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2697B1 - 적층형 터미널이 구비된 전자접촉기 - Google Patents

적층형 터미널이 구비된 전자접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2697B1
KR101912697B1 KR1020170023131A KR20170023131A KR101912697B1 KR 101912697 B1 KR101912697 B1 KR 101912697B1 KR 1020170023131 A KR1020170023131 A KR 1020170023131A KR 20170023131 A KR20170023131 A KR 20170023131A KR 101912697 B1 KR101912697 B1 KR 101912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fixing bolt
unit
contact
electromagnetic cont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3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6420A (ko
Inventor
신의용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3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2697B1/ko
Publication of KR20180096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1Details concerning assembly of re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층형 터미널이 구비된 전자접촉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열량이 감소되고 결합력이 증대된 적층형 터미널이 구비된 전자접촉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터미널이 구비된 전자접촉기는 고정접점, 상기 고정접점에 접촉 또는 분리되는 가동접점, 일단은 상기 고정접점에 연결되고 타단은 부하 또는 전원에 연결되는 터미널을 포함하는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복수 개의 단위 터미널이 적층 구성되고, 상기 고정접점 및 터미널을 관통하는 제1 고정볼트; 및 상기 제1 고정볼트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터미널을 상기 고정접점에 압착 결합시키는 플랜지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적층형 터미널이 구비된 전자접촉기{Electromagnetic Contactor with Laminated Terminal}
본 발명은 적층형 터미널이 구비된 전자접촉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열량이 감소되고 결합력이 증대된 적층형 터미널이 구비된 전자접촉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접촉기(Electromagnetic Contactor)는 전자석의 원리를 이용하여 기계적인 구동과 전류신호를 전달해주는 전기적인 회로 개폐 장치의 일종으로, 각종 산업용 설비, 기계 및 차량 등에 설치된다.
이러한 전자접촉기는 통상 전기회로를 직접 차단하거나 접속함에 따라 회로를 개로 또는 폐로상태로 전환시키는 접점부와, 상기 접점부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접점부 및 액추에이터 등이 설치되는 절연재질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에 장착되어 접점부와 액추에이터가 연동되도록 승강 및 하강운동을 하는 크로스바를 포함한다. 또한, 접점부에는 터미널이 구비되어 전원 및 부하에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
도 1에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접촉기(100)는 상/하부 프레임(120,110)에 의해 전자접촉기의 외형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상부프레임(120)에는 전기회로의 전원 또는 부하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 개의 고정접촉자(124)가 설치되어 있다.
하부프레임(110)의 내부공간에는 전원의 인가에 따라 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113)이 보빈(111)에 감긴채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보빈(111)과 코일(113)의 하부에는 코일(113)의 자력에 의해 자화되는 고정코어(114)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코어(114)의 상부에는 고정코어(114)의 자력에 따라 흡인되거나 해제되면서 승,하강 운동하는 가동코어(116)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보빈(111), 코일(113)과 가동코어(116)의 사이에는 가동코어(116)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귀스프링(119)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동코어(116) 상부에는 이 가동코어(116)와 함께 승,하강 운동하는 크로스바(122)가 설치되어 있고, 이 크로스바(122)에는 상기 고정접촉자(124)에 접촉 또는 분리될 수 있는 가동접촉자(126)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고정접촉자(124) 및 가동접촉자(126)에는 각각 고정접점 및 가동접점이 구비되어 직접적인 접촉이 일어나게 된다.
또한, 고정접촉자(124)의 하부에는 터미널(150)이 설치되어 전원 또는 부하에 연결된다. 여기서, 터미널(150)은 고정접촉자(124)에 결합되는 제1볼트(154) 및 상부 프레임(120)의 지지몰드(125)에 결합되는 제2볼트(15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자접촉기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상기 고정코어(114)와 가동코어(116), 고정접촉자(124)와 가동접촉자(126)가 이격되어 회로가 단로된 상태에서 상기 코일(113)에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113)이 여자됨에 따라 그 하부에 설치된 고정코어(114)가 자화된다.
