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9644B1 - 공 수거장치 - Google Patents

공 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9644B1
KR101909644B1 KR1020170043893A KR20170043893A KR101909644B1 KR 101909644 B1 KR101909644 B1 KR 101909644B1 KR 1020170043893 A KR1020170043893 A KR 1020170043893A KR 20170043893 A KR20170043893 A KR 20170043893A KR 101909644 B1 KR101909644 B1 KR 101909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elastic support
elastic
hole
inn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3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2605A (ko
Inventor
김동기
Original Assignee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43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9644B1/ko
Publication of KR20180112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2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2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picking-up or collec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02Devices for dispensing balls, e.g. from a reservoi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38Structurally associated means for storing and dispensing ba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공 수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 수거장치는, 야구공, 테니스공, 탁구공 또는 골프공을 포함하는 공을 수집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공이 수용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중공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손잡이가 마련되는 수용부재; 및 중공의 관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스가 상기 수용부재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공을 위에서 가압할 때 상기 공이 통과되어 상기 수용부로 이동하도록 각각 내주면 쪽으로 이동하였다가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기 위한 탄성 지지체가 설치되는 수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를 취부하여 상기 탄성 지지체를 상기 공의 상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재와 일체화된 상기 수집부로 상기 공을 가압하면, 상기 탄성 지지체가 각각 내주면 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공을 상기 수용부 쪽으로 통과시키고, 상기 공이 통과되면 원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공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의 입구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 지지체를 구비한 수집부로 야구공, 테니스공 또는 골프공과 같이 비교적 작은 사이즈의 공을 하향으로 가압하는 것만으로 공이 수용부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집될 수 있고, 또한, 여러 개의 공을 연속하여 수거하여 수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잡이를 구비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휴대성이 양호한 효과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공 수거장치{APPARATUS FOR BALL RETRIEVING}
본 발명은 공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테니스공이나 골프공과 같이 작은 사이즈의 공을 위에서 가압하는 동작만으로 수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개의 공을 연속하여 수거하여 수납할 수 있는 공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활 스포츠로 자리잡은 골프는 인위적 또는 자연적으로 만들어진 공간 즉, 물, 모래의 벙커 및 수풀 구역과 홀구역에 골프공을 타격하여 홀 지역에 형성된 홀 컵에 상기 골프공을 넣는 운동으로, 골퍼가 지면 위에 놓여진 골프공을 타격시 골프채의 스윙 동작을 통해 몸의 균형을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타격된 골프공이 낙하 된 위치까지 걷는 동안 심신을 단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골프를 시작하거나 연습할 때에는 우선 가까운 골프연습장을 찾게 된다. 골프연습장은 크게 지상 골프연습장과 실내골프 연습장 및 수상 골프연습장으로 구분되고 있다.
특히 실내 골프 연습장이나 지상 골프 연습장은 접근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주로 찾아 연습을 하게 된다.
그러나, 골프 연습장에서 스윙연습을 하는 경우에 바닥에 떨어진 골프공을 주어 다시 타격위치에 놓거나, 골프공 공급기에 투입해야 하는 경우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즉, 작업자가 허리를 굽혀 직접 골프공을 하나씩 주어 바구니에 넣거나 골프공 공급기에 투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61049호(공고일자 : 2002.01.19)에는, 골프공 수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공(60)이 수용되는 수용부(35)와, 상기 수용부(35)의 하단이 골프공(60)에 접촉되면 개방되어 골프공(60)을 장입시키고, 상기 수용부(35)를 들어 올리면 중력에 의해 폐쇄되어 골프공(60)을 상기 수용부(35)에 고립시켜 주는 개폐부(40)와, 상기 수용부(35)에 그 일단이 힌지결합되는 손잡이봉(55)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골프공 수거장치는 하나의 골프공만을 수거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실용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718743호(공고일 : 2017.03.22)에는 공 수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공 수거장치는, 전방 브러쉬(310)와 후방 브러쉬(320)를 구비하고, 이러한 전방 브러쉬(310)와 후방 브러쉬(320)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한 것이다. 이러한 공 수거장치는 몸체가 전진할 때 공이 전방 브러쉬(310)과 후방 브러쉬(320)에 의해 수거박스(12)로 모이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바닥에 떨어진 공이 전방 브러쉬(310)와 후방 브러쉬(320)에 의해 수거됨으로써 많은 양의 공을 수거할 수 있었으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한 공 수거장치는 구조가 복잡하고 평편한 공간에서만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61049호(공고일자 : 2002.01.19)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718743호(공고일 : 2017.03.22)
