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2691B1 - 디지털 앨범을 제공하는 영상표시기기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앨범을 제공하는 영상표시기기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2691B1
KR101912691B1 KR1020110124498A KR20110124498A KR101912691B1 KR 101912691 B1 KR101912691 B1 KR 101912691B1 KR 1020110124498 A KR1020110124498 A KR 1020110124498A KR 20110124498 A KR20110124498 A KR 20110124498A KR 101912691 B1 KR101912691 B1 KR 101912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formation
display device
images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4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8476A (ko
Inventor
백의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4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2691B1/ko
Publication of KR20130058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8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디지털 앨범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에 대한 사용정보를 근거로 이미지에 대한 미리 저장된 레이아웃 정보를 변경함으로써 아날로그 앨범을 보는 것과 같은 효과와 함께 직관적이고 편리한 디지털 앨범 기능을 제공하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은, 하나 이상의 페이지를 포함하는 디지털 앨범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페이지 중 특정 페이지가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에 대한 사용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사용정보를 근거로 미리 저장된 레이아웃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페이지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레이아웃 정보를 근거로 상기 특정 페이지가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앨범을 제공하는 영상표시기기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Image display Apparatus for providing digital album and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digital album}
본 명세서는 디지털 앨범을 제공하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디지털 전자앨범은 종이나 비닐 재질로 되어있던 기존의 앨범에 사진을 끼워두던 방식을 대신하여 고객과 관련된 사진, 동영상, 사운드(sound) 등의 데이터를 디지털화해 가공하여 CD나 DVD 또는 인터넷상에서 구현하는 형태로 고객의사진, 동영상, 프로필(profile) 등을 모니터나 TV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보여지는 앨범을 일컫는다.
이러한 디지털 전자앨범은 오늘날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 등 디지털 제품의 기술 발달과 보급이 확대되면서 보다 편리한 사진 감상과 보관시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있었으며, 기존의 종이나 비닐 재질의 앨범에 비하여 자동화, 경량화, 소형화 등에서는 진일보하였다고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디지털 전자앨범 역시 단순한 감상기능과 보관기능에 국한되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는 한계점이 있었고, 첨단 멀티미디어 시대에 살고 있는 소비자들의 기대에 부흥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본 명세서는 디지털 앨범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에 대한 사용정보를 근거로 이미지에 대한 미리 저장된 레이아웃 정보를 변경함으로써 아날로그 앨범을 보는 것과 같은 효과와 함께 직관적이고 편리한 디지털 앨범 기능을 제공하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은, 하나 이상의 페이지를 포함하는 디지털 앨범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페이지 중 특정 페이지가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에 대한 사용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사용정보를 근거로 미리 저장된 레이아웃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페이지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레이아웃 정보를 근거로 상기 특정 페이지가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사용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가 선택된 시간 정보,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가 선택된 횟수 정보,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가 외부로 전송된 횟수 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에 대한 편집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인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레이아웃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의 크기 정보, 모양 정보 및 화면상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의 표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의 색상을 변경하거나,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에 텍스트 정보를 포함시켜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하나 이상의 페이지를 포함하는 디지털 앨범을 제공함에 있어서, 메모리부; 상기 하나 이상의 페이지 중 특정 페이지가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페이지 중 특정 페이지가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에 대한 사용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사용정보를 근거로 미리 저장된 레이아웃 정보를 변경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상기 특정 페이지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레이아웃 정보를 근거로 상기 특정 페이지가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가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은, 영상표시기기의 화면 상에 표시되는 대상 이미지가 디지털 앨범에 포함된 기준 이미지와 유사한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대상 이미지가 상기 기준 이미지와 유사한 경우, 상기 디지털 앨범에 대응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움직이는 제 1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상기 제 1 인디케이터가 상기 대상 이미지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기준 이미지를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기준 이미지의 표시는, 상기 기준 이미지를 썸네일 형태로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사용자 입력을 근거로 상기 대상 이미지가 이동하여 상기 인디케이터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대상 이미지를 상기 디지털 앨범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대상 이미지가 상기 기준 이미지와 유사한 경우, 상기 대상 이미지를 지시하는 제 2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앨범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에 대한 사용정보를 근거로 이미지에 대한 미리 저장된 레이아웃 정보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영상표시기기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에 대한 레이아웃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에 대한 사용정보를 근거로 변경함으로써 아날로그 앨범을 보는 것과 같은 효과와 함께 직관적이고 편리한 디지털 앨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앨범을 제공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앨범을 제공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2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2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3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3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4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4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하나 이상의 이미지(예를 들어, 사진)를 포함하는 디지털 앨범을 제공하는 영상표시기기 및 상기 디지털 앨범을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기술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영상표시 시스템(예를 들어, TV등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 및 시스템의 제어 