자화된 고정코어(114)의 자력에 의해 고정코어(114)의 상부에 설치된 가동코어(116)가 복귀스프링(119)을 압축시키며 하강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가동코어(116)에 결합되어 있는 크로스바(122)도 함께 하강하게 된다. 상기 크로스바(122)에 설치된 다수개의 가동접촉자(126)가 고정접촉자(124)와 접속됨으로써 회로는 폐로된 상태가 되어 통전이 일어나게 된다. 즉, 회로는 고정접촉자(124), 가동접촉자(126), 터미널(150), 전원, 부하가 연결되어 전류가 순환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코일(113)의 자력이 소멸되면 고정코어(114)와 가동코어(116) 사이의 자기력이 감소하여 복귀스프링(119)의 복원력에 의해 가동코어(116)가 고정코어(114)로부터 이격되어 회로는 단로된 상태가 된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접촉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접촉기는 전류의 용량에 따라 소용량 전자접촉기 및 대용량 전자접촉기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대용량 전자접촉기의 경우 대용량의 전류가 터미널에 인가되어 전자접촉기를 통해 회로에 공급되는데, 대용량의 전류가 터미널을 흐를 때 열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열에 의해 전자접촉기의 온도가 상승하여 전자접촉기에 성능 저하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성능 저하는 통전 성능의 감소 뿐 아니라 심한 경우에는 접점부의 융착 등에 의한 차단 성능의 불량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발열량이 감소되고 결합력이 증대된 적층형 터미널이 구비된 전자접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터미널이 구비된 전자접촉기는 고정접점, 상기 고정접점에 접촉 또는 분리되는 가동접점, 일단은 상기 고정접점에 연결되고 타단은 부하 또는 전원에 연결되는 터미널을 포함하는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복수 개의 단위 터미널이 적층 구성되고, 상기 고정접점 및 터미널을 관통하는 제1 고정볼트; 및 상기 제1 고정볼트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터미널을 상기 고정접점에 압착 결합시키는 플랜지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단위 터미널 중에서 최하단의 단위 터미널 또는 상기 최하단의 단위 터미널과 상기 최하단의 단위 터미널에 인접한 단위 터미널은 상기 플랜지 너트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프레임의 일부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지지부와 상기 터미널을 관통하는 제2 고정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볼트의 헤드는 상방으로 배치되고, 제2 고정볼트의 헤드는 하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터미널 중에서 최상단의 단위 터미널에는 상기 제1 고정볼트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은 제1 고정볼트의 몸체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터미널 중에서 최상단의 단위 터미널에는 상기 제2 고정볼트가 결합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최상단의 단위 터미널을 제외한 나머지 단위 터미널에는 상기 제2 고정볼트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은 제2 고정볼트의 몸체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최하단의 단위 터미널의 삽입홀에는 상기 플랜지 너트의 플랜지부가 삽입되도록 단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랜지 너트의 상면 또는 상기 플랜지부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최하단의 단위 터미널에 인접한 단위 터미널의 삽입홀은 상기 플랜지 너트의 몸체부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터미널이 구비된 전자접촉기에 의하면 터미널에서 전류가 흐르는 단면적이 증가하므로 대용량의 전류 흐름에 따른 열발생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볼트와 플랜지 너트의 결합에 의해 단위 터미널 간의 결합력이 증대된다. 더불어, 고정볼트가 단위 터미널에 직접 결합되는 부분 뿐 아니라, 플랜지 너트에 의해 간접적으로 결합되므로 풀림이 방지된다.
또한, 제1 단위 터미널에만 나사산이 형성되므로 각 단위 터미널을 탭가공할 필요가 없어 생산공정 및 가공시간이 단축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터미널 부분의 부분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에 적용되는 적층형 터미널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에 적용되는 플랜지 너트의 각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터미널이 구비된 전자접촉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터미널이 구비된 전자접촉기는 고정접점(25), 상기 고정접점(25)에 접촉 또는 분리되는 가동접점(20), 일단은 상기 고정접점(25)에 연결되고 타단은 부하 또는 전원에 연결되는 터미널(30)을 포함하는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30)은 복수 개의 단위 터미널(31,32,33)이 적층 구성되고, 상기 고정접점(25) 및 터미널(30)을 관통하는 제1 고정볼트(17); 및 상기 제1 고정볼트(17)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터미널(30)을 상기 고정접점(25)에 압착 결합시키는 플랜지 너트(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단위 터미널(31,32,33) 중에서 최하단의 단위 터미널(33) 또는 상기 최하단의 단위 터미널(33)과 상기 최하단의 단위 터미널(33)에 인접한 단위 터미널(32)은 상기 플랜지 너트(35)가 삽입되는 삽입홀(32b,33b)이 형성된다.
