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3089B1 - 돼지감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어류 기생충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돼지감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어류 기생충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3089B1
KR101913089B1 KR1020180010589A KR20180010589A KR101913089B1 KR 101913089 B1 KR101913089 B1 KR 101913089B1 KR 1020180010589 A KR1020180010589 A KR 1020180010589A KR 20180010589 A KR20180010589 A KR 20180010589A KR 101913089 B1 KR101913089 B1 KR 101913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extract
potato
prevent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훈
최원식
정태성
손세진
김태규
Original Assignee
전진바이오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진바이오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진바이오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0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30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3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3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12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daisy, pyrethrum, artichoke, lettuce, sunflower, wormwood or tarrag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8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aquatic animals, e.g. fish, crustaceans or mollus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3/00Antiparasitic agents
    • A61P33/10Anthelmin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Y10S514/919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ird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돼지감자(Jerusalem artichoke)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어류의 기생충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어류의 기생충인 바다이(sea lice)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어류에 직접 또는 양식장에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류의 기생충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돼지감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어류 기생충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PARASITIZATION IN FISHES COMPRISING JERUSALEM ARTICHOKE EXTRACT}
본 발명은 돼지감자(Jerusalem artichok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어류의 기생충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돼지감자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어류의 기생충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어류에 직접 또는 양식장에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류의 기생충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계적으로 어류 양식업은 수산자원의 고갈에 대한 대안으로 식품으로 선호하고 상품성이 우수한 어종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중 연어는 DHA, EPA 등 우리 몸에 이로운 불포화 지방산이 많이 포함되어 있고 맛도 뛰어나 전 세계적으로 선호하는 어종으로서 세계최대 연어 양식국은 노르웨이이며, 뒤이어 영국, 칠레, 캐나다, 호주 등이 양식을 하고 있다. 연어 양식국의 공통점은 차가운 해수가 흐르는 해역에 위치한다는 점이다. 전세계 연어시장은 연간 약 4.3백만톤, 20조원 규모이며, 가공시장을 포함할 경우 약 60조원에 이른다.
한편 한국에서는 연어과인 송어를 주로 양식하고 있으며, 송어(Cherry salmon)는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의 강과 바다에 서식하는 연어과로서, 크기는 노르웨이 연어의 1미터 보다 작은 60 cm이다. 일본 명칭인 시마연어로도 부른다. 즉, 한국에도 연어과인 송어가 서식하나 연어라는 명칭을 사용하지 않고 송어(cherry salmon, trout)라고 부르는 것이다. 겨울철 송어낚시와 축제가 유명하다. 우리나라는 담수를 기반으로 한 내수면 송어양식이 발전을 이루었고, 2015년은 송어양식 50주년이기도 하였다. 한편, 연어는 태평양 연어와 대서양 연어로 구분할 수 있는데, 우리나라는 태평양연어에 속하는 은연어 양식이 시도되고 있다. 한편, 대서양 연어는 노르웨이 등 북해 피오르드에서 대규모 양식되고 있으며, 태평양 연안에서는 칠레, 캐나다 등에서 양식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아직 시험 연구 중에 있다.
이러한 양식 중 연어양식을 가장 알려져있는 노르웨이의 마린 하베스트사(Marine Harvest)는 연어양식을 1960년대에 성공했으며, 지역 어민이 차린 소기업이 오늘날 세계적 기업으로 성장했다. 현재 세계최대의 연어 양식 회사로서 연간 1억개의 연어알을 부화시키며 약 3조원 가량을 연어 양식으로 번다.
