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2164B1 -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2164B1
KR101912164B1 KR1020180035510A KR20180035510A KR101912164B1 KR 101912164 B1 KR101912164 B1 KR 101912164B1 KR 1020180035510 A KR1020180035510 A KR 1020180035510A KR 20180035510 A KR20180035510 A KR 20180035510A KR 101912164 B1 KR101912164 B1 KR 101912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anagement unit
user
data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5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차세대아이씨티융합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차세대아이씨티융합센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차세대아이씨티융합센터
Priority to KR1020180035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21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접속 후보 AP 리스트에 있는 Wi-Fi AP에 접속하여 서버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기까지 소요되는 서버 응답 시간을 측정하여 접속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AP 관리부 및 이벤트별로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정보를 기초로 관련도를 산출하여 사용자의 관심이 가장 높은 정보를 우선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시퀀스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 및 방법 {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smart organization diagram }
본 발명은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Wi-Fi AP에 접속하여 서버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기까지 소요되는 서버 응답 시간을 측정하여 접속의 우선순위를 정하여 접속함으써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 함과 동시에, 이벤트별로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정보를 기초로 관련도를 산출하여 사용자의 관심이 가장 높은 정보를 우선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조직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조직도는 회사, 단체, 기관 등과 같은 조직의 편성, 인적 구성, 업무 분담 및 지위 계통 등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단순화, 도형화하여 나타낸 표 또는 그림을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조직도는 도 1과 같이 넓은 보드 위에 수작업으로 하나씩 오려 붙이거나 자석 등을 부착하여 고정하는 방식으로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었고, 경우에 따라 투명 아크릴 판을 위에 덧대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조직도는 조직 개편 또는 인사 이동 등과 같은 수정 사항이 발생하는 경우 즉각적인 반영이 어렵고, 한정된 면적에 단편적인 정보만을 제공하여 방문객에게 다양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gital information display, DID)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이나 프로젝터에 이미지, 영상 및 정보 등을 표시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으로 관리되는 플랫폼이다. 과거에는 불특정 다수에 대한 일방적, 획일적 광고가 주를 이루었으나, 최근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거나 빅데이터 등을 이용한 맞춤형 광고뿐만 아니라, 상황인지형, 인터액티브형 콘텐츠 제공 매체로서 디지털 사이니지는 더욱 주목 받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사이니지에 조직도가 결합하여 종래의 조직도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소위 전자 조직도 또는 스마트 조직도가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한정된 디스플레이 위에 단순히 조직도 이미지나 조직에 관한 홍보 영상만을 출력하는데 그치는 경우가 많아 방문객이 원하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통상적으로 디지털 사이니지의 통신 방식은 유선 네트워크에 비해 비용 절감이 가능한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방식을 선호하고 있다. 공공 장소에 설치된 Wi-Fi 네트워크를 이용할 경우 Wi-Fi AP에 접속한 접속자가 많거나 기상 상태가 좋지 않을 경우 데이터 송수신이 불안정하거나 속도가 느려 제대로 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우려가 많다.
따라서, 접속 가능한 Wi-Fi AP 중에서 가장 빠르고 데이터 송수신이 안정적인 AP를 선별하여 접속하면서, 방문객에게 부서 업무의 효율적인 전달과 홍보가 가능하도록 인터랙티브한 쌍방향 소통이 가능한 지능형 스마트 조직도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2016-004127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이벤트별로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정보를 기초로 조직과 관련된 정보에 대한 관련도를 산출하여 관련도가 높은 정보에 대해 사용자에게 우선적으로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날씨별, 요일별, 시간별 및 날짜별로 각 AP의 신호 세기, 접속 이력 및 서버 응답 시간(TS) 중 하나 이상을 기초로 AP마다 접속 제한 시간을 달리 설정하여 다음 순위 AP에 접속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우선순위가 높은 정보를 우선적으로 서버에 요청하고 수신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함으로써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조직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 및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이 요청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사용자에게 조직과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 및 상기 서버와 데이터를 주고 받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조직을 구성하는 각 부서의 인적 정보 및 업무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부서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부서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거나 관리하는 컨텐츠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은, 사용자가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접근하는지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접근하지 않는 경우 대기 모드 신호를 생성하고, 사용자가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접근하는 경우 사용 모드 신호를 생성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센싱부가 대기 모드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기 설정된 영상 또는 이미지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센싱부가 사용 모드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사용자가 정보를 선택하거나 입력할 수 있는 홈(home)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정보의 출력 방식, 출력 순서, 배열 및 위치 중 하나 이상을 관리하는 시퀀스(Sequence)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퀀스 관리부는, 이벤트별로 상기 인터페이스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조직과 관련된 정보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인지를 판별하는 관련도를 산출하여 상기 조직과 관련된 정보의 출력 방식, 출력 순서, 배열 및 위치 중 하나 이상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은, 하나 이상의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에 접속하도록 관리하는 AP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P 관리부는, 접속 가능한 Wi-Fi AP의 정보를 수집하여 접속 후보 AP 리스트를 생성한 후, 상기 접속 후보 AP 리스트에 있는 Wi-Fi AP에 접속하여 서버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기까지 소요되는 서버 응답 시간을 측정하여 접속의 우선순위를 정하여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AP 관리부는, 상기 Wi-Fi AP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접속의 우선순위를 정하여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AP 관리부는, 날짜별, 요일별, 시간별, 날씨별 및 이벤트별 AP 신호 세기, 접속 이력 및 서버 응답 시간 중 하나 이상을 기초로 산정한 추천순위를 반영하여 접속의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다.