방법,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휴대장치 및 휴대장치의 제어방법, 그 외 멀티미디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장치 및 장치의 제어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특히, 휴대장치는 이동 중에 손에 들고 입력 조작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소형의 단말 장치로서, 예를 들어, 휴대 전화와 같은 이동 통신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용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단말, MP3(MPEG layer 3) 재생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SP(PlayStation Portable)와 같은 휴대용 게임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그 기술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에 대한 설명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하나 이상의 페이지를 포함하는 디지털 앨범을 제공하기 위하여, 메모리부, 상기 하나 이상의 페이지 중 특정 페이지가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페이지 중 특정 페이지가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에 대한 사용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사용정보를 근거로 미리 저장된 레이아웃 정보를 변경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상기 특정 페이지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레이아웃 정보를 근거로 상기 특정 페이지가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가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가 선택된 시간 정보,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가 선택된 횟수 정보,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가 외부로 전송된 횟수 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에 대한 편집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아웃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의 크기 정보, 모양 정보 및 화면상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의 표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의 색상을 변경하거나,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에 텍스트 정보를 포함시켜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100)는 디지털 앨범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역할을 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표시기기(100)는 화면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20) 및 상기 디지털 앨범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표시기기(100)는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디지털 앨범을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다른 디지털 앨범을 수신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디지털 앨범은 복수의 사용자에게 공유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영상표시기기(100)는 상기 디지털 앨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표시기기(1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을 내부에 포함하여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으나, 상기 영상표시기기(10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에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상기 제어부(110)는 하나 이상의 페이지를 포함하는 디지털 앨범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하나 이상의 페이지 중 특정 페이지가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에 대한 사용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가 선택된 시간 정보,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가 선택된 횟수 정보,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가 외부로 전송된 횟수 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에 대한 편집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사용정보는 다양한 경로로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정보가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가 선택된 횟수정보인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디지털 앨범에 포함된 이미지를 선택하여 보는 횟수를 상기 메모리부(130)에 저장함에 의해 상기 사용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사용자 입력을 통하여 상기 사용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획득된 사용정보를 근거로 미리 저장된 레이아웃(layout)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레이아웃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의 크기 정보, 모양 정보 및 화면상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지털 앨범에 포함된 특정 이미지에 대한 선택 횟수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특정 이미지가 확대되어 표시되도록 상기 레이아웃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디지털 앨범에 포함된 특정 페이지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레이아웃 정보를 근거로 상기 특정 페이지가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특정 이미지에 대한 선택 횟수 증가로 레이아웃 정보가 변경된 경우, 상기 변경된 레이아웃 정보를 근거로 상기 특정 이미지를 확대하여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특정 페이지가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표시함에 있어,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의 색상을 변경하거나,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에 텍스트 정보를 포함시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사용정보를 근거로 하나 이상의 이미지 중 특정 이미지의 색상을 변경하여,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특정 이미지에 대한 사용정보(예를 들어, 이전에 많이 선택한 이미지라는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는 상기 영상표시기기(100)가 디지털 앨범 기능을 제공하도록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화면에 상기 디지털 앨범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앨범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앨범 형식은 아날로그 앨범의 레이아웃(layout)방식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가 배치되는 일정 영역이 상기 화면상에 구분되어 있고, 상기 이미지가 배치되는 경우, 실제 사진이 접착수단(예를 들어, 테이프등)으로 특정 페이지에 접착되는 것 같은 효과가 화면상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에 텍스트 정보를 포함시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텍스트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보는 상기 이미지가 생성된 날짜, 상기 이미지에 대한 설명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30)는 상기 영상표시기기(100)가 디지털 앨범 기능을 제공하도록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상기 메모리부(130)는 상기 디지털 앨범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3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에 대한 사용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가 선택된 시간 정보,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가 선택된 횟수 정보,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가 외부로 전송된 횟수 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에 대한 편집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30)는 상기 제어부(110)가 상기 사용정보를 근거로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에 대한 레이아웃 정보를 변경한 경우, 상기 변경된 레이아웃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대한 설
도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상기 영상표시기기(100)는 상기 디지털 앨범이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페이지 중 특정 페이지가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에 대한 사용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10).