그러나, 현재 양식업의 가장 문제점은 폐사율이며 연간 20%를 상회하고 있고, 그 주요원인으로 수온 상승으로 인한 난치성 질병 발생 및 감염 (바이러스, 세균, 기생충), 약제 치료효과의 저감이 지목되고 있다. 특히 사육 밀집도가 높은 양식장에는 "바다이(sea lice)"가 필수적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바다이가 붙은 연어는 물리적, 화학적 손상에 의해 여러 가지 부작용을 낳는다. '바다이'는 노르웨이뿐 아니라 스코틀랜드, 캐나다 등지에서 양식되고 있는 대서양 연어에 많이 기생하는 외부 기생충이다. 바다 이가 한번 발생하면 폭발적으로 전염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어류에 대한 바다 이(Sea lice)는 외부기생충으로 숙주인 어류의 점액, 표피조직 또는 혈액을 먹고 산다. 바다이(Sea lice)에 존재하는 단백질 성분이 어류의 체외조직에 붙어 숙주로 삼아 기생생활을 하게 되는 것이다.바다이(Sea lice)가 어류에 기생하게 되면 염증, 병원균 등을 증폭시키며, 폐사율이 급증되고 어류의 개체수가 감소되는 심각한 문제를 가지고 있다. 왜냐하면 가두리 양식장 내에 어류가 집약적으로 많이 모여서 양식되고 있기 때문에 노르웨이나 스코틀랜드에서는 30~40%정도 까지 연어가 폐사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과거에는 양식업자들이 연어 양식을 위해 사료에 살충제를 넣어서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으나, 최근에는 이 화학물질에 내성을 가진 바다이가 출현하였다. 현재 마린 하베트스는 어장에 feeder fish라는 자연적으로 연어의 바다이(sea lice)를 먹어치우는 어류를 도입하여 바다 이의 수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살충제와 같은 오래된 관리수단과 유전적 내성 배양법과 같은 신규 전략을 포함한 융합기술로 바다이 퇴치가 가능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으나 아직 그 성과가 성공적이지 않으며, 현재까지‘에마멕틴벤조에이트(emamectin benzoate)’를 함유한 살충제 사용이 가장 효율적인 수단에 불과한 실정이다.
KR 1020010109335 A
본 발명은 인체에 무해한 식품소재인 돼지감자를 이용하여 내성, 독성 및 환경오염을 유발시키지 않고, 친환경적으로 바다 이(Sea lice)를 포함하는 어류 기생충에 의한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돼지감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어류 기생충의 방제, 살충 및 퇴치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돼지감자(Jerusalem artichoke)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어류 기생충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돼지감자 추출물은 돼지감자의 잎, 줄기, 뿌리, 열매 또는 전초이며, 이눌린(Inuline), 베타인(Betaine), 루테인(Lutein), 헬레니엔(Helenien), 헤마글루티닌(hemagglutinin) 및 사포닌(saponin)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돼지감자 추출물은 초음파추출, 열수추출 또는 용매추출에 의해 얻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어류 기생충은 바다 이(sea lice), 시모토아 에시구아(Cymothoa Exigua), 백점충(Ichthyophthirius multifiliis), 비바기나충(Bivagina tai), 아나사키스(Anisakiasis), 디스토마(Distoma), 촌충(Tapeworm), 스쿠치카(Scutica), 베네데니아(Benedenia) 또는 고래회충(Anisakis Simplex)이며, 바람직하게는 물이과(caligidae)에서 레페오프테이루스(Lepeophtheirus) 속, 또는 칼리구스(caligus) 속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바다이(sea lice), 레페오프테이루스 살모니스(Lepeoptheirus salmonis) 또는 칼리구스 로게르세르세이지 (caligus rogercresseyi)이다.
본 발명에서 어류는 본 발명에 따른 기생충 감염 질환이 발병할 수 있는 모든 어류를 제한없이 통칭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연어, 송어, 메기, 농어, 참치, 넙치, 북극 곤들매기, 철갑상어, 평어, 도다리, 서대, 잉어, 틸라피아, 줄농어, 뱀장어, 바다브림, 엘로우테일, 앰버잭, 참바리, 조피볼락, 참돔, 돌돔, 가자미, 고등어, 능성어, 참다랑어, 감성동, 방어, 부시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양식 어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연어과 어류(Salmonidae)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돼지감자(Jerusalem artichoke)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어류 기생충 감염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돼지감자(Jerusalem artichoke)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어류 기생충 방제 또는 살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예로, 본 발명은 돼지감자(Jerusalem artichoke)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어류에 투입하여 어류의 기생충 감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돼지감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바다이(sea lice)가 기피하거나 어류가 섭취시 기생충의 접근을 억제 또는 퇴치하게 유도하므로 어류의 기생충 예방 또는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바다이(sea lice) 기피 실험을 위한 와이튜브 챔버(Y-tube chamber)를 나타낸다.
