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3498B1 - 도로용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도로용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3498B1
KR101503498B1 KR1020080095226A KR20080095226A KR101503498B1 KR 101503498 B1 KR101503498 B1 KR 101503498B1 KR 1020080095226 A KR1020080095226 A KR 1020080095226A KR 20080095226 A KR20080095226 A KR 20080095226A KR 101503498 B1 KR101503498 B1 KR 101503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light
leds
wall
road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5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5862A (ko
Inventor
손원국
Original Assignee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5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3498B1/ko
Publication of KR20100035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5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3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3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 F21S8/03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the surface being a wall or like vertical structure, e.g. building faca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도를 향하도록 설치된 LED모듈에서 차량 진행 방향과 그에 수직인 수직방향 사이의 각도 범위내로 광을 조사함에 따라 야간 시간에 운전자의 시야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직접조명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눈부심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도로용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조명장치는 복수의 LED와, 상기 복수의 LED를 차도의 주변에 유지시키는 LED 유지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LED는 차량 진행 방향인 제 1 방향과 그 제 1 방향에 수직인 제 2 방향 사이의 각도 범위 내에 광을 경사지게 조사하도록 배치된다.
차도, 조명, 수직, 각도, LED모듈, 차량 진행 방향, 벽, 글레어, 눈부심

Description

도로용 조명장치{LIGHTING DEVICE FOR STREET}
본 발명은 도로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도를 향하도록 설치된 LED모듈에서 차량진행방향과 그에 수직인 수직방향 사이의 각도 범위내로 광을 조사함에 따라 야간 시간에 운전자의 시야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직접조명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눈부심에 의한 안전사고 방지 그리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도로용 조명장치등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도로용 조명등은 일정한 높이의 기둥에 고출력의 고압 나트륨램프나 메탈할라이드램프 등과 같은 등기구가 일정한 배열을 가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등기구는 도로면에 균일한 조도 유지를 위해서 등기구를 중심으로 양쪽 면의 밝기를 더욱 높여주는 형태의 배광 구조를 가지고 있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도로용 조명등(1)인 가로등은 가로등 폴대(11)와, 그 폴대(11)에 설치된 등기구(1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가로등은 차량이 진입하는 면에 상관없이 전방향으로 빛이 분포되고 있다. 이로 인해 차량이 진입되는 면에 상관없이 운전자에게 빛이 조사되어 눈부심 현상을 야기시킬 수 있고, 반대편 차선과 도로 바깥쪽 면으로도 빛이 조사되는 등 빛을 최적으로 활용하 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도로용 조명등(1)인 가로등은 지상고 9m 이상의 일정거리에서 빛을 차도면으로 조사하기 때문에 실제 차도에 도달하는 광효율이 낮을 뿐만 아니라, 공중에서 분해되어 빛의 손실이 많았다. 또한, 균일한 조도의 확보가 어려워, 일정한 영역에서는 반사판에 의해 휘도가 높은 영역이 발생하여 운전자의 눈에 순간적으로 글레어(glare)를 발생시키는 경우도 있다. 또한, 도로용 조명등(1)의 등기구(12)는 많은 전력을 소비하는 고압방전램프를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전력 소모도 많았다.
