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8103A - 사용자 단말 장치,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들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 장치,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8103A
KR20160108103A KR1020150120831A KR20150120831A KR20160108103A KR 20160108103 A KR20160108103 A KR 20160108103A KR 1020150120831 A KR1020150120831 A KR 1020150120831A KR 20150120831 A KR20150120831 A KR 20150120831A KR 20160108103 A KR20160108103 A KR 20160108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creen
display
digital signage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0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혜인
김동현
황보경녀
윤하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5/061,347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60259539A1/en
Publication of KR20160108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81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사용자 단말 장치가 개시된다. 본 사용자 단말 장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에서 제공될 컨텐츠 편집 및 디스플레이 스케줄 관리를 위한 UI 화면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된 UI 화면 각각에서 입력된 정보를 통합하여 생성된 정보를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좀더 용이하게 디스플레이할 컨텐츠의 편집 및 스케줄 관리를 할 수 있게 되어 편의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 장치,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들 { USE TERMINAL DEVICE, DIGITAL SIGNAGE DEVICE AND CONTROL METHODS THEREOF }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장치,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들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 편집 및 스케줄 관리를 위한 사용자 단말 장치,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들에 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 제품들이 개발 및 보급되고 있으며, 각종 정보 제공 기능이 구비된 전자 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다. 더 나아가, 종래에는 실내에서만 이용되던 전자 제품들이 길거리 및 매장 등에도 설치되어 이용되고 있다.
그 중,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gital information display, DID)를 이용한 옥외광고를 의미하며, 길거리 및 매장 뿐만 아니라 건물 외벽에도 설치되어 광고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다만, 종래에는 매장 단위로 관리되는 B2B 시장을 고려하여, 서버를 매개체로 한 전문업체들에 의해 컨텐츠가 제작되고 관리되어, 일반인이 사용하기에 복잡한 기능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는 스케줄 편집 시 새로운 스케줄을 생성하기 위해 매번 신규로 일정을 등록해야 했다. 특히, 소규모 시장의 경우, 직접 가게 주인이 컨텐츠를 제작하고 재생할 스케줄을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되지 않았다.
또한, 종래에는 방문 고객에 상관없이 항상 동일한 컨텐츠들만이 재생되고, 고객의 성별 또는 연령에 따라 컨텐츠가 최적화되어 있지 않아, 컨텐츠의 홍보효과가 십분 발휘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컨텐츠 편집 및 디스플레이 스케줄 관리를 위한 UI 화면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맞추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들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는, 디스플레이,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에서 제공될 컨텐츠 편집 및 디스플레이 스케줄 관리를 위한 UI 화면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된 상기 UI 화면 각각에서 입력된 정보를 통합하여 생성된 정보를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에서 제공될 컨텐츠와 관련된 매장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제1 UI 화면, 상기 컨텐츠의 편집을 위한 제2 UI 화면 및 상기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스케줄 관리를 위한 제3 UI 화면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UI 화면에서 매장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제2 UI 화면에서 상기 입력된 매장 정보와 관련된 후보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제2 UI 화면에서 제공된 후보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입력된 매장 정보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스케줄 템플릿을 상기 선택된 컨텐츠에 적용하여 생성된 기본 디스플레이 스케줄 관리 화면을 상기 제3 UI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로부터 획득된 고객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2 UI 화면에서 상기 수신된 고객 정보 및 상기 입력된 매장 정보와 관련된 후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UI 화면은,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제1 영역 및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에서 제공되는 화면에 대한 미리보기를 제공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역에서 입력된 정보가 기설정된 레이아웃에 적용된 미리보기 화면을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레이아웃을 자동으로 변경하고, 상기 입력된 정보가 변경된 레이아웃에 적용된 미리보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가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에 대한 기설정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로부터 수신된 디스플레이 스케줄 정보를 편집할 수 있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모델 정보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디스플레이 속성에 대응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는 스토리지,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UI 화면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통합하여 생성된 디스플레이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에 따라 제공된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정보를 상기 스토리지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한,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실시간으로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성별, 인종 및 나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고객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고객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는 각 컨텐츠의 특성에 따른 태그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된 고객 정보에 대응되는 태그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은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에서 제공될 컨텐츠 편집 및 디스플레이 스케줄 관리를 위한 UI 화면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된 상기 UI 화면 각각에서 입력된 정보를 통합하여 생성된 정보를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에서 제공될 컨텐츠와 관련된 매장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제1 UI 화면, 상기 컨텐츠의 편집을 위한 제2 UI 화면 및 상기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스케줄 관리를 위한 제3 UI 화면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UI 화면에서 매장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제2 UI 화면에서 상기 입력된 매장 정보와 관련된 후보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제2 UI 화면에서 제공된 후보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입력된 매장 정보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스케줄 템플릿을 상기 선택된 컨텐츠에 적용하여 생성된 기본 디스플레이 스케줄 관리 화면을 상기 제3 UI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로부터 획득된 고객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2 UI 화면에서 상기 수신된 고객 정보 및 상기 입력된 매장 정보와 관련된 후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UI 화면은,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제1 영역 및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에서 제공되는 화면에 대한 미리보기를 제공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에서 입력된 정보가 기설정된 레이아웃에 적용된 미리보기 