상기 AP 관리부는, 상기 접속 후보 AP 리스트의 우선순위에 따라 접속을 수행함에 있어서, 날짜별, 요일별, 시간별, 날씨별 및 이벤트별 AP 신호 세기, 접속 이력 및 서버 응답 시간 중 하나 이상을 기초로 AP마다 접속 제한 시간을 달리 설정하여 다음 순위 AP에 접속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은, 상기 Wi-Fi AP와 연결된 서버와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간 주고 받는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부; 및 상기 데이터 중 실시간 갱신이 필요한 정보인지를 기준으로 상기 데이터의 전송 시간과 순위를 관리하는 데이터 전송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전송 관리부는, 상기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갱신이 필요한 실시간 갱신 정보와 비실시간으로 갱신되는 비실시간 갱신 정보로 구별하여 상기 데이터의 전송 시간과 순위를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직도 구현 방법은,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이 사용자에게 조직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서버가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이 요청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이 사용자에게 조직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인터페이스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사용자에게 조직과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및 통신부가 상기 서버와 데이터를 주고 받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가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이 요청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데이터베이스부가 조직을 구성하는 각 부서의 인적 정보 및 업무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부서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컨텐츠 관리부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부서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거나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이 사용자에게 조직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센싱부가 사용자가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접근하는지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접근하지 않는 경우 대기 모드 신호를 생성하고, 사용자가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접근하는 경우 사용 모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센싱부가 대기 모드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기 설정된 영상 또는 이미지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센싱부가 사용 모드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사용자가 정보를 선택하거나 입력할 수 있는 홈(home)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서버가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이 요청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시퀀스(Sequence) 관리부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정보의 출력 방식, 출력 순서, 배열 및 위치 중 하나 이상을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퀀스 관리부는, 이벤트별로 상기 인터페이스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조직과 관련된 정보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인지를 판별하는 관련도를 산출하여 상기 조직과 관련된 정보의 출력 방식, 출력 순서, 배열 및 위치 중 하나 이상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이 사용자에게 조직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AP 관리부가 하나 이상의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에 접속하도록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P 관리부는, 접속 가능한 Wi-Fi AP의 정보를 수집하여 접속 후보 AP 리스트를 생성한 후, 상기 접속 후보 AP 리스트에 있는 Wi-Fi AP에 접속하여 서버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기까지 소요되는 서버 응답 시간을 측정하여 접속의 우선순위를 정하여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AP 관리부는, 상기 Wi-Fi AP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접속의 우선순위를 정하여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AP 관리부는, 날짜별, 요일별, 시간별, 날씨별 및 이벤트별 AP 신호 세기, 접속 이력 및 서버 응답 시간 중 하나 이상을 기초로 산정한 추천순위를 반영하여 접속의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다.
상기 AP 관리부는, 상기 접속 후보 AP 리스트의 우선순위에 따라 접속을 수행함에 있어서, 날짜별, 요일별, 시간별, 날씨별 및 이벤트별 AP 신호 세기, 접속 이력 및 서버 응답 시간 중 하나 이상을 기초로 AP마다 접속 제한 시간을 달리 설정하여 다음 순위 AP에 접속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직도 구현 방법은, 데이터 관리부가 상기 Wi-Fi AP와 연결된 서버와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간 주고 받는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 및 데이터 전송 관리부가 상기 데이터 중 실시간 갱신이 필요한 정보인지를 기준으로 상기 데이터의 전송 시간과 순위를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전송 관리부는, 상기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갱신이 필요한 실시간 갱신 정보와 비실시간으로 갱신되는 비실시간 갱신 정보로 구별하여 상기 데이터의 전송 시간과 순위를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날짜별, 요일별, 시간별, 날씨별 및 이벤트별로 각 AP의 신호 세기, 접속 이력 및 서버 응답 시간(TS) 중 하나 이상을 기초로 접속 갱신 주기(TAP)를 변경함으로써 접속 가능한 Wi-Fi AP 중에서 가장 빠르고 데이터 송수신이 안정적인 AP를 선별하여 접속하면서, 이벤트별로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정보를 기초로 관련도를 산출하여 사용자의 관심이 가장 높은 정보를 우선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함으로써 방문객에게 부서 업무의 효율적인 전달과 홍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조직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의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의 센싱부가 사용자의 위치를 센싱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의 서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의 서버의 컨텐츠 관리부가 제공하는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의 시퀀스(Sequence) 관리부가 이벤트별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기초로 관련도를 산출하여 인터페이스에 출력되는 정보의 출력 방식을 변경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의 시퀀스(Sequence) 관리부가 홈(home) 화면에 출력하는 정보의 출력 방식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시퀀스 관리부의 출력 방식에 의해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c)는 도 8(a)에 도시된 시퀀스 관리부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기초로 관련도를 산출하여 홈(home) 화면에 출력하는 정보의 출력 방식을 변경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의 시퀀스(Sequence) 관리부가 부서의 인적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방식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시퀀스 관리부의 출력 방식에 의해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의 시퀀스(Sequence) 관리부가 부서의 인적 정보에 대한 세부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방식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시퀀스 관리부의 출력 방식에 의해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의 AP 관리부가 접속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의 AP 관리부가 서버 응답 시간을 기초로 요일별 추천순위, 시간별 추천순위 및 날씨별 추천순위를 반영하여 생성한 접속 우선순위 리스트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관리부가 실시간 갱신이 필요한 정보인지를 기준으로 상기 데이터의 전송 시간과 순위를 관리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관리부가 요청정보를 큐잉(queing)하는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관리부가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하는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관리부가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하고 기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1000)은 사용자에게 조직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 및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이 요청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서버(1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주요 구성을 제외한 공지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의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의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100)은, 인터페이스(100), 센싱부(200), AP 관리부(300), 데이터 관리부(400), 데이터 전송 관리부(500) 및 통신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100)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사용자에게 조직과 관련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00)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등과 같이 전자 또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평판형 패널에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소리, 음향을 전달할 수 있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100)는 사용자가 신체 부위로 디스플레이를 터치하여 정보를 입력하거나 선택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인터페이스(100)는 사용자가 손이 불편한 장애우인 경우에도 음성으로 정보를 입력하거나 선택할 수 있도록 음성 인식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의 센싱부(200)가 사용자의 위치를 센싱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센싱부(200)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센싱부(200)는 사용자가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접근하는지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기 설정된 거리는 사용자가 인터페이스(100)를 손으로 터치하거나 음성을 인식시킬 수 있는 거리로서, 설치 장소, 유동인구수 및 밀집도 등을 고려하여 달리 정해질 수 있다.