최근에는 신광원인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을 이용하여 도로용 조명등의 개발과 적용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LED를 이용하여 전력 소모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개선을 하였으나, 종래의 도로용 조명등을 유지하면서 등기구와 LED를 1 대 1로 교체하기에는 광도나 배광의 특징에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의 도로용 조명등인 가로등은 유지보수를 하는데 있어서 상당히 위험할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에 따른 고가의 비용, 예컨대 장비활용, 사다리차 운용 등에 따른 비용이 들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도를 향하도록 설치된 LED모듈에서 차량 진행 방향과 그에 수직인 수직 방향 사이의 각도 범위 내로 광을 조사함에 따라 야간에 운전자의 시야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직접조명으로 발생할 수 있는 눈부심에 의한 안전사고 방지 그리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도로용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들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조명장치는 복수의 LED와, 상기 복수의 LED를 차도의 주변에 유지시키는 LED 유지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LED는 차량 진행 방향인 제 1 방향과 그 제 1 방향에 수직인 제 2 방향 사이의 각도 범위 내에 광을 경사지게 조사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LED 유지수단은 상기 차도의 양측 가장자리 중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벽일 수 있으며, 상기 벽에는 상기 복수의 LED를 각각 구비한 복수의 LED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LED모듈은 LED칩과, 상기 LED칩을 수용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되되, 상기 LED에서 나온 광을 상기 제 1 방향과 상기 제 2 방향 사이의 각도 범위 내로 조정하는 리플렉터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복수의 LED모듈은 행과 열의 구조를 갖도록 상기 벽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LED 유지수단은 상기 LED의 점멸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LED의 점멸에 의해 상기 차도에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벽에 설치된 LED모듈은 상기 차도의 가장자리에서 위로 갈수록 LED의 수량이 증가되어, 차도로 균일한 광을 분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진행 방향과 그에 수직인 수직 방향 사이의 각도 범위 내로 광을 조사하도록 LED모듈이 차도를 향하여 설치됨에 따라 전기에너지를 절감하고 도로면에 균일한 조도를 확보할 수 있어 운전자의 야간 시야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도로용 조명등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청소나 태풍 등에 의한 파손의 유지보수에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특히 자동차 전용도로에서는 최적의 차로 조명환경 구축과 함께 유지보수 비용 절감 등의 잇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LED의 점멸을 제어함에 따라 차도에 이미지, 예컨대 운행규칙 관련 이미지를 형성함에 따라 운전자가 안전운전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광고를 연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을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도에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조명장치를 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차도는 중앙선(M)을 포함하며, 중앙선(M)을 기준으로 차량의 진행 방향은 서로 반대가 된다. 예컨대, 도 2의 중앙선(M)을 기준으로 우측편에는 제 1 방향(A)으로 차량의 진행을 허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차로가 제공되고, 좌측편에는 제 1 방향(A)과 정반대되는 방향(B)으로 차량의 진행을 허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차로가 제공된다.
이하 자세히 설명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도로용 조명장치(2)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앙선(M)을 구비한 차도에 적합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일방통행 차도, 또는 차로 구분이 없는 작은 차도와 같이, 중앙선(M) 없는 차도에도 본 발명의 차도 조명장치는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도로용 조명장치(2)는 다수의 LED와, 그 다수의 LED를 차도 주변에 유지시키는 LED 유지수단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LED 유지수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도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는 벽(21)을 포함한다. 상기 벽(21)은, LED 유지수단으로서의 기능 외에, 차량의 차도 이탈에 의한 대형 사고를 막기 위한, 예를 들면 6m 미만의 방호벽이거나, 또는 차도와 인접한 주택가 또는 주택 단지로 주행중인 차량의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 또는 감소시키는 방음벽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벽(21)이 LED 유지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갖는 것으로 만족하며, 따라서 다른 벽의 다른 기능들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에 유의한다.
상기 벽(21)의 정면에는 차도 조명을 위한 LED들을 각각 구비한 복수의 LED 모듈(22)이 설치된다. 도시하는 방향의 제한으로 인하여, 도 2에서는 우측 벽(21)의 정면만을 볼 수 있고, 그 우측 벽(21)의 정면에 복수의 LED 모듈(22)이 행과 열의 배열로 설치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도 2에서는 볼 수 없는 좌측 벽의 정면에도 우측 벽과 같거나 유사하게 복수의 LED 모듈(22)이 행과 열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LED를 포함하는 개개의 LED 모듈(22)이 다른 LED 모듈과 함께 행과 열을 이루면서 벽(21)에 설치되는 구조이지만, 대안적으로, 복수의 LED들 각각이 벽(21)에 직접 설치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광의 직진성이 큰 LED를 조명에 이용하면서도, 여러 특징들 중 개개의 LED로부터 나온 광이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LED의 배향 구조를 갖는다.