다음으로, 상기 영상표시기기(100)는 상기 획득된 사용정보를 근거로 미리 저장된 레이아웃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S120).
다음으로, 상기 영상표시기기(100)는 상기 특정 페이지가 활성화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30).
다음으로, 상기 영상표시기기(100)는 상기 특정 페이지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레이아웃 정보를 근거로 상기 특정 페이지가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140).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다양한 실시예가 후술된다.
제 1 실시예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1 실시예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포함하고 있는 구성 또는 단계의 일부 또는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실시예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1 실시예의 명확한 표현을 위해 중복되는 부분을 생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페이지를 포함하는 디지털 앨범을 제공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은, 상기 하나 이상의 페이지 중 특정 페이지가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에 대한 사용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사용정보를 근거로 미리 저장된 레이아웃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페이지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레이아웃 정보를 근거로 상기 특정 페이지가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가 선택된 시간 정보,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가 선택된 횟수 정보,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가 외부로 전송된 횟수 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에 대한 편집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레이아웃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의 크기 정보, 모양 정보 및 화면상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의 표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의 색상을 변경하거나,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에 텍스트 정보를 포함시켜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앨범을 제공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a)을 참조하면, 디지털 앨범을 제공하는 영상표시기기(100)는 하나 이상의 페이지 중 특정 페이지가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예를 들어, 사진)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는 미리 저장된 레이아웃 정보를 근거로 상기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레이아웃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의 크기 정보, 모양 정보 및 화면상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는 아날로그 앨범의 레이아웃(layout)방식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이미지가 배치되는 일정 영역이 상기 화면상에 구분되어 있고, 상기 이미지가 상기 구분된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영상표시기기(100)는 실제 사진이 접착수단(예를 들어, 테이프등)으로 특정 페이지에 접착되는 것 같은 효과를 화면상에 표시될 수 있다. 도 3(a)의 경우, 제 1 이미지(140)는 특정 페이지의 왼쪽 상단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은 접착수단에 의해 페이지에 접착된 것 같은 효과를 화면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표시기기(100)는 상기 특정 페이지가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표시함에 있어,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의 색상을 변경하거나,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에 텍스트 정보를 포함시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는 상기 제 1 이미지(140)에 이미지 생성날짜(또는 사진촬영날짜) 또는 상기 제 1 이미지에 대한 내용을 표시하는 텍스트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제 1 이미지(140)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3(a)의 경우처럼, 상기 텍스트 정보는 "우리 아이들 노는 사진"이라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디지털 앨범을 제공함에 있어서, 아날로그 앨범과 같은 효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특정 페이지가 오픈(open)되는 경우, 상기 영상표시기기(100)는 사용자가 실제 아날로그 앨범의 페이지를 넘기는 것과 같은 효과를 화면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앨범을 제공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상기 영상표시기기(100)는 상기 디지털 앨범이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페이지 중 특정 페이지가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에 대한 사용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획득된 사용정보를 근거로 미리 저장된 레이아웃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표시기기(100)는 상기 특정 페이지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레이아웃 정보를 근거로 상기 특정 페이지가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사용자가 대상 이미지(150a)를 선택하여, 상기 대상 이미지(150a)를 사용(또는 작업)하는 경우, 상기 영상표시기기(100)는 상기 대상 이미지(150a)에 대한 사용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정보는 상기 메모리부(130)에 저장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가 선택된 시간 정보,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가 선택된 횟수 정보,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가 외부로 전송된 횟수 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에 대한 편집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사용자가 상기 대상 이미지(150a)를 선택하여 전체 화면으로 확대하여 감상하는 경우, 상기 영상표시기기(100)는 상기 대상 이미지(150a)의 선택 횟수를 사용정보로써 상기 메모리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표시기기(100)는 상기 저장된 대상 이미지(150a)에 대한 선택 횟수가 기결정된 임계 횟수를 넘어가게 되면, 상기 대상 이미지에 대한 레이아웃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는 상기 대상 이미지에 대한 화면 표시 크기를 확대하여 화면에 표시하도록 상기 화면 표시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는 상기 대상 이미지(150a)를 포함하는 특정 페이지가 다시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레이아웃 정보를 근거로 확대된 변경 이미지(150b)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변형된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는 