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3438B1 - 음료 성분 함유 캡슐의 식별 - Google Patents

음료 성분 함유 캡슐의 식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3438B1
KR101913438B1 KR1020127019362A KR20127019362A KR101913438B1 KR 101913438 B1 KR101913438 B1 KR 101913438B1 KR 1020127019362 A KR1020127019362 A KR 1020127019362A KR 20127019362 A KR20127019362 A KR 20127019362A KR 101913438 B1 KR101913438 B1 KR 101913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be
contact
support member
network
caps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9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1885A (ko
Inventor
마띠유 오잔느
디디에 뷔아그니오
Original Assignee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filed Critical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Publication of KR20120121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1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3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3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92Means to read code provided on ingredient pod or cartrid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09Loose coffee being employ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47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a tape being employ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별 부재 (6) 를 포함하는 음료 성분 함유 캡슐들 (1) 및 상기 캡슐들을 수용하는 음료 제조기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음료 제조기는, 식별 부재의 정보를 판독하기 위해 캡슐 식별 부재 (6) 와 물리적으로 접촉하는 접촉 수단 (8), 및 상기 접촉 수단에 연결되고 판독된 정보에 응하여 음료 제조기 (11) 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설계된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 수단 (8) 은,
- 캡슐 식별 부재 (6) 와 기계적으로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변위 가능한 프로브 (81), 및
- 일 측면에서 프로브와 접촉하고 다른 측면에서 회로망 (9) 에 연관되는 탄성 지지 부재 (82) 를 포함하고,
프로브와 접촉하는 탄성 지지 부재의 부분은 프로브가 힘을 가하는 때 그 자체가 변형될 수 있는 형상을 갖고, 변형은 상기 힘이 가해지는 방향에 부분적으로 횡 방향이다.

Description

음료 성분 함유 캡슐의 식별{IDENTIFICATION OF BEVERAGE INGREDIENT CONTAINING CAPSULES}
본 발명은 음료 제조기에 의한 캡슐의 식별에 관한 것이다.
WO 2008/090122 에는, 관련 음료 제조기의 작동 파라미터를 제어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물리적으로 접촉되도록 설계된 식별 부재가 제공된 음료 성분 캡슐이 기재되어 있다. 식별 부재는 2진 코드 상태 (0 또는 1) 에 해당하는 구멍 또는 리세스를 갖는다. 식별 부재는 커버 수단에 의해 덮였을 때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료 제조기는 존재하는 구멍이나 리세스에 민감한 영역에서 커버 수단을 침투, 변형, 변위시킬 수 있는 변위 가능한 프로브를 포함한다. 구멍이나 리세스와의 접촉에 응하여 프로브의 변위의 정도는 캡슐에 관한 정보에 연관된다. 변위 가능한 프로브는 기계 제어 수단의 회로망 (circuitry) 에서 거리를 두고 탄력 있게 (resiliably) 위치되고, 리세스 또는 구멍과의 접촉에 따라 상기 회로망과 접촉하도록 선택적으로 이동된다. 또한, 프로브와 회로망의 접촉은 2진 코드 (0 또는 1) 를 구성한다. 변위 가능한 프로브는, 비접촉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프로브에 탄성을 제공하고 캡슐로부터 나오는 습기로부터 회로망을 절연하기 위해, 회로망에 연관된 탄성 지지 부재를 통해 회로망에서 거리를 두고 탄력 있게 위치된다. 탄성 지지 부재는 엘라스토머,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부재일 수 있다. 프로브는 지지 부재의 시트에 매립 또는 삽입된 베이스를 갖는 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어 수단은, 판독 정보에 응하여, 예컨대 캡슐 내부로 공급되는 액체의 온도와 같은 음료 제조 조건을 제어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식별 부재는 고객이 캡슐을 내부에 도입한 후 캡슐 케이지를 닫는 수동 이동에 의해 프로브에 대해 이동되고 가압된다. 전술한 것과 같은 캡슐 및 기계를 이행할 때, 캡슐 식별 부재가 다수의 구멍 (또는 다수의 리세스) 을 갖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캡슐 식별 부재에 의해 운반되는 정보를 전달하는데 가변적인 힘이 필요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캡슐 식별 부재가 (구멍이나 리세스 구성의 사용에 따라) 적은 개수의 구멍 또는 다수의 리세스를 갖는 표면을 구비한다면, 이러한 모든 정보를 포착하는데 중요한 힘이 필요하고, 때때로 캡슐 식별 부재는 식별 단계 동안 접힐 수 있다. 또, 캡슐 식별 부재가 다수의 구멍 또는 적은 개수의 리세스를 갖는 표면을 구비한다면, 이 부재에 더 약한 힘이 가해지고, 또 심지어 힘이 더 약하다면, 기계는 이러한 모든 구멍을 감지하거나 또는 리세스의 부존재를 감지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해결하려는 과제는, 다수의 구멍 (또는 적은 개수의 리세스) 또는 적은 개수의 구명 (또는 다수의 리세스) 을 갖는 표면을 구비하는 캡슐 식별 부재를, 하나의 경우 또는 다른 하나의 경우에 감지 오차 없이 잘 판독할 수 있는 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과제는, 캡슐 식별 부재를 접지 않으면서 캡슐 식별 부재에 중요한 힘을 가하는 것이다.