센싱부(200)는 사용자가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접근하지 않는 경우 대기 모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접근하는 경우 사용 모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센싱부(200)는 사람 또는 사물과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거리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기 모드 신호 및 사용 모드 신호는 0 또는 1과 같은 디지털 신호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100)는 상기 센싱부(200)가 대기 모드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기 설정된 영상 또는 이미지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영상 또는 이미지는 조직의 홍보 영상 또는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100)는 상기 센싱부(200)가 사용 모드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사용자가 정보를 선택하거나 입력할 수 있는 홈(home)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홈(home) 화면은 명시적 또는 물리적으로 반드시 동일하게 '홈(home) 화면'으로 지칭되는 화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센싱부(200)가 대기 모드 신호를 생성하였을 때 인터페이스(100)에 출력되는 화면과 구별되어 화면 전체가 바뀌는 경우뿐만 아니라, 대기 모드 신호에서 출력되는 영상 또는 이미지 위에 부가적으로 일부 선택 메뉴가 팝업(Pop-Up)되는 경우도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상기 영상 또는 이미지는 후술할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영상 또는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불러온 영상 또는 이미지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데이터 통신량을 줄이거나 반응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100)에 저장된 영상 또는 이미지일 수도 있다.
통신부는, 서버(1200)와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100) 간 데이터를 주고 받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는 Wi-Fi AP와 무선으로부터 연결되어 서버(1200)에 데이터를 요청하고 요청한 데이터를 서버(1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AP 관리부(300), 데이터 관리부 및 데이터 전송 관리부는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100)과 서버(1200) 간 안정적인 데이터 통신을 위한 구성으로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의 서버(12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서버(1200)는 데이터베이스부(1210), 컨텐츠 관리부(1220) 및 시퀀스 관리부(1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서버(1200)는 네트워크(10)을 통해 하나 이상의 AP(20)와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210)는 조직을 구성하는 각 부서의 인적 정보 및 업무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부서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각 부서의 인적 정보는 각 부서에 속하는 부서장 및 부서원의 사진, 업무용 연락처, 근무 중인지 아니면 휴가 또는 출장으로 부재 중인지에 대한 정보 및 담당 업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각 부서의 업무 정보는 부서가 맡고 있는 주된 업무와 부수적인 부대 업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데이터베이스부(1210)는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100)이 제공하는 서비스와 관련된 일체의 영상, 이미지 및 텍스트(text)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의 서버의 컨텐츠 관리부가 제공하는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컨텐츠 관리부(122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컨텐츠 관리부(1220)는 데이터베이스부(1210)에 저장된 부서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거나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화면을 통해 컨텐츠 관리부(1220)는 관리자가 수동으로 관리하는 형태일 수도 있고, 각 부서의 부서원들이 휴가 또는 출장 일정을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제출하면 데이터베이스부(1210)에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시퀀스 관리부는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정보의 출력 방식, 출력 순서, 배열 및 위치 중 하나 이상을 관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퀀스(Sequence)는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정보의 출력 방식, 출력 순서, 배열 및 위치를 통칭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의 시퀀스 관리부가 이벤트별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기초로 관련도를 산출하여 인터페이스(100)에 출력되는 정보의 출력 방식을 변경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의 시퀀스(Sequence) 관리부가 홈(home) 화면에 출력하는 정보의 출력 방식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시퀀스 관리부(1230)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시퀀스 관리부(1230)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100)에 정보를 출력하는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시퀀스 관리부(1230)의 출력 방식에 의해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시퀀스 관리부(1230)는 상단 표시 영역, 배경 영역, 중앙 메뉴 영역, 하단 표시 영역으로 나누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시퀀스 관리부(1230)는 사용자가 홈(home) 화면에서 중앙 메뉴 영역에 청사 안내, 홍보 영상, 부서 안내 등과 같은 선택 메뉴를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화면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초기에는 각 메뉴의 영역(예를 들어, 메뉴 아이콘의 크기, 모양 등)은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들이 디지털 조직도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들이 궁금해하거나 관심을 두는 정보가 이벤트별로 달라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벤트라 함은 조직과 관련된 각종 행사 및 업무 일정 등을 통칭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AP 관리부와 관련하여 AP에 접속하는 접속자 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각종 행사, 집회 뿐만 아니라 돌발적인 사건 또는 사고 등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시청의 경우 매달 열리는 문화 행사, 교육 프로그램등과 같이 모든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행사뿐만 아니라 특별 민원 기간 등 특정 부서에 민원인들이나 많이 방문할 수 있는 업무 일정도 이벤트에 포함될 수 있다.
시퀀스 관리부(1230)는 이벤트별로 상기 인터페이스(100)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조직과 관련된 정보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인지를 판별하는 관련도를 산출하여 상기 조직과 관련된 정보의 출력 방식, 출력 순서, 배열 및 위치 중 하나 이상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린 음악회 등과 같이 특정 민원 목적이 아니라 일반 방문객들이 많이 몰리는 이벤트의 경우, 방문객들은 부서 조직보다는 행사장 위치, 화장실 위치 및 엘리베이터 위치 등 청사 내부 구조가 궁금하여 청사 안내 메뉴를 휠씬 더 많이 클릭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열린 음악회라는 이벤트에 대해서는 부서 조직 정보보다 청사 안내 정보에 대해 관련도를 높게 산출할 수 있다.
