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0807B1 - Peg-기반 하이드로젤을 포함하는 3차원 세포배양 시스템 - Google Patents

Peg-기반 하이드로젤을 포함하는 3차원 세포배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0807B1
KR101910807B1 KR1020160143486A KR20160143486A KR101910807B1 KR 101910807 B1 KR101910807 B1 KR 101910807B1 KR 1020160143486 A KR1020160143486 A KR 1020160143486A KR 20160143486 A KR20160143486 A KR 20160143486A KR 101910807 B1 KR101910807 B1 KR 101910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g
based hydrogel
delete delete
human dermal
dermal fibroblas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3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7433A (ko
Inventor
이승태
임혜원
윤정임
김민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바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바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바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160143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0807B1/ko
Priority to PCT/KR2017/011802 priority patent/WO2018080148A2/ko
Publication of KR20180047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7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0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0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062General methods for three-dimensional cul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068General culture methods using substr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3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aqueous media
    • C08J3/075Macromolecular ge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25Epidermal cells, skin cells; Cells of the oral mucos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25Epidermal cells, skin cells; Cells of the oral mucosa
    • C12N5/0626Melanocy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25Epidermal cells, skin cells; Cells of the oral mucosa
    • C12N5/0629Keratinocytes; Whole ski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1/02Polyalk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13/003D cul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33/00Supports or coatings for cell culture, characterised by material
    • C12N2533/30Synthet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33/00Supports or coatings for cell culture, characterised by material
    • C12N2533/50Protei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37/00Supports and/or coatings for cell culture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chemical treatment
    • C12N2537/10Cross-link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ell 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EG(polyethylene glycol)-기반 하이드로젤을 포함하는 3차원 세포배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PEG-기반 하이드로젤은 비닐술폰(vinylsulfone)이 결합된 PEG(polyethylene glycol)인 PEG-VS(polyethylene glycol-vinylsulfone)에 부착 펩타이드(adhesion peptide) 및 가교제(crosslinker)를 혼합하여 제조되며, 상기 시스템은 피부세포인 진피섬유아세포, 멜라노세포 또는 케라틴세포를 배양할 수 있어 피부세포의 활성을 측정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PEG-기반 하이드로젤을 포함하는 3차원 세포배양 시스템{3D cell culture system comprising PEG-based hydrogel}
본 발명은 PEG-기반 하이드로젤을 포함하는 3차원 세포배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경제 성장과 더불어 모든 연령층에서 미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화장품산업은 시장 규모가 점차적으로 거대화되고, 이후에 기능성 및 다양성, 안정성을 추구하면서 생명공학, 화학, 의학, 약학 등의 여러 과학기술들이 융합 및 적용됨에 따라 고부가가치산업의 창출을 도모할 수 있는 사업으로 성장하였다. 또한, 현재 글로벌 경제위기에도 불구하고 여성경제활동 인구의 증가, 미용에 대한 관심 증가로 인한 남성·유아 소비계층이 확대됨에 따라, 생리활성단백질과 바이오 신약 생산과 개발 산업에 비등할 만큼 피부 미용 관련 의약품 및 화장품 개발 산업에도 투자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고령화 사회의 도래와 함께 보다 더 젊고 건강하게 살아가려는 사회적 트렌드로부터 기인된 안티에이징(항노화)에 대한 관심은 화장품 및 미용분야에서 크게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며, 따라서, 안티에이징 화장품 시장은 현재 성장하는 화장품 시장 가운데에 더욱 괄목할 만한 성장을 보여주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2014년 "화장품 표시 광고 관리 가이드라인"에 의하면 화장품 관련 표시 및 광고를 실증하기 위하여 인체적용시험(in vivo) 또는 생체 외 시험(in vitro)을 수행해야 한다. 과거 화장품에 자유롭게 표기되던 피부노화 완화 또는 안티에이징이란 표현이 화장품 표시 광고 주요 실증대상이 되어 인체적용시험 자료 또는 인체 외 시험자료로 입증해야만 하는 상황이다. 현재 안티에이징 효과를 입증하는 연구는 주름개선, 피부탄력, 광노화완화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진피 내 주요 구성세포인 진피섬유아세포를 활용한 MMP 억제 효능 시험, 라디칼 소거 효능, 염증반응 억제 효능 등의 특정 효소 활성 조절에 관한 실험들이 수행되고 있다.