제 1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식별 부재를 포함하는 음료 성분 함유 캡슐들 및 상기 캡슐들을 수용하는 음료 제조기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음료 제조기는, 식별 부재의 정보를 판독하기 위해 캡슐 식별 부재와 물리적으로 접촉하는 접촉 수단, 및 상기 접촉 수단에 연결되고 판독된 정보에 응하여 음료 제조기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설계된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 수단은,
- 캡슐 식별 부재와 기계적으로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변위 가능한 프로브, 및
- 일 측면에서 프로브와 접촉하고 다른 측면에서 회로망에 연관되는 탄성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프로브와 접촉하는 탄성 지지 부재의 부분은 프로브가 힘을 가하는 때 그 자체가 변형될 수 있는 형상을 갖고, 변형은 상기 힘이 가해지는 방향에 부분적으로 횡 방향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캡슐에는 외부로부터 물리적으로 접촉되도록 설계된 식별 부재가 제공된다. 따라서, 식별 부재는 구조적 방식으로 (시각적 바코드에 대조적으로) 정보를 코드화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식별 부재는 복수의 미리 결정된 국부적인 접촉 표면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리시버는 2 개의 상이한 표면 레벨 중, 외부 프로브 부재와 수립되거나 수립되지 않은 접촉시 2진 코드 상태 (0 또는 1) 에 해당하는 선택을 구성한다. 표면 레벨은 예컨대 복수의 국부적인 리세스/구멍 또는 돌출 부재의 깊이 또는 높이의 차이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제 1 및 제 2 접촉 리시버가 제공된다. 제 1 접촉 리시버는 동일한 깊이의 구멍 또는 리세스일 수 있고, 제 2 접촉 리시버는 더 짧은 깊이의 구멍 또는 리세스이거나 또는 대안적으로는 충전되거나 또는 약간 양각으로 형성된다. 가능한 변형에서, 제 1 접촉 리시버는 동일한 높이의 돌출 요소인 한편, 제 2 접촉 리시버는 더 큰 높이의 돌출 요소이다. 바람직하게는 식별 부재는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고, 음료 제조기의 관련 프로브 수단에 의해 물리적으로 접촉되기 전에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이와 관련하여, 식별 부재는 외부에 대해 커버 수단에 의해 덮일 수 있고, 커버 수단 및/또는 식별 부재는 예컨대 관련 음료 제조기로부터의 프로브 수단에 의해 침투, 변형, 변위됨으로써 커버 상태로부터 식별 판독 상태로 전이 가능하게 설계된다. 바람직하게는, 식별 부재는 캡슐의 일면의 표면 구조를 조절 (modulate) 함으로써, 예컨대 캡슐의 식별면에 구멍 또는 리세스를 제공함으로써 코드화된다. 캡슐의 식별면은 플라스틱 층, 알루미늄 층, 또는 플라스틱-알루미늄 라미네이트와 같은 변위 가능한, 변형 가능한 또는 천공 가능한 멤브레인에 의해 덮일 수 있다. 따라서, 커버는 리세션 (recession) 또는 구멍에 중첩되는 부분에서 외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천공되거나 또는 변형되도록 설계된다. 다른 한편으로, 커버는 리세션 도는 구멍에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서 지지됨으로써 적어도 특정 침투 또는 변형에 저항할 수 있다. 또한, 대안적으로, 커버 부재가 변화없이 유지될 수 있지만, 식별 부재는 식별-커버 상태로부터 식별-판독 상태로 캡슐을 전이시키기 위해 조절 (예컨대, 변위) 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식별 부재는 음료 형성 성분을 담는 캐비티를 한정하기 위한 캡슐의 컵형상 보디에 연관되는 캡슐의 뚜껑의 앞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식별 부재는 뚜껑의 일체로 된 부분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뚜껑은 몰딩된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고, 표면에 식별 부재가 몰딩된다. 검출 시스템에 요구되는 공간을 제한하기 위해, 뚜껑의 앞부분에 복수의 미리 결정된 국부적인 접촉 리시버가 비선형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리시버는 뚜껑의 표면을 덮는 실질적으로 다각형, 별형상 또는 곡선형 패턴 또는 실질적으로 폐쇄된 불규칙적인 패턴으로 그룹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료 제조기는 상기한 음료 성분 함유 캡슐과 함께 사용되도록 설계된다. 음료 제조기는 정보를 판독하기 위해 캡슐에 물리적으로 접촉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음료 제조기에는, 접촉 수단과 연결되고 판독된 정보에 응하여 음료 제조기의 작동 파라미터를 제어하도록 설계되는 제어 수단이 제공된다.
제어 수단은 캡슐 식별 부재에 기계적으로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변위 가능한 프로브를 포함한다. 제어 수단은 처음에는, 캡슐 식별 부재와의 접촉에 응하여 프로브의 변위 정도에 관하여 식별 정보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브와 함께 배치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하나의 변위 가능한 프로브는 제어 수단의 회로망에서 거리를 두고 탄력 있게 위치되고, 캡슐과의 접촉에 따라 상기 회로망과 접촉하도록 선택적으로 이동되고, 프로브와 회로망의 접촉은 미리 결정된 2진 코드화된 상태 (0 또는 1) 를 구성하고, 프로브와 회로망의 비접촉은 다른 2진 코드화된 상태를 구성한다.
또한, 프로브는 베이스를 갖는 핀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는 바람직하게는 탄성 지지 부재에 놓인다. 프로브의 팁은 식별 부재에 중첩되는 커버의 천공을 목적으로 할 수 있다. 접촉 수단은 캡슐의 복수의 미리 결정된 국부적인 접촉 리시버와 접촉하기 위한 복수의 동일한 변위 가능한 핀을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변위 가능한 프로브가 핀이다. 바람직하게는 핀은 모따기된 날카로운 단부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식별 부재가 되찾아지는 때 커버가 더 용이하게 천공될 수 있다.