화면을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레이아웃을 자동으로 변경하고, 상기 입력된 정보가 변경된 레이아웃에 적용된 미리보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가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에 대한 기설정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로부터 수신된 디스플레이 스케줄 정보를 편집할 수 있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모델 정보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디스플레이 속성에 대응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 단말 장치의 UI 화면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통합하여 생성된 디스플레이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에 따라 제공된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실시간으로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성별, 인종 및 나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고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고객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는 각 컨텐츠의 특성에 따른 태그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고객 정보에 대응되는 태그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와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는 컨텐츠 편집 및 디스플레이 스케줄 관리를 위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UI 화면 각각에서 입력된 정보를 통합하여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되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함에 있어 사용자에게 용이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를 셋팅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장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제1 UI 화면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의 편집을 위한 제2 UI 화면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케줄 관리를 위한 제3 UI 화면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에서 제공될 컨텐츠를 입력받기 위한 UI 화면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의 레이아웃을 변경하기 위한 UI 화면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감지 및 컨텐츠 편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가 고객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장치를 셋팅하는 시스템(1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를 셋팅하는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 및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에서 제공될 컨텐츠 및 디스플레이 스케줄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로부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의 하드웨어 스펙 및 컨텐츠를 제공할 고객 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에서 제공될 컨텐츠 및 디스플레이 스케줄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UI를 단계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먼저, 매장 정보 등을 입력하기 위한 UI를 제공한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매장 정보에 대한 입력이 있으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해당 매장 정보에 대응되는 후보 컨텐츠를 제공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선택을 위한 입력이 있으면 해당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스케줄을 설정하기 위한 UI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UI 화면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된 UI 화면 각각에서 입력된 정보를 통합하여 생성된 정보를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통합하여 생성된 정보에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에서 제공될 컨텐츠, 디스플레이 스케줄 외에도 컨텐츠의 태그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고,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란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gital information display, DID)를 이용한 옥외광고로, 관제센터에서 통신망을 통해 광고 내용을 제어할 수 있는 광고판을 말한다. 즉, 관제센터의 실시간 원격 제어가 가능한 옥외 광고를 의미한다. 다만, 이하에서는 관제센터의 실시간 원격 제어를 이용하는 것보다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를 셋팅하는 시스템(10)을 이용하여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를 셋팅하여 이용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한다. 즉, 대규모 관리 또는 특정 업체를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관리를 받는 시스템이 아닌 개인에 의해 설정되는 시스템인 것으로 설명한다.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디스플레이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는 고객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고객 정보 및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의 하드웨어 스펙 등을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할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정보를 스토리지에 저장할 수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는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는 저장된 정보 중 현재 시간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는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시간대의 변경 또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를 보고 있는 고객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태블릿 PC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데스크탑 PC일 수도 있으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와 통신이 수행 가능한 장치이면 무엇이든 무방하다.
또한, 도 1에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는 길거리의 전광판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건물 외벽에 설치된 복수의 LED일 수도 있으며, 불특정 고객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이면 얼마든지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로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의 초기 셋팅을 위한 UI를 제공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가 특정 업체 등을 이용하지 않고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를 셋팅하여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a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통신부(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
한편, 도 2a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기능, 통신 기능 및 제어 기능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장치인 경우를 예로 들어, 각종 구성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실시 예에 따라서는, 도 2a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일부는 생략 또는 변경될 수도 있고, 다른 구성 요소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의해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에서 제공될 컨텐츠 편집 및 디스플레이 스케줄 관리를 위한 UI 화면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10)는 매장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UI, 디스플레이될 컨텐츠를 입력받기 위한 UI 및 디스플레이 스케줄을 입력받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지털 사이니 장치(200)에 접속하기 위한 ID, 패스워드 등을 입력받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1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스플레이(110)는 경우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통신부(120)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20)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로부터 장치에 대한 특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되는 정보는 장치의 제조사, 모델명 및 장치의 위치 정보 등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정보를 통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되는 정보는 제공될 컨텐츠, 디스플레이 스케줄 등일 수 있다.