본 발명의 목적은, 야구공, 테니스공 또는 골프공과 같이 비교적 작은 사이즈의 공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고, 여러 개의 공을 연속하여 수거하여 수납할 수 있으며, 휴대성이 양호한 공 수거장치에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거된 공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야구공, 테니스공, 탁구공 또는 골프공을 포함하는 공을 수집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공이 수용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중공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손잡이가 마련되는 수용부재; 및 중공의 관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스가 상기 수용부재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공을 위에서 가압할 때 상기 공이 통과되어 상기 수용부로 이동하도록 각각 내주면 쪽으로 이동하였다가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기 위한 탄성 지지체가 설치되는 수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를 취부하여 상기 탄성 지지체를 상기 공의 상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재와 일체화된 상기 수집부로 상기 공을 가압하면, 상기 탄성 지지체가 각각 내주면 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공을 상기 수용부 쪽으로 통과시키고, 상기 공이 통과되면 원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공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의 입구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수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공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체로 형성되거나, 투시창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지지체는, 자체 탄성을 갖도록 코일 스프링 또는 고무줄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 지지체에는 상기 공의 통과시 간섭을 방지하도록 구형, 타원형 또는 원판형으로 된 회전체가 회전 가능하게 꿰어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집부와 손잡이에는, 상기 탄성 지지체를 강제로 상기 내주면 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공이 상기 탄성 지지체 사이를 통과하여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배출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에 3 - 5곳이 고정되어 상기 공의 지름보다 작은 통과공을 형성하고, 자체 탄성을 갖는 상기 탄성 지지체; 각 일단이 상기 탄성 지지체를 서로 다른 방향의 상기 내주면 쪽으로 당기도록 상기 탄성 지지체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당김부재; 및 상기 손잡이에 상,하부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에는 상기 당김부재의 각 타단이 결합되며, 상기 탄성 지지체의 탄성으로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된 배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재를 상향으로 당김에 따라 각각의 상기 당김부재가 상기 탄성 지지체를 서로 다른 방향의 상기 내측면 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공이 배출되도록 상기 통과공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당김부재를 보호하고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집부와 손잡이에는, 상기 탄성 지지체를 강제로 상기 내주면 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공이 상기 탄성 지지체 사이를 통과하여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배출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에 3 - 5곳이 고정되어 상기 공의 지름보다 작은 통과공을 형성하고, 자체 탄성을 갖는 상기 탄성 지지체; 각 일단이 상기 탄성 지지체를 서로 다른 방향의 상기 내주면 쪽으로 당기도록 상기 탄성 지지체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작동로드; 상기 케이스에 각각 설치되고, 전원이 공급될 때에만 수축 작동하여 상기 작동로드를 상기 내측면 쪽으로 당기도록 된 다수개의 엑츄에이터; 및 배터리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동시에 각각의 상기 엑츄에이터에 공급하도록 상기 엑츄에이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를 온 시킴에 따라 각각의 상기 엑츄에이터의 작동로드가 상기 탄성 지지체를 서로 다른 방향의 상기 내측면 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공이 배출되도록 상기 통과공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 지지체를 구비한 수집부로 야구공, 테니스공 또는 골프공과 같이 비교적 작은 사이즈의 공을 하향으로 가압하는 것만으로 공이 수용부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집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여러 개의 공을 연속하여 수거하여 수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잡이를 구비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휴대성이 양호한 효과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손잡이에 구비된 배출수단을 조작함에 따라 수집부의 탄성 지지체가 확장됨으로써 수용부재에 수용된 공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종래기술에 의한 공 수집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 