접촉 수단은, 일 측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브와 접촉하고 다른 측면에서 회로망에 연관되는 탄성 지지 부재를 또한 포함한다. 이 탄성 지지 부재는 비접촉 위치로 프로브가 회복될 수 있도록 프로브에 탄성을 제공하고, 캡슐로부터 나오는 습기로부터 회로망의 절연을 제공한다. 탄성 지지 부재는 예컨대 엘라스토머 부재,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또는 EPDM 고무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모노머) 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 지지 부재가 그의 다른 측에서 회로망에 연관되므로, 프로브의 변위는 제어 수단의 회로망의 관련 접촉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식별 시스템의 크기를 현저히 감소시키기 위해, 식별 회로망은 인쇄 회로망일 수 있다. 인쇄 회로망은 단지 수 밀리미터의 폭을 갖고, 캡슐의 하우징에 인접한 기계의 작은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예컨대, 인쇄 회로망의 두께는 0.5 ~ 3 ㎜ 이다. 인쇄 회로망은 예컨대, 코드화된 상태를 제공하기 위해 복수의 프로브에 의해 선택적으로 폐쇄 또는 개방되는 복수의 인쇄 회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브와 접촉하는 탄성 지지 부재의 부분은 프로브가 힘을 가하는 때 변형될 수 있는 형상을 갖고, 변형은 상기 힘이 가해지는 방향에 부분적으로 횡 방향이다. 바람직하게는, 프로브와 접촉하는 탄성 지지 부재의 부분은, 프로브가 힘을 가하는 때 먼저, 프로브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대해 길이방향을 따라 그 자체가 변형되고 다음으로, 상기 힘이 가해지는 방향에 횡 방향을 따라 그 자체가 변형되게 하는 형상을 갖는다.
프로브와 접촉하는 탄성 지지 부재의 부분의 이러한 일부 횡방향 변형으로 인해, 캡슐 식별 부재를 접음이 없이 프로브를 통해 탄성 지지 부재에 중요한 힘이 가해질 수 있고, 실제로 힘이 더 중요해질수록, 탄성 지지 부재의 횡방향 변형이 더 중요해진다. 이러한 횡방향 변형은 힘의 일부를 흡수하고, 이로써 캡슐 식별 부재의 접힘을 방지한다.
더 많은 구멍 (또는 더 적은 리세스를 갖기 때문에 탄성 지지 부재에 더 약한 힘이 가해지면, 구멍의 부존재 (또는 리세스의 존재) 를 마주하는 탄성 지지 부재의 부분은 힘이 가해지는 방향을 따라 적어도 길이방향으로 변형되고, 따라서 회로망과 접촉하게 된다.
기계의 접촉 수단이 여러 개의 프로브를 포함한다면, 각 프로브와 접촉하는 탄성 지지 부재의 각 부분은 일부 횡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는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프로브와 접촉하는 탄성 지지 부재의 부분의 측면이 중공 실린더의 형태를 갖고, 회로망에 연관되는 탄성 지지 부재의 상기 부분의 다른 측면이 콘 (cone) 의 형태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탄성 지지 부재는 시트이고, 상기 시트 상에는, 프로브와 접촉하는 탄성 지지 부재의 측면에서 중공 실린더가 돌출하고, 상기 시트 내에는, 회로망에 연관되는 탄성 지지 부재의 다른 측면에서 콘이 파여져 있다. 콘 및 중공 실린더는 더 이상 힘이 그들에게 가해지지 않게 되자마자 그들의 초기 형상 및 위치를 용이하게 회복할 수 있도록 시트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로, 중공 실린더 및 콘의 연결의 레벨에서, 시트는 중공 실린더의 방향으로 기울어지거나 또는 구부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접촉 수단은 탄성 지지 부재와 회로망 사이에 전도성 수단을 포함한다. 전도성 수단은 탄성 지지 부재와 회로망 사이에 위치된 층에 고정된 개별 전도성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개별 전도성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회로망을 마주하는 층의 측면에 고정되고, 더 바람직하게는 개별 전도성 부분은 단락 (short-circuit) 될 수 있는 회로망의 영역을 마주한다.
제 1 양태에 따르면, 층은 엘라스토머 부재,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또는 EPDM 고무로 이루어지고, 전기 전도성 부분은 그래파이트로 이루어진다. 그러한 층은 캡슐 내에서 생성될 수 있는 습기로부터 회로를 절연시키는 이점을 준다.
제 2 양태에 따르면, 층은 필름이고, 상기 필름에 개별 전기 전도성 피이스가 부착되고, 탄성 지지 부재와 층 사이에 방수 재료 층이 위치된다. 이러한 제 2 양태에서, 필름은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몇몇의 작은 구멍을 최종적으로 갖는 단순한 플라스틱 필름일 수 있다. 방수 재료 층은 PET/알루미늄/PP, PE/EVOH/PP, PET/금속화 재료/PP, 알루미늄/PP 로 된 라미네이트라는 리스트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제어 수단은 판독 정보에 응하여, 예컨대 캡슐 내부로 공급되는 액체의 온도와 같은 음료 제조 조건을 제어하도록 설계된다. 접촉 수단은 캡슐의 미리 결정된 국부적인 표면 리시버와 기계적으로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미리 결정된 패턴을 형성하는 복수의 변위 가능한 식별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수단은 캡슐에 대한 핀의 변위 정도를 통해 식별 정보를 검출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수단은 판독 정보에 응하여 음료 제조 온도 및/또는 우려내기 휴지 시간 (brewing pause time) 을 제어하도록 설계된다. 특히, 제어 수단은, 상이한 특성 및/또는 기원을 갖는 잎차 (leaf tea) 성분 함유 캡슐에 따라 상이한 차 음료를 우려낼 때, 수온 파라미터, 유량 및/또는 우려내기 휴지 시간을 변경하도록 설계된다.