상기 변경 이미지(150b)를 표시하는 경우, 상기 특정 페이지가 포함하는 다른 하나 이상의 이미지의 크기, 위치등을 변경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는 상기 대상 이미지(150a)에 대한 레이아웃 정보를 변경함과 함께, 상기 다른 하나 이상의 이미지에 대한 레이아웃 정보도 함께 변경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2 실시예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포함하고 있는 구성 또는 단계의 일부 또는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실시예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2 실시예의 명확한 표현을 위해 중복되는 부분을 생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2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은, 영상표시기기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대상 이미지가 디지털 앨범에 포함된 기준 이미지와 유사한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대상 이미지가 상기 기준 이미지와 유사한 경우, 상기 디지털 앨범에 대응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움직이는 제 1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상기 제 1 인디케이터가 상기 대상 이미지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기준 이미지를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2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2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영상표시기기(100)는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대상 이미지가 디지털 앨범에 포함된 기준 이미지와 유사한지 판단할 수 있다(S210).
다음으로, 상기 영상표시기기(100)는 상기 대상 이미지가 상기 기준 이미지와 유사한 경우, 디지털 앨범에 대응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움직이는 제 1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S220).
다음으로, 상기 영상표시기기(100)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상기 제 1 인디케이터가 상기 대상 이미지에 근접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230).
다음으로, 상기 영상표시기기(100)는 상기 제 1 인디케이터가 상기 대상 이미지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기준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S240).
상기 대상이미지가 상기 기준 이미지와 비유사한 경우 또는 상기 대상 제 1 인디케이터가 상기 대상 이미지에 근접하지 않는 경우,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2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은 종료된다.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준 이미지의 표시는, 상기 기준 이미지를 썸네일 형태로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2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는 현재 화면상에서 디지털 앨범에 포함된 기준 이미지(230)와 유사한 대상 이미지(220)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대상 이미지(220)는 다양한 종류의 화면에 존재하는 이미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경우처럼, 웹 페이지가 포함하는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화면에 동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동영상이 포함하는 특정 이미지일 수 있다.
상기 영상표시기기(100)는 상기 대상 이미지(220)가 상기 기준 이미지(230)와 유사한 경우, 상기 디지털 앨범에 대응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움직이는 제 1 인디케이터(210)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표시기기(100)는 상기 제 1 인디케이터가 상기 대상 이미지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기준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표시기기(100)는 상기 기준 이미지(230)를 표시함에 있어서, 상기 기준 이미지(230)를 썸네일 형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는 상기 대상 이미지(220)가 상기 기준 이미지(230)와 유사한 경우, 상기 대상 이미지(220)를 지시하는 제 2 인디케이터(240)를 표시할 수 있다.
변형된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는 상기 디지털 앨범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하여, 이미지의 외부 전송을 나타내는(또는 지시하는) 인디케이터를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변형된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제 1 인디케이터가 상기 이미지의 외부 전송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영상표시기기(100)는 상기 디지털 앨범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상기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 중 선택된 이미지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는 썸네일 형태로 상기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는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SNS(Social Network Service)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3 실시예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포함하고 있는 구성 또는 단계의 일부 또는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실시예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3 실시예의 명확한 표현을 위해 중복되는 부분을 생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3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은, 영상표시기기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대상 이미지가 디지털 앨범에 포함된 기준 이미지와 유사한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대상 이미지가 상기 기준 이미지와 유사한 경우, 상기 디지털 앨범에 대응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움직이는 제 1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상기 제 1 인디케이터가 상기 대상 이미지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기준 이미지를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을 근거로 상기 대상 이미지가 이동하여 상기 인디케이터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대상 이미지를 상기 디지털 앨범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3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3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디지털 앨범을 제공하는 영상표시기기는 사용자 입력을 근거로 상기 대상 이미지가 이동하여 디지털 앨범에 대응되는 인디케이터에 근접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310).