하지만, 2차원적인 세포 배양 시 세포 본연의 기능 및 표현형을 잃게 되고, 세포와 세포 간 또는 세포 외 기질 간의 상호작용이 결여되어 기능적인 분화특성을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결과를 바탕으로 화장품 유효성분들의 효능에 대해 논하기에는 다소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근본적인 하나의 대안으로써 각종 피부세포들의 증식 및 세포활성을 증진시켜 피부조직을 재생시킬 수 있는 생체적합물질을 이용하여 3차원적인 피부조직을 구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세계 각국에서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는 상황이며, 최근에는 국내·외 여러 회사들에 의해 Apligraf(Organogenesis Inc.), Dermagraft(Advanced Tissue Sciences), Epicel(Genzyme Tissue repair), Integra(Integra Life Sciences), Kaloderm(Tego Science) 등의 이름으로 상품화 되어있다. 하지만 이러한 3D 피부조직 재생 제품들은 체내에 이식되어 내인성 피부세포들의 증식을 유도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체외에서 피부조직을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피부세포들을 3차원으로 조직화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이들 시스템들을 통해 구현된 피부조직들은 체내 피부조직 미세환경에 대한 정보들에 기반한 시스템이 아니기 때문에, 실제 체내 피부조직 특성과는 정확히 일치하지 않으며, 다양한 응용을 위해 요구되는 자유로운 피부조직 형태 변화가 어렵다는 점과 함께 생산이 까다로워 효능 검증에 이용하는데 있어서 발생되는 고비용이 아직까지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 화장품 내 유효인자들에 대한 정확하고 편리하며, 저비용의 효능 평가를 위한 대안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며, 이를 위해 피부조직내 미세환경을 정밀하게 모방한 피부구성세포들의 3차원적 체외 배양시스템 개발이 적극 요구되고 있다.
1.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38120호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11563호
본 발명의 목적은 PEG(polyethylene glycol)-기반 하이드로젤을 포함하는 3차원 세포배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닐술폰(vinylsulfone)이 결합된 PEG(polyethylene glycol)인 PEG-VS(polyethylene glycol-vinylsulfone)에 부착 펩타이드(adhesion peptide)를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부착 펩타이드가 결합된 PEG-VS에 가교제(crosslinker) 및 세포를 혼합하여 세포가 삽입된 PEG-기반 하이드로젤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하이드로젤은 젤화반응을 통해 원형 디스크 형태로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세포배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PEG(polyethylene glycol)-기반 하이드로젤을 포함하는 3차원 세포배양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PEG-기반 하이드로젤은 비닐술폰(vinylsulfone)이 결합된 PEG(polyethylene glycol)인 PEG-VS(polyethylene glycol-vinylsulfone)에 부착 펩타이드(adhesion peptide) 및 가교제(crosslinker)를 혼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세포가 삽입된 후 젤화반응을 통해 원형 디스크 형태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젤화반응은 20분 내지 40분 동안 25℃ 내지 37℃에서 반응시키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0분 동안 37℃에서 반응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착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착 펩타이드는 1000 내지 4000 μM의 농도,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2000 μM의 농도로 사용되는 것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600 μM의 농도로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MMP1-특이적인 가교제 또는 multi-MMP-특이적인 가교제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MMP1-특이적인 가교제는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고, 상기 multi-MMP-특이적인 가교제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피부세포의 배양을 위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부세포는 진피섬유아세포, 멜라노세포 또는 