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1908B1 - 배광각도 조절이 가능한 가로등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배광각도 조절이 가능한 가로등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1908B1
KR101911908B1 KR1020170121448A KR20170121448A KR101911908B1 KR 101911908 B1 KR101911908 B1 KR 101911908B1 KR 1020170121448 A KR1020170121448 A KR 1020170121448A KR 20170121448 A KR20170121448 A KR 20170121448A KR 101911908 B1 KR101911908 B1 KR 101911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ght
emitting module
distribution angle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홍배
Original Assignee
(주)휴먼라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먼라이텍 filed Critical (주)휴먼라이텍
Priority to KR1020170121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19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1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1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30Pivoted housings or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광각도 조절이 가능한 가로등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로등에서 조사되는 빛의 범위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빛공해를 방지할 수 있는 배광각도 조절이 가능한 가로등 조명장치이다.
본 발명은 지면에 고정되는 기초부분과, 상기 기초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기둥부분을 갖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기둥부분에 설치되며 하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을 갖게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제1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되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을 따라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 회동축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각각 하방으로 광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발광모듈과; 상기 발광모듈 각각의 회동축을 연동되게 회전시켜 상기 발광모듈 각각의 배광각도를 조절할 수 있되, 상기 발광모듈 중 상기 기초부분과의 이격거리가 가장 짧으며 최외곽에 배치된 발광모듈을 기준으로 연동과정에서 상기 기초부분으로부터 이격거리가 멀어질 수록 회동각도가 점진적으로 줄어들게 상기 회동축들을 연동되게 회전시키는 배광각도 조절부와; 상기 발광모듈의 구동과 상기 배광각도 조절부의 배광각도 조정을 제어하는 조정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차폐하며 투광가능한 소재로 형성된 투광캡;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배광각도 조절이 가능한 가로등 조명장치{Lighting device with adjustable light-distribution angle for street light}
본 발명은 배광각도 조절이 가능한 가로등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로등에서 조사되는 빛의 범위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빛공해를 방지할 수 있는 배광각도 조절이 가능한 가로등 조명장치이다.
가로등이란 가로교통의 안전과 보안을 위하여 가로를 따라서 소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는 조명시설로, 고속도로, 시가지의 주요 도로, 상업지구 도로, 및 주택지구 도로 등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고 있으며, 그에 알맞은 종류의 가로등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야간에도 주간과 같이 밝은 불빛을 제공하는 가로등이 지나치게 넓은 영역으로 불빛을 제공함에 따라 '빛공해'현상이 발생한다.
빛공해는 비추고자 하는 조명영역 밖으로 누출되는 빛이 사람의 수면등을 방해하여 건강하고 쾌적한 생활을 방해하거나 환경에 피해를 주는 상태를 말한다. 빛공해가 지속되면 식물은 밤과 낮을 구분하지 못해 정상적인 성장을 하지 못하고, 야행성 동물의 경우에는 먹이사냥을 제대로 하지 못해 결국 생태계가 교란된다.
이에 종래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3322호 조사 범위 조절이 가능한 가로등 헤드가 게시되어 있으나 조명이 조사되는 방향만을 상,하로 조절할 수 있을뿐 조명의 조사범위를 조절할 수는 없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3290호에는 광해방지용 엘이디 램프가 게시되어 엘이디로부터 발생된 광을 도로 측으로는 확산시키고 식물이 식재된 식재공간으로는 차단하는 렌즈부재가 마련되어 있으나 렌즈부재의 설치가 어렵고 설치하고 난 이후 조사범위를 다시 조절하기 위해서는 본체를 해체한 후 새로운 렌즈부재를 설치해야 하는 등 조명의 조사범위를 조절하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가로등에서 조사되는 빛의 범위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빛공해를 방지할 수 있는 배광각도 조절이 가능한 가로등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광각도 조절이 가능한 가로등 조명장치는 지면에 고정되는 기초부분과, 상기 기초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기둥부분을 갖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기둥부분에 설치되며 하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을 갖게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제1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되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을 따라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 회동축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각각 하방으로 광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발광모듈과; 상기 발광모듈 각각의 회동축을 연동되게 회전시켜 상기 발광모듈 각각의 배광각도를 조절할 수 있되, 상기 발광모듈 중 상기 기초부분과의 이격거리가 가장 짧으며 최외곽에 배치된 발광모듈을 기준으로 연동과정에서 상기 기초부분으로부터 이격거리가 멀어질 수록 회동각도가 점진적으로 줄어들게 상기 회동축들을 연동되게 회전시키는 배광각도 조절부와; 상기 발광모듈의 구동과 상기 배광각도 조절부의 배광각도 조정을 제어하는 조정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차폐하며 투광가능한 소재로 형성된 투광캡;을 구비한다.