수집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공 수집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 수집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6은 공을 가압하여 수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7은 수용부로 수집되어 수용된 공을 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배출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탄성 지지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시한 일부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 수집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공 수집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 수거장치(60)는, 야구공, 테니스공, 탁구공 또는 골프공을 포함하는 공(G)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집하기 위한 것으로, 공(G)이 수용되기 위한 수용부(72)가 형성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중공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손잡이(74)가 마련되는 수용부재(70)와, 중공의 관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스(82)가 수용부재(70)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케이스(82)의 내부에는 공(G)을 위에서 가압할 때 공(G)이 통과되어 수용부(72)로 이동하도록 각각 내주면(82A) 쪽으로 이동하였다가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기 위한 탄성 지지체(84)가 설치되는 수집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수용부재(70)는, 공(G)이 수용되기 위한 수용부(72)가 형성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중공의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수용부재(70)의 길이는 적용장소, 사용자 등의 조건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대략 30 - 100cm 정도로 형성되며, 내경은 공(G)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다. 만약, 골프공에 적용할 경우에는 수용부재(70)의 수용부(72) 내경을 골프공의 지름인 42.67mm보다 더 크게 형성하여 골프공의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수용부재(70)는, 수용부(72)에 수용된 공(G)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체로 형성한다. 만약, 불투명체로 형성할 경우에는 수용부(70)에 수용되는 공(G)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수용부재(70)의 길이방향으로 투시창(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한편, 손잡이(74)는 수용부재(7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수용부재(7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수용부재(70)의 상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74)는, 사용자의 손 일부가 통과되도록 삽입공(74A)이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의 일부를 삽입공(74A)에 넣은 상태로 손잡이(74)를 취부할 수 있다.
그리고, 수용부재(70)의 외주면에는, 도 4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재(70)의 길이방향으로 안내홈(71)이 형성된다. 이러한 안내홈(71)은 배출수단(90)의 당김부재(92)가 수용되기 위한 것으로, 끈이나 와이어로 이루어진 각각의 당김부재(92)가 삽입되어 수용부재(70)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는 상태에서 외력에 간섭받지 않고 안정되게 안내되고 지지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수집부(80)는, 수용부재(7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내부로 공(G)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도록 구성된 것으로, 중공의 관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스(82)가 수용부재(70)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케이스(82)의 내부에는 공(G)을 위에서 가압할 때 공(G)이 통과되어 수용부(72)로 이동하도록 각각 내주면(82A) 쪽으로 이동하였다가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기 위한 탄성을 구비한 탄성 지지체(84)가 설치된다.
이러한 수집부(80)의 케이스(82) 상단 내면에는 암나산이 형성되고, 수용부재(70)의 하단부에는 숫나사산이 형성되어 케이스(82)와 수용부재(70)가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구조로 결합될 수 있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끼움 결합구조 등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케이스(82)의 내부에는, 자체 탄성을 갖도록 코일 스프링 또는 고무줄로 이루어진 탄성 지지체(84)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 지지체(84)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 또는 고물줄로 이루어진 탄성 지지체(84)에는 공(G)의 통과시 간섭을 방지하도록 구형, 타원형 또는 원판형으로 된 회전체(84A)가 회전 가능하게 꿰어져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체(84A)가 탄성 지지체(84)에 결합되어 공(G)의 통과시 공(G)과의 마찰에 의해 회전하기 때문에 공(G)의 통과 작용이 마찰 간섭없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집부(80)의 탄성 지지체(8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3곳(각 고정점이 120°각도 배치됨)이 케이스(82)의 내주면(82A)에 고정핀(82B)에 의해 고정된다. 즉, 고정핀(82B)의 일단이 탄성 지지체(84)에 고정되고 타단은 케이스(82)의 내주면에 고정되거나 케이스(82)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82B)들에 의해 3곳이 고정된 탄성 지지체(84)는 삼각형을 이루고, 각 탄성 지지체(84)의 변(84-1,84-2,84-3) 사이에 통과공(84C)이 형성된다. 이 통과공(84C)의 크기는 공(G)이 통과되도록 공(G)의 지름보다 커지거나, 공(G)이 통과되지 못하도록 공(G)의 지름보다 작아질 수 있다.