홍보 영상 또는 홍보 이미지를 순차 재생하다가 사용자가 접근하여 센싱부(200)가 사용 모드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인터페이스(100)는 홈 화면으로 전환한다. 이벤트별로 인터페이스(100)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정보(사용자가 클릭한 정보 및 다른 정보를 클릭하여 넘어갈 때까지 소요된 시간)를 기초로 하여 특정 이벤트일 때 사용자가 궁금해하거나 관심 있는 정보에 대한 빅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 시퀀스 관리부(1230)는 사용자가 이탈할 때까지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가 무엇인지에 대한 관련도를 산출할 수 있다.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벤트별로 조직과 관련된 정보 중 사용자가 궁금해하거나 관심 있는 정보에 대해 관련도를 높게 산출할 수 있다.
시퀀스 관리부(1230)는 이벤트별로 관련도에 따라 조직과 관련된 정보의 출력 방식, 출력 순서, 배열 및 위치 중 하나 이상을 변경할 수 있다.
도 8(c)는 도 8(a)에 도시된 시퀀스 관리부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기초로 관련도를 산출하여 홈(home) 화면에 출력하는 정보의 출력 방식을 변경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앞선 예에서, 열린 음악회라는 이벤트에 대해서는 부서 조직 정보보다 청사 안내 정보에 대해 관련도가 높게 산출되었으므로 시퀀스 관리부(1230)는 청사 안내 정보 영역을 더 크고 잘 보이도록 확장하고 다른 정보 영역을 축소하는 방식으로 출력 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의 시퀀스 관리부가 부서의 인적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방식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서버(1200)의 데이터베이스부(1210)에 저장된 부서 인적 정보가 출력될 수 있으며, 부서 소개 영상이 추가적을 출력될 수도 있다.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시퀀스 관리부의 출력 방식에 의해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의 시퀀스(Sequence) 관리부가 부서의 인적 정보에 대한 세부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방식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시퀀스 관리부의 출력 방식에 의해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부서원이 근무 중인지 부재중인지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시퀀스 관리부는 특정 민원이 몰리는 업무 일정(예를 들어, 부가가치세 신고기간)에 해당하여 민원인들이 담당 부서원에 대한 정보를 많이 클릭하는 경우 해당 부서원의 정보에 대해 관련도를 높게 산출하여 업무 일정이 마감될 때까지 해당 부서원의 정보 영역을 가장 크고 넓게 조정하거나 자동으로 팝업되도록 출력 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하였던 AP 관리부(300), 데이터 관리부 및 데이터 전송 관리부는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100)과 서버(1200) 간 안정적인 데이터 통신을 위한 구성으로서, 자세한 내용은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P 관리부(300)는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100)이 하나 이상의 Wi-Fi AP에 접속하도록 관리할 수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100)이 설치된 위치에서 접속 가능한 AP가 하나뿐인 경우에는 다른 AP에 대한 선택의 여지가 없으나, 접속 가능한 AP가 2개 이상인 경우 AP 관리부(300)는 데이터 송수신에 가장 유리한 AP를 선택할 수 있다.
AP 관리부(300)는,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가 접속 가능한 AP의 정보를 수집하여 접속 후보 AP 리스트(LAP)를 생성할 수 있다. 접속 가능한 AP의 정보는 주변에 있는 AP의 신호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수집할 수도 있고, 기존에 접속하였거나 수집하였던 AP의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한가지 유의할 점은, 스마트폰과 같이 사용자가 수시로 이동하면서 사용하는 모바일 기기와 달리 디지털 사이니지는 한 장소에 설치되어 이동되지 않고 고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따라서, 주변에 AP의 신규 설치 또는 제거가 없는 한 디지털 사이니지가 접속 가능한 AP들은 변동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AP 관리부(300)는 접속 가능 한 AP명, 요일별, 시간별 및 날짜별 접속 이력 등과 같은 정보를 미리 저장하였다가 활용함으로써, 수시로 주변 AP의 신호를 감지하여 AP의 정보를 수집해야 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의 AP 관리부가 접속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AP 관리부(300)는 접속 갱신 주기(TAP)를 설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301). 이를 위하여 AP 관리부(300)는 시간을 측정할 수 있는 타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 갱신 주기(TAP)는 AP 관리부(300)가 접속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주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접속 갱신 주기(TAP)를 짧게 설정할 경우 AP 접속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주기가 짧아져 자주 업데이트 할 수 있는 반면, 접속 갱신 주기(TAP)를 길게 설정할 경우 AP 접속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주기가 길어질 수 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접속 갱신 주기(TAP)를 짧게 설정할 경우 AP 접속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주기가 짧아져 접속 가능한 AP들의 상태와 접속 환경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통신부(600)에 과도한 부담을 주어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100)을 구동하는데 필요한 소비전력이 높아지거나 과도한 발열현상을 유발하여 디스플레이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황에 따라 접속 갱신 주기(TAP)를 적절히 조절하여 업데이트 주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AP 관리부(300)는 후술할 날짜별, 요일별, 시간별, 날씨별 및 이벤트별 AP 신호 세기, 접속 이력 및 서버 응답 시간(TS) 중 하나 이상을 기초로 접속 갱신 주기(TAP)를 변경하여 업데이트 주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응답 시간의 편차가 큰 특정 요일이나 시간대에는 접속 갱신 주기(TAP)를 짧게 설정하고, 서버 응답 시간의 편차가 작은 요일이나 시간대에는 접속 갱신 주기(TAP)를 길게 설정할 수 있다.