상기 배광각도 조절부는 상기 발광모듈의 회동축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되 연동과정에서 상기 기초부분으로부터 이격거리가 멀어질수록 상기 회동축의 회동각도가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조건을 만족하는 기어비를 갖게 형성된 연동기어와; 인접된 회동축의 연동기어를 상호 연동회전되게 결합하는 연결체인과; 상기 회동축 중 선택된 회동축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한다.
상기 발광모듈은 상기 기초부분과의 이격거리가 가장 짧으며 최외곽에 배치된 제1발광모듈과, 상기 제1발광모듈로부터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상기 기초부분으로부터 멀어지게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2 및 제3발광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제1발광모듈의 회동축에는 제1기어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2발광모듈의 회동축에는 상기 제1연동기어보다 기어 잇수가 많으며 제1연결체인으로 연결된 제2연동기어와, 상기 제2연동기어와 이격되어 상기 제2발광모듈의 회동축에 형성된 제3연동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제3발광모듈의 회동축에는 상기 제3연동기어보다 기어 잇수가 많으며 제2연결체인으로 연결된 제4연동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제1 내지 제3발광모듈의 회동축 중 어느 하나의 회동축에 형성된 종동기어와; 상기 모터의 회동축에 형성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를 연동회전되게 결합하는 구동체인;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정부는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이동폴대와, 상기 이동폴대에 설치되어 입사된 노이즈광의 조도를 측정하는 노이즈광 센서와, 상기 노이즈광 센서에서 측정된 노이즈 조도값을 서브 통신부를 통해 전송되게 처리하는 서브 제어부를 갖는 노이즈광 측정유닛과; 상기 서브 통신부로부터 전송된 노이즈 조도값을 수신하는 메인통신부와, 노이즈광 차단 배광각도조정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메인 통신부에서 수신된 노이즈 조도값이 설정된 목표치 보다 높은지를 비교하고, 노이즈 조도값이 설정된 목표치보다 높으면 상기 목표치 이하가 되게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메인제어유닛;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배광각도 조절이 가능한 가로등 조명장치는 복수개의 발광모듈에 대해 설치된 위치에 따라 회전각도를 상이하게 연동회전시켜 광이 조사되는 범위를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광각도 조절이 가능한 가로등 조명장치는 현장에 시설할 때 노이즈광 측정유닛을 이용하여 빛공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자동으로 배광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광각도 조절이 가능한 가로등 조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광각도 조절이 가능한 가로등 조명장치의 하우징의 일부절개 확대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발광모듈의 전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발광모듈과 배광각도조절부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발광모듈과 배광각도조절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전면도,
도 6은 도 5의 화우징 부분의 확대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배광각도 조절이 가능한 가로등 조명장치의 제어계통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광각도 조절이 가능한 가로등 조명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배광각도 조절이 가능한 가로등 조명장치(1)는 지면에 설치되는 지주(10), 지주(10)에 설치되고 내부공간을 갖도록 형성된 하우징(15), 하우징(15)의 내부공간을 차폐하는 투광캡(17), 하우징(15)의 내부공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각각 하방으로 광을 조사하는 제1 내지 제3발광모듈(32)(34)(36), 제1내지 제3발광모듈(32)(34)(36) 각각이 연동되게 회전시켜 상기 발광모듈 각각의 배광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배광각도 조절부(100), 제1 내지 제3발광모듈(32)(34)(36)의 구동과 상기 배광각도 조절부(100)의 배광각도 조정을 제어하는 조정부(70)로 구비된다.