도 2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에서 터미널 부분의 부분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전자접촉기의 구성은 케이스(미도시),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프레임(10,15), 상기 프레임(10,15) 내에 설치되는 고정접점(25) 및 상기 고정접점(25)에 접촉 또는 분리되는 가동접점(20)을 구비하며, 통상적으로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접점의 개폐 제어가 가능하도록 가동접점(20)을 구동시키는 전기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고정접점(25)은 터미널(30)을 통해 전원 및 부하에 연결되고, 가동접점(20)은 고정접점(25)에 접촉 및 분리되는 스위치 역할을 한다.
프레임(10,15)은 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프레임(10)과 상부프레임(15)으로 나누어져 내부에 고정접점(25), 가동접점(20) 및 전기 엑추에이터를 수용한다.
전기 액추에이터는 제어전원의 연결에 따라 전자기장을 형성하여 자기적 인력이 발생하도록 하는 전자석의 일종으로 고정코어(41) 및 가동코어(42), 보빈(43)과 코일(44), 크로스바(45)를 포함한다.
여기서, 코일(44)과 이를 고정하는 보빈(43)이 결합된 코일 어셈블리는 하부프레임(10)에 삽입 설치된다. 보빈(43)의 일측에는 전원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외부 전원이 연결되며 외부전원이 인가되면 코일(44)에 전류가 흐르고 코일(44) 주변에는 자기장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고정코어(41)는 일종의 전자석이 되고 가동코어(42)를 끌어당기게 된다. 가동코어(42)가 하강운동하면서 가동코어(42)에 결합된 크로스바(45) 및 크로스바(45)에 설치된 가동접점(20)이 함께 움직이게 되고, 가동접점(20)은 고정접점(25)에 접촉되면서 전원과 부하 사이에 폐회로가 형성되어 전류를 전달하게 된다.
고정코어(41)가 하부프레임(10)의 내부 바닥에 결합된다. 고정코어(41)는 코일(44)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자화되어 자기력을 나타내게 된다.
보빈(43)에는 코일(44)이 권회되고, 보빈(43)은 하부프레임(1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된다. 보빈(43)은 고정코어(41)에 끼워지도록 삽입되어 코일(44)에 전류가 흐르면 고정코어(41)에는 자기력이 형성된다.
보빈(43)은 상판과 하판 및 코일수용부(43a)를 포함한다. 코일수용부(43a)는 상판과 하판 사이의 연결부로 상판과 하판의 둘레보다 오목하게 형성된다. 보빈(43)의 일측에는 전원부가 돌출 형성되어 하부프레임(10)의 일부에 결합된다. 전원부에는 제어전원이 연결되어 코일(44)에 전류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보빈(43)의 코일수용부(43a)에 권취된 코일(44)에 전원이 인가되어 고정코어(41)가 자화되면, 자기력에 의해 도체의 가동코어(42)를 흡인하여 하부방향으로 끌어당기며, 동시에 가동코어(42)와 결합된 크로스바(45)가 하강한다. 상기 크로스바(45)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크로스바(45)와 결합된 가동접점(20)이 하강하여 고정접점(25)과 접촉됨에 따라 주회로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상기 보빈(43)의 코일에 인가되던 전원이 제거되면 고정코어(41)의 자성이 제거되므로, 고정코어(41)에 의한 인력이 제거되어 상기 가동코어(42)가 고정코어(41)와 분리되어 주회로에 인가되는 전류가 차단된다. 이때, 상기 가동코어(42)의 하부에 배치된 복귀스프링(46)의 탄성력에 의해 가동코어(42)가 상기 고정코어(41)로부터 분리됨과 동시에 원위치로 복귀된다.