도 2는 돼지감자 추출물의 바다이 기피효과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3 (a) 및 (b)은 농도의존적으로 바다이(sea lice)의 사멸, 빈사, 생존수를 나타낸다.
돼지감자(Jerusalem artichoke)는 땅감자, 뚱딴지, 양채, 국서, 괴자광, 뚝감자, 국우, 산우두라고도 불리우며, 뿌리에 당뇨병 치료 및 합병증 예방에 탁월한 효과가 있어 천연 인슐린이라 불리는 이눌린을 약 15% 이상 함유하고 있는 국화과 식물의 일종이다.
동물의 사료, 과당의 제조, 에탄올의 원료로 사용되기도 한다. 특히, 당뇨에 좋다고 알려지면서 자연산을 채취하거나 재배해 판매하는 농가가 늘어나고 있고, 건강기능 식품소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돼지감자에는 독성을 가진 성분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돼지감자는 생물로 사용하거나 자연건조, 오븐건조, 열풍건조, 동결건조 등의 건조법을 이용한 건조물 또는 착즙, 분쇄, 절단, 파쇄 등의 방법을 통하여 한 가지 이상의 과정을 거친 돼지감자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추출물"은 상기 돼지감자의 추출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돼지감자 추출물에 있어서, 상기 돼지감자를 추출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열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 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돼지감자을 추출하는 데에 사용되는 추출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등의 C1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등의 다가알코올; 및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물, 저급알코올, 1,3-부틸렌글라이콜, 에틸아세테이트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또는 부탄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돼지감자 추출물을 얻기 위한 방법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돼지감자를 수확 후 실온에서 5 내지 7일 동안 자연건조시키고, 분쇄하여 건조 중량의 약 1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5배에 달하는 부피의 물, 메탄올, 에탄올 및 부탄올 등과 같은 탄소수 1(C1)내지 4(C4)의 저급 알콜의 극성 용매 또는 이들의 약 1:0.1 내지 1:10의 혼합비를 갖는 혼합용매를 용출 용매로써 사용하고, 추출 온도는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실온에서, 추출 기간은 약 12시간 내지 6일, 바람직하게는 5일 동안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분획물"은 여러 다양한 구성 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특정 성분 또는 특정 성분 그룹을 분리하기 위하여 분획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 분획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분획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돼지감자를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에 소정의 용매를 처리하여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획물을 얻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돼지감자 추출물에 포함된 화합물은 이눌린(Inuline), 베타인(Betaine), 루테인(Lutein), 헬레니엔(Helenien), 헤마글루티닌(hemagglutinin) 및 사포닌(saponin) 등이 있으며, 이러한 화합물은 추출물 또는 분획물로부터 통상의 분리 정제과정을 거쳐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어류는 본 발명에 따른 기생충 감염 질환이 발병할 수 있는 모든 어류를 제한없이 통칭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연어, 송어, 메기, 농어, 참치, 넙치, 북극 곤들매기, 철갑상어, 평어, 도다리, 서대, 잉어, 틸라피아, 줄농어, 뱀장어, 바다브림, 엘로우테일, 앰버잭, 참바리, 조피볼락, 참돔, 돌돔, 가자미, 고등어, 능성어, 참다랑어, 감성동, 방어, 부시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양식 어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으로 연어를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발명의 기생충(Parasite)은 다른 생물체(어류, 갑각류, 동물, 식물 등)의 외부 및 몸속에서 기생생활을 하면서 사는 무척추동물을 총칭한다. 상세하게는 바다 이(sea lice), 시모토아 에시구아(Cymothoa Exigua), 백점충(Ichthyophthirius multifiliis), 비바기나충(Bivagina tai), 아나사키스(Anisakiasis), 디스토마(Distoma), 촌충(Tapeworm), 스쿠치카(Scutica), 베네데니아(Benedenia), 고래회충(Anisakis Simplex) 등이 있으며 이에 국한 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내부기생(원생동물, 환형동물, 선형동물 등) 및 외부기생(편형동물, 절지동물 등)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돼지감자 추출물이 바다이(sea lice)에 대하여 퇴치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므로(도 2 및 도 3), 본 발명의 돼지감자 추출물을 포함한 어류의 기생충 감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에 적합하다는 것을 밝혔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은 상기 조성물에 의해 어류의 기생충 감염 질환을 억제하거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치료"는 상기 조성물에 의해 어류의 기생충 감염 질환에 의한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 