지주(10)는 차도 또는 인도와 같이 야간에 조명을 요구하는 도로(R)를 조명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지면에 고정되는 기초부분(11)과 기초부분(11)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기둥부분(13)으로 구비된다.
도시된 예에서 지주(10)는 인도에 설치되어 차도를 중점적으로 조명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기초부분(11)은 볼트와 같은 결합부재를 통해 지면에 고정된다.
기둥부분(13)은 기초부분(11)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수직기둥부분(13a)과, 수직기둥부분(13a)에서 조명을 요구하는 도로(R)의 중심 방향 쪽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수평기둥부분(13b)을 구비한다.
하우징(15)은 수평기둥부분(13b)의 도로(R) 방향 쪽으로 연장된 부분의 단부에 설치되고, 하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며, 타원형, 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우징(15)은 후술할 제1 내지 제3발광모듈(32)(34)(36)의 제1 내지 제3회동축(31a)(31b)(31c)을 회동가능하도록 지지하여 제1 내지 제3발광모듈(32)(34)(36)이 설치될 수 있는 설치틀(16)이 구비되어 있으며, 제1 내지 제3발광모듈(32)(34)(36)에서 조사되는 광이 상부로 조사되지 않도록 투광이 되지 않는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광캡(17)은 하우징(15)의 개방된 하부에 설치되어 하우징(15)을 차폐한다.
투광캡(17)은 제1 내지 제3발광모듈(32)(34)(36)에서 조사되는 광의 투광이 가능한 투명소재로 제작된다.
투광캡(17)은 만곡형 또는 평면형등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발광모듈(32)(34)(36)은 제1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되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을 따라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 내지 제3회동축(31a)(31b)(31c)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하우징(15) 내부공간에 설치된다.
제1 내지 제3발광모듈(32)(34)(36)은 동일구조로 형성된다.
제1 내지 제3발광모듈(32)(34)(36)은 각각의 하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을 갖는 함체(33)와, 함체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제1 내지 제3회동축(31a)(31b)(31c)과, 함체(33)의 내부공간에서 설치되는 회로기판(37)과 회로기판(37)에 설치된 광원(39), 함체(33)를 밀폐하는 함체캡(35)으로 구비된다.
함체(33)는 상부면에 방열을 위한 방열판(30)이 형성되어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방열판(30)은 함체(33)의 외부의 적어도 일측면에 복수개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방열판(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돌출된 돌기형의 방열핀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회동축(31a)(31b)(31c)은 하우징(15)의 설치틀(16)에 제1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되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을 따라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에, 제1 내지 제3 발광모듈(32)(34)(36)은 하우징(15)의 내부공간에 서로 이격되고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방향은 도로를 가로지르는 방향에 적용되고 제2방향은 도로의 진행방향과 나란한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회로기판(37)은 전기가 공급되도록 설치되며 저면에 다수개의 광원(39)이 설치된다.
회로기판(37)은 저면에 설치된 광원(39)이 함체(33)의 개방된 하부면을 바라보도록 설치된다.
광원(39)은 고압수은등이나 형광등, 나트륨등 및 전구가 가능하나 사용수명이 크게 연장되면서도 내충격성이 뛰어난 고광도의 엘이디(LED : 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체캡(35)은 함체(33)의 개방된 하부에 함체(33)를 밀폐하도록 설치된다.
함체캡(35)은 내부에 설치된 회로기판(37) 및 광원(39)을 보호하고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을 투광할 수 있는 소재로 제작된다.
제1발광모듈(32)은 기초부분(11)과의 이격거리가 가장 짧으며 최외곽에 배치된 것을 지칭한다. 즉, 제1발광모듈(32)은 조명을 요구하지 않는 비조명요구영역(N)과 가장 가깝게 배치되며 제1회동축(31a)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비조명요구영역(N)은 야간에 빛의 입사를 원치않는 영역을 말하며, 배광각도조절이 가능한 가로등 조명장치(1)의 설치환경에 따라 비조명요구영역의 지정영역이 달라질 수 있다.
