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1602B1 - 보강구조를 갖는 러버 익스펜션 조인트 - Google Patents

보강구조를 갖는 러버 익스펜션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1602B1
KR101911602B1 KR1020160114941A KR20160114941A KR101911602B1 KR 101911602 B1 KR101911602 B1 KR 101911602B1 KR 1020160114941 A KR1020160114941 A KR 1020160114941A KR 20160114941 A KR20160114941 A KR 20160114941A KR 101911602 B1 KR101911602 B1 KR 101911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joint
flange
coupling
join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4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7812A (ko
Inventor
이미호
Original Assignee
이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미호 filed Critical 이미호
Priority to KR1020160114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1602B1/ko
Publication of KR20180027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7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1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1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 F16L27/107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the ends of the pipe being interconnected by a flexible sleeve
    • F16L27/10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the ends of the pipe being interconnected by a flexible sleeve the sleeve having the form of a bellows with only one corrug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 F16L27/1012Flanged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 F16L27/1017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4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기체, 유체 등의 이송을 위한 배관의 관 연결을 하면서 고무와 같은 연질의 비금속 재질로 제작된 이음관의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플랜지 홀의 뒤틀림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보강구조를 갖는 러버 익스펜션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한 본 발명은, 복수의 배관(10)을 연결하기 위한 러버 익스펜션 조인트로서, 상기 복수의 배관(10) 사이에 연결되어 관 이음을 수행하는 이음관(100)과; 상기 이음관(100)의 한쪽 끝단을 배관(10)에 결합하는 고정 플랜지(200)와; 상기 고정 플랜지(200)의 반대쪽으로 이음관(100)의 끝단 외주에 간격(S)을 갖으면서 끼워지되, 상기 간격(S)을 통해 이음관(100)에 간섭없이 자유롭게 회전가능하여 배관(10)의 체결위치에 맞게 조절한 후 이음관(100)을 배관(10)에 결합하는 동작 플랜지(300)와; 상기 이음관(100)의 일단 또는 양단 중 어느 하나의 내부 둘레에 삽입되되, 상기 이음관(100)이 배관(10)에 결합된 부분을 지지하여 보강하는 보강구조물(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보강구조를 갖는 러버 익스펜션 조인트 {Rubber Expansion Joint}
본 발명은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기체, 유체 등의 이송을 위한 배관의 관 연결을 하면서 고무와 같은 연질의 비금속 재질로 제작된 이음관의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플랜지 홀의 뒤틀림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보강구조를 갖는 러버 익스펜션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러버 익스펜션 조인트(Rubber Expansion Joint)는 배관의 관 연결을 하기 위한 것이며, 진동이 발생하는 장치의 배관이나, 유체의 흐름 과정에서 진동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배관에 설치되어 진동을 흡수하는 목적 및 현장에서 배관의 설치 공차가 허용치를 초과하여 발생하는 경우 러버 익스펜션 조인트를 인위적으로 수축 및 팽창하여 그 공차를 보정 하는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과 관련하여 특허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1366호를 살펴보면, 석유 송유관, 가스관 등에 사용되는 산업용 고무 익스펜션 조인트로, 관과 관에 형성되는 플랜지에 밀착되는 한 쌍의 금속 플랜지를 가지며, 상기 플랜지에 형성되는 제1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에 설치되어 관과 관 내의 유체의 압력, 온도의 변동이나 기타 외부의 압력 변화에 따른 관의 변위를 흡수하기 위해 설치되는 타이로드와, 상기 금속 플랜지와 관에 형성된 플랜지를 기밀하게 밀착시키기 위한 체결너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금속 플랜지 사이에 설치되어 유체의 압력, 온도의 변동에 의해 신축되는 고무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금속 플랜지에 설치되는 타이로드와 타이로드 사이에 볼트구멍이 개방된 제2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부에 조절타이로드가 설치되는 구성이다.
