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3151B1 - 패드형 부싱 - Google Patents

패드형 부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3151B1
KR101913151B1 KR1020170044774A KR20170044774A KR101913151B1 KR 101913151 B1 KR101913151 B1 KR 101913151B1 KR 1020170044774 A KR1020170044774 A KR 1020170044774A KR 20170044774 A KR20170044774 A KR 20170044774A KR 101913151 B1 KR101913151 B1 KR 101913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insertion hole
hole
main member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4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3351A (ko
Inventor
양정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안
양정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안, 양정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안
Priority to KR1020170044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3151B1/ko
Publication of KR20180113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3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3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6Sliding surface mainly made of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삽입홀이 형성된 메인부재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삽입부재 사이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한 패드형 부싱으로서, 상기 삽입부재가 상기 삽입홀을 향해 진입하는 방향에 위치한 상기 메인부재의 일면에 부착되며 원형의 제1 센터홀이 중심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센터홀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방사형으로 교차하는 복수 개의 슬릿에 의해 분할되는 복수 개의 폴더부를 포함하는 제1 패드와, 상기 삽입부재가 상기 삽입홀을 향해 진입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한 상기 메인부재의 타면에 부착되며 상기 삽입홀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원형의 제2 센터홀이 형성되는 제2 패드, 그리고 휘거나 구부러질 수 있도록 가요성을 갖고 상기 제1 패드와 상기 제2 패드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재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1 패드, 상기 메인부재, 상기 제2 패드는 상기 삽입부재에 의해 순차적으로 관통되며, 상기 폴더부는 상기 삽입홀의 내측 면을 향해 접혀 상기 삽입홀의 내측 면과 상기 삽입부재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메인부재와 상기 삽입부재 사이의 접촉면에서 발생되는 마찰저항을 감소시키는 패드형 부싱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패드형 부싱 {PAD TYPE BUSHING}
본 발명은 패드형 부싱에 관한 것으로 패드형으로 마련되어 홀이 형성된 부재에 부착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홀이 형성된 부재의 양면 모두에서 발생하는 마멸 및 마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패드형 부싱에 관한 것이다.
부싱(bush, bushing)은 일반적으로 구멍의 내면에 끼워 넣는 두께가 얇은 원통형 금속재를 칭하는 것으로 끼움쇠테(軸套)라 불리기도 한다.
이러한 부싱은 구멍 안쪽에 끼워 부재 사이의 마멸과 마찰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통상적이며, 관(pipe)과 같은 구멍의 내면에 삽입되어 관의 내경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부싱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에 삽입할 수 있는 단체형(單體型) 금속원통의 형태를 갖는다.
한편, 종래 부싱은 도 1과 같이 플랜지가 한쪽에만 형성되어 있거나 아예 존재하지 않는 간단한 마찰베어링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구멍에 삽입되는 부재가 볼트와 같이 너트의 결합을 통해 고정되는 방식을 취할 경우 너트가 맞닿게 되는 부분에 대한 마멸 및 마찰저항에는 무방비 상태가 된다.
또한 종래 부싱의 경우 금속재로 구성되기 때문에 산화 및 부식에 취약하고, 방청처리를 한다 해도 마찰베어링의 특성상 지속적으로 마찰에 노출되기 때문에 내부식성 코팅이 쉽게 벗겨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종래 부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타입의 부싱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패드형으로 마련되어 홀이 형성된 부재에 부착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홀이 형성된 부재의 양면 모두에서 발생하는 마멸 및 마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패드형 부싱을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패드형 부싱은 삽입홀이 형성된 메인부재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삽입부재 사이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한 패드형 부싱으로서, 상기 삽입부재가 상기 삽입홀을 향해 진입하는 방향에 위치한 상기 메인부재의 일면에 부착되며, 원형의 제1 센터홀이 중심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센터홀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방사형으로 교차하는 복수 개의 슬릿에 의해 분할되는 복수 개의 폴더부를 포함하는 제1 패드; 상기 삽입부재가 상기 삽입홀을 향해 진입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한 상기 메인부재의 타면에 부착되며, 상기 삽입홀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원형의 제2 센터홀이 형성되는 제2 패드; 및 휘거나 구부러질 수 있도록 가요성을 갖고 상기 제1 패드와 상기 제2 패드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재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1 패드, 상기 메인부재, 상기 제2 패드는 상기 삽입부재에 의해 순차적으로 관통되며, 상기 폴더부는 상기 삽입홀의 내측 면을 향해 접혀 상기 삽입홀의 내측 면과 상기 