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0140B1 - 에어 파우치를 구비한 중공 슬래브용 데크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에어 파우치를 구비한 중공 슬래브용 데크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0140B1
KR101910140B1 KR1020170009805A KR20170009805A KR101910140B1 KR 101910140 B1 KR101910140 B1 KR 101910140B1 KR 1020170009805 A KR1020170009805 A KR 1020170009805A KR 20170009805 A KR20170009805 A KR 20170009805A KR 101910140 B1 KR101910140 B1 KR 101910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ouch
slab
air pouch
dec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9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5997A (ko
Inventor
남민균
문병갑
Original Assignee
다스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스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다스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9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0140B1/ko
Publication of KR20180085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5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0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0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43Floor structures of extraordinary design;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Floor structures specially designed for resting on columns only, e.g. mushroom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2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hollow fill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27Three-dimensional reinforcements composed of a prefabricated reinforcing mat combined with reinforcing elements protruding out of the plane of the mat
    • E04C5/0631Reinforcing mats combined with separate prefabricated reinforcement cages or girders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부에 설치된 트러스 철근; 상기 트러스 철근 사이에 설치되며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 에어 파우치; 상기 에어 파우치의 유입구에 연결된 유입 튜브; 및 상기 제1 및 제2 에어 파우치의 에어 충진 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는 에어 연결 수단을 포함하는 중공 슬래브용 데크 플레이트와,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에어 파우치를 구비한 중공 슬래브용 데크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Hollow slab deck plate adopting air pouch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lab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중공 슬래브용 데크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 파우치를 이용하여 건축 현장에서 신속하고 간편하게 중공 슬래브를 축조할 수 있는 데크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바닥 또는 천정 구조물에 해당하는 슬래브는 연직 하중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연직 하중에 효과적으로 저항하는 동시에 자중을 경감시킬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최근 건물의 고층화 및 장경간화로 인하여, 다양한 자중 저감형 슬래브 공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중공 슬래브 시스템은 구조성능 저하를 최소화하면서 자중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는 시스템으로 알려져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10-2015-0071957호에는 장스팬의 중공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해 슬래브를 전단보강하면서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에 의한 부력에도 경량 성형재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중공 슬래브용 부력방지형 모듈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문헌에 따르면, 경량 성형재가 고정될 수 있도록 트러스 철근 상부에 부력방지용 철근을 일체로 접합하여 트러스 철근과 경량 성형재가 결합된 부력방지형 모듈이 제공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0643844호는 데크 플레이트의 저판 상면에 스치로폴 폼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중공 소재를 종방향으로 설치한 후, 그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제조하는 “중공 구조를 갖는 하프 슬래브의 시공 방법”을 개시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중공 구조로서 경량 성형재 또는 중공 소재 등을 채용하는데, 이들 소재는 스티로폼 또는 폴리에틸렌 등 플라스틱 계열의 재료를 사용하여 특정 형상 또는 다양한 형상으로 미리 제조된 후 데크 플레이트에 설치되며, 그 크기는 슬래브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콘크리트 타설을 줄일 수 있을 정도로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경량 성형재 또는 중공 소재는 공장에서 미리 제조된 후, 건축 현장에서 데크 플레이트를 이루는 트러스 철근이나 구조체 등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이미 특정 형상으로 제조된 솔리드 형태의 상기 소재는 상당량의 부피를 차지하므로 이들을 대량으로 시공 현장으로 이송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시공시에도 트러스를 구성하는 하부 철근이나 상부 철근 또는 연결 철근 사이에 일일이 수작업으로 배치하거나 또는 별도의 기구를 사용하여 설치하여야 하므로, 운반, 취급 및 