AP 관리부(300)는 접속 갱신 주기(TAP)가 만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302), 접속 갱신 주기(TAP)가 만료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접속 갱신 주기(TAP)가 만료될 때까지 기다린다. 접속 갱신 주기(TAP)가 만료된 경우에는 접속 가능한 Wi-Fi AP 리스트(LAP) 생성한다(303). 이때, 접속 가능한 Wi-Fi AP의 정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변에 있는 AP의 신호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수집할 수도 있고, 기존에 접속하였거나 수집하였던 AP의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후, AP 관리부(300)는 접속 후보 AP 리스트(LAP)에 있는 Wi-Fi AP에 접속하여 수신되는 수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신호의 세기별로 내림차순으로 정렬할 수 있다(304).
여기서 주의할 점은, 본 명세서 전체에서 '정렬'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어떠한 물리적인 측정값이나 수치를 기준으로 사람이 인식할 수 있도록 배열을 변경하는 일체의 과정을 말하며, 실제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의 이동이나 변경과 같은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AP 관리부(300)는, 상기 접속 후보 AP 리스트(LAP)에 있는 AP에 접속하여 서버(1200)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기까지 소요되는 서버 응답 시간(TS)을 측정하여 접속 우선순위 리스트(LSAP)에 기록할 수 있다(305).
AP 관리부(300)는, 서버 응답 시간(TS)이 반영된 접속 우선순위 리스트(LSAP)를 서버 응답 시간(TS)이 짧은 순서대로 오름차순으로 정렬할 수 있다(306).
AP 관리부(300)는, 날짜별, 요일별, 시간별, 날씨별 및 이벤트별 AP 신호 세기, 접속 이력 및 서버 응답 시간 중 하나 이상을 기초로 산정한 추천순위를 반영하여 접속 우선순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추천순위는 각 항목별로 추천순위, 즉 날짜별, 요일별, 시간별, 날씨별 및 이벤트별 추천순위로 세분하여 산정할 수 있다(307). 뿐만 아니라 각 항목들을 종합하여 하나의 추천순위를 산정할 수도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AP 관리부(300)는 접속 가능 한 AP명, 날짜별, 요일별, 시간별, 날씨별 및 이벤트별 AP 신호 세기, 접속 이력 및 서버 응답 시간(TS) 등과 같은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이렇게 미리 저장된 정보는 날짜별, 요일별, 시간별, 날씨별 및 이벤트별 추천순위를 산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의 AP 관리부(300)가 서버 응답 시간을 기초로 요일별 추천순위, 시간별 추천순위 및 날씨별 추천순위를 반영하여 생성한 접속 우선순위 리스트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의 AP 관리부(300)는 서버(1200)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기까지 소요되는 서버 응답 시간(TS)을 측정하여 접속에 활용할 수 있다.
AP의 신호 세기가 강할수록 데이터 송수신 시간이 짧게 소요되는 것이 보통이나, 공공 장소에 설치된 Wi-Fi AP의 경우 해당 AP에 접속한 사용자가 많을수록 AP의 신호 세기와 무관하게 실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AP명이 1층 민원실에 설치된 AP가 신호 세기가 가장 강하지만, 민원인이 몰리는 시간대에는 접속자가 많아 서버 응답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AP 관리부(300)는 날짜별, 요일별, 시간별, 날씨별 및 이벤트별로 AP의 신호 세기, 접속 이력 및 서버 응답 시간 등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각 항목별 추천순위로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공기관의 경우 민원인이 몰리는 특정 요일이나 시간대별 AP 정보를 통계적으로 활용하여 요일별 추천순위나 시간별 추천순위를 산정할 수 있다.
AP 관리부(300)는 AP에 접속하는 접속자 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이벤트(예: 공공기관의 경우 민원인이나 방문객이 급증할 수 있는 부가가치세 신고기간, 열린 음악회 행사 등)에 대한 정보를 활용하여 이벤트 추천순위를 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시청 앞에서 열린 음악회 행사가 예정된 경우 참석자들이 많이 접속할 수 있는 AP들은 추천순위를 낮게 설정하거나, 지금까지 열린 음악회 행사가 열렸을 때의 AP의 신호 세기, 접속 이력 및 서버 응답 시간 등을 종합하여 AP별로 추천순위를 산정할 수 있다.
아울러, 옥외에 설치된 디지털 사이니지의 경우 Wi-Fi 통신방식의 특성상 기온, 습도 및 강수량 등과 같이 기상조건에 따라 통신 환경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AP 관리부(300)는 날씨에 따른 AP 정보를 통계적으로 활용하여 날씨별 추천순위로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습도가 높거나 강수량이 많을 때는 Wi-Fi AP 신호가 건물 벽을 통과하는 효율이 떨어져 서버 응답 시간의 편차가 심하게 발생하는 경우 이를 반영하여 날씨별 추천순위로 활용할 수 있다.
데이터 관리부(400)는 상기 Wi-Fi AP와 연결된 서버(1200)와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간 주고 받는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데이터 관리부(400)는 이를 위해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등과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관리부(500)는 상기 데이터 중 실시간 갱신이 필요한 정보인지를 기준으로 상기 데이터의 전송 시간과 순위를 관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데이터 전송 관리부(500)는 상기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갱신이 필요한 실시간 갱신 정보와 비실시간으로 갱신되는 비실시간 갱신 정보로 구별하여 상기 데이터의 전송 시간과 순위를 관리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관리부가 실시간 갱신이 필요한 정보인지를 기준으로 상기 데이터의 전송 시간과 순위를 관리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스마트 조직도가 홍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서버(1200)와 주고 받는 데이터는 크게 공지사항, 일반 정보, 이미지 정보, 영상 정보 및 컨트롤 메시지로 나뉠 수 있다. 공지사항은 사용자에게 특별히 안내하여 공지하기 위한 정보로서, 그 특성상 실시간 갱신 정보일 수 있다. 일반 정보는 텍스트 정보와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비실시간 갱신 정보일 수 있다. 이미지 정보는 사진 정보와 건물배치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비실시간 갱신 정보일 수 있다. 영상 정보는 스트리밍(streaming) 영상과 VoD(Video On Demand) 영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스트리밍 영상은 실시간 갱신 정보일 수 있고, VoD 영상은 비실시간 갱신 정보일 수 있다. 컨트롤 메시지는 스마트 조직도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실시간 갱신 정보일 수 있다.