삽입부재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메인부재와 상기 삽입부재 사이의 접촉면에서 발생되는 마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패드 및 상기 제2 패드는, 상기 삽입홀의 지름보다 더 큰 지름을 갖는 원형의 패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릿은, 길이방향에 따른 양단 중 상기 제1 센터홀을 향한 일단은 상기 제1 센터홀과 연결되도록 개방 형성되고, 상기 일단의 반대편이자 상기 제1 패드의 외주를 향하는 타단에는 상기 폴더부가 상기 삽입홀의 내측 면을 향해 접혔을 때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크랙방지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크랙방지홀은, 상기 슬릿의 타단에 인접한 상기 폴더부의 일부분을 기 설정된 범위만큼 둥글게 도려내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삽입부재는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패드는, 상기 볼트의 헤드와 맞닿아 접촉되는 부분에 부착되어, 상기 메인부재와 상기 볼트의 헤드 사이의 접촉면에서 발생하는 마찰저항을 감소시키며, 상기 제2 패드는, 상기 볼트와 결합되는 너트와 맞닿아 접촉되는 부분에 부착되어, 상기 메인부재와 상기 너트 사이의 접촉면에서 발생하는 마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폴더부는, 상기 삽입홀의 내측 면을 향해 접혔을 때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상기 볼트의 몸통 부분과 마주보게 되는 일면에 비드가 형성되며, 상기 볼트는,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몸통 부분에 상기 비드가 끼워질 수 있도록 마련된 비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비드는, 상기 볼트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비드홈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폴더부를 상기 삽입홀의 내측 면에 고정시키고 상기 삽입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센터홀은, 중심을 향해 돌출된 복수 개의 돌기가 안지름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돌기는, 상기 볼트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의 나사산 중 어느 하나에 걸쳐짐으로써 상기 제2 패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1 패드 및 상기 제2 패드가 상기 메인부재에 각각 부착되었을 때, 기 설정된 부분이 접힐 수 있도록 길이방향에 따른 너비가 상기 기 설정된 부분에서 감소하게끔 형성된 하나 이상의 벤딩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벤딩포인트는, 상기 제1 패드에 가까운 부분에 형성되는 제1 벤딩포인트; 및 상기 제2 패드에 가까운 부분에 형성되는 제2 벤딩포인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벤딩포인트와 상기 제2 벤딩포인트 사이의 간격은 상기 삽입홀이 형성된 상기 메인부재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패드 및 상기 제2 패드는, 상기 메인부재의 일면 및 타면과 맞닿아 부착되는 각각의 부착면에 접착성 물질이 미리 도포되어 있는 스티커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패드형 부싱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홀이 형성된 부재에 부착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홀이 형성된 부재의 양면 모두에서 발생하는 마멸 및 마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홀에 삽입부재가 삽입되었을 때 홀의 내측 면과 삽입부재의 접촉면 사이에 배치되는 폴더부를 통해, 홀과 삽입부재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멸 및 마찰저항까지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아울러, 크랙방지홀을 통해 폴더부가 홀의 내측 면을 향해 접혔을 때 접힘으로 인해 발생되는 패드의 크랙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폴더부 고유의 형상을 통해 폴더부가 오버사이즈되어 홀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금속재 부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드형 부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드형 부싱이 적용된 메인부재 및 삽입부재의 양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패드형 부싱의 커넥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패드형 부싱을 나타낸 것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패드형 부싱의 제1 센터홀 여부에 따른 사용양태의 차이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스티커 형태로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패드형 부싱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상세한 설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드형 부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패드형 부싱은 삽입홀이 형성된 메인부재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삽입부재 사이의 마멸과 마찰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패드(100), 제2 패드(200) 및 커넥터(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패드(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재(20)가 메인부재(10)에 형성된 삽입홀(12)을 향해 진입하는 방향에 위치한 메인부재(10)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패드(100)는 메인부재(10)에 형성된 삽입홀(12)의 지름보다 더 큰 지름을 갖는 원형의 패드로 마련되고, 원형의 제1 센터홀(102)이 중심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센터홀(102)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방사형으로 교차하는 복수 개의 슬릿(104)에 의해 분할되는 복수 개의 폴더부(110)를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폴더부(110)는 도 4와 같이 제1 패드(100)가 메인부재(10)의 일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삽입홀(12)의 내측 면을 향해 접혀 삽입홀(12)의 내측 면과 삽입부재(20)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삽입홀(12)의 내측 면과 삽입부재(20) 사이의 접촉면에서 발생하는 마멸 및 마찰저항을 감소시킨다.