또한, 특허문헌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040492호를 살펴보면, 대략 통 모양의 가요관이 적어도 일단측에 링 모양의 제1 플랜지를 갖추는 중공의 가요 이음매와, 관체가 적어도 일단 측에 링 모양의 제2 플랜지를 갖추는 상대측 배관이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로 체결되는 것으로 접속된 접속 구조로서, 상기 가요 이음매는 상기 가요관의 단부가 상기 제1 플랜지에 돌출해 상기 제2 플랜지에 접촉 가능한 링 모양의 패킹부를 갖추어 상기 상대측 배관은 상기 패킹부에 접촉 가능한 링 모양의 개스킷을 상기 제2 플랜지에 대비해 상기 패키부의 외경은 상기 캐스킷의 외경 보다 작게 형성되는 구성이다.
또한, 특허문헌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10-227381호를 살펴보면, 내부에 타이어 코드를 가지며, 원통형부 단부에 플랜지가 돌출된 유연한 피팅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부 단부 내로 그 축선에 평행하게 매설된 짧은 원통형 금속과, 상기 플랜지부 내에 그에 평행하게 매설된 환상 금속판 부 및 단면 L 자 형상으로 일체화되어, 그 외주에 상기 타이어 코드에 붙은 유연한 피팅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선행기술문헌을 배경으로 다양한 러버 익스펜션 조인트가 개발되고 있지만, 이들은 개선해야할 기술적 문제점들이 노출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를 살펴보면, 종래의 경우 배관 체결을 위한 금속 플랜지 사이로 고무 이음관이 연결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고무 재질의 연질특성으로 관 연결부분이 움직일 수 있으며, 유체 또는 기체의 이동에 따라 관 연결부분에 반복적인 유동이 발생하면 피로하중이 누적되면서 고무 이음관의 연결부분이 찢어지는 등의 파손을 야기하여 유체 또는 기체가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경우 배관에 볼트 체결하는 금속 플랜지는 고무 이음관의 양단에 고정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볼트구멍이 맞지 않으면 고무 이음관을 강제로 비틀어 볼트구멍의 위치를 맞춰서 시공함에 따라 시공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1366호(2013.5.29) (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040492호(2007.02.15) (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10-227381호(1998.08.25)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금속 플랜지가 양단에 연결되는 고무 이음관의 연결부분으로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보강구조를 마련하여 구조를 개선함에 따라 유체 또는 기체의 이동에 의한 유동으로 고무 이음관에 전달되는 하중을 보강구조가 흡수하여 피로하중이 누적되지 않게 하고, 고무 이음관의 연결부분이 찢어지는 등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하는 보강구조를 갖는 러버 익스펜션 조인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 플랜지와 고무 이음관의 연결 부분 사이로 자유롭게 회전하면서 금속 플랜지의 볼트구멍을 맞출 수 있게 하는 구조를 마련함에 따라 배관에 금속 플랜지를 볼트 체결하는 과정에서 볼트구멍을 맞추기 위해 고무 이음관을 강제로 비틀지 않아도 되어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의 배관(10)을 연결하기 위한 러버 익스펜션 조인트로서,
상기 복수의 배관(10) 사이에 연결되어 관 이음을 수행하는 이음관(100)과;
상기 이음관(100)의 한쪽 끝단을 배관(10)에 결합하는 고정 플랜지(200)와;
상기 고정 플랜지(200)의 반대쪽으로 이음관(100)의 끝단 외주에 간격(S)을 갖으면서 끼워지되, 상기 간격(S)을 통해 이음관(100)에 간섭없이 자유롭게 회전가능하여 배관(10)의 체결위치에 맞게 조절한 후 이음관(100)을 배관(10)에 결합하는 동작 플랜지(300)와;