제2발광모듈(34)은 제1발광모듈(32)로부터 제1방향을 따라 기초부분(11)으로부터 멀어지게 배치되고 제2회동축(31b)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3발광모듈(46)은 제2발광모듈(34)로부터 제1방향을 따라 기초부분(11)으로 부터 멀어지게 배치되고 제3회동축(31c)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배광각도 조절부(100)는 제1 내지 제3발광모듈(32)(34)(36)의 제1 내지 제3회동축(31a)(31b)(31c)에 설치되는 제1 내지 제4연동기어(111)(113)(115)(117), 제1 내지 제4연동기어(111)(113)(115)(117)를 상호 연동되게 회전시키는 제1,2연결체인(131)(133)과, 제3회동축(31c)을 구동하는 구동부(150)로 구비된다.
제1연동기어(111)는 제1발광모듈(32)의 제1회동축(31a)에 장착되며, 기어 잇수가 가장 적게 형성된다.
제2, 3연동기어(113)(115)는 제2발광모듈(34)의 제2회동축(31b)에 서로 이격되어 장착되고, 제2연동기어(113) 보다 많은 기어 잇수를 갖는다. 제2, 3연동기어(113)(115)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 잇수가 같게 형성될 수 있으나, 기어비에 따라 기어 잇수가 상이할 수 있다.
제4연동기어(117)는 제3발광모듈(36)의 제3회동축(31b) 장착되며, 제2, 3연동기어(113)(115)보다 많은 기어 잇수를 갖으며 기어 잇수가 가장 많게 형성된다.
이에, 제1회동축(31a)에서 제3회동축(31c)으로 갈수록 회동각도가 점진적으로 줄어든다. 즉, 제1발광모듈(32)에서 제3발광모듈(36)로 갈수록 적게 회동된다.
제1 내지 제4발광모듈(32)(34)(36)이 연동될 시, 지주(10)의 기초부분(11)으로부터 이격거리가 멀어질수록 제1 내지 제3회동축(31a)(31b)(31c)의 회동각도가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조건을 만족하는 기어비는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제1 내지 제2연결체인(131)(133)은 제1 내지 제3회동축(31a)(31b)(31c)에 장착된 제1 내지 제4연동기어(111)(113)(115)(117)를 상호 연동회전되게 결합한다.
제1연결체인(131)은 제1연동기어(111)와 제2연동기어(113)를 연결한다.
제2연결체인(133)은 제3연동기어(115)와 제4연동기어(117)를 연결한다. 제2연동기어(113)와 제3연동기어(115)는 제2발광모듈(34)의 제2회동축(31b)에 장착되어 별도의 연결부재 없이 연동되어 회전된다.
구동부(150)는 동력원인 모터(151)와, 제3회동축(31c)에 장착되는 종동기어(159), 모터(151)의 회전축(153)에 형성된 구동기어(155), 구동기어(155)와 종동기어(159)를 연동회전되게 결합하는 구동체인(157)을 구비한다.
모터(151)는 하우징(15)의 설치틀(16)에 제1 내지 제3발광모듈(32)(34)(36)과 함께 설치되며, 동력을 제공한다. 도면에는 제3발광모듈(36)와 인접하게 설치되었으나, 이와 달리 제1발광모듈(32)과 인접하게 설치되거나 또는 제1 내지 제3발광모듈(32)(34)(36)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종동기어(159)는 제3발광모듈(36)의 제3회동축(31c)에 제4연동기어(117)와 이격되어 설치된다. 모터(151)가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음에 따라 종동기어(159)는 도시된 바와 달리 제1 또는 제2발광모듈(32)(34)의 제1 내지 제2회동축(31a)(31b)중 어느 하나의 회동축에 장착될 수 있다.
구동기어(155)는 모터(151)의 회전축(153)에 설치되어 모터(151)에서 제공하는 동력을 구동체인(157)을 통해 종동기어(159)로 전달한다.
이에, 종동기어(159)가 설치된 제3발광모듈(36)의 제3회동축(31c)과 이와 연결된 제4연동기어(117) 와 제2연동체인(133)을 구동시켜 제1 내지 제3발광모듈(32)(34)(36)을 회전시킨다.