케라틴세포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닐술폰(vinylsulfone)이 결합된 PEG(polyethylene glycol)인 PEG-VS(polyethylene glycol-vinylsulfone)에 부착 펩타이드(adhesion peptide)를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부착 펩타이드가 결합된 PEG-VS에 가교제(crosslinker) 및 세포를 혼합하여 세포가 삽입된 PEG-기반 하이드로젤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하이드로젤은 젤화반응을 통해 원형 디스크 형태로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세포배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착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착 펩타이드는 1000 내지 4000 μM의 농도,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2000 μM의 농도로 사용되는 것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600 μM의 농도로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MMP1-특이적인 가교제 또는 multi-MMP-특이적인 가교제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MMP1-특이적인 가교제는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고, 상기 multi-MMP-특이적인 가교제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포는 진피섬유아세포, 멜라노세포 또는 케라틴세포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젤화반응은 20분 내지 40분 동안 25℃ 내지 37℃에서 반응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3차원 세포배양 시스템을 이용하여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세포의 증식, 분화 도는 사멸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포활성 측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세포배양 시스템은 피부세포인 진피섬유아세포, 멜라노세포 또는 케라틴세포를 배양할 수 있어 in vitro에서 피부세포의 활성을 측정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피부 내 진피조직 미세환경을 모방한 3차원 PEG-기반 하이드로젤의 비세포성니쉬 및 이를 활용한 3차원 형태의 진피조직을 구현할 수 있는 인간진피섬유아세포의 3차원 배양시스템에 대한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인간진피섬유아세포에서 발현되는 MMP 종류를 quantitative real-time PCR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이다(ND=not detected, * p<0.05). 모든 값은 3번 수행된 실험들로부터 얻은 값들의 mean±SD를 의미한다.
도 3은 MMP1-특이적인 가교제 또는 multi MMP-특이적인 가교제를 사용하여 제조된 PEG-기반 하이드로젤 내에 인간진피섬유아세포를 배양한 후, 세포의 증식률을 alarmar blue assay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 p<0.05). 모든 값은 3번 수행된 실험들로부터 얻은 값들의 mean±SD를 의미한다.
도 4는 10% (w/v) 3-, 4- 또는 8-arm PEG 를 이용하여 제조된 PEG-기반 하이드로젤 내에 인간진피섬유아세포를 배양한 후, 세포의 증식률을 alarmar blue assay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 p<0.05). 모든 값은 3번 수행된 실험들로부터 얻은 값들의 mean±SD를 의미한다.
도 5는 0, 1600, 2400 또는 3000μM 의 RGD 펩타이드(부착 펩타이드)를 이용하여 제조된 PEG-기반 하이드로젤 내에 인간진피섬유아세포를 배양한 후, 세포의 증식률을 alarmar blue assay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p<0.05). 모든 값은 3번 수행된 실험들로부터 얻은 값들의 mean±SD를 의미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실험재료 및 방법
1.1. 세포주 및 세포배양 방법
인간진피섬유아세포는 Cascade BiologicsTM (Portland, OR, USA)에서 구입하였고, 2%(v/v) 소태아혈청 (FBS; Hyclone, Logan, UT, USA), 3ng/㎖ 염기성 섬유아세포 성장인자(bFGF; PEPROTECH, Rocky Hill, NJ, USA), 10ng/㎖ 인간 상피세포 성장인자(EGF; PEPROTECH), 1㎍/㎖ 하이드로코티손(Sigma-Aldrich, St. Louis, MO, USA), 10㎍/㎖ 겐타마이신(Cascade BiologicsTM) 및 0.25㎍/㎖ 암포테리신 B (Cascade BiologicsTM)가 첨가된 M106 배지(Cascade BiologicsTM; 이하, "표준배양배지"라고 함)에서 37℃, 5% CO2/95% 공기의 습식 세포 배양기 (MCO-20AIC; SANYO, Gunma, Japan)를 사용하여 인간진피섬유아세포를 배양하였다. 계대 배양은 7일 간격으로 수행되었고, 배지는 2일에 한 번 교환되었다. 각각의 실험에는 3회 내지 5회 계대의 인간진피섬유아세포가 사용되었다.