상기 이음관(100)의 일단 또는 양단 중 어느 하나의 내부 둘레에 삽입되되, 상기 이음관(100)이 배관(10)에 결합된 부분을 지지하여 보강하는 보강구조물(4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구조를 갖는 러버 익스펜션 조인트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 플랜지가 연결되는 고무 이음관의 양단 내부로 금속 재질로 하중을 지지하는 보강구조물 삽입하여 구성함으로써 유체 또는 기체의 이동에 의한 유동으로 고무 이음관에 전달되는 하중을 보강구조물이 흡수하여 피로하중이 누적되지 않게 하고, 고무 이음관의 양단 연결부분이 찢어지는 등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무 이음관의 한쪽은 움직임이 제한된 고정 플랜지를 체결하고, 그 반대쪽으로 고무 이음관에 간섭없이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동작 플랜지를 체결 구성함으로써 배관에 플랜지를 볼트 체결하는 과정에서 동작 플랜지를 회전시켜 볼트구멍을 맞추는 구조에 따라 고무 이음관을 강제로 비틀지 않아도 되어 간편하게 시공가능한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러버 익스펜션 조인트에 대한 각부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러버 익스펜션 조인트에 대한 각부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러버 익스펜션 조인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거나 속하지 아니한 기술분야에서 광범위하게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과 더불어 이에 따른 본 발명의 요지를 더욱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러버 익스펜션 조인트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에 따른 러버 익스펜션 조인트(1)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복수의 배관(10)을 관 이음 하는 이음관(100)과, 이음관(100)의 한쪽을 배관(10)에 결합하는 고정 플랜지(200)와, 배관(10)의 체결위치에 맞게 조절한 후 이음관(100)을 배관(10)에 결합하는 동작 플랜지(300)와, 이음관(100)의 배관(10)에 결합된 부분을 지지하여 보강하는 보강구조물(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기본 구성의 실시 예로서, 제1 실시 예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러버 익스펜션 조인트의 각부 구성을 도 1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러버 익스펜션 조인트의 측단면도이다.
먼저, 상기 이음관(100)은;
복수의 배관(10) 사이에 연결되어 관 이음을 수행함으로, 상기 복수의 배관(10)을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른 이음관(100)은 연질의 비금속 재질로 제작하는데, 바람직하게는 고무 재질이고,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기체, 유체의 이송을 위한 복수의 배관(10) 사이를 연결하여 관로가 되도록 전체적으로 이음관(100)이 중앙이 관통된 원통의 관 형태로 제작되며, 상기 이음관(100)을 연질의 고무 재질로 제작함으로 배관(10)을 통해 기체 및 유체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동에 대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본 실시 예에 따른 이음관(100)은; 끼움부(110), 받침부(120), 관로부(130)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이음관(100)은; 한쪽 끝단으로 상기 고정 플랜지(200)와 배관(10) 사이에 압박되어 끼워지도록 판 형태로 연장되는 끼움부(1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끼움부(110)는 중공의 원판으로 관로부(130)의 한쪽 끝단에서 직각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부분이며, 고정 플랜지(200)와 배관(10) 사이에 끼움부(110)가 압박되어 끼워짐으로 고무 재질의 특성상 배관에 끼움부(110)가 밀착되면서 기밀을 유지하게 한다.
또한, 상기 이음관(100)은; 상기 끼움부(110)의 반대쪽으로 돌출되되, 그 돌출된 측면은 배관(10)에 밀착된 상태에서 동작 플랜지(300)의 안쪽에 형성된 수용홈(320)에 삽입되는 받침부(1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받침부(120)는 중공의 원판으로 후술하는 동작 플랜지(300)에 마련된 수용홈(320)에 대응한 직경으로 끼움부(110)의 반대쪽 끝단에서 관로부(130)에 직각으로 일체로 돌출되는 부분이며, 상기 받침부(120)의 돌출된 측면은 배관(10)의 측면에 밀착되면서 고무 재질의 특성상 기밀을 유지하게 하고, 상기 받침부(120)의 돌출된 부분은 동작 플랜지(300)의 안쪽에 형성된 수용홈(320)에 삽입됨으로 동작 플랜지(300)가 배관(10)에 직접적 면 접촉되어 체결되게 한다.