음료 제조기는 차, 커피 및/또는 다른 음료를 제조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도면과 관련하여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 은 음료 성분 함유 캡슐로부터 식별 정보를 판독하도록 설계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 는 프로브 수단과 연관될 수 있는 인쇄 회로 기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 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사용되는 탄성 지지 부재의 전방 및 후방 사시도이다.
도 5a, 도 5b, 도 5c, 도 5d 는 탄성 지지 부재가 프로브의 힘에 굴복하는 때 어떻게 변형되는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은 관련 전도성 수단을 갖는 도 4 에 따른 탄성 지지 부재의 전방 사시도에 해당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음료 제조기 (11) 가 음료 제조기 (11) 의 전용 음료 제조 위치에 위치되는 캡슐 (1) 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도록 설계되는 것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은 음료 성분 (5) 을 담기 위한 전용 격실을 갖는다. 음료 제조기 (11) 의 제어 유닛 (10) 에 의해 제어되는 액체 (3) 는, 캡슐에 담긴 음료 성분 (5) 과 상호작용하도록 캡슐 (1) 에 진입하게 된다. 상호 작용의 결과, 즉 제조된 음료나 액체 식품 (4) 이 음료 제조기 (11) 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액체 (3) 와 음료 성분 (5) 사이의 상호작용의 특성에 대한 통상적인 예가 우려내기, 혼합, 추출 및 용해 등이다. 음료 격실 내에 상이한 종류의 성분이 존재할 수 있고, 캡슐 내에서 상이한 종류의 상호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도 1 에 도시된 것처럼 시스템에는, 판독된 식별 데이터를 제어 유닛 (10) 에 전달하기 위해서 캡슐 (1) 로부터 식별 데이터를 검색 (판독) 하는 수단이 제공되고, 따라서 제어 유닛 (10) 은 판독된 식별 데이터의 내용에 따라 음료 제조기 (11) 의 이후 제조 사이클의 조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식별 데이터는 캡슐 및/또는 성분의 파라미터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 (1) 에는, 코드화 방식으로 식별 정보를 운반하는 식별 부재 (6) 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식별 정보는 캡슐 (1) 의 일면의 표면 구조의 조절에 의해 코드화된다. 예컨대, 구멍 또는 리세션이 하나의 논리 상태 (예컨대, "0") 를 나타낼 수 있고, 다른 표면 상태 ("리세션 없음" 또는 "구멍 없음") 가 다른 논리 상태 (예컨대, "1") 를 나타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캡슐이 보통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외부로부터 볼 수 없도록, 식별 부재 (6) 가 캡슐 (1) 에 배치된다. 이와 관련하여, 식별 부재 (6) 를 위해 커버 (7) 가 제공될 수 있다. 커버 (7) 는 식별 부재 (6) 에 대해 미적 및/또는 보호 목적을 수행한다. 커버 (7) 와 식별 부재 (6) 는 캡슐의 일부이며, 처음에는 식별 부재가 보호되는 상태에 있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나서, 음료 제조기의 접촉 수단 (8) 은, 시스템 커버 수단/식별 부재가 덮여진 상태로부터 식별 판독 상태로 옮겨지도록 시스템 커버 수단/식별 부재를 조작할 수 있고, 식별 판독 상태에서, 프로브 수단은 식별 부재에 인코딩된 정보를 시각적으로 또는 기계적 접촉을 통해 판독할 수 있다. 식별 부재 (6) 및/또는 커버 수단 (7) 에 대하여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커버 (7) 는 검출 공정이 실행되지 않는 한 완벽한 커버링 기능만을 실행한다. 검출 공정을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커버 (7) 는 예컨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 변위, 변형 또는 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커버 (7) 는 정보 판독 공정 동안, 커버 아래에 배치된 식별 부재의 표면 윤곽을 따르도록 구부러진다. 이와 관련하여, 커버 (7) 아래에 배치된 식별 부재 (6) 의 표면 구조를 판독하기 위해서 외부로부터 구부러질 수 있는 가요성 커버 (7) 가 예견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 (11) 에는, 식별 부재 (6) 의 표면 구조를 조절함으로써 코드화된 정보를 판독하도록 설계된 접촉 수단 (8) 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그러한 검출은 물리적 기계적 접촉에 의해 행해진다. 이와 관련하여, 접촉 수단 (8) 은 바람직하게는, 정보 판독 공정 동안 캡슐 (1) 의 식별 부재 (6) 에 대항하여 편향되는 복수 개의 변위 가능한 핀 (81) 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부재 (6) 와 핀 (81) 사이의 접촉 영역에서의 식별 부재 (6) 의 표면 구조의 특유한 형상에 따라, 핀 (81) 이 캡슐 (1) 을 향해 다소 돌출될 수 있다.
핀 (81) 은, 예컨대, 실리콘과 같은, 바람직하게는 전기 절연 재료 층으로 이루어진 탄성 지지 부재 (82) 에 의해 전자 회로망 기판 (9) 으로부터 절연된다. 따라서, 이 부재 (82) 는, 캡슐을 향해 핀 (81) 을 약간 가압하여 캡슐의 식별 부재의 상부에 제공된 임의의 커버를 결국 천공하거나 변형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편향력을 제공할 것이다. 각각의 핀 (81) 에는 지지 부재 (82) 의 일부와 접촉하는 플랜지 (83) 가 제공될 수 있다. 핀은 바람직하게는 탄성 지지 부재 (82) 보다 더 강성이다. 핀은 금속 또는 경질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핀 (81) 의 상대 변위는 전방측에서 핀 (81) 과 접촉하는 탄성 지지 부재 (82) 로 전달된다. 탄성 지지 부재 (82) 는 후방측에서 회로망 (9) 에 연관된다. 그리고 나서, 핀의 기계적 변위는 전자 신호로 전환된다. 따라서 생성된 전기 검출 신호는 제어 유닛 (10) 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제어 유닛 (10) 은, 캡슐로부터 판독된 식별 데이터의 함수로서, 예컨대 (정성적 기준 (non-exhaustive list)) 공급된 액체 (3) 의 유량 및 온도뿐만 아니라 상호작용 시간 등과 같은 음료 제조 공정의 파라미터를 설정할 것이다.
