되는 상기 공급호스의 말단에 배치되고,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면에, 다수의 돌기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며 나선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내부를 통과하는 상기 기어오일을 와류 형태로 토출시키는 와류형성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 기어박스 오일 플러싱 및 교체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저유탱크 내의 상기 기어오일의 점도를 측정하는 점도측정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상에서 기어오일의 점도를 조정하고 여과하여, 지상에서부터 수십 미터 이상의 상공에 위치하는 풍력발전기의 기어박스 내로 기어오일을 공급하므로, 오일 플러싱 및 교체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고, 대용량의 기어오일 저장탱크를 사용할 수 있어서 플러싱부터 오일 교체까지 모든 작업 공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기어박스 오일 플러싱 및 교체 유닛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기어박스 오일 플러싱 및 교체 유닛의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기어박스 오일 플러싱 및 교체 유닛의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기어박스 오일 플러싱 및 교체 유닛의 와류형성부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기어박스 오일 플러싱 및 교체 유닛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기어박스 오일 플러싱 및 교체 유닛의 사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 기어박스 오일 플러싱 및 교체 유닛은, 기어오일(gear oil, 1)을 저장하는 저유탱크(10), 기어오일(1)을 여과하는 필터부(20), 저유탱크(10) 내의 기어오일(1)이, 필터부(20)를 관류하여 이송되도록, 저유탱크(10)와 필터부(20)를 연결하는 연결관로(30), 및 연결관로(30)와 풍력발전기(W)의 기어박스(G)를 서로 연결하여, 기어오일(1)을 기어박스(G) 내로 공급하는 공급호스(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풍력발전기(W)의 기어박스(G) 내로 새로운 기어오일(1)을 공급하여, 기어박스(G)를 플러싱(flushing)하고, 내부의 기어오일(1)을 교체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풍력발전기(W)의 기어박스(G)는 기둥의 상단에 결합된 커버 내부에 설치되므로, 지상에서부터 수십 미터 이상의 상공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오일 플러싱 및 교체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는바, 본 발명이 안출되었다.
여기서, 플러싱은 기어박스(G) 내의 오염된 종전 기어오일을 배출하고, 기어박스(G) 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 기어박스 오일 플러싱 및 교체 유닛은, 저유탱크(10), 필터부(20), 연결관로(30), 및 공급호스(40)를 포함한다.
저유탱크(10)는 새로운 기어오일(1)을 저장하는 용기이다. 여기서, 기어오일(1)은 기어박스(G)에 주입되어 기어 사이의 마찰 및 마모를 감소시키는 터빈용 윤활제로, 본 발명에 있어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저유탱크(10)는 지상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저유용량에 제한이 없다. 저유탱크(10)에 저장되는 기어오일(1)은 반드시 저유탱크(10)에 채워진 상태로 보관·수송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드럼 등의 별도 용기에 담겨있다가 별도의 관로 및/또는 펌프를 통해 오일 플러싱 및 교체 작업 전이나 작업 중에 저유탱크(10)에 채워질 수 있다. 따라서, 저유탱크(10)는 대용량의 기어오일(1)을 저장할 수 있고, 차량에 탑재되어 수송되는 경우에도 차량의 적재중량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의하면, 풍력발전기(W)의 기어박스(G) 내로 기어오일(1)을 공급하여, 플러싱 공정을 수행하고, 곧바로 기어박스(G) 내에 새로운 기어오일(1)을 연속적으로 채워넣을 수 있다.
필터부(20)는 저유탱크(10) 내에 저장된 기어오일(1)을 여과하는 장비이다. 일반적으로 오일 내의 불순물을 거르는 오일 필터로 구현될 수 있고, 기어오일(1)을 여과할 수 있는 한 그 종류나 형태에 제한은 없다. 이러한 필터부(20)는 연결관로(30)에 의해 저유탱크(10)와 연결된다.
연결관로(30)는 내부에 기어오일(1)이 흐를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고, 그 일단은 저유탱크(10)에, 반대쪽 타단은 공급호스(40)와 소통되도록 연결된다. 따라서, 저유탱크(10)에 저장된 기어오일(1)은 연결관로(30)의 일단으로 유입되어, 내부를 따라 흐르다가 타단을 통해 공급호스(40)로 토출된다. 한편, 연결관로(30) 상에는 필터부(20)가 설치된다. 따라서, 연결관로(30)를 따라 이송되는 기어오일(1)은 필터부(20)를 관류하면서 여과된다.
한편, 연결관로(30)는, 외부에서 저유탱크(10)로 기어오일(1)을 공급하는 배관과 소통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연결관로(30)와 그 배관이 연결되는 영역에 밸브가 장착되어, 기어오일(1)의 흐름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그 배관 및/또는 연결관로(30) 내부에는 전술한 필터부(20)와 별도로, 기어오일(1)을 여과할 수 있는 필터가 배치될 수 있다.