이때, 상기 받침부(120)는 직접적으로 체결되는 부분이 아니므로 후술하는 보강구조물(400)일 필수로 내부에 마련되어 보강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이음관(100)은; 상기 끼움부(110)와 받침부(120) 사이에 일체로 연장되어 관로가 되는 관로부(1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관로부(130)는 중공의 관 형태로 기체 및 유체의 관로가 되는 부분이며, 상기 관로부(130)의 길이를 복수의 배관(10)이 이격된 거리 및 배관(10)을 연결하는 장소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임의 길이를 갖도록 각각 제작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킨다.
이때, 상기 관로부(130)와 더불어, 끼움부(110)와 받침부(120)는 사출 성형과 같은 방식을 통해 일체로 성형하여 이음관(100)을 제작한 후 고무에 유황을 첨가하면서 가열하는 작용에 의해 탄성력, 장력을 증가시키면서 온도변화에 영향을 크게 받지 않도록 가황 작업을 수행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관로부(130)는; 중앙 안쪽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되어 이음관(100)의 양방향으로 탄성 반발력이 발휘되어 배관(10)에 밀착되게 하는 탄성홈(131)을 더 포함한다.
상기 탄성홈(131)은 관로부(130)의 중앙 안쪽으로 임의 간격 및 깊이의 홈으로 형성됨으로 기체 및 유체 이송에 의해 발생하는 유동으로 관로부(130)의 양방향으로 탄성 반발력이 발휘되게 하여 끼움부(110)와 받침부(120)가 배관(10)에 각각 견고하게 밀착되면서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탄성홈(131)이 형성된 부분의 관로부(130) 외측은 탄성홈(131)이 형성된 깊이에 대응하여 돌출된 형상을 갖게 되어 관로부(130)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여기서, 상기 관로부(130)는; 내부 둘레에 삽입되어 이음관(100)을 지지하는 서포트링(132)을 더 포함한다.
상기 서포트링(132)은 관로부(130)의 내부 둘레에 금속 링 형태로 사출 성형 과정에서 삽입되는 것이며, 상기 서포트링(132)은 단일 링 형태로 제작하여 복수의 서포트링(132)을 삽입하거나, 또는 서포트링(132)을 스프링 형태로 제작하여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포트링(132)을 스프링 형태로 제작하는 경우 탄성력이 작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플랜지(200)는;
상기 이음관(100)의 한쪽 끝단을 배관(10)에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른 고정 플랜지(200)는 금속 재질이며, 중공의 원판형태로 상기 이음관(100)의 끼움부(110) 크기에 대응 제작하는데, 그 내측에는 볼트 체결을 위한 다수의 제1체결홀(211)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구조이다.