전술한 탄성 지지체(84)를 구비한 수집부(80)의 구성에 의해 공(G)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용부(72)로 수집할 수 있게 된다. 즉, 탄성 지지체(84)를 공(G)의 상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수용부재(70)를 하향으로 이동시켜 탄성 지지체(84)의 각 변(84-1,84-2,84-3)으로 공(G)을 가압하면, 탄성 지지체(84)의 각 변(84-1,84-2,84-3)이 각각 내주면(82A) 쪽으로 이동하면서 통과공(84C)이 확장되므로, 공(G)을 수용부(72) 쪽으로 통과시키게 된다. 이때, 탄성 지지체(84)가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회전체(84A)가 결합되므로 공(G)의 통과가 간섭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공(G)이 통과되면 각 변(84-1,84-2,84-3)은 원위치로 복귀하여 통과공(84C)의 크기가 공(G)보다 작아지게 되기 때문에 수용부(72)에 수용된 공(G)이 이탈되지 않도록 케이스((82)의 입구를 폐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집부(80)와 손잡이(74)에는, 탄성 지지체(84)의 각 변(84-1,84-2,84-3)을 강제로 내주면(82A) 쪽으로 이동시켜 수용부(72)에 수용된 공(G)이 탄성 지지체(84) 사이, 즉 통과공(84C)을 통과하여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배출수단(90)이 구비된다.
배출수단(90)은, 케이스(82)의 내주면(82A)에 고정핀(82B)에 의해 3 - 5곳이 고정되어 공(G)의 지름보다 작은 통과공(84C)를 형성하고, 자체 탄성을 갖도록 인장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 지지체(84)와, 각 일단이 탄성 지지체(84)를 서로 다른 방향의 내주면(82A) 쪽으로 당기도록 탄성 지지체(84)의 각 변(84-1,84-2,84-3)에 고정되고 끈이나 와이어로 이루어진 다수개(본 실시예에서는 3개로 구성)의 당김부재(92)와, 손잡이(74)에 상,하부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에는 당김부재(92)의 각 타단이 결합되며, 탄성 지지체(84)의 탄성으로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된 배출부재(9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와이어로 이루어진 3개의 당김부재(92) 각 일단이 탄성 지지체(84)의 각 변(84-1,84-2,84-3)의 중간에 고정되고 각 타단은 손잡이(74)에 상,하부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배출부재(94)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배출부재(94)를 상향으로 당김에 따라 각각의 당김부재(92)가 탄성 지지체(84)의 각 변(84-1,84-2,84-3)을 서로 다른 방향의 내측면(82A) 쪽으로 이동시켜 통과공(84C)을 확장시킴으로써 공(G)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배출부재(94)를 당기는 힘을 제거하면, 당김부재(92)는 자체 탄성을 갖는 탄성 지지체(84)의 복귀 탄성에 의해 원위치로 당겨지게 되므로 배출부재(94)도 하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공 수거장치(6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재(70)와 수집부(80) 및 배출수단(90)이 구비된 공 수거장치(60)를 이용하여 공(G)을 수거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손잡이(74)를 취부하여 수용부재(70)를 수직상태로 유지시킨 후에, 공(G)을 케이스(82)의 저부에 위치시킨다.
이어서, 수용부재(70)를 하향으로 이동시켜 탄성 지지체(84)의 각 변(84-1,84-2,84-3)이 공(G)을 가압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탄성 지지체(84)의 각 변(84-1,84-2,84-3)이 공(G)을 가압하게 되면, 탄성 지지체(84)의 각 변(84-1,84-2,84-3)은 서로 다른 방향의 내주면(82A) 쪽으로 변형되면서 통과공(84C)을 확장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탄성 지지체(84)의 각 변(84-1,84-2,84-3)이 서로 다른 방향의 내주면(82A) 쪽으로 변형되면서 통과공(84C)을 확장시키게 되므로, 공(G)은 통과공(84G)을 통하여 수용부(72)로 이동된 후 수용부(72)에 수용된다.