크로스바(45)는 상부프레임(15)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크로스바(45)는 가동코어(42)에 결합되어 가동코어(42)의 운동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가동접점(20)은 크로스바(45)에 설치되어 크로스바(45)와 함께 움직인다. 가동접점(20)은 크로스바(45)의 움직임을 따라 상하운동을 하면서 고정접점(25)에 접촉하거나 분리될 수 있다. 가동접점(20)은 전자접촉기에 제어전원이 연결되면 고정접점(25)으로 이동하여 접촉됨으로써 주회로의 전원이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가동접점(20)과 고정접점(25)은 상의 갯수대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전원이 R,S,T 상의 3상 전원인 경우 가동접점(20)과 고정접점(25)이 각 3개씩 구비된다.
상기 상부프레임(15)의 내부에는 주전원 단자 또는 부하 단자와 연결되는 터미널(30)이 구비되고 상기 터미널(30)의 단부에 고정접점(25)이 연결된다. 상기 고정접점(25)은 터미널(30)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가동접점(20)과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고정 설치된다. 보빈(43)의 코일(44)에 제어전원의 인가 시 발생되는 고정코어(41)의 흡인력에 의해 가동코어(42) 및 크로스바(45)가 하강하며, 크로스바(45)와 일체로 동작하는 가동접점(20)이 하강하여 고정접점(25)에 접촉함으로써 터미널(30)을 통해 주전원 단자로부터 공급된 전류가 주회로에 흐른다.
상기 터미널(30)은 단위 터미널이 복수로 구성되어 적층된 적층형 터미널(30)이다. 상기 복수 개의 단위 터미널(31,32,33)은 제1 고정볼트(17) 및 제2 고정볼트(18)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터미널(30)의 상부는 고정접점(25)에 결합되고, 터미널(30)의 하부는 상부프레임(15)의 일부에 돌출 형성된 고정지지부(16)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고정볼트(17) 및 제2 고정볼트(18)는 상기 터미널(30)을 상기 고정접점(25) 또는 고정지지부(16)에 결합시킬 수 있다.
터미널(30)을 복수 개로 단위 터미널이 적층된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터미널(30)은 외부의 주전원과 연결되어 고정접점(25)과 가동접점(20)이 접촉하는 경우 주회로에 전류를 공급한다. 한편, 주회로에 대용량의 전류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터미널(30)에는 대용량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 상기 터미널(30)이 종래기술과 같이 단일층으로 구성된 경우, 터미널(30)의 단면적이 작기 때문에 대용량의 전류가 흐를 때 부하에 의한 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열 발생은 전자접촉기의 온도 상승을 야기하며, 이러한 온도상승은 전자접촉기의 성능 저하를 나타내게 된다.
본 발명과 같이, 터미널(30)을 복수의 적층형 터미널로서 구성함으로써 전류가 흐르는 표면적이 증가되므로, 전류의 흐름이 원활해지고 대용량의 전류 흐름에 의해 발생하는 열이 분산되어 온도 상승이 감소하고 이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적층형 터미널(30)은 복수의 단위 터미널(31,32,33)로 구성된다. 도면에서는 적층형 터미널(30)이 3개의 단위 터미널로 구성된 예가 도시되었지만, 이외의 복수 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적층형 터미널(30)의 단위 터미널의 개수는 전자접촉기의 통전 용량 및 크기 등에 요인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복수의 단위 터미널(31,32,33)은 고정볼트(17,18)와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서로 밀착 결합된다. 이때, 제1 고정볼트(17)의 헤드는 적층형 터미널(30)의 상부에 배치되어 복수의 단위 터미널(31,32,33)을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결합시키며, 제2 고정볼트(18)의 헤드는 적층형 터미널(30)의 하부에 배치되어 복수의 단위 터미널(31,32,33)을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제1 고정볼트(17)의 헤드와 제2 고정볼트(18)의 헤드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고정볼트(17)는 복수의 단위 터미널(31,32,33)을 서로 결합시킬 뿐만 아니라 복수의 단위 터미널(31,32,33)을 고정접점(25)에 결합시키게 된다.