공급호스(40)는 저유탱크(10)에 저장된 기어오일(1)을 풍력발전기(W)의 기어박스(G) 내로 공급하는 관이다. 따라서, 공급호스(40)의 일단은 연결관로(30)에, 반대쪽 타단은 기어박스(G)에 각각 연결된다. 이때, 공급호스(40)는 연결관로(30) 및 기어박스(G)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별도의 수단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공급호스(40)는 상공에 있는 기어박스(G)에 연결되므로, 충분한 길이를 가지며, 바람에 의해 손상되지 않을 정도의 내구성이 있고, 감겨서 이동할 수 있도록 쉽게 구부러지는 성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공급호스(40)는 호스릴에 권취되어 기어오일(1)을 공급하는 경우에만 풀려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 기어박스 오일 플러싱 및 교체 유닛은, 히터(50), 및 순환관로(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터(50)는 기어오일(1)을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는 장비이다. 순환관로(60)는 내부에 기어오일(1)이 흐를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고, 그 일단과 타단은 저유탱크(10)와 소통되도록 연결된다. 따라서, 저유탱크(10)에 저장된 기어오일(1)은 순환관로(30)의 일단으로 유입되어, 내부를 따라 흐르다가 반대쪽 타단을 통해 다시 저유탱크(10)로 복귀한다. 여기서, 히터(50)는 순환관로(60) 상에 설치된다.
지상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배치되는 기어박스(G)까지 기어오일(1)을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기어오일(1)의 점도가 적정 범위를 유지해야 하는데, 히터(50)가 순환관로(60) 상을 흐르는 기어오일(1)을 가열하여 기어오일(1)의 점도를 제어한다. 이때, 기어오일(1)은 순환관로(60)를 따라 흐르면서, 히터(50)를 통과한 후에, 저유탱크(10)에 저장되므로, 기어박스(G) 내로 공급되는 기어오일(1)은 처음 저유탱크(10)에 공급되었을 때의 점도보다 낮은 점도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가열되는 기어오일(1)의 온도는 50 ~ 55 ℃ 범위가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 기어박스 오일 플러싱 및 교체 유닛은, 순환관로(60)를 통해 저유탱크(10) 내의 기어오일(1)을 순환시키기 위해서, 순환펌프(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순환펌프(65)는 순환관로(6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연결관로(30) 및 공급호스(40)를 통해 저유탱크(10) 내의 기어오일(1)을 기어박스(G)로 압송하기 위해서, 공급펌프(70)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공급펌프(70)는 저유탱크(10)와 공급호스(40) 사이의 연결관로(3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기어박스(G)를 플러싱하는 경우에, 공급호스(40)를 통해 기어박스(G) 내부로 분사된 기어오일(1)은 배출호스(80)를 따라 배출된다. 따라서, 배출호스(80)는 내부에 기어오일(1)이 흐를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고, 그 일단은 기어박스(G) 내부와 소통되도록 연결된다. 배출호스(80)의 타단은, 드럼 등과 같은 용기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배출호스(80)를 통해 배출된 기어오일(1)은 그 용기에 저장되어 별도로 보관되거나 폐기된다. 다만, 배출호스(80)를 통과한 기어오일(1)이 반드시 별도의 용기에 저장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배출호수의 타단이 저유탱크(10)에 연결되어 저유탱크(10)로 복귀될 수도 있다. 이때, 배출호스(80) 내부에 필터가 배치되어, 기어오일(1)을 여과할 수 있다.
한편, 배출호스(80)는 공급호스(40)와 쌍을 이루어 호스릴에 권취되었다가, 함께 풀어서 사용될 수 있다.
종합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지상에서 기어오일의 점도를 조정하고 여과하여, 지상에서부터 수십 미터 이상의 상공에 위치하는 풍력발전기(W)의 기어박스(G) 내로 기어오일(1)을 공급하므로, 오일 플러싱 및 교체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고, 대용량의 기어오일 저장탱크를 사용할 수 있어서 플러싱부터 오일 교체까지 모든 작업 공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기어박스 오일 플러싱 및 교체 유닛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고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기어박스 오일 플러싱 및 교체 유닛은, 저유탱크(10) 내에 저장된 기어오일(1)의 점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점도측정기(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터(50)를 관류하여 순환하는 기어오일(1)은 가열되면서, 본래의 점도보다 낮은 점도를 유지하는바, 점도측정기(90)를 이용해 저유탱크(10) 내의 기어오일(1)의 점도가 적당한지를 감지한다. 이러한 점도측정기(90)는 일반적인 점도계(viscometer)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토출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토출부(100)는 기어박스(G)와 연결되는 공급호스(40)의 말단에 배치되어, 토출되는 기어오일(1)의 토출속도를 제어한다. 이러한 토출부(100)는 토출되는 기어오일(1)의 유량을 제어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그 기어오일(1)의 유량을 다르게 조절하여 토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어오일(1)이 동일한 유량으로 기어박스(G) 내로 유입되지 않고, 시간에 따라 다른 유량으로 분사되므로, 분사되는 기어오일(1)의 세기가 달라져 기어박스(G) 내를 보다 효과적으로 플러싱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기어박스 오일 플러싱 및 교체 유닛의 와류형성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와류형성부(11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와류형성부(110)는 플러싱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공급호스(40)의 통해 토출되는 기어오일(1)을 와류 형태로 변환시킨다. 이러한 와류형성부(110)는 기어박스와 연결되는 공급호스(40)의 말단에 배치되고, 기본적으로는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중공관 내면에 나선방향을 따라 형성된 돌기(111)를 구비한다.