상기 고정 플랜지(200)의 중공 부분이 상기 관로부(130)에 끼워지면서 고정 플랜지(200)의 측면이 끼움부(110)에 밀착된 후 상기 제1체결홀(211)에 볼트가 삽입되면서 배관(10)에 체결되어 이음관(100)의 한쪽을 배관(10)에 결합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 플랜지(200)는 최초 러버 익스펜션 조인트(1)를 배관(10)에 결합시키는 부분으로, 상기 고정 플랜지(200)를 이용해 이음관(100)을 임시 고정한 상태에서 이음관(100)의 반대쪽 조립을 완료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동작 플랜지(300)는;
상기 고정 플랜지(200)의 반대쪽으로 이음관(100)의 끝단 외주에 간격(S)을 갖으면서 끼워지되, 상기 간격(S)을 통해 이음관(100)에 간섭없이 자유롭게 회전가능하여 배관(10)의 체결위치에 맞게 조절한 후 이음관(100)을 배관(10)에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른 동작 플랜지(300)는 금속 재질이며, 중공의 원판형태로 배관(10)에 직접 밀착 지지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제작되고, 그 내측에는 볼트 체결을 위한 다수의 제2체결홀(311)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안쪽에는 이음관(100)의 받침부(120)가 삽입되도록 수용홈(320)이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동작 플랜지(300)의 중공 부분이 상기 관로부(130)에 끼워지면서 동작 플랜지(300)의 수용홈(320)에 받침부(120)가 삽입된 후 제2체결홀(311)에 볼트가 삽입되면서 배관(10)에 체결되어 이음관(100)의 고정 플랜지(200) 반대쪽을 배관(10)에 결합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동작 플랜지(300)는, 관로부(130)에 끼워진 중공 부분 및 수용홈(320)과 받침부(120) 사이의 틈으로 임의 간격을 갖도록 하는 간격(S)이 마련되고, 상기 간격(S)은 동작 플랜지(300)가 볼트 체결되기에 앞서 볼트구멍을 정확히 맞추기 위해 동작 플랜지(300)가 이음관(100)에 간섭없이 자유 회전하여 조절기능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간격(S)은, 이음관(100)의 외주와 동작 플랜지(300) 사이의 틈을 1 ~ 3mm로 이격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간격(S)이 1mm 이하인 경우 이음관(100)의 외주와 동작 플랜지(300)가 서로 직접 접촉될 수 있음으로, 그 접촉된 상태에서 동작 플랜지(300)를 강제로 회전시키면 이음관(100)의 끼워진 부위가 파손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간격(S)이 3mm 이상인 경우 유체 및 기체의 이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동에 의해 이음관(100)의 받침부(120) 부분이 상하좌우로 크게 흔들릴 수 있으며, 그 유동에 의해 기밀을 유지할 수 없거나, 심하게는 이음관(100)의 받침부(120)가 이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구조물(400)은;
상기 이음관(100)의 일단 또는 양단 중 어느 하나의 내부 둘레에 삽입되되, 상기 이음관(100)이 배관(10)에 결합된 부분을 지지하여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보강구조물(400)은 상기 이음관(100)의 받침부(120) 및 끼움부(110) 중 어느 한쪽 및 받침부(120) 및 끼움부(110) 양측에 선택적으로 삽입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받침부(120)에 삽입하여 이음관(100)이 고정 플랜지(200) 및 동작 플랜지(300)를 통해 배관(10)에 연결된 부분을 지지하여 파손을 방지하게 하는 구조이다.
상기 보강구조물(400)은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중공의 원판형태로 카본스틸(carbon steel) 또는 기타 금속재질로 제작되고, 카본스틸을 이용하면 열처리 효과가 좋으며, 강도가 높고, 가벼운 장점을 갖게 된다.
이때, 상기 보강구조물(400)은 이음관(100)을 사출 성형하는 과정에서 이음관(100)에 삽입하여 성형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강구조물(400)을 부가함에 따라 유체 또는 기체의 이동에 의한 유동으로 고무 이음관(100)에 전달되는 하중을 보강구조물(400)이 흡수하여 피로하중이 누적되지 않게 하고, 고무 이음관(100)의 양단 연결부분이 찢어지는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제2 실시 예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러버 익스펜션 조인트의 각부 구성을 도 2를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러버 익스펜션 조인트의 측단면도이다.