즉, 사용자가 공(G)을 케이스(82)의 하부에 위치시킨 후 하향으로 가압하는 동작만으로 공(G)이 수용부(72)로 이동하여 수집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공(G)이 통과공(84C)을 통과하면, 탄성 지지체(84)의 각 변(84-1,84-2,84-3)은 자체 탄성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여 통과공(84C)의 크기를 축소시키게 되므로 수용부(72)에 수용된 공(G)은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용부(72)에 수용된 공(G)을 배출시키기 위해서 케이스(82)를 수용부재(70)로부터 분리하여 수용부재(70)의 하부를 개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배출작업이 복잡하고, 당김부재(92)의 간섭 및 엉킴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전술한 배출수단(90)을 이용하여 배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출수단(90)을 이용하여 수용부(72)에 수용된 공(G)을 배출시키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손잡이(74)에 구비된 배출부재(94)를 상향으로 당긴다. 이 과정으로 각 당김부재(92)가 상향으로 당겨지면서 탄성 지지체(84)의 각 변(84-1,84-2,84-3)을 내주면(82A) 쪽으로 당기게 되므로, 각 변(84-1,84-2,84-3)이 이루는 통과공(84C)의 크기가 확장된다. 따라서, 수용부(72)에 수용되어 있던 공(G)들은 확장된 통과공(84C)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손잡이(74)의 배출부재(94)를 상향으로 당기는 작동만으로 탄성 지지체(84)에 형성된 통과공(84C)이 확장되면서 공(G)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배출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수단(90)은, 케이스(82)의 내주면(82A)에 3 - 5곳이 고정되어 공(G)의 지름보다 작은 통과공(84C)을 형성하고, 자체 탄성을 갖는 탄성 지지체(84)와, 각 일단이 탄성 지지체(84)의 각 변(84-1,84-2,84-3)을 서로 다른 방향의 내주면(82A) 쪽으로 당기도록 탄성 지지체(84)의 각 변(84-1,84-2,84-3)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작동로드(96)와, 케이스(82)에 각각 설치되고, 전원이 공급될 때에만 수축 작동하여 작동로드(96)를 내측면(82A) 쪽으로 당기도록 된 다수개의 엑츄에이터(98)와, 배터리(도시되지 않음)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동시에 각각의 엑츄에이터(98)에 공급하도록 엑츄에이터(98)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위치(99)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배출수단(90)은, 스위치(99)를 온 시킴에 따라 각각의 엑츄에이터(98)의 작동로드(96)가 탄성 지지체(84)의 각 변(84-1,84-2,84-3)을 서로 다른 방향의 내측면(82A) 쪽으로 이동시켜 통과공(84C)을 확장시키게 되므로, 공(G)들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60 : 공 수거장치 70 : 수용부재
71 : 안내홈 72 : 수용부
74 : 손잡이 80 : 수거부
82 : 케이스 82A : 내주면
82B : 고정핀 84 : 탄성 지지체
84-1,84-2,84-3 : 변
84A : 회전체 84C : 통과공
90 : 배출수단 92 : 당김부재
94 : 배출부재 96 : 작동로드
98 : 엑츄에이터 99 : 스위치

Claims (7)

  1. 야구공, 테니스공, 탁구공 또는 골프공을 포함하는 공을 수집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공이 수용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중공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손잡이가 마련되는 수용부재; 및
    중공의 관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스가 상기 수용부재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공을 위에서 가압할 때 상기 공이 통과되어 상기 수용부로 이동하도록 각각 내주면 쪽으로 이동하였다가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기 위한 탄성 지지체가 설치되는 수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지지체는, 자체 탄성을 갖도록 코일 스프링 또는 고무줄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 지지체에는, 상기 공의 통과시 간섭을 방지하도록 구형, 타원형 또는 원판형으로 된 회전체가 회전 가능하게 꿰어져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를 취부하여 상기 탄성 지지체를 상기 공의 상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재와 일체화된 상기 수집부로 상기 공을 가압하면, 상기 탄성 지지체가 각각 내주면 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공을 상기 수용부 쪽으로 통과시키고, 상기 공이 통과되면 원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공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의 입구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수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공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체로 형성되거나, 투시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수거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와 손잡이에는,
    상기 탄성 지지체를 강제로 상기 내주면 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공이 상기 탄성 지지체 사이를 통과하여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배출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에 3 - 5곳이 고정되어 상기 공의 지름보다 작은 통과공을 형성하고, 자체 탄성을 갖는 상기 탄성 지지체;
    각 일단이 상기 탄성 지지체를 서로 다른 방향의 상기 내주면 쪽으로 당기도록 상기 탄성 지지체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당김부재; 및