데이터 전송 관리부(300) 실시간 갱신 정보와 비실시간 갱신 정보마다 전송 우선순위를 둘 수 있다. 도 5와 같이 실시간 갱신 정보는 우선순위에 따라 R1, R2, …… 으로 우선순위 코드가 부여될 수 있고, 비실시간 갱신 정보는 우선순위에 따라 N1, N2, …… 으로 우선순위 코드가 부여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i-Fi 기반 디지털 사이니지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가 디지털 조직도에 구현될 경우 데이터 송수신 관리부가 요청정보를 큐잉(queing)하는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통 Wi-Fi를 이용한 무선 통신의 경우 유선 네트워크에 비해 속도와 안정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Wi-Fi 기반 디지털 사이니지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에서 디지털 사이니지가 서버(1200)로부터 정보 업데이트가 필요한지를 확인하고, 필요하다면 어떠한 순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것인지가 매우 중요하다. 만약 디지털 사이니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우선적으로 필요한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지 아니하고 우선순위가 떨어지는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다가 AP와의 연결이 끊기는 경우 다시 연결하거나 다른 AP에 연결하기 위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애초에 의도된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제공하지 못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데이터 전송 관리부(500)는 버전 확인 주기(TSC)를 설정 또는 재설정 할 수 있다(501). 타이머가 버전 확인 주기(TSC) 만료 여부를 확인하여 버전 확인 주기(TSC)가 만료된 경우 버전 정보(R1)를 확인한다(503). 데이터 관리부(400)에 저장된 데이터 버전와 서버(1200)에 있는 최신 버전을 비교하여(504) 데이터 관리부(400)에 저장된 데이터 버전이 최신 버전으로 확인되는 경우, 다시 버전 확인 주기(TSC) 후에 다시 버전 확인을 시도할 수 있다(303).
만약 데이터 관리부(400)에 저장된 데이터 버전이 서버(1200)상의 최신 버전과 다른 경우, 우선순위 코드별로 데이터 수정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설정된 데이터의 우선순위에 따라 데이터 갱신 요청 메시지를 큐에 넣을 수 있다(enqueue).
데이터 관리부(400)는 우선적으로 공지사항에 수정이 있는지 판단하여(505) 공지사항에 수정이 있는 경우 공지사항에 대한 실시간 갱신 요청 메시지를 큐에 넣을 수 있다(506). 동영상에 수정이 있는 경우(507) 수정된 데이터가 스트리밍인지 VoD 영상인지 판단하여(508) 스트리밍인 경우 실시간 갱신 요청 메시지를 큐에 넣고(509), VoD 영상인 경우 비실시간 갱신 요청 메시지를 큐에 넣을 수 있다(510). 일반 정보에 수정이 있는 경우(511) 비실시간 갱신 요청 메시지를 큐에 넣을 수 있고(512), 마지막으로 이미지 정보에 수정이 있는 경우(513) 비실시간 갱신 요청 메시지를 큐에 넣을 수 있다(514).
이후, 데이터 관리부(400)는 큐에 대응하는 요청 정보를 서버(1200)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데이터를 갱신하고(515), 다시 버전 확인 주기(TSC)가 만료되면 버전 정보 확인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503).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관리부(400)가 서버(1200)에 데이터를 요청하는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데이터 송수신 관리부는 각 우선순위 코드에 대응하는 큐마다 갱신 요청 메시지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521, 524, 527, 530, 533, 536, 539) 갱신 요청에 대응하는 정보를 수신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523, 526, 529, 532, 535, 538, 541). 이 과정에서 갱신 요청 메시지는 큐에서 제거된다(dequeue)(522, 525, 528, 531, 534, 537, 540).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데이터 전송 관리부는 우선순위가 높은 정보를 우선적으로 서버(1200)에 요청하고 수신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함으로써, 불안정한 Wi-Fi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의 통신 환경에서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관리부가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하고 기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접속 우선순위 리스트(LSAP)에서 가장 우선순위에 있는 AP에 접속하고(311), 접속 제한 시간(TRSP)을 설정 또는 재설정할 수 있다(312). 서버(1200)에 데이터를 요청하면, 접속 제한 시간(TRSP) 내에 서버(12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314), 접속 제한 시간(TRSP) 내에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한 데이터를 데이터 관리부(400)에 기록할 수 있다. 만약, 접속 제한 시간(TRSP) 내에 서버(12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접속 우선순위 리스트(LSAP)상의 후순위 AP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316), 후순위 AP가 있는 경우 후순위 AP에 접속할 수 있다(317).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AP 관리부(300)는 요일별, 시간별 및 날씨별로 AP의 신호 세기, 접속 이력 및 서버 응답 시간 등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각 항목별 추천순위로 활용할 수 있다.