그와 같은 배향 구조는 앞서 언급된 제 1 방향(A)과 같은 차량진행방향과 그에 수직인 제 2 방향(V) 사이의 직각 범위 내에서 LED의 광 조사 방향(L)이 경사진 각도로 정해지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이에 따르면, LED는 항상 차도 상을 주행하는 차량의 전방을 향해 광을 조사하게 되며, 따라서, 운전자가 LED로부터 조사된 광에 의해 시야를 방해받지 않을 수 있다. 이때, LED의 광 조사 방향은, 반사를 이용한 조사, 또는 직접 조사 여부에 관계없이, LED 또는 LED 모듈로부터 차도를 향하는 광의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상기 LED모듈(22)은 복수의 LED로 구성된다. 상기 LED모듈(22)을 구성 하는 복수의 LED 각각은 LED칩(22a)과, 상기 LED칩(22a)을 수용하는 몸체(22b)와, 상기 몸체(22b)에 형성된 채 상기 LED칩(22a)에서 나온 광을 차량 진행 방향인 제 1 방향(A)과 그에 수직인 제 2 방향 사이의 각도 범위 내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22c)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리플렉터(22c)는 상기 LED칩(22a)에서 나온 광을 하향으로 향하도록 조정한다. 이때, 상기 몸체(22b)는 방수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LED칩(22a)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미도시)는 상기 벽(21)에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벽(21)의 상면에 설치되어 통상적인 구조의 발전장치, 예컨대 태양전지 또는 풍력 발전 설비로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로 시설에서 가용한 전원이 없는 경우 발전장치에서 발생되는 전기에너지를 상기 LED칩(22a)에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LED모듈(22)은 4개의 LED로 구성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조명영역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상기 LED모듈(22)을 구성하는 복수의 LED는 도로용 조명장치의 광원으로서, LED칩(22a) 및 형광물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LED칩(22a)과 형광물질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ED는 하나의 청색 LED칩과 황색 발광 형광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LED칩에서 발광되는 청색광과, 형광물질에 의해 파장 변환되는 황색광의 혼합으로 백색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혼합을 통하여 백색을 구현할 수 있다. 나아가, 백색 중에서도 주변 광량에 따라 색온도를 높이거나 낮추어 웜화이트(warm white)나 쿨화이트(cool white)로 조명 연출이 가능하다. 더 구체적으로, 주변의 광량을 감지하는 조광센서를 통하여 주변 광량이 일 정 광량 이상이면 쿨화이트로 광을 조사하고, 일정 광량 이하이면 웜화이트로 광을 조사하여 계절에 맞게 조명할 수 있다.
상기 LED칩(22a)의 상면에는 렌즈(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렌즈를 통하여 상기 LED칩(22a)에서 나온 광의 광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도로 광을 더욱 집중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진행방향과 수직 방향 사이에서 광이 조사되는 각도를 '둔각'이라 정의하고, 둔각으로 조사되는 전술한 LED의 광을 '둔각 광'이라 정의한다.
도 3에서는 차량의 진행방향, 즉, 차로 방향에 대하여, 가상의 수직 광(VL)과 실제 LED로부터 조사되는 둔각 광(L)이 보여진다. 이와 같이 실제 LED로부터 조사되는 둔각 광(L)으로 인해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직접조명으로 발생할 수 있는 눈부심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도를 따라 설치된 벽(21)에 복수의 LED모듈 또는 LED가 설치된 상태를 볼 수 있다.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LED모듈(22)의 후면에는 차도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하나의 가장 자리에 설치된 상기 벽(21)에 형성된 돌기(21a)와 결합되는 홈(22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벽(21)에 상기 LED모듈(22) 설치시 상기 돌기(21a)에 상기 홈(22d)을 결합시킨다. 특정 LED모듈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해당 LED모듈을 해당 돌기에서 선택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어 교체가 간편하며, 종래 도로용 조명등에 비해 상기 벽(21)의 높이가 낮기 때문에 청소 및 파손시에 유지보수가 편리하다.
이와 같이 벽(21)에 설치된 LED모듈(22)들은 높이 방향으로 복수의 열들로 배열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열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세개의 열, 즉 제 1 열(L1), 제 2 열(L2), 제 3 열(L3)을 포함한다. 제 1 열(L1)은 LED모듈의 열들 중 최상측에 위치하고, 제 3 열(L3)은 LED모듈의 열들 중 최하측에 위치하며, 제 2 열(L2)은 상기 제 1 열(L1)과 상기 제 3 열(L3)의 사이에 위치한다.
제 1 열(L1)의 LED모듈들은, 차도 가장 자리, 그리고 벽(21)의 상측에 위치하여 차도의 3차로로 광을 향하도록 조사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열(L1)의 LED모듈들은 3차로 방향과 그 3차로 방향에 수직인 방향 사이의 각도 범위 내에 광을 경사지게 조사하도록 구성되거나 배치된다.
제 2 열(L2)의 LED모듈들은, 차도 가장 자리, 그리고 벽의 상측에 위치하여 차도의 2차로로 광을 향하도록 조사한다. 더 구체적으로, 제 2 열(L2)의 LED모듈들은 2차로 방향과 그 2차로 방향에 수직인 방향 사이의 각도 범위 내에 광을 경사지 조사하도록 구성되거나 배치된다.