    상기 손잡이에 상,하부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에는 상기 당김부재의 각 타단이 결합되며, 상기 탄성 지지체의 탄성으로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된 배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재를 상향으로 당김에 따라 각각의 상기 당김부재가 상기 탄성 지지체를 서로 다른 방향의 상기 내주면 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공이 배출되도록 상기 통과공을 확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수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당김부재를 보호하고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수거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와 손잡이에는,
    상기 탄성 지지체를 강제로 상기 내주면 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공이 상기 탄성 지지체 사이를 통과하여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배출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에 3 - 5곳이 고정되어 상기 공의 지름보다 작은 통과공을 형성하고, 자체 탄성을 갖는 상기 탄성 지지체;
    각 일단이 상기 탄성 지지체를 서로 다른 방향의 상기 내주면 쪽으로 당기도록 상기 탄성 지지체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작동로드;
    상기 케이스에 각각 설치되고, 전원이 공급될 때에만 수축 작동하여 상기 작동로드를 상기 내주면 쪽으로 당기도록 된 다수개의 엑츄에이터; 및
    배터리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동시에 각각의 상기 엑츄에이터에 공급하도록 상기 엑츄에이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를 온 시킴에 따라 각각의 상기 엑츄에이터의 작동로드가 상기 탄성 지지체를 서로 다른 방향의 상기 내주면 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공이 배출되도록 상기 통과공을 확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수거장치.

KR1020170043893A 2017-04-04 2017-04-04 공 수거장치 KR101909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893A KR101909644B1 (ko) 2017-04-04 2017-04-04 공 수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893A KR101909644B1 (ko) 2017-04-04 2017-04-04 공 수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605A KR20180112605A (ko) 2018-10-12
KR101909644B1 true KR101909644B1 (ko) 2018-12-19

Family

ID=63876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3893A KR101909644B1 (ko) 2017-04-04 2017-04-04 공 수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96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900002931A1 (it) * 2019-02-28 2020-08-28 Vincenzo Alessi Attrezzo per la raccolta di castag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47291B (zh) * 2019-01-10 2020-09-15 浙江科技学院 自动捡球机器人及捡球方法
US20230076649A1 (en) * 2020-02-10 2023-03-09 The Ball Caddy, Llc Sport ball retrieving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3829A (ja) 2005-01-24 2006-08-31 Showa Denki Shokai:Kk ボール収容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3829A (ja) 2005-01-24 2006-08-31 Showa Denki Shokai:Kk ボール収容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900002931A1 (it) * 2019-02-28 2020-08-28 Vincenzo Alessi Attrezzo per la raccolta di castag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605A (ko) 2018-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9644B1 (ko) 공 수거장치
CN110917603B (zh) 具有改进的发球头移动的乒乓球机器人
US8534726B2 (en) Table tennis ball collector and dispenser
EP2145655B1 (en) Ball collecting device
CA2591153C (en) Toy for positioning a play implement
KR100964156B1 (ko) 공 줍기 통
KR102164240B1 (ko) 브러쉬가 장착된 골프 그립
US20190344128A1 (en) Ball retrieving apparatu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CN202605654U (zh) 乒乓球捡球器
US20070010345A1 (en) Golf ball retrieval device
KR20180066630A (ko) 칠판 지우개의 탈분기
US6440007B1 (en) Game apparatus having a spherical object drop mechanism
KR101914170B1 (ko) 골프공 수거구
KR101712194B1 (ko) 복수 개의 골프 티를 수납할 수 있는 골프채
US7189167B1 (en) Game apparatus having ball drop and pick-up mechanism
KR20170000342U (ko) 배팅 연습장치
KR101759578B1 (ko) 볼 수거 장치
CN104606866B (zh) 一种单人训练用网球拍
JP3001277U (ja) ピンポン玉拾集器
CN203139539U (zh) 乒乓球捡球器
CN108939497A (zh) 一种网球自动发球装置
CN113398547B (zh) 一种乒乓球运动用捡球装置
JP2001259101A (ja) 球体対象物落下機構を有するゲーム器具
KR200217339Y1 (ko) 골프연습용 골프공 공급장치
CN201192562Y (zh) 一种击球器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