한편, 통신부(120)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와 단방향 통신 또는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단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통신부(120)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통신부(120)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고,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로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된 UI 화면 각각에서 입력된 정보를 통합하여 생성된 정보를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30)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에서 제공될 컨텐츠와 관련된 매장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제1 UI 화면, 컨텐츠의 편집을 위한 제2 UI 화면 및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스케줄 관리를 위한 제3 UI 화면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30)는, 제1 UI 화면에서 매장 정보가 입력되면, 제2 UI 화면에서 입력된 매장 정보와 관련된 후보 컨텐츠를 제공하고, 제2 UI 화면에서 제공된 후보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선택되면, 입력된 매장 정보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스케줄 템플릿을 선택된 컨텐츠에 적용하여 생성된 기본 디스플레이 스케줄 관리 화면을 제3 UI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로부터 획득된 고객 정보가 수신되면, 제2 UI 화면에서 수신된 고객 정보 및 입력된 매장 정보와 관련된 후보 컨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제1 UI 화면, 제2 UI 화면 및 제3 UI 화면이 각각 별개의 독립적인 UI 화면인 것으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UI 화면에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다음 UI 화면을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UI 화면은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제1 영역 및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에서 제공되는 화면에 대한 미리보기를 제공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제1 영역에서 입력된 정보가 기설정된 레이아웃에 적용된 미리보기 화면을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레이아웃을 자동으로 변경하고, 입력된 정보가 변경된 레이아웃에 적용된 미리보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가 감지되면, 감지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에 대한 기설정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디스플레이 스케줄 정보를 편집할 수 있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의 모델 정보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의 디스플레이 속성에 대응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델 정보에 따라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의 디스플레이의 해상도가 hd인 경우, 프로세서(130)는 hd의 해상도를 갖는 컨텐츠만을 포함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b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통신부(120), 프로세서(13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 스토리지(150), 오디오 처리부(160), 비디오 처리부(170), 스피커(180), 버튼(181), 카메라(182), 마이크(183)를 포함한다. 도 2b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도 2a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프로세서(130)는 스토리지(1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RAM(131), ROM(132), 메인 CPU(133), 그래픽 처리부(13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 135-n), 버스(136)를 포함한다.
RAM(131), ROM(132), 메인 CPU(133), 그래픽 처리부(13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 135-n) 등은 버스(13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내지 13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메인 CPU(133)는 스토리지(150)에 액세스하여, 스토리지(15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스토리지(1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13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133)는 ROM(13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스토리지(150)에 저장된 O/S를 RAM(13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33)는 스토리지(15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31)에 복사하고, RAM(13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134)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미도시)는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미도시)는 연산부(미도시)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미도시)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11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한편, 상술한 프로세서(130)의 동작은 스토리지(15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스토리지(15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모듈, 각종 UI 화면 정보, 각종 제어 정보, 각종 컨텐츠, 각종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에 대한 모델 정보 등과 같이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스토리지(150)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에 제공될 컨텐츠 및 디스플레이 스케줄을 설정하기 위한 UI 화면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랙션(interaction)을 수신한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터치 기반의 휴대 단말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터치패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상술한 디스플레이(110)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터치 센서(미도시)는 정전식 또는 감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정전식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 표면에 코팅된 유전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디스플레이 표면에 터치되었을 때 사용자의 인체로 여기되는 미세 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의 센서를 의미한다. 감압식 터치 센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내장된 두 개의 전극 판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터치하였을 경우, 터치된 지점의 상하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의 터치 센서를 의미한다. 그 밖에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이 터치 인터렉션을 감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6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처리부(16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비디오 처리부(170)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비디오 처리부(170)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스피커(180)는 오디오 처리부(160)에서 처리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 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 등을 출력하는 구성요소이다.
버튼(181)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본체 외관의 전면부나 측면부, 배면부 등의 임의의 영역에 형성된 기계적 버튼, 터치 패드, 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버튼이 될 수 있다.
카메라(182)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상하기 위한 구성이다. 카메라(182)는 전면 카메라, 후면 카메라와 같이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다. 마이크(183)는 사용자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입력받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기본 구성과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장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제1 UI 화면을 나타낸다.