시공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KR 10-2015-0071957 A KR10- 0643844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축조되는 슬래브용 데크 플레이트에 에어 파우치를 설치하고 현장에서 간편하게 고압의 에어를 주입하여 파우치를 즉시 팽창시킴으로서 중공 슬래브를 시공할 수 있는 에어 파우치를 구비한 중공 슬래브용 데크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중공 슬래브용 데크 플레이트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부에 설치된 트러스 철근; 상기 트러스 철근 사이에 설치되며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 에어 파우치; 상기 에어 파우치의 유입구에 연결된 유입 튜브; 및 상기 제1 및 제2 에어 파우치의 에어 충진 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는 에어 연결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에어 연결 수단은, 상기 제1 에어 파우치에 형성된 유출구에 연결된 유출 튜브; 및 상기 유출 튜브의 단부와 상기 제2 에어 파우치의 유입 튜브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는 원터치 커넥터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는, 상기 유출 튜브의 단부에 고정된 제1 커넥터 부재; 및 상기 유입 튜브의 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1 커넥터 부재와 결합되는 제2 커넥터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르면, 상기 에어 파우치의 유입구에 설치되는 일방향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르면, 상기 에어 파우치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트러스 철근에 고정시키는 체결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부에 설치된 트러스 철근과, 상기 트러스 철근 사이에 설치되며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 에어 파우치와, 상기 제1 및 제2 에어 파우치의 에어 충진 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는 에어 연결 수단을 포함하는 데크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 에어 파우치의 유입구에 연결된 유입 튜브를 통해 고압의 에어를 주입하여, 상기 제1 및 제2 에어 파우치의 에어 충진 공간을 충진 및 팽창시키는 단계; 및 상기 에어 파우치가 팽창된 상태에서 상기 데크 플레이트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슬래브 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에어 파우치를 구비한 중공 슬래브용 데크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에 따르면, 에어 파우치를 슬래브 축조용 데크 플레이트에 설치하고 시공 현장에서 간편하게 고압 에어를 주입함으로써 상기 파우치를 즉시 원하는 부피로 팽창시켜 중공 슬래브를 축조하므로, 공장 또는 시공 현장 외부에서 미리 제작된 솔리드 형태의 소재를 일일이 설치해야 하는 종래의 기술에 비해 슬래브 시공이 매우 간편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파우치는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데크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에어가 주입되기 전까지는 그 부피가 매우 작으므로 건축 시공 현장까지의 운반뿐만 아니라 취급과 시공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파우치에 고압 에어를 주입하여 팽창시키기 전에 미리 데크 플레이트 구조물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서, 설계에 따른 슬래브 확장이나 구조 변경시 적응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에어 파우치를 구비한 중공 슬래브용 데크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에 따르면, 에어 파우치에 구비된 유입 튜브와 유출 튜브를 상호 결합함으로써 복수의 에어 파우치들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데크 플레이트의 사이즈에 따라서 증설 및 축소가 자유로운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향상된 효과와 이점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아래 도면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되지만,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그 도면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중공 슬래브용 데크 플레이트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중공 슬래브용 데크 플레이트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일부 단면도로서, 에어 파우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중공 슬래브용 데크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에어 파우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중공 슬래브용 데크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에어 파우치에 있어서, 유입 튜브와 유출 튜브를 연결하는 커넥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중공 슬래브용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중공 슬래브용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에 있어서, 데크 플레이트에 에어 파우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중공 슬래브용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에 있어서, 데크 플레이트에 설치된 에어 파우치에 고압 에어를 주입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중공 슬래브용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에 있어서, 데크 플레이트에 상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 파우치를 구비한 중공 슬래브용 데크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나아가,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중공 슬래브용 데크 플레이트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중공 슬래브용 데크 플레이트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일부 단면도로서, 에어 파우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에서 