다음으로, 상기 영상표시기기는 상기 대상 이미지가 상기 디지털 앨범에 대응되는 인디케이터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대상 이미지를 디지털 앨범에 포함시킬 수 있다(S320).
또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은, 상기 대상 이미지가 상기 기준 이미지와 유사한 경우, 상기 대상 이미지를 지시하는 제 2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3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는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대상 이미지(220)가 디지털 앨범에 포함된 기준 이미지(미도시)와 유사한지 판단하고, 상기 대상 이미지(220)가 상기 기준 이미지와 유사한 경우, 상기 디지털 앨범에 대응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움직이는 제 1 인디케이터(210)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표시기기(100)는 상기 대상 이미지(220)가 상기 기준 이미지와 유사한 경우, 상기 대상 이미지(220)를 지시하는 제 2 인디케이터(240)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표시기기(100)는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대상 이미지(220)가 상기 제 1 인디케이터(210)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대상 이미지(220)를 디지털 앨범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변형된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의 사용자는 상기 제 2 인디케이터(240)를 이동시켜 상기 제 1 인디테이터(210)에 근접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영상표시기기(100)는 상기 대상 이미지(220)을 상기 디지털 앨범에 포함시킬 수 있다.
제 4 실시예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4 실시예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포함하고 있는 구성 또는 단계의 일부 또는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실시예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4 실시예의 명확한 표현을 위해 중복되는 부분을 생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4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은, 영상표시기기의 잠금 화면상에, 제 3 인디케이터 및 디지털 앨범을 나타내는 제 4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단계 및 사용자 입력을 근거로 상기 화면상에 상기 제 4 인디케이터가 상기 제 3 인디케이터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잠금 화면상의 배경 이미지를 상기 디지털 앨범이 포함하는 이미지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4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4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상기 영상표시기기는 영상표시기기의 잠금 화면상에, 제 3 인디케이터 및 디지털 앨범을 나타내는 제 4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S410).
다음으로, 상기 영상표시기기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화면상에 상기 제 4 인디케이터가 상기 제 3 인디케이터에 근접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420).
다음으로, 상기 영상표시기기는 상기 제 4 인디케이터가 상기 제 3 인디케이터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잠금 화면상의 배경 이미지를 디지털 앨범이 포함하는 이미지로 변경할 수 있다(S430).
도 10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4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 (a)를 참조하면, 영상표시기기(100)는 잠금 화면상에 디지털 앨범에 대응되는 제 4 인디케이터(10)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표시기기(100)는 상기 잠금 화면상에 배경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 3 인디케이터(310)를 상기 잠금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제 4 인디케이터(410)가 상기 제 3 인디케이터(310)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영상표시기기(100)는 상기 잠금 화면상에 배경이미지를 상기 디지털 앨범이 포함하는 이미지로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다.