1.2. PEG-기반 하이드로젤(PEG-based hydrogel )의 제작, 인간진피섬유아세포에의 도입 및 배양
비닐술폰(Vinylsulfone)이 결합된 3-, 4-, 8-arm PEG (PEG-VS; polyethylene glycol-vinylsulfone)는 JenKem Technology(Plano, TX, USA)에서 구입되었다. PEG-기반 하이드로젤(PEG-based hydrogel)은 각각의 PEG-VS과 MMP(matrix metalloproteinase)에 의해 특이적으로 절단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내부에 보유하고 양쪽 끝에 시스테인(cystein)을 가지고 있는 펩타이드(이하, "가교제(crosslinker)"라고 함)를 미카엘 유형 첨가(Michael-type addition) 반응을 통해 결합시킴으로써 형성되었다. MMP1, 2, 3, 7, 8 및 9에 의해 절단되는 아미노산 서열(Ac-GCRD-GPQGIWGQ-DRCG-NH2; 서열번호 1)을 가지고 있는 가교제(이하, "Multi MMP-특이적인 가교제(multi MMP-specific crosslinker)"라고 함)와 MMP1에 의해 특이적으로 절단되는 아미노산 서열(Ac-GCRD-VPMSMRGG-DRCG-NH2; 서열번호 2)을 가지고 있는 가교제(이하, "MMP1-특이적인 가교제(MMP1-specific crosslinker)"라고 함)를 Peptron(Daejeon, Korea)에 의뢰하여 합성하였다. 또한, 부착세포들의 일종인 인간진피섬유아세포가 PEG-기반 하이드로젤(PEG-based hydrogel)내에서 부착할 수 있는 모티프를 제공하기 위해 Ac-RGDSP(서열번호 3)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가진 부착 펩타이드(adhesion peptide)를 Peptron(Daejeon, Korea)에 의뢰하여 합성하였다.
인간진피섬유아세포가 삽입될 부착 펩타이드가 결합된 10% (w/v) PEG-기반 하이드로젤을 제작하기 위하여, 각각의 PEG-VS는 인간진피섬유아세포의 표준배양배지에서 각각의 가교제들과 부착 펩타이드를 0.3M HEPES buffer(pH 8.0)에 녹여 스톡(stock)으로 준비하였고, 인간진피섬유아세포들은 인간진피섬유아세포 표준배양배지에 의해 현탁되었다. 각각의 PEG-VS에 부착 펩타이드를 결합시키기 위해 부착 펩타이드 스톡 용액은 각각의 PEG-VS 스톡 용액과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후, 부착 펩타이드가 결합된 PEG-VS 용액은 가교제와 인간진피섬유아세포 스톡 용액들과 혼합되었다. 6μl의 혼합 용액은 원형 디스크 형태로 만들어서 30분 동안 37℃에서 겔화반응을 시켰다. 이후, PEG-기반 하이드로젤에 삽입된 인간진피섬유아세포는 37℃, 5% CO2/95%의 세포 배양기에서 표준배양배지를 사용하여 7일 동안 배양되었으며, 배지는 매일 교환하였다.
1.3. 인간진피섬유아세포의 세포증식률 분석 방법
인간진피섬유아세포의 세포 증식률을 분석하기 위하여, 상기 세포는 7℃, 5% CO2/95%의 세포배양기에서 14일 동안 배양되었고, 배양 1일째와 14일째에는 10% (v/v) alarmar blue solution(Invitrogen)가 첨가된 표준배양배지로 교환되었다. 2시간 후, 배양액을 수집하여 570nm와 600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증식률은 배양 14일째 측정된 흡광도를 배양 1일째에 측정된 흡광도로 나누어 계산되었다.