도 3a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에서 제공될 컨텐츠와 관련된 매장 정보 중 매장 명칭을 입력받기 위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제1 영역 및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에서 제공되는 화면에 대한 미리보기를 제공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제1 영역에 매장 명칭을 입력할 수 있는 영역(310)과 다음 단계로 진행하기 위한 GUI(3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매장 명칭을 입력할 수 있는 영역(310)에 매장 명칭이 입력되면, 제2 영역에 매장 명칭과 함께 미리보기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입력되는 매장 명칭에 대해 실시간으로 미리보기를 제공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매장 명칭이 모두 입력된 후 사용자가 기설정된 버튼을 입력하는 경우에 미리보기를 제공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다음 단계로 진행하기 위한 GUI(320)에 대한 입력이 있으면 다음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제1 영역 및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에서 제공되는 화면에 대한 미리보기를 제공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UI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제1 영역만을 디스플레이하고,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미리보기를 제공하는 제2 영역만을 디스플레이하고, 제2 영역에 직접 매장 명칭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도 3에서는 상술한 두 개의 영역이 구분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3b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에서 제공될 컨텐츠와 관련된 매장 정보 중 영업시간 등을 입력받기 위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요일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330), 영업시간을 지정하기 위한 요일을 나타내는 메뉴(340) 및 영업시간을 지정하기 위한 메뉴(350, 360)를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각각의 메뉴에 대해 사용자의 입력이 있으면, 프로세서(130)는 입력된 내용을 좌측의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다음 단계로 진행하기 위한 GUI(320)에 대한 입력이 있으면 다음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c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에서 제공될 컨텐츠와 관련된 매장 정보의 최종 확인을 위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이전 UI 화면에서 각각 입력된 매장 정보를 정리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매장 명칭 및 요일별 영업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입력된 매장 정보를 수정하거나 새로운 매장에 대한 정보를 추가 입력할 수 있도록 "edit" 및 "add"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edit" 메뉴를 선택하면, 프로세서(130)는 도 3a 또는 도 3b에 도시된 UI 화면에 사용자가 각각의 UI 화면에서 입력했던 정보를 추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add" 메뉴를 선택하면, 프로세서(130)는 도 3a에 도시된 초기화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입력된 매장 정보에 이상이 없는 경우 다음 단계로 진행하기 위한 "SAVE" 버튼(370)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SAVE" 버튼(370)을 클릭하면, 프로세서(130)는 매장 정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컨텐츠의 편집을 위한 제2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프로세서(130)는 제1 UI 화면을 구분하여 단계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매장 명칭 및 영업시간에 대하여 하나의 UI 화면에서 입력받을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제1 UI 화면을 통해 매장 명칭 및 영업시간을 입력받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제1 UI 화면을 통해 매장 명칭 및 영업시간뿐만 아니라 매장 종류 및 위치에 대한 정보를 추가로 입력받을 수도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에 SNS 계정 정보를 연동시킬 수도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최초로 입력된 SNS 계정 정보를 특정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에 저장하고, 이후 해당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의 컨텐츠 등을 편집하기 위해 SNS 계정 정보를 요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의 편집을 위한 제2 UI 화면을 나타낸다.
도 4a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에서 제공될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목적을 입력받기 위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음식 메뉴, 영상, 슬라이드 쇼, 광고 및 정보제공의 디스플레이 목적을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디스플레이 목적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이후에 디스플레이되는 UI 화면을 다르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음식을 선택하면, 프로세서(130)는 음식 이미지와 해당 음식의 가격, 재료 등을 입력받기 위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슬라이드 쇼를 선택하면, 프로세서(130)는 슬라이드 쇼를 위한 복수의 슬라이드를 입력받기 위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도 4a에는 다섯 종류의 디스플레이 목적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더 적은 종류의 디스플레이 목적을 도시할 수도 있고, 상술한 목적뿐만 아니라 뉴스 등의 목적을 추가하여 더 많은 종류의 디스플레이 목적을 도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광고를 선택한 것으로 설명한다.
도 4b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에서 제공될 컨텐츠를 입력받기 위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상술한 제1 UI 화면에서 매장 정보가 입력되면, 제2 UI 화면에서 입력된 매장 정보와 관련된 후보 컨텐츠(410)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의류 매장인 것으로 매장 정보를 입력하면, 프로세서(130)는 후보 컨텐츠(410)로서 의류와 관련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30)는 제1 UI 화면에서 입력된 매장 정보와 무관한 후보 컨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MY CONTENTS" 또는 "CAMERA" 메뉴를 제공하여 후보 컨텐츠(410)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MY CONTENTS"를 선택하면,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MY CONTENTS"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컨텐츠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복사해둔 컨텐츠일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3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SNS 계정을 통해 송수신한 컨텐츠 또는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다른 사용자들이 디스플레이 목적에 따라 선택한 컨텐츠 선택 횟수 등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목적에 따라 많이 선택된 컨텐츠를 후보 컨텐츠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CAMERA"를 선택하면,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카메라(182)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촬영된 