제 3 열(L3)의 LED모듈들은, 차도 가장 자리, 그리고 벽의 상측에 위치하여 차도의 1차로로 광을 향하도록 조사한다. 더 구체적으로, 제 3 열(L3)의 LED모듈들은 1차로 방향과 그 1차로 방향에 수직인 방향 사이의 각도 범위 내에 광을 경사지게 조사하도록 구성되거나 배치된다.
이에 따라, 각 차로별로 광을 조사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벽(21)의 상부로 갈수록 LED의 수량을 증가시켜, 차도를 향하는 광을 균일하게 분포시킬 수 있다. 상기 벽(21)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LED의 수량을 증가시켜 LED의 광도를 높여 해당 차로의 조명을 책임지도록 상기 벽(21)의 높이별로 LED모듈에 구성되는 LED의 수량이 정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벽(21)에는 상기 LED모듈(22)을 구성하는 LED들의 점멸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LED들이 점멸되어 상기 차도에 이미지, 예컨대 제한속도를 알리는 숫자, 일방통행을 나타내는 이미지 등이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차도에 표시된 이미지를 참고로 안전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차도에 형성된 이미지는 해당 차로의 운행규칙을 나타내는 이미지임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벽(21)에는 주변의 광량을 감지하는 조광센서(미도시)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조광센서를 통하여 주변의 광량이 일정광량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차도로 향하는 광의 색온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조명장치를 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조명장치(3)는 앞선 실시예에서와 같은 벽(31)과, 상기 벽(31)에 설치된 복수의 LED모듈(32)을 포함한다. 상기 벽(31)에는 상기 LED모듈(32)을 수용하기 위한 홈(3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311)에 상기 LED모듈(32)이 끼워진 채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벽(31)에 간편하게 상기 LED모듈(32)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LED모듈(32)은 LED칩(32a)과, 상기 LED칩(32a)이 부착되는 몸체(32b)와, 상기 몸체(32b)에 형성되되, 상기 LED칩(32a)에서 나온 광을 하향으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32c)를 포함한다. 상기 리플렉터(32c)는 상기 LED칩(32a)에서 나온 광을 차량 진행 방향과 그에 수직인 방향 사이의 각도 범위 내로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몸체(32b) 내에 형성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조명장치(4)는 차도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벽(41)과, 상기 벽에 설치되는 길이방향의 부재(42)를 포함한다. 상기 길이방향의 부재(42)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LED모듈(42a)이 설치되고, 상기 부재(42)의 양쪽에는 체결수단(42b), 예컨대 볼트 체결을 위한 한쌍의 구멍(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길이방향의 부재(42)에 설치된 LED모듈(42a)은 앞선 실시예와 같이 차량 진행 방향과, 그에 수직인 방향의 각도 범위 내로 광을 경사지게 조사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도를 따라 설치된 벽에 LED들을 구비한 LED모듈이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에 복수의 LED들이 직접 설치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조명장치(5)는 벽(51)에 복수의 LED(52)들 각각이 직접 설치되어 차도를 향하여 광을 조사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벽(51)에는 경사진 형상을 갖는 공간(511), 예컨대 LED 램프용 소켓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511)에 LED(52)의 연결부재(521)가 끼워진다. 상기 연결부재(521)는 소켓 베이스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벽(51)에 설치된 LED(52)는 하향으로 광을 조사하되, 차량 진행 방향과, 그에 수직인 수직방향 사이의 각도 범위 내로 광을 조사한다. 이에 따르면, LED(52)는 항상 차도 상을 주행하는 차량의 전방을 향해 광을 조사하게 되며, 따라서, 운전자가 LED로부터 조사된 광에 의해 시야를 방해받지 않을 수 있고, 직접조명으로 발생할 수 있는 눈부심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에서는 LED(52)가 벽(51)에 미리 형성된 공간(511)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설치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LED(52)는 리드단자 또는 리드프레임이 벽에 부착 또는 기타 다른 결합방식으로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 LED를 벽에 경사지게 부착하는 방식으로는, LED의 부착면을 경사지게 하거나 또는 LED에 상응하는 벽의 일부를 경사지게 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위 실시예들에 있어서, LED 설치 위치가 차도 가장자리인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그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선을 따라 LED 설치 위치가 정해질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도로용 조명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조명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로용 조명장치의 배광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벽과 LED모듈을 일부 분리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조명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조명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도로용 조명장치 21 : 벽
21a : 돌기 22 : LED모듈
22a : LED칩 22b : 몸체