이처럼, 배광각도 조절부(100)는 제1 내지 제3발광모듈(32)(34)(36)을 연동회전시켜 배광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발광모듈(32)(34)(36) 중 기초부분(11)과의 이격거리가 가장 짧으며 최외곽에 배치된 제1발광모듈(32)을 기준으로 기분으로부터 이격거리가 멀어질 수록 회동각도가 점진적으로 줄어들게 회동축들을 회전시킨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조명을 요구하지 않는 비조명요구영역(N)에 설치된 기초부분(11)과의 이격거리가 가장 짧고 최외곽에 배치된 제1발광모듈(32)이 회전된 각도가 가장 크며, 제2발광모듈(34), 제3발광모듈 순으로 순차적으로 회전된 각도가 작아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배광각도 조절이 가능한 가로등 조명장치(1)는 조명을 요구하는 도로에는 광을 조사하고 조명을 요구하지 않는 비조명요구영역에는 조명이 조사되지 않도록 조사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배광각도 조절시 각각의 제1 내지 제3발광모듈(32)(34)(36)이 연동회전하기 때문에 제1 내지 제3발광모듈(32)(34)(36) 각각에 별도의 구동원이 필요하지 않는다.
이러한 제1 내지 제3발광모듈(32)(34)(36)의 배광각도를 제어하는 조정부(70)는 노이즈광 측정유닛(90)과 메인제어유닛(80)를 구비한다.
노이즈광 측정유닛(90)은 휴대가능하게 구비되어 배광각도조절이 가능한 가로등 조명장치(1)가 설치될 시, 도로의 외곽지역과 같이 조명을 요구하지 않는 비조명요구영역(N)에 위치되어 비조명요구영역(N)에 조사되는 광, 즉, 노이즈광을 감지하여 메인제어유닛(80)에 조도정보를 송신한다.
노이즈광 측정유닛(90)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이동폴대(91), 이동폴대(91)에 설치된 노이즈광 센서(93), 이동폴대(91)에서 측정된 조도값을 서브통신부(97)를 통해 전송되게 처리하는 서브제어부(95)로 구비된다.
이동폴대(91)는 관 또는 봉형의 부재로 비조명요구영역(N)의 지면에 설치된다.
이동폴대(91)는 하부에 지지부(92)가 형성되어 이동된 후 지면에 지지된다,
이동폴대(91)는 용이하게 조도값을 측정할 수 있도록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이즈광 센서(93)는 이동폴대(91)의 상단에 구비되어 입사된 노이즈광의 조도를 측정한다.
노이즈광 센서(93)는 비조명요구영역(N)에 조사되는 광을 측정할 수 있도록 광이 조사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브제어부(95)는 이동폴대(91)에서 측정된 노이즈 조도값을 서브통신부(97)가 전송할 수 있도록 조도값을 처리하고, 서브통신부(97)를 제어한다.
서브통신부(97)는 서브제어부(95)에서 처리된 노이즈 조도값을 후술할 메인통신부(85)에 송신한다.
메인제어유닛(80)는 노이즈광 차단 배광각도조정모드로 설정되면 제1 내지 제3발광모듈(32)(34)(36)을 작동시키고, 노이즈광 센서(93)에서 송신된 조도값에 따라 구동부(150)를 작동시키며, 메인제어본체(82), 메인통신부(85), 조작부(81), 메인조도센서(87), 메인제어부(83)를 구비한다.
메인제어본체(82)는 지주(10)의 일측에 내부공간을 갖도록 형성되어 내부공간에 메인통신부(85), 조작부(81), 메인제어부(83)가 구비된다.
메인제어본체(8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지주(10)와 인접한 곳에 설치될 수 있다.
메인통신부(85)는 메인제어본체(82)에 마련되며, 서브통신부(97)로부터 전송된 노이즈 조도값을 수신한다.
메인통신부(85)와 서브통신부(97)는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통신이 가능하나 무선에 의해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작부(81)는 구동부(100) 및 제1 내지 제3발광모듈(32)(34)(36)의 작동을 지시하거나, 작동을 종료하거나, 노이즈광 차단 배광각도조정모드를 설정하 것 등 지원되는 기능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키들을 구비한다.
메인조도센서(87)는 지주(10)의 일측 또는 지주(10)와 인접한 외부에 설치되어 입사되는 조도값을 측정한다.
