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9688B1 - 구내 통신망을 이용한 아파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 Google Patents

구내 통신망을 이용한 아파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9688B1
KR101909688B1 KR1020180075020A KR20180075020A KR101909688B1 KR 101909688 B1 KR101909688 B1 KR 101909688B1 KR 1020180075020 A KR1020180075020 A KR 1020180075020A KR 20180075020 A KR20180075020 A KR 20180075020A KR 101909688 B1 KR101909688 B1 KR 101909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g
household
window
interphone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주봉
Original Assignee
(주)케이제이종합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제이종합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케이제이종합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80075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96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terconnected Communication Systems, Intercoms, And Inte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내 통신망을 이용한 아파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반려견의 울음 소리 및 짖는 소리(이하, 소음) 등을 감지하여 견주의 영상, 음성이나 냄새 등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반려견을 정서적으로 안정시켜 반려견의 소음을 최소화함으로써 반려견의 소음으로 인한 민원과 이웃 간의 마찰 및 분쟁을 방지할 수 있는 구내 통신망을 이용한 아파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이다.

Description

구내 통신망을 이용한 아파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APARTMENT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LOCAL AREA NETWORK}
본 발명은 구내 통신망을 이용한 아파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반려견의 울음 소리 및 짖는 소리(이하, 소음) 등을 감지하여 견주의 영상, 음성이나 냄새 등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반려견을 정서적으로 안정시켜 반려견의 소음을 최소화함으로써 반려견의 소음으로 인한 민원과 이웃 간의 마찰 및 분쟁을 방지할 수 있는 구내 통신망을 이용한 아파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이다.
최근에 애완동물은 반려동물이라 불리면서, 현대인들에게 정신적인 즐거움과 안정감을 주고 가족 구성원의 하나로 인식되면서,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친근한 존재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이와 같은 애완동물들 중에서 사람을 잘 따르는 반려견을 선호하여 가정에서 키우는 반려견의 수도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반려견을 키우는 가구수가 늘어남에 따라 아파트와 같은 공동 주택에서는 애완동물로 인한 민원이나 이웃 간의 마찰과 분쟁이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으며, 그 중 반려견이 짖는 소리로 인한 소음 문제는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이에 따라, 교정 훈련을 통하여 반려견이 짖지 못하도록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반려견이 놓여 있는 상황에 따라 제어가 어렵고, 특히 반려견만 집에 남겨두고 외출하는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반려견이 짖는 소리를 제어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49570호(등록일 : 2007. 08. 08.)에서는 애완동물이 짖는 소리를 센서로 감지하여 애완동물에게 충격전압과 진동을 발생하여 애완동물이 짖는 것을 교정 및 억제하는 장치가 제안되었다.
하지만, 애완동물을 직접 가해하기 때문에 반려견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등 비윤리적인 측면이 있었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02703호(등록일: 2016. 03. 07.)에서는 반려견의 소음을 상쇄시켜 반려견을 직접 가해하지 않으면서 반려견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애완동물소음 저감장치가 제안된 바 있었다.
그러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02703호는 기술적으로 반려견의 소음을 상쇄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반려견의 소음을 상쇄시키는 것보다는 반려견의 소음 발생시 초기에 반려견을 안정시켜 소음을 차단하는 것이 선행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반려견의 울음 소리 및 짖는 소리 등과 같은 소음을 감지하여 견주의 영상, 음성이나 냄새 등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반려견을 정서적으로 안정시켜 반려견의 소음을 최소화함으로써 반려견의 소음으로 인한 민원과 이웃 간의 마찰 및 분쟁을 방지할 수 있는 구내 통신망을 이용한 아파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아파트의 각 동의 현관에 설치된 공동 인터폰과, 각 세대의 현관에 설치된 세대 인터폰과, 각 세대 내에 설치되어 구내 통신망을 통해 상기 공동 인터폰 및 상기 세대 인터폰과 통신하는 월 패드를 포함하는 구내 통신망을 이용한 아파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월 패드는 