조성물"은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를 목적으로 제조된 것을 의미하며,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등의 경구형 제형으로 제형화할 수 있고,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조성물은 어류의 질병 치료라는 목적상 약욕제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제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예컨대 완충제, 보존제, 무통화제, 가용화제, 등장제, 안정화제, 기제, 부형제, 윤활제 등 당업계에 공지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의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수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하며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어류의 건강상태,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방법,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수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돼지감자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어류의 기생충 감염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돼지감자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은 어류의 기생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사료 첨가제로서 포함되어 사료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사료 첨가제는 영양적 또는 특정 목적을 위하여 사료에 미량으로 첨가되는 물질을 총칭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어류의 기생충 감염 질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첨가되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돼지감자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은 상기 사료 첨가제로서 사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사료는 어류에 공급되는 모든 식품을 총칭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는 품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첨가되는 결착제, 유화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효용 증대를 위하여 첨가되는 아미노산제, 비타민제, 효소제, 생균제, 향미제, 비단백태 질소화합물, 규산염제, 완충제, 착색제, 추출제, 올리고당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사료 혼합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어류용 사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배합사료로는 어분, 카제인, 육골분, 새우분말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단백질원 또는 고구마 전분, 감자전분, 밀 전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탄수화물원 또는 채종유, 대두유, 옥수수유, 명태간유, 오징어간유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지질원 등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배합사료와 배합하여 사용하더라도 본 발명에서 나타내는 기생충 감염 질환 예방 또는 개선 효과는 동일하게 발생된다.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돼지감자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어류에 직접 또는 양식장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류의 기생충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상기 돼지감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또는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어류에 직접 또는 양식장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류의 기생충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어류의 기생충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은, 상기 어류에 직접 또는 양식장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어류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전달되는 모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컨데 어류에 직접적으로 주사하거나 급이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도 있으며 약욕시키거나 섭식시키는 등의 수단을 통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효농도의 조성물을 사료에 코팅하여 기생충 감염 질환으로 인한 병변을 가진 어류에 섭식시시키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 때 본조성물의 투여량은 피처리 어류의 중량, 건강상태, 투여시간,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그 범위를 달리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 실시예 1] : 돼지감자 추출물 준비
돼지감자를 물로 완전히 세척하고 자연건조를 5 내지 7일 시킨 후, 절단하였다. 절단된 돼지감자 50 kg에 중량 대비 1.2배의 메탄올을 가하여 5일간 실온에서 추출한 후 여과하였다. 이를 감압 농축하고 동결건조시킨뒤 분말화하여 수득하였다.
[ 실시예 2] : 돼지감자의 sea lice 퇴치(기피)효과
Y-Tube choice camber를 사용하여 sea lice의 이동, 각각의 section에 머무르는 시간을 측정하여 sea lice 퇴치제에 대한 기피효과를 확인하였다.