또한, 제2 고정볼트(18)는 복수의 단위 터미널(31,32,33)을 서로 결합시킬 뿐만 아니라 복수의 단위 터미널(31,32,33)을 고정접점(25) 또는 고정지지부(16)에 결합시키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적층형 터미널(30)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층형 터미널(30)은 복수의 단위 터미널(31,32,33)로 구성된다. 상기 단위 터미널(31,32,33) 각각은 설정된 면적 및 두께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단위 터미널(31,32,33)은 동일한 면적 및 두께로 구성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면적 및 두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최상단에 위치한 단위 터미널을 제1 단위 터미널(31), 중간에 위치한 단위 터미널을 제2 단위 터미널(32), 최하단에 위치한 단위 터미널을 제3 단위 터미널(33)이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단위 터미널(31,32,33) 각각에는 복수의 제1홀(31a,32a,33a), 제2홀(31b,32b,33b) 및 제3홀(31c,32c,33c)이 형성된다. 상기 단위 터미널(31,32,33)이 적층될 때 제1홀(31a,32a,33a), 제2홀(31b,32b,33b), 제3홀(31c,32c,33c)은 각각 서로 정렬되며, 제1홀(31a,32a,33a) 및 제3홀(31c,32c,33c)에 제2 고정볼트(18)가 삽입되고, 제2홀(31b,32b,33b)에 제1 고정볼트(17)가 삽입되어 복수의 단위 터미널(31,32,33)이 결합된 하나의 적층형 터미널(30)로 형성된다.
상기 제2 고정볼트(18)는 복수의 단위 터미널(31,32,33)의 하부방향에서 상부방향으로 삽입되어 복수의 단위 터미널(31,32,33)을 결합하고 제1 고정볼트(17)는 복수의 단위 터미널(31,32,33)의 상부방향에서 하부방향으로 삽입되어 복수의 단위 터미널(31,32,33)을 결합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2개의 고정볼트(17,18)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결합함으로써 서로 반대방향의 결합력이 인가되므로, 복수의 단위 터미널(31,32,33)을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복수의 단위 터미널(31,32,33) 각각에 형성되는 제1홀(31a,32a,33a)과 제3홀(31c,32c,33c)의 직경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고, 각각 제2 고정볼트(18)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위 터미널(31)의 제1홀(31a)과 제3홀(31c)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2 고정볼트(18)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도 3 참조). 반면에, 제2 단위 터미널(32)의 제1홀(32a)과 제3홀(32c) 및 제3 단위 터미널(33)의 제1홀(33a)과 제3홀(33c)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각 홀의 직경은 제2 고정볼트(18)의 몸체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제2 고정볼트(18)는 제1 단위 터미널(31)에만 나사 결합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단위 터미널(31,32,33)을 결합할 때, 제2 고정볼트(18)의 헤드로부터 가장 바깥쪽의 제3 단위 터미널(33)이 제2 고정볼트(18)와 나사결합한다.
각 단위 터미널(31,32,33)의 제1홀(31a,32a,33a)에 결합되는 제2 고정볼트(18)는 고정지지부(16)와 고정접점(25)을 함께 결합시킨다. 즉, 터미널(30)은 제1홀(31a,32a,33a) 부분에서 고정지지부(16)와 고정접점(25) 사이에 샌드위치되어 결합된다.
각 단위 터미널(31,32,33)의 제3홀(31c,32c,33c)에 결합되는 제2 고정볼트(18)는 고정지지부(16)를 함께 결합시킨다. 즉, 터미널(30)은 제3홀(31c,32c,33c) 부분에서 고정지지부(16)와 함께 결합된다.
제2 고정볼트(18)가 제1 단위 터미널(31)에만 나사 결합되므로, 각 단위 터미널(31,32,33) 사이의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는다. 즉, 각 단위 터미널(31,32,33)의 제1홀(31a,32a,33a)에 모두 나사산이 형성될 경우 나사 결합 작업 중 발생하는 전단력에 의해 각 단위 터미널(31,32,33)이 밀려나서 어긋날 가능성이 있는 바, 이러한 어긋남이 방지된다.