AP 관리부(300)는 접속 후보 AP 리스트의 우선순위에 따라 접속을 수행함에 있어서, 날짜별, 요일별, 시간별, 날씨별 및 이벤트별 AP 신호 세기, 접속 이력 및 서버 응답 시간 중 하나 이상을 기초로 AP마다 접속 제한 시간(TRSP)을 달리 설정하여 다음 순위 AP에 접속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AP에 접속자가 많은 요일과 시간대에는 해당 AP에 접속 제한 시간(TRSP)을 짧게 설정하여 후순위 AP로 신속하게 넘어갈 수 있다. 즉, 수동적인 AP 선택이 아니라 능동적이고 효율적으로 AP 선택이 가능하여 가장 안정적인 데이터 송수신 환경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직도 구현 방법은,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이 사용자에게 조직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서버가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이 요청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이 사용자에게 조직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인터페이스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사용자에게 조직과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및 통신부가 상기 서버와 데이터를 주고 받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가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이 요청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데이터베이스부가 조직을 구성하는 각 부서의 인적 정보 및 업무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부서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컨텐츠 관리부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부서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거나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이 사용자에게 조직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센싱부가 사용자가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접근하는지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접근하지 않는 경우 대기 모드 신호를 생성하고, 사용자가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접근하는 경우 사용 모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센싱부가 대기 모드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기 설정된 영상 또는 이미지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센싱부가 사용 모드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사용자가 정보를 선택하거나 입력할 수 있는 홈(home)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서버가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이 요청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시퀀스(Sequence) 관리부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정보의 출력 방식, 출력 순서, 배열 및 위치 중 하나 이상을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퀀스 관리부는, 이벤트별로 상기 인터페이스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조직과 관련된 정보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인지를 판별하는 관련도를 산출하여 상기 조직과 관련된 정보의 출력 방식, 출력 순서, 배열 및 위치 중 하나 이상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이 사용자에게 조직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AP 관리부가 하나 이상의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에 접속하도록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P 관리부는, 접속 가능한 Wi-Fi AP의 정보를 수집하여 접속 후보 AP 리스트를 생성한 후, 상기 접속 후보 AP 리스트에 있는 Wi-Fi AP에 접속하여 서버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기까지 소요되는 서버 응답 시간을 측정하여 접속의 우선순위를 정하여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AP 관리부는, 상기 Wi-Fi AP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접속의 우선순위를 정하여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AP 관리부는, 날짜별, 요일별, 시간별, 날씨별 및 이벤트별 AP 신호 세기, 접속 이력 및 서버 응답 시간 중 하나 이상을 기초로 산정한 추천순위를 반영하여 접속의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다.
상기 AP 관리부는, 상기 접속 후보 AP 리스트의 우선순위에 따라 접속을 수행함에 있어서, 날짜별, 요일별, 시간별, 날씨별 및 이벤트별 AP 신호 세기, 접속 이력 및 서버 응답 시간 중 하나 이상을 기초로 AP마다 접속 제한 시간을 달리 설정하여 다음 순위 AP에 접속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직도 구현 방법은, 데이터 관리부가 상기 Wi-Fi AP와 연결된 서버와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간 주고 받는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 및 데이터 전송 관리부가 상기 데이터 중 실시간 갱신이 필요한 정보인지를 기준으로 상기 데이터의 전송 시간과 순위를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전송 관리부는, 상기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갱신이 필요한 실시간 갱신 정보와 비실시간으로 갱신되는 비실시간 갱신 정보로 구별하여 상기 데이터의 전송 시간과 순위를 관리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첨부된 도면과 상기한 설명 내용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함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며, 이러한 형태의 변형은, 본 발명의 정신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10 : 네트워크
20 : Wi-Fi AP
10000 :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
100 : 인터페이스
110 : 상단 표시 영역
120 : 배경 영역
130 : 중앙 메뉴 영역
140 : 하단 표시 영역
200 : 센싱부
300 : AP 관리부
400 : 데이터 관리부
500 : 데이터 전송 관리부
600 : 통신부
1100 :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
1200 : 서버
1210 : 데이터베이스부
1220 : 컨텐츠 관리부
1230 : 시퀀스 관리부

Claims (22)

  1. 사용자에게 조직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 및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이 요청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사용자에게 조직과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
    하나 이상의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에 접속하도록 관리하는 AP 관리부; 및
    상기 서버와 데이터를 주고 받는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AP 관리부는,
    접속 가능한 Wi-Fi AP의 정보를 수집하여 접속 후보 AP 리스트를 생성한 후, 상기 접속 후보 AP 리스트에 있는 Wi-Fi AP에 접속하여 서버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기까지 소요되는 서버 응답 시간을 측정하여 접속의 우선순위를 정하여 접속하도록 하고,
    상기 서버는,
    조직을 구성하는 각 부서의 인적 정보 및 업무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부서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부서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거나 관리하는 컨텐츠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은,
    사용자가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접근하는지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접근하지 않는 경우 대기 모드 신호를 생성하고, 사용자가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접근하는 경우 사용 모드 신호를 생성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센싱부가 대기 모드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기 설정된 영상 또는 이미지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센싱부가 사용 모드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사용자가 정보를 선택하거나 입력할 수 있는 홈(home) 화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정보의 출력 방식, 출력 순서, 배열 및 위치 중 하나 이상을 관리하는 시퀀스(Sequence)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 관리부는,
    이벤트별로 상기 인터페이스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조직과 관련된 정보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인지를 판별하는 관련도를 산출하여 상기 조직과 관련된 정보의 출력 방식, 출력 순서, 배열 및 위치 중 하나 이상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P 관리부는,
    상기 Wi-Fi AP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접속의 우선순위를 정하여 접속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P 관리부는,
    날짜별, 요일별, 시간별, 날씨별 및 이벤트별 AP 신호 세기, 접속 이력 및 서버 응답 시간 중 하나 이상을 기초로 산정한 추천순위를 반영하여 접속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P 관리부는,
    상기 접속 후보 AP 리스트의 우선순위에 따라 접속을 수행함에 있어서, 날짜별, 요일별, 시간별, 날씨별 및 이벤트별 AP 신호 세기, 접속 이력 및 서버 응답 시간 중 하나 이상을 기초로 AP마다 접속 제한 시간을 달리 설정하여 다음 순위 AP에 접속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Wi-Fi AP와 연결된 서버와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간 주고 받는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부; 및
    상기 데이터 중 실시간 갱신이 필요한 정보인지를 기준으로 상기 데이터의 전송 시간과 순위를 관리하는 데이터 전송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관리부는,