도 1 에 나타낸 상태에서, 단 하나의 도시된 핀 (81) 만이 식별 부재 (6) 의 구멍 (61) 을 마주한다. 따라서, 판독하는 동안, 이 특정 핀은 후방으로 밀리지 않고, 따라서 인쇄 회로 기판 (9) 의 전용 부분의 전기 단락을 선택적으로 생성하도록 설계된 전기 마이크로 스위치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대조적으로, 3 개의 다른 핀은 식별 부재 (7) 의 구멍을 마주하지 않으므로 식별 부재 (7) 의 표면 구조 내로 더 미끄러질 수 없고, 따라서 후방으로 (도 1 에서 좌측으로) 약간 밀리게 되어 플랜지 (83) 와 접촉하는 탄성 지지 부재 (82) 실리콘 재료의 부분을 밀어서, 인쇄 회로 기판 (9) 을 향해 전기 전도성 마이크로 스위치를 활성화시킨다 (즉, 전도성 상태로 전환한다). 이와 관련하여, 탄성 지지 부재 (82) 와 인쇄 회로 기판 (9) 사이에, 인쇄 회로 기판 (9) 에 정의된 단락을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전도성 수단 (12, 121) 이 삽입될 수 있고, 정의된 단락은 스위치의 폐쇄에 해당한다. 도 1 에서, 도시된 전도성 수단은 예컨대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층 (12) 이고, 인쇄 회로 기판 (9) 을 마주하는 상기 층 (12) 의 측면은 탄성 지지 부재 (82) 의 변형 가능한 부분을 마주하는 위치 및 단락될 수 있는 인쇄 회로 기판 (9) 의 영역에 전기 전도성 부분 (121) 을 갖는다.
도 2 는 인쇄 회로 기판 (9) 의 더 세부를 보여준다. 도면부호 91 은 선택적으로 단락될 수 있는 영역을 나타낸다.
도 3 은 본 발명에서 시행될 수 있는 탄성 지지 부재 (82) 를 보여준다. 이 탄성 지지 부재 (82) 는, 프로브 수단에 접촉할 수 있는 6 개의 부분을 측면 (821) 에 갖고 다른 측면에서는 회로망 (9) 에 연관되는 탄성 재료의 편평한 시트 (823) 이다. 이 측면 (821) 에서, 프로브 수단에 접촉할 수 있는 모든 부분은, 탄성 지지 부재의 시트 (823) 로부터 돌출한 중공 실린더 (822) 의 형태를 갖는다. 실린더의 직경은 통상적으로 핀 (81) 의 플랜지 (82) 의 크기로 조정되어서, 핀은 그의 힘을 중공 실린더 (822) 의 모든 에지에 분배할 수 있다.
도 4 는 동일한 탄성 지지 부재 (82) 의 다른 측면 (824) 을 보여준다. 이 측면에서는, 회로망 (9) 에 연관될 수 있는 6 개의 부분 모두가 탄성 재료의 편평한 시트 (823) 에서 파여져 있는 콘 (825) 의 형태를 갖는다. 편평한 시트 (823) 의 코너에 있는 구멍 (826) 및 시트 (823) 의 모든 에지 주위에 있는 립 (827) 으로 인해, 캡슐의 식별 부재를 수용하는 기계의 부분에 탄성 지지 부재 (82) 를 고정할 수 있다.
도 6 은 탄성 지지 부재 (82) 와 회로망 사이에 위치되는 개별 전도성 부분 (121) 의 포지셔닝을 보여준다. 콘 (825) 이 이동하면, 이 전도성 부분 (121) 이 이동하게 되고, 전도성 부분이 단락될 수 있는 회로망의 영역과 접촉하게 된다. 이 개별 전도성 부분 (121) 은 탄성 지지 부재 (82) 와 회로망 사이에 위치되는 층 (12) (점선으로 표시됨) 에 고정되고; 개별 전도성 부분은 회로망과 접촉할 수 있도록 회로망을 마주하는 층의 측면에 고정된다.
도 5a, 도 5b, 도 5c 및 도 5d 는, 프로브와 접촉하는 탄성 지지 부재의 6 개의 부분 중 하나가 프로브 (81) 의 힘에 굴복하는 때에 어떻게 변형되는지를 보여주는 탄성 지지 부재 (82) 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5a 는 힘을 받지 않은 (at rest) 탄성 지지 부재를 보여주는데, 프로브 수단을 마주하는 측면 (821) 에서는, 탄성 지지 부재의 편평한 시트 (823) 로부터 돌출하는 중공 실린더 (822) 가 플랜지 (83) 를 갖는 핀 (81) 으로 나타낸 프로브 수단과 접촉하지 않는다. 전기 전도성 층 (12) 을 마주하는 측면 (824) 에는, 콘 (825) 이 인쇄 회로 기판 (9) 에 대해 전도성 층 (12, 121) 을 가압하지 않는다.