참조번호 L1은 에어 파우치가 팽창되기 전의 상태를, 그리고 참조번호 L2는 에어 파우치가 팽창된 후의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 슬래브용 데크 플레이트는 베이스 플레이트(10),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 상부에 설치된 트러스 철근(20), 및 상기 트러스 철근(20) 사이에 설치되는 에어 파우치(100)를 포함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 상에는 복수의 하부 트러스 철근(22)이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그 상부에는 복수의 상부 트러스 철근(24)(26)이 상기 하부 트러스 철근(22)과 나란하게 또는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하부 트러스 철근(22)과 상부 트러스 철근(24)(26)은 연결 철근(28)에 의해 상호 결착됨으로써 트러스 구조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트러스 철근(22)이 종방향으로 배치되고, 상부 트러스 철근(24)(26)이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트러스 철근의 개수, 방향, 및 배치 등의 구조는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다양한 형태의 트러스 철근 구조 형태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트러스 철근(20) 사이에는 복수의 에어 파우치(100)가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 파우치(100)는 상기 트러스 철근(20) 사이에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편의상, 에어 파우치(100)의 공기 주입 전과 후의 상태를 대비해서 보여주기 위해, 데크 플레이트의 좌측 부분에는 고압의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이 이루어진 상태의 에어 파우치(100)들을 보여주는 반면, 그 우측 부분에는 고압 공기 주입이 되기 전에 설치된 에어 파우치(100)들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에어 파우치(100)의 설치 방향이나 설치 간격 등은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슬래브 구조 설계에 따른 중공을 형성하기 위해 적절하게 설정 및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에어 파우치(1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에어 파우치(100)의 구성 및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에어 파우치(100)는 에어가 주입되어 팽창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건축 시공 현장에서 최초 설치되는 에어 파우치(100)는 에어가 주입되지 않고 수축된 상태라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 파우치(100)는 그 내부가 밀폐되도록, 예를 들어, 고무나 합성 수지와 같은 유연성 재질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압의 에어가 주입될 경우 부피가 팽창할 수 있다. 상기 에어 파우치(100)의 밀폐된 내부 공간은 “에어 충진 공간”을 형성하며, 이 에어 충진 공간에는 고압의 에어가 주입되어 충진된다.
상기 에어 파우치(100)의 형상과 크기는 본 발명에 의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발포 개시 후 팽창된 형태가 육면체, 구형, 다각면체 등 다양한 형상이 될 수 있으며, 시공하는 슬래브의 구조에 따라 적절히 설계되거나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에어 파우치(100)의 일 측면에는 그 내부로 고압의 에어를 주입하기 위한 유입구(10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유입구(104)에는 유입 튜브(110)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비록, 본 실시예에서는 유입구(104)가 형성되고 여기에 별도의 유입 튜브(110)가 연결되도록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상기 에어 파우치(100)의 구성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대안으로서, 상기 유입 튜브(110)는 에어 파우치(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에어 파우치(100)의 유입구(104)에는 일방향 밸브(102)가 구비되며, 이러한 일방향 밸브(102)는 상기 유입 튜브(110)를 통해 에어 파우치(100)의 에어 충진 공간 내부로 주입되는 에어에 대해서는 그 유로를 개방하고, 반대로 상기 에어 충진 공간으로부터 유입 튜브(110)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려는 에어에 대해서는 이를 폐쇄하여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배치된 적어도 둘 이상의 인접하는 에어 파우치(100)가 에어 연결 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연결 수단은 인접하는 에어 파우치(100)의 에어 충진 공간을 서로 연통시켜 일측의 에어 파우치(100)에 주입된 에어가 그와 연결된 타측의 에어 파우치(100)로 유입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에는 상기와 같은 에어 연결 수단의 일 예로서 상기 에어 파우치(100)에 형성된 유출 튜브(120)를 보여준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에어 파우치(100)에는 내부의 에어 충진 공간에 있는 에어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유출구(106)가 형성되고, 이 유출구(106)에는 유출 튜브(120)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출구(106)가 전술한 유입구(104)의 반대측면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유출구(106)는 요구되는 슬래브와 데크 플레이트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유출 튜브(120)는 인접하는 에어 파우치(100)에 구비된 유입 튜브(110)와 결합되는데, 이러한 결합에 의해 인접하는 에어 파우치(100)들의 에어 충진 공간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상대적으로 전방에 위치한 제1 에어 파우치(100)의 뒤쪽에 형성된 유출 튜브(120)는, 상대적으로 후방에 위치하는 인접하는 제2 에어 파우치(100)의 앞쪽에 형성된 유입 튜브(1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출 튜브(120)와 유입 튜브(110)의 단부는, 예를 들어, 커넥터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는 원터치 커넥터, 나사식 커넥터, 피팅식 커넥터 등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는 다양한 구성과 기능의 커넥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는 상기 커넥터의 일 예인 원터치 커넥터의 구성을 보여준다.