보안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상기 공동 인터폰이나 상기 세대 인터폰에서 호출신호가 수신되면, 무음 상태로 전환하여 방문자의 영상만을 출력하는 한편, 반려견의 소음이 감지되면 사전에 녹음된 견주의 음성과 냄새를 동시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통신망을 이용한 아파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월 패드는 설정시간이 도과된 후에도 연속해서 반려견의 소음이 감지되면, 이동통신망을 통해 기등록되어 있는 해당 세대의 휴대 단말기와 연결되어 반려견에 영상통화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월 패드는 반려견의 소음이 감지되면, 창호 개폐 센서를 통해 창호의 개폐 상태를 감지한 후, 상기 창호가 개방된 상태이면, 이동통신망을 통해 기등록되어 있는 해당 세대의 휴대 단말기를 통해 승인을 받아 해당 세대의 창호에 설치된 창호 개폐 장치를 통해 창호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반려견의 소음 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견주의 영상, 음성이나 냄새 등을 제공함으로써 반려견을 정서적으로 안정시키고, 이를 통해 반려견의 소음으로 인한 민원과 이웃 간의 마찰 및 분쟁을 방지할 수 있는 구내 통신망을 이용한 아파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내 통신망을 이용한 아파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월 패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내 통신망을 이용한 아파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 중 견주의 영상, 음성 및 냄새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내 통신망을 이용한 아파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 중 창호를 개폐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내 통신망을 이용한 아파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내 통신망을 이용한 아파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은 아파트 단지 내에 기설치된 구내 통신망(1)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공동 인터폰(11), 세대 인터폰(12) 및 월 패드(13)를 포함한다. 그리고, 창호 개폐 센서(14) 및 창호 개폐 장치(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내 통신망(1)은 아파트 내에 기설치되어 공동 인터폰(11), 세대 인터폰(12) 및 월 패드(13), 창호 개폐 센서(14) 및 창호 개폐 장치(15)를 상호 연결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망으로서, 유선통신과 무선통신을 포함한다. 유선통신은 전화선, 전력선, 이더넷, IEEE1394 등을 포함하고, 무선통신은 IEEE802.11x 계열의 무선 LAN, HomeRF, 블루투스, UltraWideBand(UWB), Zigbee, HiperLA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월 패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공동 인터폰(11)은 아파트의 각 동의 공동 현관에 설치되는 인터폰으로서, 공동 현관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입력패드(113)와 소지하고 있는 카드를 인식하는 RF 인식부(114)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해당 세대를 호출하기 위한 초인종 버튼(112)과, 호출 세대와 영상 통화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공동 카메라(111), 공동 마이크(115) 및 공동 스피커(116)가 구비되어 있다.
세대 인터폰(12)은 아파트의 각 세대 현관에 설치되는 인터폰으로서, 해당 세대를 호출하기 위한 초인종 버튼(122)과, 호출 세대와 영상 통화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세대 카메라(121), 공동 마이크(123) 및 공동 스피커(124)가 구비되어 있다.
월 패드(13)는 각 세대 내에 설치되는 세대 단말기로서, 기본적으로, 구내 통신망(1)을 통해 공동 인터폰(11) 및 세대 인터폰(12)과 통신하는 통신부(131)를 구비한다.
또한, 월 패드(13)는 공동 인터폰(11) 또는 세대 인터폰(12)과 영상 통화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33), 마이크(134) 및 스피커(135)를 구비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세대 난방/가스밸브/조명등/환풍기 제어, 엘리베이터 호출 등과 같은 각종 부가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해 입력패드(132)와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월 패드(13)는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인 반려견 소음 감지센서(138)와, 견주 음성 및 냄새 제공부(136)와, 견주 영상 제공부(137)를 더 구비한다.
반려견 소음 감지센서(138)는 반려견이 울거나 짖을 때 나는 소리를 감지한다.
견주 음성 및 냄새 제공부(136)는 반려견이 울거나 짖을 때 반려견이 울거나 짖지 않도록 지시하는 견주의 실제 목소리를 저장하여 제공한다. 이때, 견주의 음성은 반려견의 상태에 따라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려견이 울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반려견의 이름을 일정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제공한다. 그리고, 반려견이 놀라거나 화가나서 짖는 것으로 판단되면, '그만'이라는 단어와 같이, 반려견의 행동을 저지하는 특정 단어(훈련을 통해 반복 사용된 단어)를 제공한다.
또한, 견주 음성 및 냄새 제공부(136)는 견주의 냄새를 제공한다. 즉, 평소 견주의 냄새를 저장통에 저장해 놓은 상태에서, 반려견이 울거나 짖을 때 견주의 음성과 함께 송풍팬을 구동시켜 견주의 냄새를 반려견에게 배출하는 방식으로 제공한다. 이때, 견주의 냄새는 견주가 평소 즐겨 사용하는 향수나 화장품 등의 냄새일 수 있다.