도 5b 는, 프로브 수단이 커버 (7) 에 의해 덮인 식별 부재 (6) 와 접촉하기 시작하는 때, 상기 프로브 수단 (81) 에 접촉된 탄성 지지 부재를 보여준다. 이 도면에서, 프로브 수단 (81) 은 식별 부재 (6) 의 구멍 (61) 을 마주하고 있다. 프로브 수단 (81) 의 팁의 날카로운 단부 (811) 로 인해, 구멍 (61) 위의 커버 (7) 를 천공하고 식별 부재 (6) 를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이동시키는데, 단지 작은 힘이 필요하다. 중공 실린더 (822) 의 말단부에서의 힘 (f) 은 탄성 지지 부재를 변형시킬 정도로 충분히 강하지 않다.
도 5c 는, 프로브 수단 (81) 이 식별 부재 (6) 의 구멍 (61) 에 마주하지 않는 때, 상기 프로브 수단 (81) 에 접촉된 탄성 지지 부재를 보여준다. 식별 부재 (6) 가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이동하면, 도 5b 에서 가해지는 힘 (f) 보다 더 큰 힘 (F) 이 유도된다. 이 힘 (F1) 은 콘 (825) 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는 단락된 영역 (91) 의 레벨에서 인쇄 회로 기판 (9) 에 대해 층 (12) 및 전기 전도성 부분 (121) 을 밀고, 그러면 인쇄 회뢰 기판 (9) 에서 전기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d 는, 프로브 수단 (81) 이 식별 부재 (6) 의 구멍 (61) 에 마주하지 않고 예컨대 식별 부재가 적은 개수의 구멍을 포함하는 경우, 탄성 지지 부재 (82) 에 중요한 힘 (F2) 이 가해져야 하는 때, 상기 프로브 수단 (81) 에 접촉된 탄성 지지 부재 (82) 를 보여준다. 이 중요한 힘 (F2) 은 중공 실린더 (822) 를 횡방향으로 변형시킨다. 그러면, 종래 기술에 반해, 탄성 지지 부재는 힘에 저항하지 않고, 식별 부재는 접히지 않는다.
힘을 받지 않은 때, 즉, (도 5a 및 도 5b 에 도시된 것처럼) 탄성 지지 부재 (82) 에 힘이 가해지지 않는 때, 콘 (825) 과 중공 실린더 (822) 의 연결부 (827) 에서, 시트가 중공 실린더의 방향으로 기울어진다는 것에 주목할 수 있다. 이러한 기울어짐으로 인해, 탄성 지지 부재 (82) 에 가해지는 힘 (F1, F2) (도 5a 및 도 5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멈추는 때, 콘은 도 5a 에 따른 힘을 받지 않은 그의 위치로 즉시 되돌아온다.
본 발명에 의하면, 힘 방향에 대해 횡 방향을 따른 힘의 일부의 소실로 인해 캡슐 식별 부재를 접지 않으면서 캡슐 식별 부재에 중요한 힘을 가할 수 있다.

Claims (15)

  1. 식별 부재 (6) 를 포함하는 음료 성분 함유 캡슐들 (1) 및 상기 캡슐들을 수용하는 음료 제조기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 시스템으로서,
    상기 음료 제조기는,
    - 식별 부재의 정보를 판독하기 위해 캡슐 식별 부재 (6) 와 물리적으로 접촉하는 접촉 수단 (8), 및
    - 상기 접촉 수단에 연결되고 판독된 정보에 응하여 음료 제조기 (11) 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설계된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 수단 (8) 은,
    - 캡슐 식별 부재 (6) 와 기계적으로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변위 가능한 프로브 (81), 및
    - 일 측면에서 프로브와 접촉하고 다른 측면에서 회로망 (9) 에 연관되는 탄성 지지 부재 (82) 를 포함하고,
    일 측면에서 프로브와 접촉하고 다른 측면에서 회로망에 연관되는 탄성 지지 부재의 부분은 프로브가 힘을 가하는 때 그 자체가 변형될 수 있는 형상을 갖고, 변형은 상기 힘이 가해지는 방향에 부분적으로 횡 방향이고, 상기 탄성 지지 부재는 시트이고,
    상기 시트 상에서는, 프로브와 접촉하는 탄성 지지 부재의 측면에서 중공 실린더가 돌출하고,
    상기 시트 내에서는, 회로망에 연관되는 탄성 지지 부재의 다른 측면에서 콘이 파여져 있는 음료 제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프로브와 접촉하는 탄성 지지 부재의 부분은, 프로브가 힘을 가하는 때 먼저, 프로브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대해 길이방향을 따라 그 자체가 변형되고 다음으로, 상기 힘이 가해지는 방향에 횡 방향을 따라 그 자체가 변형되게 하는 형상을 갖는 음료 제조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 부재 (82) 는 엘라스토머 재료로 이루어진 음료 제조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 부재는 실리콘 또는 EPDM 고무로 이루어진 음료 제조 시스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프로브와 접촉하는 탄성 지지 부재의 부분의 측면이 중공 실린더의 형태를 갖고, 회로망에 연관되는 탄성 지지 부재의 상기 부분의 다른 측면이 콘의 형태를 갖는 음료 제조 시스템.