한편, 폴더부(110)를 분할하는 슬릿(106)의 경우 길이방향에 따른 양단 중 제1 센터홀(102)을 향한 일단은 상기 제1 센터홀(102)과 연결되도록 개방 형성되고, 상기 일단의 반대편이자 제1 패드(100)의 외주를 향하는 타단에는 크랙방지홀(106)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크랙방지홀(106)은 앞서 설명했듯이 폴더부(110)가 삽입홀(12)의 내측 면을 향해 접혔을 때 폴더부(110)와 폴더부(110) 사이의 슬릿(104)의 타단 부위에 발생하는 크랙(찢어짐이나 갈라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슬릿(104)의 타단에 인접한 폴더부(110)의 일부분을 기 설정된 범위만큼 둘글게 도려내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크랙방지홀(106)을 통해 폴더부(110)가 접혔을 때 상대적으로 취약부분인 슬릿(104)의 끝단에서 발생하는 찢어짐이나 갈라짐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원형의 삽입홀(12)의 내측 면을 향해 접힐 때 상대적으로 직선의 형태로 접힐 수 밖에 없는 폴더부(110)의 접힘면으로 인해 발생하는 폴더부(110) 및 이에 인접한 제1 패드(100)의 일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우그러짐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어서 제2 패드(200)는 삽입부재(20)가 삽입홀(12)을 향해 진입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한 메인부재(10)의 타면, 즉 제1 패드(100)가 부착된 면의 반대편 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패드(200)는 제1 패드(100)와 마찬가지로 메인부재(10)에 형성된 삽입홀(12)의 지름보다 더 큰 지름을 갖는 원형의 패드로 마련되며, 삽입홀(12)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삽입홀(12)의 지름 이상의 지름을 갖는 원형의 제2 센터홀(20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패드(200)는 커넥터(300)에 의해 제1 패드(100)와 연결된 상태로 마련되어, 제1 패드(100)가 메인부재(10)의 일면에 우선적으로 부착된 상태에서 커넥터(300)의 벤딩을 통해 메인부재(10)의 타면을 향해 이동하여 부착될 수 있다. (도 3 참조)
여기서 커넥터(300)는 휘거나 구부러질 수 있도록 가요성(可撓性)을 갖고 제1 패드(100)와 제2 패드(200) 사이를 연결한다.
이와 같은 커넥터(300)를 통해 제2 패드(200)는 제1 패드(100)가 먼저 메인부재(10)에 부착된 상태에서 가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한 조작만으로 쉽게 메인부재(10)의 타면으로 옮겨져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커넥터(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패드(100) 및 제2 패드(200)가 메인부재(10)에 각각 부착되었을 때, 기 설정된 부분이 접힐 수 있도록 길이방향에 따른 너비가 상기 기 설정된 부분에서 감소하게끔 형성된 하나 이상의 벤딩포인트(310a, 31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벤딩포인트는 제1 패드(100)에 가까운 부분에 형성되는 제1 벤딩포인트(310a)와 제2 패드(200)에 가까운 부분에 형성되는 제2 벤딩포인트(310b)를 포함하며, 제1 벤딩포인트(310a)와 제2 벤딩포인트(320b) 사이의 간격(t1)은 삽입홀(12)이 형성된 메인부재(10)의 두께(t2, 도 4 참조)와 동일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300)는 제1 패드(100)와 제2 패드(200)가 메인부재(10)의 일면과 타면에 각각 부착되었을 때 각각의 벤딩포인트(310a, 310b)들에 의해 보다 쉽게 벤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벤딩된 부분이 메인부재(10)의 측면에 붙어 고정되어 깔끔하게 정리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커넥터(300)를 통해 메인부재(10)에 부착되는 제1 패드(100)와 제2 패드(200)간의 부착 순서는 상세한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임의의 순서일 뿐 반드시 제1 패드(100)가 먼저 부착될 것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제2 패드(200)가 먼저 부착되어도 무방함을 명시한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패드(100), 제2 패드(200), 커넥터(300)는 모두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하나의 연결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강도, 내마모성 및 내부식성이 우수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제1 패드(100) 및 제2 패드(200)는 메인부재(10)의 일면과 타면에 맞닿아 부착되는 각각의 부착면에 접착성 물질이 미리 도포되어 있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는 커넥터(300) 역시 마찬가지일 수 있다.