이미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의 디스플레이 비율에 따라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 중 길게 디스플레이된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GUI(420)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정사각형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정사각형의 컨텐츠를 선택하여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의 디스플레이와 비율이 다른 경우, 컨텐츠를 늘려서 디스플레이하거나 여백을 어둡게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다음 단계로 진행하기 위한 GUI(4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음 단계로 진행하기 위한 GUI(430)에 대한 입력이 있으면, 프로세서(130)는 선택된 컨텐츠를 기설정된 레이아웃에 따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c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선택된 컨텐츠의 레이아웃 변경을 위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선택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의 최종 확인을 받을 수 있다. 하나의 컨텐츠만이 선택되면, 프로세서(130)는 선택된 하나의 컨텐츠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복수의 컨텐츠가 선택되면,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컨텐츠를 기설정된 레이아웃에 따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레이아웃 변경을 위한 GUI(45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레이아웃 변경을 위한 GUI(450)에 대한 입력이 있으면, 프로세서(130)는 레이아웃을 변경하여 복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선택된 컨텐츠를 편집하기 위한 메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선택된 컨텐츠의 이미지 크롭(crop), 회전, 텍스트 및 스티커 추가, 배경 변경 등의 메뉴를 제공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다음 단계로 진행하기 위한 GUI(430)에 대한 입력이 있으면, 컨텐츠 및 스케줄을 도시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d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컨텐츠 및 스케줄을 편집하기 위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UI 화면의 좌측에 QUICK START 메뉴(480)를 제공할 수 있다. QUICK START 메뉴(480)를 선택하면, 도 3a에 디스플레이된 UI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QUICK START 메뉴(480)를 이용하여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할 컨텐츠를 새롭게 선택하고, 스케줄을 작성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30)는 QUICK START 메뉴(480)의 하단에 CUSTUM DESIGN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CUSTUM DESIGN 메뉴를 선택하면, 프로세서(130)는 아무것도 제공하지 않고 빈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도 3a의 미리보기 영역의 매장 이미지도 제공하지 않을 수 있고, 사용자가 직접 촬영 또는 다운로드 등을 통해 매장 이미지를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UI 화면의 중간 영역에 기존에 만들었던 컨텐츠 레이아웃(46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도 4c까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만들어진 컨텐츠 레이아웃(460) 뿐만 아니라, 그 이전에 만들어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로 전송한 컨텐츠 레이아웃(470)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전에 만들어둔 컨텐츠 레이아웃(470)을 재활용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컨텐츠 레이아웃(460, 470)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해당 컨텐츠 레이아웃을 변경할 수 있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컨텐츠 레이아웃(470)을 선택하면, 프로세서(130)는 도 4a의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30)는 UI 화면에 사용자가 선택한 디스플레이 목적을 다른 디스플레이 목적과 구분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다음 단계로 진행하기 위한 GUI(430)에 대한 입력이 있으면, 프로세서(130)는 컨텐츠를 입력받기 위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선택되었던 컨텐츠를 선택되지 않은 컨텐츠와 구별되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UI 화면의 우측에 디스플레이 스케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이전에 만들어두었던 디스플레이 스케줄(462) 및 매장 정보에 기초하여 임의의 디스플레이 스케줄을 작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기설정된 디스플레이 스케줄(472)을 작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의류 매장의 영업시간이 일반적으로 09:00 ~ 21:00 라고 하면, 프로세서(130)는 09:00 ~ 21:00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스케줄을 작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디스플레이 스케줄에 복수의 컨텐츠 레이아웃이 연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케줄(462)에 복수의 컨텐츠 레이아웃(460, 470)이 연동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스케줄(462)에서 요일별 시간 구간의 색상을 해당 컨텐츠 레이아웃의 하부 색상과 동일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d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스케줄(462)의 대부분의 시간은 컨텐츠 레이아웃의 하부 색상(461)이 동일한 컨텐츠 레이아웃(460)이 디스플레이되고, 목요일과 금요일의 일부 시간은 컨텐츠 레이아웃의 하부 색상(471)이 동일한 컨텐츠 레이아웃(47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30)는 색상이 아닌 번호 등을 이용하여 대응되는 컨텐츠 레이아웃과 디스플레이 스케줄을 표시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스케줄(462, 472)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해당 디스플레이 스케줄을 변경할 수 있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에서 설명한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의 모델 정보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의 디스플레이 속성에 대응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의 디스플레이의 해상도 및 화면 비율을 고려하여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속성에 대응되는 컨텐츠 뿐만 아니라 대응되도록 컨텐츠를 변환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30)는 해당 모델이 이용되는 업종 등을 고려하여 UI 화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의 모델 정보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스토리지(150)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고,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프로세서(130)가 제공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의 모델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편집 및 디스플레이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프로세서(130)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직접 모델 정보를 수신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케줄 관리를 위한 제3 UI 화면을 나타낸다.