  6. 삭제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수단은 탄성 지지 부재 (82) 와 회로망 (9) 사이에 위치되는 층 (12) 에 고정된 개별 전도성 부분들 (121) 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전도성 부분들 (121) 은 회로망 (9) 을 마주하는 층 (12) 쪽에 고정되는 음료 제조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전도성 부분들 (121) 은 단락 (short-circuit) 될 수 있는 회로망 (9) 의 영역들 (91) 을 마주하는 음료 제조 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층 (12) 은 엘라스토머 부재로 이루어지고, 전기 전도성 부분들 (121) 은 그래파이트로 이루어진 음료 제조 시스템.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층 (12) 은 필름이고, 상기 필름에 개별 전기 전도성 피이스들 (121) 이 부착되고, 탄성 지지 부재 (82) 와 층 (12) 사이에 방수 재료 층이 위치되는 음료 제조 시스템.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제조기는 캡슐 (1) 과의 접촉에 응하여 프로브의 변위 정도에 관하여 식별 정보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브 (81) 가 배치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 시스템.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변위 가능한 프로브 (81) 및 상기 프로브에 연결된 탄성 지지 부재 (82) 의 부분이 캡슐과의 프로브의 접촉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되고 연관 회로망과 선택적으로 접촉하고,
    상기 프로브, 연결된 상기 탄성 지지 부재 및 연관된 상기 회로망의 접촉이 미리 결정된 2진 코드화된 상태 (0 또는 1) 를 구성하고, 상기 프로브, 연결된 상기 탄성 지지 부재 및 연관된 상기 회로망의 비접촉이 다른 2진 코드화된 상태 (1 또는 0) 를 구성하는 음료 제조 시스템.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수단은 캡슐의 복수의 미리 결정된 국부적인 접촉 리시버와 접촉하는 복수의 변위 가능한 식별 핀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 시스템.
  15.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층 (12) 은 실리콘 또는 EPDM 고무로 이루어지고, 전기 전도성 부분들 (121) 은 그래파이트로 이루어진 음료 제조 시스템.
KR1020127019362A 2009-12-21 2010-12-20 음료 성분 함유 캡슐의 식별 KR1019134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9180071 2009-12-21
EP09180071.4 2009-12-21
PCT/EP2010/070269 WO2011076750A1 (en) 2009-12-21 2010-12-20 Identification of beverage ingredient containing capsu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885A KR20120121885A (ko) 2012-11-06
KR101913438B1 true KR101913438B1 (ko) 2018-10-30

Family

ID=42077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9362A KR101913438B1 (ko) 2009-12-21 2010-12-20 음료 성분 함유 캡슐의 식별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9010237B2 (ko)
EP (1) EP2515725B1 (ko)
JP (1) JP5752706B2 (ko)
KR (1) KR101913438B1 (ko)
CN (1) CN102665501B (ko)
AU (1) AU2010334943B2 (ko)
BR (1) BR112012017192A2 (ko)
CA (1) CA2785134C (ko)
DK (1) DK2515725T3 (ko)
ES (1) ES2435637T3 (ko)
PL (1) PL2515725T3 (ko)
PT (1) PT2515725E (ko)
RU (1) RU2542566C2 (ko)
SG (1) SG181721A1 (ko)
TW (1) TW201143689A (ko)
WO (1) WO20110767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87060C2 (ru) * 2010-11-11 2016-06-10 Нестек С.А. Капсула, аппарат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и систем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родукта питания
EP2755535B1 (en) 2011-09-16 2018-10-31 Nestec S.A. Multi-system beverage machine multiple connections
CA2845399A1 (en) 2011-09-16 2013-03-21 Nestec S.A. Multi-system beverage machine safe connector
JP2014526325A (ja) 2011-09-16 2014-10-06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清浄なマルチシステム飲料マシン
DK2594171T3 (da) 2011-11-16 2014-05-19 Nestec Sa Bærer og kapsel til fremstilling en drik ved centrifugering, system og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en drik ved centrifugering
WO2013098173A1 (en) 2011-12-30 2013-07-04 Nestec S.A. A multi-system beverage machine
JP2015521057A (ja) * 2012-04-25 2015-07-27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ユーザによるプログラミングが可能なカプセル、カプセルをプログラミングするための装置、及び飲料調製マシン
PT2888182T (pt) 2012-08-24 2017-12-22 Nestec Sa Cápsula para utilização numa máquina de preparação de alimentos
MX2016010551A (es) * 2014-02-19 2016-12-15 Nestec Sa Inserto de codificacion para usar en una maquina de preparacion de alimentos.