한편, 메인부재(10)는 삽입홀(12)이 형성되어 있는 각종 구조물, 프레임, 패널, 관 등 종래 부싱이 사용될 수 있는 부재라면 제한 없이 다양하게 포함할 수 있고 심지어 볼트와 결합되는 너트 또한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부재(20)는 메인부재(10)에 형성된 삽입홀(12)에 삽입되는 각종 부재로서 축, 샤프트, 관, 볼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메인부재(10)와 삽입부재(20)는 그 종류나 형태에 있어 얼마든지 다양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패드형 부싱의 목적이 메인부재(10)와 삽입부재(20)의 접촉면에서 발생하는 마멸 및 마찰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상기 목적의 실행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메인부재(10)와 삽입부재(20)의 구성 범위는 제한되지 않음을 뜻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패드형 부싱은 위와 같은 구성들을 통해 삽입부재(20)가 삽입되는 삽입홀(12)이 형성된 메인부재(10)에 간단하게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부재(20)가 삽입홀(12)에 삽입되었을 때 제1 패드(100), 메인부재(10), 제2 패드(200)가 삽입부재(20)에 의해 순차적으로 관통되되, 폴더부(110)가 삽입홀(12)의 내측 면을 향해 접혀 삽입홀(12)의 내측 면과 삽입부재(20)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메인부재(10)와 삽입부재(20) 사이의 접촉면에서 발생되는 마멸 및 마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패드형 부싱에 대하여 설명한다.
후술할 제2 실시예에 따른 패드형 부싱은 기본 구성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 제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생략하며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하여만 다루겠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패드형 부싱은 폴더부(110)에 형성되는 비드(112)와 제2 센터홀(202)에 형성되는 돌기(21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비드(11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부(110)가 삽입홀(12)의 내측 면을 향해 접혔을 때 삽입홀(12)에 삽입되는 삽입부재(20)와 마주보게 되는 폴더부(11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돌기(21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패드(200)의 제2 센터홀(202)의 안지름으로부터 중심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복수 개로 구비되어, 제1 패드(100) 및 제2 패드(200)가 메인부재(10)에 부착된 상태에서 폴더부(110)가 삽입홀(12)의 내측 면을 향해 접히게 되면 삽입홀(12)로부터 내측 면을 향해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크랙방지홀(106)은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패드(100)의 외주를 향하는 슬릿(104)의 타단에 마련되어, 폴더부(110)가 삽입홀(12)의 내측 면을 향해 접혔을 때 슬릿(104)의 타단 부위에 발생하는 크랙(찢어짐이나 갈라짐)을 방지하고, 상대적으로 직선의 형태를 갖는 폴더부(110)의 접힘면과 원형인 삽입홀(12)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폴더부(110) 및 제1 패드(100)의 우그러짐을 감소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비드(112) 및 돌기(212)는 삽입부재(20)가 볼트를 포함할 경우 볼트가 삽입홀(12)에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의 회전에 의해 제1 패드(100) 및 제2 패드(200)가 접착부위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재(20)가 볼트를 포함할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20)의 몸통 부분에는 상기 비드(112)가 끼워질 수 있는 비드홈(22)이 형성되고, 볼트(20)가 삽입홀(12)에 삽입된 상태에서 비드(112)가 비드홈(22)에 끼워짐으로써 폴더부(110)가 삽입홀(12)의 내측 면에 고정되고 삽입홀(12)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제1 패드(100)는 볼트(20)의 헤드와 맞닿아 접촉되는 부분에 부착되어 메인부재(10)와 볼트(20)의 헤드 사이의 접촉면에서 발생하는 마멸 및 마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패드(200) 또한 볼트(20)와 결합되는 너트와 맞닿아 접촉되는 부분에 부착되어, 메인부재(10)와 너트 사이의 접촉면에서 발생하는 마멸 및 마찰저항을 감소시키게 된다.