1.4. 통계분석
모든 데이터는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하였고, SAS 패키지에 포함된 ANOVA(analysis of variance)를 이용하여 각 실험에 대한 유의성 검정을 수행하였다. 유의적 차이는 least-square 또는 DUNCAN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p value가 0.05 미만일 때,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실시예 2. 3차원 스캐폴드 제작에 필요한 인간진피섬유아세포 친화적인 가교 제에 대한 분석 결과
본 발명의 3차원 스캐폴드는 PEG-기반 하이드로젤을 이용하여 구현되었으며, 인간진피섬유아세포 친화적 PEG-기반 하이드로젤을 제작하기 위해, 우선, PEG-VS과 가교제의 네트워크 형성에 의해 만들어진 PEG-기반 하이드로젤 내에서 인간진피섬유아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키기 위해 가교제를 최적화하고자 하였다. PEG-기반 하이드로젤 내에서 인간진피섬유아세포가 증식하기 위해서는 하이드로젤 내에서의 공간 확장은 필수적인 요소이며, 이러한 공간 확장 효율은 가교제 내에 존재하면서 MMP에 의해 분해되는 아미노산 서열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인간진피섬유아세포에서 활발히 분비되어지는 MMP의 유형을 확인하기 위해, 초기 배양된 인간진피섬유아세포를 quantitative real-time PCR를 이용하여 MMP family의 mRNA 발현 정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인간진피섬유아세포에서 MMP1, MMP2, MMP3 유전자 발현이 탐지되었으며(도 2), 이 중 MMP1 유전자의 발현수준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MMP7, MMP8 및 MMP9 유전자 발현은 탐지되지 않았다.
상기 결과를 바탕으로, MMP1에 의해 특이적으로 절단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고 있는 가교제(MMP1-특이적인 가교제)와 MMP1, MMP2, MMP3, MMP7, MMP8, MMP9에 의해 모두 절단될 수 있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고 있는 가교제(multi MMP-특이적인 가교제)를 제작하였으며, 이들과 1600μM의 부착 펩타이드를 이용하여 제작된 3차원 PEG-기반 하이드로젤 내에서 배양된 인간진피섬유아세포의 증식률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MMP1-특이적인 가교제를 이용하여 제작된 10% (w/v) 3-arm PEG-기반 하이드로젤에서 배양된 인간진피섬유아세포의 증식률이 multi MMP-특이적인 가교제를 이용하여 제작된 10% (w/v) 3-arm PEG-기반 하이드로젤에서 배양된 인간진피섬유아세포의 증식률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음을 확인하였다(도 3).
삭제
따라서, MMP1-특이적인 가교제는 인간진피섬유아세포에 친화적인 3차원 스캐폴드 제작에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3차원 스캐폴드 제작에 필요한 PEG-기반 하이드로젤(PEG-based hydrogel)의 조건에 대한 분석 결과
이후, 인간진피섬유아세포의 증식을 자극할 수 있는 물리적 강도를 가지는 3차원 PEG-기반 하이드로젤 조건을 탐색하기 위해, 초기 배양된 인간진피섬유아세포는 MMP1-특이적인 가교제와 1600μM의 부착 펩타이드를 이용하여 제작된 10% (w/v) 3-, 4-, 8-arm PEG-기반 하이드로젤 내에서 각각 배양되었고, 2주 후 각 PEG-기반 하이드로젤에서 배양된 인간진피섬유아세포의 증식률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10% (w/v) 3-arm PEG-기반 하이드로젤에서 배양된 인간진피섬유아세포는 10% (w/v) 4-arm PEG-기반 하이드로젤과 10% (w/v) 8-arm PEG-기반 하이드로젤에서 배양된 인간진피섬유아세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증식률을 보여주었고, 10% (w/v) 4-arm PEG-기반 하이드로젤에서 배양된 인간진피섬유아세포는 10% (w/v) 8-arm PEG-기반 하이드로젤에서 배양된 인간진피섬유아세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증식률을 보여주었다(도 4). 반면, 10% (w/v) 8-arm PEG-기반 하이드로젤에서 배양된 인간진피섬유아세포에서는 증식률의 증가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MMP1-특이적인 가교제와 1600μM의 RGD 펩타이드를 이용하여 제작된 10% (w/v) 3-arm PEG-기반 하이드로젤로부터 유래한 물리적 강도는 인간진피섬유아세포의 증식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자극할 수 있음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인간진피섬유아세포 친화적 물리적 강도를 가지고 있는 PEG-기반 하이드로젤 조건을 확립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3차원 스캐폴드 제작에 필요한 부착 펩타이드(adhesion peptide)의 조건에 대한 분석 결과
마지막으로, 10% (w/v) 3-arm PEG-기반 하이드로젤내에서 인간진피섬유아세포 증식을 자극할 수 있는 부착 펩타이드의 농도를 최적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간진피섬유아세포는 MMP1-특이적인 가교제와 0, 1600, 2400 및 3000μM의 부착 펩타이드가 각각 결합되어 있는 10% (w/v) 3-arm PEG-기반 하이드로젤 내에서 14일 동안 배양되었고, 이후 각각의 PEG-기반 하이드로젤 내에 배양된 인간진피섬유아세포의 증식률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1600μM 부착 펩타이드가 결합된 10% (w/v) 3-arm PEG-기반 하이드로젤에서 배양된 인간진피섬유아세포는 0μM과 2400μM의 부착 펩타이드가 결합된 10% (w/v) 3-arm PEG-기반 하이드로젤에서 배양된 인간진피섬유아세포보다 유의적으로 더 높은 증식률을 보여주었다(도 5A). 반면, 3000μM의 부착 펩타이드가 결합된 10% (w/v) 3-arm PEG-기반 하이드로젤은 2주 동안 3차원적 미세환경을 유지하지 못하고 분해되었다(도 5A). 또한, 1600μM의 부착 펩타이드가 결합된 10% (w/v) 3-arm PEG-기반 하이드로젤에서 배양된 인간진피섬유아세포는 전형적인 섬유아세포 모양인 방사형으로 길게 늘어진 세포 모양을 보여주었다 (도 5B).