이에 따르면, 전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러버 익스펜션 조인트(1) 중 상기 보강구조물(400)은, 보강구조물(400)과 함께 이음관(100)에 삽입되되, 자체 자력(磁力)을 이용해 이음관(100)이 배관(10)에 임시로 붙어서 고정되게 하는 제1자석부재(4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자석부재(410)는 이음관(100)의 받침부(120) 및 끼움부(110) 중 어느 한쪽 및 받침부(120) 및 끼움부(110) 양측에 선택적으로 삽입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받침부(120)에 보강구조물(400)과 함께 삽입하여 동작 플랜지(300)를 이용해 이음관(100)의 받침부(120)를 배관(10)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임시로 상기 받침부(120)가 배관(10)에 자력을 이용해 붙어서 고정되어 조립편의성을 제공하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제1자석부재(410)는 중공의 원판형태로 자력을 갖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되, 영구자석의 일종이며, 비교적 자력이 강한 네오디움 자석, 페라이트 자석, 알리코 자석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 플랜지(300)는, 보강구조물(400)과 함께 제1자석부재(410)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간격(S)의 안쪽으로 마련되어 자체 자력(磁力)을 발휘하며, 상기 제1자석부재(410)와 같은 극성으로 대치되어 척력을 이용해 간격(S)을 자력으로 확보하게 하는 제2자석부재(4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자석부재(420)는 간격(S)의 형상에 대응된 중공의 원판형태로 자력을 갖는 금속 재질로 제작되되, 상기 간격(S)의 안쪽 면에 고정되게 부착되고, 상기 제1자석부재(410)가 동작 플랜지(300) 측으로 발휘되는 자력의 극성이 N 극이면, 상기 제2자석부재(420) 역시 제1자석부재(410)에 대치되는 극성이 N 극으로, 상기 제1자석부재(410)에 대치되는 극성을 동일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자석부재(410) 및 제2자석부재(420)를 더 부가함에 따라 배관(10)에 연결하는 조립편의성을 제공하면서, 동작 플랜지(300)의 회전작동을 위한 간격(S)을 자석의 척력을 이용해 일정하게 자동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한 설명과 도면으로 표현하였으나, 여기서 사용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이 용어들에 대한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를 제한하기 위함이 아니며,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따른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및 개조, 수정 등이 가능할 수 있음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러버 익스펜션 조인트 10; 배관
100; 이음관 110; 끼움부
120; 받침부 130; 관로부
200; 고정 플랜지 300; 동작 플랜지
320; 수용홈 400; 보강구조물
410; 제1자석부재 420; 제2자석부재

Claims (5)

  1. 복수의 배관(10)을 연결하기 위한 러버 익스펜션 조인트로서,
    상기 복수의 배관(10) 사이에 연결되어 관 이음을 수행하는 이음관(100)과;
    상기 이음관(100)의 한쪽 끝단을 배관(10)에 결합하는 고정 플랜지(200)와;
    상기 고정 플랜지(200)의 반대쪽으로 이음관(100)의 끝단 외주에 간격(S)을 갖으면서 끼워지되, 상기 간격(S)을 통해 이음관(100)에 간섭없이 자유롭게 회전가능하여 배관(10)의 체결위치에 맞게 조절한 후 이음관(100)을 배관(10)에 결합하는 동작 플랜지(300)와;
    상기 이음관(100)의 일단 또는 양단 중 어느 하나의 내부 둘레에 삽입되되, 상기 이음관(100)이 배관(10)에 결합된 부분을 지지하여 보강하는 보강구조물(4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음관(100)은,
    한쪽 끝단으로 상기 고정 플랜지(200)와 배관(10) 사이에 압박되어 끼워지도록 판 형태로 연장되는 끼움부(110)와;
    상기 끼움부(110)의 반대쪽으로 돌출되되, 그 돌출된 측면은 배관(10)에 밀착된 상태에서 동작 플랜지(300)의 안쪽에 형성된 수용홈(320)에 삽입되는 받침부(120)와;
    상기 끼움부(110)와 받침부(120) 사이에 일체로 연장되어 관로가 되는 관로부(1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로부(130)는, 중앙 안쪽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되어 이음관(100)의 양방향으로 탄성 반발력이 발휘되어 배관(10)에 밀착되게 하는 탄성홈(131)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관로부(130)는, 내부 둘레에 삽입되어 이음관(100)을 지지하는 서포트링(132)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구조물(400)은, 보강구조물(400)과 함께 이음관(100)에 삽입되되, 자체 자력을 이용해 이음관(100)이 배관(10)에 임시로 붙어서 고정되게 하는 