그리고 돌기(212)는 제2 센터홀(202)의 안지름을 따라 중심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볼트(20)가 삽입홀(12)에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20)의 나사산 중 어느 하나에 걸쳐짐으로써 제2 패드(200)가 메인부재(10)의 접착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폴더부(110)의 경우 제1 패드(100)가 메인부재(10)에 부착되었을 때 삽입홀(12)의 중심을 향한 종단이 제1 센터홀(102)에 의해 상기 제1 센터홀(102)의 크기만큼 제거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위와 같이 폴더부(110)의 종단이 제1 센터홀(102)의 크기만큼 제거된 상태로 마련되는 이유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부재(10)의 두께가 폴더부(110)의 전체 길이보다 짧을 경우, 삽입홀(12)의 내측 면을 향해 접힌 폴더부(110)의 종단에 의해 반대편에 위치한 제2 패드(200) 및 돌기(212)가 밀려 부착면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폴더부(11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센터홀(102)에 의해 고유한 형상을 갖게 되며, 폴더부(110)의 고유한 형상을 통해 폴더부(110)가 오버사이즈되어 삽입홀(12)로부터 돌출되는 것, 그리고 돌출된 폴더부(110)의 종단에 의해 제2 패드(200) 및 돌기(212)가 밀려 떨어지는 것을 함께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앞서 언급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폴더부(110)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되는 사항임을 명시한다.
나아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를 포함한 본 발명에 따른 패드형 부싱은 제1 패드(100), 제2 패드(200), 그리고 일체형으로 구성된 커넥터(300) 모두 각각의 부착면에 접착성 물질이 미리 도포되어 있는 스티커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종래 금속재 부싱과 같이 부싱을 직접 메인부재(10)에 형성된 삽입홀(12)에 끼워 넣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스티커 형태의 패드형 부싱을 떼어 원하는 곳에 부착하는 것만으로 쉽게 종래 부싱의 역할을 대체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패드형 부싱은 홀이 형성된 부재에 부착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홀이 형성된 부재의 양면과 홀의 내측 면 모두에서 발생할 수 있는 마멸 및 마찰저항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부싱을 제공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메인부재
12: 삽입홀
20: 삽입부재
100: 제1 패드
102: 제1 센터홀
104: 슬릿
106: 크랙방지홀
110: 폴더부
200: 제2 패드
202: 제2 센터홀
212: 돌기
300: 커넥터
310a, 310b: 벤딩포인트

Claims (10)

  1. 삽입홀이 형성된 메인부재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삽입부재 사이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한 패드형 부싱으로서,
    상기 삽입부재가 상기 삽입홀을 향해 진입하는 방향에 위치한 상기 메인부재의 일면에 부착되며, 원형의 제1 센터홀이 중심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센터홀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방사형으로 교차하는 복수 개의 슬릿에 의해 분할되는 복수 개의 폴더부를 포함하는 제1 패드;
    상기 삽입부재가 상기 삽입홀을 향해 진입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한 상기 메인부재의 타면에 부착되며, 상기 삽입홀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원형의 제2 센터홀이 형성되는 제2 패드; 및
    휘거나 구부러질 수 있도록 가요성을 갖고 상기 제1 패드와 상기 제2 패드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재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1 패드, 상기 메인부재, 상기 제2 패드는 상기 삽입부재에 의해 순차적으로 관통되며, 상기 폴더부는 상기 삽입홀의 내측 면을 향해 접혀 상기 삽입홀의 내측 면과 상기 삽입부재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메인부재와 상기 삽입부재 사이의 접촉면에서 발생되는 마찰저항을 감소시키며,
    상기 슬릿은, 길이방향에 따른 양단 중 상기 제1 센터홀을 향한 일단은 상기 제1 센터홀과 연결되도록 개방 형성되고,
    상기 일단의 반대편이자 상기 제1 패드의 외주를 향하는 타단에는 상기 폴더부가 상기 삽입홀의 내측 면을 향해 접혔을 때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크랙방지홀이 형성되며,
    상기 폴더부는, 상기 삽입홀의 내측 면을 향해 접혔을 때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상기 삽입부재의 몸통 부분과 마주보게 되는 일면에 비드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몸통 부분에 상기 비드가 끼워질 수 있도록 마련된 비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비드는, 상기 삽입부재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비드홈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폴더부를 상기 삽입홀의 내측 면에 고정시키고 상기 삽입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2 센터홀은, 중심을 향해 돌출된 복수 개의 돌기가 안지름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돌기는, 상기 삽입부재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 중 어느 하나에 걸쳐짐으로써 상기 제2 패드의 이탈을 방지하는 패드형 부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드 및 상기 제2 패드는,