도면을 참조하면, 유입 튜브(110)의 단부에는 원터치 커넥터(200)가 결합되는데, 상기 원터치 커넥터(200)는 유입 튜브(110)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내부 중공부(202)를 가지며, 상기 내부 중공부(202)의 내벽에는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걸림돌기(20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걸림돌기(204)는 탄성력에 의해 중공부(202)의 중심을 향해 바이어싱되어 있으며, 릴리스 버튼(206)에 의해 그와는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 또는 자체 변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원터치 커넥터(200)의 중공부(202)를 향해 상기 유출 튜브(120)의 끝단을 삽입한다. 이어서, 삽입된 유출 튜브(120)의 끝단이 상기 걸림돌기(204)를 지나도록 더욱 깊숙히 삽입되면, 상기 걸림돌기(204)가 탄성력에 의해 상기 유출 튜브(120)의 외주면을 접촉 가압하게 되고 따라서 유출 튜브(120)는 상기 중공부(202)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유출 튜브(120)와 원터치 커넥터(200) 사이에는 기밀이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상호 결합 후 에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필요한 경우, 상기 릴리스 버튼(206)을 누르게 되면, 릴리스 버튼(206)의 단부가 상기 걸림돌기(204)를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걸림돌기(204)가 중공부(202)의 중심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슬라이딩 또는 자체 변형됨으로써 상기 유출 튜브(120)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의 또 다른 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출 튜브(120)의 단부에 제1 커넥터 부재(210)가 구비되고, 상기 유입 튜브(110)의 단부에 제2 커넥터 부재(22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인접하는 에어 파우치(100)는 상기 제1 커넥터 부재(210)와 제2 커넥터 부재(220)를 상호 결합함으로써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커넥터 부재(210)와 제1 커넥터 부재(220)는 원터치 방식, 나사 결합 방식, 또는 그 외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채용가능한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에어 파우치(100)에는, 에어 파우치(100)를 데크 플레이트 구성물에, 바람직하게 상기 트러스 철근(2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체결 부재(105)가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체결 부재(105)는 끈이나 와이어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일단이 상기 에어 파우치(100)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체결 부재(105)는 그 재질이나 형상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본 발명의 에어 파우치(100)를 고정시킬 수 있는 적절한 구성을 가진 부재는 모두 채용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중공 슬래브용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슬래브를 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 슬래브용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보여준다.
상기 도면과 앞서 도면들을 함께 참조하면, 먼저 슬래브 시공이 요구되는 예컨대, 철골빔과 같은 구조체 사이에 본 발명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를 거치하여 설치한다 (단계 S100). 이때, 데크 플레이트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베이스 플레이트(10)와 그 상부에 설치된 트러스 철근(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데크 플레이트의 설치와 시공은 이미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바에 의거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따라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데크 플레이트가 설치된 후, 상기 트러스 철근(20) 사이에 복수개의 에어 파우치(100)를 설치한다 (단계 S110). 상기 에어 파우치(100)의 구성과 기능은 이미 전술한 바와 같다. 이때, 상기 에어 파우치(100)는 그것에 구비되어 있는 체결 부재(105)를 사용하여 상기 데크 플레이트에 설치 및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어 파우치(100)로부터 연장되도록 구비된 와이어를 상기 트러스 철근(20)의 일부 구성(예컨대, 하부 트러스 철근(22) 또는 연결 철근(28) 등)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에어 파우치(1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에어 파우치(100)를 데크 플레이트에 설치 및 고정하는 방법은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그 외 다양한 체결 수단들이 적용 가능하다.
상기 에어 파우치(100)는 슬래브 구조 설계에 따라서 중공을 형성하도록 적절한 개수와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그 배열 또한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도 1의 도면에서 우측 부분에는 이와 같이 설치된 에어 파우치(100)의 일 예를 보여주고 있다.