제2홀(31b,32b,33b)은 제1홀(31a,32a,33a) 및 제3홀(31c,32c,33c)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2홀(31b,32b,33b)에는 제1 고정볼트(17)가 삽입된다. 이때, 제2홀(31b,32b,33b)은 제1 고정볼트(17)의 몸체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2홀(31b,32b,33b)은 제2 고정볼트(18)가 관통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된다. 즉, 제2홀(31b,32b,33b)은 제2 고정볼트(18)에 직접적으로 결합되지 않는다.
제2 단위 터미널(32)의 제2홀(32b) 및 제3 단위 터미널(33)의 제2홀(33b)은 플랜지 너트(35)가 압입될 수 있는 삽입홀로 형성된다. 제2 단위 터미널(32)의 제2홀(32b)은 플랜지 너트(35)의 몸체부(36)의 직경에 해당하는 크기로 형성되고, 제3 단위 터미널(33)의 제2홀(33b)은 플랜지 너트(35)의 몸체부(36) 및 플랜지부(37)에 해당하는 크기로 단차 형성된다(도 3,5 참조).
도 5 및 도 6에는 플랜지 너트의 각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플랜지 너트(35)는 제1 고정볼트(17)에 결합되어 터미널(30)을 고정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플랜지 너트(35)는 관(pipe)으로 형성되는 몸체부(36)와 상기 몸체부(36)의 일단에 마련되는 플랜지부(37)로 구성된다. 몸체부(36)와 플랜지부(37)를 관통하는 관통홀(38)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 나사산은 제1 고정볼트(17)가 결합될 수 있는 크기 및 규격으로 형성된다.
플랜지 너트(35)의 몸체부(36)의 상면 또는 플랜지부(37a)의 상면에는 복수 개의 돌기(39,39a)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39,39a)에 의해, 터미널(30)에 대한 결합력은 상승한다.
제1 고정볼트(17)와 플랜지 너트(35)에 의해 고정접점(25)과 터미널(30)은 강력하게 결합된다. 터미널(30)은 제1 고정볼트(17)의 헤드와 플랜지 너트(35)의 플랜지부(37)에 의해 고정접점(25)에 압착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때, 돌기(39,39a)는 압착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터미널이 구비된 전자접촉기에 의하면 터미널에서 전류가 흐르는 단면적이 증가하므로 대용량의 전류 흐름에 따른 열발생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볼트와 플랜지 너트의 결합에 의해 단위 터미널 간의 결합력이 증대된다. 더불어, 고정볼트가 단위 터미널에 직접 결합되는 부분 뿐 아니라, 플랜지 너트에 의해 간접적으로 결합되므로 풀림이 방지된다.
또한, 제1 단위 터미널에만 나사산이 형성되므로 각 단위 터미널을 탭가공할 필요가 없어 생산공정 및 가공시간이 단축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실시예들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5 프레임 16 고정지지부
17,18 제1,제2 고정볼트 20 가동접점
25 고정접점 30 터미널
31,32,33 제1,제2,제3 단위 터미널
31a,32a,33a 제1홀 31b,32b,33b 제2홀
31c,32c,33c 제3홀 35 플랜지 너트
36 몸체부 37 플랜지부
38 관통홀 39 돌기
41 고정코어 42 가동코어
43 보빈 43a 코일수용부
44 코일 45 크로스바
46 복귀스프링

Claims (10)

  1. 고정접점, 상기 고정접점에 접촉 또는 분리되는 가동접점, 일단은 상기 고정접점에 연결되고 타단은 부하 또는 전원에 연결되는 터미널을 포함하는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복수 개의 단위 터미널이 적층 구성되고,
    상기 고정접점 및 터미널을 관통하는 제1 고정볼트; 및
    상기 제1 고정볼트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터미널을 상기 고정접점에 압착 결합시키는 플랜지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단위 터미널 중에서 최하단의 단위 터미널 또는 상기 최하단의 단위 터미널과 상기 최하단의 단위 터미널에 인접한 단위 터미널은 상기 플랜지 너트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터미널이 구비된 전자접촉기.