메인제어부(83)는 조작부(81)로부터 입력된 조작신호에 따라 제어대상 요소가 되는 구동부(100) 또는 제1 내지 제3발광모듈(32)(34)(36)이 작동되거나 작동이 종료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메인제어부(83)는 조작부(81)에서 노이즈광 차단 배광각도조정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메인통신부(85)에서 수신된 노이즈 조도값이 설정된 목표치 보다 높은지를 비교하고, 노이즈 조도값이 설정된 목표치보다 높으면 목표치 이하가 되게 구동부(100)를 제어한다.
또한, 메인제어부(83)는 메인조도센서(87)로부터 측정된 조도가 설정된 발광조건에 해당하면 제1 내지 제3발광모듈(32)(34)(36)을 가동시키도록 제어한다. 이와 달리 메인제어부(83)는 메인조도센서(87)가 아닌 타이머가 구비되어 설정된 시간에 제1 내지 제3발광모듈(32)(34)(36)을 가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광각도 조절이 가능한 가로등 조명장치는 현장에 설치 시, 노이즈광 차단 배광각도조정모드를 조작하고 노이즈광 측정유닛을 원하는 높이만큼 조절하여 지면에 위치시키면 스스로 배광각도를 조절하여 초기에 광이 조사되는 범위를 조정할 수 있다. 설치 이후에는 메인조도센서에 의해 야간에는 광을 조사하고 주간에는 광을 조사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배광각도 조절이 가능한 가로등 조명장치는 노이즈광 차단 배광각도조정모드로 설정되어 자동으로 제1 내지 제3발광모듈의 배광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였으나, 도시된 바와 달리 수동배광각도조정모드로 설정되면 조작부를 통한 조작에 따라 모터를 단계적으로 회동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10 : 지주 15 : 하우징
100 : 배광각도 조절부 R : 도로
N : 비조명요구영역

Claims (4)

  1. 지면에 고정되는 기초부분과, 상기 기초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기둥부분을 갖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기둥부분에 설치되며 하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을 갖게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제1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되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을 따라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 회동축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각각 하방으로 광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발광모듈과;
    상기 발광모듈 각각의 회동축을 연동되게 회전시켜 상기 발광모듈 각각의 배광각도를 조절할 수 있되, 상기 발광모듈 중 상기 기초부분과의 이격거리가 가장 짧으며 최외곽에 배치된 발광모듈을 기준으로 연동과정에서 상기 기초부분으로부터 이격거리가 멀어질 수록 회동각도가 점진적으로 줄어들게 상기 회동축들을 연동되게 회전시키는 배광각도 조절부와;
    상기 발광모듈의 구동과 상기 배광각도 조절부의 배광각도 조정을 제어하는 조정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차폐하며 투광가능한 소재로 형성된 투광캡;을 구비하고,
    상기 배광각도 조절부는
    상기 발광모듈의 회동축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되 연동과정에서 상기 기초부분으로부터 이격거리가 멀어질수록 상기 회동축의 회동각도가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조건을 만족하는 기어비를 갖게 형성된 연동기어와;
    인접된 회동축의 연동기어를 상호 연동회전되게 결합하는 연결체인과;
    상기 회동축 중 선택된 회동축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광각도 조절이 가능한 가로등 조명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모듈은 상기 기초부분과의 이격거리가 가장 짧으며 최외곽에 배치된 제1발광모듈과, 상기 제1발광모듈로부터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상기 기초부분으로부터 멀어지게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2 및 제3발광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제1발광모듈의 회동축에는 제1기어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2발광모듈의 회동축에는 상기 회동축보다 기어 잇수가 많으며 제1연결체인으로 연결된 제2연동기어와, 상기 제2연동기어와 이격되어 상기 제2발광모듈의 회동축에 형성된 제3연동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제3발광모듈의 회동축에는 상기 제3연동기어보다 기어 잇수가 많으며 제2연결체인으로 연결된 제4연동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제1 내지 제3발광모듈의 회동축 중 어느 하나의 회동축에 형성된 종동기어와;
    상기 모터의 회동축에 형성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를 연동회전되게 결합하는 구동체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광각도 조절이 가능한 가로등 조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는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이동폴대와, 상기 이동폴대에 설치되어 입사된 노이즈광의 조도를 측정하는 노이즈광 센서와, 상기 노이즈광 센서에서 측정된 노이즈 조도값을 서브통신부를 통해 전송되게 처리하는 서브 제어부를 갖는 노이즈광 측정유닛과;
    상기 서브통신부로부터 전송된 노이즈 조도값을 수신하는 메인통신부와, 노이즈광 차단 배광각도조정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메인 통신부에서 수신된 노이즈 조도값이 설정된 목표치 보다 높은지를 비교하고, 노이즈 조도값이 설정된 목표치보다 높으면 상기 목표치 이하가 되게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메인제어유닛;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광각도 조절이 가능한 가로등 조명장치.