콘트롤 구간(Control section)에는 바닷물(clean sea water)을 흘려보내고, 물질 구간(compound section)에는 실험하고자 하는 물질을 흘려보낸다. 혼합 구간(Mixed section)은 콘트롤(control)과 물질(compound) 구간이 혼합되어 배수되는 구간이다.
바다이(Sea lice)는 혼합 구간(mixed section)이 시작되는 지점에 위치시키고 이동을 관찰하게 되며 실험 결과에 대한 해석은 시험물질이 흐르는 반대방향으로 즉, 콘트롤 구간(control section) 및 혼합구간(mixed section)으로 sea lice가 얼마나 역행하여 이동하고 머물러 있는지 시간을 분석하여 sea lice 퇴치효과를 확인하였다. (도 1 참조)
상기 실험방법에 따라 콘트롤 구간에서는 바닷물을 흘려주고 물질(compound) 구간에는 본 발명의 물질을 흘려 바다이(sea lice)의 이동을 관찰한 결과는 도 2에서 나타난 바와 같다.
도 2에서 Con.1은 대조구로 바닷물을 처리한 것, OH3_A는 돼지감자 1 mg/ml, OH3_B는 돼지감자 0.5 mg/ml를 각각 처리하여 바다이(sea lice) 퇴치(기피)효과를 나타낸 것으로서, Con.1에서는 Y-tube chamber 모든 구간에서 바닷물이 흐르므로 바다이(Sea lice)가 다른 구간으로 이동을 하지 않았으며, 돼지감자 1 mg/ml이 처리된 OH3_A에서 바다이(Sea lice)가 머문 시간(time spent)이 콘트롤 구간에 약 52%, 혼합구간(mixed section)에 약 47%, 물질구간(compound section)에 약 1% 이였으며, 돼지감자 0.5 mg/ml이 처리된 OH3_B에서 바다이(Sea lice)가 머문 시간(time spent)이 콘트롤 구간(control section)에 약 43%, 혼합구간(mixed section)에 약 49%, 물질구간(compound section)에 약 8%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돼지감자가 농도 의존적으로 바다이(sea lice) 기피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 실시예 3] : 돼지감자에 대한 바다이 (sea lice) 생존율
바다이(sea lice)에 기피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된 돼지감자의 바다이(sea lice)에 대한 퇴치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24-well plate를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24-well plate에 바닷물(sea water), Sea lice와 유효물질을 농도별로 넣은 후 incubator에서 정치하였고, 실험에 사용한 모든 용액(solution)은 실험 동안 10℃로 유지하였으며 24 시간동안 incubation 후 sea lice의 상태를 관찰하여 sea lice 퇴치효과를 확인하였다.
도 3(a)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control)의 경우 약 70% 이상의 sea lice가 생존하고 있지만, 돼지감자 추출물의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생존(Alive)하고 있는 개체수가 감소하면서 사멸(Dead)하는 개체수가 증가하였다. 또한 돼지감자 추출물의 농도가 1mg/ml인 경우 sea lice 개체수 50%(LD50)가 사멸(Dead)하는 효과를 보였으며, 0.08mg/ml에서 sea lice 개체수 50%(EC50)가 빈사(Moribund)상태가 되거나 유영이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나 sea lice에 뛰어난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3(b) 참조)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돼지감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이 항-바다이(sea lice) 활성을 가지므로 어류의 기생충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기생충 퇴치, 방제에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2)

  1. 돼지감자(Jerusalem artichoke)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돼지감자 추출물은 초음파추출, 열수추출 또는 용매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이과(caligidae) 어류 기생충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돼지감자 추출물은 돼지감자의 잎, 줄기, 뿌리, 열매 또는 전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돼지감자 추출물은 이눌린(Inuline), 베타인(Betaine), 루테인(Lutein), 헬레니엔(Helenien), 헤마글루티닌(hemagglutinin) 및 사포닌(sapon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류 기생충은 바다 이(sea lic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류 기생충은 레페오프테이루스(Lepeophtheirus) 속 또는 칼리구스(Caligus) 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어류 기생충은 레페오프테이루스 살모니스(Lepeoptheirus salmonis) 또는 칼리구스 로게르세르세이지(caligus rogercressey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류는 연어과 어류(Salmonida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10. 돼지감자(Jerusalem artichoke)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돼지감자 추출물은 초음파추출, 열수추출 또는 용매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이과(caligidae) 어류 기생충 감염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11. 돼지감자(Jerusalem artichoke)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돼지감자 추출물은 초음파추출, 열수추출 또는 용매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이과(caligidae) 어류 기생충 방제 또는 살충용 조성물
  12. 돼지감자(Jerusalem artichoke)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돼지감자 추출물은 초음파추출, 열수추출 또는 용매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을 어류에 투입하여 물이과(caligidae) 어류의 기생충 감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