프로세서(130)는 제2 UI 화면에서 제공된 후보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선택되면, 입력된 매장 정보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스케줄 템플릿을 선택된 컨텐츠에 적용하여 생성된 기본 디스플레이 스케줄 관리 화면을 제3 UI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30)는 매장 정보를 반영하지 않고 제3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3 UI 화면에는 요일 및 선택된 컨텐츠 레이아웃 리스트만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5a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기설정된 디스플레이 스케줄에 따라 복수의 컨텐츠 레이아웃(510, 520, 53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5a는 매장 정보가 월요일 ~ 금요일 AM 06:00 ~ PM 09:00에 영업한다는 가정하에 복수의 컨텐츠 레이아웃(510, 520, 530)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월요일, 수요일에는 제1 컨텐츠 레이아웃(510)을 디스플레이하고, 화요일, 목요일에는 제2 컨텐츠 레이아웃(520)을 디스플레이하고, 금요일에는 제3 컨텐츠 레이아웃(53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각각의 컨텐츠 레이아웃의 하부(511, 521, 531)의 색상을 대응되는 스케줄의 색상과 동일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케줄의 시간을 변경하기 위한 입력이 있으면, 프로세서(130)는 입력 내용에 따라 시간을 연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으며, 특정 요일에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는 매장의 영업 시간이 아니더라도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컨텐츠 레이아웃을 변경하기 위한 입력이 있으면, 프로세서(130)는 입력 내용에 따라 선택된 컨텐츠 레이아웃의 하부 및 선택된 디스플레이 스케줄 일부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선택된 복수의 컨텐츠가 설정된 레이아웃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레이아웃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가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다음 단계로 진입하기 위한 GUI(54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음 단계로 진행하기 위한 GUI(540)에 대한 입력이 있으면, 프로세서(130)는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된 제1 내지 제3 UI 화면 각각에서 입력된 정보를 통합하여 생성된 정보를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로 전송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전송 진행 중임을 표시하는 GUI(55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전송이 완료되면 GUI의 형태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CANCEL" 메뉴(560)를 제공할 수 있으며, "CANCEL" 메뉴(560)가 선택되면 프로세서(130)는 전송 중인 작업을 중지하고,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에 기 전송된 정보를 지우라는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로 컨텐츠 등을 전송하기 전에 컨텐츠에 태그 정보를 추가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컨텐츠가 여성 의류와 관련된 컨텐츠인 경우에, 프로세서(130)는 해당 컨텐츠의 태그 정보로서 "여성" 및 "의류"를 추가하여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프로세서(130)는 태그 정보로 연령 정보, 인종 정보 등을 추가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도 5b는 복수의 매장이 등록된 경우를 도시하였다. 여러 매장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현재 선택된 매장에 대응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에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된 제1 내지 제3 UI 화면 각각에서 입력된 정보를 통합하여 생성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에서 제공될 컨텐츠를 입력받기 위한 UI 화면을 나타낸다.
도 6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로부터 획득된 고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후술할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 주변의 고객을 감지할 수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는 감지된 정보를 분석하여 고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는 남자 한 명과 여자 두 명을 감지하고, 이러한 고객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2 UI 화면에서 수신된 고객 정보 및 입력된 매장 정보와 관련된 후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자 두 명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여성에 관련된 후보 컨텐츠(610)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매장 정보가 의류 매장인 경우, 프로세서(130)는 여성 및 의류에 관련된 후보 컨텐츠(610)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프로세서(130)는 남성 및 의류에 관련된 후보 컨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으나, 여성 및 의류에 관련된 후보 컨텐츠(610)를 우선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의 레이아웃을 변경하기 위한 UI 화면을 나타낸다.
도 7a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매장 명칭을 입력받기 위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UI 화면은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제1 영역(720) 및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에서 제공되는 화면에 대한 미리보기를 제공하는 제2 영역(71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제1 영역(720)의 매장 명칭을 입력받는 영역(73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매장 명칭을 입력받는 영역(730)에서 입력된 정보가 기설정된 템플릿에 적용된 미리보기 화면을 제2 영역(7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템플릿을 변경하기 위한 "SHUFFLE" 메뉴(750)를 제1 영역(7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의 "SHUFFLE" 메뉴(750) 입력이 있으면, 프로세서(130)는 템플릿을 자동으로 변경하고, 입력된 정보가 변경된 템플릿에 적용된 미리보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에서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소형 건물이 도시된 템플릿으로부터 빌딩이 도시된 템플릿으로 변경할 수 있다.
도 7b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선택된 컨텐츠의 레이아웃 변경을 위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레이아웃을 변경하기 위한 "SHUFFLE" 메뉴(75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의 "SHUFFLE" 메뉴(750) 입력이 있으면, 프로세서(130)는 레이아웃을 자동으로 변경하고, 입력된 정보가 변경된 레이아웃에 적용된 미리보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b에서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컨텐츠의 배열을 변경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의 감지 및 컨텐츠 편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1)를 감지하고, 기설정된 거리보다 멀리 떨어져 있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2)는 감지할 수 없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1)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거리는 통신 규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도 8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하나의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1)를 감지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있는 복수의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를 감지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가 감지되면, 감지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감지된 복수의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각각을 나타내는 복수의 GUI를 포함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감지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에 대한 기설정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로부터 수신된 디스플레이 스케줄 정보를 편집할 수 있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GUI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GUI에 대응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디스플레이 스케줄 정보를 편집할 수 있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프로세서(130)는 선택된 GUI에 대응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선택된 GUI에 대응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기 저장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스케줄 정보를 편집할 수 있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근접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 만을 감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 중 인터넷에 연결된 장치만을 감지하여 제어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에서 제공될 컨텐츠 편집 및 디스플레이 스케줄 관리를 위한 UI 화면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S910). 그리고,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된 UI 화면 각각에서 입력된 정보를 통합하여 생성된 정보를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로 전송한다(S920).