따라서, 인간진피섬유아세포의 증식과 확산을 효과적으로 촉진시킬 수 있는 친화적인 3차원 비세포성니쉬는 1600μM RGD 펩타이드가 결합된 10% (w/v) 3-arm PEG-기반 하이드로젤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3차원 형태의 진피조직을 구현할 수 있는 인간진피섬유아세포의 3차원 배양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었다.
<110>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of Gangwon University <120> 3D cell culture system comprising PEG-based hydrogel <130> PN1610-100 <160> 3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rtificial sequence <400> 1 Gly Cys Arg Asp Gly Pro Gln Gly Ile Trp Gly Gln Asp Arg Cys Gly 1 5 10 15 <210> 2 <211> 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rtificial sequence <400> 2 Gly Cys Arg Asp Val Pro Met Ser Met Arg Gly Gly Asp Arg Cys Gly 1 5 10 15 <210> 3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rtificial sequence <400> 3 Arg Gly Asp Ser Pro 1 5

Claims (1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비닐술폰(vinylsulfone)이 결합된 PEG(polyethylene glycol)인 3-arm PEG-VS(polyethylene glycol-vinylsulfone)에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부착 펩타이드(adhesion peptide)를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부착 펩타이드가 결합된 3-arm PEG-VS에 가교제(crosslinker) 및 진피섬유아세포를 혼합하여 진피섬유아세포가 삽입된 3-arm PEG-기반 하이드로젤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하이드로젤은 젤화반응을 통해 원형 디스크 형태로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 펩타이드는 1,600 μM의 농도로 사용되며,
    상기 가교제는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MMP1-특이적인 가교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세포배양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젤화반응은 20분 내지 40분 동안 25℃ 내지 37℃에서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삭제
KR1020160143486A 2016-10-31 2016-10-31 Peg-기반 하이드로젤을 포함하는 3차원 세포배양 시스템 KR101910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486A KR101910807B1 (ko) 2016-10-31 2016-10-31 Peg-기반 하이드로젤을 포함하는 3차원 세포배양 시스템
PCT/KR2017/011802 WO2018080148A2 (ko) 2016-10-31 2017-10-25 Peg-기반 하이드로젤을 포함하는 3차원 세포배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486A KR101910807B1 (ko) 2016-10-31 2016-10-31 Peg-기반 하이드로젤을 포함하는 3차원 세포배양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433A KR20180047433A (ko) 2018-05-10
KR101910807B1 true KR101910807B1 (ko) 2018-10-23

Family

ID=62025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3486A KR101910807B1 (ko) 2016-10-31 2016-10-31 Peg-기반 하이드로젤을 포함하는 3차원 세포배양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10807B1 (ko)
WO (1) WO2018080148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3218B1 (ko) * 2019-02-01 2019-08-22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세포의 부착, 증식과 분화를 촉진하는 신규 펩티드 fnin2 및 이의 용도
KR102053895B1 (ko) * 2019-02-01 2019-12-09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세포의 부착, 증식과 분화를 촉진하는 신규 펩티드 fnin3 및 이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76213B (zh) * 2018-12-28 2022-07-12 杭州恩格生物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黑色素细胞液的制备方法及其应用
KR20230059380A (ko) * 2021-10-26 2023-05-0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피부 복원용 3차원 스캐폴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40235A1 (en) * 2001-11-07 2003-05-15 Universität Zürich Synthetic matrix for controlled cell ingrowth and tissue regeneration