KR1020180010589A 2018-01-29 2018-01-29 돼지감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어류 기생충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13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589A KR101913089B1 (ko) 2018-01-29 2018-01-29 돼지감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어류 기생충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589A KR101913089B1 (ko) 2018-01-29 2018-01-29 돼지감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어류 기생충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3089B1 true KR101913089B1 (ko) 2018-10-30

Family

ID=64100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589A KR101913089B1 (ko) 2018-01-29 2018-01-29 돼지감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어류 기생충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308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8072A (ja) 2004-07-15 2006-02-02 Nippon Suisan Kaisha Ltd 魚類用抗寄生虫症作用を有する組成物および寄生虫症を予防・治療する方法
WO2008059225A1 (en) * 2006-11-13 2008-05-22 Biotec Pharmacon Asa Treatment of ectoparasitic infest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8072A (ja) 2004-07-15 2006-02-02 Nippon Suisan Kaisha Ltd 魚類用抗寄生虫症作用を有する組成物および寄生虫症を予防・治療する方法
WO2008059225A1 (en) * 2006-11-13 2008-05-22 Biotec Pharmacon Asa Treatment of ectoparasitic infestation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technology Report. 2015. Vol.5, pp.77-88.
천연물질의 약리학적 효능연구. 2010년 국립수산과학원 사업보고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iasecki et al. Importance of Copepoda in freshwater aquaculture
US20220039429A1 (en) Supplemented fish feed
Walker et al. The biology of parasites from the genus Argulus and a review of the interactions with its host
DK2916664T3 (en) MARINE MATERIAL DERIVED FROM EARLY DEVELOPMENT STAGES OF RURS
KR101817817B1 (ko) 어류의 기생충 구제제 및 구제 방법
EP3452027A1 (en) Use of nootkatone to treat sea lice
CA2945249A1 (en) Compound or composition for use in the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an ectoparasitic copepod infestation or infection in fish
Lavens et al. Larval prawn feeds and the dietary importance of Artemia
JP2009060852A (ja) 水産動物資源用飼料およびこれを用いた水産資源動物の飼育方法
Higashi Vitamins in fish-with special reference to edible parts
CA3088618C (en) Compositions for preventing or treating fish parasitic infections, including extracts of sophora flavescens aiton or fractions thereof
KR101913089B1 (ko) 돼지감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어류 기생충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0281568A (ja) 寄生虫症予防治療剤
KR101872435B1 (ko) 고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어류 기생충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A028589B1 (ru) Травяные композиции для борьбы с кровососущими паразитами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WO2019146827A1 (ko) 돼지감자 추출물 및 고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어류 기생충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77845B1 (ko) 돼지감자 추출물 및 고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어류 기생충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146825A1 (ko) 돼지감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어류 기생충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Maran et al. Fish Diet, Health and Control in Aquaculture
KR100608153B1 (ko) 사육방법 및 사료
WO2022270497A1 (ja) 水産動物用飼料
KR101866286B1 (ko) 호장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어류의 기생충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WO2024092098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management of pests in aquaculture systems
WO2024092103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management of pests in farmed fish ecosystems
JP2016013122A (ja) 水生生物用飼料及び養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