  2. 삭제
  3. 고정접점, 상기 고정접점에 접촉 또는 분리되는 가동접점, 일단은 상기 고정접점에 연결되고 타단은 부하 또는 전원에 연결되는 터미널을 포함하는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복수 개의 단위 터미널이 적층 구성되고,
    상기 고정접점 및 터미널을 관통하는 제1 고정볼트;
    상기 제1 고정볼트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터미널을 상기 고정접점에 압착 결합시키는 플랜지 너트;
    프레임의 일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이 결합되는 고정지지부; 및
    상기 터미널을 관통하는 제2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적층형 터미널이 구비된 전자접촉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볼트의 헤드는 상방으로 배치되고, 제2 고정볼트의 헤드는 하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터미널이 구비된 전자접촉기.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중에서 최상단의 단위 터미널에는 상기 제1 고정볼트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은 제1 고정볼트의 몸체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터미널이 구비된 전자접촉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중에서 최상단의 단위 터미널에는 상기 제2 고정볼트가 결합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터미널이 구비된 전자접촉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최상단의 단위 터미널을 제외한 나머지 단위 터미널에는 상기 제2 고정볼트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은 제2 고정볼트의 몸체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터미널이 구비된 전자접촉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하단의 단위 터미널의 삽입홀에는 상기 플랜지 너트의 플랜지부가 삽입되도록 단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터미널이 구비된 전자접촉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너트의 상면 또는 상기 플랜지부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터미널이 구비된 전자접촉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하단의 단위 터미널에 인접한 단위 터미널의 삽입홀은 상기 플랜지 너트의 몸체부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KR1020170023131A 2017-02-21 2017-02-21 적층형 터미널이 구비된 전자접촉기 KR101912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131A KR101912697B1 (ko) 2017-02-21 2017-02-21 적층형 터미널이 구비된 전자접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131A KR101912697B1 (ko) 2017-02-21 2017-02-21 적층형 터미널이 구비된 전자접촉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420A KR20180096420A (ko) 2018-08-29
KR101912697B1 true KR101912697B1 (ko) 2018-10-29

Family

ID=63434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3131A KR101912697B1 (ko) 2017-02-21 2017-02-21 적층형 터미널이 구비된 전자접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26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6424B1 (ko) * 2020-02-25 2021-10-25 김상진 부스바 지지대
KR102373511B1 (ko) 2020-07-14 2022-03-11 주식회사 윈글라스 항균성 및 항곰팡이성을 갖는 유리 코팅 조성물의 대면적 코팅방법
KR102501441B1 (ko) * 2020-11-17 2023-02-17 송 추안 프레시션 컴퍼니 리미티드 릴레이의 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72852A (ja) 2013-10-04 2015-04-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磁リレ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72852A (ja) 2013-10-04 2015-04-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磁リレ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420A (ko) 2018-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2545B2 (en) Electromagnetic relay
KR101912697B1 (ko) 적층형 터미널이 구비된 전자접촉기
US9299520B2 (en) Electromagnetic relay
US20020036557A1 (en) Electromagnetic relay
EP1191566B1 (en) Electromagnetic relay
KR102159887B1 (ko) 전자기 릴레이
US20190066956A1 (en) Contact device and electromagnetic contactor using contact device
US20220108860A1 (en) Relay
US6873232B2 (en) Miniaturizable electromagnetic relay
JP2019036433A (ja) 電磁継電器
JP2005222946A (ja) 電磁リレー及びリセプタクル
US20220108859A1 (en) Relay
US11791117B2 (en) Electromagnetic relay
US8294540B2 (en) Relay with multiple contacts
JP6195968B2 (ja) 継電器
US20150002247A1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EP3016125B1 (en) Crossbar structure of electromagnetic contactor
KR101503316B1 (ko) 전자접촉기
JP6069127B2 (ja) 電磁継電器モジュール
JP6062734B2 (ja) 継電器
US8334741B2 (en) Switching device
KR20180109546A (ko) 적층형 터미널 및 이를 구비한 전자접촉기
KR101037021B1 (ko) 차량용 배터리 릴레이
US6229417B1 (en) Operator for an electromagnetic switching device
CN113454861B (zh) 极部件及包括该极部件的断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