여기서, 돌기(111)는, 도 4를 참고로, 중공관의 내면으로부터 나선형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돌기(111)가 코일(coil) 형태로 형성되어 중공관 내면에 배치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하에서, 공급호스(40)를 따라 흐르는 기어오일(1)은, 나선형 돌기(111)를 따라 회전하면서, 와류 형태로 기어박스 내에 분사된다.
다른 일례로, 도 5와 같이, 돌기(111)는 중공관 내면에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돌기(111)는 나선방향을 따라 이격되면서 특정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중공관 내면을 따라 흐르는 기어오일(1)은 돌기(111)와 돌기(111) 사이의 틈새를 통과하게 된다. 여기서, 틈새를 통과하는 기어오일(1)이 지그재그 형태로 흐르도록, 돌기(111)가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종단면도를 기준으로, 사선 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열(L1, L2)이 나란하게 배치될 때에, 서로 근접하는 2개의 열(L1, L2) 사이에서, 그 중 어느 하나의 열(L1)에 배치된 돌기(111a)와 돌기(111a) 사이의 틈새를 바라보도록, 다음 열(L2)의 돌기(111b)가 배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공급호스(40)를 따라 흐르는 기어오일(1)은, 와류형성부(110)의 내면을 따라서는 지그재그 형태로 토출되면서 나선 방향으로 회전하며 와류를 형성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W: 풍력발전기 G: 기어박스
1: 기어오일 10: 저유탱크
20: 필터부 30: 연결관로
40: 공급호스 50: 히터
60: 순환관로 65: 순환펌프
70: 공급펌프 80: 배출호스
90: 점도측정기 100: 토출부
110: 와류형성부 111: 돌기

Claims (12)

  1. 기어오일(gear oil)을 저장하는 저유탱크;
    상기 기어오일을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저유탱크 내의 상기 기어오일이, 상기 필터부를 관류하여 이송되도록, 상기 저유탱크와 상기 필터부를 연결하는 연결관로; 및
    상기 연결관로와 풍력발전기의 기어박스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기어오일을 상기 기어박스 내로 공급하는 공급호스;를 포함하고,
    상기 저유탱크 및 상기 필터부는 지상에 배치되며, 상기 풍력발전기의 기어박스는 상기 지상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배치되고,
    상기 기어오일을 임시 저장하였다가, 상기 저유탱크에 공급하는 드럼;
    상기 저유탱크에 저장된 상기 기어오일이 상기 기어박스까지 이송되도록, 상기 저유탱크에 저장된 상기 기어오일을 가열하여, 상기 드럼에 임시 저장되는 상기 기어오일의 점도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저유탱크에 저장된 상기 기어오일의 점도를 낮추는 히터; 및
    상기 저유탱크 내의 상기 기어오일이, 상기 히터를 관류하여, 다시 상기 저유탱크로 복귀되도록, 상기 저유탱크와 상기 히터를 연결하는 순환관로;를 더 포함하여, 상기 기어박스 내부로 상기 기어오일을 공급하며,
    상기 기어박스와 연결되는 상기 공급호스의 말단에 배치되고,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면에, 다수의 돌기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며 나선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내부를 통과하는 상기 기어오일을 와류 형태로 토출시키는 와류형성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기어박스 내부를 플러싱하고,
    상기 와류형성부의 종단면을 기준으로, 다수의 상기 돌기가 배열되어 형성된 다수의 사선에서, 어느 하나의 제1 사선에 배치된 상기 돌기가 상기 제1 사선과 마주보는 다른 하나의 제2 사선에 배치된 상기 돌기 사이의 간격을 바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와류형성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돌기 사이의 간격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며,
    상기 드럼과 상기 연결관로를 연결하는 관로, 및 상기 관로에 장착되어 상기 기어오일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관로부;를 더 포함하는 풍력발전기 기어박스 오일 플러싱 및 교체 유닛.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상기 기어오일의 온도는 50 ~ 55 ℃인 풍력발전기 기어박스 오일 플러싱 및 교체 유닛.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유탱크 내의 상기 기어오일을, 상기 순환관로를 통해 순환시키는 순환펌프;
    를 더 포함하는 풍력발전기 기어박스 오일 플러싱 및 교체 유닛.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유탱크 내의 상기 기어오일을, 상기 공급호스를 통해, 상기 기어박스 내로 압송하는 공급펌프;
    를 더 포함하는 풍력발전기 기어박스 오일 플러싱 및 교체 유닛.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와 연결되어, 상기 기어박스 내를 관류한 상기 기어오일을 배출시키는 배출호스;
    를 더 포함하는 풍력발전기 기어박스 오일 플러싱 및 교체 유닛.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와 연결되는 상기 공급호스의 말단에 배치되고, 토출되는 상기 기어오일의 토출속도를 제어하는 토출부;
    를 더 포함하는 풍력발전기 기어박스 오일 플러싱 및 교체 유닛.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상기 토출속도를 다르게 하여 상기 기어오일을 토출시키는 풍력발전기 기어박스 오일 플러싱 및 교체 유닛.