또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910)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에서 제공될 컨텐츠와 관련된 매장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제1 UI 화면, 컨텐츠의 편집을 위한 제2 UI 화면 및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스케줄 관리를 위한 제3 UI 화면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910)는, 제1 UI 화면에서 매장 정보가 입력되면, 제2 UI 화면에서 입력된 매장 정보와 관련된 후보 컨텐츠를 제공하고, 제2 UI 화면에서 제공된 후보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선택되면, 입력된 매장 정보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스케줄 템플릿을 선택된 컨텐츠에 적용하여 생성된 기본 디스플레이 스케줄 관리 화면을 제3 UI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910)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로부터 획득된 고객 정보가 수신되면, 제2 UI 화면에서 수신된 고객 정보 및 입력된 매장 정보와 관련된 후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UI 화면은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제1 영역 및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에서 제공되는 화면에 대한 미리보기를 제공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910)는, 제1 영역에서 입력된 정보가 기설정된 레이아웃에 적용된 미리보기 화면을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명령에 따라 레이아웃을 자동으로 변경하고, 입력된 정보가 변경된 레이아웃에 적용된 미리보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가 감지되면, 감지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에 대한 기설정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로부터 수신된 디스플레이 스케줄 정보를 편집할 수 있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910)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모델 정보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디스플레이 속성에 대응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0에 따르면,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는 스토리지(210), 통신부(220), 디스플레이(230) 및 프로세서(240)를 포함한다.
한편, 도 10은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가 저장 기능, 통신 기능, 디스플레이 기능 및 제어 기능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장치인 경우를 예로 들어, 각종 구성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실시 예에 따라서는, 도 10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일부는 생략 또는 변경될 수도 있고, 다른 구성요소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스토리지(210)는 프로세서(240)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스토리지(210)는 디스플레이할 컨텐츠를 제공한다.
통신부(2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정보가 통합되어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되는 정보는 디스플레이될 컨텐츠, 디스플레이 스케줄 등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2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의 제조사, 모델명 및 장치의 위치 정보 등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2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단방향 통신 또는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단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통신부(2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통신부(2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230)는 프로세서(240)의 제어에 의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되어 스토리지(210)에 저장된 컨텐츠, 스케줄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23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스플레이(230)는 경우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프로세서(24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UI 화면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통합하여 생성된 디스플레이 정보 및 디스플레이 정보에 따라 제공된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면, 수신된 정보를 스토리지(210)에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230)를 통해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프로세서(240)는 카메라에 의해 실시간으로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성별, 인종 및 나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고객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고객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는 각 컨텐츠의 특성에 따른 태그 정보를 포함하며, 프로세서(240)는 획득된 고객 정보에 대응되는 태그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가 고객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에 따르면,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는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40)는 카메라에 의해 실시간으로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성별, 인종 및 나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고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따르면, 프로세서(240)는 촬영한 이미지로부터 어른 한 명과 어린이 세 명을 감지하여 나이에 대한 고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획득된 고객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린이 세 명에 더 중점을 두어, 프로세서(240)는 애니메이션 또는 장난감 광고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만약, 컨텐츠가 각 컨텐츠의 특성에 따른 태그 정보를 포함한다면, 프로세서(240)는 획득된 고객 정보에 대응되는 태그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른용 광고라고 하더라도 어린이에 대응되는 태그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면, 프로세서(240)는 어른용 광고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240)는 디스플레이할 컨텐츠의 순서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40)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 주변에 아무도 없는 경우 1->2->...->10의 순서로 각각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 주변에 어린이 한 명이 감지되면, 프로세서(130)는 어린이가 태깅되어 있는 1->5>9의 순서로 각각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어린이가 더이상 감지되지 않으면, 프로세서(130)는 다시 원래대로 1->2->...->10의 순서로 각각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에 따르면,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UI 화면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통합하여 생성된 디스플레이 정보 및 디스플레이 정보에 따라 제공된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다(S1210). 그리고, 수신된 정보를 저장한다(S1220). 그리고,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한다(S1230).