MY181314A (en) * 2014-02-19 2020-12-21 Nestle Sa Capsule kit for use in a food preparation machine
US20150257586A1 (en) * 2014-03-11 2015-09-17 Starbucks Corporation Dba Starbucks Coffee Company Single-serve beverage production machine
NL2017284B1 (en) 2016-08-03 2018-02-14 Douwe Egberts Bv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field and background
NL2017279B1 (en) 2016-08-03 2018-02-14 Douwe Egberts Bv System for preparing a beverage
NL2017285B1 (en) 2016-08-03 2018-02-14 Douwe Egberts Bv System, apparatus, method, capsule and kit of capsules for preparing a beverage
NL2017277B1 (en) 2016-08-03 2018-02-14 Douwe Egberts Bv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and system comprising the apparatus and an exchangeable capsule
NL2017283B1 (en) 2016-08-03 2018-02-14 Douwe Egberts Bv System and apparatus for preparing a beverage
NL2019218B1 (en) 2016-08-03 2018-07-06 Douwe Egberts Bv Capsule, system and use of the system for preparing double beverages like a double espresso, a double lungo and a double ristretto
NL2017278B1 (en) 2016-08-03 2018-02-14 Douwe Egberts Bv System, apparatus, method, capsule and kit of capsules for preparing a beverage
NL2017281B1 (en) 2016-08-03 2018-02-14 Douwe Egberts Bv System for preparing a beverage
WO2018089460A1 (en) 2016-11-09 2018-05-17 Pepsico, Inc. Carbonated beverage makers, methods, and systems
CA3061992A1 (en) * 2017-05-23 2018-11-29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with enhanced pump control
AU2019239860B2 (en) 2018-03-21 2024-05-23 Precision Planting Llc Reagent cartridge
NL2022190B1 (en) 2018-12-12 2020-07-03 Douwe Egberts Bv Air purge groove
US11647860B1 (en) 2022-05-13 2023-05-16 Sharkninja Operating Llc Flavored beverage carbonation system
US11751585B1 (en) 2022-05-13 2023-09-12 Sharkninja Operating Llc Flavored beverage carbonation system
WO2024023355A1 (en) * 2022-07-29 2024-02-01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Beverage or foodstuff preparation system
WO2024023356A1 (en) * 2022-07-29 2024-02-01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Beverage or foodstuff preparation system
WO2024023358A1 (en) * 2022-07-29 2024-02-01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Beverage or foodstuff preparation system
US11745996B1 (en) 2022-11-17 2023-09-05 Sharkninja Operating Llc Ingredient containers for use with beverage dispensers
US11634314B1 (en) 2022-11-17 2023-04-25 Sharkninja Operating Llc Dosing accuracy
US11738988B1 (en) 2022-11-17 2023-08-29 Sharkninja Operating Llc Ingredient container valve control
US11871867B1 (en) 2023-03-22 2024-01-16 Sharkninja Operating Llc Additive container with bottom cover
US11925287B1 (en) 2023-03-22 2024-03-12 Sharkninja Operating Llc Additive container with inlet tube
US11931704B1 (en) 2023-06-16 2024-03-19 Sharkninja Operating Llc Carbonation chamb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3768A (ja) * 1999-08-02 2001-02-16 Nec Saitama Ltd キーボタンの防水構造
JP2004342601A (ja) * 2003-04-16 2004-12-02 Integral Technologies Inc 導電性樹脂系材料で製作した低コストのキー作動機構などのスイッチデバイス作動機構
WO2009077488A2 (en) 2007-12-18 2009-06-25 Nestec S.A. System for preparing a beverage from ingredients supported by an encoded insert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50422A (en) 1981-03-12 1982-09-17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Dust removing device for gas
JPS57150422U (ko) * 1981-03-17 1982-09-21
US5312017A (en) * 1991-08-30 1994-05-17 The Coca-Cola Company Product identification system for beverage dispenser
GB0003355D0 (en) * 2000-02-14 2000-04-05 Kraft Jacobs Suchard Limited Cartridge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whipped beverages
US20020048621A1 (en) * 2000-10-06 2002-04-25 Boyd David D. Encoded coffee packet
US6392176B1 (en) 2001-03-05 2002-05-21 Chicony Electronics Co., Ltd. Keyswitch of keyboard
SI1808382T1 (sl) * 2002-01-16 2013-04-30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Zaprta kapsula s skodelico, ki ima odpiralna sredstva
GB0314277D0 (en) * 2003-06-19 2003-07-23 Whitlenge Drink Equipment Ltd Beverage dispensing system
ES2373436T5 (es) * 2003-08-25 2014-12-29 Nestec S.A. Método y dispositivo para preparar una bebida a partir de cápsulas conteniendo una substancia
ATE356570T1 (de) * 2004-05-04 2007-04-15 Datalogic Spa Vorrichtung zur zubereitung von einem getränk aus einer kartusche, mit aktivierung nach lesung eines optischen code auf der kartusche
FR2874210B1 (fr) * 2004-08-10 2006-09-22 Cie Mediterraneenne Des Cafes Conditionnement pour l'infusion d'une matiere a infuser
DE202006007056U1 (de) * 2005-12-21 2006-10-1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Kassette zum Bereiten von Getränken, Getränkezubereitungsmaschine und Getränkezubereitungssystem
JP4933456B2 (ja) * 2006-01-12 2012-05-16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
DK1950150T3 (da) * 2007-01-24 2010-05-17 Nestec Sa Identifikation af drikkevareingrediensindeholdende kapsl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3768A (ja) * 1999-08-02 2001-02-16 Nec Saitama Ltd キーボタンの防水構造
JP2004342601A (ja) * 2003-04-16 2004-12-02 Integral Technologies Inc 導電性樹脂系材料で製作した低コストのキー作動機構などのスイッチデバイス作動機構
WO2009077488A2 (en) 2007-12-18 2009-06-25 Nestec S.A. System for preparing a beverage from ingredients supported by an encoded inse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52706B2 (ja) 2015-07-22
EP2515725A1 (en) 2012-10-31
CA2785134A1 (en) 2011-06-30
TW201143689A (en) 2011-12-16
WO2011076750A1 (en) 2011-06-30
CA2785134C (en) 2018-02-06
CN102665501A (zh) 2012-09-12
AU2010334943B2 (en) 2015-03-12
EP2515725B1 (en) 2013-10-16
JP2013514820A (ja) 2013-05-02
KR20120121885A (ko) 2012-11-06
US20120260805A1 (en) 2012-10-18
BR112012017192A2 (pt) 2016-03-22
DK2515725T3 (da) 2013-11-25
PT2515725E (pt) 2013-11-26
RU2012131138A (ru) 2014-01-27
CN102665501B (zh) 2015-06-17
RU2542566C2 (ru) 2015-02-20
PL2515725T3 (pl) 2014-02-28
US9010237B2 (en) 2015-04-21
ES2435637T3 (es) 2013-12-20
SG181721A1 (en) 2012-07-30
AU2010334943A1 (en) 201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3438B1 (ko) 음료 성분 함유 캡슐의 식별
KR101913439B1 (ko) 음료 성분 함유 캡슐의 식별
TWI414460B (zh) 包含飲料組成份的膜盒之識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