이어서, 상기 에어 파우치(100)들은 그 내부 에어 충진 공간이 상호 연통되도록 연결된다(S120). 구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커넥터를 사용하여 인접하는 에어 파우치(100)들의 유출 튜브(120)와 유입 튜브(110)가 서로 연결된다. 이때, 유출 튜브(120)와 유입 튜브(110)를 연결하는 수단인 커넥터의 구성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와 같은 연결 과정에 의해, 데크 플레이트에 설치된 에어 파우치(100)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직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직렬로 연결된 에어 파우치(100)들 중에서 가장 후단부에 위치한 에어 파우치(100)(이하 “최후단 에어 파우치”라 함)는 유출 튜브(120)를 통해 에어를 전달해줄 필요가 없으므로 그 유출구(106)가 폐쇄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상기 최후단 에어 파우치(100)에는 유출구(106)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데크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단계(S100), 상기 에어 파우치(100)를 설치 및 고정하는 단계(S110), 그리고 에어 파우치(100)들을 서로 연결하는 단계(S120)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상기 단계 S100와 단계 S110 (단계 S120)은 그 전후 순서가 바뀔 수도 있으며,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이들 단계들은 서로 병행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6은 이상과 같이 설치된 데크 플레이트와 에어 파우치(100)의 예를 보여준다.
상기와 같이 데크 플레이트와 에어 파우치(100)의 설치가 완료되면 이어서 에어 주입 단계(S130)를 수행한다. 에어 주입 단계(S130)에서는, 작업자가 가장 선단에 위치한 에어 파우치(100)(이하 '최선단 에어 파우치'라 함) (예를 들어, 도 1에서 참조번호 100-1에 해당하는 에어 파우치) (다시 말해, 제1 에어 파우치)의 유입 튜브(110)를 통해 고압의 에어를 주입한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러한 에어 주입은, 예를 들어, 에어 콤프레셔와 같이 당해 기술 분야에 널리 알려진 통상적인 장비와 방법을 채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최선단 에어 파우치(100)에 주입된 고압의 에어는 먼저 그 내부의 에어 충진 공간을 채우고, 이어서 상기 유출 튜브(120)를 통해 유출되어 그와 연속하여 연결된 인접하는 에어 파우치(100)(도 1에서 참조번호 100-2로 표시된 에어 파우치) (다시 말해, 제2 에어 파우치)의 유입 튜브(110)를 거쳐 에어 충진 공간으로 유입된다. 이러한 과정은 상기 최선단 에어 파우치(100)로부터 최후단 에어 파우치(100)에 이르기까지 연쇄적으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서로 연결된 모든 에어 파우치(100)들은 고압 에어로 충진되며, 결과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파우치(100)가 팽창된 상태에서 데크 플레이트 위에 콘트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는 단계를 거친다(S140). 상기 콘크리트는 축조되는 슬래브의 두께에 따라 적절한 양으로 타설되며, 이때 콘크리트 타설 조건과 방식은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타설된 콘트리트가 양생되면, 상기 에어 파우치(100)에 해당하는 중공부를 가짐으로써 자중이 감소된 슬래브가 축조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에어 파우치(100)를 구비한 중공 슬래브용 데크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에 따르면, 에어 파우치(100)를 슬래브 축조용 데크 플레이트에 설치하고 시공 현장에서 간편하게 고압 에어를 주입함으로써 상기 파우치를 즉시 원하는 부피로 팽창시켜 중공 슬래브를 축조하므로 슬래브 시공이 매우 간편하고 용이하며, 에어 파우치(100)에 구비된 유입 튜브(110)와 유출 튜브(120)를 상호 결합함으로써 복수의 에어 파우치(100)들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데크 플레이트의 사이즈에 따라서 증설 및 축소가 자유롭다.
비록 본 발명은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정해지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와 균등예가 있을 수 있다.