  10. 삭제
  11. 삭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유탱크 내의 상기 기어오일의 점도를 측정하는 점도측정기;
    를 더 포함하는 풍력발전기 기어박스 오일 플러싱 및 교체 유닛.
KR1020170147967A 2017-11-08 2017-11-08 풍력발전기 기어박스 오일 플러싱 및 교체 유닛 KR101913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967A KR101913629B1 (ko) 2017-11-08 2017-11-08 풍력발전기 기어박스 오일 플러싱 및 교체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967A KR101913629B1 (ko) 2017-11-08 2017-11-08 풍력발전기 기어박스 오일 플러싱 및 교체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3629B1 true KR101913629B1 (ko) 2018-10-31

Family

ID=64099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7967A KR101913629B1 (ko) 2017-11-08 2017-11-08 풍력발전기 기어박스 오일 플러싱 및 교체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36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278B1 (ko) * 2020-02-14 2020-12-16 현대스틸산업주식회사 풍력발전기용 윤활유 해상교환 펌핑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43998A1 (en) * 2011-03-21 2012-09-27 Christian Becker Wind turbine with an automatic liquid lubricant changing arrangement
KR101588683B1 (ko) * 2015-02-27 2016-01-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기어박스용 윤활 냉각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43998A1 (en) * 2011-03-21 2012-09-27 Christian Becker Wind turbine with an automatic liquid lubricant changing arrangement
KR101588683B1 (ko) * 2015-02-27 2016-01-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기어박스용 윤활 냉각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278B1 (ko) * 2020-02-14 2020-12-16 현대스틸산업주식회사 풍력발전기용 윤활유 해상교환 펌핑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117022T2 (de) Drainagevorrichtung für die lager einer gasturbine
KR101913629B1 (ko) 풍력발전기 기어박스 오일 플러싱 및 교체 유닛
DE102014212676B4 (de) Energiespeichereinrichtung zur Zwischenspeicherung von thermischer Energie, Kraftwerk mit einer Energiespeichereinrichtung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Energiespeichereinrichtung
CN102691871A (zh) 具有自动液体润滑剂更换装置的风力涡轮机
WO2016007584A1 (en) Magnetic filter systems and methods
DE102014104515A1 (de) Vorrichtung zum Abscheiden von magnetisierbaren Teilen aus schütt- und/oder fließfähigem Gut
CN103341404A (zh) 一种电力机车齿轮箱清洗及润滑油过滤系统
DE102011082856A1 (de) Planetenträger mit Fördervorrichtung
AU2017389983B2 (en) A power plant with a lubrication oil cleaning system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power plant
CN203570267U (zh) 一种油井井下除垢防蜡装置
US2156329A (en) Oil filter and cartridge
CN104121468B (zh) 核电用润滑油更换设备
CN103384555B (zh) 过滤器单元以及运行过滤器单元的方法
FR2509901A1 (fr) Centrale nucleaire et procede pour l'exploitation d'une telle centrale
US10967306B2 (en) Continuous filtration with backflush clearance of alternate filters
DE102016006509A1 (de) Filtervorrichtung für Fluide
CN103388044A (zh) 湿式集尘器
EP4108914A1 (en) Lubrication system
JP4210334B2 (ja) 循環潤滑システム
CN209370818U (zh) 稀油站
CN206190732U (zh) 一种海洋工程用润滑铰接轴
CN109058751A (zh) 风力发电机组用润滑油精滤箱及过滤系统
FR2975754A1 (fr) Chaudiere a vapeur avec insert
CN219953569U (zh) 一种风力发电机组液压润滑冷却装置
CN105889479A (zh) 一种传动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