한편, 견주 음성 및 냄새 제공부(136)는 월 패드(13)의 다른 구성들과 별도로, 독립적인 장치로서 설치될 수 있다. 독립적으로 제작되어 설치되더라도 월 패드(13)와 통신하여 월 패드(13)의 제어부를 통해 제어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견주 영상 제공부(137)는 통신부(131)와 이동통신망(2)을 통해 견주의 휴대 단말기(3)와 실시간 통신하여 반려견과 견주 사이에 영상 통화를 제공한다. 이때, 견주의 영상은 디스플레이부(133)를 통해 출력되고, 음성은 스피커(135)를 통해 출력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내 통신망을 이용한 아파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 중 견주의 영상, 음성 및 냄새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월 패드(13)가 보안 모드(외출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공동 인터폰(11)이나 세대 인터폰(12)에 호출신호가 수신되면, 월 패드(13)는 무음 상태가 되어 호출신호에 대한 소리가 월 패드(13)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지 않는다.
보통, 반려견은 월 패드(13)에서 나는 소리에 의해 놀라 짖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월 패드(13)가 보안 모드로 전환되면, 공동 인터폰(11)이나 세대 인터폰(12)에 호출신호가 수신되더라도, 무음 상태로만 디스플레이부(133)로 방문자(호출자)의 영상만 출력될 뿐, '띵동' 소리 등은 출력되지 않는다.
한편, 월 패드(13)는 반려견 소음 감지센서(138)를 통해 반려견(4)의 소음을 감지한다(S31).
이후, 반려견(4)이 울거나 짖어 반려견 소음 감지센서(138)에 의해 소음이 감지되면, 월 패드(13)는 견주 음성 및 냄새 제공부(136)를 통해 사전에 녹음된 견주의 음성을 제공하는 한편, 송풍팬을 구동시켜 저장통에 저장된 냄새를 외부로 배출한다.
이후, 설정시간이 도과된 후에도 연속해서 반려견(4)의 소음이 감지되면, 월 패드(13)는 견주 영상 제공부(137)를 통해 견주의 휴대 단말기(3)로 영상통화를 요청한다(S32).
이후, 견주의 휴대 단말기(3)와 월 패드(137) 간의 영상통화가 연결되면(S33), 월 패드(137)의 디스플레이부(133)를 통해 반려견(4)에게 견주의 영상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내 통신망을 이용한 아파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창호 개폐 센서(14)와 창호 개폐 장치(15)를 더 포함한다.
창호 개폐 센서(14)는 창호에 설치되어 창호가 현재 개방되었는지를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구내 통신망(1)을 통해 월 패드(13)로 전송한다.
창호 개폐 장치(15)는 창호에 측면에 설치되어 창호를 기계적으로 개폐하는 장치로서, 구동모터와 기어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전동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이외에도, 기계적으로 창문을 여닫을 수 있는 장치는 공지된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창호 개폐 장치(15)는 구내 통신망(1)을 통해 월 패드(13)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월 패드(13)는 원격에서 창호 개폐 장치(15)를 구동시켜 창호를 개폐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내 통신망을 이용한 아파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 중 창호를 개폐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월 패드(13)는 반려견 소음 감지센서(138)를 통해 반려견(4)의 소음을 감지한다(S41).
이후, 반려견(4)이 울거나 짖어 반려견 소음 감지센서(138)에 의해 소음이 감지되면, 월 패드(13)는 견주 음성 및 냄새 제공부(136)를 통해 사전에 녹음된 견주의 음성을 제공하는 한편, 송풍팬을 구동시켜 저장통에 저장된 냄새를 외부로 배출한다.
이후, 월 패드(13)는 창호 개폐 센서(14)를 통해 현재 창호의 개폐상태를 요청한다.
이후, 창호 개폐 센서(14)는 현재 창호의 개폐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월 패드(13)로 전송한다.
이후, 월 패드(13)는 창호 개폐 센서(14)로부터 전송된 감지신호의 분석 결과, 현재 창호가 개방된 상태로 판단되면, 창호 폐쇄 신호를 생성하여 창호 계폐 장치(15)로 전송한다(S43).
이후, 창호 개폐 장치(15)는 월 패드(13)로부터 전송된 창호 폐쇄 신호에 응답하여 현재 개방되어 있는 창호를 닫아 폐쇄하고, 이를 통해 반려견(4)의 소음이 창호를 통해 외부로 빠져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월 패드(13)는 보안 모드 상태라 하더라도, 각 세대의 승인없이는 창호 개폐 장치(15)를 제어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세대의 승인은 이동통신망(2)을 통해 등록된 해당 세대주의 휴대 단말기(3)를 통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월 패드(13)는 반려견의 소음이 일정 시간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경우, 해당 세대가 등록한 휴대 단말기(3)로 반려견에 소음이 발생됨을 알리는 한편, 현재 창호가 개방된 상태에 있음을 알려 창호 개폐 장치(15)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을 요청한다.
창호 개폐 장치(15)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은 웹 패드(13)에서 휴대 단말기(3)로 전송하는 비밀번호 입력창에 사용자가 등록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승인이 이루어진다. 즉, 웹 패드(13)의 요청에 따라 휴대 단말기(3)를 통해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창호 개폐 장치(15)의 제어에 대한 승인이 완료되고, 이에 따라, 웹 패드(13)는 원격으로 창호 개폐 장치(15)를 구동시켜 개방된 창호를 닫아 폐쇄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구내 통신망
2 : 이동 통신망
3 : 휴대 단말기
11 : 공동 인터폰
12 : 세대 인터폰
13 : 월 패드
14 : 창호 개폐 센서
15 : 창호 개폐 장치