10: 베이스 플레이트 20: 트러스 철근
100: 에어 파우치 102: 일방향 밸브
104: 유입구 106: 유출구
105: 체결부재 110: 유입 튜브
120: 유출 튜브 200: 원터치 커넥터

Claims (8)

  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부에 설치된 트러스 철근;
    상기 트러스 철근 사이에 설치되며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 에어 파우치;
    상기 에어 파우치의 유입구에 연결된 유입 튜브; 및
    상기 제1 및 제2 에어 파우치의 에어 충진 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는 에어 연결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에어 연결 수단은
    상기 유입 튜브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에어 파우치의 에어 충진 공간 내부로 주입되는 에어에 대해서는 유로를 개방하고, 상기 에어 충진 공간으로부터 상기 유입 튜브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는 에어에 대해서는 폐쇄하여 차단하도록 상기 에어 파우치의 유입구에 설치되는 일방향 밸브와, 상기 제1 에어 파우치에 형성된 유출구에 연결된 유출 튜브와, 상기 유출 튜브의 단부와 상기 제2 에어 파우치의 유입 튜브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 파우치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트러스 철근에 고정시키도록 일단이 에어 파우치에 결합된 체결 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슬래브용 데크 플레이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원터치 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슬래브용 데크 플레이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유출 튜브의 단부에 고정된 제1 커넥터 부재; 및 상기 유입 튜브의 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1 커넥터 부재와 결합되는 제2 커넥터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슬래브용 데크 플레이트.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70009805A 2017-01-20 2017-01-20 에어 파우치를 구비한 중공 슬래브용 데크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KR101910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805A KR101910140B1 (ko) 2017-01-20 2017-01-20 에어 파우치를 구비한 중공 슬래브용 데크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805A KR101910140B1 (ko) 2017-01-20 2017-01-20 에어 파우치를 구비한 중공 슬래브용 데크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997A KR20180085997A (ko) 2018-07-30
KR101910140B1 true KR101910140B1 (ko) 2018-11-20

Family

ID=63048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9805A KR101910140B1 (ko) 2017-01-20 2017-01-20 에어 파우치를 구비한 중공 슬래브용 데크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014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345Y1 (ko) * 2001-02-03 2001-06-15 이중호 유체라인의 호스연결용 컨넥터
JP2008014481A (ja) * 2006-07-06 2008-01-24 Masayasu Miyazaki 真空断熱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3844B1 (ko) 2005-02-25 2006-11-10 노영곤 중공 구조를 갖는 하프 슬래브 및 그 시공방법
KR20150071957A (ko) 2013-12-19 2015-06-29 대림산업 주식회사 중공슬래브에 사용되는 부력방지형 모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345Y1 (ko) * 2001-02-03 2001-06-15 이중호 유체라인의 호스연결용 컨넥터
JP2008014481A (ja) * 2006-07-06 2008-01-24 Masayasu Miyazaki 真空断熱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997A (ko) 2018-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545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pre-cast building panels
US20170218642A1 (en) Mold for modular units for insulating concrete forms
KR101697436B1 (ko) 3d 프린팅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제조방법
KR101050947B1 (ko)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을 위한 막음재 및 그를 이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방법
WO2009006440A1 (en) Method of fabricating integrally insulated concrete wall or wall components
KR101910140B1 (ko) 에어 파우치를 구비한 중공 슬래브용 데크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KR102159180B1 (ko) 건축용 중단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648979B1 (ko) 이중단면구조로 제작된 섬유강화플라스틱 관을 이용한콘크리트복합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US20050170120A1 (en) Cured-in-place construction system and method
KR20140115721A (ko) 변단면을 가지는 중공피씨슬래브 및 이의 제작방법
CN107614812B (zh) 建筑元件
KR101550183B1 (ko) 건축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결속력을 가지는 건축물 벽체 시공 방법
KR101910141B1 (ko) 발포 파우치를 구비한 중공 슬래브용 데크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WO2015001365A1 (en) Thermoplastic pipe with reinforced spiral and it's production procedure
KR102126823B1 (ko) 인젝션 지수판
JP2007077743A (ja) プレキャスト部材
KR20120067897A (ko) 조립식 연결부재를 갖는 건축용 단열재
KR101738316B1 (ko) 벽체 보강구조물 시공방법
JP2021004516A (ja) 中空構造物の構築方法
KR101756604B1 (ko) 건축구조물의 수평구조체 시공방법
KR102551488B1 (ko) 간격유지유닛을 포함하는 배관 내부 보강장치
MX2012006399A (es) Seccion de pared prefabricada y metodo para construir una pared.
JP4055119B2 (ja) 槽内の充填構造及び充填材
KR101158034B1 (ko) 우.오수 분리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410970B1 (ko) 슬라브 시공방법 및 슬라브 시공을 위한 바닥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