KR1020170121448A 2017-09-20 2017-09-20 배광각도 조절이 가능한 가로등 조명장치 KR101911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448A KR101911908B1 (ko) 2017-09-20 2017-09-20 배광각도 조절이 가능한 가로등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448A KR101911908B1 (ko) 2017-09-20 2017-09-20 배광각도 조절이 가능한 가로등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1908B1 true KR101911908B1 (ko) 2018-10-25

Family

ID=64131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448A KR101911908B1 (ko) 2017-09-20 2017-09-20 배광각도 조절이 가능한 가로등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19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53982A (zh) * 2021-08-14 2021-11-16 杭州大江东城市设施管养有限公司 一种自动转向人行照明灯
KR102442401B1 (ko) * 2021-08-19 2022-09-13 주식회사 테크엔 자이로센서를 이용한 조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가로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847B1 (ko) * 2010-02-01 2010-09-10 나래전기(주) 각도 조절이 가능한 가로등
KR101202289B1 (ko) 2012-01-18 2012-11-19 주식회사 드리미 가로등유닛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847B1 (ko) * 2010-02-01 2010-09-10 나래전기(주) 각도 조절이 가능한 가로등
KR101202289B1 (ko) 2012-01-18 2012-11-19 주식회사 드리미 가로등유닛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53982A (zh) * 2021-08-14 2021-11-16 杭州大江东城市设施管养有限公司 一种自动转向人行照明灯
CN113653982B (zh) * 2021-08-14 2023-11-17 杭州大江东城市设施管养有限公司 一种自动转向人行照明灯
KR102442401B1 (ko) * 2021-08-19 2022-09-13 주식회사 테크엔 자이로센서를 이용한 조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가로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47036B (zh) Led照明灯
US8696178B2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roadway lighting using solid-state light sources
KR100972757B1 (ko) 엘이디 가로등
KR101804956B1 (ko) 자동 각도 조절이 가능한 빛 공해 방지판을 갖는 엘이디 등기구
KR101911908B1 (ko) 배광각도 조절이 가능한 가로등 조명장치
KR101784730B1 (ko) 가로등 유닛
KR101425515B1 (ko) 각도조절이 되는 분할광원을 갖는 가로등용 엘이디 등기구
KR101612865B1 (ko) 각도조절 및 차광기능을 갖는 led 조명장치
KR101177760B1 (ko) 가로등용 조명장치
KR20170000550A (ko) 도로용 엘이디 조명장치
CN102168831A (zh) 低位锐角道路照明灯及其照明安装方法
KR101004786B1 (ko)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조명 장치
KR20200031396A (ko) 빛공해 방지를 위한 배광각도 조절형 가로등 조명장치
KR101760116B1 (ko) 등기구용 빛가림 장치
KR100921633B1 (ko) 엘이디 가로등
KR101425516B1 (ko) 각도조절이 되는 분할광원을 갖는 가로등용 엘이디 등기구
KR101221967B1 (ko) Led 조명장치
KR101425520B1 (ko) 각도조절이 되는 분할광원을 갖는 가로등용 엘이디 등기구
JP3216147U (ja) 光照射方向の選択が自由な室外灯
KR101159184B1 (ko) 가로등 및 그의 도로 조명 방법
KR101128770B1 (ko) 각도 조절부가 구비된 가로등
KR101560142B1 (ko) 도로용 led모듈 조명장치
KR101503498B1 (ko) 도로용 조명장치
KR20110002187A (ko) 조명 장치
KR102114055B1 (ko) 빛 공해방지를 위한 led기판의 후사광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