100: 영상표시기기 110: 제어부
120: 디스플레이부 130: 메모리부

Claims (9)

  1. 영상표시기기의 화면 상에, 디지털 앨범에 포함된 기준 이미지와 유사한 대상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대상 이미지가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화면 상에 포함된 경우, 상기 디지털 앨범에 대응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움직이며, 상기 대상 이미지를 포함하는 화면이 표시됨을 나타내기 위한 제 1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상기 제 1 인디케이터가 상기 대상 이미지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기준 이미지를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상기 대상 이미지가 상기 제1 인디케이터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대상 이미지를 상기 디지털 앨범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 이미지는,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화면 상에 표시되는 이미지들 중, 상기 대상 이미지를 식별하는 기준이 되는 이미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이미지의 표시는,
    상기 기준 이미지를 썸네일 형태로 표시하는 것인 영상표시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이미지가 상기 기준 이미지와 유사한 경우,
    상기 대상 이미지를 지시하는 제 2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앨범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페이지 중 특정 페이지가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에 대한 사용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사용정보를 근거로 미리 저장된 레이아웃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페이지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레이아웃 정보를 근거로 상기 특정 페이지가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가 선택된 시간 정보,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가 선택된 횟수 정보,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가 외부로 전송된 횟수 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에 대한 편집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인 것인 영상표시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아웃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의 크기 정보, 모양 정보 및 화면상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영상표시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의 표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의 색상을 변경하거나,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에 텍스트 정보를 포함시켜 표시하는 것인 영상표시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기기는,
    메모리부;
    상기 디지털 앨범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페이지 중 특정 페이지가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페이지 중 특정 페이지가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에 대한 사용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사용정보를 근거로 미리 저장된 레이아웃 정보를 변경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상기 특정 페이지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레이아웃 정보를 근거로 상기 특정 페이지가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가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인 영상표시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KR1020110124498A 2011-11-25 2011-11-25 디지털 앨범을 제공하는 영상표시기기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KR101912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498A KR101912691B1 (ko) 2011-11-25 2011-11-25 디지털 앨범을 제공하는 영상표시기기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498A KR101912691B1 (ko) 2011-11-25 2011-11-25 디지털 앨범을 제공하는 영상표시기기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8476A KR20130058476A (ko) 2013-06-04
KR101912691B1 true KR101912691B1 (ko) 2018-10-29

Family

ID=48857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4498A KR101912691B1 (ko) 2011-11-25 2011-11-25 디지털 앨범을 제공하는 영상표시기기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26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6732A (ko) * 2021-09-30 2023-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7154A (ja) 2006-07-20 2008-02-07 Seiko Epson Corp 画像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9098902A (ja) 2007-10-16 2009-05-07 Nec Corp 情報選択取得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選択取得方法、および情報選択取得プログラム
JP2010072749A (ja) 2008-09-16 2010-04-02 Olympus Imaging Corp 画像検索装置、デジタルカメラ、画像検索方法および画像検索用プログラム
WO2010105108A2 (en) 2009-03-11 2010-09-16 Sony Corporation Accessing item information for item selected from a displayed imag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7154A (ja) * 2000-06-19 2002-01-11 Nec Eng Ltd 情報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7154A (ja) 2006-07-20 2008-02-07 Seiko Epson Corp 画像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9098902A (ja) 2007-10-16 2009-05-07 Nec Corp 情報選択取得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選択取得方法、および情報選択取得プログラム
JP2010072749A (ja) 2008-09-16 2010-04-02 Olympus Imaging Corp 画像検索装置、デジタルカメラ、画像検索方法および画像検索用プログラム
WO2010105108A2 (en) 2009-03-11 2010-09-16 Sony Corporation Accessing item information for item selected from a displayed im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8476A (ko) 2013-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0098B2 (en) User interface operat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user interface and program product storing program for operating the user interface
CN110020140B (zh) 推荐内容显示方法、装置及系统
KR101885775B1 (ko) 컨텐트 캡쳐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KR101919008B1 (ko)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US8704914B2 (en) Apparatus to automatically tag image and method thereof
CN106575361B (zh) 提供视觉声像的方法和实现该方法的电子设备
US9430500B2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image in electronic device
KR101894395B1 (ko) 캡쳐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US10419520B2 (en) Method of sharing electronic document and devices for the same
EP2631827A1 (en) Method of Sharing Content and Mobile Terminal
AU2014287980B2 (en) Portable device for providing combined UI componen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10716906B (zh) 一种文件查看方法、电子设备及文件查看装置
KR102124191B1 (ko) 메시지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5488145B (zh) 网页内容的显示方法、装置及终端
CN103810471A (zh) 识别文档图像的方法和装置及其拍摄方法
US10939171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automatic grouping and management of content in real-time
WO2016127570A1 (zh) 用于数字媒体内容呈现的方法和装置
US8941767B2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8866953B2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2164235A (zh) 图像处理装置、图像处理方法和程序
TW201608385A (zh) 用於媒體共同作業群組之方法及系統
US10976895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TW201608398A (zh) 用於基於影像搜尋之方法及系統
US20150120469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advertisement data by electronic device
KR101912691B1 (ko) 디지털 앨범을 제공하는 영상표시기기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