제1자석부재(4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 플랜지(300)는, 보강구조물(400)과 함께 제1자석부재(410)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간격(S)의 안쪽으로 마련되어 자체 자력을 발휘하며, 상기 제1자석부재(410)와 같은 극성으로 대치되어 척력을 이용해 간격(S)을 자력으로 확보하게 하는 제2자석부재(4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간격(S)은 이음관(100)의 외주와 동작 플랜지(300) 사이의 틈을 2 ~ 3mm로 이격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링(132)은 스프링 형태로 제작하여 삽입하면서 탄성력이 작용하게 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구조물(400)은 카본 스틸로 이루어진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구조물(400)은 이음관(100)을 사출 성형하는 과정에서 이음관(100)에 삽입하여 인서트 성형하는 것을 더 포함한 보강구조를 갖는 러버 익스펜션 조인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114941A 2016-09-07 2016-09-07 보강구조를 갖는 러버 익스펜션 조인트 KR101911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941A KR101911602B1 (ko) 2016-09-07 2016-09-07 보강구조를 갖는 러버 익스펜션 조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941A KR101911602B1 (ko) 2016-09-07 2016-09-07 보강구조를 갖는 러버 익스펜션 조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812A KR20180027812A (ko) 2018-03-15
KR101911602B1 true KR101911602B1 (ko) 2018-10-24

Family

ID=61659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4941A KR101911602B1 (ko) 2016-09-07 2016-09-07 보강구조를 갖는 러버 익스펜션 조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16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9674A (zh) * 2019-09-04 2019-12-03 李洁玲 一种缓冲进风管及可减缓进风冲击的空气过滤器
KR102197128B1 (ko) * 2019-12-27 2020-12-30 (주)동양기업 고압용 컴펜세이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289B1 (ko) * 2011-05-31 2012-01-31 주식회사 거보 파이프용 탄성 커넥터와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289B1 (ko) * 2011-05-31 2012-01-31 주식회사 거보 파이프용 탄성 커넥터와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812A (ko) 2018-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35293A (en) Glass pipe coupling
US5248168A (en) Flexible quick disconnect coupling with vibration absorbing member
EP3397884B1 (en) Adapter coupling
BRPI0609396A2 (pt) montagem de abraçadeira para tubo
US3556568A (en) Conduit connection means
US8714202B2 (en) Pipe repair device
US20090309355A1 (en) Double cover-center cushion decoupler
KR101911602B1 (ko) 보강구조를 갖는 러버 익스펜션 조인트
DK2644960T3 (en) Combination of two tubes and a pipeline connector with compensator
KR100904290B1 (ko) 관로 이음용 커플링 밴드
CN203823269U (zh) 用于动态管道系统的管路密封组件
KR101146829B1 (ko) 루즈 플랜지식 플레어 관 조인트 및 그것을 사용한 강관의 접합 방법
KR101171334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1844820B1 (ko) 내압성능이 향상된 신축 관 이음장치
GB2485350A (en) Pipe coupling
US11933432B2 (en) Device for making plumbing connections and a method of use thereof
US10151410B2 (en) Extending/contracting flexible pipe and method for assembling extending/contracting flexible pipe
KR101449428B1 (ko) 파이프 커플링
KR102305130B1 (ko) 그루브드 파이프 커플링장치
KR101615898B1 (ko) 배관 커플링을 이용한 신축이음장치
RU2330207C1 (ru) Трубная муфта
CN207349626U (zh) 一种管道抗震连接结构
US9261210B2 (en) Pipe connector
CN210600664U (zh) 异径管连接处抢修装置
CN214119286U (zh) 管路连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