Claims (3)

  1. 아파트의 각 동의 현관에 설치된 공동 인터폰과, 각 세대의 현관에 설치된 세대 인터폰과, 각 세대 내에 설치되어 구내 통신망을 통해 상기 공동 인터폰 및 상기 세대 인터폰과 통신하는 월 패드를 포함하는 구내 통신망을 이용한 아파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월 패드는 보안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상기 공동 인터폰이나 상기 세대 인터폰에서 호출신호가 수신되면, 무음 상태로 전환하여 방문자의 영상만을 출력하는 한편, 반려견의 소음이 감지되면 사전에 녹음된 견주의 음성과 냄새를 동시에 제공하며,
    상기 월 패드는 반려견의 소음이 감지되면, 창호 개폐 센서를 통해 창호의 개폐 상태를 감지한 후, 상기 창호가 개방된 상태이면, 이동통신망을 통해 기등록되어 있는 해당 세대의 휴대 단말기를 통해 승인을 받아 해당 세대의 창호에 설치된 창호 개폐 장치를 통해 창호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통신망을 이용한 아파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월 패드는 설정시간이 도과된 후에도 연속해서 반려견의 소음이 감지되면, 이동통신망을 통해 기등록되어 있는 해당 세대의 휴대 단말기와 연결되어 반려견에 영상통화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통신망을 이용한 아파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3. 삭제
KR1020180075020A 2018-06-28 2018-06-28 구내 통신망을 이용한 아파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KR101909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020A KR101909688B1 (ko) 2018-06-28 2018-06-28 구내 통신망을 이용한 아파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020A KR101909688B1 (ko) 2018-06-28 2018-06-28 구내 통신망을 이용한 아파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9688B1 true KR101909688B1 (ko) 2018-10-18

Family

ID=64132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020A KR101909688B1 (ko) 2018-06-28 2018-06-28 구내 통신망을 이용한 아파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968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5608A (ko) * 2008-06-02 2009-12-07 (주)로드피아 영상 보안 시스템
KR20100097275A (ko) * 2009-02-26 2010-09-03 황선원 모니터링 전자액자
KR20150127957A (ko) * 2014-05-08 2015-11-18 김미라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5608A (ko) * 2008-06-02 2009-12-07 (주)로드피아 영상 보안 시스템
KR20100097275A (ko) * 2009-02-26 2010-09-03 황선원 모니터링 전자액자
KR20150127957A (ko) * 2014-05-08 2015-11-18 김미라 엘리베이터용 비상통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74035B (zh) 一种住宅自动化系统及管理方法
US10674119B2 (en)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9179107B1 (en) Doorbell chime systems and methods
US9196133B2 (en)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JP7179834B2 (ja) 音声認識デバイス、音声認識デバイスの連携システム、及び音声認識デバイスの連携方法
US11736760B2 (en) Video integration with home assistant
KR20040023826A (ko) 원격지 전자동 무인 영상보안 관리시스템 및 침입자 대응프로그램
EP2353153A1 (en) A system for tracking a presence of persons in a building, a method and a computer program product
CN107864413A (zh) 楼宇呼叫方法、装置及存储介质
JP2013187599A (ja) センサー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EP3662652A1 (en)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11892187B2 (en) Thermostat device with improved energy optimization
US20200364991A1 (en)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KR20200011102A (ko) IoT 기반 스마트 애완동물 관리시스템
KR20170018124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909688B1 (ko) 구내 통신망을 이용한 아파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KR102489509B1 (ko) 층간소음 분쟁을 예방하기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이웃간 데이터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TWI297574B (en) Video monitoring system for housing complexes
CN111754672B (zh) 一种智能门铃识别系统
US8259957B2 (en) Communication devices
US20230300300A1 (en)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JP5776000B2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4578953B2 (ja) 不審訪問者応対システム
JP2005141478A (ja) 防犯システム
KR102290883B1 (ko) 인터넷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무인 원격 영상기계 경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