22c : 리플렉터 22d : 홈

Claims (6)

  1. 차량 진행 방향인 제1 방향과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을 갖는 차도를 조명하는 장치로서,
    복수의 LED와, 상기 복수의 LED를 상기 차도의 주변에 유지시키는 LED 유지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LED는 상기 제 1 방향과 상기 제 2 방향 사이의 직각 범위 내에서 광을 하향으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조사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조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LED 유지수단은 상기 차도의 양측 가장자리 중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조명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벽에는 상기 복수의 LED를 각각 구비한 복수의 LED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LED모듈은 LED칩과, 상기 LED칩을 수용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되되, 상기 LED에서 나온 광을 상기 제 1 방향과 상기 제 2 방향 사이의 직각 범위 내로 조정하는 리플렉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조명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LED모듈은 행과 열의 구조를 갖도록 상기 벽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조명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LED 유지수단은 상기 LED의 점멸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LED의 점멸에 의해 상기 차도에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조명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벽에 설치된 LED모듈은 상기 차도의 가장자리에서 위로 갈수록 LED의 수량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조명장치.
KR1020080095226A 2008-09-29 2008-09-29 도로용 조명장치 KR101503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226A KR101503498B1 (ko) 2008-09-29 2008-09-29 도로용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226A KR101503498B1 (ko) 2008-09-29 2008-09-29 도로용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5862A KR20100035862A (ko) 2010-04-07
KR101503498B1 true KR101503498B1 (ko) 2015-03-18

Family

ID=42213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5226A KR101503498B1 (ko) 2008-09-29 2008-09-29 도로용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34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059B1 (ko) * 2010-06-10 2012-04-05 주식회사 룩스노바 Led 조명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2505A (ja) * 1999-08-10 2001-02-2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道路照明方法
JP2001135101A (ja) * 1999-11-08 2001-05-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道路照明器具
JP2008052939A (ja) * 2006-08-22 2008-03-06 Yoshihiro Hasegawa Led照明ユニットおよび照明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2505A (ja) * 1999-08-10 2001-02-2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道路照明方法
JP2001135101A (ja) * 1999-11-08 2001-05-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道路照明器具
JP2008052939A (ja) * 2006-08-22 2008-03-06 Yoshihiro Hasegawa Led照明ユニットおよび照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5862A (ko) 201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0397B2 (en) Lighting apparatus using light emitting diode
EP2233826B1 (en) Lighting unit and luminaire for road and/or street lighting
US20090073710A1 (en) Illumination system and vehicular headlamp
JP4210707B2 (ja) 屋外用照明器具及び照明方法
CN102597613A (zh) 具有块装配结构的led照明设备
KR100961676B1 (ko) 배광을 원하는 대로 구현할 수 있는 엘이디 조명등용 렌즈
US9765940B2 (en) Lighting apparatus and automobile including the same
KR20170000550A (ko) 도로용 엘이디 조명장치
KR101004786B1 (ko)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조명 장치
KR101503498B1 (ko) 도로용 조명장치
KR101963398B1 (ko) 등기구
KR101814016B1 (ko) 엘이디 조명등
KR101217063B1 (ko) Led 조명장치
KR101073473B1 (ko) 균제도를 향상시키는 엘이디 고정 프레임 및 그를 포함한 가로등용 조명장치
KR101354089B1 (ko) 주유소 캐노피 설치용 발광다이오드 조명등
CN202253126U (zh) 无眩光的led路灯
KR200456453Y1 (ko) 엘이디 가로등장치의 연결부재
KR20110084037A (ko) 각도 조절과 모듈의 교체가 자유로운 반사판이 장착된 조명등
KR101159184B1 (ko) 가로등 및 그의 도로 조명 방법
EP2803911B1 (en) Led lighting device with improved light distribution
KR20110002187A (ko) 조명 장치
KR20090008810U (ko) 균제도 향상을 위한 led 가로등 구조
CN209893294U (zh) 远近光一体灯
KR200466996Y1 (ko) 솔라 led 도로 표지 및 경관등
JP3100808U (ja) 白色led照明用光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