    상기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갱신이 필요한 실시간 갱신 정보와 비실시간으로 갱신되는 비실시간 갱신 정보로 구별하여 상기 데이터의 전송 시간과 순위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
  12.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이 사용자에게 조직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서버가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이 요청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이 사용자에게 조직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인터페이스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사용자에게 조직과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AP 관리부가 하나 이상의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에 접속하도록 관리하는 단계; 및
    통신부가 상기 서버와 데이터를 주고 받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AP 관리부는,
    접속 가능한 Wi-Fi AP의 정보를 수집하여 접속 후보 AP 리스트를 생성한 후, 상기 접속 후보 AP 리스트에 있는 Wi-Fi AP에 접속하여 서버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기까지 소요되는 서버 응답 시간을 측정하여 접속의 우선순위를 정하여 접속하도록 하고,
    상기 서버가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이 요청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데이터베이스부가 조직을 구성하는 각 부서의 인적 정보 및 업무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부서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컨텐츠 관리부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부서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거나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조직도 구현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이 사용자에게 조직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센싱부가 사용자가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접근하는지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접근하지 않는 경우 대기 모드 신호를 생성하고, 사용자가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접근하는 경우 사용 모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센싱부가 대기 모드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기 설정된 영상 또는 이미지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센싱부가 사용 모드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사용자가 정보를 선택하거나 입력할 수 있는 홈(home) 화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조직도 구현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이 요청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시퀀스(Sequence) 관리부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정보의 출력 방식, 출력 순서, 배열 및 위치 중 하나 이상을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조직도 구현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 관리부는,
    이벤트별로 상기 인터페이스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조직과 관련된 정보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인지를 판별하는 관련도를 산출하여 상기 조직과 관련된 정보의 출력 방식, 출력 순서, 배열 및 위치 중 하나 이상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조직도 구현 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AP 관리부는,
    상기 Wi-Fi AP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접속의 우선순위를 정하여 접속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조직도 구현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AP 관리부는,
    날짜별, 요일별, 시간별, 날씨별 및 이벤트별 AP 신호 세기, 접속 이력 및 서버 응답 시간 중 하나 이상을 기초로 산정한 추천순위를 반영하여 접속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조직도 구현 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AP 관리부는,
    상기 접속 후보 AP 리스트의 우선순위에 따라 접속을 수행함에 있어서, 날짜별, 요일별, 시간별, 날씨별 및 이벤트별 AP 신호 세기, 접속 이력 및 서버 응답 시간 중 하나 이상을 기초로 AP마다 접속 제한 시간을 달리 설정하여 다음 순위 AP에 접속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조직도 구현 방법.
  21. 제12항에 있어서,
    데이터 관리부가 상기 Wi-Fi AP와 연결된 서버와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간 주고 받는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 및
    데이터 전송 관리부가 상기 데이터 중 실시간 갱신이 필요한 정보인지를 기준으로 상기 데이터의 전송 시간과 순위를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조직도 구현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관리부는,
    상기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갱신이 필요한 실시간 갱신 정보와 비실시간으로 갱신되는 비실시간 갱신 정보로 구별하여 상기 데이터의 전송 시간과 순위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조직도 구현 방법.
KR1020180035510A 2018-03-28 2018-03-28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 및 방법 KR101912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510A KR101912164B1 (ko) 2018-03-28 2018-03-28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510A KR101912164B1 (ko) 2018-03-28 2018-03-28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2164B1 true KR101912164B1 (ko) 2018-10-26

Family

ID=64099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5510A KR101912164B1 (ko) 2018-03-28 2018-03-28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216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653B1 (ko) * 2009-11-17 2010-10-13 주식회사 다이나맥스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KR20160041271A (ko) 2014-10-07 2016-04-1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와이파이 리스트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단말
KR20160108103A (ko) * 2015-03-04 201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653B1 (ko) * 2009-11-17 2010-10-13 주식회사 다이나맥스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KR20160041271A (ko) 2014-10-07 2016-04-1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와이파이 리스트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단말
KR20160108103A (ko) * 2015-03-04 201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64159B2 (en) Smart building automation system with digital signage
US7844482B1 (en) Mechanism for collecting feedback from users
US9741191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waypoint images along a route
US20140343995A1 (en) Electronic queuing systems and methods
US20090258656A1 (en) Method for Exchanging Location-Relevant Information Using a Mobile Device with an Interactive Map Display
US10402250B2 (en) Digital signag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80481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inting location-based, customized data
CA2838074C (en) Electronic queuing systems and methods
CN102165470A (zh) 建议在时间表中的时隙期间待办的事项
KR20110028216A (ko) 위치 인식을 통한 동적 이벤트 계획
JP2004289828A (ja) 情報の送信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記憶媒体
US20140280609A1 (en) Targeted Message Communication System with Improved Efficiency and Duplication Avoidance
US20170324684A1 (en) Centralized message system and methods
US20120185782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llection and management of remote observational data for business
AU2017231733B2 (e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connected learning centers
US20150363735A1 (en) Tracking customer interactions for a business
Ata et al. A dynamic model for managing volunteer engagement
KR101912164B1 (ko)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 및 방법
JP6633733B1 (ja) 外勤者業務管理システム
JP5986726B2 (ja) コミュニティページを用いた会員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5257423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06471825B (zh) 一种用于提供基于移动定位的信息服务的方法
US983883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text beacons
JP6637538B2 (ja) 順番管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CN109685624A (zh) 一种智能酒店客房管理调度系统及酒店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