US20120202263A1 (en) * 2011-02-03 2012-08-09 The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Bioactive Macromers and Hydrogels and Methods for Producing Same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raehenbuehl, TP. et al., Biomaterials, 29(2008) 2757-2766
Patterson, J. & Hubbell, JA. Biomaterials, 31(2010) 7836-7845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3218B1 (ko) * 2019-02-01 2019-08-22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세포의 부착, 증식과 분화를 촉진하는 신규 펩티드 fnin2 및 이의 용도
KR102053895B1 (ko) * 2019-02-01 2019-12-09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세포의 부착, 증식과 분화를 촉진하는 신규 펩티드 fnin3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80148A2 (ko) 2018-05-03
WO2018080148A3 (ko) 2018-08-09
KR20180047433A (ko) 201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0807B1 (ko) Peg-기반 하이드로젤을 포함하는 3차원 세포배양 시스템
US10584316B2 (en) Compostition for reprogramming cells
Cheng et al. Sustained release of adipose-derived stem cells by thermosensitive chitosan/gelatin hydrogel for therapeutic angiogenesis
Rianna et al. The role of the microenvironment in the biophysics of cancer
Lebonvallet et al. The evolution and use of skin explants: potential and limitations for dermatological research
EP2447357B1 (en) Methods for producing hair microfollicles and de novo papillae and their use for in vitro tests and in vivo implantations
Chen et al. Biocompatibility of a synthetic extracellular matrix on immortalized vocal fold fibroblasts in 3-D culture
Arno et al. Effect of human Wharton's jelly mesenchymal stem cell paracrine signaling on keloid fibroblasts
Chae et al. Stromal vascular fraction shows robust wound healing through high chemotactic and epithelialization property
US8853162B2 (en) 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 comprising fibrin
EP2981273B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duction and modulation of angiogenesis and methods and assays for identifying angiogenesis modulators
CN104903346B (zh) Pedf衍生的多肽在预防和/或缓和皮肤老化中的用途
CA2990590A1 (en) Vascularized tissue, skin or mucosa equivalent
KR20120120971A (ko) 인간 다능성 줄기 세포로부터 인간 멜라닌세포를 제조하는 방법
CA2780490A1 (en) Hydrogel-based vascular lineage cell growth media and uses thereof
Sreekumar et al. G Sharma T (2014)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uffalo Wharton’s Jelly 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Yang et al. Engineered cell-laden thermosensitive poly (N-isopropylacrylamide)-immobilized gelatin microspheres as 3D cell carriers for regenerative medicine
Heidari Keshel et al. Derivation of epithelial-like cells from eyelid fat-derived stem cells in thermosensitive hydrogel
KR20200103718A (ko)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의 분리 방법
Bell et al. Dermal stem cells can differentiate down an endothelial lineage
Yen et al. pH-driven continuous stem cell production with enhanced regenerative capacity from polyamide/chitosan surfaces
Zerdoum et al. Culture of Mesenchymal Stem Cells in a Hydrogel Model of Vocal Fold Lamina Propria
Moreira Novel platforms for vascularization in skin wound healing
Wu et al. Viscoelastic Extracellular Matrix Enhances Epigenetic Remodeling and Cellular Plasticity
Fell Organotypic Human Skin Disease Models for the Assessment of Novel Therapeutic Approach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