    상기 삽입홀의 지름보다 더 큰 지름을 갖는 원형의 패드로 마련되는 패드형 부싱.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크랙방지홀은,
    상기 슬릿의 타단에 인접한 상기 폴더부의 일부분을 기 설정된 범위만큼 둥글게 도려내어 형성되는 패드형 부싱.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는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패드는,
    상기 볼트의 헤드와 맞닿아 접촉되는 부분에 부착되어, 상기 메인부재와 상기 볼트의 헤드 사이의 접촉면에서 발생하는 마찰저항을 감소시키며,
    상기 제2 패드는,
    상기 볼트와 결합되는 너트와 맞닿아 접촉되는 부분에 부착되어, 상기 메인부재와 상기 너트 사이의 접촉면에서 발생하는 마찰저항을 감소시키는 패드형 부싱.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1 패드 및 상기 제2 패드가 상기 메인부재에 각각 부착되었을 때, 기 설정된 부분이 접힐 수 있도록 길이방향에 따른 너비가 상기 기 설정된 부분에서 감소하게끔 형성된 하나 이상의 벤딩포인트를 포함하는 패드형 부싱.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포인트는,
    상기 제1 패드에 가까운 부분에 형성되는 제1 벤딩포인트; 및
    상기 제2 패드에 가까운 부분에 형성되는 제2 벤딩포인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벤딩포인트와 상기 제2 벤딩포인트 사이의 간격은 상기 삽입홀이 형성된 상기 메인부재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패드형 부싱.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드 및 상기 제2 패드는,
    상기 메인부재의 일면 및 타면과 맞닿아 부착되는 각각의 부착면에 접착성 물질이 미리 도포되어 있는 스티커 형태로 마련되는 패드형 부싱.
KR1020170044774A 2017-04-06 2017-04-06 패드형 부싱 KR101913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774A KR101913151B1 (ko) 2017-04-06 2017-04-06 패드형 부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774A KR101913151B1 (ko) 2017-04-06 2017-04-06 패드형 부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351A KR20180113351A (ko) 2018-10-16
KR101913151B1 true KR101913151B1 (ko) 2019-01-14

Family

ID=64132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4774A KR101913151B1 (ko) 2017-04-06 2017-04-06 패드형 부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315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376Y1 (ko) * 1999-11-01 2000-03-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크랙 발생 저항성이 우수한 재복사 판재
KR200462702Y1 (ko) * 2011-05-17 2012-09-24 평화정공 주식회사 후드래치용 부쉬
JP2016061310A (ja) * 2014-09-16 2016-04-25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樹脂ワッシャ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376Y1 (ko) * 1999-11-01 2000-03-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크랙 발생 저항성이 우수한 재복사 판재
KR200462702Y1 (ko) * 2011-05-17 2012-09-24 평화정공 주식회사 후드래치용 부쉬
JP2016061310A (ja) * 2014-09-16 2016-04-25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樹脂ワッシャ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351A (ko) 2018-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1657B2 (en) Fastening element and assembly with such a fastening element and a receiving element
US8568073B2 (en) Fastening element for vehicle parts
US10668871B2 (en) Retaining device, in particular for removably connecting vehicle body parts
US9568130B2 (en) Profiled clamp with sealing element
CN1936345A (zh) 轴固定卡子以及使用该卡子的轴固定结构
US10584817B2 (en) Hose clamp with retaining bracket
US20120112016A1 (en) Conduit harness
US10962156B2 (en) Hose clamp
US10794518B2 (en) Profile clamp having sealing element
KR101913151B1 (ko) 패드형 부싱
US20140252724A1 (en) Self-retaining gasket
US20160160929A1 (en) Mechanical coupling device for securing drive components
DE102009006294B4 (de) Schlauchklemme
US4867334A (en) Conduit body assembly cover
KR101913150B1 (ko) 패드형 부싱
US9046178B2 (en) Self-retaining gasket and fastener retainer
JP4479691B2 (ja) フランジ付カラーを含む締結構造体
KR200477672Y1 (ko) 클램프 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클램프 조립체
US20060076199A1 (en) Brake band
US20210190123A1 (en) Hinged retainer assembly
DE102009052516B4 (de) Anschluss für eine Kupplungsausrückeinrichtung einer Motorgetriebeeinheit und Montageverfahren dafür
CN110886906B (zh) 防转动管夹及管夹防转装置
KR930004166B1 (ko) 호스 연결부재 부착 구조
JP2020172954A (ja) 防塵キャップ、防塵キャップ取付構造及び防塵キャップ取付方法
WO2019117916A1 (en) Connecting ring with an axial limiting fea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