또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1230)는, 실시간으로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성별, 인종 및 나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고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고객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는 각 컨텐츠의 특성에 따른 태그 정보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1230)는, 획득된 고객 정보에 대응되는 태그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와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는 컨텐츠 편집 및 디스플레이 스케줄 관리를 위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UI 화면 각각에서 입력된 정보를 통합하여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되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함에 있어 사용자에게 용이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프로그래밍되어 각종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 매체를 실행하는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에서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에서 제공될 컨텐츠 편집 및 디스플레이 스케줄 관리를 위한 UI 화면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된 UI 화면 각각에서 입력된 정보를 통합하여 생성된 정보를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사용자 단말 장치 110 : 디스플레이
120 : 통신부 130 : 프로세서
200 :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210 : 스토리지
220 : 통신부 230 : 디스플레이
240 : 프로세서

Claims (20)

  1. 디스플레이;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에서 제공될 컨텐츠 편집 및 디스플레이 스케줄 관리를 위한 UI 화면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된 상기 UI 화면 각각에서 입력된 정보를 통합하여 생성된 정보를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에서 제공될 컨텐츠와 관련된 매장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제1 UI 화면, 상기 컨텐츠의 편집을 위한 제2 UI 화면 및 상기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스케줄 관리를 위한 제3 UI 화면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UI 화면에서 매장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제2 UI 화면에서 상기 입력된 매장 정보와 관련된 후보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제2 UI 화면에서 제공된 후보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입력된 매장 정보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스케줄 템플릿을 상기 선택된 컨텐츠에 적용하여 생성된 기본 디스플레이 스케줄 관리 화면을 상기 제3 UI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로부터 획득된 고객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2 UI 화면에서 상기 수신된 고객 정보 및 상기 입력된 매장 정보와 관련된 후보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I 화면은,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제1 영역 및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에서 제공되는 화면에 대한 미리보기를 제공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역에서 입력된 정보가 기설정된 레이아웃에 적용된 미리보기 화면을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레이아웃을 자동으로 변경하고, 상기 입력된 정보가 변경된 레이아웃에 적용된 미리보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가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에 대한 기설정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로부터 수신된 디스플레이 스케줄 정보를 편집할 수 있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모델 정보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디스플레이 속성에 대응되도록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8. 스토리지;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UI 화면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통합하여 생성된 디스플레이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에 따라 제공된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정보를 상기 스토리지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실시간으로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성별, 인종 및 나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고객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고객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각 컨텐츠의 특성에 따른 태그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된 고객 정보에 대응되는 태그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11.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에서 제공될 컨텐츠 편집 및 디스플레이 스케줄 관리를 위한 UI 화면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된 상기 UI 화면 각각에서 입력된 정보를 통합하여 생성된 정보를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에서 제공될 컨텐츠와 관련된 매장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제1 UI 화면, 상기 컨텐츠의 편집을 위한 제2 UI 화면 및 상기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스케줄 관리를 위한 제3 UI 화면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UI 화면에서 매장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제2 UI 화면에서 상기 입력된 매장 정보와 관련된 후보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제2 UI 화면에서 제공된 후보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입력된 매장 정보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스케줄 템플릿을 상기 선택된 컨텐츠에 적용하여 생성된 기본 디스플레이 스케줄 관리 화면을 상기 제3 UI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로부터 획득된 고객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2 UI 화면에서 상기 수신된 고객 정보 및 상기 입력된 매장 정보와 관련된 후보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UI 화면은,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제1 영역 및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에서 제공되는 화면에 대한 미리보기를 제공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에서 입력된 정보가 기설정된 레이아웃에 적용된 미리보기 화면을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레이아웃을 자동으로 변경하고, 상기 입력된 정보가 변경된 레이아웃에 적용된 미리보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가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에 대한 기설정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로부터 수신된 디스플레이 스케줄 정보를 편집할 수 있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모델 정보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디스플레이 속성에 대응되도록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8. 사용자 단말 장치의 UI 화면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통합하여 생성된 디스플레이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에 따라 제공된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실시간으로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성별, 인종 및 나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고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고객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각 컨텐츠의 특성에 따른 태그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고객 정보에 대응되는 태그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KR1020150120831A 2015-03-04 2015-08-27 사용자 단말 장치,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들 KR201601081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061,347 US20160259539A1 (en) 2015-03-04 2016-03-04 User terminal device, digital signage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28105P 2015-03-04 2015-03-04
US62/128,105 2015-03-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103A true KR20160108103A (ko) 2016-09-19

Family

ID=57103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0831A KR20160108103A (ko) 2015-03-04 2015-08-27 사용자 단말 장치,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810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2164B1 (ko) * 2018-03-28 2018-10-26 주식회사 차세대아이씨티융합센터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 및 방법
WO2021112423A1 (ko) * 2019-12-06 2021-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2164B1 (ko) * 2018-03-28 2018-10-26 주식회사 차세대아이씨티융합센터 스마트 조직도 구현 시스템 및 방법
WO2021112423A1 (ko) * 2019-12-06 2021-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53103B (zh) 用于推荐响应消息的用户终端设备及其方法
US11927986B2 (en) Integrated computational interface device with holder for wearable extended reality appliance
CN107925725B (zh) 显示装置以及该显示装置的控制方法
US20130185679A1 (en) System for selecting objects on display
CN106502638A (zh) 用于提供视听反馈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US996579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active product displays
US11061533B2 (en) Large format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4199542A (zh) 一种智能镜实现方法、装置和智能镜
KR102413074B1 (ko) 사용자 단말, 전자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
JP6852293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端末、プログラム
US20140229823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60259539A1 (en) User terminal device, digital signage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s thereof
KR20160108103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들
AU2017330785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327139B1 (ko) 밝기를 조절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밝기 조절 방법
KR20180071492A (ko) 키넥트 센서를 이용한 실감형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KR102136223B1 (ko) LFD(large format display)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34431B1 (ko) 오브젝트의 컨텐츠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